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4791B1 -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 Google Patents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4791B1
KR100984791B1 KR1020100040022A KR20100040022A KR100984791B1 KR 100984791 B1 KR100984791 B1 KR 100984791B1 KR 1020100040022 A KR1020100040022 A KR 1020100040022A KR 20100040022 A KR20100040022 A KR 20100040022A KR 100984791 B1 KR100984791 B1 KR 10098479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ron
cleaning
magnetic bar
surface layer
magne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40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두식
Original Assignee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텍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텍산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40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479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479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479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4Removing by magnetic effect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HSTREET CLEANING; CLEANING OF PERMANENT WAYS; CLEANING BEACHES; DISPERSING OR PREVENTING FOG IN GENERAL CLEANING STREET OR RAILWAY FURNITURE OR TUNNEL WALLS
    • E01H1/00Removing undesirable matter from roads or like surfaces, with or without moistening of the surface
    • E01H1/10Hydraulically loosening or dislodging undesirable matter; Raking or scraping apparatus ; Removing liquids or semi-liquids e.g., absorbing water, sliding-off mud
    • E01H1/101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 E01H1/103Hydraulic loosening or dislodging, combined or not with mechanical loosening or dislodging, e.g. road washing machines with brushes or wipers in which the soiled loosening or washing liquid is removed, e.g. by su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Road Paving Structur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공극 청소작업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한 전처리공정을 통해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수거한 후 순차적으로 다공질 표층 청소기를 이용하여 노면과 공극을 더욱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을 주행하면서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수거하는 전처리공정을 수행한 후 1차적인 고압수 세정 및 흡인작업을 병행하는 1차 세정/흡인공정을 수행하며, 시차를 두고 2차적인 고압수 세정 및 흡인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는 2차 세정/흡인공정을 수행하면서 다공질 표층의 막힌 공극을 말끔하게 청소함으로써 고압수가 더욱 원활하게 공극으로 침투하면서 청소 성능을 극대화함은 물론 날카로운 철재류에 의한 차량의 타이어 펑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Cleaning construction method of asphalt road having low noise and permeable}
본 발명은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작업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한 전처리공정을 통해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수거한 후 순차적으로 다공질 표층 청소기를 이용하여 노면과 공극을 더욱 효율적으로 청소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스팔트포장도로는 차량이 실제로 주행하는 표층, 상기 표층을 받치고 있는 기층과 보조기층, 그리고 도로의 동상을 막기 위한 동상 방지층으로 구성되는데 종래의 아스팔트포장도로는 상기 표층 및 기층은 모두 물이 침투하지 않는 수밀성의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노면배수가 원활하게 않아 빗물에 의한 수막을 형성하고, 이와 같은 수막은 차량의 제동력을 악화시켜 미끄럼을 발생하거나 주행시 헤드라이트의 불빛을 반사시켜 안전사고를 유발할 위험성이 크며, 주행하는 차량에 의해 발생하는 소음이 표면에 부딪히면서 심한 교통 소음을 발생한다.
근자에 들어 상기한 종래 아스팔트포장도로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20% 이상의 공극을 확보한 아스팔트 혼합물을 이용하여 다공질 표층(1)을 형성하고, 상기 다공질 표층(1)의 하부에는 빗물이 흐르도록 불투수성 기층(2)을 형성시킨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를 시공함으로써 노면에 빗물이 떨어질 경우 다공질 표층(1)에 형성된 공극(3)을 경유하여 하부의 불투수성 기층(2)으로 신속하게 흘러 내려가 노면에 물보라가 발생하지 않아 운전자의 시야 확보가 좋고, 노면 상의 빗물로 인해 발생하는 미끄럼사고를 줄여주며, 주행시 발생하는 소음이 공극으로 흡수되면서 주행 소음을 현저하게 줄여주는 효과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장점으로 인해 상기한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는 점진적인 증가추세에 있으나 상기 다공질 표층의 공극은 시간이 지날수록 흙, 먼지, 자동차 배기가스 및 이물질 등으로 인하여 막히는 문제점이 야기됨에 따라 이에 대한 유지관리가 필요함에도 현재의 노면청소차량으로는 공극에 끼인 이물질의 제거가 불가능함으로써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를 전용으로 청소할 수 있는 장비가 절실한 실정이다.
