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90199B1 - 포말소화기 - Google Patents

포말소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90199B1
KR100990199B1 KR1020100018519A KR20100018519A KR100990199B1 KR 100990199 B1 KR100990199 B1 KR 100990199B1 KR 1020100018519 A KR1020100018519 A KR 1020100018519A KR 20100018519 A KR20100018519 A KR 20100018519A KR 100990199 B1 KR100990199 B1 KR 1009901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heat
filling space
space
fo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85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태원
Original Assignee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광주광역시 남구 filed Critical 광주광역시 남구
Priority to KR10201000185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9019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901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901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02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 A62C13/2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with pressure gas produced by chemicals with the chemicals in a single case, e.g. in a cartridg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5/00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 A62C5/02Making of fire-extinguishing materials immediately before use of foa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포말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면 구획된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차단막과; 차단막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본체에 형성되며 주변의 열에 의해 발화하는 발화제가 마련된 열전달부와;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에 각각 충진되고 상호 혼합되어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형성하는 제1 반응제와 제2 반응제를; 구비한다. 이러한 포말소화기에 의하면, 포말을 형성하여 진화하기 때문에 유류성화재의 진압시에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화재발생이 빈번한 지역에 비치해둠으로써 화재발생시 초기에 진화할 수 있고 불길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포말소화기{A formal fire extinguisher}
본 발명은 포말소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재 발생시 초기 진화 또는 불길의 번짐을 방지할 수 있는 포말소화기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소화기는 화재를 진압하기 위한 장비로서, 충전되는 소화 약제의 종류에 따라 분말소화기, 이산화탄소 소화기, 포말 소화기 및 할론 소화기 등 여러 종류의 소화기들이 있으며 이러한 소화기들은 통상 각 건물의 복도에 비치되어 화재의 발생시 소화기 내부에 충전된 소화 약제를 분사하여 소화작업을 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 소화기의 일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 20-0424474호에는 거품관창이 부착된 이동식 소형 포말 발생기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의 거품관창이 부착된 이동식 소형 포말 발생기는 계면활성제가 함유된 용기 내 액체가 압력에 의해 분출될 때 거품으로 방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휴대용으로 제작된 소형 용기나 휴대용 이동식소화기의 형태에 호스를 연결하고 호스의 끝은 다시 거품관창을 부착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그러나, 상기의 거품관창이 부착된 이동식 소형 포말 발생기는 사용자가 화재 현장으로 직접 들고 들어가 소화작업을 행해야하므로 사용자가 화상을 입는 등의 사고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또한, 조작방법이 번거로워 평소 조작법을 알지 못하거나, 화재 발생으로 당황하여 자칫 소화기를 조작하지 못하는 등의 문제점으로 초기의 진압이 가능한 화재가 대형화재로 번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형성하는 두 가지 이상의 반응제를 안정된 상태로 보관할 수 있고, 화재가 발생한 지점에 직접 접근하지 않고 소화작업을 할 수 있으며, 소화작업을 하기 위한 선행작업이 요구되지 않아 화재의 초기 진압을 가능케 하는 포말소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면 구획된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주변의 열에 의해 발화하는 발화제가 마련된 열전달부와,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에 각각 충진되고 상호 혼합되어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형성하는 제1 반응제와 제2 반응제를 구비한다.
상기 차단막은 발화지점에서 상기 본체보다 먼저 녹아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제1 반응제 및 상기 제2 반응제의 혼합속도의 증가를 위해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사행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외부 열을 흡수하고 외주면에 상기 발화제가 도포된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으로부터 상기 차단막을 관통해 연장되어 상기 차단막의 용융속도를 높이도록 열을 전달하는 로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에 의하면 집열판에 마련된 발화제를 통하여 로드에 열을 신속하게 전달함으로써 화재를 진압할 수 있고, 포말을 형성하여 진화하기 때문에 유류성 화재의 진압에 효과적이다.
