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9841B1 -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 Google Patents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9841B1
KR100989841B1 KR20080001354A KR20080001354A KR100989841B1 KR 100989841 B1 KR100989841 B1 KR 100989841B1 KR 20080001354 A KR20080001354 A KR 20080001354A KR 20080001354 A KR20080001354 A KR 20080001354A KR 100989841 B1 KR100989841 B1 KR 100989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tab
lead terminal
positive electrode
negative electrode
second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80001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75483A (ko
Inventor
최범국
Original Assignee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080001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9841B1/ko
Priority to US12/275,371 priority patent/US9130221B2/en
Priority to CN2008101894082A priority patent/CN101478033B/zh
Publication of KR200900754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7548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9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9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28Fixed electrical connections, i.e. not intended for dis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4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03Contact member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e.g. plating, or coating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 H01R13/115U-shaped sockets having inwardly bent legs, e.g. spade ty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00/00Safety devices for primary or secondary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47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 H01M50/55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disposition of the terminals on the cells on the same side of the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5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553Terminals adapted for prismatic, pouch or rectangular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2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01M50/564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 H01M50/566Terminals characterised by their manufacturing process by welding, soldering or braz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극 탭과 리드 단자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외장재, 상기 외장재에 수용되며, 양극 탭이 연결되는 양극판, 음극 탭이 연결되는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제1 및 제2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및 상기 양극 탭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리드 단자 및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리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양극 탭 또는 상기 제2 리드 단자와 상기 음극 탭은 압착핀에 의해 연결되는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Figure R1020080001354
리드 단자, 전극 탭, 압착핀, 물리적 결합, 이차 전지

Description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Squeeze pi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차 전지에 관한 것으로, 전극 탭과 리드 단자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보호회로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휴대폰, 캠코더, PDA 등의 휴대용 전자/전기장치들이 활발히 개발 및 생산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경량화, 소형화, 편리한 이동성 등에 대한 사용자들의 요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러한 휴대용 전자/전기장치들은 별도의 전원이 구비되지 않은 장소에서도 작동할 수 있도록, 에너지 밀도가 높고, 재충전이 가능한 이차 전지를 내장하여 전원원으로 사용하고 있다.
따라서, 이차 전지는 전원 공급 시간, 사이즈, 무게 등의 요인으로 인하여 휴대용 전자/전기장치들의 휴대성과 이동성을 결정하는데 매우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이차 전지로는 니켈-아연 전지, 니켈-카드뮴 전지, 니켈-수소 전지, 리튬 이차 전지 등이 있는데, 작동 전압이 높고, 단위 중량당 에너지 밀도가 높은 리튬 이차 전지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리튬 이차 전지는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형성되는 외장재에 전극 조립체 및 전해액을 수용한 후, 외장재를 밀봉하여 형성된다.
이러한 리튬 이차 전지는 외장재의 형태에 따라 원통형, 각형 및 파우치형으로 분류되며, 전해액에 따라서 리튬 이온 전지, 리튬 폴리머 전지로 분류된다.
이차 전지는 과충전, 과방전, 과전류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인쇄회로기판에 보호회로가 실장된 보호회로기판을 구비한다.
파우치형 이차 전지는 양극판,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가 권취된 전극 조립체를 파우치형 외장재에 수용하고, 파우치형 외장재를 밀봉한 후, 보호회로기판과 연결되어 사용된다.
이때, 파우치 외장재의 일 측면의 외부로 돌출되며, 양극판과 연결되는 양극 탭 및 음극판과 연결되는 음극 탭이 보호회로기판의 대응되는 전기 단자와 연결되며, 통상 리드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연결된다.
일반적으로 리드 플레이트와 전극 탭을 연결하기 위하여 초음파 용접, 저항 용접, 레이저 용접 등의 방법이 이용되고 있다.