한편, 차량을 저속으로 주행하면서 아스팔트포장도로의 표면에 고압의 압력수를 분사하여 공극을 세정함과 동시에 이물질을 제거한 후 강력한 흡인력으로 상기 이물질 및 세정오수를 오수탱크로 수거하는 청소차량이 일부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상기한 청소차량을 이용하여 고압의 압력수를 분사할 경우, 노면의 공극에 끼인 각종 철재류(못, 철가루 등)에 의해 고압의 압력수가 내부 공극으로의 진입을 방해함으로써 청소효율이 급격하게 저하되고, 특히 날카로운 철재류는 청소차량을 비롯하여 도로를 운행하는 차량의 타이어 펑크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야기된다.
따라서, 고압의 압력수를 분사하여 공극을 청소하는 작업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완벽하게 제거해야만 공극의 청소작업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는바 상기 철재류의 수거작업이 시급한 선결과제로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에 의거하여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를 청소함에 따른 제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수거하는 전처리공정을 우선적으로 수행한 후 1차적인 고압수 세정 및 흡인작업을 병행하는 1차 세정/흡인공정을 수행하며, 시차를 두고 2차적인 고압수 세정 및 흡인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는 2차 세정/흡인공정을 수행하면서 다공질 표층의 막힌 공극을 말끔하게 청소할 수 있도록 함을 발명의 해결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철재류 수거기에 구비된 마그네틱 바를 이용하여 차량을 주행하면서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강력한 자력으로 흡착 수거하는 전처리공정을 시행하고, 다공질 표층 청소기의 전방에 설치된 제1 고압수분사대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다공질 표층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표층 세척 및 공극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수 및 이물질을 제1 흡인덕트로 흡입하는 1차 세정/흡인공정을 병행하며, 시차를 두고 상기 다공질 표층 청소기의 후방에 설치된 제2 고압수분사대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다공질 표층에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표층 세척 및 공극의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수 및 이물질을 제2 흡인덕트로 흡인하는 2차 세정/흡인공정을 반복적으로 병행하는 신개념의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의 기술을 강구한다.
본 발명의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에 따르면, 다공질 표층 청소기를 이용한 본격적인 공극의 청소작업을 시행하기 이전에 자력에 의한 강한 흡착력을 보유한 마그네틱 바가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에 끼인 철재류를 사전에 수거함으로써 고압수가 더욱 원활하게 공극으로 침투하면서 청소 성능을 극대화함은 물론 날카로운 철재류에 의한 차량의 타이어 펑크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따라서, 다공질 표층의 막힌 공극 및 노면을 더욱 효율적으로 말끔하게 청소하여 빗물의 원활한 침투 및 배수가 이루어짐으로써 자동차에 의해 발생하는 교통 소음을 감소하고, 우기에도 자동차의 미끄럼저항성을 향상하여 주행중 차량의 안전성을 향상하며, 주행차량으로 인해 발생하는 물분수(스모킹) 및 노면의 측방으로 물이 튀기는 현상을 감소하는 한편, 노면의 시인성을 향상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의 일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 철재류 수거기의 설치상태 종단면도
도 3은 본 발명 철재류 수거기의 조립상태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철재류 탈부착판이 개방되는 상태의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철재류 수거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평단면도
도 6은 본 발명 다공질 표층 청소기의 작동상태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청소공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럭도
도 8은 종래의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확대단면도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의 해결수단을 보다 구체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적으로 본 발명의 청소공법을 구현함에 적용되는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V)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적인 기술구성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 개략적으로 살펴보면, 차량(10)의 후방에 연결 설치되어 차량(10)과 함께 주행하면서 다공질 표층(1)의 막힌 공극(3)을 말끔하게 청소하는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와, 상기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를 이용한 공극의 청소작업 이전에 마그네틱 바(230)를 이용하여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3)에 끼움 철재류를 강력한 자력으로 흡착 제거하는 철재류 수거기(200)의 유기적인 결합구성으로 이루어짐을 알 수 있다.
