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1149B1 -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 Google Patents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1149B1
KR100991149B1 KR1020100035214A KR20100035214A KR100991149B1 KR 100991149 B1 KR100991149 B1 KR 100991149B1 KR 1020100035214 A KR1020100035214 A KR 1020100035214A KR 20100035214 A KR20100035214 A KR 20100035214A KR 100991149 B1 KR100991149 B1 KR 1009911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ing
pedestal
fitting
protrusion
s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52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모
Original Assignee
(주) 한국스치로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한국스치로폴 filed Critical (주) 한국스치로폴
Priority to KR10201000352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114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11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11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HWORKSHOP EQUIPMENT, e.g. FOR MARKING-OUT WORK; STORAGE MEANS FOR WORKSHOPS
    • B25H3/00Storage means or arrangements for workshops facilitating access to, or handling of, work tools or instruments
    • B25H3/04R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223/00Use of polyalkenes or derivatives thereof as reinforcement
    • B29K2223/10Polymers of propyle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ackable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적재 받침대를 자유롭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한꺼번에 여러 종류의 부품, 많은 부품을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가벼워 컨베이어 체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는 바닥부재(10)는 기준면인 바닥부(110)의 테두리에 바닥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테두리부(120)가 형성되어지되, 바닥부(110)의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돌부(111)가 전후로 형성되어지고, 가이드돌부(111)와 테두리부(120)의 사이에 가이드요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테두리부(120)의 모서리에는 꺽쇠형태를 갖는 스토퍼(121)가 각각 형성되고, 적재부재(20)는 적재판(210)의 양측에 적재벽(2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에 걸림턱(230)이 형성되며, 적재판(210)의 저면 양측에는 끼움요부(211)가 형성되고, 끼움요부(211)의 외측으로 끼움돌부(212)가 형성되며, 적재벽(220)의 상부 내측에는 결합돌부(221)가 형성되어지

Description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Funtional Mult-stage Loadng Support}
본 발명은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관한 것이며, 구체적으로는 적재 받침대를 자유롭게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부품 이송의 경우, 여러 종류의 부품, 많은 부품을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가벼워 컨베이어 체인에 손상을 주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받침대는 그 높이가 고정되어 있어,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그 높이 조절이 어려워 불편한 점이 있었다. 또한, 단층형 상자를 높이 쌓는 방법으로 높이를 조절할 수도 있지만, 그 경우, 안정적으로 단이 고정되지 않아 미끄러지거나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부품 이송용 받침대는 금속 제품등으로 제조되면서도 높낮이 조절이 불가능하게 되어 있어, 공장의 생산라인의 어느 한곳에서 다른 곳으로 이송되는 과정에서 무게가 많이 나가 사용자가 불편하며, 또한 부품을 보다 많이 이송할 수 없었으며, 컨베이어 체인에 무리가 가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겨울철 등에는 열전도율이 높아 매우 주위 환경 온도에 따라 냉각되어 부품에 부착하거나 하는 점과 여름철에는 너무 가온되어 온도에 민감한 부품에 손상을 입히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부품 이송용 받침대가 하나로 이루어져 있어 다른 종류의 부품을 이송하거나 할때 함께 이송하지 못하고 별도의 이송용 받침대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컨베이어 체인의 여유공간이 부족한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단을 여러 개 다단계로 쌓을 수 있는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며, 특히, 여러 종류의 부품을 한꺼번에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컨베이어 체인에 무리를 주지 않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또한 주위환경에 영향을 받지 않고 부품에 온도에 따른 손상을 주지 않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이고, 사각형의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재부재(20)가 결합되어지는 적재 받침대에 있어서, 바닥부재(10)는 기준면인 바닥부(110)의 테두리에 바닥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테두리부(120)가 형성되어지되, 바닥부(110)의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돌부(111)가 전후로 형성되어지고, 가이드돌부(111)와 테두리부(120)의 사이에 가이드요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테두리부(120)의 모서리에는 꺽쇠형태를 갖는 스토퍼(121)가 각각 형성되고, 적재부재(20)는 적재판(210)의 양측에 적재벽(2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에 걸림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판(210)의 저면 양측에는 끼움요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요부(211)의 외측으로 끼움돌부(212)가 형성되며, 적재벽(220)의 상부 내측에는 결합돌부(221)가 형성되어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의하면, 적재부재(20)가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재된 후에도, 적재부재(20)의 상부에 또 다른 적재부재(20) 연속하여 적재될 수 있어, 하나의 바닥부재(10)에 적재되는 적재 받침대에 의하여, 한꺼번에 많은 부품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하나로 이루어지는 적재 받침대가 아니라, 층층이 적재되는 적재 받침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종류가 다른 부품을 한꺼번에 이송할 수 있어, 업무 효율성이 높아진다. 또한, 바닥부재(10)의 가이드요부(112)에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가 그리고 적재부재(20)의 끼움요부(211)에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가 서로 끼워지므로써, 여러 개를 적재하여 컨베이어에서 이송되어도 하나로 주물되어진 것처럼 흔들림이 없이 안정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서도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적재함의 개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이고, 적재부재(20)는 다층으로 결합되어 최상부에 커버부재(30)가 결합되어지되, 커버부재(30)는 커버판(310)의 양측 및 후방에 커버벽(3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고, 전방에 낙하방지턱(330)이 형성되어지며, 커버판(310)의 저면 양측에는 끼움요부(311)가 형성되고, 끼움요부(311)의 외측으로 끼움돌부(312)가 형성되어진다.
