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7257B1 -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7257B1
KR100987257B1 KR1020080008167A KR20080008167A KR100987257B1 KR 100987257 B1 KR100987257 B1 KR 100987257B1 KR 1020080008167 A KR1020080008167 A KR 1020080008167A KR 20080008167 A KR20080008167 A KR 20080008167A KR 100987257 B1 KR100987257 B1 KR 1009872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heat generating
heating device
heat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08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1973A (ko
Inventor
유병훈
공재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엠따블유에너지
Priority to KR1020080008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7257B1/ko
Priority to CN2009801026519A priority patent/CN101919108A/zh
Priority to US12/864,225 priority patent/US8071240B2/en
Priority to PCT/KR2009/000344 priority patent/WO2009093854A2/ko
Priority to JP2010543067A priority patent/JP2011510451A/ja
Priority to EP09703795.6A priority patent/EP2249428B1/en
Publication of KR200900819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19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72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7257B1/ko
Priority to JP2012256622A priority patent/JP5572685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5/00Heat-transfer, heat-exchange or heat-storage materials, e.g. refrigerants; Materials for the production of heat or cold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by combustion
    • C09K5/16Materials undergoing chemical reactions when used
    • C09K5/18Non-reversible chemical rea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VCOLLECTION, PRODUCTION OR USE OF HEA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V30/00Apparatus or devices using heat produced by exothermal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combus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Types of temperature control
    • H01M10/615Heating or keeping war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2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1M10/623Portable devices, e.g. mobile telephones, cameras or pacemak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5Solid structures for heat exchange or heat conduction
    • H01M10/6554Rods or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60Heating or cooling; Temperature control
    • H01M10/6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 H01M10/6595Means for temperature control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cells by chemical reactions other than electrochemical reactions of the cells, e.g. catalytic heaters or burn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2/00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2/04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 H01M12/06Hybrid cells; Manufacture thereof composed of a half-cell of the fuel-cell type and of a half-cell of the primary-cell type with one metallic and one gaseous electrod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5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e.g. for maintaining operating temperature
    • H01M6/5038Heating or cooling of cells or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Hybrid Cel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Sealing Battery Cases Or Jackets (AREA)

Abstract

저온 조건에서도 전지가 안정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도록 할 수 있는 전지용 발열장치 및 전지 어셈블리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전지용 발열장치는 전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발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며, 발열부는 공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발열체를 감싸되 전지에 밀착하도록 지지하는 몸체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전지의 내부 온도를 전기 생산을 위한 활성화 가능 온도 범위 내에서 유지되도록 하여 온도가 낮은 조건에서 전지의 성능이 지속될 수 있다.
발열, 온도, 활성, 전지셀, 공기, 금속, 화학

