KR100991351B1 -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351B1
KR100991351B1 KR1020100004581A KR20100004581A KR100991351B1 KR 100991351 B1 KR100991351 B1 KR 100991351B1 KR 1020100004581 A KR1020100004581 A KR 1020100004581A KR 20100004581 A KR20100004581 A KR 20100004581A KR 100991351 B1 KR100991351 B1 KR 1009913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inseng
black ginseng
steaming
acid
hou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4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강주
모은경
권오윤
이청하
김승미
이미라
윤범식
Original Assignee
(주)대덕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덕바이오 filed Critical (주)대덕바이오
Priority to KR1020100004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3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3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3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9/0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9/10Products from fruits or vegetabl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of tuberous or like starch containing root crop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A23V2250/2124Ginseng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의 제조방법은 수삼을 0.1~1% 농도의 산에 3~12시간 침지하는 단계; 상기 수삼을 30~50℃에서 30분~7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수삼을 50~7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수삼을 70~9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 상기 수삼을 90~11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수분 10~14%로 건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로써, 수삼에 함유된 전분질 등의 다당체가 유리환원당으로 전환되어 전분질의 급격한 팽윤에 의한 균열이나 내공 발생요인을 저하시키며 흑삼의 흑갈색도를 증가시키고 내백 발생율을 감소시키므로 불균일 갈색화 등의 문제점이 개선된 고품질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High quality of black ginseng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본 발명은 고품질 흑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삼을 산에 침지시키고 온도를 서서히 높히면서 증숙하여 흑삼의 육안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 등이 개선된 고품질의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인삼( Panax ginseng C.A. Meyer )은 쌍떡잎식물 산형화목 두릅나무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블로장생의 영약으로 알려진 인삼은 한약중에서도 최고의 약재로 꼽히며 한방의서인 '신농본초경'에 인삼은 간장, 심장, 폐장, 신장, 비장의 양기를 돋우고 정신을 안정시킨다고 나와있다. 인삼은 각종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한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전혀 병이 없는 사람들에게도 힘과 활력을 주는 강장제로서 광범위한 약효를 나타내며 장기간 사용하여도 전혀 부작용이 없다고 알려져 있으며 저혈압, 고혈압, 죽상동맥경화증, 노인병, 고지혈증, 관상동맥경화증, 백혈구감소증, 급성 간염의 간기능 등의 효능이 있다.
인삼은 70% 내외의 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므로 이것을 그대로 저장하거나 운반할 때 부패, 손상되기 쉬워 장기간 저장을 위하여 인삼을 증숙한 뒤 말려 홍삼으로 만든다. 홍삼은 수삼에서 발견되지 않는 특유성분인 2-Methoxyl-3,3-hydroxypyrone (maltol)이 생성된다. 또한 홍삼 제조시 수삼으로부터 인삼의 유기산을 촉매로 하여 홍삼의 생리활성 물질이 생성되고 이들이 약리 및 효능 작용을 가지게된다. 생리활성물질로 인한 홍삼의 효능은 항정신작용이 있으며, 홍삼의 사포닌이 면역증강, 콜레스테롤 대사 개선작용 등이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흑삼은 한번의 증숙과 건조과정을 거쳐 제조되는 홍삼과 달리 아홉번 찌고 말리는 구증구포 방법으로 제조되어 사포닌 함량이 매우 높으며 흑갈색을 띤다. 백삼, 홍삼에 없는 유효 사포닌이 다량으로 들어있으며 당뇨에 필요한 아드레날린과 인슐린 생성에 영향을 주는 작용을 하므로 당뇨병, 간기능 강화에 도움을 주고 각종 간질환을 회복시키며, 콜레스테롤의 대사를 조절하고 생성을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 심장기능을 강화시켜 고혈압, 저혈압의 증세를 정상화시키며, 암세포의 성장을 억제하는 항암효과, 부인들의 냉증, 월경과다, 자궁출혈 및 산후, 다산에 의한 신경쇠약등에 극히 효과적이다. 또한 노화방지, 소화촉진, 만성위장 장애에 효능이 있으며 체력과 면역력이 증가된다. 피로회복, 술(알콜)에 대한 분해능력이 탁월하며, 위궤양의 원인이 되는 위산이나 펩신의 분비물을 억제하는 자율신경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으며, 항류머티즘 활성 성분으로 인해 말단모세혈관을 확장시켜 혈행을 좋게 하고 신진대사를 촉진함으로 전신에 산소와 영양분을 원활히 하므로 류머티즘 치료에 탁월한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다양한 효능이 있는 흑삼의 제조방법이 개발되어 있으며 특히,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543862호에는 일반 흑삼에 비해 활성성분의 함량이 월등히 높은 흑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754253호에는 제조시간이 단축되고 대량생산이 가능한 흑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753771호에는 제조공정에서 알코올을 첨가하여 원료의 상태를 최상의 상태로 관리하여 제조된 흑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729214호에는 인체에 유용한 사포닌과 조사포닌 및 진세노사이드 Rg3가 다량 함유되어 있는 흑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9-76580호에는 아미노산 포화 수용액에 인삼을 침수시키고, 당 분해효소를 첨가하여 진세노사이드의 구조를 변형시키는 효소처리를 한 성분강화 흑삼, 대한민국 특허 공개번호 제2009-93310호에는 홍삼 및 흑삼 제조시 생성되는 벤조피렌이 저감된 흑삼,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910585호에는 매실발효액으로 발효하여 유효성분이 증가하고 기존 홍삼이나 흑삼에 비해 유효성분의 함량이 우수하며, 제조방법이 간단하고 공정진행이 용이하면서도 균일한 제품의 대량제조가 가능한 발효흑삼 등이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인삼의 유효성분을 증대시키며 대량제조가 가능한 흑삼의 제조방법이 공지되어 있으나 이러한 제조방법은 급격한 온도변화를 주거나, 높은 온도에서 수삼을 증숙하므로 흑삼의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 등의 품질저해 요인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자들은 끊임없는 흑삼의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 등의 품질저해 방지에 대한 연구를 하던 중 원료수삼을 산에 침지한 후 온도를 서서히 높히면서 증숙하는 방법으로 흑삼 제조시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 등에 따른 품질저해를 방지하는 효과가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에 따른 품질저해가 개선된 고품질의 흑삼을 제공하는데 있다.
