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8481B1 -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8481B1
KR100988481B1 KR1020090047937A KR20090047937A KR100988481B1 KR 100988481 B1 KR100988481 B1 KR 100988481B1 KR 1020090047937 A KR1020090047937 A KR 1020090047937A KR 20090047937 A KR20090047937 A KR 20090047937A KR 100988481 B1 KR100988481 B1 KR 1009884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mode
output image
input
magnif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7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부식
정한균
신대교
임기택
최종찬
차철웅
정용무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090047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84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84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84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G06T3/4092Image resolution transcoding, e.g. by using client-server archite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7/00Image analysis
    • G06T7/70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of objects or camer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 G09G5/3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characterised by the display of a graphic pattern, e.g. using an all-points-addressable [APA] memory with means for controlling the display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00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2200/16Indexing scheme for 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involving adaptation to the client's capabilit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iting Of Facsimile Originals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면에 따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 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와, 모드배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에 입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와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투영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출력 영상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유효 사용 영역 설정단계와, 입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 정보, 유효 사용 영역 정보 및 출력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을 상기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되, 유효 사용 영역은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변경되는 유효 사용 영역의 기준 값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해상도 차이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다.
해상도(Resolution), 모드변환

Description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Input method and apparatus for mode transformed image}
본 발명은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컬러 영상 정보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많은 컴퓨팅 리소스가 필요하다. 그러나 제한된 컴퓨팅 리소스 즉, 리얼타임 처리에 대한 한계로 인하여 고해상도의 영상소스를 이용한 이미지 프로세싱에는 한계가 있다.
도 1은 입력 영상 화면과 출력 영상 화면의 해상도 차이에 따른 해상도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예컨대, 손 혹은 기타 물체를 인지하는 입력 영상(10)의 해상도가 320×240이고, 출력 영상(20)의 해상도가 1920×1200이라고 하면, 가로 크기는 6배, 세로크기는 5배의 차이로 30배의 면적차이가 있다.
그래서, 입력 영상(20)에서 1 픽셀 이동을 1:1 방식으로 대응시키면 출력 영상(20)에서는 실제로 처리가능한 영역(30)인 1/30 면적만을 이동할 수 있고, 나머지 29/30 영역은 사용할 수 없게 된다.
Xi×Yi 의 입력 영상(20)에서 인지하는 물체의 크기가 가로 1 픽셀, 세로 1 픽셀이 아닌 가로 a 픽셀, 세로 b 픽셀인 경우에는 물체를 인식하여 출력하는 데 있어서, 가로 Xi/a, 세로 Yi/b 만큼 물체 인식에 따른 오차가 발생하므로, 출력 영상에 투영될 때에는 입력 영상 해상도의 a×b 배만큼의 해상도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저 해상도의 입력 영상으로 고해상도의 영상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투영시킬 때는 고해상도의 출력 영상 화면의 모든 영역 즉, 모든 픽셀을 포인팅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 간의 해상도 차이가 존재하는 경우 입력 영상에서의 소정의 물체의 위치가 투영된 출력 영상 화면에서는 그 위치가 달라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모드배율을 변경하여 저 해상도 입력 영상을 고 해상도 출력 영상에 투영함으로써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해상도 차이에 따른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는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함으로써 출력 영상에서 세밀한 이동이 가능한 모드 변환 입력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은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고, 모드배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결정된 물체의 위치와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투영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유효 사용 영역 설정하여, 입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 정보,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 정보 및 출력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입력 영상을 상기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는 구성을 포함한다.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은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변경되는 유효 사용 영역의 기준 값을 고려하여 설정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장치는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싱부와, 모드배율 변경 전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모드배율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변경하는 영상정보 저장부와, 입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정보와 모드배율 변경 요청에 따라 변경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에서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고,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는 위치 변환부와, 위치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물체의 위치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위치 변환부는 모드배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입력 영상의 물체의 위치와 입력 영상에서 투과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유효 사용 영역을 계산하는 유효 사용 영역 계산부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모드배율 변환 및 유효 사용 영역 설정을 통해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킴으로써, 저 해상도의 입력 영상을 고 해상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더라도 해상도 차이에 따른 문제점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저 해상도의 입력 영상을 이용하여 고 해상도의 출력 영상의 모든 영역을 포인팅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 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환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드 변환 입력 장치(100)는 이미지 프로세싱부(110), 영상정보 저장부(120), 위치 변환부(130),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40)를 포함한다.
