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676B1 -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 Google Patents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676B1
KR100990676B1 KR1020080041582A KR20080041582A KR100990676B1 KR 100990676 B1 KR100990676 B1 KR 100990676B1 KR 1020080041582 A KR1020080041582 A KR 1020080041582A KR 20080041582 A KR20080041582 A KR 20080041582A KR 100990676 B1 KR100990676 B1 KR 1009906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eding
shaft
plate
vehicle body
bas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5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632A (ko
Inventor
황인성
Original Assignee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한성티앤아이 filed Critical (주)한성티앤아이
Priority to KR10200800415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6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63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6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6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12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 A01B39/18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for special purposes, e.g. for special culture for weed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9/00Other machines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9/20Tools; Details
    • A01B39/22Tools; Mounting too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측면 제초장치를 구성하는 측면제초부를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하고 측면제초부의 전방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신속히 접혀지도록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차체의 운전석 저부에 칼날이 설치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일측부나 양측부에 돌출 구비된 돌출판과, 상기 돌출판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측면제초부를 포함하는 측면 제초수단과, 상기 측면제초부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지게 하거나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체의 측부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작동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승용식, 측면 제초장치, 탄성 신축부, 쇼바

Description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Apparatus for side lawnmower a riding lawnmower}
본 발명은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 측면 제초장치를 구성하는 측면제초부를 용이하게 펼치거나 접을 수 있게 하고 측면제초부의 전방에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도 신속히 접혀지도록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초기는 과수원이나 초지 등에서, 제초작업을 하기 위한 기계로서 기계화가 되기 이전, 즉, 예전의 농법에서 풀을 베기 위한 수단으로 오로지 인력에 의한 낫이라는 농기구에 의존해 제초작업을 하였으므로, 작업에 많은 힘이 들고,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리며, 작업 효율이 떨어졌을 뿐만 아니라, 작업시 예리한 날에 손을 베이거나 심지어는 손가락이 잘리는 등의 인명사고가 빈번하게 발생하였다.
따라서, 최근에는 수동방식을 탈피한 회전식 제초기 또는 승용식 제초기가 알려져 있는데, 본 발명은 승용식 제초기를 개량한 것으로, 먼저 종래의 승용식 제초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종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용식 제초기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 제1 실시예의 제초기는, 엔진동력을 장착하여 운행되도록 하고, 차체(110) 저부에 제초를 위한 칼날(112)이 부착되게 이루어진 구조를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과거의 낫이나, 부착형태의 제초기 및 보행형의 제초기에 비해 힘을 들이지 않으면서 편하게 짧은 시간내에 많은 면적의 제초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제초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풀을 벨 수 있는 칼날의 폭이 차체의 폭과 거의 동일하게 되어 있음에 따라서, 과수원과 같은 곳에서 제초작업을 할 때에는 밑으로 처져있는 나뭇가지 때문에 승용식 제초기를 운전할 수 없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또한 낮게 처져있는 나뭇가지로 인해 운전자의 안면부 특히, 눈 등에 상해를 입을 위험성이 크기 때문에 더욱 더 제초작업에 제한을 받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출원 제2005-14776호의 "승용식 제초기의 측면 제초장치"(이하, "제2 실시예의 승용식 제초기"라 한다)를 출원한 바 있다.
