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3184B1 -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3184B1
KR100983184B1 KR1020030043985A KR20030043985A KR100983184B1 KR 100983184 B1 KR100983184 B1 KR 100983184B1 KR 1020030043985 A KR1020030043985 A KR 1020030043985A KR 20030043985 A KR20030043985 A KR 20030043985A KR 100983184 B1 KR100983184 B1 KR 1009831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parameter value
value
operating
diagno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439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03269A (ko
Inventor
최원호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300439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3184B1/ko
Publication of KR200500032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0326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31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31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라미터 오류 또는 모듈 장애 발생한 휴대단말기를 자체 진단에 의하여 운용 가능한 최소 상태로 운용하도록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프로그램을 읽고 설정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파라미터가 정상값 인지와 모듈이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있거나 모듈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현황을 진단하여 최적 파라미터 값을 구하고 장애 발생한 모듈의 운용을 정지하는 진단과정과; 상기 진단과정에서 구한 최적 파라미터 값과 운용 가능한 모듈로 최적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특징에 의하여, 장애 발생하여 통신을 할 수 없는 휴대단말기를 최소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고, 운용 가능한 최소한의 모듈을 동작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A METHOD OF OPTIMIZED OPERATING FOR TROUBLED MOBILE PHONE}
도1 은 휴대단말기의 일반적인 불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상태도,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순서도,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단과정의 상세 운용방법 순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
10 : 코드 영역 20 : 최소운용영역
30 : 데이터 영역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발생하고 특정 모듈에 장애가 발생하여 운용되지 않는 경우에 최소기능으로 동작하도록 하는 것으로, 특히, 자체 진단에 의하여 각 모듈의 현재 운용 가능한 파라메터값을 확인 설정하고, 장애 발생 모듈은 운용정지 처리하여, 휴대단말기를 최소 상태로 운용하도록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단말기(MS: MOBILE STATION)는 가입되어 등록된 이동통신 시스템의 해당 서비스 영역(SERVICE AREA)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하며 언제 어디서나 즉시 상대방과 무선접속하여 통신하는 것으로, 개인이 휴대하고 이동하면서 통신하는 등의 사용 편리성이 있는 이동통신용 단말 장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하면서 무선으로 상대방과 접속하여 통신하므로, 복잡하고 최신의 첨단기술에 의한 할당된 기능을 하는 기능부 또는 모듈(MODULE)이 다수 집약되어 구성되는 통신장비이다.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이동이 자유로우므로, 어느 곳으로도 이동통신할 수 있고 상기와 같이 이동된 장소에서 즉시 상대방과 통신을 할 수 있어야 하며, 상기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각 모듈은, 사용 또는 운용되는 주변환경에서 최적 상태로 운용하도록 하는 파라미터(PARAMETER) 값 설정이 필요하다.
상기 휴대단말기의 운용 파라미터 값은 주변환경 변화에 의하여 수시로 변동되고, 새로운 파라미터 값을 EEPROM 또는 FLASH 메모리와 같은 불휘발성 메모리에 기록저장하며, 상기와 같이 저장된 파라미터 값은 주변환경에 의하여 오류 상태로 저장될 수 있는 동시에, 수시 반복 사용에 의하여 부분적인 노화 또는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에 저장되는 운용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발행하면, 휴대단말기를 전원오프(POWER OFF) 상태에서 전원온(POWER ON) 하여 운용하고자 하는 경우, 비정상 동작하거나 통신에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에 기록저장된 파라미터 값에 오류(ERROR)가 발행한 경우, 최적 파라미터 값을 새로 구하여 임시 설정하고, 장애(TROUBLE) 발생한 모듈은 운용정지(DISABLE) 처리하여, 임시 최적상태로 기본기능을 운용하도록 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
이하,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종래 기술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1 은 휴대단말기의 운용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기록하는 일반적인 불휘발성 메모리의 구성상태도 이고, 도2 는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1을 참조하면, 일반적인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 구성은,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MS)의 변경할 수 없는 운용프로그램(OS: OPERATING SYSTEM PROGRAM)과 각종 응용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을 기록하여 저장하는 코드영역(10)과;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휴대단말기(MS)의 초기 운용파라미터(OPERATING PARAMETER) 값이 기록저장되는 초기운용영역(20)과; 불휘발성 메모리로 이루어지고, 수정 변경할 수 있는 데이터로, 상기 휴대단말기(MS)가 사용되는 주변환경 변화에 의하여 갱신(UPDATE) 설정되는 파라미터 값을 기록저장하는 동시에 사용자가 부가서비스에 의하여 임의 변경 설정하는 데이터 값이 기록저장되는 데이터영역(30)으로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을 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불휘발성 메모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는 각각 할당된 첨단 기능을 하는 모듈(MODULE)이 다수 모여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각 모듈은 해당 운용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이 필요한 동시에 운용기준이 되는 파라미터 값이 주어져 설정되어야 한다.