더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흑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은 원료수삼을 산에 침지하고 30~50℃, 50~70℃, 70~90℃, 90~110℃로 서서히 온도를 높여 증숙된 흑삼을 포함한다.
상기 다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의 제조방법은
수삼을 0.1~1% 농도의 산에 3~12시간 침지하는 단계(1공정);
상기 수삼을 30~50℃에서 30분~7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2공정);
상기 수삼을 50~7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3공정);
상기 수삼을 70~9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4공정);
상기 수삼을 90~11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수분 10~14%로 건조하는 단계(5공정);
를 포함한다.
상기 산은 초산, 구연산, 사과산, 젖산을 포함하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흑삼 제조시 산의 농도가 0.1~1% 범위인 경우에 제조된 흑삼의 향미,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 발생률의 개선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2~5공정의 증숙시간이 30분 이내이면 충분한 증숙이 되지 못하고, 2공정의 증숙시간 7시간 및 3~5공정의 증숙시간 10시간 이상의 시간에서는 증숙시간에 따른 효과의 차이가 없다.
상기 2~4공정의 증숙후에 건조는 40~50℃에서 3~5시간 건조가 바람직하고, 5공정의 증숙후 건조는 40~50℃에서 수분 10~14%로 건조하는 것이 제조된 흑삼의 품질이 우수하다.
또한, 상기 2~5공정의 한 공정을 생략하여 흑삼을 제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1~5공정으로 흑삼을 제조하는 것이 좋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단독으로 제품에 제공될 수도 있으나 분말, 음료, 정제, 편, 캡슐, 시럽 등 다양한 제형으로 제조되어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음건, 냉동건조 등의 당업계의 통상적인 건조방법을 통하여 건조한 후, 미세입자, 바람직하게는 약 50㎛ 내지 200㎛ 입자크기로, 분말화하는 공정을 통하여 당업계에 잘 알려진 부형제 또는 담체를 이용하여 환제, 캅셀제, 정제 등의 조성물로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해 제조된 흑삼은 생약 분쇄기를 이용하여 미세분말, 바람직하게는 약 50~200㎛ 크기의 분말로 분쇄하여 각종제제의 원료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의 추출물을 수득하는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을 분쇄한 후, 흑삼의 약 3~7배 바람직하게는 4~6배 질량의 물을 가하여 실온에서 3~7시간 방치한 후 에탄올 0.5~2ℓ를 가하여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추출용매를 제거하여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의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추출물을 식품으로 사용할 경우, 상기 추출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유효성분의 사용량은 그의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고, 상기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용량에 준해서 사용할 수 있으나, 건강 및 위생을 목적으로 하거나 또는 건강 조절을 목적으로 하는 장기간의 섭취의 경우에는 상기 범위 이하일 수 있으며, 유효성분은 안전성면에서 아무런 문제가 없기 때문에 상기 범위 이상의 양으로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식품의 종류에는 특별한 제한은 없다. 상기 물질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의 예로는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흑삼은 증숙공정 전에 수삼을 산에 침지하고 온도를 서서히 높혀주면서 증숙하는 공정을 거치므로 수삼에 함유된 전분질 등의 다당체가 유리환원당으로 전환되어 전분질의 급격한 팽윤에 의한 균열이나 내공 발생요인을 저하시킨다.
또한, 유리환원당류는 원료인삼에 함유된 유리 아미노산류, 펩타이드류 등 함질소화합물과 메이야르 타입(maillard type)의 흑갈색화 반응을 촉진시킴으로 흑삼의 흑갈색도를 증가시키고 흑삼의 내백 발생율을 감소시켜 불균일 흑갈색화 등의 문제점이 개선된 고품질 흑삼을 제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흑삼의 제조과정을 순차적으로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어지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흑삼 제조 - 1
4년근 이상의 국내산 수삼 10㎏을 깨끗한 물로 세척한 후 0.5% 초산 수용액 15ℓ에 3시간 침지하였다. 초산 수용액에 침지한 수삼을 40℃에서 5시간 증숙하고 40~50℃에서 4시간 건조시켜 1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1차 증숙물을 60℃에서 증숙하고 1차 증숙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2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2차 증숙물을 80℃에서 증숙하고 1차 증숙물과 동일한 방법으로 건조시켜 3차 증숙물을 제조하였다. 3차 증숙물을 100℃에서 증숙하고 40~50℃에서 수분 10~14%로 건조시켜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흑삼 제조 - 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0.5% 구연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흑삼 제조 - 3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0.5% 사과산 수용액에 침지하여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흑삼 제조 - 4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본 발명의 2공정에 해당하는 40℃에서 5시간 증숙 및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1 및 3~5공정으로 흑삼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5> 흑삼 제조 - 5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본 발명의 3공정에 해당하는 60℃에서 5시간 증숙 및 건조 공정을 거치지 않고 1, 2 및 4, 5공정으로 흑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8> 흑삼 제조 - 6~12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하되 하기 표 1과 같이 비교예 1~8 흑삼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
예 1
실시
예 2
실시
예 3
실시
예 4
실시예 5 비교
예 1
비교
예 2
비교
예 3
비교
예 4
비교
예 5
비교
예 6
비교
예 7
비교
예 8
초산 - - - - - -
구연산 - - - - - - - - - - - -
사과산 - - - - - - - - - - - -
1차증숙
(℃)