Description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Heating device for a battery and battery assembl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전지용 발열장치 및 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공기의 온도가 낮은 곳에서도 전지의 활성화를 유지시켜 주는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휴대가 용이하도록 최근의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소형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더불어 사용자들은 더 많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으며, 이러한 사용자들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전자기기들은 점점 더 다양한 기능들이 수행되도록 개발되고 있다. 그런데, 장시간 휴대하면서도 다양한 컨테츠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전자기기에 전원을 제공하는 전지의 성능이 매우 우수해야 한다. 이러한 요구에 부응하여 개발된 전지 중 하나가 공기-금속 전지이다. 공기- 금속 전지는 일반적인 망간 건전지, 알칼리 망간 건전지들과 비교해 볼 때, 보다 높은 전압을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에너지 밀도가 높고 방전 용량이 크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지는 일정 온도 이상이 되어야 전지로써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는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는 전지 내부물질의 활성 능력이 낮아지게 되고, 그 결과 전기를 생산하는 전지의 성능이 급격히 떨어지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어떤 온도 조건하에서도 전지가 제 성능을 발휘하도록 하기 위해 전지 내부물질의 온도가 활성화 온도 범위내에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하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지의 내부에 열을 발산되도록 하여 저온에서도 전지의 내부 물질이 활성화되도록 할 수 있는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공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재질을 이용함으로서 음극으로 작용하는 전지를 향해 유입된 공기를 이용할 수 있는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를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전지용 발열장치는 전지가 활성화되기 위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전지용 발열장치는 상기 전지의 일측에 구비되어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발열되는 발열부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발열부는 상기 공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감싸되 상기 전지에 밀착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형태를 갖는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몸체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는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는 금속, 금속의 염 및 그 유도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질 수 있으며, 또한 그 형태는 분말형태를 가질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기 발열체에 의해 상기 전지의 내부온도는 30 내지 60℃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전지에서 양극부의 대향측에 구비될 수 있으나, 그 위치가 이에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발열부는 분말 형태를 갖고 상기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를 내부에 수용하되 상기 전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형태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는 양극 단자를 구비한 양극부, 음극 단자를 구비한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의 대향측에 구비되고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에 의해 상기 양극부 및 음극부는 활성화 온도 조건으로 도달 또는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양극부는 물을 함유하되, 상기 공기를 수용하여 수산화 이온을 생성할 수 있으며, 상기 음극부는 상기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는 아연을 구비하되, 전자를 생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전지 어셈블리의 내부 공간에 열을 발생하는 발열부를 구비하여 낮은 온도 환경에서도 전기를 생성할 수 있도록 전지 내부공간의 온도를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공기와 반응하는 발열체를, 공기와 접촉 반응하는 양극부 및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여 전자를 생성하는 음극부로 구성된 공기-금속 전지에 설치하는 경 우에, 공기 공급을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없어 설치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용 발열장치가 구비된 전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100)는 양극부(110), 음극부(120), 세퍼레이터(130) 및 발열부(140)를 포함한다.
상기 양극부(110)는 양극단자(112)를 구비하고, 상기 양극단자(112)를 통해 전자를 받는다. 그리고, 상기 음극부(120)는 전자를 생성하고 음극단자(122)를 통해 전자를 외부로 나가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음극부(120)는 상기 음극부(120)를 외부로부터 보호하기 위한 음극 케이스(124)를 구비한다. 상기 음극 케이스(124)는 부도체 성질을 가지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음극단자(122)는 하나의 철심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양극단자(112)는 상기 양극부(110)의 측부에 형성된다. 한편, 본 실시예와는 다르게, 상기 음극단자 및 양극단자는 그 위치 및 형태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여기서, 상기 세퍼레이터(130)는 상기 양극부(110)와 상기 음극부(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양극부(110)와 상기 음극부(120)가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나 상기 양극부(110)와 음극부(120)에서 화학반응을 통해 생성된 이온의 이동은 자유롭다. 상기 이온들은 세퍼레이터(130)를 통해 양극부(110)와 음극부(120) 사이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양극부(110)는 외부로 노출되어 형성되어 공기와 직접 접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서의 상기 양극부(110)는 상기 공기에 포함된 산소와 반응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40)는 상기 음극부(120)에 인접하도록 구비되며, 도 1에서는 상기 음극부(120)의 상측, 즉 상기 양극부(110)와 대향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140)는 유연한 재질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발열성 물질을 저장할 수 있다. 