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5641B1 -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 Google Patents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5641B1
KR100985641B1 KR1020080073875A KR20080073875A KR100985641B1 KR 100985641 B1 KR100985641 B1 KR 100985641B1 KR 1020080073875 A KR1020080073875 A KR 1020080073875A KR 20080073875 A KR20080073875 A KR 20080073875A KR 100985641 B1 KR100985641 B1 KR 1009856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spectacle lens
tongs
spectacle
support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471A (ko
Inventor
민병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보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보테크
Priority to KR1020080073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5641B1/ko
Publication of KR20100012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56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56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8Moulds for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33/00Moulds or cores; Details thereof or accessories therefor
    • B29C33/20Opening, closing or clamping
    • B29C33/202Clamping means operating on closed or nearly closed mould parts, the clamping means being independently movable of the opening or clos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29D11/00432Auxiliary operations, e.g. machines for filling the mou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두 장의 안경렌즈용 몰드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외측을 테이프로 감아준 후 배출되게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주는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를 밀어 넣을 때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집게의 내측으로 투입될 때 안경렌즈용 몰드가 낙차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 측정기 사이로 투입시키는 집게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집게 사이로 상하 이동하는 받침판을 설치함으로써,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될 때 받침판이 집게 높이로 이동하여 낙차 없이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게 하고,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면 받침판이 하강하여 집게가 오므려질 때 안경렌즈용 몰드의 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경렌즈용 몰드의 투입 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안경렌즈용 몰드, 집게, 낙차, 받침판

Description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omitted}
본 발명은 안경렌즈를 제조하기 위하여 두 장의 안경렌즈용 몰드를 서로 이격시킨 상태에서 외측을 테이프로 감아준 후 배출되게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테이핑 장치에 있어서,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주는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를 밀어 넣을 때 높이 차이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집게의 내측으로 투입될 때 안경렌즈용 몰드가 낙차에 의한 충격을 받지 않도록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에 관한 것이다.
안경렌즈용 몰드 테이핑 장치는 도 1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와 같은 형상의 안경렌즈용 몰드 두 장을 상하로 벨트 콘베이어(10)(20)를 타고 이동시킨 후 상기 두 장의 안경렌즈용 몰드를 상,하로 배치된 두 개의 집게(30)(31)(32)(33) 사이로 투입시키되 상부에 위치한 집게(32)(33) 사이에는 에어실린더(40)에 설치된 진공흡입구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은 후 이를 이동시켜 투입하게 되고, 하부에 위치한 집게(30)(31) 사이에는 수평 밀음구(61)를 이용하여 투입하게 되며, 위와 같이 두 개의 집게(30)(31)(32)(33)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면 집게(30)(31)(32)(33)를 오므려 안경렌즈용 몰드의 측면을 집은 상태로 안경렌즈용 몰드 사이의 중심거리와 초점거리를 측정하기 위한 에어센서(5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상측에 위치한 집게(32)(33) 사이에는 에어실린더(40)에 설치된 진공 흡입구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은 후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은 상태로 집게(32)(33) 사이로 이동하여 안경렌즈용 몰드를 놓아주게 되므로, 안경렌즈용 몰드의 파손 우려가 전혀 없게 되나, 하측에 위치한 집게(30)(31) 사이에는 구조적으로 측면에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밀어 넣게 되고, 집게(30)(31)의 높이만큼 낙차가 발생하여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30)(31) 사이로 떨어질 때 낙차에 의한 파손의 우려가 있게 된다.
즉 하측에 위치한 집게(30)(31)는 도 4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집게(30)(31) 사이에 안경렌즈용 몰드(70)를 투입시키되 벨트 콘베이어(10)를 타고 정위치로 이동한 안경렌즈용 몰드(70)는 좌우 이동하는 밀음구(71)에 의해 벨트 콘베이어(10)에서 이탈되어 몰드 대기판(75)에서 대기하게 되고, 이렇게 몰드 대기판(75)에서 대기된 안경렌즈용 몰드(70)는 에어실린더(60)로 작동하는 밀음구(61)로 밀어주어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31) 사이에 투입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하측의 안경렌즈용 몰드(70)를 투입시키는 과정은 도 4에 몰드 숫자를 이용하여 표시하였다.
