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607696B1 -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 Google Patents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607696B1
KR100607696B1 KR1020040083031A KR20040083031A KR100607696B1 KR 100607696 B1 KR100607696 B1 KR 100607696B1 KR 1020040083031 A KR1020040083031 A KR 1020040083031A KR 20040083031 A KR20040083031 A KR 20040083031A KR 100607696 B1 KR100607696 B1 KR 100607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ter
signal
light receiving
infrared
infrared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830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33945A (ko
Inventor
김동원
Original Assignee
이-뱅킹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뱅킹텍 filed Critical 이-뱅킹텍
Priority to KR10200400830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607696B1/ko
Publication of KR200600339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339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07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07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6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7D7/12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03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using security elem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7/00Testing specially adapted to determine the identity or genuineness of valuable papers or for segregating those which are unacceptable, e.g. banknotes that are alien to a currency
    • G07D7/01Testing electronic circuits therein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07/00Paper-money testing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DHANDLING OF COINS OR VALUABLE PAPERS, e.g. TESTING, SORTING BY DENOMINATIONS, COUNTING, DISPENSING, CHANGING OR DEPOSITING
    • G07D2211/00Paper-money handling devi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Inspection Of Paper Currency And Valuable Securities (AREA)

Abstract

본체의 내측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 데이타와 빛이 투과되면 일정 영역의 농도가 지폐 바탕면과 구분되는 수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위조지폐와 권종을 구분하도록 된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로 제1적외선 발광부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를 투과하여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의 수광량의 변동 주기횟수와 수광량의 변동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된 수인감지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양측 소정위치로 한 쌍의 제2적외선 발광부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을 제2적외선 수광부가 수광하고, 적외선의 수광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적어도 두장 이상이 계수대를 통과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계수검출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로 청광발광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면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를 통과방향으로 다수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390nm ~ 450nm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가까운 청광만을 필터링하면 영역별로 청광 수광부가 수광하는 청광감지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자성잉크를 계수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로 검출하는 자성잉크 검출단계와; 상기 제1, 제2적외선 수광부, 청광 수광부, 마그네틱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앰프에서 소정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단계와; 상기 증폭단계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A/D컨버터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는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마그네틱 센서에 대한 데이타가 없거나 청광 수광부에 대한 데이타 값이 설정값보다 크면 위조지폐로 식별하는 위조지폐 식별단계와; 상기 수인감지단계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유효한 개수 미만일 경우, 청광 수광부에서 수광한 다수개의 수광량에 따른 데이타값의 분포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하면 오천원 구권으로 식별하고, 이상이면 천원권으로 식별하는 제1권종 식별단계와; 상기 수인감지단계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유효한 개수일 경우, 변동주기가 8이면 만원 구권으로, 한 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의 광량차가 설정값 보다 크면 만원 신권으로, 작거나 같으면 오천원 신권으로 식별하는 제2권종 식별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지폐 및 수표가 가지고 있는 인쇄기법의 특징부를 추출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부를 이용하여 진폐와 위조지폐를 구분하고, 또한, 권종마다의 특징부를 검출하여 권종을 구분할 수 있게 하여 손쉽고도 용이한 위폐식별과 계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Identifying method of note}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지폐계수기의 계수대에 배치되는 각 센서의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식화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 4a는 만원 신권의 전면 적외선 잉크에 의한 인쇄부를 도시한 도면.
도 4b는 만원 신권의 수인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만원 구권의 수인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오천원 신권의 수인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자성잉크로 인쇄된 부분을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인검출시 적외선 수광량에 따른 그래프로 도시한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청광 수광부의 영역별 전기신호 검출상태와 혼합색과 단일색에 의한 청광반응 비교도면.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5 : 지폐 106 : 제1적외선 발광부
109 : 벨트 110 : 제2적외선 발광부
119 : 안내롤러 123 : 청광발광부
124 : 마그네틱 센서 125 : 자성잉크부
130 : 수인
본 발명은 본체의 내측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 데이타와 빛이 투과되면 일정 영역의 농도가 지폐 바탕면과 구분되는 수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위조지폐와 권종을 구분하도록 된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지폐 및 수표가 가지고 있는 인쇄기법의 특징부를 추출/이용하여 이들이 가지고 있는 특징부를 이용하여 진폐와 위조지폐를 구분하고, 또한, 권종마다의 특징부를 검출하여 권종을 구분할 수 있게 하여 손쉽고도 용이한 위폐식별과 계수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위조지폐감식기 및 지폐계수기는 자석을 이용하거나 자외선을 이용한 것이 각각 분리 형성되어 있어 두 종류의 감식기를 모두 구비하여야 하므로 고가에 제작 및 판매되고 있으며, 일반적인 지폐계수기는 지폐의 매수를 계수하는 기능위주로 제작되기 때문에 액면금액이 다른 지폐나 수표 혹은 비슷한 규격의 종이(위조지폐)가 섞여 있을 경우 이를 식별하지 못하고 그대로 계수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요즈음은 화상이나 엠보싱 또는 잉크 성분, 색채 등에 주목하여 그 원본 데이터를 메모리하고, 그 원본 데이터와 계수되는 지폐의 데이터를 비교하는 방법이 채용되는 바,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의 비교방식에 있어서 광학계, 즉 발광소자로부터 로딩 주행하는 지폐에 대하여 광을 조사하고, 이 광을 투과 또는 반사시켜, 그 정보가 실린 광 신호를 수광소자가수광하여 얻어진 정보를 원본 데이터와 비교하는 것이다.