종래 제2 실시예의 승용식 제초기는, 차체의 운전석 저부 중앙에 칼날(도시않됨)이 설치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차체의 양쪽 측방에는 힌지축을 기점으로 접히거나 펴지도록 회동가능하게 측면 제초장치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측면 제초장치는 힌지축에 의해 회동되게 결합된 측방프레임과; 체인에 의한 연결방식으로 중앙칼날과 연결되어 회전되도록 측방프레임 저부 가운데부위와 끝단에 설치된 측방칼날과; 일단은 차체에 결합되고, 타단을 측방프레임에 결합되게 설치된 작동실린더와; 측방프레임의 전면 측단부에 힌지핀으로 결합되고, 힌지핀을 기점으로 회동되어 위치 각도가 조절되게 결합된 감지브라켓과; 선단부는 감지브라켓에 고정되고, 후단부는 밸브와 연결되도록 설치되는 와이어와; 일단은 측방프레임에 고정되고 타단은 감지브라켓 하단부에 고정되어 감지브라켓에 반발력을 부여하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실시예의 승강식 제초기를 사용할 경우에는, 제초기의 차체 중앙부에 제초를 위한 칼날이 설치됨은 물론, 양쪽 측면에 별도의 측면 제초장치를 부착하되, 감지브라켓에 의해 나무에 접촉되는 순간에 측면 제초장치가 신속하게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고, 측면 제초장치가 나무를 지나침과 동시에 다시 양쪽측방으로 신속하게 복귀되도록 함으로써, 나무의 손상과 제초장치의 고장 및 파손을 예방함과 동시에, 나무의 둘레에 위치된 풀을 완벽하게 베어낼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즉 상기 감지브라켓은 힌지핀에 의해 결합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접촉이나 타격이 가해지게 되면, 힌지핀을 기점으로 각도 조절이 이루어지도록 결합된다. 그러므로 감지브라켓에는 와이어가 고정되게 설치되고, 와이어는 밸브를 개폐하도록 결합되며, 밸브의 개폐에 의해 작동실린더의 구동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승강식 제초기는, 측면 제초장치에 외력이 가해짐과 동시에 작동실린더가 신축될 수 있도록 유체를 공급 배출하는 밸브를 포함하는 유압장치를 필수적으로 구비해야 함으로써, 장치가 복잡함에 따라 승강식 제초기의 제조단가가 올라가는 문제점을 가지고 잇었다,
또한 밸브와 작동실린더의 사이에 구비된 유체라인이 외부로 노출되어 있음에 따라, 유체라인이 나무 또는 돌 등에 충돌되어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도 가지고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본 출원인 출원한 종래의 측면 제초장치를 개량한 것으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측면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측면제초부를 용이하게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측면제초부가 펼쳐진 상태로 제초를 하는 과정에서, 측면 제초장치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측면제초부가 신속히 접힐 수 있도록 하는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의 외측을 상승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또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를 차체의 측부에 견고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하는 또 다른 목적도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체의 운전석 저부에 칼날이 설치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의 일측부나 양측부에 돌출 구비된 돌출판과, 상기 돌출판에서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측면제초부를 포함하는 측면 제초수단과, 상기 측면제초부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펼쳐지게 하거나 힌지축을 중심으로 차체의 측부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작동수단과, 상기 측면 제초수단은 힌지축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비된 베이스판과 베이스판의 하부에 다수로 구비된 회전칼날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제초부와, 상기 차체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와, 상기 모터의 회전축과 회전칼날들에 구비된 회전축들을 상호 연결하여 각 회전칼날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과, 상기 작동수단은 상기 돌출판의 전방에 구비된 수직축과 수평축으로 구성된 절곡축과, 상기 수평축의 외측 하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고 둘레의 전,후방에는 2개의 단속홀이 형성된 브레이크판과,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어 브레이크 핸들이 구비된 돌출바와, 상기 수평축의 중간에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핸들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핸들의 조작을 통해 상기 2개의 단속홀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브레이크부와, 상기 베이스판의 후방 외측과 브레이크판의 후방에 신축되고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탄성 신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측면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측면제초부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측면 제초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초 작업중 측면 제초장치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질 경우에 측면제초부가 신속히 접힐 수 있도록 함으로써, 측면 제초장치의 손상을 최대로 줄일 수 있도록 하는 효과도 있다.
