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875B1 -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 Google Patents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875B1
KR100988875B1 KR1020100044980A KR20100044980A KR100988875B1 KR 100988875 B1 KR100988875 B1 KR 100988875B1 KR 1020100044980 A KR1020100044980 A KR 1020100044980A KR 20100044980 A KR20100044980 A KR 20100044980A KR 100988875 B1 KR100988875 B1 KR 100988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waste
wire
sensing rod
melting furn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49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선아
김우현
윤진한
김수연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000449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8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4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dip members, e.g. dip-sti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2/00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 B22D2/003Arrangement of indicating or measuring devices, e.g. for temperature or viscosity of the fused mass for the level of the molten met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F27D99/0001Heating elements or system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07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for discrete indicating and measu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Gasification And Melting Of Wast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는, 샤프트 타입 가스화 용융로 내의 폐기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용융로 내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된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폐기물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융로 내에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봉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상기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본체; 및 상기 센서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며, 용융로 내의 폐기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용융되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하강하는 폐기물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융로 내에서 발생되는 타르가 와이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감지봉의 상하이동을 위한 와이어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Description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Level sensor for waste in melting furnace}
본 발명은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로서, 고온의 용융로 내 폐기물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감지봉의 상하이동을 위한 와이어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용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용융로는 상부에서 폐기물을 투입하면 가장 온도가 높은 용융대까지 가는 동안 처음에 건조 예열, 열분해 가스화, 연소 용융의 단계를 거쳐 최종적으로 완전히 용융된 슬래그를 배출하는 형태의 반응기다.
여타 모든 소각로나 연소로들이 그렇듯이 반응기 내부는 고온으로 인하여 눈으로 확인이 힘든 한계점이 있다.
샤프트 타입의 경우 반응기 내부에서 용융이 잘 이루어지는지를 알기 위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폐기물이 용융되면서 부피가 줄어들어 아래쪽으로 하강이 이루어지는지 확인하도록 내부의 폐기물 레벨을 측정해야 하며, 이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고온의 용융로 내 폐기물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고, 감지봉의 상하이동을 위한 와이어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제공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는, 샤프트 타입 가스화 용융로 내의 폐기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용융로 내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된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폐기물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용융로 내에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봉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상기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본체; 및 상기 센서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콘트롤 박스;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상기 센서본체는, 상기 감지봉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봉의 이동으로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부;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에 상기 감지봉이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풀림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측정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로타리 인코더; 및 상기 감지봉이 상사점과 하한점에 위치시 각각 센싱하는 상부센서과 하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로타리 인코더의 펄스와 상기 센서의 센싱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도출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로터리 인코더의 축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 풀리; 및 두 개의 상기 타이밍 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감긴 타이밍 벨트;를 포함한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측정부는, 내부에 상기 드럼이 배치된 하우징;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을 가진 센서터치 브라켓;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 연장되어 배치고정되며,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에 연결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드럼에 감겨서 팽팽함에 따라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하측으로 이동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장착된 하부센서에 센싱되고, 상기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려서 상기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에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상측으로 이동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상부센서에 센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더하여,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의 상하부에서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된 상부터치볼트와 하부터치볼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전열선이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전열선은 칸탈선(Kanthal wire)인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와이어는 내열성 고분자로 코팅된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으로서, 상기 와이어는 외면에 내열성 고분자 섬유가 감싸진 것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감지봉은 상기 용융로의 중심에 한 개, 둘레에 적어도 네 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용융로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감지봉까지 이어진 상기 와이어가 내부에 배치된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용융로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튜브의 일측에 감싸면서 형성된 플랜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박스는, 측정시작과 중지, 및 상기 감지봉의 수동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는, 용융로 내의 폐기물이 시간이 지나면서 용융되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하강하는 폐기물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으며, 와이어가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융로 내에서 발생되는 타르가 와이어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감지봉의 상하이동을 위한 와이어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도 1은 폐기물이 투입되는 용융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다른 각도에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에서 센서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에서 와이어로 연결된 감지봉이 용융로 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이다.