하지만, 레이저 용접의 경우에는 설비 가격이 비싸고 고가 부품 교체 등 설비 관리가 어려우며, 저항 용접의 경우에는 사용 범위가 좁고, 알루미늄 재질에는 적용하기 어려우며, 용접 후 용접 부위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초음파 용접은 품질 산포가 크며, 진동으로 인한 보호회로모듈에 손상을 줄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장재, 상기 외장재에 수용되며, 양극 탭이 연결되는 양극판, 음극 탭이 연결되는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제1 및 제2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및 상기 양극 탭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리드 단자 및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리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양극 탭 또는 상기 제2 리드 단자와 상기 음극 탭은 압착핀에 의해 연결되는 이차 전지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의 상기 압착핀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압착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 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단자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제2 리드 단자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공간부의 높이는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제2 리드 단자가 적층된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압착부는 감겨진 형상을 가지며, 감겨진 끝단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압착부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단자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제2 리드 단자의 양가장자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저가의 설비를 이용하여 리드 단자와 전극 탭의 결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단자 및 전극 탭에 직접 용접을 실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용접 시에 발생하는 보호회로모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전기적 안전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리드 단자 및 전극 탭의 재질에 상관없이 사용할 수 있어 재질에 따라 특정 용접이 실시되지 않아도 되므로, 작업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 효과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이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층 및 영역의 두께, 길이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으며, 명세서 전반에 걸쳐 동일한 참조번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며, 도1b 및 도1c는 도1a에 도시된 압착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1a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상부 외장재(110) 및 하부 외장재(120)로 이루어지는 외장재(100)에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한 후, 밀봉하여 베어 셀을 형성한다.
상부 외장재(110) 및 하부 외장재(120)는 일 가장자리면이 일체로 접합되어 있으며, 나머지 면들은 개방되어 전극 조립체(200)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부 외장재(110) 또는 하부 외장재(120) 중 어느 한 외장재에는 전극 조립 체(200)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부(121)가 프레스(press) 가공 등의 방법으로 형성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하부 외장재(120)에 실장부(121)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열융착하여 밀봉시킬 수 있는 밀폐면 역할을 하는 하부 실링부(122)가 수용부(121)를 따라 하부 외장재(1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며, 상부 외장재(110)는 하부 실링부(122)에 대응되는 상부 실링부(112)를 포함한다.
외장재(100)는 열융착성을 가져 실링재 역할을 하는 열융착층(101), 기계적 강도를 유지하며, 수분과 산소의 배리어층으로서의 역할을 하며,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금속층(102) 및 절연막(103)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진다.
외장재(100)는 금속층(102)의 일면에는 열융착층(101)이 형성되며, 열융착층(101)이 형성되는 반대면에 절연막(103)이 형성되어, 금속층(102)을 중심으로 열융착층(101)과 절연막(103)이 대면되도록 형성된다.
금속층(102)은 통상 알루미늄, 스틸, 스테인리스 스틸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열융착층(101)은 변성 폴리프로필렌(Casted ploypropylene) 또는 그 등가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막(103)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나일론 또는 그 등가물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그 재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전극 조립체(200)는 양극 활물질이 첨가된 양극용 슬러리가 도포된 양극 판(210), 음극 활물질이 첨가된 음극용 슬러리가 도포된 음극판(220) 및 양극판(210)과 음극판(220) 사이에 개재되어 이들을 전기적으로 절연시키는 세퍼레이터(230)를 적층 및 권취하여 형성된다.
양극판(210)은 알루미늄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양극 집전체에 양극용 슬러리가 도포되는 양극 활물질층과 양극용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양극 무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양극 무지부에는 일정 길이의 양극 탭(240)이 접합되며, 양극 탭(240)은 밀봉되는 외장재(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음극판(220)은 니켈 등의 재질로 이루어지는 음극 집전체에 음극용 슬러리가 도포되는 음극 활물질층과 음극용 슬러리가 도포되지 않은 음극 무지부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음극 무지부에는 일정 길이의 음극 탭(250)이 접합되며, 음극 탭(250)은 밀봉되는 외장재(100)의 일측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또한, 밀봉을 돕는 접착성 탭 테이프(260, 270)가 실링부(112, 122)와 겹쳐지는 양극 탭(240) 및 음극 탭(250)의 일부분을 감싸는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외장재(100)에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한 후, 밀봉하여 형성된 베어 셀 형태의 이차 전지는 일측에 충·방전 및 오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회로기판(300)을 구비한다.
보호회로기판(300)은 인쇄회로기판(310)의 일면에 양극 탭(240) 및 음극 탭(2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320, 330), 보호회로모 듈(340) 및 PTC(350) 등이 실장되어 형성된다.
또한, 일측에는 외부 연결 단자(미도시)가 형성되어, 전지를 결합하여 동작하는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제1 및 제2 접속 단자(320, 330)는 전도성이 높은 니켈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양극 탭(240) 및 음극 탭(250)과 직접 연결될 수 있으나, 통상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제1 및 제2 리드 단자(410, 420)를 구비하여 연결된다.
