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735B1 -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 Google Patents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735B1
KR100987735B1 KR1020080058970A KR20080058970A KR100987735B1 KR 100987735 B1 KR100987735 B1 KR 100987735B1 KR 1020080058970 A KR1020080058970 A KR 1020080058970A KR 20080058970 A KR20080058970 A KR 20080058970A KR 100987735 B1 KR100987735 B1 KR 1009877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unit
emitting unit
heat dissipation
la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589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32807A (ko
Inventor
박호진
천영재
Original Assignee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엔 하이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589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735B1/ko
Publication of KR20090132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328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7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7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20Light sources comprising attachment means
    • F21K9/23Retrofit light sources for lighting devices with a single fitting for each light source, e.g. for substitution of incandescent lamps with bayonet or threaded fitt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7/0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 F21Y2107/30Light sources with three-dimensionally disposed light-generating elements on the outer surface of cylindrical surfaces, e.g. rod-shaped supports having a circular or a polygonal cross se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rrangement Of Elements, Cooling, Sealing, Or The Like Of Light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발광다이오드 : Light Emitted Diode)형 다각형 램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등, 후진등, 방향지시등 및 냉장고, 전자렌지등의 조명등에 사용되어 자동차의 상태 및 냉장고 도어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다각형 램프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수월하게 순환시켜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전원단자가 각각 저면부와 외벽에 구비되어 소켓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PCB와 상기 PCB에 실장 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와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발광부와, 상기 수평발광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발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LED, 램프, 방열, 몰딩, 소켓, 베이스

Description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MANY-SIDEDNESS LED-LAMP IN RADIANT STRUCTURE IMPROVEMENT}
본 발명은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발광다이오드 : Light Emitted Diode)형 다각형 램프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후미등, 후진등, 방향지시등 및 냉장고, 전자렌지등의 조명등에 사용되어 자동차의 상태 및 냉장고 도어의 개폐상태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한 다각형 램프에서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수월하게 순환시켜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종 램프는 차량의 상태를 타인에게 알리기 위해 다양한 색깔 및 점멸 혹은 점등으로 표시를 하는데, 후진등, 미등, 주차등, 차폭등, 방향지시등, 비상점멸표시등, 제동등 및 영업용 차량의 표시등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가정에서 사용하고 있는 냉장고 및 전자렌지등은 도어의 개폐에 따라서 내부를 육안으로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조명등이 구비된다.
이와 같은 램프 또는 조명등은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를 사용하는데, 이는 케 이스와 렌즈로 밀폐된 공간부에 장착되며 전원인가시 필라멘트가 가열되고 그에 따른 온도방사가 이루어져 발광(發光)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라멘트 방식의 전구는 필라멘트의 특성상 가열이 되면서 점멸하게 되어 전구 즉, 램프의 수명이 짧아 제품 교체에 따른 유지 보수비용이 많이 들며, 자동차의 주행시 켜지지 않는 전구로 인하여 매우 위험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고, 전원인가시 온도방사가 이루어지기까지 소정의 시간이 필요하여 그에 따른 응답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냉장고, 전자렌지등에 사용될 경우 도어의 개폐 유무를 정확하게 확인하지 못하여 보관중인 식품에 손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잦은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필라멘트가 쉽게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러한 종래의 필라멘트 방식의 램프가 지닌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기술로는 램프의 점등시 발열량이 적고 응답성이 뛰어난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 구조체가 있으며,
제안된 종래기술로는 먼저, 등록실용신안 제20-0425942호(공고일자 2006년09월12일)'자동차용 엘이디 전구'(이하 종래기술 1 이라 함)이 있는데, 상기 종래기술 1에서는 " 각종 자동차용 엘이디 전구를 구성함에 있어서, 큰 몸체기판은 위쪽으로 장홈을 구성하고 작은 몸체기판은 아래쪽으로 장홈을 구성하여 위아래로 십자 형으로 끼워 넣어 결합 되고, 위쪽에 머리 기판이 십자형으로 구성된 몸체기판에 끼워 넣음으로 결합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엘이디전구"를 제안하고 있다.