상기 발열성 물질은 공기와 반응하여 열을 발생하는 물질을 의미하며, 구체적으로는,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금속염 또는 그 유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상기 발열부(140)는 몸체(142) 및 발열체(144)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42)는 포켓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음극 케이스(124)의 외측과 내측 사이로 발열성 물질로 이루어진 상기 발열체(144)를 수납한다. 즉, 상기 몸체(142)는 상기 발열체(144)가 상기 음극부(120)에 밀착되도록 감싸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42)는 공기가 투과하는 통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체(144)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으며, 본 실시예서는 발열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 분말 형태로 형성된다. 그러나, 발열체의 형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조, 운반 및 처리가 용이한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 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발열체(144)는 탄산칼슘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외에도 상기 공기와 반응하여 발열하는 다양한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전지 어셈블리(100)가 낮은 온도의 장소에 위치하더라도,상기 발열부(140)로부터 발생된 열로 인해 내부온도는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에서 전기가 지속적으로 생산되기 위한 활성화 온도 또는 그 이상의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140)에 의해 생성된 열량은 적절히 조절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발열부(140)로부터 발산된 열에 의해 상기 전지 어셈블리(100)의 내부온도는 상기 음극부(120) 및 양극부(110)의 반응 물질이 변질되지 않는 정도까지 증가되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상기 발열부(140)는 상기 전지 어셈블리(100)의 크기, 상기 발열체(144)의 양 등을 고려하여 상기 전지 어셈블리(100)의 내부공간의 온도가 임계 온도 이하가 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는 케이스 내부 공간의 온도를 감지하는 온도센서 및 상기 온도센서를 통해 감지된 온도 정보를 통해 상기 발열체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몸체(142)는 화학, 천연 직물이나 그와 유사한 통기성 재질을 사용할 수 있으며, 또한 상기 발열체(144)는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생시키는 금속, 금속염 또는 그 유도체 재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100)에서, 상기 양극부(110)는 공기와 반응하여 수산화 이온(OH-)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구성요소이고, 상기 음극부(120)는 상 기 수산화 이온을 제공받아 전자를 생성하는 구성요소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공기의 유입에 따른 발열 및 전원 생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기(a)중에 포함된 산소(O2)는 양극부(110)로 공급되고, 상기 공기중에 포함된 산소(O2) 또는 증기상태의 수분(H2O)이 발열부(140)로 공급된다.
상기 양극부(110)에서는 상기 산소(O2)를 공급받아 전기 생성을 위한 수산화 이온(OH-)을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발열부(140)에서는 상기 공기(O2) 또는 증기 상태의 수분(H2O)과 반응하여 열을 생성한다. 상기 발열부(140)로부터 생성된 열을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로 공급되어 상기 양극부(110) 및 음극부(120)에서 전기 생성을 위한 산화-환원 반응이 원활히 진행되도록 양호한 온도조건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140)를 통해 상기 전지 어셈블리(100)의 내부온도는 약 30 내지 60℃로 유지될 수 있다.
도 3은 발열부의 변형예로써, 포켓 형태로 형성된 발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발열부(150)는 포켓 형태로 형성되어 그 내부에 발열체(154)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발열체는 분말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좋으며, 이외에도 블록 형태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발열부(150)는 본 발명의 전지 어셈블리(도1, 100)에 부착하기 위해서 결합파트(미도시)가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파트는 접착제, 벨크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152)의 일측에는 상기 몸체(152)를 개구하는 입구파트가 형성되어 상기 몸체(152)에 저장되었던 기존에 발열체(154)를 새로운 발열체로 교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전지용 발열장치가 구비된 전지 어셈블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공기의 유입에 따른 발열 및 전원 생성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작동도이다.
도 3은 발열부의 변형예로써, 포켓 형태로 형성된 발열부를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전지 어셈블리 110: 양극부
112: 양극단자 120: 음극부
122: 음극단자 130: 세퍼레이터
140, 150: 발열부 142, 152: 몸체
144, 154: 발열체

Claims (10)

  1. 전지가 활성화되기 위한 온도를 유지하는 전지용 발열장치에 있어서,
    금속, 금속의 염 및 그 유도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로 이루어지며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감싸되 상기 전지에 밀착하도록 지지하는 몸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지의 일측에 구비되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공기가 통과되는 통기성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분말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체는 상기 전지의 내부 온도를 30 내지 6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는 상기 전지에서 양극부의 대향측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8. 전지가 활성화되기 위한 온도를 유지하는 전지용 발열장치에 있어서,
    금속, 금속의 염 및 그 유도체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의 물질의 분말 형태를 갖고 산소 또는 수분과 반응하여 열을 발산하는 발열체와 상기 발열체를 내부에 수용하는 형태를 갖고 상기 전지와 탈착 가능하도록 결합하는 형태를 갖는 몸체로 이루어지는 발열부를 포함하는 전지용 발열장치.