이하, 상기 개략적인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을 실시 용이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각체의 청소기 본체(110)가 차량(10)의 후방에 공지의 기술인 리프트 장치 등에 의해 승, 하강 가능하게 연결 설치되고, 이 청소기 본체(110)의 내부 하측에는 다수의 주행륜(111)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노면에 밀착된 상태로 차량(10)과 함께 주행하면서 포장도로의 다공질 표층(1)을 청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중앙에는 하부가 개방된 비산방지대(112)가 일체로 고정 설치되고, 상기 비산방지대(112)의 전후면에는 각각 하부에 흡인헤드(121)가 형성된 제1, 제2 흡인덕트(120)(120a)가 상부 중앙으로 가면서 경사지게 일체로 부착된다.
그리고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전면판(113) 내면에는 제1 흡인덕트(120)의 흡인헤드(121)를 관통하여 포장도로의 다공질 표층(1)에 고압수를 1차적으로 분사하는 제1 고압수분사대(130)가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 제1 고압수분사대(130)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31)은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다공질 표층(1)의 표면을 1차적으로 세척할 뿐만 아니라 내부의 공극(3)으로 침투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막힘을 해소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1 흡인덕트(120)는 제거된 이물질, 오수, 슬러지 등을 강력한 흡인력으로 한꺼번에 즉각적으로 흡인하는 작업을 병행한다.
상기 청소기 본체(110)의 후면판(115) 내면에는 제2 흡인덕트(120a)의 흡인헤드(121)를 관통하여 포장도로의 다공질 표층(1)에 고압수를 2차적으로 분사하는 제2 고압수분사대(140)가 설치되고, 상기 제2 고압수분사대(140)에 설치된 다수의 분사노즐(141)은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함으로써 상기 제1 고압수분사대(130)에 의한 세정작업에도 미처 제거하지 못한 다공질 표층(1)을 2차적으로 반복하면서 마무리 세척할 뿐만 아니라 공극(3)으로 침투하면서 이물질을 제거하여 막힘을 더욱 완벽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이와 동시에 상기 제2 흡인덕트(120a)는 제거된 이물질, 오수, 슬러지 등을 강력한 흡인력으로 한꺼번에 즉각적으로 흡인하는 작업을 병행한다.
또한, 상기 제1, 제2 흡인덕트(120)(120a)는 상호 오수 흡입라인(150)으로 일체화 연결되고, 이 오수 흡입라인(150)은 차량(10)에 탑재된 오수탱크(20)와 연결됨으로써 흡인한 세정 후의 오수는 전량 진공력을 발휘하는 오수탱크(20)의 내부로 수거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를 이용한 공극의 청소작업 이전의 전처리공정으로 시행함으로써 강력한 자력을 이용하여 철재류를 흡착 제거하는 철재류 수거기(200)는, 앵글형의 장착브라켓(210)이 청소기 본체(110)의 전면판(113)에 일체로 부착되고, 상기 장착브라켓(210)의 저면에는 마그네틱바 장착대(220)가 수평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다.
상기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의 하부에는 마그네틱 바(230)가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움 상태로 조립 설치됨으로써 마그네틱(235)을 교체하는 등의 유지, 보수시 상기 마그네틱 바(230)를 편리하게 분리할 수 있는 편의성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상기 마그네틱 바(230)는 내부 바닥면(231)의 둘레를 따라 직립 설치된 측벽(232)의 내면에 등간격으로 고정너트(233)가 용접작업으로 고정 부착되고, 상기 고정너트(233)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34)는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의 외면판(221)을 관통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바(230)는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와 일체화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마그네틱 바(230)는 상기 바닥면(231)에 철재류를 강력한 자력으로 흡착하기 위한 다수의 마그네틱(235)이 등간격으로 복렬 설치된다.