상기 종래기술1은 큰 몸체기판과 작은 몸체기판에 대응하는 장홈을 각각 구성하여 교차 결합시킨 후 상부에서 머리 기판을 결합하는 것으로 다수의 엘이디전구가 십자형태로 교차 배열되어 발광하는 것이나, 십자형태의 입체 구조를 갖는 차량용 전구의 결합 구조물에만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 범위가 극히 제한적이고, 현재 출시된 차량 및 신차들에는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으며, 나아가 큰 몸체기판 또는 작은 몸체기판에 구비된 엘이디가 손상될 경우 손상된 엘이디가 구비된 몸체기판 전체를 교환해야 하는 불편함과 작업의 어려움이 있어 결국 전체 제품을 교체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등록실용신안 제20-0308418호(공고일자 2003년03월26일)'차량용시그널램프'(이하 종래기술 2 라 함)에서는 기판의 결합 개수에 따라 삼각,사각,오각,육각 등의 다면체 기둥으로 형성되는 메인기판을 포함한 차량용시그널램프를 제안하고 있으나, 먼저 다수의 기판을 결합하여 메인기판을 형성한 후 하단에 접속 기판에 끼움 결합하고 상기 접속 기판은 그 하단에 수직 기판에 끼움 결합 되어 구성되는 것으로,
상기 기판은 서로 접하는 면에 돌기 또는 홈이 구비되어 상호 결속되는데, 이는 외부에서 전달되는 충격에 취약하여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기판이 결속하여 형성된 메인 기판이 결합 되는 접속기판에는 상기 메인기판 중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기판이 끼움 결합 되어, 결합시 균형을 맞추기 어렵고 차량의 이동시 지면에서 전해지는 충격 및 차량의 구성품에서 발생하는 진동에 의해 결합 된 메인기판과 접속기판이 빠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89136호(등록일 2002년07월31일)'자동차용발광다이오드벌브'(이하 종래기술 3이라 함)에서는 다각도로 발광하는 발광다이오드벌브에 대해서 제안하고 있지만 발광다이오드벌브가 일체형으로 구현되어 다양한 모델의 자동차에 적용하기 힘든 문제점과 개별발광다이오드가 손상되면 전체 제품을 교체해야 돼 유지 보수 비용이 증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종래기술 1,2,3에서는 모두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램프를 제안하고 있지만,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한 열을 순환시키기 위한 방열수단이 없어 램프에서 발생한 열에 의해 사고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가 결합 된 발광부를 구비하며, 상기 발광부가 다각형 구조를 이루도록 하여 광각(廣角)의 조사각도를 얻을 수 있으며, 상기 발광부에 방열부를 더 구비하여 발광부에서 발생한 열을 외부로 수월하게 순환시킬 수 있어 장시간 사용에도 발열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결합이 용이하여 조립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발광다이오드에 이상이 발생하는 경우 교체가 수월한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의 조도(照度)를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이를 위한 저항 및 스위치를 구비하여 하나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다양한 조도를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나아가 외부 충격으로부터 소켓과 결합 된 베이스부를 보호하며, 습기 및 이물질등의 유입을 차단하여 누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어 안정성이 높은 방열 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전원단자가 각각 저면부와 외벽에 구비되어 소켓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부와, PCB와 상기 PCB에 실장 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와,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와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발광부와, 상기 수평발광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발광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방열부는 수직발광부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 방열판과, 상기 각각의 방열판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각각의 연장부를 연결하여 방열부를 일체화시키는 중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부의 내부는 비어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또한, 상기 방열부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와 맞닿는 면에 요철(凹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상기 제어부와 베이스의 (-)단자는 납땜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어부와 베이스의 (+)단자는 와이어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은 다수개의 발광다이오드에서 발생하는 열을 외부로 쉽게 순환시켜 램프 내부에 열을 제거하여 과열에 의한 제품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어 제품의 수명을 연장시키고, 과열에 의한 화재의 위험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램프는 다양한 각도를 가지며 대상체에 결합하여 조사각이 넓고, 각각의 발광다이오드의 조도를 조절할 수 있어 하나의 램프를 이용하여 다양한 효과를 얻을 수 있는 활용범위가 넓은 장점이 있다.