이 같이 집게(30)(31) 사이에는 몰드 대기판(75)에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밀음구(61)로 밀려 떨어지게 되므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의 높이만큼 낙차를 갖고 떨어지게 되며, 이로 인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의 모서리 부위가 파 손되는 문제와 함께 심한 경우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31) 사이를 벗어나게 되는 문제가 따르게 된다.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31) 사이로 투입되면 집게(30)(31)는 내측으로 오므라들면서 안경렌즈용 몰드(70)의 측면을 잡아주게 되고, 이 상태로 집게(30)(31)를 전방으로 이동시켜 에어센서(50) 쪽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여기서 집게(30)(31)가 오므라들면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아주고, 집게(30)(31)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에어센서(50)의 상부에 위치시킨 후 별도의 흡착구를 상하로 이동시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아준 후 에어센서(50)에서 측정이 이루어지게 하는 일련의 과정은 공지된 사실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때 에어센서(50)의 상측으로도 집게(32)(33)에서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이동시키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측정기로 투입하기 위하여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주고, 상하로 위치한 집게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가 측방향에서 투입될 때 높이 차이로 인한 낙차로 인해 안경렌즈용 몰드가 손상을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될 때 낙차를 없애주어 안경렌즈용 몰드의 손상을 없애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부에 위치한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주는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 용 몰드가 투입될 때 집게의 높이 차이로 인한 낙차를 없애주어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될 때 파손되는 문제를 없애주는 것이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 측정기 사이로 투입시키는 집게에 있어서, 하부에 위치한 집게 사이로 상하 이동하는 받침판을 설치함으로써,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될 때 받침판이 집게 높이로 이동하여 낙차 없이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게 하고,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면 받침판이 하강하여 집게가 오므려질 때 안경렌즈용 몰드의 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는 것으로, 안경렌즈용 몰드의 투입 시 파손을 방지하게 된다.
특히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게 사이로 투입할 때 받침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안경렌즈용 몰드를 낙차 없이 받아준 후 받침판을 하부로 이동시켜 집게가 안경렌즈용 몰드의 측면을 잡아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될 때 받침판을 상부로 이동시켜 높이에 따른 낙차 없이 안경렌즈용 몰드를 받아 집게로 집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안경렌즈에 낙하 충격이 가해지지 않아 모서리 부위가 파손되는 경우를 없애게 되는 한편 낙하 충격으로 인하여 제 위치를 벗어나게 되는 경우도 없애주게 된다.
즉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주는 집게에서 안경렌즈용 몰드를 투입할 때 높낮이가 없이 투입되게 함으로써, 안경렌즈용 몰드가 낙차로 인한 손상을 받지 않게 된다.
본 발명은 상하 다른 위치에서 콘베어 벨트를 타고 이동하여 몰드 대기판에서 대기하고 있는 두 장의 안경렌즈용 몰드를 상하로 위치된 두 개의 집게 사이로 투입하되 하부에 위치한 집게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를 밀어 넣을 때 집게 사이에서 받침판이 상승하여 집게의 측방향에서 투입되는 안경렌즈용 몰드를 받은 후 받침판을 하강시켜 집게로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집게 사이에 안경렌즈용 몰드를 받치는 받침판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판은 에어 실린더에 의해 상하 이동되게 하는 것으로, 측방향에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될 때 받침판이 상부로 이동하여 안경렌즈용 몰드를 받아준 후 이를 하부로 이동시켜 집게가 좁혀질 때 안경렌즈용 몰드의 측면을 몰드로 잡아 주게 한다.
즉 본 발명은 집게의 내측에서 상하 이동하는 받침판을 설치하여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될 때 안경렌즈용 몰드를 받은 후 하강하게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될 때 안경렌즈용 몰드가 타고 넘는 집게보다 반대쪽 집게는 그 높이를 높게 하여 안경렌즈용 몰드가 수평으로 이동할 때 집게에 의해 걸리게 함으로써 안경렌즈용 몰드를 정위치로 밀어 넣을 수 있도록 한다.
즉 안경렌즈용 몰드를 투입하는 실린더의 작업 속도가 빠를 경우 밀음구에서 안경렌즈용 몰드가 밀리는 속도가 빨라지게 되고, 이로 인하여 안경렌즈용 몰드가 반대쪽 집게를 지나치는 경우가 발생하게 되므로, 본 발명에서는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는 방향의 집게 높이보다 반대쪽의 집게 높이를 높게 함으로써 안경렌즈 몰드가 집게 사이를 이탈하게 되는 경우를 없애게 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집게의 두께를 달리하여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될 때 높은 쪽 집게를 넘지 못하고 걸리게 함으로써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내측의 받침판에 얌전히 올려 질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을 첨부된 실시에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상하로 위치된 콘베어 벨트(10)(20)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상하로 위치된 집게(30)(31)(32)(33) 사이로 투입함에 있어서, 상부에 위치한 집게(32)(33) 사이에는 상하 이동하고 전,후진 하는 에어실린더(40)의 하부에 설치된 진공흡착구로 안경렌즈용 몰드의 상부를 흡착한 후 집게(32)(33)사이로 이동시켜 투입되게 하고, 하부에 위치한 집게(30)(31) 사이에는 밀음구(71)로 몰드 대기판(75)에 올려진 안경렌즈용 몰드(70)를 밀음구(61)로 이동시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31)사이로 투입되게 하되 상기 집게(30)(31) 사이에는 받침판(100)을 설치하고, 상기 받침판(100)의 하부에는 에어실린더(110)를 결합시킴으로써 받침판(100)이 에어실린더(110)에 의해 상하 이동하게 한다.