이러한 광학계를 이용한 데이터는 대부분 파형, 파장으로 표현되는 것으로 되지만 발광소자로서 이용되는 광의 종류(파장의 종류)에 따라 지폐와의 대응에서 일장일단이 있어 명확히 진위를 체크할 수 있는 파트와 그렇지 못한 부분이 있다는 것이 판명됨으로써 그 실효성에 문제점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컬러센서를 이용하여 지폐의 원색데이타를 수집함으로써 진폐와 위폐를 식별하는 방법이 채택되어 왔으나, 이와 같은 원색을 이용한 위폐검사는 지폐의 낡은 정도에 따라 큰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신권지폐와 몇 년간 사용되어오던 구권의 지폐는 지폐에 인쇄된 원색의 잉크가 퇴색 및 농도가 옅어지거나 오염되어 신권지폐가 갖는 원색의 데이타와 큰 차이점을 갖기 때문에 사용기간에 따라 변경되는 원색의 데이타값을 기준으로 권종 및 위폐여부를 판단한다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는 것이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발명은, 권종마다 인쇄기법의 특징부가 서로 다르다는 점에서 착안하여 적외선 잉크의 사용여부, 지폐의 중앙부분을 가로지르며 형성된 다수개의 수인과 자성잉크 및 적색, 녹색, 청색의 혼합 및 단일색의 사용여부, 형광물질의 잔존여부에 따른 데이타를 손쉽게 획득하고 비교하여 위조지폐와 진폐는 물론 권종도 손쉽게 구분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체(102)의 내측 프레임(103)에 내장된 구동모터(107)의 회전에 의해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의 소정 데이타와 빛이 투과되면 일정 영역의 농도가 지폐 바탕면과 구분되는 수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위조지폐와 권종을 구분하도록 된 수인(130)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의 소정위치로 제1적외선 발광부(106)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105)를 투과하여 제1적외선 수광부(도시하지 않음)에 수광되는 적외선 수광량의 변동 주기횟수와 수광량의 변동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된 수인감지단계(S101)와; 상기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의 소정위치로 한 쌍의 제2적외선 발광부(110)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105)를 투과하는 적외선을 제2적외선 수광부(도시하지 않음)가 수광하고, 적외선의 수광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적어도 두장 이상이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계수검출단계(S102)와; 상기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의 소정위치로 청광발광부(123)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면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를 통과방향으로 다수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390nm ~ 450nm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가까운 청광만을 필터링하면 청광 수광부(도시하지 않음)가 영역별로 수광하는 청광감지단계(S103)와; 상기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자성잉크를 계수대(104)의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124)로 검출하는 자성잉크 검출단계(S104)와; 상기 제1, 제2적외선 수광부, 청광 수광부, 마그네틱 센서(124)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앰프(도시하지 않음)에서 소정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단계(S105)와; 상기 증폭단계(S105)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A/D컨버터(도시하지 않음)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도시하지 않음)에 저장는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S106)와; 상기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S106)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마그네틱 센서(124)에 대한 데이타가 없거나 청광 수광부에 대한 데이타 값이 설정값보다 크면 위조지폐로 식별하는 위조지폐 식별단계(S107)와; 상기 수인감지단계(S101)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기 설정된 유효개수 미만일 경우, 청광 수광부에서 수광한 다수개의 수광량에 따른 데이타값의 분포 합이 기 설정된 값 이하면 오천원 구권으로 식별하고, 이상이면 천원권으로 식별하는 제1권종 식별단계(S108)와; 상기 수인감지단계(S101)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유효한 개수일 경우, 변동주기가 8이면 만원 구권으로, 한 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의 광량차가 설정값 보다 크면 만원 신권으로, 작거나 같으면 오천원 신권으로 식별하는 제2권종 식별단계(S109)를 포함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인감지단계(S101)는, 상기 제1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와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큰 상태에서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다 작을 경우에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수광량에 따른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큰 상태에서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다 클 때까지 계속해서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는 신호검출단계(S101a)와; 상기 신호검출단계(S101a)에서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크고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다 크면 이전신호를 최대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이전신호로 저장하는 최대값 검출단계(S101b)와; 상기 최대값 검출단계(S101b)에서 최대값(이전신호)가 검출된 후 제1적외선 수광부의 현재신호를 읽어 이전신호보다 작으면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다시 읽고,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크면 이전신호를 최소값으로 판단하고 수인카운트를 1증가 시키며,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어 현재신호와 이전신호의 비교값에 따라 수인(130)을 계수하는 수인계수단계(S101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계수검출단계(S102)와 청광감지단계(S103)는, 상기 계수대(104)에 지폐(105)를 통과시키는 이송롤러(111)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102) 내측 프레임(103)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축 슬릿부(115)의 슬릿을 엔코더(118)가 감지하여 매번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수신된 전기신호의 소정개수 마다 마그네틱 센서(124) 및제2적외선 수광부와 청광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증폭단계(S105)에서 증폭되게 하는 영역구분단계(S103a)를 포함한다.