상기 운용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은 변경할 수 없는 것이고, 각 모듈의 운용기준이 되는 파라미터 값은, 휴대단말기가 사용되는 주변환경의 변화에 따라 수시로 변경되므로 갱신(UPDATE)하여 저장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이 변경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은 코드영영(10)에 기록저장되며, 수시로 데이터를 갱신하여야 하는 운용 파라미터는 데이터 영역(30)에 기록저장된다.
상기와 같은 파라미터 값의 초기값으로, 생산과정에서 입력되며 휴대단말기 초기운용의 기준이 되는 값은, 코드영역(10)의 일부를 할당받아 형성되는 초기 운용영역(20)에 기록된다.
이하, 상기 첨부된 도2를 참조하여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설명한다.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MS)에 전원을 인가하면, 운용(OPERATING) 및 응용(APPLICATION) 프로그램을 코드영역(10)으로부터 읽어 로드(LOAD)하고 설정하는 제1 단계(S10)와; 상기 단계(S10)에서 프로그램이 설정되면, 데이터 영역(30)으로부터 정상적인 시스템 운용 파라미터 값을 읽고 설정하는지 판단하는 제2 단계(S20)와; 상기 단계(S20)에서 판단하여 정상적인 시스템 파라미터 값을 읽고 설정하였으면, 사용자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고 설정하였는지 판단하는 제3 단계(S30)와; 상기 단계(S30)에서 판단하여 정상적인 사용자 파라미터 값을 읽고 설정하였으면,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각 모듈이 장애(TROUBLE)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제4 단계(S40)와; 상기 단계(S40)에서 판단하여 각 모듈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 휴대단말기를 정상적으로 운용하는 제5 단계(S50)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것으로, 종래 기술에 의한 휴대단말기의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를 이용하고자 전원을 인가하면, 코드영역(10)에 기록된 운용프로그램과 응용프로그램을 읽고(READ) 로드(LOAD)하여 동작되도록 설정하며(S10), 상기와 같이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상기 데이터 영역(30)으로부터 오류(ERROR) 없는 정상적인 시스템 파라미터 값을 읽었는지 판단한다(S20).
상기 판단(S20)에서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30)으로부터 오류(ERROR) 없는 정상적인 시스템 파라미터 값을 읽지 못한 경우, 상기 휴대단말기(MS)는 종료로 진행하여 운용을 종료하고, 시스템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고 설정한 경우, 사용자가 임의 설정한 파라미터 값을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읽었는지를 판단한다(S30).
상기 판단(S30)에서 사용자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지 못한 경우, 종료로 진행하며, 정상적인 사용자 파라미터 값을 읽은 경우,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다수 모듈(MODULE)이 모두 장애(TROUBLE)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를 판단한다(S40).
상기 판단(S40)에서, 특정한 어느 하나의 모듈(MODULE)이라도 정상적으로 동 작하지 않는 경우, 종료로 진행하며, 모든 모듈이 정상적으로 운용하는 경우, 이동통신용 휴대단말기로 정상 운용된다(S50).