또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의 외측을 상승되게 함으로써, 제초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필요에 따라 측면 제초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를 차체의 측부에 견고하게 접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차체의 하부에 위치된 칼날만을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측면제초부가 펼쳐져 발생되는 측면 제초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제초장치가 장착된 승용식 제초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제초장치를 확대한 사시도이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제초장치는, 차체(1)의 운전석 저부에 칼날(11)이 설치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1)의 일측부나 양측부에 돌출 구비된 돌출판(12)과, 상기 돌출판(12)에서 힌지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측면제초부(31)를 포함하는 측면 제초수단(3)과, 상기 측면제초부(31)를 힌지축(2)을 중심으로 펼쳐지게 하거나 힌지축(2)을 중심으로 차체(1)의 측부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작동수단(4)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돌출판(12)과 측면 제초수단(3)은, 도면에서는 일측부에만 구비된 상태를 도시하였으나, 차체(1)의 양측부에 모두 장착할 수도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측면 제초수단(3)은, 힌지축(2)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비된 베이스판(311)과 베이스판(311)의 하부에 다수로 구비된 회전칼날(33)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제초부(31)와,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32)와,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회전칼날(33)들에 구비된 회전축들을 상호 연결하여 각 회전칼날(33)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34)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즉 상기 회전칼날(33)들에 구비된 회전축은 베이스판(311)의 상부로 돌출되어 동력 전달수단(34)을 통해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동력 전달수단(34)의 구체적 인 구성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3a는 돌출판과 측면제초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이에, 상기 작동수단(4)은, 상기 돌출판(12)의 전방에 구비된 수직축(411)과 수평축(412)으로 구성된 절곡축(41)과, 상기 수평축(412)의 외측 하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고 둘레의 전,후방에는 2개의 단속홀(421)이 형성된 브레이크판(42)과, 상기 베이스판(31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어 브레이크 핸들(431)이 구비된 돌출바(43)와, 상기 수평축(412)의 중간에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핸들(431)과 와이어(432)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핸들(431)의 조작을 통해 상기 2개의 단속홀(4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브레이크부(44)와, 상기 베이스판(311)의 후방 외측과 브레이크판(42)의 후방에 신축되고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탄성 신축부(45)를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요부로서, 상기 탄성 신축부(45)는, 양측 단부에 고정 회전축(452)이 구비된 쇼바(451)와, 양 고정 회전축(452)의 사이인 쇼바(451)의 외측에 구비되어 양 고정 회전축(452)의 사이를 항상 벌려주는 압축코일스프링(45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동력 전달수단(34)은, 상기 동력 전달수단(34)은,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연결된 주 풀리(341)와, 베이스판의 내측에 구비된 이중 풀리(342)와, 상기 각 회전칼날(33)의 회전축에 구비된 연동 풀리(343)와, 상기 주 풀리(341)와 이중 풀리(342)의 사이를 연결하는 주 밸트(344)와, 상기 이중 풀리(342)와 연동 풀리(343)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동 밸트(345)와, 상기 각 연동 풀리(343)의 사이에 구비되어 연동 밸트(345)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롤러(346)들을 포함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 연동 풀리(343)의 사이에는 연동 밸트(345)의 장력을 조정하여 밸트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장력 조정롤러(346)들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한편,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판(311)의 상부 전방에는 다수의 수직축(61)과 각 수직축(61)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축(62)으로 구성된 충돌부(6)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충돌부(6)는, 베이스판(311)과 베이스판(311)에 장착된 여러 구성품 들을 보호하는 것으로, 나뭇가지 또는 돌 등이 먼저 충돌되어 장치의 손상을 최소로 줄이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판(311)의 후방과 차체의 사이에는, 내측이 고정 힌지축(71)에 의해 고정되고 외측은 베이스판(311)에 회전 링크(72)로 고정된 보호커버(7)가 더 구비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보호커버(7)는 후판과 상판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작업자의 발이 베이스판(311)의 하부로 들어가는 것을 사전에 예방함으로써,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 및 도 3a,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44)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와이어(432)가 관통된 수직관(441)과, 수직관(441)에 삽입되어 상 단이 와이어(432)와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스프링(443)이 탄설되어 상기 브레이크판(42)에 형성된 2개의 단속홀(4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하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승강 단속축(442)을 포함하는 것이다.
즉 상기 승강 단속축(442)은 스프링(443)의 작용에 의해 승강되게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돌출판(12)과 차체(1)의 사이에는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외측이 경사져 상승될 수 있도록 종방향의 수평 힌지축(121)이 장착되어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돌출판(12)과 차체의 사이에는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외측을 상승되게 한 후 그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위치 유지수단(5)이 구비되어 있는 것이다.
즉 상기 위치 유지수단(5)은, 상기 돌출판(12)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중간 걸림홈(512)을 포함하는 수직장홀(511)이 형성된 수직 브라켓(51)과, 상기 차체(1)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장홀(511)의 상단이나 중간 걸림홈(512)에 삽입되는 단속롤러(521)를 포함하는 경사 돌출대(52)와, 상기 단속롤러(521)와 외판(312)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단속롤러(521)를 하부로 당겨주는 인장 스프링(53)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제초장치의 작동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의 작동관계를 설명함에 있어서, 측면 제초장치를 통해 제초작 업을 하는 과정과, 측면 제초장치를 통해 제초작업을 하는 도중에 제초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하는 과정과, 측면 제초장치를 차체에 완전히 접는 과정으로 나누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제초장치를 통해 제초작업을 진행할 경우에는, 베이스판(311)의 상부에 구비된 브레이크 핸들(431)을 조작하여 브레이크부(44)의 승강 단속축(442)을 상승시킨 다음 베이스판(311)을 힌지축(2)을 중심으로 하여 펼친다.
