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80946B1 - 변속레버 조립체 - Google Patents

변속레버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80946B1
KR100980946B1 KR1020080096710A KR20080096710A KR100980946B1 KR 100980946 B1 KR100980946 B1 KR 100980946B1 KR 1020080096710 A KR1020080096710 A KR 1020080096710A KR 20080096710 A KR20080096710 A KR 20080096710A KR 100980946 B1 KR100980946 B1 KR 10098094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retainer
coupled
boot
shift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67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7398A (ko
Inventor
권혁재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967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80946B1/ko
Publication of KR20100037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7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809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809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0/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0/02Arrangement or mounting of change-speed gearing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9/00Control inputs to control units of change-speed-, or reversing-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59/02Selector apparatus
    • F16H59/0213Selector apparatus with sealing means, e.g. against entry of du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Devices For Change-Speed Gea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상향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TGS레버;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위에 리테이너가 구비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을 상기 샤프트의 중단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킬 수 있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부츠에 매직테이프나 잠금단추를 형성하지 아니함으로써 부츠의 외관이 개선되고, 부츠와 TGS레버를 사전에 결합시켜 조립라인에서 플로워콘솔에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변속, 레버, 부츠, 리테이너, 탈착, 콘솔어퍼커버

Description

변속레버 조립체{Lever assembly for shifting transmission gear}
본 발명은 TGS(Transmission Gear Shift)레버에 콘솔어퍼커버 및 부츠가 결합되는 변속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부츠의 외관을 개선할 수 있고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변속레버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변속을 위한 변속레버 조립체가 운전석의 측부에 장착된다. 이때 변속레버 조립체는 일반적으로, 운전석의 측부에 마련되는 플로워콘솔에 장착되어 기어를 변속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TGS(Transmission Gear Shift)레버와, TGS레버의 상부를 덮도록 결합되는 콘솔어퍼커버와, TGS레버의 샤프트 외주면을 감싸는 부츠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는, 플로워콘솔(10)에 장착 되는 TGS레버(20)와, 상기 TGS레버(20)의 내부구조가 외부로 노출되지 아니하도록 상기 TGS레버(20)에 결합되는 콘솔어퍼커버(30) 및 부츠(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TGS레버(20)는, 상향 돌출되는 샤프트(22)와, 상기 샤프트(22)의 상측 끝단에 결합되는 노브(24)와, 상기 샤프트(22)의 중단을 감싸도록 결합되는 스커트(2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스커트(26)는 후진 기어를 넣을 때 운전자에 의해 당겨짐으로써 상기 샤프트(22)의 이동방향 제한을 해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상기 콘솔어퍼커버(30)는 상기 샤프트(22)와 노브(24)와 스커트(26)가 관통될 수 있도록 관통공(32)이 형성되며, 상기 관통공(32)은 부츠(40)에 의해 가려지게 된다. 상기 부츠(40)의 가운데 부위에는 샤프트(22)가 관통될 수 있도록 개구부(42)가 형성되며, 상기 부츠(40)의 가장자리 부위에는 콘솔어퍼커버(30)와의 체결을 위한 리테이너(44)가 구비된다.
상기 TGS레버(20)와 콘솔어퍼커버(30)와 부츠(40)는 각각 별도로 제작된 이후 자동차 조립라인 상에서 플로워콘솔(10)에 결합되는바, 상기 부츠(40)에 형성된 개구부(42)는 노브(24)가 관통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이때, 통상적으로 노브(24)는 샤프트(22)보다 굵게 제작되므로 상기 개구부(42)가 단순한 구멍 형상으로 제작되면, 상기 부츠(40)의 결합이 완료되었을 때 개구부(42)와 샤프트(22) 사이에 이격 공간이 생기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부츠(40)에는, 노브(24)가 개구부(42) 를 관통한 이후 상기 개구부(42)의 크기를 줄여 샤프트(22)의 외주면에 밀착시킬 수 있도록, 매직테이프(46) 및 잠금단추(48)가 구비된다.
