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2693B1 - 취수장치 - Google Patents

취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2693B1
KR100982693B1 KR1020090103359A KR20090103359A KR100982693B1 KR 100982693 B1 KR100982693 B1 KR 100982693B1 KR 1020090103359 A KR1020090103359 A KR 1020090103359A KR 20090103359 A KR20090103359 A KR 20090103359A KR 100982693 B1 KR100982693 B1 KR 1009826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water
sleeve
space
pum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33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Original Assignee
김영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0901033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269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2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2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3/00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 E03B3/06Methods or installations for obtaining or collecting drinking water or tap water from underground
    • E03B3/08Obtaining and confining water by means of wells
    • E03B3/16Component parts of we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27/0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B27/02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 B25B27/10Hand too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gether or separating parts or objects whether or not involving some deform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connecting objects by press fit or detaching same inserting fittings into h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5Arrangement of devices for control of pressure or flow rat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BINSTALLATIONS OR METHODS FOR OBTAINING, COLLECTING, OR DISTRIBUTING WATER
    • E03B7/00Water main or service pipe systems
    • E03B7/07Arrangement of devices, e.g. filters, flow controls, measuring devices, siphons or valves, in the pipe systems
    • E03B7/077Arrangement of backflow prevent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2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elastic sealing rings between pipe and sleeve or between pipe and socket, e.g. with rolling or other prefabricated profiled 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요약]
본 발명은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주관(100); 및 상기 주관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510)이 설치되며 하단이 밀폐된 보조관(500); 상기 주관의 내부에 양수 관(210)을 설치하되, 그 양수 관의 하단에 양수펌프(P)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양수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물 유도수단(220)이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수단의 상부에는 상단에 인출 링(230)이 설치된 인출 바(240)가 설치되고, 상기 물 유도수단의 일 측에는 상기 주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물 유도관(250)을 설치하여 된 물 양수부(200);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400)의 입구가 서로 마주 대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관의 출구에는 역류방지밸브(410)가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의 입구 일부는 내부에 다수의 ○링(320)이 설치된 슬리브(310)가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후방에는 슬리브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슬리브작동수단(330)을 설치하여 된 관 연결부(300); 상기 역류방지밸브(410)는 보조관(500)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540)에 수용되게 마련되고, 그 공간의 일 측에는 개폐밸브(520)가 설치된 토출 관(530)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밸브(551)가 설치된 배수관(550)과 공간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취수장치. 슬리브. 슬리브작동수단. 양수펌프. 물 유도수단

Description

취수장치{Water intake apparatus}