보호회로모듈(340)은 충·방전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보호 회로 및 전기 소자들로 이루어지며, 충방전 FET 소자, 퓨즈, 온도 센서, 제어부, 센서 저항 등을 포함할 수 있다.
PTC(350)는 온도가 특정 임계치를 넘으면 전기 저항이 거의 무한대로 상승하는 소자로, 전지가 이상 고온으로 될 때 충·방전 전류를 정지시키게 된다.
PTC(350)는 가역적인 동작을 하기 때문에, PTC가 작동하여 전류가 정지한 후 전지의 온도가 내려가면 PTC의 저항은 다시 작아져서 전지가 정상적으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제1 리드 단자(410) 및 제2 리드 단자(420)는 베어 셀 형태의 이차 전지와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리드 단자(410)는 일단이 보호회로기판(300)의 제1 접속 단자(32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양극 탭(240) 또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탭(240)과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 리드 단자(420)는 일단이 보호회로기판(300)의 제2 접속 단자(330)와 연 결되고, 다른 일단이 양극 탭(240) 또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제1 리드 단자(410)와 제2 리드 단자(420)는 동일한 전극 탭과 연결되지 않으며, 또한, 동일한 접속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다.
제1 및 제2 리드 단자(410, 420)와 제1 및 제2 접속 단자(320, 330)는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되며, 제1 및 제2 리드 단자(410, 420)와 양극 탭(240) 및 음극 탭(25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압착핀(510, 520)을 이용하여 물리적으로 결합되어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리드 단자(410)와 양극 탭(240) 또는 제2 리드 단자(420)와 음극 탭(250) 간의 재질에 따라 영향을 받지 않는다.
즉, 제1 리드 단자(410)와 양극 탭(240) 또는 제2 리드 단자(420)와 음극 탭(250)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압착핀(510, 520) 둘 다 구비되어 사용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제1 리드 단자(410)와 양극 탭(240)을 연결하기 위한 제1 압착핀(510)만 구비될 수 있으며, 제2 리드 단자(420)와 음극 탭(240)을 연결하기 위한 제2 압착핀(520)만 구비될 수도 있다.
압착핀(510, 520)은 리드 단자(410, 420)와 전극 탭(240, 250)을 서로 견고 하게 결합시키기 위해 사용되며, 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 등의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압착핀(510)의 재질을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단자(410, 420)와 전극 탭(240, 250)을 견고하게 결합시킬 수 있는 재질이면 사용이 가능하다.
도1b를 참조하면, 제1 압착핀(510)은 상술한 제1 리드 단자(410)와 같은 제1 기재와 상술한 양극 탭(240)과 같은 제2 기재를 압착하여 결합시키는 경우, 제1 리드 단자(410) 및 양극 탭(240)을 지지하기 위한 평판 형태의 지지부(511)를 포함한다.
또한, 제1 압착핀(510)은 지지부(511)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장되어 형성되며, 제1 리드 단자(410)와 양극 탭(240)을 가압 및 압착하기 위한 압착부(513) 및 지지부(511)와 압착부(513) 사이에 형성되며, 제1 리드 단자(410)와 양극 탭(240)이 적층되는 공간부(515)를 포함한다.
공간부(515)에는 양극 탭(240)과 제1 리드 단자(410)가 적층되어 위치하게 되므로, 공간부(515)의 높이(H)는 양극 탭(240)과 제1 리드 단자(410)가 적층된 두께와 같거나, 양극 탭(240)과 제1 리드 단자(410)가 적층된 두께보다 크게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압착핀(510)은 도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513)가 감겨진 형상을 가져, 감겨진 끝단이 공간부(515)에 위치하는 양극 탭(240) 또는 제1 리드 단자(410)와 접촉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압착핀(510′)은 도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압착부(513a)가 공간 부(515b)에 위치하는 양극 탭(240) 또는 제1 리드 단자(410)의 양가장자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덮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물론, 압착핀(510)의 형상을 본 실시예에서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1b 및 도1c는 제1 압착핀의 경우를 예를 들어 도시하고 있으나, 음극 탭(250) 및 제2 리드 단자(420)를 결합하는 제2 압착핀의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차 전지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에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튜빙, 라벨링이 더 실시될 수도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의 분리 사시도를 나타낸 것으로, 도1a의 이차 전지와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2를 참조하면, 이차 전지는 상부 외장재(110) 및 하부 외장재(120)로 이루어지는 외장재(100)에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한 후, 밀봉하여 베어 셀을 형성한다.