또한, 화재발생이 빈번한 지역 또는 인적이 드문 지역에 비치해둠으로써 화재발생시 조기에 진화할 수 있고, 불길이 확장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의 제 1 실시 예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포말소화기의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본체 및 차단막에 열전달부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보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의 제 2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의 제 3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의 제 4 실시 예를 나타낸 부분절개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포말소화기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의 제 1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포말소화기(1)는 본체(10)와, 본체(10)를 구획하는 차단막(20)과, 차단막(20)에 열을 전달하는 열전달부(40)와, 본체(10)에 충진되는 제1, 제2 반응제(31, 32)를 구비한다.
본체(10)는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고 일측과 타측에 각각 내부공간으로 상기 제1, 제2 반응제(31, 32)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부(11)가 형성되어 있다.
본체(10)는 내부에서 제1, 제2 반응제(31, 32)가 혼합되어 화학반응에 의해 포말을 형성할 때 포말이 외부로 용이하게 배출될 수 있도록 부피가 팽창하는 포말에 의해 쉽게 찢어질 수 있는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10)에는 보관시 행거에 걸어둘 수 있도록 걸이홀(15)이 형성되어 있다.
걸이홀(15)을 통하여 화재발생이 빈번한 산이나 목재로 이루어진 문화재 등 소실의 위험이 있는 특정 지역에 방화선 구축을 위해 나무에 걸어두거나 묶어둠으로써 화재발생시 화재를 초기에 진화할 수 있게 하고, 불길이 퍼져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막(20)은 본체(10)의 내부공간을 제1, 제2 충진공간(10a, 10b)으로 구획하기 위한 것으로서 제1, 제2 반응제(31, 32)가 상호 혼합되지 않도록 제1, 제2 충진공간(10a, 10b)을 견고하게 구획할 수 있게 본체에 밀착되어 형성된다.
또한, 차단막(20)은 본체(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화재지점의 열기에 의해 본체(10) 내에서 차단막(20)이 분리 또는 용융되어 제1, 제2 반응제(31, 32)가 혼합된 후 포말의 부피팽창에 의해 본체(10)가 찢어질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만약, 본체(10)가 차단막(20)보다 먼저 열기에 의해 녹거나 터져버리는 경우에는 제1, 제2 반응제(31, 32)가 상호 화학반응이 이루어지지 못한 채로 외부로 배출되므로 포말의 발생량이 충분치 않게 되어 화재를 효과적으로 진화할 수 없게 된다.
열전달부(40)는 차단막(20)의 용융을 촉진시키기 위해 본체에 형성된 집열판(41)과, 집열판(41)의 표면에 도포되는 발화제(43)와, 집열판(41)으로부터 하방으로 차단막을 통해 연장되는 로드(42)를 포함한다.
집열판(41)은 얇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화재지점에서 열기를 용이하게 흡수할 수 있도록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재로 형성되며, 본체(10)의 표면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집열판의 면적을 확장하여 더 많은 열을 흡수하도록 하기 위해 집열판의 상면에는 요철을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3에서는 본체(10)의 상면에만 집열판(41)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와는 달리 본체(10)의 외주면을 따라 상, 하면과 양 측면에 차단막(20)과 접촉되도록 집열판(41)을 형성시킬 수도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집열판(41)의 저면에는 단열부재(41b)가 형성되어 있다.
단열부재(41b)는 본체(10)와 직접적으로 접촉되어 화재지점의 열기를 흡수한 집열판(41)에 의해 차단막(20)보다 집열판(41)과 접촉되는 본체(10)의 접촉 부분이 먼저 녹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열전달을 차단하는 물질이 코팅 또는 부착되어 있다.
한편, 단열부재(41b)는 집열판(41)의 저면이 본체와 직접 접촉되더라도 차단막이 본체(10)보다 먼저 용융되는 경우라면 생략될 수 있다.