본 발명은 지하수를 해당 목적지로 취수함은 물론, 우수 및 각종 합류수가 유입돼 들어오는 저류조의 물을 배수 펌핑하는 취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의 고장발생시 그 고장난 펌프를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음은 물론, 물 유도관과 연결 관의 분해결합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식수나 혹은 농업 및 산업용수를 목적으로 지하수를 취수하는 취수장치는 다수 제공되어 있으며, 그 예로는 등록특허번호 371520호와 등록특허번호 555925호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 취수장치는 유도관과 토출관의 기밀성 부족으로 누수 되는 문제점이 있고 특히 펌프가 고장발생 했을 때에 그 펌프를 인출하기가 매우 난해하고 어려워 펌프인출에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였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외에도 종래 지하수 취수장치는 별도의 밸브장치를 수용 하는 케이스를 제작해야함으로 그에 따른 설치비용은 물론, 필요 이상을 공간을 확보해야하고 또 외관상으로도 조잡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지하수를 포함하는 저류조의 물을 양수펌프에 의해 해당 목적지로 누수 없이 토출 관을 통하여 토출시킴은 물론, 상기 양수펌프의 이상 발생시 양수펌프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수리 및 교환할 수 있고, 또 토출 관 및 토출 관 이후의 이상발생시 물의 펌핑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펌핑할 수 있도록 한 취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적인 구성은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주관(100); 및 상기 주관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510)이 설치되며 하단이 밀폐된 보조관(500); 상기 주관의 내부에 양수 관(210)을 설치하되, 그 양수 관의 하단에 양수펌프(P)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양수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물 유도수단(220)이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수단의 상부에는 상단에 인출 링(230)이 설치된 인출 바(240)가 설치되고, 상기 물 유도수단의 일 측에는 상기 주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물 유도관(250)을 설치하여 된 물 양수부(200);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400)의 입구가 서로 마주 대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관의 출구에는 역류방지밸브(410)가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의 입구 일부는 내부에 다수의 ○링(320)이 설치된 슬리브(310)가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후방에는 슬리브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슬리브작동수단(330)을 설치하여 된 관 연결부(300); 상기 역류방지밸브(410)는 보조관(500)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540)에 수용되게 마련되고, 그 공간의 일 측에는 개폐밸브(520)가 설치된 토출 관(530)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밸브(551)가 설치된 배수관(550)과 공간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물 유도수단(220)은 물 유도구(221)의 내부에 양수 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자 형태로 유도하여 연결 관으로 공급하는 물 유도로(222)가 형성되고, 그 물 유도로의 일 측에는 수량게이지(223)가 설치되며, 상기 슬리브작동수단(330)은 슬리브의 외부면 후방 양측에 홀이 형성된 각각의 브래킷(331)이 설치되고, 그 각 브래킷의 홀에는 링크(332)가 유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의 상단은 고정구(333)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상부 링크에는 작동레버(334)를 설치된다.
또한 상기 공간(540)에는 공간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되고, 배수관(550)에는 수압을 체크하는 압력계(570)와 수압조절 관(580) 및 수질검사를 위한 수질검사용 검사수인출 관(590)이 설치되며, 상기 주관(100)의 상부에는 주관내부의 기압을 조절하는 기압조절밸브(12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관(500)이 하부와 주관(100)의 하부 간에는 보조관의 결로를 배출하는 결로배출 관(130)이 설치되는 것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의 입구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에 다수의 ○링이 설치된 슬리브가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후방에 그 슬리브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슬리브작동수단이 설치되어 슬리브작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슬리브가 이동하면서 유도관과 연결 관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 양수펌프, 물 유도수단, 슬리브, 슬리브작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발생했을 때 뚜껑을 열고 인출장비로 상기 구성품을 일체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본 발명은 토출 관 및 토출 관 이후의 막힘 및 이상발생 등으로 토출 관 또는 토출 관 이후의 수리 또는 교환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 취수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상기 토출 관 및 토출 관 이후를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지하수 및 저류조의 물을 양수하는 모든 구성품들을 주관 및 보조관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치상의 간편함과 용이함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을 나타낸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 단면 구성도로서, 슬리브의 작동으로 물 유도관과 연결 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도이고,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 단면 구성도로서, 슬리브의 작동으로 물 유도관과 연결 관이 상호 분리된 상태도이며,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물 유도수단을 발췌한 확대 단면도이고,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슬리브작동수단을 발췌한 확대 사시도이며,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슬리브의 작동위치를 나타낸 발췌한 확대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취수장치는 지하수를 목적지로 취수하거나 저류조의 물을 펌핑하는 장치이다.