여기에서 상기 마그네틱(235)은 바닥면(231)에 직접 설치하여도 무방하나, 본 발명에서는 철재류를 흡착 제거하기 위한 자력을 더욱 증강시켜 철재류에 작용될 수 있도록 바닥면(231)에 자력 증강홈(236)이 함몰 형성되고, 이 자력 증강홈(236)에 마그네틱(235)이 끼움 배치됨으로써 상기 자력 증강홈(236)은 바닥면(231)에 비해 얇은 두께를 유지함에 따라 마그네틱(235)과 노면에 산재한 철재류와의 간극을 줄여주어 자력이 더욱 증강되면서 흡착 수거력이 가일층 배가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마그네틱(235)의 사이사이 바닥면(231)에는 커버 고정돌기(237)가 추가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커버 고정돌기(237)의 상부면에는 마그네틱(235)을 외력으로부터 보호함은 물론 마그네틱(235)의 이탈을 방지하는 마그네틱 보호커버(240)가 씌움 설치되며, 상기 마그네틱 보호커버(240)는 커버 고정돌기(237)에 나사결합되는 체결부재(234)로 관통함으로써 견고한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마그네틱 바(230)를 이용하여 각종 철재류를 흡착하여 수거함에는 별다른 이상이 없으나, 상기 흡착 수거된 철재류를 자력이 작용하는 마그네틱 바(230)에서 탈착 제거하는 작업이 어려움을 적극 고려하여 상기 마그네틱 바(230)의 자력을 간접적으로 이용하면서 철재류를 흡착 수거하면서도 상기 수거된 철재류를 힘들이지 않고 자동으로 간편하게 탈착 제거할 수 있는 철재류 탈부착수단(250)의 기술구성이 추가로 접목된다.
이를 위한 철재류 탈부착수단(250)의 구성은, 도 3 및 도 4와 같이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의 상부면 후방에 힌지브라켓(25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251)에는 마그네틱 바(230)의 하측을 감싼 상태로 밀착되는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형성된 회동브라켓(253)이 힌지축(254)을 매개로 일체화 연결됨으로써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은 상기 힌지축(254)을 기점으로 선택적으로 상하 회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힌지브라켓(251)의 타측 상부면에는 토글클램프(255)가 설치되고, 상기 토글클램프(255)는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전면에 부착된 걸고리(256)에 걸리면서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밀폐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토글클램프(255)가 록킹을 유지하는 평상시엔 마그네틱 바(230)의 저면에 철재류 탈부착판(252)이 밀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은 마그네틱 바(230)의 자력을 간접적으로 이용하여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3)에 끼인 철재류를 원활하게 흡착 수거하는 효과를 제공하며, 상기 토글클램프(255)의 록킹을 해제하면 도 4와 같이 철재류 탈부착판(252)이 하부로 회동하면서 마그네틱 바(230)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자력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흡착되었던 철재류는 자동으로 탈착되면서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제거되는 특별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V)를 이용하여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를 전용으로 청소하는 청소공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1) 전처리공정( S100 )
본 공정은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공극(3)을 본격적으로 청소하기 이전에 필수적으로 시행하는 전처리공정으로, 공극(3)에 끼인 철재류를 수거함으로써 고압의 세정수가 공극(3)으로 진입함을 방해하던 요인을 근본적으로 제거하여 고압의 세정수를 이용한 청소작업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한 본 발명의 핵심기술이다.
본 공정에 따르면, 철재류 수거기(200)에 구비된 마그네틱 바(230)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공질 표층(1)에 근접시킨 상태에서 차량(10)을 주행함으로써 상기 마그네틱 바(230)의 강력한 자력에 의해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3)에 끼인 철재류는 자동으로 흡착 수거된다.
이때 상기 철재류는 마그네틱 바(230)의 저면을 밀착 상태로 감싸는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흡착됨으로써 후술하는 철재류 분리제거공정(S400)을 통해 밝혀지는 바와 같이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간접적으로 가해지던 자력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흡착되었던 철재류를 간편하게 분리 제거할 수 있게 된다.
2) 1차 세정/흡인공정(S200)
상기 전처리공정(S100)을 거치면서 세정수의 진로를 방해하던 요인인 공극(3)에 끼인 철재류를 완벽하게 제거한 상기의 다공질 표층(1)에는 고압의 세정수를 이용한 본격적인 청소작업을 시행한다.
이를 위해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의 전방에 설치된 제1 고압수분사대(13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고압의 세정수를 다공질 표층(1)에 분사함으로써 표층의 세척 및 공극(3)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이물질을 제1 흡인덕트(120)로 즉시 흡인하는 작업을 병행하면서 오수탱크(20)로 전량 수거한다.
따라서, 상기 세정수는 공극(3)의 진입로를 방해하던 철재류가 제거됨으로써 더욱 원활하게 공극(3)으로 진입하면서 이물질을 더욱 효율적으로 제거할 수 있게 된다.