매직테이프(46) 및 잠금단추(48)가 외부로 노출되면 부츠(40)의 외관이 나빠질 뿐만 아니라, 조립 라인 상에서 3개의 구성요소 즉, TGS레버(20), 콘솔어퍼커버(30), 부츠(40)를 장착시켜야하므로 조립 시간이 길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부츠에 매직테이프나 잠금단추를 형성하지 아니함으로써 부츠의 외관을 개선하고, 부츠와 TGS레버를 사전에 결합시켜 조립라인에서 플로워콘솔에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변속레버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상향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TGS레버;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위에 리테이너가 구비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을 상기 샤프트의 중단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킬 수 있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부츠;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한 쌍의 바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 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바는, 끝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한 쌍의 바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제작된다.
상기 샤프트의 중단에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방향을 제한 및 해제하는 스커트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스커트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된다.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부츠는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샤프트에 결합된다.
상기 TGS레버를 덮도록 자동차의 플로워콘솔에 결합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콘솔어퍼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제작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부츠에 매직테이프나 잠금단추를 형성하지 아니함으로써 부츠의 외관이 개선되고, 부츠와 TGS레버를 사전에 결합시켜 조립라인에서 플로워콘솔에 결합시키는 구성요소의 개수를 감소시킴으로써 조립공정을 단순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상향 연장되는 샤프트(110)와, 샤프트(110)의 상단에 결합되는 노브(130)를 구비하는 TGS레버(100); 및 샤프트(110)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부(210)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위에 리테이너(220)가 구비되는 부츠(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TGS레버(100)에 샤프트(110)의 이동방향을 제한 및 해제하는 스커트(120)가 구비되는 경우, 부츠(200)는 스커트(120)가 샤프트(110)에 결합된 이후에 샤프트(110)에 결합된다.
이때,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노브(130)가 샤프트(110)에 결합된 이후에 부츠(200)가 샤프트(11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노브(130)가 샤프 트(110)에 결합되기 이전에 부츠(200)가 샤프트(110)에 결합된다는 점에 특징이 있다.
따라서 부츠(200)에 형성되는 개구부(210)는 노브(130)가 통과할 수 있을 만큼 크게 형성될 필요가 없고 샤프트(110)만 관통될 수 있도록 즉, 개구부(210)가 샤프트(110)의 외주면에 밀착될 수 있도록 작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부츠(200)에 매직테이프(46) 및 잠금단추(48)를 마련할 필요가 없으므로, 부츠(200)의 외관이 개선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부츠(200)는, TGS레버(100)를 플로워콘솔(10)에 결합시키는 자동차 조립라인 상에서 샤프트(110)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TGS레버(100)를 플로워콘솔(10)에 결합시키기 이전에 샤프트(110)에 미리 결합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조립라인 상에서 3개의 구성요소(부츠(200)와 TGS레버(100)와 콘솔어퍼커버(30))를 자동차에 장착시켜야 했지만, 본 발명과 같이 부츠(200)가 사전에 TGS레버(100)에 결합되면 조립라인 상에서 2개의 구성요소(부츠(200)가 결합된 TGS레버(100)와 콘솔어퍼커버(30))만을 자동차에 장착시키기만 하면 되므로, 조립공정이 단순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공정은 이하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전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는 부츠(200)가 TGS레버(100)에 결합된 상태로 조립라인으로 공급되는데, 부츠(200)는 샤프트(110)가 관통되었다고 하더라도 위치가 고정되지 아니하므로 이송라인으로 공급하는 과정에서 흔들림으로써 손상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에 포함되는 부츠(2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20)의 일측을 샤프트(110)에 결합된 스커트(120)의 중단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킬 수 있는 탈착부재(222)가 구비된다는 점에 또 다른 특징이 있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220)를 샤프트(110)에 고정시킬 수 있는 탈착부재(222)가 구비되는 경우, TGS레버(100)를 이송하는 동안에는 리테이너(220)를 샤프트(110)에 고정시키고, 리테이너(220)를 콘솔어퍼커버(30)에 결합시킬 때에는 탈착부재(222)를 샤프트(110)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도 9 참조), TGS레버(100) 이송 중 부츠(200)의 흔들림에 의한 부츠(200)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상기 탈착부재(222)는 본 실시예에 도시된 경우와 같이 상기 샤프트(110)의 중단에 결합된 스커트(120)에 결합될 수도 있으나, 탈착부재(222)를 스커트(120)에 결합시키지 못하는 경우(예를 들어 샤프트(110)에 스커트(120)가 구비되지 아니하거나 상기 스커트(120)의 위치가 변경되는 경우) 상기 탈착부재(222)는 샤프트(110)에 직접 결합될 수도 있다.