도 8은 도 7의 와이어를 확대하여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본 발명은 샤프트 타입 가스화 용융로 내의 폐기물 레벨을 측정하기 위해, 용융로 내에 상하이동되도록 설치된 감지봉이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폐기물의 레벨이 감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에서 센서본체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는 용융로(1) 내에 배치되는 감지봉(20), 상기 감지봉(20)과 연결된 센서본체(40), 및 상기 센서본체(40)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콘트롤 박스(80)를 포함한다.
상기 감지봉(20)은 용융로(1) 내에 배치되어 용융로(1) 내의 폐기물(2)의 레벨, 즉 높이와 같은 위치정보를 구하기 위해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은 감지봉(20)의 상하이동에 따른 폐기물(2)의 레벨의 측정이 이루어지도록, 감지봉(20)은 센서본체(40)와 연결된다.
상기 센서본체(40)는 감지봉(20)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봉(20)을 상하이동시키면서 감지봉(20)이 폐기물(2)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폐기물(2)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센서본체(40)는 감지봉(20)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봉(20)의 이동으로 폐기물(2)의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부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에 감지봉(20)이 연결된 와이어(42), 상기 와이어(42)가 감기는 드럼(44), 및 상기 드럼(44)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46)를 구비한다.
상기 드럼(44)은 와이어(42)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와이어(42)가 권취 또는 풀림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구동모터(46)는 이러한 드럼(44)을 회전시키도록 드럼(44)과 연결되어 회전구동력을 제공한다. 이때, 구동모터(46)는 후술하는 하우징(61)에 체결되는데, 그 체결부위에는 구동모터 가스켓(46a)이 이물질의 유입방지를 위해 장착된다.
한편, 상기 측정부는 구동모터(46)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로타리 인코더(62), 및 상기 감지봉(20)이 상사점과 하한점에 위치시 각각 센싱하는 상부센서(63)와 하부센서(64)를 구비한다.
상기 로타리 인코더(62)(rotary encorder)는 구동모터(46) 및 드럼(44)과 동일한 회전을 하며, 회전각도에 따라 일정한 펄스를 발생시킨다. 이때, 로타리 인코더(62)는 후술하는 하우징(61)에 체결되는데, 그 체결부위에는 인코더 가스켓(62a)이 이물질의 유입방지를 위해 장착된다.
또한, 상기 상부센서(63)와 하부센서(64)는 감지봉(20)이 상하 이동됨에 따라 센싱하도록 구성되며, 이때, 상부센서(63)와 하부센서(64)의 구체적인 위치 및 센싱과정은 후술하기로 한다.
그리고, 상기 콘트롤 박스(80)는, 센서본체(40)와 전기적으로 연계되는 구조를 이루면, 로타리 인코더(62)의 펄스와 센서의 센싱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상기 폐기물(2)의 레벨을 도출하는 연산부(미도시)를 구비한다.
아울러, 콘트롤 박스(80)는, 측정시작과 중지, 및 상기 감지봉(20)의 수동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82)와, 상기 폐기물(2)의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84)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구동부는 구동모터(46)의 축과 로터리 인코더의 축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 풀리(48), 및 두 개의 상기 타이밍 풀리(48)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감긴 타이밍 벨트(49)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타이밍 풀리(48)와 타이밍 벨트(49)는 구동모터(46)와 로타리 엔코터를 동일한 회전속도를 이룰 수 있도록 연결하는 구조를 취한다.
그러면, 상기 측정부의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봄과 동시에 측정하는 과정도 알아보기로 하자.
상기 측정부는 내부에 상기 드럼(44)이 배치된 하우징(61)과, 상기 하우징(61) 내에 설치된 센서터치 브라켓(65), 가이드부재(66), 및 스프링부재(67)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61)은 바람직하게 육각면체 형상을 취하며, 일면이 개구되고 이와 같이 개구된 면에 덮개가 탈착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하우징(61)으로부터 연통된 튜브(70)와 상기 튜브(70)에 형성된 플랜지(70a)를 더 포함할 수 있는데, 상기 튜브(70)는 하우징(61)으로부터 연통되어 용융로(1)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드럼(44)으로부터 감지봉(20)까지 이어진 와이어(42)가 내부에 배치된 구조를 이룬다. 아울러, 상기 플랜지(70a)는 튜브(70)를 상기 용융로(1)에 체결시키도록, 튜브(70)의 일측에 감싸면서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65)은 와이어(42)가 통과하는 와이어(42)홀을 가진다. 이러한 센서터치 브라켓(65)은 와이어(42)의 상하위치에 따라 이와 대응되게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에서, 센서터치 브라켓(65)의 상부에는 상부센서(63)와 대응되는 위치, 즉 하방 대응되는 지점에 장착된 상부터치볼트(65a)가 구성되고, 하부에는 하부센서(64)와 대응되는 위치, 즉 상방 대응되는 지점에 장착된 하부터치볼트(65b)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재(66)는 하우징(61) 내에 상하방향 배치고정되며, 센서터치 브라켓(65)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다.