3) 2차 세정/흡인공정(S300)
본 공정은 상기 1차 세정/흡인공정(S200)을 거치면서 1차 청소된 다공질 표층(1)에 시차를 두고 고압의 세정수를 반복적으로 분사함으로써 1차 세정/흡인공정(S200)을 통해서도 미처 제거되지 못한 이물질마저도 완벽하게 제거하기 위한 공정이다.
이를 위해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고압수분사대(140)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압의 세정수를 다공질 표층(1)에 분사함으로써 표층의 세척 및 공극(3)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수 및 이물질을 제2 흡인덕트(120a)로 즉시 흡인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면서 오수탱크(20)로 전량 수거한다.
따라서, 1차 청소된 다공질 표층(1)을 2차적으로 반복하면서 마무리 세척할 뿐만 아니라 공극(3)으로 재차 침투하면서 미처 제거되지 않은 이물질을 제거하여 공극(3)의 막힘을 더욱 완벽하게 해소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4) 철재류 분리제거공정(S400)
상기 2차 세정/흡인공정(S300)을 거치면서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가 완료된 이후에는 차량(10)을 지정된 보관장소로 복귀시킨 후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흡착되었던 철재류를 자동으로 탈착하여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 제거하기 위한 본 공정을 추가로 실시한다.
이러한 본 공정은 상기 마그네틱 바(230)의 하부를 밀착상태로 감싸던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록킹을 해제한 후 도 4와 같이 철재류 탈부착판(252)을 하부로 회동시키면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간접적으로 가해지던 자력이 일시적으로 해제된다.
따라서,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저면에 흡착되어있던 철재류는 자력이 해제됨으로 인해 자동으로 탈착되면서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제거됨으로써 작업자가 강력한 자력에 의해 흡착되어있던 철재류를 힘들이지 않고서도 매우 편리하게 이를 탈착하여 분리제거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10: 차량 20: 오수탱크
100: 다공질 표층 청소기 110: 청소기 본체
113: 전면판 120: 제1 흡인덕트
120a: 제2 흡인덕트 130: 제1 고압수분사대
140: 제2 고압수분사대 150: 오수 흡입라인
200: 철재류 수거기 210: 장착브라켓
220: 마그네틱바 장착대 221: 외면판
230: 마그네틱 바 231: 바닥면
232: 측벽 233: 고정너트
234: 체결부재 235: 마그네틱
236: 자력 증강홈 237: 커버 고정돌기
240: 마그네틱 보호커버 250: 철재류 탈부착수단
252: 철재류 탈부착판 255: 토글클램프

Claims (3)

  1. 철재류 수거기(200)에 구비된 마그네틱 바(230)를 다공질 표층(1)에 근접시킨 상태로 차량(10)을 주행하면서 노면에 산재하거나 공극(3)에 끼인 철재류를 강력한 자력으로 흡착 수거하여 상기 철재류에 의해 고압의 압력수가 공극(3)으로의 진입을 방해하던 요인을 제거하는 전처리공정(S100)과;
    상기 전처리공정(S100)을 거치면서 철재류가 수거된 다공질 표층(1)에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의 전방에 설치된 제1 고압수분사대(130)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표층 세척 및 공극(3)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수 및 이물질을 제1 흡인덕트(120)로 즉시 흡인하는 작업을 병행하면서 오수탱크(20)로 전량 수거하는 1차 세정/흡인공정(S200)과;
    상기 1차 세정/흡인공정(S200)을 거치면서 1차 청소된 다공질 표층(1)에 시차를 두고 다공질 표층 청소기(100)의 후방에 설치된 제2 고압수분사대(140)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고압의 세정수를 분사하여 표층 세척 및 공극(3)에 끼인 이물질을 제거함과 동시에 오수 및 이물질을 즉시 제2 흡인덕트(120a)로 흡인하는 작업을 반복적으로 병행하면서 오수탱크(20)로 전량 수거하는 2차 세정/흡인공정(S300)으로 이루어지는 한편;
    상기 전처리공정(S100)에 적용되는 철재류 수거기(200)는,
    청소기 본체(110)의 전면판(113)에 장착브라켓(210)을 매개로 수평상으로 일체화 연결 설치된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와, 상기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하게 끼움 상태로 조립설치되되 내부의 바닥면(231)에 다수의 마그네틱(235)이 등간격으로 복렬 설치된 마그네틱 바(230)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마그네틱바 장착대(220)의 상부면 후방에는 힌지브라켓(251)이 돌출 형성되고, 상기 힌지브라켓(251)에는 마그네틱 바(230)의 하측을 감싼 상태로 밀착되는 철재류 탈부착판(252)이 선택적으로 상하 회동가능하게 연결 설치되며, 상기 힌지브라켓(251)의 타측에 설치된 토글클램프(255)는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전면에 부착된 걸고리(256)에 걸리면서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밀폐상태를 유지하는 철재류 탈부착수단(250)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2. 제 1항에 있어서,