도2의 외장재(100) 및 전극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101 ~ 122, 210 ~ 270)는 도1a의 외장재(100) 및 전극 조립체(200)의 구성 요소(101 ~ 122, 210 ~ 27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외장재(100)에 전극 조립체(200)를 수용한 후, 밀봉하여 형성된 베어 셀 형태의 이차 전지는 일측에 충·방전 및 오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보호회로 기판(300´)을 구비한다.
도2의 보호회로기판(300)의 구성 요소(310 ~ 350) 역시 도1a의 보호회로기판(300)의 구성 요소(310 ~ 350)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구비되는 제1 및 제2 리드 단자(610, 620)는 베어 셀 형태의 이차 전지와 보호회로기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된다.
제1 리드 단자(610)는 일단이 보호회로기판(300)의 제1 접속 단자(32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양극 탭(240) 또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양극 탭(240)과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제2 리드 단자(620)는 일단이 보호회로기판(300)의 제2 접속 단자(330)와 연결되고, 다른 일단이 양극 탭(240) 또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며, 본 실시예에서는 음극 탭(250)과 연결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물론, 제1 리드 단자(610)와 제2 리드 단자(620)는 동일한 전극 탭과 연결되지 않으며, 또한, 동일한 접속 단자와 연결되지 않는다.
이때, 제1 리드 단자(610)는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611)와 연결부(611) 중 양극 탭(240)과 연결되는 일단의 끝부분이 연결부(611)의 장측 방향과 수직하게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힘부(613)로 이루어져, 전체 형상이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리드 단자(610)의 형상을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2 리드 단자(620)도 일 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는 연결부(621)와 연결 부(621) 중 음극 탭(250)과 연결되는 일단의 끝부분이 연결부(621)의 장측 방향과 수직하게 양쪽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접힘부(623)로 이루어져, 전체 형상이 'T'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리드 단자(620)의 형상을 본 실시예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및 제2 리드 단자 둘 다 본 실시예가 적용된 형상을 갖는 것으로 도시하고 있다.
하지만, 양극 탭(240)과 연결되는 제1 리드 단자(610)에만 적용될 수 있으며, 음극 탭(250)과 연결되는 제2 리드 단자(620)에만 적용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제1 및 제2 리드 단자(610, 620)는 제1 및 제2 접속 단자(320, 330)와 용접 등의 방법으로 접합된다.
도3a 내지 도3c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전극 탭과 리드 단자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양극 탭과 양극 탭에 연결되는 제1 리드 단자의 연결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음극 탭과 음극 탭에 연결되는 제2 리드 단자의 연결 구조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따라서, 음극 탭과 음극 탭에 연결되는 제2 리드 단자의 연결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은 도시하지 않기로 한다.
도3a는 양극 탭이 제1 리드 단자의 연결부에 겹쳐진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3b는 도3a의 제1 리드 단자의 접힘부가 접혀져 압착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도3c는 도3b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3a 내지 도3c를 참조하면, 제1 리드 단자(610)와 양극 탭(240)은 양극 탭(240)이 제1 리드 단자(610)의 연결부(611)에 적층된 상태에서 연결부(611) 양측에 위치하는 접힘부(613)가 양극 탭(240)이 적층된 방향으로 접혀지고 압착되어 제1 리드 단자(610)와 양극 탭(240)이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로 연결된다.
압착된 상태는 도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힘부(613)가 양극 탭(240)의 양 가장자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덮는 형상일 수 있으나, 본 실시예에서 이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마찬가지로, 제2 리드 단자(620)와 음극 탭(250)은 음극 탭(250)이 제2 리드 단자(620)의 연결부(621)에 적층된 상태에서 연결부(621) 양측에 위치하는 접힘부(623)가 양극 탭(250)이 적층된 방향으로 접혀지고 압착되어 제2 리드 단자(620)와 음극 탭(250)이 견고하게 접촉된 상태로 연결된다.
압착된 접힘부(613, 623)의 형상은 압착하는 방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 리드 단자(610, 620)의 접힘부(613, 623)가 양극 탭 및 음극탭(240, 250)이 삽입될 수 있을 정도로 접혀진 상태에서 양극 탭(240) 또는 음극 탭(250)이 겹쳐진 후 접힘부(613, 623)를 압착해서 견고하게 접촉시키는 방법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리드 단자(610, 620)와 양극 탭 및 음극 탭(240, 250)은 용접이 아니라, 물리적으로 전기적 연결이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이 물리적으로 연결이 이루어지는 경우, 제1 리드 단자(610)와 양극 탭(240) 또는 제2 리드 단자(620)와 음극 탭(250) 간의 재질에 따라 영향을 받 지 않는다.