40

40

40

-

40

40

100

70

70

100

100

100

100
2차증숙
(℃)

60

60

60

60

-

60

80

100

100

70

70

100

100
3차증숙
(℃)

80

80

80

80

80

80

60

30

30

90

90

100

100
4차증숙
(℃)

100

100

100

100

100

100

40

90

90

30

30

100

100
<시험예 1> 산 침지에 따른 흑삼의 관능평가
산 침지에 따른 흑삼의 향미와 육안색택에 대한 비교평가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1~5와 비교예 1에서 제조된 흑삼을 비교대상으로 하였으며 당업계 전문가 50인의 패널을 선별하여 흑삼의 향미와 육안색택에 대한 관능평가를 하기 기준에서 평가시켜 수행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2에 나타내었다.
<평가기준>
향미
1 : 탄내가 많이 나고 향이 아주 나쁨
2 : 탄내가 나고 향이 나쁨
3 : 보통임
4 : 탄내가 거의 나지 않고 향이 좋음
5 : 탄내가 나지 않고 향이 아주 좋음
육안색택
1 : 갈색에 가까우며 색이 아주 불균일함
2 : 갈색에 가까우며 색이 불균일함
3 : 보통임
4 : 검정색에 약간 가까우며 색이 균일함
5 : 검정색에 가까우며 색이 아주 균일함