또한, 각각의 구성요소의 조립이 간단하여 조립시간을 단축하여 경제성을 높이며, 구성요소가 간단하여 생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현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방향기준을 특정하면,
소켓에 결합 된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상기 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 되는 베이스부쪽을 후방이라 하고,
상기 소켓을 통해 인가된 전원에 의해 발광하는 발광부가 위치한 쪽을 전방이라 하고,
상기 발광부에서 발광다이오드가 위치한 쪽을 외측이라 하고,
대편을 내측이라 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램프(100)는, 대상체 - 자동차, 냉장고, 전자렌지, 실내 벽면 - 에 미리 인입된 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전원단자(11),(12)가 저면부와 외벽에 구비한 베이스부(10)와 PCB(La)와 상기 PCB(La)에 실장 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b)를 포함하는 발광부(L)와 상기 베이스부(10)의 상부에 결합 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L)의 발광다이오드(Lb)를 점등하는 제어부(50)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부(10)는 소켓에 결합하기 위하여 외벽에 스크류, 나사산등이 형성되며,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의 소켓에 대응하는 형태 및 형상으로 이루어지되 소켓과 전기적으로 결합하면 되는 것이고,
베이스부(10) 내부에는 (+)단자에서 인입된 (+)전원을 발광부(L)로 전달하는 와이어(16)를 위한 장공(19)이 더 형성되어, 소켓(1)에서 인입된 (+)전원을 발광부(L)로 전달한다.
이를 다시 살펴보면, 먼저 소켓을 통해 인입된 (+)전원은 베이스부(10) 내부에서 와이어(16)에 의해 전달되고, 상기 장공(19)을 통과한 와이어(16)는 제어부(5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발광부(L)로 (+)전원을 공급하고,
(-)전원은 상기 제어부(50)와 결합 된 발광부(L)의 납땜부위(T)를 통해 발광부(L)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상기 납땜부위(T)는 후술하는 수평발광부(30)와 수직발광부(40)의 결합성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한 납땜부위(T)와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진 것이며, 결합 방법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수평발광부(30)와 수직발광부(40)의 결합 관계에서 다시 설명하 도록 한다.
상기 제어부(50)에는 베이스부(10)를 통해 공급된 전원을 제어하기 위한 저항 및 마이크로 칩등이 실장 되고, 상기 마이크로 칩에는 다각형 램프(100)가 설치된 대상체에 필요한 순간 발광부(L)를 On/Off 하기 위한 데이터가 미리 저장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어부(50)에는 발광부(L)의 발광다이오드(Lb)의 조도(照度)를 조절하기 위한 저항(52)과 상기 저항(52)을 발광다이오드(Lb)에 연결 또는 차단하기 위한 스위치(53)가 구비되는데,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b)의 조도를 조절하여 점등시 시인성을 높일 수 있으며, 다양한 색상으로 구비될 수 있는 발광다이오드(Lb)를 필요한 색상만 선택적으로 점등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기 스위치(53)는 저항(52)과 발광다이오드(Lb)를 위하여 구비되는 것으로,
입력되는 제어신호에서 발광다이오드(Lb)의 조도를 높게 형성할 때 즉 공간에 형성된 조도보다 더 높은 조도를 원할 때에는 스위치(53)가 ON되고,
조도를 낮게 형성할 때 즉 공간에 형성된 조도보다 더 낮은 조도를 원하는 경우 스위치(53)가 OFF 되는 것으로,
높은 조도를 필요로 할 때는 상기 저항(52)을 통과한 전원 및 스위치를 통과한 전원이 동시에 발광다이오드(Lb)를 점등시켜 높은 조도를 얻을 수 있도록 하고, 반대로 낮은 조도를 필요로 할 때는 상기 저항(52)을 통과한 전원만이 발광다이오드(Lb)로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어부(50)에는 각각의 발광다이오드(Lb)에 연결되어 발광다이오드(Lb)에 과전압이 걸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보호부(54)가 더 구비되며, 상기 보호부(54)는 발광다이오드(Lb)에 입력되는 전압을 미리 저장된 기준값과 비교하여 기준값을 초과하는 과전압이 인입되면 자동으로 발광다이오드(Lb)와의 연결을 차단하는 것으로 현재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는 과전압방지회로, 서지전압방지회로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발광부(L)는 PCB(La)와 이에 실장 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L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데, 상기 발광다이오드(Lb)는 주입된 전자와 정공이 재결합할 때 과잉의 에너지를 빛으로 방출하는 다이오드로서, 조사된 빛의 직진성이 우수하며 종래의 백열등에 비해서 낮은 전력소모와 저온으로 발열 되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량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또한, 상기 발광다이오드(Lb)는 공지된 바와 같이, GaAsP등을 이용한 적색 발광다이오드, GaP등을 이용한 녹색 발광다이오드, InGaN/AlGaN 더블헤테로 구조를 이용한 청색 발광다이오드 등 다양한 색상으로 구현할 수 있어 사용분야가 넓고, 가격이 저렴한 장점이 있다.