이미지 프로세싱부(100)는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소정의 물체가 상기 입력 영상에서 차지하는 위치를 결정한다. 예컨대, 입력 영상 화면을 좌표로 표시할 때(입력 영상 화면을 구성하고 있는 픽셀을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물체가 상기 입력 영상 화면에서의 차지하는 좌표값을 결정한다.
사람의 눈에서 인지되는 상기 소정의 물체는 입력 영상에서 11시 방향의 모서리부분, 중앙부분 또는 중앙부분과 5시 방향의 모서리 부분을 잇는 일직선상의 중간 부분 등으로 인지될 수 있으나, 이미지 프로세싱부(100)에서는 정확한 물체의 위치를 계산하여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정보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해상도가 다른 출력 영상 화면에 정확하게 대응할 수 있다.
영상정보 저장부(120)는 입력 영상 정보, 출력 영상 정보, 출력 영상의 모드 변경 전의 정보 및 상기 출력 영상 화면의 유효 사용 영역 정보를 저장한다.
입력 영상 정보는 입력 영상의 크기 즉, 입력 영상의 가로길이(Wi), 입력 영상 화면의 높이(Hi) 및 입력 영상에서 인지한 물체의 위치를 입력 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좌표값(Xi, Yi)으로 나타낸 입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출력 영상 정보는 출력 영상의 크기, 즉 출력 영상의 가로길이(Wo), 출력 영상 화면의 높이(Ho) 및 상기 입력 영상에서 인지된 물체가 상기 출력 영상으로 투영되어 나타날 때, 상기 출력 영상을 기준으로 하여 상기 출력 영상에서의 투영된 물체의 위치의 좌표값(Xo, Yo)으로 나타낸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한다.
출력 영상의 모드 변경 전의 정보는 입력 영상의 해상도와 출력 영상의 해상도의 비율에 따른 배율정보(이하, '모드배율'이라 한다.)를 포함한다. 예컨대, 입력 영상의 해상도가 출력 영상의 해상도와 동일하면 상기 모드배율은 1:1이고, 출력 영상의 해상도가 5배 크면 상기 모드배율은 1:5가 된다. 즉, 상기 모드 배율은 1:1, N:1(N은 1보다 큰 정수), 1:K(K는 1보다 큰 정수)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작은 해상도의 입력 영상에서 패턴, 물체 등을 인식하여 위치를 파악하고 상기 위치를 출력 영상에 반영하여 데스크톱(운영장치 및 운영프로그램 포함) 입력장치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모드가 필요하다.
예컨대, Mode1, Mode2, Mode3,…, Modem,…, Moden -1, Moden 까지의 모드가 사용될 수 있다. 1:1 변환모드를 Modem이라 하면, Modem으로 모드 변경이 수행된 시점 부터는 1:1 변환방식으로 동작하여, 입력 영상에서 1 픽셀 이동할 때마다 출력 영상에서도 1 픽셀 이동하게 된다.
N:1 변환모드를 Modek라 하면, 입력 영상에서 이동하는 픽셀 수가 출력 영상에서 이동하는 픽셀 수보다 많다. 예컨대, 입력 영상에서 인지한 위치가 5 픽셀 이동하는 동안 출력 영상에서는 1 픽셀 이동하게 된다.
1:K 변환모드를 ModeN라 하면, 입력 영상에서 인지한 위치가 이동하는 픽셀 수가 출력 영상에서 이동하는 픽셀 수보다 작다. 예컨대, 입력 영상에서 1 픽셀 이동했을 경우, 출력 영상에서는 5 픽셀 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배율모드를 1:1, N:1(N은 1보다 큰 정수), 1:K(K는 1보다 큰 정수) 등으로 다양하게 설정하면 저 해상도의 입력 영상이 고 해상도의 출력 영상으로 투영되더라도 출력 영상의 모든 픽셀들을 포인팅 할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는 후술하는 모드배율 변환과정을 통해 설명하기로 한다.
한편, 영상정보 저장부(120)는 상기 모드배율의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입·출력 영상의 해상도를 변경하여 요청한 모드배율에 따라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위치 변환부(130)는 상기 모드배율에 따라서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킨다. 이미지 프로세싱부(110)로부터 얻는 물체의 위치정보와 모드 변경 요청에 따라 변경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여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킨다.