이하, 본 발명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의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계수기(101)의 계수대(104)에 도 2와 같이 다수개의 광센서 및 마그네틱 센서(124)를 설치하고,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를 광센서 및 마그네틱 센서 (124)로 소정의 신호를 검출하고 이 신호를 이용하여 권종 및 위폐를 식별하도록 된 것이다.
즉, 도 1에 도시된 지폐계수기(101)는 통상적으로 지폐(105)를 계수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지폐계수기(101)의 계수대(104)에 지폐(105)의 유무를 식별(S1)한 후, 지폐(105)가 있는 것으로 식별되면 제1, 제2적외선 발광부(106)(110)가 계수대(104)측으로 적외선을 조사함과 동시에 청광발광부(123)에서 조사된 자외선 광이 지폐(105)를 투과하면 필터가 390nm ~ 450nm의 파장을 필터링하여 자외광에 가까운 청광만을 청광 수광부가 수광함과 더불어 제1, 제2적외선 수광부가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을 수광한다.
아울로, 본체(102) 내측의 구동모터(107)를 구동하여, 구동축단의 구동풀리(108)와 이 구동풀리(108)에 벨트(109)로 연결된 연동축(112)단의 연동풀리 및 연동풀리의 구동기어(114)와 치합된 연동기어(113)를 회전시킴으로써, 계수대(104)의 지폐(105) 중 최하위에 위치된 지폐(105)를 안내롤러(119)가 이송롤러(111)로 안내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제2적외선 발광부(106)(110), 청광발광부(123)에서 조사되는 빛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폐(105)의 중심부 또는 양측면 소정위치로 빛이 조사되게 설치된다.
이때, 안내롤러(119)와 이송롤러(111)에는 통상적으로 지폐(105)가 가이드 및 파지될 수 있도록 널링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이송롤러(111)의 널링부가 지폐(105)를 파지하여 계수대(104)로 이송시키는 시점과 동시점에 상기 연동기어 (113)와 치합되는 구동기어(114)의 회전축단의 슬릿부(115)가 회전한다.
한편, 이송롤러(111)에 의해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하나의 지폐(105) 양측면 소정위치로는 제1, 제2적외선 발광부(106)(110)의 적외선이 투과되어 제1, 제2적외선 수광부가 이를 수광하고, 청광발광부(123)의 자외선 광은 청광 수광부가 투과 되는 자외선광과 반사되는 자외선 광 중 어느 하나를 수광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청광 수광부가 수광하는 자외선에 가까운 청광은 상기한 바와 같이 투과되는 광일 수도 있으며, 반사되는 광일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는 위폐식별기 설계시 참조 및 택일하여야 할 사항이므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투과되는 자외 광으로 지폐를 식별하려 할 경우에는 계수되는 지폐(105)가 일반적인 종이일 경우 종이 표면에 형광물질이 도포되어 자외광이 형광물질과 반응하므로 지폐(105)를 투과하는 자외 광의 양은 소정의 값보다 클 것이고, 진폐일 경우에는 자외 광이 반응할 형괄물질이 없으므로 청광 수광부에 수광된 자외광의 양이 적을 것이므로 이러한 데이타를 기준으로 지폐를 식별하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릿부(1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주변에 등간격으로 다수개의 슬릿(115a)이 연계형성되어 있으며, 슬릿부(115)가 회전할 때 슬릿(115a)이 통과할 때마다 제어부(도시하지 않음)로 전기신호를 발생하도록 된 엔코더(118)가 본체(102) 내측 프레임(103)의 일측면에 도 1과 같이 설치된다.