상기 발광다이오드(Lb)가 구비된 발광부(L)는 상기 제어부(50)와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방열부(20)와, 상기 방열부(20)에 서로 거리를 두고 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발광부(30)와 상기 수평발광부(30)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발광부(40)로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방열부(20)는 수직발광부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 방열판(20a)과, 상기 각각의 방열판(20a)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연장부(20b)와, 상기 각각의 연장부(20b)를 연결하여 방열부를 일체화시키는 중심부(20c)로 이루어진다.
이때 인접하는 방열판(20a) 및 연장부(20b)와 이들을 연결하는 중심부(20c)에 의해 수평발광부가 장착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면,
방열판(20a)은 발광부(L)의 방열을 위한 것으로 상기 방열판(20a)의 내측으로는 방열판(20a)의 폭보다 적은 폭을 가지는 연장부(20b)가 형성되어
상기 방열판(20a)의 저면과 연장부(20b)와 그리고 중심부(20c)의 상면에 의해 수평발광부(30)의 일측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슬롯(21)이 형성된다.
역시 인접한 타 방열판과 연장부와 그리고 중심부에 의해 수평발광부(30)의 타측이 삽입될 수 있는 결합슬롯(21)을 형성하게 되어
수평발광부의 양측이 안정적으로 방열부(20)에 삽입 장착된다.
더욱이 상기 연장부(20b)의 폭이 방열판(20a)의 폭 보다 작게 형성됨으로 인해 상대적으로 방열판(20a)의 저면(22)은 삽입된 수평발광부(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걸리턱의 역할도 수행할 수 있어 외부 충력에 의해 수평발광부(30)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나아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방열부(20)는 발광부(L)에서 발생하는 열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외부와 맞닿는 면에 요철(凹凸)부(23)를 더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요철부(23)는 방열부(20)의 표면에 연속적으로 형성하여 방열효과를 높이는 것이다.
물론, 상기 요철부(23)의 형상은 도면에 도시된 요(凹)철(凸)의 형상 이외에도 파형, 삼각형등의 다양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음은 당연하다.
다시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수평발광부(30)에는 상기 결합슬롯(21)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31)가 구비되며, 상기 결합돌기(31)의 끝단은 수평발광부(30)를 방열부(20) 사이에 결합할 때 결합이 용이하도록 완만한 만곡부(33)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수평발광부(30)에는 돌출돌기(32)가 형성되고 수직발광부(40)에는 돌출돌기(32)의 삽입을 위한 결합공(41)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돌기(32)가 결합공(41)에 관통 삽입될 때 일정부분이 돌출되도록 하고, 돌출된 부위를 결합성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납땜을 이용하여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납땜부위(T)는 상술한 제어부(50)와 결합 된 발광부(L)의 납땜부위(T)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수평발광부(30)의 양끝단을 각각 수직발광부(40)와 제어부(50)에 납땜 고정함으로써, 전기적 연결 및 안정된 결합성을 얻을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50)에는 수평발광부(3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하여 관 통공(51)을 형성하고, 상기 수평발광부(30)에는 이와 결합하기 위한 돌출돌기(32)를 반대편에 더 구비하여 안정적인 결합을 얻을 수 있다.