위치 변환부(130)는 모드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입력 영상이 출력 영상으로 투영될 때 입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와 변경된 모드배율이 적용되어 투영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유효 사용 영역을 계산하는 유효 사용 영역 계산부(미도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입력장치 인터페이스(140)는 위치 변환부(130)를 통해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을 포함하여 입력 영상을 출력 영상에 출력되도록 데스크톱(운영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에 입력하는 구성을 포함한다.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배율이 1:4인 경우, 저 해상도 입력영상이 고 해상도 출력 영상으로 투영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d를 참조하면, 입력 영상(310)에서 인지되는 소정의 물체(320)는 출력 영상(331)으로 투영되면, 투영된 물체의 위치(340)는 상기 모드배율 1:4에 따라서 입력 영상에 비해 면적이 4배 큰 출력 영상(331)에 위치하게 되는데, 이는 출력 영상의 면적이 입력 영상의 면적보다 4배 크도록 입력 영상의 상하좌우를 늘린 결과와 같다. 즉, 각 영상에서 물체가 위치하는 가로, 세로 비율은 동일하게 유지된다.(도 3a 내지 도 3d 참조)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은 방법으로 모드 변환에 따라 이미지를 입력하는 경우, 모드배율이 변경되는 시점에서 출력 영상에 위치하는 입력장치의 표시(예컨대, 커서)가 원치 않은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제한할 필요가 있다.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배율의 변환과 함께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d를 참조하면, 모드배율이 1:4에서 1:1로 변환하는 과정에서 입력 영상(310)에서의 물체의 위치(320)는 출력 영상(411)에서는 420의 위치로 대응된다. 모드배율이 1:1로 변환되었으므로, 유효 사용 영역을 412와 같이 설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도 4a에서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은 420에 위치한 물체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유효 사용 영역 설정이 적절하지 못하다.
도 4b의 경우,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412) 내에 420에 위치한 물체를 포함하고 있으나, 입력 영상(310)에서 인지한 물체의 위치(320)와 정확하게 매칭되지 않는다. 따라서 420에 위치한 물체를 도 4d 에서와 같이 430으로 위치시키는 위치 수정과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420 위치에서 430 위치로 수정하는 과정에서 출력 영상에서의 예컨대, 마우스 포인트의 위치가 함께 변경되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출력 영상에서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는 방법을 제시하며, 이하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a 내지도 6d는 다양한 모드배율에서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면, 입력 영상(310)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320)와 출력 영상(511)에 투영되었을 때, 소정의 유효 사용 영역(512)이 설정되 어 입력 영상(310)에서의 물체의 위치(320)는 출력 영상(511)에서 유효 사용 영역(512) 내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520)가 동일한 비율로 대응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도 6a 내지도 6d을 참조하면, 도 6a은 입력 영상(310)의 해상도가 출력 영상(611)의 해상도 보다 작을 때, 입력 영상(310)을 1:1 모드배율로 출력 영상(611)으로 투영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1:1 모드배율에서는 입력 영상에서 1 픽셀 이동할 때, 출력 영상에서도 1 픽셀 이동한다. 1:1 모드배율에서는 모든 출력 영상의 범위 즉, 출력 영상의 모든 범위의 픽셀을 이동할 수는 없지만, 출력 영상에서 비교적 정교하게 이동할 수 있다.
도 6b는 N:1 모드배율을 통해 입력 영상(310)에서의 물체의 위치(320)를 출력 영상(611)으로 투영시키는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이때는 상기 1:1 모드배율의 경우보다 좀 더 정밀하게 이동시킬 필요가 있을 때 사용하는 모드이다.
한편,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사용 영역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유효 사용 영역(620)에서 인지하는 물체의 위치(620)는 입력 영상(310)에서 인지하는 물체의 위치(320)와 일치한다.
도 6c는 입력 영상(310)보다 큰 영역을 이동할 경우에 사용되는 1:K 모드이고, 도 6d에서는 출력 영상(611)에서 입력 장치가 가리키지 못하는 영역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모드배율이 1:5인 경우 나머지 4 픽셀의 위치는 출력 영상에서 입력을 사용하지 못한다. 이 경우에는 모드배율을 1:1 또는 N:1로 변경하여 사용하면 된다.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사용 영역 설정을 위한 계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내지 도 7b를 참조하면, 출력 영상(711)에서의 물체의 위치(720)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계산된다.
Xo=(Xi * Rx) + Xb, Yo=(Yi * Ry) + Yb
식 중, Xo(53),Yo(54)는 각각 출력 영상 화면에서의 상기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Xi(51), Yi(52)는 입력 영상에 인지되는 상기 소정의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Rx, Ry는 각각 모드 변경 전 입력 영상 화면과 출력 영상 화면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가로축 배율과 세로축 배율이고, Xb(61),Yb(62)는 출력 영상 화면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출력 영상(711)에서의 물체의 위치(720)는 입력 영상(310)에서의 물체의 위치 Xi(51), Yi(52)(320), 모드배율의 변경 전의 모드배율 Rx, Ry 및 모드배율 변경 전의 출력 영상(711)에서 유효 사용 영역(712)를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대적인 위치 Xb(61), Yb(62)의 함수로 표현될 수 있으며 상기 수학식 1과 같이 계산된다.