따라서, 상기한 바와 같이 회전하는 소정개수의 슬릿(115a)이 엔코더(118)를 통과하게 되면 엔코더(118)에서는 슬릿(115a) 통과시 마다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 송하고, 제어부는 전송된 전기신호 마다 청광 수광부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으며, 소정 회수의 전기신호가 엔코더(118)로부터 수신될 때마다 청광 수광부로 전기신호를 발생시킬 수도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이를 한정하지는 않으며, 이렇게 제어부로부터 신호가 청광 수광부로 전송되면, 이때, 청광 수광부에 수광된 수광량에 따라 발생하는 청광 수광부의 전기신호를 검출한다.
즉, 청광 수광부의 전기신호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통과방향으로 슬릿(115a)과 엔코더(118)의 전기신호에 의해 다수개의 영역으로 구분되어서 지폐(105)의 구분영역별로 전기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서, 이하에서는 상세한 설명을 위해 하나의 지폐(105)에 투과되는 청광발광부(123)의 자외선 광 9개 구역으로 분할되는 것을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즉, 하나의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할 때, 슬릿부(115)는 1회전(1회전이 될 수도 있고 2회전이 될 수도 있는 것으로 이것은 기어의 잇수비를 조절함으로써 결정될 수 있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명확한 설명 및 설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슬릿부(115)가 1회전 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기로 한다.)하며, 이때, 슬릿(115a)의 개수가 27개이면, 지폐(105)는 계수대(104) 통과방향으로 27개의 구역으로 균등분할될 수도 있으며 그 이상, 그 이하로도 분할이 가능하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엔코더(118)는 슬릿(115a)이 엔코더(118)를 통과할 때마다 전기신호를 발생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는 엔코더(118)에에서 발생되는 전기신호를 카운트하며 매번 전기신호가 전송될 때 2번 또는 3번과 같이 기입력된 주기에 따라 청광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검출할 수 있게 되는 것으로, 엔코더(118)의 슬릿(115a)가 3개 통과할 때마다 제어부의 신호에 따라 청광 수광부의 수광량을 확인하면 지폐(105)가 9등분으로 구획분할된다. 즉, 슬릿부(115)가 정확히 1회전하면 지폐(105)가 9구역으로 분할되어 청광 수광부가 빛을 수광하게 되는 것이다.
물론, 제2적외선 수광부도 상기한 바와 같이 9구역으로 분할하여 적외선을 수광하며, 이는 지폐의 특징적인 부분을 추출해 내기 위한 것이므로 마그네틱센서에 의한 자성잉크검출에 있어서도 적용될 수 있는 것이다.
슬릿(115a)을 4개로 그 주기를 결정할 경우에는 총 슬릿(115a)이 27개 이므로 슬릿부(115)는 한바퀴와 1/3을 더 회전해야 지폐(105)가 9등분으로 구획분할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마그네틱 센서(124)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든 지폐(105)에 자성잉크로 인쇄된 자성잉크부(125)가 있으므로 자성잉크부(125)와 근접되는 위치에 설치되어야 하며, 계수시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하면서 자성잉크부(125)가 마그네틱 센서(124)에 근접하여 통과하게 되면 마그네틱 센서(124)는 전기신호를 발생하며, 자성잉크부(125)가 없는 위폐일 경우에는 전기신호가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간단히 위폐와 진폐를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에서 수집 및 활용되는 각 권종별 특징부를 설명하면, 만원 신권의 경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면에는 적외선잉크부가 넓게 넓게 형성되나, 좌우측이 비대칭이며, 전, 후면 모두 도 4b와 같이 중앙 은선이 있는 부분에는 6개의 수인(130)이 있고, 자성잉크도 뒷면의 'THE BANK OF KOREA'에 있다.
여기서, 상기한 수인(130)이라는 것은, 지폐의 중앙부분에 위치한 일정한 크기의 사각영역이 지폐 바탕면의 농도 보다 좀더 엷은 농도를 가지게 한 것으로써, 지폐에 빛이 투과되면 도 4b, 도 5, 도 6과 같이 빛이 투과하면서 지폐 바탕면 보다 엷은 농도로 형성된 일정 영역이 그 농도의 차이에 의하여 바탕면 보다 밝은 색으로 표시되는 일종의 “숨은막대”를 말하는 것이다.
첨부된 도 4b, 도 5, 도 6는 빛이 지폐를 투과하면서 나타나게 되는 수인(130)이 좀더 명확하게 도시될 수 있도록 바탕면은 제거하고 수인(103)만 돋보이게 한 것이다.