즉, 종래 기술에서는, 상기 휴대단말기(MS)의 운용에 필요한 시스템 파라미터 값과 사용자 파라미터 값을 모두 오류 없이 정상적으로 읽어야 하고, 다수 모듈도 모두 정상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만, 휴대단말기를 운용할 수 있었고,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있거나 할당된 기능을 하는 다수 모듈 중에서 어느 하나의 모듈에 장애(TROUBLE)가 있는 경우에는 휴대단말기(MS)를 운용할 수 없었다.
그러나, 휴대단말기(MS)의 기본 기능은, 무선 송수신에 의한 통신이고, 나머지 기능은 사용자 편의를 위한 부가기능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부가서비스 기능을 제어하는 각종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 기본 기능인 통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또한, 부가서비스 기능을 할당하는 일부 모듈에 장애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도, 기본기능의 통신을 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부가서비스를 제공하는 일부 파라미터 값과 모듈에 오류가 발생하거나 장애가 발생한 경우, 진단을 통하여 최적 상태로 운용할 수 있는 파라미터 값을 확인 설정하고 장애발생 모듈은 운용정지 처리하여 최소기능으로 임시 동작하도록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그 목적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한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프로그램을 읽고 설정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파라미터가 정상값 인지와 모듈이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있거나 모듈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자체 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모든 모듈을 진단하여 각 모듈에 대한 운용 가능한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장애 발생한 모듈의 운용을 정지하는 진단과정과; 상기 진단과정에서 확인된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운용 가능한 모듈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3 은 본 발명에 의한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순서도 이고, 도4 는 본 발명에 의한 진단과정의 상세 운용방법 순서도 이다.
상기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은,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각종 프로그램(PROGRAM)을 해당 불휘발성(NON-VOLATILE) 메모리(MEMORY)로부터 읽고(LOAD) 설정(SETUP)하는 시작과정(S100)과,
상기 시작과정(S100)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파라미터(PARAMETER)가 정상값 인지와 모듈(MODULE)이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것으로, 상기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저장된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고 분석하여 오류(ERROR)가 없는지 판단하는 과정(S120); 상기 과정(S120)에서 읽은 파라미터 값이 정상적이고 오류가 없는 경우, 각 모듈이 정상동작하는 지를 판단하는 과정(S150)으로 이루어진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PARAMETER) 값에 오류(ERROR)가 있거나 모듈(MODULE)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현황을 진단하여 최적 파라미터 값을 구하고 장애 발생한 모듈의 운용을 정지하는 것으로, 휴대단말기의 지정된 기능키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S200); 상기 제1 과정(S200)에서 지정된 기능키가 검출되면, 모든 모듈의 진단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진단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는 제2 과정(S210); 상기 제2 과정(S210)에서 진단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초기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고(S220) 순서에 의하여 해당 모듈(MODULE)을 진단하는(S230) 제3 과정; 상기 제3 과정에서 진단하는 모듈이 진단 결과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모듈인지 판단하는 제4 과정(S240); 상기 제4 과정(S240)에서 판단하여 진단 결과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이면 설정된 시간 안에 회신된 결과값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제5 과정(S250); 상기 제5 과정(S250)에서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안에 회신되고 상기 회신된 진단 결과값이 정상인 경우, 회신된 값을 해당 모듈(MODULE)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FEEDBACK)하는 제6 과정(S260); 상기 제4 과정(S240)에서 판단하여 모듈(MODULE)의 진단 결과값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해당 모듈(MODULE)로부터 해당 데이터 값을 읽어 모듈의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FEEDBACK)하는 제7 과정(S270); 상기 제5 과정(S250)에서 설정된 시간 안에 진단 결과값을 회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회신된 결과값이 정상이 아닌 경우는, 상기 모듈(MODULE)에 적용 가능한 다른 해당 파라미터 값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8 과정(S280); 상기 제8 과정(S280)에서 판단하여 적용 가능한 다른 파라미터 값이 있을 경우에 상기 제3 과정(S230)으로 궤환(FEEDBACK)하고, 적용할 다른 파라미터 값이 없을 경우는 상기 모듈(MODULE)을 운용정지(DISABLE) 처리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하는 제9 과정(S290)으로 이루어지는 진단과정(S130)과,
상기 진단과정(S130)에서 구한 최적 파라미터 값과 운용 가능한 모듈로 최적상태 운용하는 과정(S140)과,
상기 확인과정(S120,S150)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 값과 모듈이 모두 정상인 경우, 휴대단말기를 정상 운용하는 과정(S160)으로 이루어진다.