    2차 세정/흡인공정(S300)을 거치면서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가 완료된 이후에는, 상기 마그네틱 바(230)의 하부를 밀착상태로 감싸던 철재류 탈부착판(252)의 록킹을 해제하면서 하부로 회동시켜 자력을 일시적으로 해제하여 상기 철재류 탈부착판(252)에 흡착되었던 철재류를 자동으로 탈착하면서 외부로 간편하게 분리제거하는 철재류 분리제거공정(S400)을 추가로 시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3. 삭제
KR1020100040022A 2010-04-29 2010-04-29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KR10098479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22A KR100984791B1 (ko) 2010-04-29 2010-04-29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40022A KR100984791B1 (ko) 2010-04-29 2010-04-29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4791B1 true KR100984791B1 (ko) 2010-10-04

Family

ID=43134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40022A KR100984791B1 (ko) 2010-04-29 2010-04-29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4791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48A (ja) 1997-10-15 1999-04-27 Seitoo Kk 金属片回収用車両
JP2006348597A (ja) * 2005-06-16 2006-12-28 Howa Mach Ltd 路面清掃車の金属片回収装置
KR100688257B1 (ko) * 2006-04-11 2007-03-02 (주)깨끗한도시 이중 고압살수장치가 채용된 노면 진공청소차량
EP1876296A2 (en) 2006-07-06 2008-01-09 Koninklijke BAM Groep nv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errous material from a railway lin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17248A (ja) 1997-10-15 1999-04-27 Seitoo Kk 金属片回収用車両
JP2006348597A (ja) * 2005-06-16 2006-12-28 Howa Mach Ltd 路面清掃車の金属片回収装置
KR100688257B1 (ko) * 2006-04-11 2007-03-02 (주)깨끗한도시 이중 고압살수장치가 채용된 노면 진공청소차량
EP1876296A2 (en) 2006-07-06 2008-01-09 Koninklijke BAM Groep nv Method and device for removing ferrous material from a railway l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9766B1 (ko)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
KR100955916B1 (ko) 노면의 비점오염물질 제거장치가 채용된 청소차량
KR100984789B1 (ko)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 기능유지차
CN111267781B (zh) 一种建筑工地用渣土车底盘泥土快速冲洗装置
KR200243344Y1 (ko) 지하철 궤도주행용 하수구 준설차
CN104648336B (zh) 渣土车清洗装置
KR100984791B1 (ko) 저소음·배수성 아스팔트포장도로의 청소공법
KR20090126894A (ko) 노면용 건식청소장비
JP5456566B2 (ja) 車両のタイヤ洗浄装置および洗浄方法
JP3932411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JP2002146737A (ja) トンネル上面清掃装置
CN108894172A (zh) 一种无脏水飞溅的道路冲洗保洁车
KR101125704B1 (ko) 필터성능 향상을 위한 분진 자동제거시스템
KR20120004069U (ko) 승용식 전기청소차
CN214089258U (zh) 一种轨道交通用轨道清洗设备
KR20130127681A (ko) 개선된 다기능 스윙 회전 청소용 브러시
JP3738285B2 (ja) トンネル内壁面の洗浄装置
CN209039936U (zh) 大型工程车与手推组合式道路标线清除设备
JPH0959953A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JP2957972B2 (ja) 自動車用泥よけ装置
JP3687752B2 (ja) 舗装の目詰まり物の除去装置
KR20040063094A (ko) 자동차 타이어 속 흙받이 에어휠타장치
JP3894470B2 (ja) 特装車
CN214689407U (zh) 全方位多功能自动洗车机
CN108086111A (zh) 大型工程车与手推组合式道路标线清除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9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2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