즉, 가이드부재(66)는 바람직하게 상하방향 연장되어 하우징(61)의 상면과 하면에 연결고정된 두 개의 원형바로서, 센서터치 브라켓(65)은 이러한 가이드부재(66)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상하이동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스프링부재(67)는 상단부가 하우징(61)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센서터치 브라켓(65)에 연결된다. 이때, 스프링부재(67)의 상단부는 하우징(61)의 상면에 설치된 스프링 브라켓(68)에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센서터치 브라켓(65)은 와이어(42)에 의해 하측으로 이동되더라도, 외력인 상기 와이어(42)의 압박력이 없으면 스프링부재(67)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상측으로 다시 올라간다.
하우징(61) 내의 구성요소들이 상기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와이어(42)가 드럼(44)에 감겨서 팽팽함에 따라 센서터치 브라켓(65)이 하측으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센서터치 브라켓(65)에 장착된 하부터치볼트(65b)가 하우징(61)의 하면에 장착된 근접센서인 하부센서(64)에 근접되어 센싱된다.
이와 반대로, 상기 드럼(44)에 감긴 와이어(42)가 풀려서 감지봉(20)이 폐기물(2)에 안착되어 와이어(42)에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스프링부재(67)에 의해 센서터치 브라켓(65)이 상측으로 이동 위치되며, 이에 따라 센서터치 브라켓(65)에 장착된 상부터치볼트(65a)가 하우징(61)의 상면에 장착된 근접센서인 상부센서(63)에 근접되어 센싱된다.
여기에서, 구동모터(46), 드럼(44), 로터리 인코더는 타이밍 풀리(48)와 타이밍 벨트(49)에 의해 동일한 회전수로 운동하고, 로터리 인코더가 1회전에 일정한 횟수의 펄스를 발생함에 따라, 드럼(44)의 외경을 이용하여 하기의 예와 같이 로터리 인코더의 1펄스의 거리가 계산될 수 있다.
예) 로터리 인코더의 1회전 펄스 발생수 : 100회, 드럼(44)의 외경 : 100mm
1펄스의 거리 = 100mm(외경)×π(3.14)×100(로터리 인코더 1회전 펄스 발생수) = 3.14mm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계산된 값이 콘트롤 박스(80)의 연산부의 파라메타에 입력되면, 측정시작에서 종료까지 로타리 인코더(62)에서 발생한 펄스값에 따라 측정거리, 즉 폐기물(2)의 레벨을 연산하게 된다.
그리고, 연산부에 의해 측정된 측정거리는, 연산부 내의 시퀀스 회로에 의하여 측정시작 명령이 있는 경우 'ㅇ'으로 리셋되면서 다시 새롭게 측정이 시작된다.
한편, 도 7은 도 2의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에서 와이어로 연결된 감지봉이 용융로 내에 배치된 것을 나타낸 도인데,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봉(20)은 용융로(1)의 중심에 한 개, 둘레에 적어도 네 개가 배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다섯 개의 감지봉(20)에서 측정된 각각의 레벨을 이용하여 3차원 시뮬레이션을 통한 적분으로 평균 레벨을 도출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은, 용융로(1) 내의 폐기물(2)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용융되어 부피가 줄어듦에 따라 내려가는 폐기물(2)의 레벨을 효과적으로 측정할 수 있다.
도 8은 도 7의 와이어를 확대하여 나타낸 내부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와이어(42)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전열선(42a)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전열선(42a)은 칸탈선(Kanthal wire)이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와이어(42)는 내열성 고분자(42b)로 코팅된 것이며, 대안으로서 와이어(42)의 권선 및 풀림을 원활하게 하기 위해 와이어(42)는 외면에 내열성 고분자 섬유가 감싸져 형성될 수 있다.