청구항 2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의하면, 커버부재(30)에 의하여 부품 이송시 부품을 먼지등의 이물질로부터 보호할 수 있으면서도, 커버벽(320)을 형성하여, 커버부재(30)의 상부에 전달사항이나 문서등 다른 물건들을 이송할 때 커버로부터 물건이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이고,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 및 결합돌부(221)와 상기 커버부재(30)의 끼움돌부(312)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120) 가장자리에는 위치결정홈(122)이 형성된다.
청구항 3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의하면,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 및 결합돌부(221)와 상기 커버부재(30)의 끼움돌부(312)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사용자가 적재 받침대를 취급할 때 다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면서도, 돌부와 요부가 서로 끼워질때 모서리 부분에 의하여 적재 받침대가 손상되거나 잘 끼워지지 않는 점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청구항 1 내지 3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이고, 바닥부재(10), 적재부재(20) 및 커버부재(30)는 발포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성형된다.
청구항 4에 기재된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의하면, 발포 폴리프로필렌으로 사출성형되므로, 무게가 가벼워서, 여러 개를 적재하여도 컨베이어 체인이 손상되지 않고, 겨울철이나 장마철에 변형되는 것이 없어 계절의 영향을 받지 않고, 효율적으로 부품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발포폴리프로필렌은 열전도율이 낮아 겨울철이나 여름철등과 같이 온도가 너무 낮거나 높은 경우 부품에 온도를 전달하지 않아 부품에 온도의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는, 적재부재를 사용자가 편의에 따라 손쉽게 적재할 수 있으므로, 부품 이송 컨베이어에서 한번에 많은 양의 부품을 이송할 수 있으면서도, 칸마다 구별되게 적재 받침대가 적재되므로, 종류가 다른 부품을 구별하여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적재 받침대가 적재의 형태로 이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적재 받침대의 하부와 적재받침대의 상부의 구조가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흔들림이 없이 부품을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여러 개의 적재 받침대를 적재하여도 무게가 가벼워, 컨베이어 체인에 영향을 주지 않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받침대가 여러 개 적층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적재 받침대가 결합되는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적재 받침대가 결합되는 형태를 구체적으로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 단면을 확대한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적재 받침대의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적재 받침대의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로 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 받침대의 사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재부재(20)가 3개 결합되어 적층되어 있고, 다시 상부에 커버부재(30)가 결합되어져 있다.
도 2 내지 4를 참조로 하면,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와 적재부재(20)의 끼움요부(211)가 서로 맞물려 끼워져 결합되고, 바닥부재(10)의 가이드요부(112)에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가 끼워져 결합되어, 1단의 적재부재(20)가 적재된다.
다시 상기 1단의 적재부재(20)의 상부 결합돌부(221)는 2단의 적재부재(20)의 끼움요부(211)에 끼워져 결합되어, 2단의 적재부재(20)가 적층된다.
마찬가지 방법으로 3단의 적재부재(20)가 2단의 적재부재(20)의 상부에 적층된다.
마지막으로 커버판(310)의 끼움요부(311)에 3단의 적재부재(20)의 결합돌부(221)가 끼워지고, 커버판(310)의 끼움돌부(312)가 3단의 적재부재(20)의 결합돌기(221)의 외측으로 끼워져, 커버부재(30)가 3단의 적재부재(20)의 상부에 결합된다.
