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1775B1 -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 Google Patents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1775B1
KR100981775B1 KR1020080073713A KR20080073713A KR100981775B1 KR 100981775 B1 KR100981775 B1 KR 100981775B1 KR 1020080073713 A KR1020080073713 A KR 1020080073713A KR 20080073713 A KR20080073713 A KR 20080073713A KR 100981775 B1 KR100981775 B1 KR 10098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edium
signal
magnetic component
noi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364A (ko
Inventor
김인욱
Original Assignee
엘지엔시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엔시스(주) filed Critical 엘지엔시스(주)
Priority to KR102008007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1775B1/ko
Priority to CN200980124640.0A priority patent/CN102077253B/zh
Priority to US12/999,097 priority patent/US8872513B2/en
Priority to EP09770388.8A priority patent/EP2306409B1/en
Priority to PCT/KR2009/003410 priority patent/WO2009157716A2/ko
Publication of KR20100012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4Testing magnetic properties of the materials thereof, e.g. by detection of magnetic imprin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Abstract

본 발명은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입되는 매체와 접촉되게 구성되고 매체에 인쇄된 자기성분신호를 검출하는 제1 및 제2센서(110a)(110b)가 구비된다. 상기 검출된 자기성분신호에는 각종 노이즈신호가 포함된다. 그리고, 상기 인입되는 매체와 비접촉되게 구성되고 매체 감별동작 시 장치에서 발생하는 각종 노이즈신호만을 검출하는 제3센서(120)가 구비된다.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110a)(110b)(120)의 검출신호를 증폭하는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기성분신호만을 추출하기 위해 노이즈신호를 제거하는 차동증폭회로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차동증폭회로부(150)에는 상기 제1센서(110a)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차감시켜 제1센서(110a)의 자기성분신호만을 추출하는 제1차동증폭부(152a)와, 상기 제2센서(110b)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차감시켜 제2센서(110b)의 자기성분신호만을 추출하는 제2차동증폭부(152b)가 구비된다. 상기 추출된 신호에 기초하여 매체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매체 감별 시 노이즈를 제거하여 지폐 감별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센서, 자기성분, 지폐감별, 노이즈 제거, 차동증폭회로

Description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A APPARATUS FOR DETECTING MEDIUM AND A METHOD FOR DETECTING THEREOF}
본 발명은 매체감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노이즈(noise)를 최소화하여 매체 감별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의 매체라는 용어는 예를 들어, 지폐, 수표, 티켓, 증명서 등을 나타내는 것으로, 폭이나 길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얇은 것으로 다양한 것이 있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지폐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다.
일반적으로, 지폐감별장치는 금융자동화기기, 매체취급기, 자동판매기 등에 적용되어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 이미지, 은화, 형광잉크, 각종 숫자 및 문자를 인식하여 지폐의 종류, 위조 여부 등을 판단하게 된다.
그 중, 도 1에는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판독하는 지폐감별장치의 부분 단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설명하면, 상부 브라켓(10)에는 지폐(30)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가 소정 간격으로 일렬로 설치된다. 이때, 상기 자기센서(12a)(12b)는 감지면이 아래를 향하여 노출되도록 설치하고, 상기 지 폐(30)가 이송되는 방향과 수직을 이루도록 설치함으로써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검출하게 된다.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와 동일선상에 일렬로 설치되어 상기 인입된 지폐(30)를 후술하는 하부지폐이송롤러(24a)(24b)들과 대향되어 구동됨에 따라 이송하는 상부지폐이송롤러(14a)(14b)가 구비된다.
그리고, 하부 브라켓(20) 내에는 지폐이송롤러축(22)이 회전함에 따라 상기 지폐(30)를 이송하는 하부지폐이송롤러(24a)(24b)와, 상기 이송되는 지폐(30)를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측으로 밀어 올려 상기 지폐(30)가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와 근접되게 함으로써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보다 정확하게 검출되도록 하는 센서접촉롤러(26a)(26b)가 구비된다.