따라서, 실제로 빛이 지폐를 투과하게 되면, 도시된 수인(130)은 주변 바탕면 보다 좀 더 밝게 보이고, 바탕면은 수인(130) 보다 좀 더 진하게 표시된다.
그리고, 만원 구권은 전, 후면 모두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선이 있는 중앙 부분에 수인(130)이 8개 있으며, 오천원 신권의 전, 후면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은선이 있는 중앙 부분에 수인(130)이 6개 있고, 반면에 오천원 구권의 경우에는 수인(130)이 없다.
아울러, 오천원 구권은 수인(130)이 없지만 전체적으로 적색, 녹색이 비교적 균등하게 혼합된 노랑색 계열로 이루어지고, 천원권도 수인(130)은 없지만 전체적으로 단일색이 강하게 분포된 적색에 가까운 특징을 갖는다.
특히, 만원 구권, 오천원, 천원의 자성잉크는 앞면 중앙의 '한국은행'에 있으며, 각 권종은 모두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너부분에 자성잉크로 인쇄된 부분이 있는 것은 공통된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한 권종별 수인(130)과 특징부를 이용하여 위폐 및 권종식별방법을 도 3에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지폐계수기(101)에서 계수가 시작되면 계수대(104)에 지폐(105)의 유무를 카운트 센서(도시하지 않음)로 확인(S1)하고, 지폐(105)가 있으면 구동모터(107) 및 안내롤러(119)와 이송롤러(111)에 의해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한다.
이때,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할 때에는 수인감지단계(S101), 계수검출단계(S102), 청광감지단계(S103), 자성잉크 검출단계(S104)가 동시에 수행되는 바, 먼저,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가 진폐일 경우에는 만원권과 오천원 권과 천원권에 공통적으로 자성잉크부(125)가 인쇄되어 있으므로 마그네틱 센서(124)가 반응하여 전기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진폐와 위폐를 식별하는 자성잉크 검출단계(S104)가 수행되는 바(S3), 이 신호는 증폭단계(S105)에서 앰프를 통해 증폭되고(S4) 증폭된 전기신호는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S106)에서 A/D컨버터에 의해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된 후 메모리에 저장된다(S5).
그리고, 상기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에 제2적외선 발광부(110)의 적외선이 조사되면, 지폐(105)를 투과한 적외선은 제2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며(S3), 제2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는 증폭단계(S105)에 의해 증폭되고(S4)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S106)에 의해 저장되는 바(S5), 상기 제2적외선 수광부에 의한 전기신호가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적어도 두장 이상의 지폐(105)가 동시에 계수대(104)를 통과한 것으로 간주하는(S6) 계수검출단계(S102)가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제2적외선 발광부(110)에서 발광되는 적외선은 지폐(105)를 투과하면서 지폐(105)의 적외선잉크에 일부 흡수되고 일부는 투과하는 것으로, 적어도 두장 이상의 지폐(105)가 동시에 계수대(104)를 통과할 경우에는 한장의 지폐(105)를 통과하는 적외선의 양 보다 두장 이상의 지폐(105)를 통과하는 적외선의 양이 더 적기 때문에 한장을 통과하는 적외선의 양을 평균적인 설정값으로 정하고 이 값과 제2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비교하여 계수가 정확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할 때에는 수인감지단계(S101)에 의해 만원 신권, 구권과 오천원 신권의 수인(130)을 계수하는 바,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에 제1적외선 발광부(106)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제1적외선 수광부가 지폐(105)를 통과하는 적외선을 수광하고 이 수광량에 따라 전기신호를 발생한다.
여기서, 지폐(105)에 수인(130)이 도 4, 도 5, 도 6과 같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수인(130)이 있는 부분에서는 적외선이 일부 흡수되기 때문에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의 양이 수인(130)이 없는 부분보다 적게 되므로, 도 8a는 만원 신권과 오천원 신권에 대한 수인검출그래프이며, 도 8b는 만원 구권에 대한 일반적인 수인검출그래프 모양을 갖게 된다.
한편, 최초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하기 전에는 제1적외선 수광부에는 제1적외선 발광부(106)에서 조사된 적외선이 그대로 수광되기 때문에 최대값을 갖게 되고,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시점에서는 수인(130)이 없는 부분이지만 지폐(105)에 의해 필터링 되기 때문에 일부 감소된 적외선이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며, 이것을 첫 신호로 판단하고(S2a), 제1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를 다시 읽어와서(S2b) 현재신호와 최초 발생한 전기신호(이전신호)의 값과 비교한다.(S2c)
그리고,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크거나 같으면 수인(130)이 없는 부분이므로 다시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고,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작으면 수인(130)이 있는 부분이라고 판단은 할 수 있다.