도 2의 바닥부재(10)의 일부를 확대한 도면을 참조로 하면,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재부재(20)를 적재할 때, 꺽쇠형태를 갖는 스토퍼(121)가 있어, 바닥부재(10)의 상부에 놓여지는 적재부재(20)의 위치를 커다란 노력없이도 정확하게 알 수 있어, 손쉽게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와 적재부재(20)의 끼움요부(211), 및 가이드요부(112)와 끼움돌부(212)를 서로 끼워넣을 수 있다. 이로써 작업속도도 높일 수 있다. 또한 도 2의 적재부재(20)의 일부 확대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적재부재(20)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끼움요부(211)의 앞뒤는 요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끼움요부(211)에 결합돌부(221)가 끼워진 후에 돌부가 미끄러져 다시 요부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도 2 및 3을 참조로 하면,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부재(20)는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12)에 의하여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가 더욱 견고하게 결합되어져서, 적재부재(20)가 여러단 적층되어도 단단하게 지지할 수 있는 한편, 1단의 적재부재(20)의 상부, 또는 2단의 적재부재(20)의 상부에 적층되는 적재부재(20)는 하단의 적재부재(20)의 결합돌부(221)가 상단의 적재부재(20)의 끼움요부(211)에만 끼워지고 있어, 손쉽게 적재부재(20)를 결합 및 탈착할 수 있게 하였다. 즉, 안정성이 더 요구되는 바닥부재(10)와 적재부재(20)의 결합은 더욱 견고히 하면서도, 탈착의 용이함이 요구되는 적재부재(20)들 사이의 적재는 보다 편리성을 강조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전 후방의 걸림턱(230)을 형성하여, 부품이 적재된 후에는 흔들림이나 충격이 있어도 적재함으로부터 부품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 및 결합돌부(221), 및 커버부재(30)의 끼움돌부(312)의 외측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사용자가 취급시 다치거나 하지 않고, 서로 끼워넣는 과정에서 적재부재(20)나 커버부재(30)가 손상되지 않는다. 또한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120)에 형성된 위치결정홈(122)에 의하여 컨베이어에서 이송되는 과정에서 적재 받침대가 이송되어야 하는 위치를 손쉽게 파알할 수 있어, 적재 받침대가 정확한 위치로 이송될 수 있다.
도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재(30)는 커버판(310)의 양측 및 후방에 커버벽(3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어 있어, 커버부재(30)에 놓여진 물건들이 밖으로 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는 발포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바람직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Expandable polypropylene), 또는 발포 스틸렌 재질로 이루어지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발포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진다. 종래 기술에서는 금속제품을 사용하여, 컨베이어 체인에 무리를 주게되는 문제점이 있어 많은 부품을 이송하기 어려웠으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는 무게가 가벼워 컨베이어 체인에 무리를 주지 않으면서도 열전도율이 낮아 겨울철이나 여름철 극한의 온도에서 부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포성 폴리프로필렌으로 이루어진 적재 받침대는 부품 이송을 위하여 또한 일정 강도 이상을 지녀, 부품을 많이 적재하여도 손상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발포 폴리프로필렌 재질의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는, 종래 알려진 기술을 이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원료발포 입자를 3~6bar의 공기로 압축한 상태로 4~12sec 충진하고, 금형내에 스팀 압력 2~4 bar하에서 20~50sec 동안 스팀을 통과시킨 후, 실온에서 150~300sec 동안 냉각시켜 발포 성형체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의 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 : 바닥부재 20: 적재부재
110: 바닥부 120: 테두리부
112: 가이드요부 122:위치결정홈
210: 적재판 211: 끼움요부
212: 끼움돌부 220: 적재벽
221:결합돌부 230: 걸림턱
30: 커버부재 310: 커버판
311: 끼움요부 320: 커버벽
312: 끼움돌부 330: 낙하방지턱

Claims (5)