상기 롤러(24a)(24b)(26a)(26b)들은 지폐이송롤러축(22)에 소정 간격으로 배열되되, 상기 하부지폐이송롤러(24a)(24b)는 각각 상기 상부지폐이송롤러(14a)(14b)와 대향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센서접촉롤러(26a)(26b)는 각각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와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상기 지폐이송롤러축(22)의 양단에 설치되어 상기 지폐이송롤러축(22)을 상방으로 지속적으로 밀어주는 하부지지 스프링(28a)(28b)이 구비된다. 이는 상기 롤러(24a)(24b)(26a)(26b)들과 각각 대향되는 상기 상부지폐이송롤러(14a)(14b)와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 사이가 근접되도록 유지하기 위함이다. 이때, 상기 하부지지 스프링(28a)(28b)의 탄성에 의해 상기 롤러(24a)(24b)(26a)(26b)들이 지나치게 밀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베어러(29a)(29b)가 구비된다.
한편, 도면에 미도시하고 있지만,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로부터 검출된 자기성분에 대한 아날로그신호를 각각 전달받고 이를 각각 안정된 신호세기로 증폭하기 위한 제1 및 제2증폭부와, 상기 증폭된 아날로그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이하 "AD 컨버터"라 약칭함.)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를 판독하여 상기 인입된 지폐(30)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 이하 "MCU"라 약칭함.)이 구비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지폐감별장치는 탄성적으로 지지되는 롤러에 의해 지폐(30)가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와 긴밀하게 접촉될 수 있어 지폐 감별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지폐감별장치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에 의해 검출된 자기성분에는 노이즈성분이 포함된다. 이는,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가 주변의 엑츄에이터(예컨대, 모터, 솔레노이드 등)의 동작으로 인해 발생되는 자기장(magnetic field)의 영향을 받기 때문이다. 또 상기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에는 내부회로, 즉 전원회로의 스위칭 노이즈 등이 유입되기 때문이다.
그런데, 상기 노이즈는 상기 지폐(30)에 인쇄된 자기성분과 함께 증폭되기 때문에, 상기 지폐(30)에 인쇄된 자기성분만을 추출하는데 어렵다. 따라서, 상기 MCU가 상기 지폐(30)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판독하여 지폐(30)의 진위 여부를 감별 시 상기 노이즈의 영향으로 인해 그 정확도가 감소되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다.
또한, 제1 및 제2자기센서(12a)(12b) 외주면에 자성을 차폐할 수 있는 차폐막 등을 설치하여 외부로부터 발생된 자기장을 차단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차폐막 설치에 따른 비용이 증가될 뿐만 아니라, 상기 액츄에이터가 설치된 위치에 따라 차폐 정도에 변화가 발생하여 동일한 차단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노이즈성분을 제거하고 매체의 자기성분만을 추출하여 매체 감별력을 향상시키는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매체와 접촉되게 구성되고, 상기 매체의 자기성분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센서와, 상기 매체와 비접촉되게 구비되고, 상기 매체가 이송될 때 발생하는 노이즈신호를 검출하는 제2센서와, 상기 제1센서의 자기성분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신호와 상기 제2센서의 노이즈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자기성분신호를 추출하는 감산/추출부와, 상기 추출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와,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추출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복수의 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폭부는 모두 동일한 증폭률을 갖는다.
상기 제1 및 제2센서는 자기저항센서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르면, 매체 이송 시 발생하는 노이즈신호와 상기 매체에 인쇄된 자기성분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단계와, 상기 노이즈신호를 상쇄시켜 상기 자기성분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단계와, 상기 추출된 자기성분신호에 의해 상기 매체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자기성분신호에는 매체 이송 시 발생하는 상기 노이즈신호가 포함되고, 상기 추출단계는, 상기 매체 이송 시 발생하는 노이즈신호와 상기 자기성분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자기성분신호를 추출한다.
상기 자기성분신호는 매체에 접촉된 센서로부터 검출되고, 상기 노이즈신호는 매체와 비접촉된 센서로부터 검출된다.