그러나, 지폐(105)의 오염정도에 따라 적외선의 투과율이 변동될 수 있으므로 오염에 따라 설정된 노이즈값이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보다 작으면(S2d) 현재신호와 이전신호의 차가 크지 않다는 것이므로 수인(130)이 없는 부분이다. 따라서, 다시 제1적외선 수광부의 전기신호를 읽어오게 한다.
한편,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작으면서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노이즈값보다 크면 오염된 부분을 감안하더라도 적외선이 수인(130)에 흡수되어 제1적외선 수광부에 적외선이 적게 수광된 것이므로 이전신호를 최대값으로 판단하고(S2e),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어와서(S2f) 이전신호와 현재신호를 비교한다(S2g).
여기서, 이전신호보다 현재신호가 작으면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다시 읽어 오고,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크면 이전신호를 최소값으로 판단하고(S2h) 수인(130)을 1 증가시킨 후(S2i), A로 분기하여 다시 신호를 읽어 수인(130)을 분리구분한다.
이와 같이 지폐(105)가 통과되는 동안 지속적으로 제1적외선 수광부의 전기신호를 읽어와 수인(130)을 계수하며, 여기서, 오천원 구권이나 천원권이 계수될 경우에는 수인(130)이 없으므로 당연히 계수되지 않게 된다.
한편, 청광감지단계(S103)에서는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에 청광발광부(123)에서 자외선 광을 조사하는 바, 일반적으로 위조지폐의 경우 복사지이거나 표백제가 표면에 뭍어 있을 경우에는 형광도료가 표면에 도포되기 때문에 자외선 광이 형광물질과 반응하여 많은 양이 반사하게 된다.
따라서, 위조지폐의 경우 자외선광의 투과율 및 반사율이 크기 때문에 청광 수광부에 수광되는 양이 크게 되므로, 자외광의 수광상태만을 이용하여서도 진폐와 위폐를 구분할 수 있게 된다.
즉, 청광발광부(123)에서 자외선광이 조사되면 진폐의 경우 형광물질이 없으 므로 자외광은 거의 대부분이 지폐(105)를 투과하고 반사되지 못하며, 이때, 청광 수광부 앞에는 필터가 설치되어 390nm ~ 450nm의 파장영역만을 필터링하여 청광 수광부가 청광에 가까운 자외선 광만을 수광할 수 있게 함으로써 청광의 반사여부를 파악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아울러, 청광감지단계(S103)에서는 계수대(104)를 통과하는 지폐(105)를 지폐(105)통과방향으로 상술한 바와 같이 다수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부분적으로 전기신호를 검출하여 저장케 한다.
따라서, 이상과 같이 수인감지단계(S101), 계수검출단계(S102), 청광감지단계(S103), 자성잉크 검출단계(S104)에서 발생한 전기신호는 증폭단계(S105)에서 모두 증폭되고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S106)에서 디지탈로 변환되어 메모리에 저장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지폐(105)가 계수대(104)를 통과하면서 지폐(105) 특징부에 대한 정보가 수집되면 마그네틱 센서(124)에 신호가 발생했는가를 판단하여(S7) 신호가 발생되지 않았을 경우 위폐로 간주하고, 신호가 발생하였을 경우에는 청광감지단계(S103)에 의해 청광 수광부에 수광된 청광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설정치보다 클을 경우 위폐로 간주하며, 전기신호가 설정치보다 작을 경우 소량의 청광이 수광된 것이므로 진폐로 식별하는 위조지폐 식별단계(S107)를 수행한다(S8).
그리고, 상기 위조지폐 식별단계(S107)가 수행되어 계수된 지폐(105)가 진폐로 판별되면 계수된 지폐(105)에서 수인(130)이 계수되었는지, 그리고, 계수되었다면 유효수인의 개수인지를 비교하는 바(S9), 유효수인은 오천원 신권과 만원 신권이 각각 6개로 최소의 수인(130)이므로 6과 비교하여 6이상이면 유효수인이라고 간주한다.
따라서, 유효수인이 아닐 경우(계수된 수인(130)이 6미만일 경우)에는 수인(130)이 없는 오천원 구권과 천원권 중 하나이므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청광감지단계(S103)의 영역구분단계(S103a)에서 영역별로 전기신호를 검출한 자료를 토대로 도 9a와 같이 청광반응에 대한 데이터 분포도 값의 기준치보다 이하의 수가 많으면 오천원권으로, 기준치보다 이상의 수가 많으면 천원권으로 인식한다.