그러면 탄성 신축부(45)를 구성하는 쇼바(451)의 길이가 신장됨으로써 베이스판(311)이 펼친 상태를 유지한다.
그런 다음 브레이크 핸들(431)을 조작하여 승강 단속축(442)을 하강시키게 되면, 승강 단속축(442)이 브레이크판(42)의 둘레 전방에 위치된 단속홀(421)에 삽입된다. 그러므로 측면제초부(31)가 힌지축(2)을 중심으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다음, 상기와 같이 측면제초부(31)가 펼쳐진 상태에서 차체(1)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제초를 하는 과정에서, 측면제초부(31)의 전방으로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측면제초부(31)는 힌지축(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되는 작동을 한다.
왜냐하면 외부의 충돌로 인하여 측면제초부(31)의 외측이 후방으로 회전되면, 쇼바(451)가 압축되면서 브레이크판(42)을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브레이크판(42)의 전방 단속홀(421)에 삽입된 브레이크부(44)를 구성하는 승강 단속축(442)의 하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측면제초부(31)의 전방에서 외력이 가해지는 순간에 순간적으로 승강 단속축(442)이 상부에 탄설된 스프링(443)의 작용을 통해 상승되어 전방 단속홀(421)로부터 이탈되고, 이탈된 승강 단속축(442)은 브레이크판(42)의 상면을 눌러주게 된다.
그러므로 측면제초부(31)의 전방에 외력이 가해지게 되면, 측면제초부(31)는 힌지축(2)을 중심으로 후방으로 회전됨으로써, 측면제초부(31)를 포함하는 측면 제초수단(3)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측면제초부(31)가 후방으로 회전되었다가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경우에는, 다시 탄성 신축부(45)를 구성하는 스프링(443)의 탄발력으로 인하여 쇼바(451)가 신장됨으로써, 측면제초부(31)가 펼쳐진 상태에서 제초작업이 진행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판과 측면제초부를 외측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로서, 상술한 바와 같이 측면제초부(31)를 펼친 상태에서 제초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제초 작업을 일시적으로 중단할 경우에는 먼저 측면제초부(31)의 회전칼날(33)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시킨다.
다음 측면제초부(31)를 구성하는 베이스판(311)의 외측을 상부로 들어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외측을 상승시킨 상태에서, 돌출판(12)과 차체(1)의 사이에 구비된 위치 유지수단(5)을 구성하는 단속롤러(521)를 수직 브라켓(51)에 형성된 수직장홀(511)의 중간 걸림홈(512)에 삽입시킴으로써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경사 위치를 유지하는 것이다.
따라서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는 도중에 일시적으로 제초작업을 중단할 경 우에는, 상기와 같이 측면 제초장치의 외측을 상승되게 함으로써, 제초작업을 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필요에 따라 측면 제초장치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는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제초부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로서, 측면제초부(31)를 완전히 접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31)를 구성하는 베이스판(311)을 돌출판(12)와 베이스판(311)의 사이에 구비된 힌지축(2)을 중심으로 접는 과정만을 통해 측면 제초수단(3)을 용이하게 접을 수 있는 것이다.
즉 측면제초부(31)의 외측을 후방으로 회전시켜 접게 되면, 쇼바(451)가 압축되면서 브레이크판(42)을 전방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면 브레이크판(42)의 전방 단속홀(421)에 삽입된 브레이크부(44)를 구성하는 승강 단속축(442)의 하부가 반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음에 따라, 순간적으로 승강 단속축(442)이 상부에 탄설된 스프링(443)의 작용을 통해 승강 단속축(442)이 상승되어 전방 단속홀(421)로부터 이탈된 다음, 후방에 위치된 단속홀(421)로 삽입되는 과정을 통해 측면 제초수단(3)을 완전하게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동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측면제초부(31)를 접거나 펼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종래의 유압장치를 구비하지 않고 간단한 구조로 측면 제초장치를 제조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측면 제초장치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에는 측면제초부(31)를 차체의 측부에 견고하게 접을 수 있는 것이다. 그러므로 차체의 하부에 위치된 칼날만을 이용하여 제초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측면제초부(31)가 펼쳐져 발생되는 측면 제초장치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하는 장점도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 제초장치가 장착된 승용식 제초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 제초장치를 확대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요부를 확대한 것으로,
도 3a는 돌출판과 측면제초부를 확대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고,
도 3b는 동력 전달수단을 확대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며,
도 3c는 도 3a의 A-A선 단면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돌출판과 측면제초부를 외측을 상승시킨 상태를 나타낸 정면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측면제초부를 힌지축을 중심으로 접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 평면도.