상술한 발광부(L)의 형태에서 도면에 도시된 수평발광부(30)의 개수와 발광다이오드(Lb)의 개수는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참고하기 위한 실시예이며, 사용되는 대상체 및 장소에 따라 수평발광부(30) 및 발광다이오드(Lb)의 개수는 조절이 가능하다.
이때, 상기 수평발광부(30)의 개수가 늘어나거나 줄어드는 경우 상기 방열부(20)에 형성되는 방열판(20a)의 개수 또는 크기를 조절하여 각각의 수평발광부(30)가 방열부(20)에 적절히 결합되는 형태를 유지하는 것은 당연하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바로는 원형의 제어부(50), 수직발광부(40)를 도시하였지만, 삼각형, 사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의 형태로 구현할 수 있으며, 이는 사용되는 대상체 및 장소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S)는 방열부(20)의 중심부(20c)에서 살빼기를 겸한 와이어 통과구멍으로서, 제어부(50)와 연결된 와이어(16)가 삽입되어 수평발광부(30)의 일단과 연결된다.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른 구현예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부(10)의 (+),(-)전원단자(11),(12)를 보호하기 위한 몰딩부(60)가 더 형성되는데, 상기 몰딩부(60)의 상면에는 발광다이오드(Lb)에서 조사된 빛의 난반사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커버(61)를 더 구비하고, 상기 베이스부(10)와 상기 제어부(50)의 수밀성을 위해 몰딩부(60)와 커버(61)가 체결되는 사이에 밀폐부재(62)를 더 구비한다.
상기 몰딩부(60)는 상기 베이스부(10)를 외부로부터 밀폐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단자(11),(12)에 연결되는 전선(2)도 동시에 밀폐시켜 외부의 습기 및 이물질로부터 베이스부(10)를 보호하여 누전 또는 합선에 의해서 발생하는 안전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상기 베이스부(10)는 소켓과 억지끼움 방식으로 결합하는 것이 바림직하며, 상기 소켓의 형상에 따라 별도의 브라켓(도면 중 미도시됨)을 구비하여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 은 상기 제어부(50)와 베이스부(1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도시한 것인데, 특히 도 4를 함께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50)에는 (+),(-)전원을 위한 각각의 와이어(16)가 돌출되고, 상기 베이스부(10) 내부에 구비된 와이어지지판(13)에는 상기 와이어(16)가 삽입되는 (+)공(17) 및 (-)공(18)이 반원형상으로 형성되되, 상기 반원형상의 형성방향은 (+)공(17)을 기준하여 설명하면 전광후협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즉, 와이어지지판(13)에 형성된 (+)공(17) 및 (-)공(18)의 형상은 베이스부(10)의 내부에서 외부로 단면적인 작아지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기 제어부(50)에서 돌출된 와이어(16)의 (+)공(17) 및 (-)공(18)으로의 삽입을 고려한 것으로 와이어 삽입은 수월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며, 삽입된 와이어(16)의 이탈은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조립순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어부(50)와 베이스부(10)의 (+),(-)전원을 위한 와이어(16)를 각각 연결하고, 상기 와이어(16)에서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16)는 제어부(50)의 일측에 납땜으로 연결하고,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16)는 상기 제어부(50)의 전방으로 위치시킨다.
동시에, 수직발광부(40)에 방열판(20a)이 수직발광부(40)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 구비된 방열부(20)에 수평발광부(30)를 삽입하되, 상기 방열부(20)에 형성된 결합슬롯(21)과 수평발광부(30)에 형성된 결합돌기(31)를 통하여 안정되게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원과 연결된 와이어(16)를 상기 수평발광부(30) 중 어느 하나와 연결하되 방열부(20)에 삽입하기 전에 미리 연결하는 것이 구성요소의 조립이 더 수월하다.