발화제(43)는 일정 온도 이상의 열에 노출될 경우 발화하는 물질로서 화재 지점의 열에 의해 발화하여 집열판(41)을 가열시키도록 집열판(41)의 상면에 도포 되며, 붉은 인(적린), 염소산칼륨 등의 화학약품을 혼합하여 형성된다.
여기서, 발화제(43)의 발화과정에서 발생하는 화염 또는 불꽃이 집열판(41)과 인접하는 본체(10)를 직접 가열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집열판(41)의 상면에는 테두리부분을 따라 상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발화제(43)는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마찰열 또는 여름철 태양광선의 복사열에 의해 발화할 수 있으므로 평상시에는 표면에 백색의 종이 또는 얇은 비닐을 덮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드(42)는 집열판(41)과 동일한 재질의 금속으로 형성되고, 집열판(41)의 열을 차단막(20)에 전달하도록 차단막(20)을 따라 하방으로 연장되어 있다.
집열판(41)으로부터 흡수된 열은 차단막(20)으로 전달되므로 차단막(20)의 용융시간을 단축시켜 화재 지역에서 포말의 발생속도를 더욱 높일 수 있다.
한편,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집열판(41)과 로드(42)에는 집열판(41)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인입되어 로드(42)까지 연장된 삽입공간을 형성하고, 이 삽입공간에 발화제(43)를 투입함으로써 발화제(43)에서 발생하는 열을 로드(42)에 직접 전달하여 차단막(20)을 신속하게 녹이도록 할 수도 있다.
집열판(41)과 로드(42)는 열전도율이 높아야하므로 금, 은, 구리 등으로 형성시킬 수 있으나, 중량과 제조원가를 고려하여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재를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제2 충진공간(10a, 10b)에는 제1, 제2 반응제(31, 32)가 각각 충진되고, 본 실시 예에서는 제1, 제2 반응제(31, 32)로서 각각 황산알루미늄과 중탄산나트륨이 적용되었다.
한편, 제1, 제2 반응제(31, 32)는 황산알루미늄과 중탄산나트륨 같은 물질 이 외에도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발생시킬 수 있는 카세인, 젤라틴, 사포닌, 소다회와 같은 물질들이 적용될 수도 있다.
한편,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2)의 제 2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체(110)에는 복수개의 분할홈(17)들이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분할홈(17)들은 제1, 제2 반응제의 혼합과정에서 포말의 팽창에 의해 포말이 신속하게 외부로 배출될 수 있도록 본체(110)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깊이로 인입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3)의 제 3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차단막(220)은 본체(210)의 내부에서 사행형상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이 경우, 열전달부(240) 또한 차단막(220)이 형성되는 형태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어 있으며, 열전달부(240)로부터 전달되는 열에 의해 차단막(220)이 녹게 되면 제1, 제2 반응제(231, 232)는 상호 접촉면적이 증가하여 신속한 화학반응이 이루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포말의 형성 속도가 증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4)의 제 4 실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차단막(320)은 본체(310)의 내부공간을 제1 충진공간(310a), 제2 충진공간(310b), 제3 충진공간(310c), 제4 충진공간(310d)으로 구획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1, 제3 충진공간(310a, 310c)에는 제1 반응제(331)가 주입되고 제2, 제3 충진공간(310b, 310d)에는 제2 반응제(332)가 각각 주입된다.