도 6은 종래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승용식 제초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차체
11 : 칼날
12 : 돌출판
121 : 수평 힌지축
2 : 힌지축
3 : 측면 제초수단
31 : 측면제초부
311 : 베이스판
32 : 모터
33 : 회전칼날
34 : 동력 전달수단
341 : 주 풀리, 342 : 이중 풀리, 343 : 연동 풀리,
344 : 주 밸트, 345 : 연동 밸트, 346 : 장력 조정롤러
4 : 작동수단
41 : 절곡축
411 : 수직축, 412 : 수평축
42 : 브레이크판
421 : 단속홀
43 : 돌출바
431 : 브레이크 핸들, 432 : 와이어
44 : 브레이크부
441 : 수직관, 442 : 승강 단속축, 443 : 스프링
45 : 탄성 신축부
451 : 쇼바, 452 : 고정 회전축, 453 : 압축코일스프링
5 : 위치 유지수단
51 : 수직 브라켓
511 : 수직장홀, 512 : 중간 걸림홈
52 : 경사 돌출대
521 : 단속롤러
53 : 인장스프링
6 : 충돌부
61 : 수직축
62 : 수평축
7 : 보호커버
71 : 고정 힌지축
72 : 링크

Claims (10)

  1. 차체(1)의 운전석 저부에 칼날(11)이 설치된 승용식 제초기에 있어서,
    상기 차체(1)의 일측부나 양측부에 돌출 구비된 돌출판(12)과,
    상기 돌출판(12)에서 힌지축(2)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 측면제초부(31)를 포함하는 측면 제초수단(3)과,
    상기 측면제초부(31)를 힌지축(2)을 중심으로 펼쳐지게 하거나 힌지축(2)을 중심으로 차체(1)의 측부에 접힌 상태로 유지되게 하는 작동수단(4)과,
    상기 측면 제초수단(3)은 힌지축(2)에 의해 접히거나 펴질 수 있도록 구비된 베이스판(311)과 베이스판(311)의 하부에 다수로 구비된 회전칼날(33)을 포함하는 상기 측면제초부(31)와,
    상기 차체(1)의 하부에 구비된 모터(32)와,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회전칼날(33)들에 구비된 회전축들을 상호 연결하여 각 회전칼날(33)을 회전시키는 동력 전달수단(34)과,
    상기 작동수단(4)은 상기 돌출판(12)의 전방에 구비된 수직축(411)과 수평축(412)으로 구성된 절곡축(41)과,
    상기 수평축(412)의 외측 하부에 회전축을 통해 회전되게 구비되고 둘레의 전,후방에는 2개의 단속홀(421)이 형성된 브레이크판(42)과,
    상기 베이스판(311)의 전방 상부에 구비되어 브레이크 핸들(431)이 구비된 돌출바(43)와,
    상기 수평축(412)의 중간에 구비되고 상기 브레이크 핸들(431)과 와이어(432)로 연결되어 브레이크 핸들(431)의 조작을 통해 상기 2개의 단속홀(4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는 브레이크부(44)와,
    상기 베이스판(311)의 후방 외측과 브레이크판(42)의 후방에 신축되고 각도가 변경되게 구비된 탄성 신축부(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신축부(45)는,
    양측 단부에 고정 회전축(452)이 구비된 쇼바(451)와,
    양 고정 회전축(452)의 사이인 쇼바(451)의 외측에 구비되어 고정 회전축(452)의 사이를 항상 벌려주는 압축코일스프링(453)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크부(44)는,
    하부가 개방되고 상부에 와이어(432)가 관통된 수직관(441)과,
    수직관(441)에 삽입되어 상단이 와이어(432)와 연결되어 있고 상부에는 스프링(443)이 탄설되어 상기 2개의 단속홀(421)에 선택적으로 삽입되며 하단이 반구형으로 형성된 승강 단속축(44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 전달수단(34)은,
    상기 모터(32)의 회전축과 연결된 주 풀리(341)와,
    베이스판의 내측에 구비된 이중 풀리(342)와,
    상기 각 회전칼날(33)의 회전축에 구비된 연동 풀리(343)와,
    상기 주 풀리(341)와 이중 풀리(342)의 사이를 연결하는 주 밸트(344)와,
    상기 이중 풀리(342)와 연동 풀리(343)들을 상호 연결하는 연동 밸트(345)와,
    상기 각 연동 풀리(343)의 사이에 구비되어 연동 밸트(345)의 장력을 조정하는 장력 조정롤러(346)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판(12)과 차체(1)의 사이에는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외측이 경사져 상승될 수 있도록 종방향의 수평 힌지축(121)이 장착되어 있고,
    상기 돌출판(12)과 차체의 사이에는 돌출판(12)과 베이스판(311)의 외측을 상승되게 한 후 그 위치를 유지하게 하는 위치 유지수단(5)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유지수단(5)은,
    상기 돌출판(12)의 전방에 상부로 돌출되게 구비되어 있고 내부에는 중간 걸림홈(512)을 포함하는 수직장홀(511)이 형성된 수직 브라켓(51)과,