상기 검출단계에서 검출된 신호를 증폭하는 제1증폭단계와, 상기 추출단계에서 추출된 자기성분신호를 증폭하는 제2증폭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증폭단계는 서로 동일한 증폭률로 증폭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에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먼저, 자기센서가 매체에 인쇄된 자기성분 검출 시 이에 포함된 노이즈성분을 상쇄시켜 자기성분만을 추출할 수 있어 매체를 보다 정확하게 감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 자기센서 주변에 차폐막 등을 설치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차폐막 설치에 따른 비용 절감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을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별장치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 예의 매체감별장치는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검출하고 이를 처리하기 때문에, 이러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폐감별장치(100)에는 인입되는 지폐와 접촉되게 구성되고,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검출하는 제1 및 제2센서(110a)(110b)가 구비된다. 상기 검출된 자기성분에는 일반적인 노이즈 성분이 포함된다. 상기 노이즈는 상기 지폐감별장치(100)의 내부 각종 회로에서 발생하는 전기적 노이즈와, 모터/솔레노이드 등의 구동수단이 구동될 때 발생되는 자기장으로 인한 기계적 노이즈를 말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 및 제2센서(110a)(110b)에 의해 검출된 자기성분에 포함된 각종 노이즈를 제1노이즈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1노이즈를 차감시키기 위해 상기 제1노이즈와 동일한 성분의 노이즈를 검출하는 제3센서(120)가 구비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3센서(120)에 의해 검출된 노이즈를 제2노이즈라고 하기로 한다. 상기 제3센서(120)는 인입되는 지폐와 접촉되지 않는 개소에 위치한다. 그래서 상기 제2노이즈만을 검출하고 상기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은 검출하지 않는다.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110a)(110b)(120)는 모두 자기성분에 따라 저항성분이 변하는 자기저항센서이다.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110a)(110b)(120)의 검출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하는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가 구비된다. 여기서, 상기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는 모두 동일한 증폭률을 갖도록 구성한다. 그리 고, 상기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는 각각 제1 및 제2증폭부(132a)(132b)(142)(134a)(134b)(144)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는 지폐의 반복 및 오랜 사용으로 인해 자기성분이 저하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기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의 증폭률은 자기성분을 충분히 추출할 수 있을 정도의 증폭률이어야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110a)(110b)(120)의 검출신호에서 충분히 자기성분이 추출될 수 있으면, 상기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의 구성은 반드시 필요하지는 않다.
상기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에서 증폭된 증폭신호로부터 상기 제1 및 제2센서(100a)(110b)에서 검출된 자기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제1노이즈와 제2노이즈를 감산하고 증폭하는 차동증폭회로부(150)가 구비된다. 상기 차동증폭부(150)에는 상기 제1센서(110a)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감산하고 증폭하는 제1차동증폭부(152a)와, 상기 제2센서(110b)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감산하고 증폭하는 제2차동증폭부(152b)가 구비된다.
상기 감산/증폭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탈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이하 "AD 변환부"라 약칭함.)(160)가 구비된다.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제어부(170)가 구비된다.
상기 지폐의 진위 여부 감별에 사용되는 진폐 기준값을 저장하는 저장부(180)가 구비된다.