즉, 제1 리드 단자(610)와 양극 탭(240) 또는 제2 리드 단자(620)와 음극 탭(250)은 서로 동일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상이한 재질로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형성된 이차 전지는 외관을 보호하기 위해 외측에 외부 케이스를 더 구비할 수 있으며, 튜빙, 라벨링이 더 실시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도1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1b 및 도1c는 도1a에 도시된 압착핀의 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이차 전지를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다.
도3a는 도2의 양극 탭이 제1 리드 단자의 연결부에 적층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b는 도3a의 제1 리드 단자의 접힘부가 접혀져 압축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3c는 도3b의 A-A´선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외장재 110 : 상부 외장재
112 : 상부 실링부 120 : 하부 외장재
121 : 실장부 122 : 하부 실링부
200 : 전극 조립체 210 : 양극판
220 : 음극판 230 : 세퍼레이터
240 : 양극 탭 250 : 음극 탭
260, 270 : 탭 테이프 300 : 보호회로기판
310 : 인쇄회로기판 320 : 제1 접속 단자
330 : 제2 접속 단자 340 : 보호회로모듈
350 : PTC 410, 610 : 제1 리드 단자
420, 620 : 제2 리드 단자 510, 510′: 제1 압착핀
511 : 지지부 513, 513a : 압착부
515, 515a : 공간부 611, 621 : 연결부
613, 623 : 접힘부 520 : 제2 압착핀

Claims (27)

  1. 평판 형태의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압착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간부 내에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기재 및 제2 기재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핀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핀.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높이는 상기 제1 기재 및 상기 제2 기재의 적층된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핀.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감겨진 형상을 가지며, 감겨진 끝단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핀.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제1 기재 또는 상기 제2 기재의 양가장자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착핀.
  7. 외장재;
    상기 외장재에 수용되며, 양극 탭이 연결되는 양극판, 음극 탭이 연결되는 음극판 및 세퍼레이터로 이루어지는 전극 조립체;
    제1 및 제2 접속 단자를 구비하는 보호회로기판; 및
    상기 양극 탭과 상기 제1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1 리드 단자 및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제2 접속 단자를 연결하는 제2 리드 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양극 탭 또는 상기 제2 리드 단자와 상기 음극 탭은 압착핀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압착핀은 지지부; 상기 지지부의 양끝단으로부터 연장되는 압착부; 및 상기 지지부와 상기 압착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8. 삭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양극 탭 또는 상기 제2 리드 단자와 상기 음극 탭은 서로 재질이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0.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드 단자와 상기 양극 탭 또는 상기 제2 리드 단자와 상기 음극 탭은 서로 재질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 탭 및 상기 음극 탭의 일부분에는 탭 테이프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2.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핀은 금속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3. 삭제
  14.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 내에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단자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상기 제2 리드 단자가 적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5.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부의 높이는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단자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제2 리드 단자가 적층된 두께와 동일하거나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6.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감겨진 형상을 가지며, 감겨진 끝단이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7.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부는 상기 공간부에 위치하는 상기 양극 탭과 제1 리드 단자 또는 상기 음극 탭과 제2 리드 단자의 양가장자리를 포함한 일정 영역을 덮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이차 전지는 외부 케이스, 라벨링 또는 튜빙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차 전지.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KR20080001354A 2008-01-04 2008-01-04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989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354A KR100989841B1 (ko) 2008-01-04 2008-01-04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US12/275,371 US9130221B2 (en) 2008-01-04 2008-11-21 Squeeze pin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CN2008101894082A CN101478033B (zh) 2008-01-04 2008-12-24 压销和使用该压销的二次电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80001354A KR100989841B1 (ko) 2008-01-04 2008-01-04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6800A Division KR100989839B1 (ko) 2009-11-30 2009-11-30 이차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75483A KR20090075483A (ko) 2009-07-08
KR100989841B1 true KR100989841B1 (ko) 2010-10-29

Family