이하,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한 것으로,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을 첨부된 도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휴대단말기(MS)를 이동통신용으로 이용하고자 동작전원을 공급하면, 비휘발성 메모리의 코드 영역(CODE AREA)으로부터 각종 프로그램을 읽어 로드(LOAD)하고 동작되도록 설정(SETUP)한다(S100).
상기와 같이 설정된 프로그램 중에서 시스템 운용프로그램(OS)은,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DATA AREA)으로부터 휴대단말기의 운용에 필요한 데이터 값인 파라미터 값들을 읽고, 상기 읽은 파라미터 값들이 오류(ERROR) 없는 정상적인 값들인지를 확인한다(S120).
상기 과정(S120)에서 비휘발성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으로부터 읽은 파라미터 값들을 확인하고 오류 없는 정상적인 값들로 판단되면,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다 수의 모듈(MODULE)이 모두 정상적으로 운용되는지를 판단한다(S150).
상기 과정(S150)에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의 모든 모듈이 정상적으로 운용되는 경우, 휴대단말기는 이동통신을 정상적으로 운용한다(S160).
그러나, 상기 확인과정(S120,S150)에서 판단하여, 비휘발성 메모리로부터 읽은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있거나 또는,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가 정상적으로 운용되지 않을 경우, 상기 시작과정에서 읽고 로드되어 설정된 프로그램 중에서 응용프로그램의 하나인 진단 프로그램에 의하여 휴대단말기의 파라미터 값과 모든 모듈 동작상태의 전반적인 현황을 진단하고 최적의 파라미터 값을 확인 설정하며, 운용 가능한 모듈은 운용할 수 있도록 설정(S130)하고, 상기와 같이 설정된 최적 파라미터 값과 운용 가능한 모듈을 이용하여 최소한 이동통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최적상태 운용을 한다(S140).
이하, 상기 장애 발생한 휴대단말기의 진단과정(S130)을, 첨부된 도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휴대단말기(MS)의 장애상태를 진단하는 해당 응용 프로그램에 의하여 장애발생 현황을 진단하도록 제어 또는 명령하는 기능키(FUNCTION KEY)의 키코드(KEY CODE) 값이 검출되어 인식되는지를 판단하고(S200), 상기 과정(S200)에서 기능키가 검출되면, 휴대단말기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의 진단이 이루어지었는지를 판단하고(S210), 상기 판단에서 모든 모듈의 진단이 이루어진 경우는 상기 진단 응용프로그램을 종료한다.
상기 과정(S210)에서 판단하여 모든 모듈의 진단이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의 초기운용영역으로부터 읽은 초기 파라미터 값을 휴대단말기의 운용 데이터로 설정하고(S220), 소정의 순서에 의하여 모듈(MODULE)을 진단한다(S230).
상기 과정(S230)에서 진단한 모듈(MODULE)이, 상기 초기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정상 운용되는지 진단한 결과값을 회신하는 모듈인지 또는, 회신하지 않는 모듈인지를 판단한다(S240).
상기 판단(S240)에서 상기 모듈이 진단 결과값을 회신하는 것일 경우, 설정된 소정의 시간 안에 진단 결과값을 회신하는 지와, 상기 설정된 소정 시간 안에 결과값을 회신하는 경우, 상기 회신된 결과값이 정상값인지를 판단한다(S250).
상기 판단(S250)에서 설정된 시간 안에 정상값으로 회신된 진단 결과값을 해당 모듈(MODULE)의 파라미터(PARAMETER)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FEEDBACK)한다.
상기 제2 과정부터 다시 시작하여 다음 순서에 의한 모듈을 진단하기 시작하며(S210,S220,S230), 상기 진단결과의 값을 확인할 필요가 없는 모듈인 경우 또는 진단 결과값을 회신하지 않는 모듈인 경우(S240), 해당 모듈의 현재 데이터 값을 읽어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한다.