한편, 도 3에는 제1 및 제3증폭회로부(130a)(140)와 제1차동증폭부(152a)의 내부 회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설명하면, 제1증폭회로부(130a)의 제1증폭부(132b)에는 제1센서(110a)가 저항(R1)을 매개하여 제1연산증폭기(OP1)의 비반전(+)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는 접지(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상기 접지와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1캐패시터(C1)와 저항(R2)이 직렬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제2캐패시터(C2)와 저항(R3)이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2차증폭부(134b)에는 상기 제1연산증폭기(OP1)의 출력단자가 저항(R4)을 매개하여 제2연산증폭기(OP2)의 비반전(+)단자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에는 접지(그라운드)와 연결된다. 상기 접지와 반전(-)단자 사이에는 제3캐패시터(C3)와 저항(R5)이 직렬로 연결된다. 또 상기 제2연산증폭기(OP2)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제4캐패시터(C4)와 저항(R6)이 병렬로 연결된다. 상기 제3증폭회로부(140)는 상술한 제2증폭회로부(120b)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제1차동증폭부(152b)에는 상기 제1증폭회로부(130a)의 출력단자가 저항(R7)을 매개하여 제3연산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와 연결된다. 상기 저항(R7)과 상기 제3연상증폭기(OP3)의 비반전(+)단자 사이에는 저항(R8)이 병렬로 연결된다. 그리고 제3증폭회로부(140)의 출력단자가 저항(R9)를 매개하여 상기 제3연산증폭기(OP3)의 반전(-)단자와 연결된다. 또 상기 제3연상증폭기(OP3)의 반전(-)단자와 출력단자 사이에는 저항(R10)이 병렬로 연결된다. 이와 같이 구성됨에 따라 제1센서(110a)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는 각각 제1 및 제2증폭부(132a)(134a)(142)(144)에 의해 소정 레벨로 증폭되고, 그 다음 제1차동증폭 부(152a)에서 노이즈성분이 차감된 후 자기성분만이 추출되게 된다.
이하,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별방법을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4를 참조하면, 지폐인입부를 통해 지폐가 인입되면(S100), 상기 인입된 지폐가 이송될 때 상기 제1 및 제2센서(110a)(110b)는 상기 지폐에 인쇄된 자기성분을 각각 검출한다. 이때, 상기 제1 및 제2센서(110a)(110b)의 검출신호에는 제1노이즈신호가 포함된다. 아울러, 상기 제3센서(120)는 상기 제1노이즈신호와 동일한 성분을 갖는 제2노이즈신호를 검출한다(S102).
상기 검출이 완료되면, 제1 내지 제3증폭회로부(130a)(130b)(140)는 상기 제1 내지 제3센서(110a)(110b)(120)의 검출신호를 소정 레벨로 증폭한다(S104).
제106단계에서, 제1차동증폭부(152a)는 상기 제1 및 제3증폭회로부(130a)(140)에서 증폭된 신호로부터 제1센서(110a)에서 검출된 자기성분만을 추출하기 위해 상기 제1센서(110a)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감산한 후 이를 다시 증폭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1노이즈신호와 제2노이즈신호가 서로 상쇄되어 제1센서(110a)에서 검출된 자기성분만을 추출한 후 증폭한다. 동시에, 제2차동증폭부(152b)는 상기 제1차동증폭부(130a)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2센서(110b)와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감산하고 이를 다시 증폭한다.
그러면, AD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160)는 상기 제1 및 제2차동증폭부(152a)(152b)에 의해 감산/증폭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한다(S108).
그리고, 제어부(170)는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인입된 지 폐의 진위 여부를 감별한다(S110). 즉, 상기 제어부(170)는 상기 전달된 디지털신호에 포함된 지폐의 자기성분신호를 판독하고, 저장부(180)에 저장되어 있는 진폐 기준값과 비교하여 상기 인입된 지폐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것이다. 예컨대, 도 5에는 진폐 기준값의 테이블이 도시되어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진폐 기준값은 지폐의 총 길이(예컨대, 1만원권 지폐의 짧은 쪽의 길이는 68mm)를 1mm 단위로 구분하는 지폐의 위치 값에 대한 제1 및 제2센서(110a)(110b)의 검출신호 세기 값을 포함한다. 만약, 지폐의 위치 값 '50mm'에서 검출된 제1센서(110a)의 검출신호 세기 값이 '30'이고 제2센서(110b)의 검출신호 세기 값이 '0'인 경우 진폐로 감별하고, 반면 지폐의 위치 값 '54mm'에서 검출된 제1센서(110a)의 검출신호 세기 값이 '-50'이거나 또는 제2센서(110b)의 검출신호 세기 값이 '-30'인 경우 위폐로 감별한다. 이때, 상기 지폐의 진위 여부는, 특정 위치의 자기성분이 훼손되거나 또는 지폐가 훼손된 경우를 대비하여, 일치 정도가 일정 비율 이상이면 일치된 것으로 판단한다. 