  9. 양극 단자를 구비한 양극부;
    음극 단자를 구비한 음극부; 및
    상기 양극부의 대향측에 구비되고, 공기와의 반응을 통해 열을 발산하는 발열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에 의해 상기 양극부 및 음극부는 활성화 온도 조건으로 도달 또는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부는 상기 공기를 수용하여 수산화 이온을 생성하고, 상기 음극부는 상기 수산화 이온과 반응하는 아연을 구비하되, 전자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지 어셈블리.
KR1020080008167A 2008-01-25 2008-01-25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KR1009872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67A KR100987257B1 (ko) 2008-01-25 2008-01-25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CN2009801026519A CN101919108A (zh) 2008-01-25 2009-01-22 电池用发热装置及包括该电池用发热装置的电池组件
US12/864,225 US8071240B2 (en) 2008-01-25 2009-01-22 Heating device for a battery and battery assembly having the same
PCT/KR2009/000344 WO2009093854A2 (ko) 2008-01-25 2009-01-22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JP2010543067A JP2011510451A (ja) 2008-01-25 2009-01-22 電池用発熱装置およびこれを備える電池アセンブリー
EP09703795.6A EP2249428B1 (en) 2008-01-25 2009-01-22 Heat-generating device for battery and battery assembly including same
JP2012256622A JP5572685B2 (ja) 2008-01-25 2012-11-22 電池アセンブリ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08167A KR100987257B1 (ko) 2008-01-25 2008-01-25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1973A KR20090081973A (ko) 2009-07-29
KR100987257B1 true KR100987257B1 (ko) 2010-10-12

Family

ID=40901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08167A KR100987257B1 (ko) 2008-01-25 2008-01-25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8071240B2 (ko)
EP (1) EP2249428B1 (ko)
JP (2) JP2011510451A (ko)
KR (1) KR100987257B1 (ko)
CN (1) CN101919108A (ko)
WO (1) WO2009093854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93776B2 (en) * 2013-07-17 2016-03-22 Elwha Llc Cathode temperature regulation for metal-air batteries
US9379395B2 (en) 2013-07-17 2016-06-28 Elwha Llc Active cathode temperature control for metal-air batteries
CN104716364B (zh) * 2013-12-15 2018-03-27 中国科学院大连化学物理研究所 一种锌/空气电池低温启动方法
KR101629755B1 (ko) * 2015-02-06 2016-06-13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이차 전지의 저온 출력 특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 및 그 방법
CN106058381B (zh) * 2016-07-11 2018-10-12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电池的低温补偿方法及装置
CN106450582A (zh) * 2016-09-06 2017-02-22 深圳天珑无线科技有限公司 一种电池的加热方法、加热系统及电池
CN109713402B (zh) * 2018-12-28 2020-07-03 南京大学 可在极限温度范围工作的太阳能光热锂电池及其制备方法
KR20210136690A (ko) 2020-05-08 2021-11-17 삼성전자주식회사 금속-공기 전지장치 및 그 온도 제어 방법
CN112582707A (zh) * 2020-12-10 2021-03-30 华霆(合肥)动力技术有限公司 电池控温装置和电池包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473A (ja) * 1981-11-11 1983-05-1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用正極の製造法
JPH0410366A (ja) * 1990-04-25 1992-01-14 Otsuka Chem Co Ltd 加熱機構を有する二次電池
US6365296B1 (en) * 1999-07-01 2002-04-02 Aer Energy Resources, Inc. Convective air manager for metal-air battery
KR100658254B1 (ko) * 2002-04-26 2006-12-1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전지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01250A (en) * 1965-03-26 1967-01-31 Sun Pak Products Inc Flameless heater, heating assembly and heating kit