구분

향미

육안색택
실시예 1 4.7 4.6
실시예 2 4.6 4.3
실시예 3 4.5 4.5
실시예 4 4.0 4.1
실시예 5 3.8 3.9
비교예 1 2.1 2.2
상기 표 2는 실시예 1~5와 비교예 1의 흑삼에 대한 향미와 육안색택의 평가 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초산에 수삼 침지), 실시예 2(구연산에 수삼 침지) 및 실시예 3(사과산에 수삼 침지)은 향미와 육안색택이 4.5~4.7과 4.3~4.6으로 나타났으며, 실시예 4와 5(초산에 수삼 침지, 1차 증숙공정 생략)는 향미와 육안색택이 3.8~4.0과 3.9~4.1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1(산에 수삼 미침지)은 향미와 육안색택이 2.1과 2.2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산에 침지하여 제조된 흑삼(실시예 1~5)은 산을 미침지하여 제조된 흑삼(비교예 1)보다 향미와 육안색택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2> 증숙온도에 따른 흑삼의 관능평가
증숙온도에 따른 흑삼의 향미와 육안색택에 대한 비교평가를 실시하였다.
상기 실시예 1, 2와 비교예 2, 4, 6, 8에서 제조된 흑삼을 비교대상으로 하였으며 관능평가 방법 및 기준은 상기 <시험예 1>과 동일하다. 평가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구분 향미 육안색택
실시예 1 4.7 4.6
실시예 2 4.6 4.3
비교예 2 1.6 1.4
비교예 4 2.2 2.3
비교예 6 1.4 1.3
비교예 8 1.1 1.0
상기 표 3은 실시예 1, 2와 비교예 2, 4, 6, 8에서 제조된 흑삼에 대한 향미와 육안색택의 평가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 2(산 침지, 40℃, 60℃, 80℃, 100℃에서 4회 증숙)의 향미는 4.6과 4.7, 육안색택은 4.3과 4.6으로 나타났으며, 비교예 2(산 침지, 100℃, 80℃, 60℃, 40℃에서 4회 증숙), 4(산 침지, 100℃에서 4회 증숙), 6(산 침지, 70℃, 100℃, 30℃, 90℃에서 4회 증숙), 8(산 침지 100℃, 70℃, 90℃, 30에서 4회 증숙)은 향미와 육안색택이 1.1~2.2와 1.0~2.3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흑삼(실시예 1, 2)은 증숙공정에서 온도를 40℃, 60℃, 80℃, 100℃와 같이 서서히 높혀 증숙하였으므로 온도가 일정하거나 급격하게 변화를 주어 증숙제조된 흑삼(비교예 2, 4, 6, 8)보다 향미와 육안색택이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시험예 3> 흑삼의 품질평가
흑삼의 균열, 내공 및 내백에 대한 비교평가를 하였다.
상기 실시예 1~4와 비교예 1~8의 방법으로 흑삼을 각각 100개씩 제조하여 비교대상으로 하였으며 균열, 내공 및 내백이 각각 발생한 흑삼과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모두 발생한 흑삼으로 나누고 개수하였다. 평가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구분

정상률(%)
불량률(%)

균열(%)

내공(%)