다음으로 상기 수평발광부(30)의 양끝단에 형성된 돌출돌기(32)가 각각 수직발광부(40) 및 제어부(50)의 결합공(41)과 관통공(51)에 관통 삽입되며 일정부분이 돌출된 돌출돌기(32)를 납땜해야 제어부(50),수평발광부(30),수직발광부(40)를 전기적으로 연결하여 하나의 다각형 램프(100)를 완성하고, 상술한 조립순서를 반복하여 생산하는 것이다.
상기 조립순서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결합하는 하나의 조립 실시예를 설명한 것으로, 이는 작업환경 및 형성되는 다각형 램프의 크기 등의 외부원인에 의해 다양한 순서로 조립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에서 설명한 구현예는 자동차에 사용되는 제동등, 후진등, 방향지시등 및 전자렌지, 냉장고등에 사용되는 조명등을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발광다이오드의 색상 및 크기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분야에 적용가능한 것으로, 건물의 비상등, 실내등, 가로등 등에도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의 구체적인 구현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설명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갖는 사상의 범주 내에서 당업자에 의해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및 변경 또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를 도시한 결합사시도.
도 2 는 도 1의 일부 분해 사시도.
도 3 은 방열판과 수평발광부의 결합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다각형 램프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개략단면도.
도 5 는 제어부와 베이스부의 전기적 연결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확대도.
도 6 은 본 발명에 따른 방열판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 도면 중 주요부호에 대한 설명 >
100 : 다각형 램프 1 : 소켓 2 : 전선
10 : 베이스부 11 : (+)전원단자 12 : (-)전원단자
13 : 와이어지지판 16 : 와이어 T : 납땜부위
20 : 방열판 21 : 결합슬롯 22 : 저면 23 : 요철부
30 : 수평발광부 31 : 결합돌기 32 : 돌출돌기 33 : 만곡부
40 : 수직발광부 41 : 결합공
L : 발광부 La : PCB Lb : 발광다이오드
50 : 제어부 51 : 관통공 52 : 저항 53 : 스위치 54 : 보호부
60 : 몰딩부 61 : 커버 62 : 밀폐부재

Claims (6)

  1. (+),(-)전원단자가 각각 저면부와 외벽에 구비되어 소켓에 전기적으로 결합되는 베이스부;
    PCB와 상기 PCB에 실장 되어 있는 발광다이오드를 포함하는 발광부; 및
    상기 베이스부 상부에 결합되어 입력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발광부의 발광다이오드를 점등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발광부는 제어부와 수직으로 연결형성된 방열부와, 상기 방열부에 서로 거리를 두고 결합되는 다수 개의 수평발광부와, 상기 수평발광부에 수직으로 결합되는 수직발광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열부는 수직발광부의 외곽을 따라 다수 개 형성되는 방열판과, 상기 각각의 방열판의 내측에서 형성되는 연장부와, 상기 각각의 연장부를 연결하여 방열부를 일체화시키는 중심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중심부의 내부는 비어있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방열판의 내측에서 형성된 연장부는 방열판의 폭보다 적은 폭으로 형성되어 방열판의 저면과 연장부와 중심부의 상면에 의해 결합슬롯이 형성되고,
    상기 수평발광부에는 상기 결합슬롯에 삽입되기 위한 결합돌기가 형성되어 방열부에 대한 수평발광부의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베이스부 내부에는 와이어가 삽입되는 (+)공과 (-)공이 형성된 와이어지지판이 구비되되,
    상기 (+)공과 (-)공은 베이스부를 기준하여 내부에서 외부로 단면적이 작아지는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발광부에는 돌출돌기가 형성되고, 수직발광부에는 돌출돌기를 위한 결합공이 형성되며,
    상기 돌출돌기는 결합공을 관통하여 일정부분이 돌출되고, 결합성 및 전기적 연결을 위하여 결합부위는 납땜에 의하여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5.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부는 방열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와 맞닿는 면에 요철(凹凸)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6. 삭제