여기에서, 상기 내열성 고분자(42b)는 기계적·전기적 성질 등 여러 성질을 고온에서도 유지할 수 있는 고분자 물질이다.
일례로서, 무기고분자·킬레이트 고분자·내열성 단위를 가지는 유기고분자 등이 이에 속한다. 일반적으로 유기고분자에서는 전공액계 고분자가 열적으로 안정하다. 그러나 이들 고분자는 용매에 잘 녹지 않는다. 내열성 단위로서는 분자 사이 힘이 큰 요소 ·아미드 결합 등이 대표적인 것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녹는점 Tm은 융해에 있어서 엔탈피의 변화 ΔH 및 엔트로피의 변화 ΔS와 다음 관계를 가진다. Tm = ΔH /ΔS
아울러, 상기 내열성 고분자 섬유는 내열성 고분자(42b)가 섬유 형상으로 취한 것을 이른다.
이와 같이 와이어(42)가 고온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됨으로써, 용융로(1) 내에서 발생되는 타르가 와이어(42)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하며, 이를 통해 감지봉(20)의 상하이동을 위한 와이어(42) 움직임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가능함은 물론이다.
20 : 감지봉 40 : 센서본체
42 : 와이어 42a : 전열선
42b : 내열성 고분자 44 : 드럼
46 : 구동모터 48 : 타이밍 풀리
49 : 타이밍 벨트 61 : 하우징
62 : 로타리 인코더 63 : 상부센서
64 : 하부센서 65 : 센서터치 브라켓
65a : 상부터치볼트 65b : 하부터치볼트
66 : 가이드부재 67 : 스프링부재
68 : 스프링 브라켓 70 : 튜브
70a : 플랜지 80 : 콘트롤 박스
82 : 제어부 84 : 디스플레이부

Claims (15)

  1. 삭제
  2. 용융로 내에서 상하이동되도록 구성되는 감지봉; 상기 감지봉에 연결되어, 상기 감지봉을 상하이동시키면서 상기 감지봉이 폐기물의 상면에 안착함에 따라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감지하도록 구성되는 센서본체; 및 상기 센서본체와 전기적으로 연계된 콘트롤 박스;를 포함하며,
    상기 센서본체는, 상기 감지봉을 상하이동시키도록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 및 상기 감지봉의 이동으로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측정부;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부는, 일단부에 상기 감지봉이 연결된 와이어; 상기 와이어의 타단부가 고정되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와이어가 권취 또는 풀림되는 드럼; 및 상기 드럼을 회전시키는 구동모터;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는 길이방향으로 내부에 전열선이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3. 삭제
  4. 삭제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로타리 인코더; 및
    상기 감지봉이 상사점과 하한점에 위치시 각각 센싱하는 상부센서과 하부센서;를 포함하며,
    상기 콘트롤 박스는,
    상기 로타리 인코더의 펄스와 상기 센서의 센싱신호를 받아 연산하여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도출하는 연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구동모터의 축과 상기 로터리 인코더의 축에 각각 장착된 타이밍 풀리; 및
    두 개의 상기 타이밍 풀리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감긴 타이밍 벨트;
    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내부에 상기 드럼이 배치된 하우징;
    상기 와이어가 통과하는 와이어홀을 가진 센서터치 브라켓;
    상기 하우징 내에 상하방향 연장되어 배치고정되며,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상하이동가능하도록 설치된 가이드부재; 및
    상단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고정되고, 하단부가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에 연결된 스프링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와이어가 상기 드럼에 감겨서 팽팽함에 따라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하측으로 이동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하면에 장착된 하부센서에 센싱되고, 상기 드럼에 감긴 와이어가 풀려서 상기 감지봉이 상기 폐기물에 안착되어 상기 와이어에 장력이 제거됨에 따라 상기 스프링부재에 의해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이 상측으로 이동 위치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장착된 상부센서에 센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측정부는,
    상기 센서터치 브라켓의 상하부에서 상기 상부센서와 하부센서의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장착된 상부터치볼트와 하부터치볼트; 및