따라서, 유효수인이 아닐 경우에는 단일색과 혼합색에 따른 청광 투과값에 따라 오천원 구권과 천원권을 식별하는 제1권종 식별단계(S108)를 수행한다.
그리고, 유효수인일 경우 수인(130)이 8개이면 만원 구권이며(S11), 8개가 아닐 경우에는 지폐(105)의 적외선 잉크 유, 무에 따라 만원 신권과 오천원 신권을 구분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적외선의 양의 차가 설정값보다 클 경우에는 만원 신권으로 식별하고 설정값 이하일 경우에는 오천원 신권으로 구분된다.(S12).
즉, 만원 신권의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종대왕과 물시계가 적외선잉크이며, 오천원 신권의 경우 적외선 잉크가 없는 것이 만원 신권과 오천원 신권의 특징이다.
따라서, 만원 신권의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외선 잉크 인쇄영역의 크기가 서로 다르므로 한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 광량에 차이가 발생하므로 한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의 차값이 발생하는 반면에, 오천 원 신권의 경우에는 적외선 잉크로 인쇄된 부분이 없으므로 광량의 차가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이러한 값을 이용하여 만원 신권과 오천원 신권을 구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지폐의 특징부에 따라 광센서 및 마그네틱 센서를 적절하게 배치하고 수집된 자료를 비교함으로써 위폐를 손쉽게 식별함은 물론, 각 권종마다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적절하게 비교하여 간단한 비교만으로도 권종을 빠르게 구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Claims (3)

  1. 본체의 내측 프레임에 내장된 구동모터의 회전에 의해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 데이타와 빛이 투과되면 일정 영역의 농도가 지폐 바탕면과 구분되는 수인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수집된 데이타를 분석하여 위조지폐와 권종을 구분하도록 된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에 있어서,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로 제1적외선 발광부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를 투과하여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되는 적외선의 수광량의 변동 주기횟수와 수광량의 변동 유무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도록 된 수인감지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양측 소정위치로 한 쌍의 제2적외선 발광부가 적외선을 조사하면, 지폐를 투과하는 적외선을 제2적외선 수광부가 수광하고, 적외선의 수광량이 설정값 이하이면 적어도 두장 이상이 계수대를 통과하는 것으로 간주하는 계수검출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로 청광발광부에서 자외선광을 조사하면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를 통과방향으로 다수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390nm ~ 450nm 파장을 갖는 자외선에 가까운 청광만을 필터링하면 영역별로 청광 수광부가 수광하는 청광감지단계와;
    상기 계수대를 통과하는 지폐의 소정위치에 인쇄된 자성잉크를 계수대에 설치된 마그네틱 센서로 검출하는 자성잉크 검출단계와;
    상기 제1, 제2적외선 수광부, 청광 수광부, 마그네틱 센서에서 발생하는 신호를 앰프에서 소정크기로 증폭시키는 증폭단계와;
    상기 증폭단계에서 증폭된 아날로그 신호를 A/D컨버터에서 디지탈 데이타로 변환하여 메모리에 저장는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와;
    상기 데이타변환 및 저장단계에서 메모리에 저장된 마그네틱 센서에 대한 데이타가 없거나 청광 수광부에 대한 데이타 값이 설정값보다 크면 위조지폐로 식별하는 위조지폐 식별단계와;
    상기 수인감지단계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유효한 개수 미만일 경우, 청광 수광부에서 수광한 다수개의 수광량에 따른 데이타값의 분포의 합이 기 설정된 값 이하면 오천원 구권으로 식별하고, 이상이면 천원권으로 식별하는 제1권종 식별단계와;
    상기 수인감지단계에서 검출된 수광량의 변동주기가 유효한 개수일 경우, 변동주기가 8이면 만원 구권으로, 한 쌍의 제2적외선 수광부의 광량차가 설정값 보다 크면 만원 신권으로, 작거나 같으면 오천원 신권으로 식별하는 제2권종 식별단계를 포함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인감지단계는,
    상기 제1적외선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작거나 같은 경우와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큰 상태에서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다 작을 경우에 제1적외선 수광부에 수광된 수광량에 따른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큰 상태에서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 다 클 때까지 계속해서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는 수인검출단계와;
    상기 신호검출단계에서 이전신호가 현재신호보다 크고 이전신호와 현재신호의 차값이 설정된 노이즈값보다 크면 이전신호를 최대값으로 판단하여 메모리에 이전신호로 저장하는 최대값 검출단계와;
    상기 최대값 검출단계에서 최대값(이전신호)가 검출된 후 제1적외선 수광부의 현재신호를 읽어 이전신호보다 작으면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다시 읽고, 현재신호가 이전신호보다 크면 이전신호를 최소값으로 판단하고 수인카운트를 1증가 시키며, 지폐가 계수대를 완전히 통과할 때까지 제1적외선 수광부의 신호를 읽어 현재신호와 이전신호의 비교값에 따라 수인을 계수하는 수인계수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계수검출단계와 청광감지단계는,