내백(%)
균열내공내백
모두 발생(%)
실시예 1 89 4 3 4 0
실시예 2 87 5 4 4 0
실시예 3 82 6 6 6 0
실시예 4 78 8 7 6 1
비교예 1 62 6 9 18 5
비교예 2 50 14 16 8 12
비교예 3 41 12 15 16 16
비교예 4 53 20 14 5 8
비교예 5 25 15 15 26 19
비교예 6 30 22 17 13 18
비교예 7 16 16 15 20 33
비교예 8 21 20 19 16 24
상기 표 4는 실시예 1~4와 비교예 1~8에서 제조된 흑삼에 대한 균열, 내공 및 내백 발생율의 평가결과를 나타낸다. 실시예 1~3(산 침지, 40℃, 60℃, 80℃, 10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87와 89%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실시예 4(산 침지, 60℃, 80℃, 100℃에서 3회 증숙)의 흑삼은 78%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1(산 미침지, 40℃, 60℃, 80℃, 10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62%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2(산 침지, 100℃, 80℃, 60℃, 4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50%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3(산 미침지, 10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41%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4(산 침지, 10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53%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5(산 미침지 70℃, 100℃, 30℃, 9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25%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6(산 침지, 70℃, 100℃, 30℃, 9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30%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7(산 미침지, 100℃, 70℃, 90℃, 3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16%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았으며, 비교예 8(산 침지 100℃, 70℃, 90℃, 30에서 4회 증숙)의 흑삼은 21%에서 균열, 내공 및 내백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흑삼(실시예 1~3)은 증숙공정 전에 원료수삼을 산에 침지하고 40℃, 60℃, 80℃, 100℃와 같이 온도를 서서히 높혀 증숙하였으므로 온도가 일정하거나 급격하게 변화를 주어 증숙 제조된 흑삼(비교예 1~8)보다 좋은 색택을 가지면서도 균열, 내공 및 내백이 거의 발생하지 않아 고품질 흑삼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제제예 1> 산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흑삼 20㎎
유당 100㎎
탈크 10㎎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하고 기밀포에 충진하여 산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2> 정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흑삼 10㎎
옥수수전분 100㎎
유당 100㎎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
상기의 성분들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정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3> 캅셀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20g을 취하여 분쇄한 후 100㎖의 물을 넣고 실온에서 5시간 방치한 뒤 메탄올 1ℓ를 넣고 3시간씩 3회 환류 추출하였다. 추출한 용액을 실온까지 냉각시킨 후 여과한 뒤 감압농축기를 이용하여 메탄올을 제거하여 실시예 1의 흑삼 추출물 7.4g을 제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흑삼 추출물 10㎎
결정성 셀룰로오스 3㎎
락토오스 14.8㎎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0.2㎎
통상의 캡슐제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하고 젤라틴 캡슐에 충진하여 캡슐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4> 액제의 제조
실시예 1의 흑삼 추출물 20㎎
(제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제조됨)
이성화당 10g
만니톨 5g
정제수 적량
통상의 액제의 제조방법에 따라 정제수에 각각의 성분을 가하여 용해시키고 레몬향을 적량 가한 다음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정제수를 가하여 전체 100㎖로 조절한 후 갈색병에 충진하여 멸균시켜 액제를 제조한다.
<제제예 5> 건강 식품의 제조
실시예 1의 흑삼 추출물 1000㎎
(제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제조됨)
비타민 혼합물 적량
비타민 A 아세테이트 70㎍
비타민 E 1.0 ㎎
비타민 B1 0.13 ㎎
비타민 B2 0.15 ㎎
비타민 B6 0.5 ㎎
비타민 B12 0.2 ㎍
비타민 C 10 ㎎
비오틴 10 ㎍
니코틴산아미드 1.7 ㎎
엽산 50 ㎍
판토텐산 칼슘 0.5 ㎎
무기질 혼합물 적량
황산제1철 1.75 ㎎
산화아연 0.82 ㎎
탄산마그네슘 25.3 ㎎
제1인산칼륨 15 ㎎
제2인산칼슘 55 ㎎
구연산칼륨 90 ㎎
탄산칼슘 100 ㎎
염화마그네슘 24.8 ㎎
상기의 비타민 및 미네랄 혼합물의 조성비는 비교적 건강식품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며, 통상의 건강식품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과립을 제조하고, 통상의 방법에 따라 건강식품 조성물 제조에 사용할 수 있다.
<제제예 6> 건강 음료의 제조
실시예 1의 흑삼 추출물 100 ㎎
(제제예 3에서와 동일하게 제조됨)
비타민 C 15 g
비타민 E(분말) 100 g
젖산철 19.75 g
산화아연 3.5 g
니코틴산아미드 3.5 g
비타민 A 0.2 g
비타민 B1 0.25 g
비타민 B2 0.3g
물 정량
통상의 건강음료 제조방법에 따라 상기의 성분을 혼합한 다음, 약 1시간동안 85 ℃에서 교반 가열한 후, 만들어진 용액을 여과하여 멸균된 2 ℓ 용기에 취득하여 밀봉 멸균한 뒤 냉장 보관한 다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제조에 사용한다.
상기 조성비는 비교적 기호음료에 적합한 성분을 바람직한 실시예로 혼합 조성하였지만 수요계층이나, 수요국가, 사용용도 등 지역적, 민족적 기호도에 따라서 그 배합비를 임의로 변형 실시하여도 무방하다.