여기서 집게(30)(31)는 양쪽의 높이를 다르게 하되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되는 쪽에 위치한 집게(30)보다 반대쪽에 위치한 집게(31)의 높이가 높도록 하여, 받침판(100)이 집게(30)와 같은 높이를 유지한 상태에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될 때 높은 쪽 집게(31)에 안경렌즈용 몰드(70)가 걸리게 하여 집게 (30)(31)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위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은 집게(30)(31) 사이에서 받침판(100)이 에어 실린더(110)에 의해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안경렌즈용 몰드(70)가 밀음구(61)에 의해 집게(30)(31) 사이로 투입될 때 받침판(100)이 상부로 이동하여 집게(30)의 높이와 같은 높이가 되게 하여, 몰드 대기판(75)과 집게(30) 그리고 받침판(100)의 높이가 같게 되므로, 밀음구(61)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밀을 때 안경렌즈용 몰드(70)는 높이에 따른 낙차 없이 집게(30)(31) 사이로 투입되게 된다.
이때 집게(31)는 받침판(100)이 상부로 올라왔을 때보다 높이가 높게 하여, 밀음구(61)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집게(30)(31) 사이로 투입될 때 높은 집게(31)에 안경렌즈용 몰드(70)가 걸려 정확히 집게(30)(31)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위치되게 한다.
이 같이 집게(30)(31) 사이에 받침판(100)을 상승시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받침판(100)의 상부에 놓이게 하면, 에어 실린더(110)로 받침판(100)을 하강시켜 받침판(100)의 상면 높이가 집게(30)(31)의 하측 높이와 같게 하고, 이 상태에서 집게(30)(31)를 오므려 안경렌즈용 몰드(70)의 측면을 집게(30)(31)가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안경렌즈용 몰드(70)의 측면을 집게(30)(31)가 잡게 되면, 집게(30)(31)를 전진시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에어센서(50)의 하측으로 놓이게 한 후 진공 흡입구를 이용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아주게 되는 것으로, 집게(30)(31)을 이용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아주고, 이를 에어센서(50) 쪽으로 이동시킨 후 진 공 흡입구가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으면 집게(30)(31)를 벌리고 후퇴하는 과정은 당 업계의 일반화된 과정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위와 같은 측정 과정은 집게(32)(33)를 이용하여 또 다른 안경렌즈용 몰드를 잡아 에어센서(50)의 상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은 기존의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아주는 집게(30)(31)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투입할 때 높이가 달라 낙차로 인한 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집게(30)(31) 사이로 받침판(100)을 설치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될 때 받침판(110)을 상승시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받은 후 받침판(100)을 하강시켜 집게(30)(31)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잡을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집게(30)(31) 사이로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될 때 낙차 없이 투입이 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낙차 없이 안경렌즈용 몰드(70)의 투입이 가능하므로, 안경렌즈용 몰드(70)의 손상 없이 투입할 수 있게 되며, 안경렌즈용 몰드(70)의 투입시 집게(31)의 높이를 높게 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가 정위치에서 벗어나는 일을 막아주게 되므로, 오동작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이 같이 본 발명은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집게(30)(31) 사이로 투입할 때 높이 차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충격에 의한 손상이나 위치 틀어짐을 방지할 수 있게된다.