    상기 하우징의 상면에 설치되어 상기 스프링부재의 상단부를 고정시키는 스프링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9. 삭제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열선은 칸탈선(Kanthal wir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11.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내열성 고분자로 코팅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외면에 내열성 고분자 섬유가 감싸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1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봉은 상기 용융로의 중심에 한 개, 둘레에 적어도 네 개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14.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연통되어 상기 용융로의 내부까지 연장되며, 상기 드럼으로부터 상기 감지봉까지 이어진 상기 와이어가 내부에 배치된 튜브; 및
    상기 튜브를 상기 용융로에 체결시키도록, 상기 튜브의 일측에 감싸면서 형성된 플랜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15.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콘트롤 박스는,
    측정시작과 중지, 및 상기 감지봉의 수동상승과 하강을 제어하는 제어부; 및
    상기 폐기물의 레벨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KR1020100044980A 2010-05-13 2010-05-13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KR1009888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80A KR100988875B1 (ko) 2010-05-13 2010-05-13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4980A KR100988875B1 (ko) 2010-05-13 2010-05-13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875B1 true KR100988875B1 (ko) 2010-10-20

Family

ID=43135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4980A KR100988875B1 (ko) 2010-05-13 2010-05-13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87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29Y1 (ko) * 2018-06-29 2019-08-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저장탱크용 수평 및 경사도계 이송장치
KR20210079832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바닥 침식 측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467A (ja) * 1998-03-31 1999-10-15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の表面レベル測定装置
KR100525034B1 (ko) * 2005-05-31 2005-11-01 (주)수림건설 사면추높이 실시간 자동계측방법 및 그의 장치
JP2007170909A (ja) * 2005-12-20 2007-07-05 Sankyo Seisakusho:Kk フロート式液面計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81467A (ja) * 1998-03-31 1999-10-15 Kawasaki Steel Corp 溶融金属の表面レベル測定装置
KR100525034B1 (ko) * 2005-05-31 2005-11-01 (주)수림건설 사면추높이 실시간 자동계측방법 및 그의 장치
JP2007170909A (ja) * 2005-12-20 2007-07-05 Sankyo Seisakusho:Kk フロート式液面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9929Y1 (ko) * 2018-06-29 2019-08-29 주식회사 한국가스기술공사 저장탱크용 수평 및 경사도계 이송장치
KR20210079832A (ko) * 2019-12-20 2021-06-30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바닥 침식 측정장치
KR102347935B1 (ko) * 2019-12-20 2022-01-06 주식회사 포스코 전기로 바닥 침식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8875B1 (ko) 용융로 내 폐기물 레벨센서
CN105716154B (zh) 移动式空气净化装置
CN201984041U (zh) 一种温度-水流耦合作用下黏土裂缝的检测装置
CN102705877B (zh) 无触点输出燃气阀阀杆转动角度电信号的燃气灶
JP2008054950A (ja) 洗濯機
CN107362941A (zh) 一种led灯全自动点胶机
JPH0340819A (ja) 粗紡機における粗糸巻取装置
KR20100082448A (ko) 세탁기
CN205679050U (zh) 滚筒炉
KR101188913B1 (ko) 고로 장입물 위치 측정장치
CN206955418U (zh) 一种具备多种响应功能的拖拉装置
CN100584300C (zh) 计算机控制智能炒药机
JPH07294157A (ja) 回転溶融炉の耐火材層の検査方法
CN205653538U (zh) 多晶硅铸锭炉长晶速度自动测量装置
CN218210837U (zh) 一种氧化锌窑炉安全火焰检测机构
CN215726437U (zh) 用于监测气化炉外壁温度的监测装置以及煤气化系统
CN208594931U (zh) 一种建筑工程用自动检测孔深度的装置
CN211741128U (zh) 一种灼热丝试验机自动升温结构
CN216349223U (zh) 一种用于检测纺丝组件温度的装置及纺丝机
TWI413719B (zh) Manual turntable servo motor drive control device
CN209043775U (zh) 臭氧老化试验箱
CN207576383U (zh) 一种超氧化钾内有机物检测设备
KR101360333B1 (ko) 용탕검지장치
CN215984736U (zh) 一种石灰窑自动料位计
KR101199952B1 (ko) 용강 측온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용강 측온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