또한, 각각의 충진공간(310a, 310b, 310c, 310d)에 제1, 제2 반응제(331, 332)를 주입할 수 있도록 주입구(311)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체(310)를 다수의 충진공간(310a, 310b, 310c, 310d)으로 형성시킴으로써 화재지점의 열이 본체(310)에 고르게 전달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열이 전달될 경우 열이 전달되는 부분만이라도 신속하게 포말이 형성되게 하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포말소화기는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2, 3, 4 : 포말소화기 10 : 본체
15 : 걸이홀 20 : 차단막
31 : 제1 반응제 32 : 제2 반응제
40 : 열전달부 41 : 집열판
41a : 돌출부 41b : 단열부재
42 : 로드 43 : 발화제

Claims (3)

  1. 삭제
  2.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면 구획된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주변의 열에 의해 발화하는 발화제가 마련된 열전달부와;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에 각각 충진되고 상호 혼합되어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형성하는 제1 반응제와 제2 반응제를; 구비하고,
    상기 차단막은 발화지점에서 상기 본체보다 먼저 녹아 상기 내부공간을 연통시킬 수 있도록 상기 본체보다 상대적으로 융점이 낮은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제1 반응제 및 상기 제2 반응제의 혼합속도의 증가를 위해 접촉면적이 증가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서 사행형상으로 연장되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소화기.
  3. 소정의 내부공간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내부공간을 제1 충진공간과 제2 충진공간으로 구획하고, 외부로부터 열이 전달되면 구획된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을 상호 연통시키는 차단막과;
    상기 차단막에 열을 전달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주변의 열에 의해 발화하는 발화제가 마련된 열전달부와;
    상기 제1 충진공간과 상기 제2 충진공간에 각각 충진되고 상호 혼합되어 화학반응을 통해 포말을 형성하는 제1 반응제와 제2 반응제를; 구비하고,
    상기 열전달부는 상기 본체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외부 열을 흡수하고 외주면에 상기 발화제가 도포된 집열판과, 상기 집열판으로부터 상기 차단막을 관통해 연장되어 상기 차단막의 용융속도를 높이도록 열을 전달하는 로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말소화기.
KR1020100018519A 2010-03-02 2010-03-02 포말소화기 KR1009901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19A KR100990199B1 (ko) 2010-03-02 2010-03-02 포말소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8519A KR100990199B1 (ko) 2010-03-02 2010-03-02 포말소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90199B1 true KR100990199B1 (ko) 2010-10-29

Family

ID=431358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8519A KR100990199B1 (ko) 2010-03-02 2010-03-02 포말소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9019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14A (ja) * 1997-06-12 1999-01-19 Kenmei Ko 消火弾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9714A (ja) * 1997-06-12 1999-01-19 Kenmei Ko 消火弾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153401B (zh) 基于充气机的灭火器
KR101899756B1 (ko) 자체 화재 진압 기능을 구비한 건축 패널
JP5846945B2 (ja) 防火構造体、および防火構造体の施工方法
JPS6055142B2 (ja) 消火器
JP5266172B2 (ja) エアロゾル消火装置
An et al. Suppression of sodium fires with liquid nitrogen
JP3160790U (ja) 防火区画体貫通部の防火構造
KR100990199B1 (ko) 포말소화기
JP2001037901A (ja) 消火器具
RU187022U1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монтажная коробка для электроустановочных изделий
CN106853277A (zh) 一种爆炸灭火器
KR20200119548A (ko) 금속화재용 소화장치
CN111840858B (zh) 一种基于森林火灾防控减灾技术的仿跳雷式阻燃装置
CN210728492U (zh) 一种新型降温灭火弹
RU2494780C1 (ru) Модуль пожаротушения тонкораспыленной огнетушащей жидкостью
CN110639141A (zh) 一种灭火装置和包括该灭火装置的自动灭火隔离带
KR100962714B1 (ko) 투척식 소화기
CN115300847B (zh) 灭火装置
KR20160053606A (ko) 방화용 조립식 패널
JPH089499Y2 (ja) 区画体における多条合成樹脂製管貫通部の防火措置構造
JP6675175B2 (ja) 火災抑制方法
CN212395660U (zh) 一种灭火装置和包括该灭火装置的自动灭火隔离带
JP4938359B2 (ja) 防火断熱パネル
CN215995437U (zh) 安全防护结构、热敏线组件及灭火装置
CN216761034U (zh) 一种可以抑制火情蔓延的建筑外墙保温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0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8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1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