도 1은 안경렌즈용 몰드의 외측에 테이프를 감아주는 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받침판이 도시된 집게 부위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받침판이 형성된 집게 부위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하측에 위치한 안경렌즈용 몰드가 투입되는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되기 전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된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7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게로 잡은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8은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되기 전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9는 안경렌즈용 몰드가 집게 사이로 투입된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0은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게로 잡은 상태를 보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받침판이 올라가기 전 상태의 정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받침판이 올라간 상태의 정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받침판 위로 안경렌즈용 몰드를 이동시킨 상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받침판을 하강시키는 상태의 정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받침판에 놓인 안경렌즈용 몰드를 집게로 잡은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에서 높이가 높은 집게에 안경렌즈용 몰드가 부딪힌 상태를 보인 정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20 : 벨트 콘베이어 30 ,31,32,33 : 집게
50 : 에어센서 60 : 에어실린더
61 : 밀음구 70 : 안경렌즈용 몰드
75 : 몰드 대기판 100 : 받침판
110 : 에어실린더

Claims (2)

  1. 상하로 설치된 벨트 콘베이어(10)(20)를 타고 이동하는 안경렌즈용 몰드(70)를 상하로 설치된 두 개의 집게(30)(31)(32)(33) 사이로 투입하되 하부에 위치된 집게(30)(31) 사이에는 에어 실린더(60)로 수평 이동하는 밀음구(61)로 안경렌즈용 몰드(70)를 투입시킴에 있어서,
    상기 집게(30)(31) 사이에는 에어실린더(110)에 의해 상하 이동하는 받침판(100)을 설치하되 상기 받침판(100)을 집게(30)와 같은 높이로 이동시킨 후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되게 하고, 받침판(100)을 하강시킨 후 집게(30)(31)로 안경렌즈용 몰드(70)의 측면을 잡아주게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집게(30)(31)는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되는 쪽의 집게(30)보다 반대쪽에 위치한 집게(31)의 높이를 높게 하여 안경렌즈용 몰드(70)가 투입될 때 안경렌즈용 몰드(70)가 높은 쪽 집게(31)에 부딪혀 집게(30)(31) 사이에 위치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장치.
KR1020080073875A 2008-07-29 2008-07-29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KR1009856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75A KR100985641B1 (ko) 2008-07-29 2008-07-29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875A KR100985641B1 (ko) 2008-07-29 2008-07-29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71A KR20100012471A (ko) 2010-02-08
KR100985641B1 true KR100985641B1 (ko) 2010-10-05

Family

ID=420866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875A KR100985641B1 (ko) 2008-07-29 2008-07-29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56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163B1 (ko) 2017-04-27 2018-09-04 민병직 몰드의 회전방법 및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70082B1 (ko) * 2017-05-11 2018-06-21 민병직 몰드 공급장치
KR102295693B1 (ko) * 2020-06-25 2021-08-31 (주)대호테크 렌즈 이송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184A (ko) * 2001-09-19 2004-04-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KR200429184Y1 (ko) * 2006-07-28 2006-10-18 전인재 렌즈 제조용 몰드 이송 및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29184A (ko) * 2001-09-19 2004-04-03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화상 표시 장치
KR200429184Y1 (ko) * 2006-07-28 2006-10-18 전인재 렌즈 제조용 몰드 이송 및 지지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5163B1 (ko) 2017-04-27 2018-09-04 민병직 몰드의 회전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471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1145A1 (zh) 一种芯片自动给料装置
KR100985641B1 (ko) 안경렌즈용 몰드 잡음 장치
KR101482870B1 (ko) 콜릿 교체 장치
CN106395352A (zh) 一种光学镜片取料机构
CN111470308A (zh) 一种夹持机械手及自动搬运装置
TWI464391B (zh) Optical detection system
KR102146774B1 (ko) 콜릿 및 후드 교체 장치
KR102156153B1 (ko) 전자부품 이송용 픽커장치
KR101587084B1 (ko) 렌즈 검사 장치
KR20150142717A (ko) 콜릿 및 후드 교체 장치
JP2003118859A (ja) 可撓性板状体の取出装置および取出方法
KR200260434Y1 (ko) 탭핑기의 몰드 투입 및 배출 장치
KR102145848B1 (ko) 다이 이송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다이 본딩 장치
CN113714123A (zh) 物料筛选设备
KR102371543B1 (ko) 다이 픽업을 위한 정렬 좌표 설정 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다이 픽업 방법
KR20170077879A (ko) 웨이퍼 플립장치와 웨이퍼 플립방법
CN216120255U (zh) 一种晶片取片器
KR100985695B1 (ko) 안경렌즈용 몰드의 배출장치
CN113548454B (zh) 一种钢化玻璃包装盒的一体搬运装置及安装设备
KR102606650B1 (ko) 픽커 팁 교환 장치
CN210256136U (zh) 陶瓷盘清洗机械手
CN210614523U (zh) 陶瓷盘清洗装置
CN113213162A (zh) 一种柔性摆盘机
TW202400318A (zh) 用於清潔半導體晶圓的清潔模組的蓋和用於在清潔線中清潔半導體晶圓的方法
JPH031067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9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