설명의 편의상 하나의 경우에 대한 진폐 기준값만을 설명하였으나, 상기 저장부(180)에는 권종 및 지폐 인입 방향(즉, 앞뒤, 좌우가 바뀌어 인입)에 대응되는 모든 경우에 대한 진폐 기준값이 저장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한편, 도 6에는 상기 자기성분이 추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 예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설명의 편의상 제1차동증폭부(152a)가 제1센서(110a)에서 검출된 자기성분을 추출하는 과정에 대해서만 설명하겠다. 도 6을 참조하면, '(A)'는 제1센서(110a)의 검출신호를 나타내며, '(B)'는 제3센서(120)의 검출신호를 나타낸다. 즉, '(A)'는 검출된 자기성분신호 및 제1노이즈신호를 모두 포함하고, '(B)'는 제2노이즈신호만을 포함한다. '(A)', '(B)'는 모두 노이즈신호를 포함하므로, 거의 비슷한 신호파형을 갖는다. 그러나, 'D'영역을 보면, 미세하게 파형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센서(110a)에서 검출된 자기성분신호가 포함된 영역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제1차동증폭부(152a)에 의해 '(A)'와 '(B)'가 감산되면, 'E'영역은 노이즈신호만이 존재하므로 서로 상쇄되고, 'D'영역에서 노이즈신호가 상쇄된 자기성분신호(C)만이 추출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자기성분신호(C)는 상기 제1차동증폭부(152a)에 의해 증폭된 값이다.
이와 같이 상기 실시 예에 설명되고 있는 본 발명은 인입된 매체의 진위 여부 감별 시 지폐감별장치 내부에서 유입되는 각종 노이즈를 제거하여 매체 감별력을 향상시키는 이점이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하여 설명하고 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들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요지 및 범위에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변형, 변경 및 균등한 타 실시 예들이 가능하다는 것을 명백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인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상기 실시 예에서는 자기성분을 검출하기 위한 센서로 두 개의 자기센서를 구성하였으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자기센서를 최적의 위치에 설치할 수 있다. 또 증폭회로부 및 차동증폭회로부는 반드시 도면에 도시된 회로 구성일 필요는 없으며, 다른 회로소자를 이용하여 구성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지폐감별장치의 부분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별장치의 블록 구성도.
도 3은 증폭회로부와 차동증폭부의 내부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매체감별방법의 흐름도.
도 5는 진폐 기준값의 테이블.
도 6은 자기성분신호가 추출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출력 파형 예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지폐감별장치 110a : 제1센서
110b : 제2센서 120 : 제3센서
130a : 제1증폭회로부 130b : 제2증폭회로부
140 : 제3증폭회로부 150 : 차동증폭회로부
152a : 제1차동증폭부 152b : 제2차동증폭부
160 : 아날로그/디지털 컨버터 170 : 제어부
180 : 저장부

Claims (7)

  1. 매체의 자기성분신호를 검출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센서;
    상기 매체가 이송될 때 발생하는 노이즈신호를 검출하는 제2센서;
    상기 제1센서의 자기성분신호에 포함된 노이즈신호와 상기 제2센서의 노이즈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자기성분신호를 추출하는 감산/추출부;
    상기 추출된 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부(Analog to Digital Converter); 그리고
    상기 변환된 디지털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매체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의 추출신호를 각각 증폭하는 복수의 증폭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증폭부는 모두 동일한 증폭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센서는 자기저항센서임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장치.
  4. 매체 이송시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와 상기 매체 이송시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가 포함된 상기 매체의 자기성분신호를 검출하는 검출단계;
    상기 매체 이송시 발생하는 노이즈 신호와 상기 자기성분신호에 포함된 노이즈 신호를 감산하여 상기 자기성분신호를 추출하는 추출단계; 그리고
    상기 추출된 자기성분신호에 의해 상기 매체의 진위 여부를 감별하는 감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방법.