본 발명의 취수장치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며, 하단은 개방된 주관(100)이 마련되는데, 상기 주관(100)의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는 이유는 뚜껑(110)이 외부로 노출되어 사람이 눈으로 주관(100)의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110)은 투명의 것으로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사람이 눈으로 주관(100)의 내부를 확인할 때에 용이하고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주관(100)의 하단은 개방되는데 그 이유는 지하수 또는 저류조의 물이 주관(100) 내부로 원활하게 공급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주관(100)의 내부에는 물 유도수단(220)이 설치되고, 그 물 유도수단(220)의 하부에는 양수 관(210)이 설치되며, 상기 양수 관(210)의 하단에는 양수펌프(P)가 설치되는데, 상기 양수 관(210)은 양수펌프(P)에서 펌핑되는 지하수 또는 저류조 즉 주관(100)내부에 있는 물을 물 유도수단(220)으로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또 상기 물 유도수단(220)의 상부에는 상단에 인출 링(230)이 설치된 인출 바(240)가 설치되고, 상기 물 유도수단(220)의 일 측에는 상기 주관(100)의 내부에 위치하는 물 유도관(250)이 설치되는데, 상기 인출 링(230)은 양수펌프(P)를 인출할 때에 인출장비의 후크를 결합하는 곳이고 인출 바(240)는 물 유도수단(220) 및 양수 관(210)과 인출 링(23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그리고 상기 물 유도수단(220)의 구성은 도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물 유도구(221)의 내부에 양수 관(210)으로부터 양수되는 물을"⊂"자 형태로 유도하여 연결 관(250)으로 공급하는 물 유도로(222)가 형성되고, 그 물 유도로의 일 측에는 수량게이지(223)가 설치되는데, 상기 물 유도구(221)의 내부에 "⊂"자 형태의 물 유도로(222)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수량게이지(223)를 설치하여 물이 물 유도로(222)로 유도되는 양을 측정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물 유도구(221)의 내부에 형성되는 물 유도로(222)는 "⊂"자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다양한 형태로 형성시켜 사용해도 된다. 그리고 상기 물 유도구(221)의 일 측에는 물 유도로(222)에서 배출되는 물을 받아 하기에서 설명되는 연결 관(400)으로 공급하는 물 유도관(250)이 설치된다.
한편 상기 물 유도관(250)의 출구와 연결 관(400)의 입구 일부는 도5a 및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에 다수의 ○링(320)이 설치된 슬리브(310)가 수용하 며, 상기 슬리브(310)의 후방에는 그 슬리브(310)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도4에 나타낸 바와 같은 슬리브작동수단(330)이 설치된다.
상기 ○링(320)은 상기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 및 슬리브(310)의 사이로 누수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패킹이고, 상기 슬리브(310)는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필요에 따라 연결하거나 분리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슬리브(310)의 작동은 슬리브작동수단(33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슬리브(310)의 작동범위는 상기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상호 연결시킬 때에는 도5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310)의 1/2는 물 유도관(250)을 수용하고, 나머지 슬리브(310)의 1/2는 연결 관(400)을 수용하며, 상기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상호 분리시킬 때에는 도5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슬리브(310) 전체가 주관(100) 내부에 위치하는 물 유도관(250) 만을 수용한다.
그 이유는 주관(100)내부에 설치된 양수펌프(P), 물 유도수단(220), 슬리브(310), 슬리브작동수단(330)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했을 경우 상기 양수펌프(P), 물 유도수단(220), 슬리브(310), 슬리브작동수단(330)을 뚜껑(110)을 열고 외부로 인출하여 수리해야 하는데 이때 상기에서 설명한 인출장비로 상기의 구성들을 걸림 없이 용이하게 인출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슬리브작동수단(330)은 슬리브(310)의 외부면 후방 양측에 홀이 형성된 각각의 브래킷(331)이 설치되고, 그 각 브래킷(331)에 형성된 홀에는 링크(332)가 삽입 설치되며, 상기 링크의 상단은 고정구(333)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333)의 상부 즉 링크(332)에는 작동레버(334)가 설치된다.
단 상기 브래킷(331)에 형성된 홀의 직경 크기는 링크(332)가 자유롭게 유동될 수 있는 크기로 함이 바람직하며, 그 이유는 슬리브(310)가 이동(슬라이딩)할 때에 용이하게 이동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의 구성을 갖는 슬리브작동수단(330)을 이용하여 슬리브(310)를 작동시키는 원리는 작동레버(334)를 도면상 어느 일 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면 고정구(333)를 중심으로 링크(332)가 타 측으로 슬라이딩되면서 슬리브(310)가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도5a와 같이 상호 결합시키는 것이고, 상기 작동레버(334)를 반대로 작동시키면 링크(332)가 역 작동되면서 슬리브(310)가 물 유도관(250)으로 이동되어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도5b와 같이 분리시키게 되는 것이다.
상기 슬리브(310)가 물 유도관(250)으로 이동되어 물 유도관(250)과 연결 관(400)을 분리시킬 때에는 양수펌프(P), 물 유도수단(220), 슬리브(310), 슬리브작동수단(330) 중 어느 하나가 고장이 발생하여 뚜껑(110)을 열고 상기에서 설명한 인출장비(도면미도시)를 이용하여 양수펌프(P), 물 유도수단(220), 슬리브(310), 슬리브작동수단(330)을 일체로 인출할 때이다.