    상기 차체(1)의 측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직장홀(511)의 상단이나 중간 걸림홈(512)에 삽입되는 단속롤러(521)를 포함하는 경사 돌출대(52)와,
    상기 단속롤러(521)와 외판(312)의 전방 사이에 구비되어 단속롤러(521)를 하부로 당겨주는 인장 스프링(5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9. 제 1항, 제 4항, 제 5항, 제 6항 중 어느 한 항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11)의 상부 전방에는,
    다수의 수직축(61)과 각 수직축(61)을 상호 연결하는 수평축(62)으로 구성된 충돌부(6)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10.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311)의 후방과 차체의 사이에는,
    내측이 고정 힌지축(71)에 의해 고정되고 외측은 베이스판(311)에 회전 링크(72)로 고정된 보호커버(7)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KR1020080041582A 2008-05-02 2008-05-02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KR1009906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582A KR100990676B1 (ko) 2008-05-02 2008-05-02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582A KR100990676B1 (ko) 2008-05-02 2008-05-02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632A KR20090115632A (ko) 2009-11-05
KR100990676B1 true KR100990676B1 (ko) 2010-10-29

Family

ID=415567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582A KR100990676B1 (ko) 2008-05-02 2008-05-02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6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6990B1 (ko) * 2019-03-21 2021-04-30 윤원호 인도 청소기
KR102383908B1 (ko) * 2021-11-08 2022-04-08 한국도로공사 차량 장착용 장애물 회피형 삭초기
KR102447037B1 (ko) 2021-12-03 2022-10-27 오대영 과수원용 제초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103U (ko) 1980-07-31 1982-02-18
KR200393960Y1 (ko) * 2005-05-25 2005-08-31 (주)한성티앤아이 승용식 제초기의 측면 제초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103U (ko) 1980-07-31 1982-02-18
KR200393960Y1 (ko) * 2005-05-25 2005-08-31 (주)한성티앤아이 승용식 제초기의 측면 제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632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68598A1 (zh) 一种自动行走式园林修剪机
JP5419274B2 (ja) 草刈り作業機
KR100990676B1 (ko) 승용식 제초기용 측면 제초장치
KR20090088634A (ko) 수확용 크레인 및 이를 이용한 수확물의 수확 방법
CN107980341A (zh) 一种省力型人工菠萝收获机械
US4077190A (en) Grass trimmer
KR101784347B1 (ko) 팜열매 수확기
KR200381996Y1 (ko) 승용 관리기용 제초기
CN109105021A (zh) 一种道路枝叶快速清理装置
JP4677117B2 (ja) 草刈機
CN207460864U (zh) 割草机
KR101652964B1 (ko) 굴착기 장착용 식생제거장치
JP4938833B2 (ja) 草刈機
KR102246831B1 (ko) 자율회피기능을 가진 과수 보호 예초시스템
CN201393394Y (zh) 具有摆动装置的割灌机
CA2910723C (en) Three headed cutting apparatus for attachment to a lawnmower tractor
KR20100062348A (ko) 땅속작물 수확기
JP4171985B2 (ja) 自走型乗用草刈機
KR200393960Y1 (ko) 승용식 제초기의 측면 제초장치
CN219893944U (zh) 一种果树修整机
CN209527180U (zh) 一种割草机
CN109566590A (zh) 一种除草机
CN216982598U (zh) 一种避让式割草装置及割草机
JP4603142B2 (ja) 草刈機
CN113661835B (zh) 除草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01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