    상기 계수대에 지폐를 통과시키는 이송롤러가 회전함에 따라 본체 내측 프레임 일측면에 설치된 회전축 슬릿부의 슬릿을 엔코더가 감지하여 매번 전기신호를 제어부로 전송하면 수신된 전기신호의 소정개수 마다 마그네틱 센서 및 제2적외선 수광부와 청광 수광부의 수광량에 따른 전기신호가 증폭단계에서 증폭되게 하는 영역구분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KR1020040083031A 2004-10-18 2004-10-18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KR100607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31A KR100607696B1 (ko) 2004-10-18 2004-10-18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83031A KR100607696B1 (ko) 2004-10-18 2004-10-18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45A KR20060033945A (ko) 2006-04-21
KR100607696B1 true KR100607696B1 (ko) 2006-08-02

Family

ID=37142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83031A KR100607696B1 (ko) 2004-10-18 2004-10-18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60769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716A3 (ko) * 2008-06-25 2010-04-29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KR100981775B1 (ko) 2008-07-28 2010-09-13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CN102568078A (zh) * 2010-12-31 2012-07-11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复合鉴伪装置
KR101245021B1 (ko) 2012-09-28 2013-03-18 박승임 적외선 요소 파형을 이용한 권종식별장치 및 그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521911B (zh) * 2011-12-16 2014-03-12 尤新革 钞票冠字号识别方法
KR101515804B1 (ko) * 2013-11-29 2015-05-04 (주)아이엔에이치 휴대용 위폐감별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157716A3 (ko) * 2008-06-25 2010-04-29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CN102077253A (zh) * 2008-06-25 2011-05-25 Lgn-Sys株式会社 介质鉴别装置及其鉴别方法
US8872513B2 (en) 2008-06-25 2014-10-28 Lg Cns Co., Ltd. Medium discrimination apparatus and discrimination method thereof
KR100981775B1 (ko) 2008-07-28 2010-09-13 엘지엔시스(주) 매체감별장치 및 그 감별방법
CN102568078A (zh) * 2010-12-31 2012-07-11 北京兆维电子(集团)有限责任公司 复合鉴伪装置
KR101245021B1 (ko) 2012-09-28 2013-03-18 박승임 적외선 요소 파형을 이용한 권종식별장치 및 그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33945A (ko) 2006-04-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6645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iscriminating and counting documents
EP0807904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uthenticating US paper currency
US5992601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JP3320806B2 (ja) 紙幣鑑別装置
US8483472B2 (en) Paper sheet identifying device and paper sheet identifying method
KR100661440B1 (ko) 종이류 특징 검출 장치 및 종이류 특징 검출 방법
GB2355522A (en) Improvements in verifying printed security substrates
CA242466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ocument identification and authentication
US8973730B2 (en) Bank notes handling apparatus
KR100607696B1 (ko) 수인을 이용한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방법
KR101992387B1 (ko) 계수기용 통합센서모듈 구조
US20110019872A1 (en) Paper identifying apparatus and paper identifying method
EP3598400B1 (en) Paper sheet image acquisition device, paper sheet processing device, and paper sheet image acquisition method
KR20010009029A (ko) 지폐 인식 장치 및 그 방법
JPH08180189A (ja) 紙葉類の真贋判定方法及び装置
KR200199843Y1 (ko) 적외선투과 어레이 모듈을 이용한 위폐감지장치
KR20050009503A (ko)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및그 방법
JP2004246714A (ja) パールインキ検出装置及びパールインキ検出方法
EP2549445A1 (en) Genuine/counterfeit distinguishing unit, genuine/counterfeit distinguishing method, and fluorescent sensor
KR100613423B1 (ko) 지폐 계수기
JP2020113270A (ja) 画像取得装置、紙葉類処理装置、紙幣処理装置及び画像取得方法
JPH10334303A (ja) 印刷文書認証装置
EP3480794B1 (en) Paper sheet identification system and paper sheet identification method
KR200328153Y1 (ko) 위폐 판별 기능과 이권종 합산 기능을 갖는 지폐계수기
KR100464916B1 (ko) 위조지폐 및 권종식별용 데이타베이스 수집장치 및 그방법과 그 데이타베이스를 이용한 위조지폐 및권종식별장치 및 그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5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6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27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