KR1020080058970A 2008-06-23 2008-06-23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KR1009877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70A KR100987735B1 (ko) 2008-06-23 2008-06-23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58970A KR100987735B1 (ko) 2008-06-23 2008-06-23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07A KR20090132807A (ko) 2009-12-31
KR100987735B1 true KR100987735B1 (ko) 2010-10-13

Family

ID=416917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58970A KR100987735B1 (ko) 2008-06-23 2008-06-23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773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03B1 (ko) 2010-06-07 2010-11-30 한태규 조명장치
KR101336828B1 (ko) * 2012-06-11 2013-12-04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광소자 어레이용 히트싱크
KR101389558B1 (ko) 2012-10-08 2014-04-25 성광그린텍 주식회사 엘이디용 전 방위 방열 하우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5721B1 (ko) * 2010-01-19 2012-04-13 김용철 소켓형 led 조명등기구
KR101137300B1 (ko) * 2010-10-12 2012-04-19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Led 등기구
KR101147962B1 (ko) * 2010-10-12 2012-05-24 인성 엔프라 주식회사 Led 등기구
KR101352563B1 (ko) * 2012-06-14 2014-01-17 주식회사 디에스이 Led전구의 led모듈과 컨버터의 연결장치
CN203718503U (zh) * 2013-12-12 2014-07-16 广东美的厨房电器制造有限公司 用于微波炉的照明灯及微波炉
CN104456411B (zh) * 2014-12-05 2016-01-06 湖南城市学院 一种竹质灯罩及其生产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37Y1 (ko) * 2003-06-13 2003-10-08 이종현 발광다이오드 경광등
KR100810149B1 (ko) * 2006-03-31 2008-03-06 동진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29137Y1 (ko) * 2003-06-13 2003-10-08 이종현 발광다이오드 경광등
KR100810149B1 (ko) * 2006-03-31 2008-03-06 동진전자 주식회사 발광다이오드를 이용한 투광기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6703B1 (ko) 2010-06-07 2010-11-30 한태규 조명장치
US8072123B1 (en) 2010-06-07 2011-12-06 Han Tae-Kyu Illumination apparatus
KR101336828B1 (ko) * 2012-06-11 2013-12-04 (주)포인트엔지니어링 광소자 어레이용 히트싱크
KR101389558B1 (ko) 2012-10-08 2014-04-25 성광그린텍 주식회사 엘이디용 전 방위 방열 하우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32807A (ko) 2009-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735B1 (ko) 방열구조를 개선한 led형 다각형 램프
US6786625B2 (en)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US6371636B1 (en) LED light module for vehicles
WO2013014819A1 (ja) ランプ
KR200447930Y1 (ko) 형광등 형태의 엘이드 조명등
JP3197657U (ja) 車のledライト
US20040022057A1 (en) Led lamp for signal light
KR20090054678A (ko) 엘이디를 이용한 다각형 램프 및 이의 제조방법
US7963665B2 (en) Vehicle light and LED package
KR20010069867A (ko) 발광다이오드(led)램프 광원 조명체의 형성방법
CN107599995A (zh) 一种汽车发光标牌
KR101319991B1 (ko) Led 램프의 방수 구조
KR101672439B1 (ko) Led소켓조립체
WO2005085703A1 (en) Vehicle lighting apparatus using leds
KR20200091754A (ko) 자동차용 엘이디조명램프
KR200411203Y1 (ko) 조명등용 엘이디 전구
CN207962515U (zh) 一种新型led车灯
KR101683624B1 (ko) 차량용 led 램프
JP6781586B2 (ja) 車両用光源ユニット
KR101214982B1 (ko) 조명각을 다르게 한 고효율 확장형 엘이디조명등
KR101039314B1 (ko) 엘이디를 이용한 차량용 시그널 램프
KR101075881B1 (ko) 엘이디 조명장치
KR20010000635A (ko) 교통신호등용 발광다이오드전구
KR200227887Y1 (ko) 교통신호등용 발광다이오드전구
CN213686289U (zh) 一种灯丝及灯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