JPS55138768U (ko) * 1979-03-23 1980-10-03
JPS582969U (ja) * 1981-06-30 1983-01-10 昭和電線電纜株式会社 バツテリ保温バンド
JPS6168472U (ko) * 1984-10-11 1986-05-10
US5372691A (en) * 1992-06-04 1994-12-13 Globe-Union Inc. Thermocell
US5422196A (en) * 1992-08-05 1995-06-06 Saft America, Inc. Pressure vessel for pressurized secondary cells and batteries
US6575156B2 (en) * 2001-04-05 2003-06-10 Motorola, Inc. Battery warmer
US20060166097A1 (en) * 2005-01-26 2006-07-27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Ltd. Thermal battery
WO2006126831A1 (en) * 2005-05-27 2006-11-30 E.M.W. Energy Co., Ltd. Batter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ATE556461T1 (de) * 2006-02-17 2012-05-15 Emw Energy Co Ltd Zylindrische zink-luft-zelle und herstellungsverfahren dafür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82473A (ja) * 1981-11-11 1983-05-18 Sanyo Electric Co Ltd 非水電解液電池用正極の製造法
JPH0410366A (ja) * 1990-04-25 1992-01-14 Otsuka Chem Co Ltd 加熱機構を有する二次電池
US6365296B1 (en) * 1999-07-01 2002-04-02 Aer Energy Resources, Inc. Convective air manager for metal-air battery
KR100658254B1 (ko) * 2002-04-26 2006-12-14 카와사키 주코교 카부시키 카이샤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1510451A (ja) 2011-03-31
US8071240B2 (en) 2011-12-06
EP2249428B1 (en) 2016-11-30
EP2249428A2 (en) 2010-11-10
WO2009093854A2 (ko) 2009-07-30
KR20090081973A (ko) 2009-07-29
WO2009093854A3 (ko) 2009-11-12
CN101919108A (zh) 2010-12-15
US20100297487A1 (en) 2010-11-25
EP2249428A4 (en) 2014-02-26
JP2013065566A (ja) 2013-04-11
JP5572685B2 (ja) 2014-08-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87257B1 (ko) 전지용 발열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어셈블리
US7108933B2 (en) Thermally efficient hydrogen storage system
US7670698B2 (en) Silicide fueled power generators and methods related thereto
JP6178871B2 (ja) 多段式の酸素圧縮機を備えている金属酸素電池
US20220406341A1 (en)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composition that can actively generate and release a gaseous oxidizing agent component into an interior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subassemblies and methods
US20230386523A1 (en) Electronic device that includes a composition that can actively generate and release a gaseous oxidizing agent component into an interior space of the electronic device, and related subassemblies and methods
WO2001026175A1 (en) Metal-air battery device
JP5223169B2 (ja) 燃料容器及び発電システム
JP2006232593A (ja) 水素発生セル及び水素発生装置
JP2004281340A (ja) 燃料容器
JP2020503658A (ja) 金属空気燃料電池
KR101903803B1 (ko) 연료전지시스템
KR102090866B1 (ko) Mg-공기 전지
JP2007005275A (ja) 水素発生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
JP5002138B2 (ja) 電子機器
JP5177343B2 (ja) 直接メタノール形燃料電池用固体状メタノール燃料カートリッジ及び直接メタノール形燃料電池システム
KR102090865B1 (ko) Mg-공기 전지
JP2007080630A (ja) 電子機器
JP2008084593A (ja) 燃料電池
US20160010893A1 (en) Heating device
JP2009082810A (ja) 断熱装置及び燃料電池システム並びに断熱容器の冷却方法
JP2007323862A (ja) 冷却装置およびこの冷却装置を備えた燃料電池
CN108091965A (zh) 一种镁空气电池
JP2015125890A (ja) 燃料電池システム
JP5151138B2 (ja) 液体回収装置及び電子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0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2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