또한 상기 주관(100)의 인접위치에는 도1 및 도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510)이 설치되며 하단은 밀폐된 보조관(500)이 설치되는데, 상기 뚜껑(510)을 개폐 가능하게 하는 이유는 하기에서 설명되는 보조관(500)의 내부에 설치된 각 구성품의 이상발생시 수리 또는 교환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상기 뚜껑(510)은 투명의 것으로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보조관(500)의 내부에 설치된 각 구성품들을 관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 다.
상기 보조관(500)의 하부에는 공간(540)이 마련되고 그 공간(540)에는 연결 관(400)의 후단 일부가 위치하며 상기 연결 관(400)의 후단에는 역류방지밸브(410)가 설치되는데, 상기 역류방지밸브(410)를 설치하는 이유는 공간(540)에 충입된 물이 연결 관(400)으로 역류되지 못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 상기 공간(540)의 일 측에는 개폐밸브(520)가 설치된 토출 관(530)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540)의 상부에는 밸브(551)가 설치된 배수관(550)과 공간(540)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된다.
상기 토출 관(530)에 개폐밸브(520)를 설치하는 이유는 토출 관(530) 및 토출 관 이후의 막힘 및 이상발생 등으로 토출 관(530) 또는 토출 관(530) 이후의 수리 또는 교환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 개폐밸브(520)를 잠그고 토출 관(530)으로의 물 토출을 차단하고 배수관(550)으로 물을 배수시키기 위함과 동시에 타목적지로 물을 배수하여 사용하고자 할 때에 사용되는 것이다.
단 상기 배수관(550)으로 물을 배수시키고자 할 때에는 배수관(550)에 설치된 밸브(551)를 열고 배수시키며, 토출 관(530)으로 물을 토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개폐밸브(520)를 열고 배수관(550)의 밸브(551)를 잠근 후 실시한다.
상기 배수관(550)에는 검사수인출 관(590)이 연결 설치되는데, 그 검사수인출 관(590)의 설치위치는 밸브(551)의 하부이고, 상기 검사수인출 관(590)의 역할은 토출 관(530)으로 토출되는 물의 수질을 검사할 때에 수질검사용 물을 인출하는 역할을 하는 곳이다. 단 상기 수질검사용 물을 인출하지 않을 때에는 밸브(591)를 잠근다.
또 상기 배수관(550)의 밸브(551) 하부에는 수압조절 관(580)이 설치되는데, 상기 수압조절 관(580)을 설치하는 이유는 공간(540)내부의 수압이 과압으로 양수펌프(P)에 부하가 걸릴 때에 압력체크(581)를 열고 일부의 물을 배출하여 공간(540)내부의 수압을 조절하기 위함이다. 단 상기 공간(540)내부의 수압 점검은 압력계(570)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주관(100)의 상부에는 주관내부의 기압을 조절하는 기압조절밸브(120)가 설치되고, 상기 보조관(400)이 하부와 주관(100)의 하부 간에는 보조 관(500)에서 발생한 결로를 배출하는 결로배출 관(130)이 설치됨으로 보조 관(500)내부의 수분을 최소화시켜 보조 관(500) 내부에 설치된 각종 밸브를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모든 구성품들이 주관(100) 및 보조관(500)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치상의 간편함과 용이함 및 설치 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고 또 외부에서 보기에도 간결한 장점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취수장치에서 정상적인 물의 진행 방향은 양수펌프(P) → 양수 관(210) → 물 유도수단(220) → 슬리브작동수단(330) → 연결 관(400) → 공간(540) → 토출 관(530)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그리고 토출 관(530) 및 그 토출 관 이후의 문제가 발생하면 양수 관(210) → 물 유도수단(220) → 슬리브작동수단(330) → 연결 관(400) → 공간(540) → 배수관(550)으로 진행하는 것이다.