Claims (5)

  1. 흑삼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수삼을 초산, 구연산, 사과산 또는 젖산 중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인 0.1~1% 농도의 산에 3~12시간 침지하는 단계(1공정);
    상기 1공정의 수삼을 30~50℃에서 30분~7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2공정);
    상기 2공정의 수삼을 50~7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3공정);
    상기 3공정의 수삼을 70~9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3~5시간 건조하는 단계(4공정); 및
    상기 4공정의 수삼을 90~110℃에서 30분~10시간 증숙 및 40~50℃에서 수분 10~14%로 건조하는 단계(5공정);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향미, 색택, 균열, 내공 및 내백이 개선된 고품질 흑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제 1 항의 고품질 흑삼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흑삼.
  4. 제 3 항의 흑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육류, 소세지, 빵, 쵸코렛, 캔디류, 스넥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콜 음료 및 비타민 복합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00004581A 2010-01-19 2010-01-19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913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81A KR100991351B1 (ko) 2010-01-19 2010-01-19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04581A KR100991351B1 (ko) 2010-01-19 2010-01-19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351B1 true KR100991351B1 (ko) 2010-11-02

Family

ID=4340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04581A KR100991351B1 (ko) 2010-01-19 2010-01-19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35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2B1 (ko) * 2013-04-30 2015-03-31 광동제약 주식회사 고함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흑삼 제조방법
KR101851369B1 (ko) * 2018-03-08 2018-04-23 장성기 흑삼화 가공 커피원두의 제조 방법
KR20180060847A (ko) 2016-11-29 2018-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복합발효미생물을 활용한 고기능 진세노사이드 흑삼본삼 제조방법
KR102024272B1 (ko) * 2018-06-12 2019-09-24 조미리 흑삼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음료
KR20220031384A (ko) 2020-09-04 2022-03-11 크로텍바이오 주식회사 냉동 흑삼 및 그 제조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75B1 (ko) 2002-11-15 2005-11-2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29475B1 (ko) 2002-11-15 2005-11-21 김항종 흑삼과 흑미삼의 제조방법
KR100805852B1 (ko) 2006-12-21 2008-02-21 한국식품연구원 진세노사이드가 강화된 인삼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이용한 홍삼의 제조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07652B1 (ko) * 2013-04-30 2015-03-31 광동제약 주식회사 고함량의 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흑삼 제조방법
KR20180060847A (ko) 2016-11-29 2018-06-0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성 복합발효미생물을 활용한 고기능 진세노사이드 흑삼본삼 제조방법
KR101851369B1 (ko) * 2018-03-08 2018-04-23 장성기 흑삼화 가공 커피원두의 제조 방법
KR102024272B1 (ko) * 2018-06-12 2019-09-24 조미리 흑삼음료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흑삼음료
KR20220031384A (ko) 2020-09-04 2022-03-11 크로텍바이오 주식회사 냉동 흑삼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3012B1 (ko) 한약재를 함유한 기능성 조청의 제조방법
KR100991351B1 (ko) 고품질 흑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709381B1 (ko) 쓴메밀 단독, 또는 쓴메밀과 현미를 동시에 함유하는혼합녹차 조성물
CA2884584C (en) Method for producing roasted red ginseng and roasted red ginseng produced by same
KR101086445B1 (ko) 홍삼을 함유하는 씨리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30002893A (ko) 매실 추출물을 이용한 고추장 및 그 제조방법
CN104106690A (zh) 大麦茶汁调配的荞麦袋泡茶及其制备方法
KR101760692B1 (ko) 대추약술 및 그 제조방법
KR101240093B1 (ko) 즉석죽용 식품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3549261A (zh) 辅助降血脂的保健汤圆及其制作方法
KR20160135037A (ko) 골담초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대사성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5495577B (zh) 阿胶桃片糕的制备方法
KR20140026716A (ko) 구기엽이 첨가된 유과의 제조방법
KR102333230B1 (ko) 산수유 쌀머핀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70037352A (ko) 홍삼의 액상 차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20120073666A (ko) 인삼 발효 막걸리의 제조방법
KR101979351B1 (ko) 인삼 츄잉정 및 그 제조방법
KR20220087888A (ko) 흑도라지청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701869B1 (ko) 가공 마늘의 제조방법 및 이의 마늘을 함유한 마늘 가공식품
CN1189096C (zh) 一种酱油的生产方法
KR20210008191A (ko) 수용성 규소 함유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식품 조성물 및 기능성 조성물
KR101517109B1 (ko) 상황버섯 성분이 함유된 빵 제조방법
KR101516242B1 (ko) 뽕잎추출물을 이용한 청국장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청국장
KR101435706B1 (ko) 사포닌 강화 홍삼,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KR102505329B1 (ko) 인지기능 개선 효과가 있는 소재를 이용한 홍삼 가공식품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2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