  1. 사각형의 바닥부재(10)의 상부에 적재부재(20)가 결합되어지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10)는 기준면인 바닥부(110)의 테두리에 상기 바닥부(110)의 높이보다 높게 테두리부(120)가 형성되어지되, 상기 바닥부(110)의 내부 양측에는 가이드돌부(111)가 전후로 형성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돌부(111)와 테두리부(120)의 사이에 가이드요부(112)가 일체로 형성되어지며, 상기 테두리부(120)의 모서리에는 꺽쇠형태를 갖는 스토퍼(121)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적재부재(20)는 적재판(210)의 양측에 적재벽(2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고, 전,후방에 걸림턱(230)이 형성되며, 상기 적재판(210)의 저면 양측에는 끼움요부(2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요부(211)의 외측으로 끼움돌부(212)가 형성되며, 상기 적재벽(220)의 상부 내측에는 결합돌부(221)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20)는 다층으로 결합되어 최상부에 커버부재(30)가 결합되어지되, 상기 커버부재(30)는 커버판(310)의 양측 및 후방에 커버벽(320)이 상부로 각각 형성되고, 전방에 낙하방지턱(330)이 형성되어지며, 상기 커버판(310)의 저면 양측에는 끼움요부(311)가 형성되고, 상기 끼움요부(311)의 외측으로 끼움돌부(312)가 형성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10)의 가이드돌부(111), 적재부재(20)의 끼움돌부(212) 및 결합돌부(221)와 상기 커버부재(30)의 끼움돌부(312)는 외측으로 라운드지게 형성되어지고, 상기 바닥부재(10)의 테두리부(120) 가장자리에는 위치결정홈(12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재(10), 적재부재(20) 및 커버부재(30)는 경량의 발포폴리프로필렌(Expandable Polypropylene)으로 사출성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가 부품 이송을 위하여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KR1020100035214A 2010-04-16 2010-04-16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KR1009911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14A KR100991149B1 (ko) 2010-04-16 2010-04-16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5214A KR100991149B1 (ko) 2010-04-16 2010-04-16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1149B1 true KR100991149B1 (ko) 2010-11-01

Family

ID=434091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5214A KR100991149B1 (ko) 2010-04-16 2010-04-16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114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263679B (zh) * 2014-03-20 2017-05-17 金康石 组装式工具架
KR101794801B1 (ko) 2011-05-18 2017-11-07 부관흥 유골분을 유골결정체로 제조하기 위한 용융도가니판과 용융도가니판이 안착가능한 받침지그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31A (ja)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運搬容器
JP2007062764A (ja) 2005-08-30 2007-03-15 Jsp Corp 発泡樹脂製輸送容器
JP2008195411A (ja) 2007-02-09 2008-08-28 Sekisui Plastics Co Ltd 保冷容器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531A (ja) 2002-04-09 2003-10-21 Mitsubishi Plastics Ind Ltd 運搬容器
JP2007062764A (ja) 2005-08-30 2007-03-15 Jsp Corp 発泡樹脂製輸送容器
JP2008195411A (ja) 2007-02-09 2008-08-28 Sekisui Plastics Co Ltd 保冷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94801B1 (ko) 2011-05-18 2017-11-07 부관흥 유골분을 유골결정체로 제조하기 위한 용융도가니판과 용융도가니판이 안착가능한 받침지그
CN105263679B (zh) * 2014-03-20 2017-05-17 金康石 组装式工具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251460A (en) Cushioned package
US9180998B2 (en) Insulated pallet shipp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US6814287B1 (en) Pallet apparatus equipped with a radio frequency recognition module
JP2019505447A (ja) 輸送容器システムおよび輸送容器
MX2013010692A (es) Bandeja de tres niveles.
KR100991149B1 (ko) 기능성 다단계 적재 받침대
US20110174648A1 (en) Tool storage unit
CN209366903U (zh) 一种便于拆装的货物运输箱
JP6443863B2 (ja) 車の貨物エリア内の物品を固定するための装置
KR101681135B1 (ko) 저온 보관박스
JPH04114859A (ja) パレット及び該パレットを用いた梱包方法
EP1081055A3 (en) Stackable pallet for storing and transporting goods
US20060027586A1 (en) Freezer storage container with ventilation openings
KR200477825Y1 (ko) 육묘상자 운반함
CN212829768U (zh) 一种智能定位托盘结构
JP2017128378A (ja) 保冷・保温運搬容器
CN207089903U (zh) 一种九脚卡板托盘
JP3243353U (ja) 段ボール箱用のキャスタ
BE1021851B1 (nl) Klemsysteem voor verpakte voorwerpen
KR20180001486U (ko) 다단으로 수납이 가능한 운반트레이
JP2010052705A (ja) 熱可塑性樹脂成形体の構造
US20150166238A1 (en) Industrial container having removable dunnage
JP4188065B2 (ja) プラスチック棚
CN212501684U (zh) 一种稳固型塑料周转箱
JPH07148040A (ja) 組立式引出しボック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