이상의 본 발명은 첫째,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의 입구 일부를 수용하는 내부에 다수의 ○링이 설치된 슬리브가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후방에 그 슬리브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슬리브작동수단이 설치되어 슬리브작동수단의 작동에 따라 슬리브가 이동하면서 유도관과 연결 관을 선택적으로 연결 또는 분리함으로 양수펌프, 물 유도수단, 슬리브, 슬리브작동수단 중 어느 하나가 고장 발생했을 때 뚜껑을 열고 인출장비로 상기 구성품을 일체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토출 관 및 토출 관 이후의 막힘 및 이상발생 등으로 토출 관 또는 토출 관 이후의 수리 또는 교환할 필요성이 있을 때에 취수작업을 중단하지 않고 상기 토출 관 및 토출 관 이후를 수리 및 교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셋째, 지하수 및 저류조의 물을 양수하는 모든 구성품들을 주관 및 보조관 내부에 마련되기 때문에 별도의 케이스를 설치하지 않아도 됨으로 설치상의 간편함과 용이함 및 설치비용이 적게 드는 장점이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 단면 구성도로서, 슬리브의 작동으로 물 유도관과 연결 관이 상호 연결된 상태도,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 단면 구성도로서, 슬리브의 작동으로 물 유도관과 연결 관이 상호 분리된 상태도,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물 유도수단을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슬리브작동수단을 발췌한 확대 사시도,
도5a 및 도5b는 본 발명에 따른 취수장치에서 슬리브의 작동위치를 나타낸 발췌한 확대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주관 110 : 뚜껑
120 : 기압조절밸브 130 : 결로배출 관
200 : 양수부 210 : 양수 관
220 : 물 유도수단 221 : 물 유도구
222 : 물 유도로 223 : 수량게이지
230 : 인출 링 240 : 인출 바
250 : 물 유도관 300 : 관 연결부
310 : 슬리브 320 : ○링
330 : 슬리브작동수단 331 : 브래킷
332 : 링크 333 : 고정구
334 : 작동레버 400 : 연결 관
410 : 역류방지밸브 500 : 보조 관
510 : 뚜껑 520 : 개폐밸브
530 : 토출 관 540 : 공간
550 : 배수관 551 : 밸브
560 : 에어벤트 570 : 압력계
580 : 수압조절 관 590 : 검사수인출 관

Claims (6)

  1.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게 설치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110)이 설치되며 하단이 개방된 주관(100); 및 상기 주관의 인접위치에 설치되어 상부 일부가 외부로 노출되고 상단에는 개폐 가능한 뚜껑(510)이 설치되며 하단이 밀폐된 보조관(500);
    상기 주관의 내부에 양수 관(210)을 설치하되, 그 양수 관의 하단에 양수펌프(P)가 설치되고, 상단에는 상기 양수펌프에서 펌핑된 물을 일측으로 유도하는 물 유도수단(220)이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수단의 상부에는 상단에 인출 링(230)이 설치된 인출 바(240)가 설치되고, 상기 물 유도수단의 일 측에는 상기 주관의 내부에 위치하도록 물 유도관(250)을 설치하여 된 물 양수부(200);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400)의 입구가 서로 마주 대하게 설치되고 상기 연결 관의 출구에는 역류방지밸브(410)가 설치되며, 상기 물 유도관의 출구와 연결 관의 입구 일부는 내부에 다수의 ○링(320)이 설치된 슬리브(310)가 수용하도록 설치되고, 그 슬리브의 후방에는 슬리브를 수평방향으로 작동시키는 슬리브작동수단(330)을 설치하여 된 관 연결부(300);
    상기 역류방지밸브(410)는 보조관(500)의 하부에 마련된 공간(540)에 수용되게 마련되고, 그 공간의 일 측에는 개폐밸브(520)가 설치된 토출 관(530)이 설치되며, 상기 공간의 상부에는 밸브(551)가 설치된 배수관(550)과 공간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물 유도수단(220)은 물 유도구(221)의 내부에 양수 관으로부터 유입된 물을"⊂"자 형태로 유도하여 연결 관으로 공급하는 물 유도로(222)가 형성되고, 그 물 유도로의 일 측에는 수량게이지(223)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슬리브작동수단(330)은 슬리브의 외부면 후방 양측에 홀이 형성된 각각의 브래킷(331)이 설치되고, 그 각 브래킷의 홀에는 링크(332)가 유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링크의 상단은 고정구(333)와 연결 설치되고 상기 고정구의 상부 링크에는 작동레버(334)를 설치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간(540)에는 공간내부의 에어를 배출하는 에어벤트(560)가 설치되고, 배수관(550)에는 수압을 체크하는 압력계(570)와 수압조절 관(580) 및 수질검사를 위한 수질검사용 검사수인출 관(59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주관(100)의 상부에는 주관내부의 기압을 조절하는 기압조절밸브(12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관(500)의 하부와 주관(100)의 하부 간에는 보조관의 결로를 배출하는 결로배출 관(13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취수장치.