즉, 이는 입력 영상(310)에서의 물체의 위치(320)에 모드배율 Rx와 Ry를 고 려한 값인 Xi×Rx, Yi×Ry 및 유효 사용 영역(712)을 고려한 값으로 표현한 것이다.
더 구체적으로, 입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출력 영상으로 투영될 때, 1차적으로 Rx와 Ry를 고려하여 계산하고, 그 후에는 유효 사용 영역과 관련된 요소 Xb(61), Yb(62)를 고려하여 계산하여야 한다.
이는 Xo(53), Yo(54)는 모드배율이 변하더라도 출력 영상(711)을 기준으로 했을 때 상대적일 위치가 변하지 않지만, 모드배율이 변함에 따라 유효 사용 영역이 함께 변할 경우에는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새로운 기준 값 X'b(63), Y'b(64)을 설정해야 한다.
모드배율이 변함에 따라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 설정은 다음의 수학식에 의해 계산된다.
X'b = Xi × (Rx - R'x) + Xb, Y'b = Yi × (Ry - R'y) + Yb
식 중, Xb(61),Yb(62),X'b(63),Y'b(64)는 각각 모드 변경 전, 모드 변경 후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을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Xi(51), Yi(52)는 입력 영상에 인지되는 상기 소정의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Rx,Ry,R'x,R'y는 각각 모드 변경 전 및 모드 변경 후의 입력 영상 화면과 출력 영상 화면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가로축 배율과 세로축 배율이다.
모드배율이 변경됨에 따라서 변경된 모드배율 R'x, R'y의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는 Xo=(Xi × R'x) + X'b로 표현될 수 있고, 상기 수학식 1에서 Xo=(Xi × Rx) + Xb이므로, (Xi × Rx) + Xb = (Xi × R'x) + X'b 이고, 따라서 모드배율이 변경된 출력 영상에서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은 X'b= Xi × (Rx - R'x) + Xb로 표현된다. Y좌표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컨대, 본 발명의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을 실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의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 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 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입력 영상 화면과 출력 영상 화면의 해상도 차이에 따른 해상도 손실을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드 변환 입력 장치의 블록구성도.
도 3a 내지 도 3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배율이 1:4인 경우, 저 해상도 입력영상이 고 해상도 출력 영상으로 투영된 결과를 나타내는 도면.
도 4a 내지 도 4d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배율의 변환과 함께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 설정방법을 이용하여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6a 내지도 6d는 다양한 모드배율에서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을 나타낸 도면.
도 7a 내지 도 7b는 본 발명에 따른 유효 사용 영역 설정을 위한 계산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100 : 모드 변환 입력 장치 110 : 이미지 프로세싱부
120 : 영상정보 저장부 130 : 위치 변환부
140 : 입력장치 인터페이스

Claims (10)

  1.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단계;
    모드배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결정된 물체의 위치와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투영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유효 사용 영역 설정단계; 및
    상기 입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 정보, 상기 설정된 유효 사용 영역 정보 및 출력 영상의 해상도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은 상기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라 변경되는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의 기준 값을 고려하여 설정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배율은
    상기 입력 영상의 해상도와 상기 출력 영상의 해상도의 비율인 것을 특징으로 하되,
    1:1 모드, N:1(N은 1보다 큰 정수)모드 및 1:K(K는 1보다 큰 정수)모드 중 하나인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사용 영역 정보는
    모드배율 변경 전 및 모드배율 변경 후의 상기 출력 영상의 유효 사용 영역 정보를 포함하되,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의 크기정보와 유효 사용 영역에서의 상기 물체의 위치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의 크기는 상기 입력 영상의 크기와 상기 입력 영상과 상기 출력 영상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배율을 곱셈 연산하여 계산되고,
    상기 유효 사용 영역에서의 상기 물체의 위치는 상기 입력 영상이 인지하는 물체가 나타내는 좌표값에 상기 배율을 곱셈 연산하여 계산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된 모드배율에 따른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는 다음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Xo = (Xi × Rx) + Xb,
    Yo = (Yi × Ry) + Yb
    식 중, Xo, Yo는 각각 출력 영상에서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Xi, Yi는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Rx, Ry는 각각 모드배율 변경 전의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배율이고, Xb, Yb는 출력 영상에서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을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모드배율 변경에 따라 상기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기 위한 기준이 되는 좌표값은 다음 수학식에 의해 계산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X'b = Xi × (Rx - R'x) + Xb,
    Y'b = Yi × (Ry - R'y) + Yb
    식 중, Xb, Yb, X'b, Y'b는 각각 모드배율 변경 전·후의 유효 사용 영역을 결정하기 위한 기준 값을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Xi, Yi는 입력 영상에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좌표값으로 나타낸 것이고, Rx,Ry,R'x,R'y는 각각 모드배율 전·후의 입력 영상과 출력 영상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배율이다.