ID=408386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80001354A KR100989841B1 (ko) 2008-01-04 2008-01-04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130221B2 (ko)
KR (1) KR100989841B1 (ko)
CN (1) CN10147803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59872B1 (ko) * 2008-01-04 2010-05-2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보호회로기판,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0995444B1 (ko) * 2008-10-08 2010-11-1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KR101367751B1 (ko) * 2009-09-28 2014-02-26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 전지 및 그 제조 방법
KR101107082B1 (ko) 2009-11-24 2012-01-20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EP2328210B1 (en) * 2009-11-25 2014-07-30 Samsung SDI Co., Ltd. A protection circuit module for a secondary battery
US9077027B2 (en) * 2010-03-04 2015-07-07 Samsung Sdi Co., Ltd. Electrode assembly and secondary battery using the same
KR101122811B1 (ko) * 2010-06-17 2012-03-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의 전극탭 연결구조 및 이를 이용한 이차전지
KR101127615B1 (ko) * 2010-07-19 2012-07-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배터리 팩
JP5632225B2 (ja) * 2010-07-30 2014-11-26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接続構造
JP6095120B2 (ja) * 2011-08-31 2017-03-15 Necエナジーデバイス株式会社 リチウムイオン二次電池
US9005786B2 (en) * 2011-10-21 2015-04-14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Integrated cell voltage sense line fusing
JP6892216B2 (ja) * 2014-10-24 2021-06-23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蓄電体
CN107591565B (zh) * 2016-07-06 2024-03-19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二次电池
DE102017213297A1 (de) * 2017-08-01 2019-02-07 Robert Bosch Gmbh Batteriezelle mit speziell angebundenem Ableiterelement sowie Verfahren zum Fertigen einer Batteriezelle
KR20230048764A (ko) * 2021-10-05 2023-04-1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전지
CN114824593A (zh) * 2022-05-25 2022-07-29 东莞新能德科技有限公司 电化学装置以及用电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43B1 (ko) * 2005-07-07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0298B2 (ja) 1994-11-29 1998-05-2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端子付電池および回路基板
KR19990000974A (ko) 1997-06-11 1999-01-15 손욱 니켈 수소 전지의 제조방법
JP3674769B2 (ja) * 2000-10-18 2005-07-20 ソニー株式会社 電気的な接続装置、電気的な接続装置を有する電池、および電池を有する電子機器
JP2002313311A (ja) 2001-04-11 2002-10-25 Ngk Spark Plug Co Ltd リチウム二次電池
KR100530156B1 (ko) 2003-10-16 2005-11-21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전지
KR100561284B1 (ko) * 2003-12-26 2006-03-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US7772484B2 (en) 2004-06-01 2010-08-10 Konarka Technologies, Inc. Photovoltaic module architecture
KR100571270B1 (ko) 2004-09-24 2006-04-13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78702B1 (ko) 2005-11-30 2009-01-14 주식회사 엘지화학 이차전지용 안전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지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35743B1 (ko) * 2005-07-07 2006-10-17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78033A (zh) 2009-07-08
US20090176155A1 (en) 2009-07-09
KR20090075483A (ko) 2009-07-08
CN101478033B (zh) 2012-05-09
US9130221B2 (en) 2015-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9841B1 (ko) 압착핀 및 이를 구비하는 이차 전지
KR100891383B1 (ko) 파우치형 이차 전지
KR100496305B1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와 이의 제조 방법
US8945764B2 (en) Battery pack of large capacity
US8936860B2 (en) Battery pack with reinforcing member
KR100889624B1 (ko) 배터리 팩
US8802278B2 (en) Rechargeable battery
WO2001069699A1 (fr) Cellule secondaire et procede de fixation des fils correspondant, et alimentation electrique du type batterie
KR20040054128A (ko) 파우치형 리튬 이차 전지
KR100867922B1 (ko) 배터리 팩
KR20120097312A (ko) 파우치 타입 배터리 및 그 제조 방법
KR101146465B1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080096165A (ko) 파우치형 이차전지 및 그 제조 방법
US20160268649A1 (en) Battery pack
KR101318531B1 (ko) 이차전지
KR20140094205A (ko) 이차 전지
US9240618B2 (en) Rechargeable battery and battery module
JP4923379B2 (ja) 二次電池および電池パック
KR102179687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989839B1 (ko) 이차 전지
KR101156331B1 (ko) 전극 조립체, 상기 전극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 및 상기 전극 조립체를 포함하는 이차전지
KR100580767B1 (ko) 파우치형 리튬이온 폴리머전지
US20160268650A1 (en) Battery pack
KR102637306B1 (ko) 배터리 팩 및 이의 제조방법
EP4258461A1 (en) Pouch-type secondary batter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2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2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2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001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