또한, 상기 제2 과정부터 다시 시작하여 다음 순서에 의한 모듈을 진단하기 시작하며(S210,S220,S230), 진단결과의 확인이 필요한 모듈(S240)이면서, 설정된 소정 시간 안에 진단결과값을 회신하지 않거나 또는 회신된 진단결과값이 정상이 아닌 경우(S250), 상기 운용 프로그램은 적용 가능한 다른 해당 파라미터 값이 있는지 판단하고(S280), 적용 가능한 다른 해당 파라미터 값이 있는 경우는 상기 해 당되는 것으로 다른 파라미터 값을 적용하여 상기 제3 과정(S230)으로 궤한시킴으로 상기 모듈을 다시 진단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기 제8 과정(S280)에서 적용할 다른 해당 파라미터 값이 없는 경우, 상기 모듈은 장애가 발생하여 동작하지 못하는 것이므로 운용정지(DISABLE) 처리하고, 상기 제2 과정(S210)으로 궤환(FEEDBACK)하여, 다음 순서에 의한 모듈을 진단하도록 하며, 상기 제2 과정(S210)에서 판단하여 휴대단말기(MS)를 구성하는 모든 모듈의 진단이 완료된 경우, 상기와 같은 진단과정(S130)을 종료하고, 상기 진단과정에서 새로이 확인하고 설정한 파라미터 값을 이용하여 최적상태 운용과정(S140)으로 진행하므로, 현재상태에서 최소 기능인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이용 가능한 부가서비스 기능을 이용하는 최적상태 운용을 한다.
따라서, 상기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에 기록저장되는 파라미터 데이터 값이 잡음 또는 임펄스 또는 충격 등과 같은 주변환경 변화에 의하여 오류발생 상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메모리의 데이터 영역이 오래 동안 사용하므로 발생하는 노화현상 및 부분적인 불량과 결함 등에 의하여 저장된 데이터 값이 손상되거나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는 경우를 포함하여, 특정 모듈에 장애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현재 상태에서 운용 가능한 최적 파라미터 값을 진단하여 설정한다.
또한, 장애가 발생하여 운용되지 않으면서 다른 기능의 모듈까지 동작하지 못하게 하는 모듈은, 운용정지(DISABLE) 처리하므로, 최소 기능인 통신기능을 포함하여 운용 가능한 모듈만 동작하도록 하는 최적운용 상태를 설정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은, 휴대단말기의 파라미터 값이 오류상태로 저장되거나 상기 파라미터 값을 저장하는 해당 메모리에 장애가 있는 경우, 진단하여 최적 파라미터 값을 다시 설정하므로, 장애 발생하여 통신을 할 수 없는 휴대단말기를 최소한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동시에 현대 운용 가능한 것만 동작하도록 하는 공업적 이용효과가 있다.
또한, 특정 모듈에 장애가 발행하여, 휴대단말기의 전체 기능이 동작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자체 진단에 의하여 해당 모듈을 운용정지 처리하여 운용 가능한 최소한의 모듈을 운용하도록 하는 사용상 편리한 효과가 있다.