  5. 삭제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자기성분신호는 매체에 접촉된 센서로부터 검출되고, 상기 노이즈신호는 매체와 비접촉된 센서로부터 검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방법.
  7.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단계는 상기 노이즈 신호와 상기 노이즈 신호가 포함된 자기성분신호를 서로 동일한 증폭률로 증폭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매체감별방법.
KR1020080073713A 2008-06-25 2008-07-28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098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713A KR100981775B1 (ko) 2008-07-28 2008-07-28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CN200980124640.0A CN102077253B (zh) 2008-06-25 2009-06-24 介质鉴别装置及其鉴别方法
US12/999,097 US8872513B2 (en) 2008-06-25 2009-06-24 Medium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EP09770388.8A EP2306409B1 (en) 2008-06-25 2009-06-24 Medium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PCT/KR2009/003410 WO2009157716A2 (ko) 2008-06-25 2009-06-24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3713A KR100981775B1 (ko) 2008-07-28 2008-07-28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64A KR20100012364A (ko) 2010-02-08
KR100981775B1 true KR100981775B1 (ko) 2010-09-13

Family

ID=4208659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3713A KR100981775B1 (ko) 2008-06-25 2008-07-28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1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04B1 (ko) * 2013-04-23 2015-01-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노이즈 제어 장치 및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845B1 (ko) * 2010-08-16 2013-02-21 주식회사 엘지생명과학 자기저항센서를 이용한 검출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검출방법
CN112652288A (zh) * 2019-09-25 2021-04-13 深圳怡化电脑股份有限公司 消除磁性浮动辊磁噪声的方法、装置及终端设备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748B1 (ko) 1995-03-06 1999-06-15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류식별장치
KR100472164B1 (ko) 2001-10-24 2005-03-08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위조지폐 검출 계수장치
KR100607696B1 (ko) 2004-10-18 2006-08-02 이-뱅킹텍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KR20060090561A (ko) * 2005-02-08 2006-08-14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감별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4748B1 (ko) 1995-03-06 1999-06-15 오까다 마사하루 지폐류식별장치
KR100472164B1 (ko) 2001-10-24 2005-03-08 주식회사 카스모아이티 위조지폐 검출 계수장치
KR100607696B1 (ko) 2004-10-18 2006-08-02 이-뱅킹텍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KR20060090561A (ko) * 2005-02-08 2006-08-14 히타치 오므론 터미널 솔루션즈 가부시키가이샤 지폐 감별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604B1 (ko) * 2013-04-23 2015-01-08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금융기기 노이즈 제어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364A (ko) 2010-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6409B1 (en) Medium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KR101413952B1 (ko) 자기 패턴 검출 장치
KR100711689B1 (ko) 지폐 감별 장치
KR100981775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098588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1146454B1 (ko) 매체의 자기성분 검출방법 및 그를 이용한 매체인식방법과 매체인식장치
KR100472164B1 (ko) 위조지폐 검출 계수장치
JP6981741B2 (ja) 紙葉類鑑別装置および自動取引装置
KR101736569B1 (ko)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JP2511488B2 (ja) 紙葉類判別装置
JP4702431B2 (ja) 紙幣識別装置
KR100805986B1 (ko) 지폐두께 측정장치
JP3747551B2 (ja) 紙幣識別装置
JP4230745B2 (ja) 磁気信号識別方式
JP2896288B2 (ja) 紙幣識別方法
JP5109353B2 (ja) 紙幣識別装置
JP2810776B2 (ja) 紙幣判別装置
JPH02108185A (ja) 紙葉類鑑別装置
JP3211341B2 (ja) 紙幣識別装置
JPS60146388A (ja) 紙葉類判別装置
JP4629456B2 (ja) 紙葉類判別装置
JP2017199097A (ja) 媒体鑑別装置、自動取引装置、及び管理システム
JPS59223893A (ja) 紙幣鑑別方法とその装置
JPH06301839A (ja) 紙幣識別装置
KR20150079060A (ko) 금융자동화기기에서의 금속 이물질 감지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2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3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8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