KR1020090103359A 2009-10-29 2009-10-29 취수장치 KR10098269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59A KR100982693B1 (ko) 2009-10-29 2009-10-29 취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3359A KR100982693B1 (ko) 2009-10-29 2009-10-29 취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82693B1 true KR100982693B1 (ko) 2010-09-17

Family

ID=43010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3359A KR100982693B1 (ko) 2009-10-29 2009-10-29 취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269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684A (zh) * 2017-06-08 2017-10-20 防城港市长歧水利管理所 一种农田水利灌溉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30A (ja) 1998-09-07 2000-03-21 Marushima Aqua System:Kk 取水装置
JP2000257050A (ja) 1999-03-04 2000-09-19 Ohbayashi Corp 取水装置
JP2005163436A (ja) 2003-12-04 2005-06-23 Takemura Seisakusho:Kk 管継手及び該管継手を用いた量水器の接続装置
JP2006225984A (ja) 2005-02-17 2006-08-31 Takemura Seisakusho:Kk 量水器の接続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80630A (ja) 1998-09-07 2000-03-21 Marushima Aqua System:Kk 取水装置
JP2000257050A (ja) 1999-03-04 2000-09-19 Ohbayashi Corp 取水装置
JP2005163436A (ja) 2003-12-04 2005-06-23 Takemura Seisakusho:Kk 管継手及び該管継手を用いた量水器の接続装置
JP2006225984A (ja) 2005-02-17 2006-08-31 Takemura Seisakusho:Kk 量水器の接続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68684A (zh) * 2017-06-08 2017-10-20 防城港市长歧水利管理所 一种农田水利灌溉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57204B1 (en) Non-gravity toilet
CN107461541A (zh) 管道关断设备
US20140226779A1 (en) Reactor pressure vessel depressurization system and main steam safety relief valve drive apparatus
KR20120061227A (ko) 부력흡출기를 가지는 급수장치
KR100982693B1 (ko) 취수장치
CA2625716A1 (en) Water sensor apparatus
KR20150004586A (ko) 동파 방지 밸브가 구비된 급수 배관 장치
KR101056147B1 (ko) 송수관의 부압 방지장치
KR20110018116A (ko) 리그선의 밸러스팅 장치
KR101254083B1 (ko) 공동수로가 구비된 연결배관 일체형 지하수 상부 밀폐 장치
US20140230425A1 (en) Hydraulic circuit for ram cylinder
JP2006132306A (ja) 給水装置
KR20140002105A (ko) 관세척장치
KR101784810B1 (ko) 선박의 소화수 공급장치
CN107002908B (zh) 阀壳、具备其的阀、具备阀的涡轮装置及阀壳的气氛气体侵入防止方法
NO325892B1 (no) Vannkran
KR102368134B1 (ko) 제수밸브 및 체크밸브 일체형 사수방지 소화전 시스템
JP3897619B2 (ja) 自動給水装置
JP6438289B2 (ja) 水道水貯留システムおよび水道水貯留システムの使用方法
KR101085573B1 (ko) 배출 차단 장치
KR101010900B1 (ko) 방류밸브용 공기밸브
KR200486870Y1 (ko) 스트레이너 장치
JP4707406B2 (ja) 地下液体貯留設備の安全弁装置析出物堆積防止装置及び方法
KR20090059791A (ko) 상수도 공급시스템용 관말의 정체수 순환장치
JP5138334B2 (ja) 異物分離タンク付の液体圧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