Claims (6)

  1.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프로그램을 읽고 설정하는 시작과정과,
    상기 시작과정에서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파라미터가 정상값 인지와 모듈이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확인과정과,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 값에 오류가 있거나 모듈이 정상동작하지 않는 경우, 자체 진단 프로그램에 의해 모든 모듈을 진단하여 각 모듈에 대한 운용 가능한 파라미터 값을 확인하고, 장애 발생한 모듈의 운용을 정지하는 진단과정과,
    상기 진단과정에서 확인된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운용 가능한 모듈로 상기 휴대단말기를 운용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에서 판단하여 파라미터 값과 모듈이 모두 정상인 경우, 휴대단말기를 정상 운용하는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과정은,
    휴대단말기에 설정된 프로그램에 의하여, 저장된 파라미터 값을 정상적으로 읽고 분석하여 오류가 없는지 판단하는 과정과,
    상기 판단과정에서 읽은 파라미터 값이 정상적이고 오류가 없는 경우, 각 모듈이 정상동작하는지를 판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단과정은,
    휴대단말기의 지정된 기능키가 검출되는지 판단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과정에서 지정된 기능키가 검출되면, 모든 모듈의 진단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여 진단이 완료되었으면 종료하는 제2 과정과,
    상기 제2 과정에서 진단이 완료되지 않았으면, 초기 파라미터 값을 설정하고 모듈을 진단하는 제3 과정과,
    상기 제3 과정에서 진단하는 모듈이 진단 결과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모듈인지 판단하는 제4 과정과,
    상기 제4 과정에서 판단하여 진단 결과값을 확인할 필요가 있는 것이면 설정된 시간 안에 회신된 결과값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는 제5 과정과,
    상기 제5 과정에서 판단하여 설정된 시간 안에 회신되고 상기 회신된 진단 결과값이 정상인 경우, 회신된 값을 모듈의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6 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4 과정에서 판단하여 모듈의 진단 결과값 확인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는,
    모듈로부터 해당 데이터 값을 읽어 모듈의 파라미터 값으로 설정하고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7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6.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5 과정에서 설정된 시간 안에 진단 결과값을 회신하지 못하거나 상기 회신된 결과값이 정상이 아닌 경우는,
    상기 모듈에 적용 가능한 다른 해당 파라미터 값이 있는지를 판단하는 제8 과정과,
    상기 제8 과정에서 판단하여 적용 가능한 다른 파라미터 값이 있을 경우에 상기 제3 과정으로 궤환하고, 적용할 다른 파라미터 값이 없을 경우는 상기 모듈을 운용정지 처리하고 상기 제2 과정으로 궤환하는 제9 과정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KR1020030043985A 2003-06-30 2003-06-30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KR1009831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985A KR100983184B1 (ko) 2003-06-30 2003-06-30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43985A KR100983184B1 (ko) 2003-06-30 2003-06-30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269A KR20050003269A (ko) 2005-01-10
KR100983184B1 true KR100983184B1 (ko) 2010-09-20

Family

ID=37218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43985A KR100983184B1 (ko) 2003-06-30 2003-06-30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318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03269A (ko) 2005-0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88767B2 (en) Mobile terminal device, self-diagnosis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storage medium
US8060873B2 (e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programming of a program-controlled device using a legitimization code
US777438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a control device, and corresponding control device
JP3770905B2 (ja) 消去可能不揮発性メモリの完全な再プログラミング方法
CN108710673B (zh) 实现数据库高可用方法、系统、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JP2007507016A (ja) シリアルインターフェイスを介したフラッシュプログラミングによる電子制御装置のソフトウェアアップデート方法およびこれに対応する状態自動装置
EP3608775B1 (en) Electronic control system
JP2004506271A (ja) 分散電子機器の遠隔診断及び集中故障評価のための方法及びそのための分散電子機器
JP2008254484A (ja) 車載用通信システム
KR101533813B1 (ko) 파워 릴레이 어셈블리 제어 장치 및 방법
KR100983184B1 (ko) 장애발생 휴대단말기의 최적상태 운용방법
JP6563086B1 (ja) 車載電子制御装置
KR100524296B1 (ko) 데이터서비스를이용한무선통신단말기의원격진단방법및장치
KR101471574B1 (ko) 반도체 칩과 반도체 장치
KR20200124472A (ko) 차량 고장 진단 장치, 그를 포함한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2462727A (zh) 一种车载零部件测试方法和装置
JP4401207B2 (ja) 識別情報設定方法、識別情報設定装置及び制御機能付きコネクタ装置
JP3165320B2 (ja) 自己修復回路
WO2007119424A1 (ja) 電気機器および電気機器における通信機能正常判定方法
JP2701591B2 (ja) 自動車電話装置の自己診断方法
JP6946954B2 (ja) 監視システム
KR101017977B1 (ko) 복수개의 제어기의 리프로그래밍 방법
CN111819039A (zh) 机器人控制方法、装置及可读存储介质
JP2020116972A (ja) 電子制御装置
CN113361289B (zh) 拨码开关编码识别处理方法、装置和读码电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