  7. 입력 영상에서 인지되는 물체의 위치를 결정하는 이미지 프로세싱부;
    모드배율 변경 전의 영상정보를 저장하고, 모드배율 변경 요청에 따라 상기 영상정보를 변경하는 영상정보 저장부;
    상기 입력 영상에서 상기 물체의 위치정보와 상기 모드배율 변경 요청에 따라 변경된 영상정보를 이용하여 출력 영상에서 유효 사용 영역을 설정하고, 상기 입력 영상을 상기 출력 영상으로 투영시키는 위치 변환부; 및
    상기 위치 변환부에 의해 변환된 물체의 위치를 입력하는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는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배율은
    상기 입력 영상 화면과 상기 출력 영상 화면의 해상도 비율에 따른 배율인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정보는
    입력 영상 정보, 출력 영상 정보, 출력 영상 화면의 모드배율 변경 전의 정보 및 상기 출력 영상의 유효 사용 영역정보를 포함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변환부는
    모드배율 변경 요청이 있는 경우, 상기 입력 영상의 물체의 위치와 상기 입력 영상에서 투과된 출력 영상에서의 물체의 위치가 동일하도록 상기 출력 영상에서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유효 사용 영역을 계산하는 유효 사용 영역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인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장치.
KR1020090047937A 2009-06-01 2009-06-01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KR1009884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37A KR100988481B1 (ko) 2009-06-01 2009-06-01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7937A KR100988481B1 (ko) 2009-06-01 2009-06-01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8481B1 true KR100988481B1 (ko) 2010-10-18

Family

ID=431355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7937A KR100988481B1 (ko) 2009-06-01 2009-06-01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848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658A (ja) * 1995-04-14 1996-11-01 Hitachi Ltd 解像度変換装置および解像度変換方法
JPH11126264A (ja) 1997-10-23 1999-05-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70111713A (ko) * 2006-05-18 2007-11-22 엘지엔시스(주) 화면구성방법 및 그 장치
JP2008109280A (ja) 2006-10-24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解像度変換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86658A (ja) * 1995-04-14 1996-11-01 Hitachi Ltd 解像度変換装置および解像度変換方法
JPH11126264A (ja) 1997-10-23 1999-05-11 Canon Inc 画像処理装置及び方法
KR20070111713A (ko) * 2006-05-18 2007-11-22 엘지엔시스(주) 화면구성방법 및 그 장치
JP2008109280A (ja) 2006-10-24 2008-05-08 Mitsubishi Electric Corp 解像度変換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8377B2 (en) Projection system,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correction method
US8337023B2 (en) Projector and trapezoidal distortion correcting method
US20040246229A1 (en) Information display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pointing apparatus, and pointer cursor display method in information display system
US96913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image calib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JP7228966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090125164A (ko) 프로젝터 시스템
JP2016111616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曲線算出方法、画像表示装置
JP2007207056A (ja) 情報入力システム
US8941785B2 (en) Projector, image correction method, and program
CN105074780B (zh) 用于由电子装置进行交互式图像漫画生成的系统和方法
JP5023937B2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プログラム
JP5828671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
JP2011034485A (ja) 情報端末装置
JP2013192240A (ja) プロジェクター、プログラム、情報記憶媒体および台形歪み補正方法
KR100988481B1 (ko) 모드 변환 이미지 입력방법 및 장치
CN109523481B (zh) 投影仪图像畸变的矫正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20220292652A1 (en) Image generation method and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KR20130112410A (ko) 펜 방식의 디스플레이장치에서 좌표 검출 장치 및 방법
JP2020014075A (ja) 画像投影システム、画像投影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22092453A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6508874B2 (ja) 映像投影装置、映像投影方法、およ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1118554A (ja)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898021B2 (ja) 操作入力装置、操作入力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2230302A (ja) 画像生成装置、投射型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システム、画像生成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4985950B2 (ja) プロジェクタ、投写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情報記憶媒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2

Year of fee payment: 7

R401 Registration of resto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0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