상기 탈착부재(222)는 상기 리테이너(220)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바(222a, 222b)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110)가 상기 한 쌍의 바(222a, 222b)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220)의 일측이 상기 샤프트(110)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상기 탈착부재(222)가 한 쌍의 바(222a, 222b)형상으로 형성되면 작업자는 탈착부재(222)를 샤프트(110) 측으로 밀어 넣고 빼는 조작만으로 리테이너(220)를 샤프트(110)에 결합 및 분리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이 매우 간편해진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222a, 222b) 사이에 샤프트(110)가 끼워진 상태에서 임의로 빠지지 아니하도록, 상기 한 쌍의 바(222a, 222b) 끝단은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한 쌍의 바는, 작업자가 보다 쉽게 샤프트(110)를 끼우고 뺄 수 있도록 즉, 상기 샤프트(110)가 한 쌍의 바(222a, 222b) 사이로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탈착부재(222)가 한 쌍의 바(222a, 222b)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만을 설명하고 있으나, 상기 탈착부재(222)는 리테이너(220)의 일측을 샤프트(110)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 및 분리시킬 수만 있다면 어떠한 구조로도 변경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를 자동차에 장착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츠(200)가 사전에 결합된 TGS레버(100)를 플로워콘솔(10)에 장착시키고, 관통공(32)으로 리테이너(220)가 관통되도록 콘솔어퍼커버(30)를 하향 체결시킨다.
상기 콘솔어퍼커버(30)를 원래 장착되어야할 방향 그대로 수직 하향 이동시키면 콘솔어퍼커버(30)의 일측이 자동차의 인스트루먼트 패널 등에 간섭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콘솔어퍼커버(3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차의 다른 부품에 간섭되지 아니하도록 회전된 후 리테어너가 관통공(32)으로 관통되도록 하향 이동되고, 리테이너(220)가 관통공(32)을 완전히 관통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래 장착되어야한 방향으로 원위치시킨 후 플로워콘솔(10)에 결합시킨다.
콘솔어퍼커버(30)가 플로워콘솔(10)에 결합되면, 탈착부재(222)를 스커트(120)로부터 분리시켜 리테이너(220)가 샤프트(110)로부터 탈거되도록 한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리테이너(220)를 콘솔어퍼커버(30)의 관통공(32)에 체결시킨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를 이용하면, 조립라인 상에서 부츠(200)를 TGS레버(100)에 결합시키는 작업공정을 생략할 수 있으므로, 작업공정이 간단해진다는 장점이 있다.
이때, 상기 리테이너(220)는 상기 콘솔어퍼커버(30)의 관통공(32)에 결합될 수 있도록 외경이 관통공(32)의 내경보다 크게 제작되어야하는데, 이와 같이 리테이너(220)가 관통공(32)보다 크게 제작되면 리테이너(220)가 관통공(32)을 관통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상기 리테이너(220)는 작업자의 조작력에 의해 형상이 변경될 수 있도록 플라스틱이나 고무 등 탄성체로 제작됨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리테이너(220)가 탄성체로 제작되면, 작업자는 상기 리테이너(220)를 타원형으로 찌그러뜨려 관통공(32)을 관통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외에도, 상기 리테이너(220) 및 관통공(32)은 타원형으로 제작되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어퍼커버(30)가 90도 회전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220)가 관통공(32)을 관통할 수 있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콘솔어퍼커버(30)가 원상태로 복귀된 상태에서는 리테이너(220)가 관통공(32)을 관통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변속레버 조립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전면사시도 및 후면사시도이다.
도 6 내지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변속레버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순차적으로 도시한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TGS레버 110 : 샤프트
120 : 스커트 130 : 노브
200 : 부츠 210 : 개구부
220 : 리테이너 222 : 탈착부재

Claims (7)

  1. 상향 연장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상단에 결합되는 노브를 구비하는 TGS레버; 및
    상기 샤프트가 관통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가장자리 부위에 리테이너가 구비되며,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을 상기 샤프트의 중단에 고정 및 고정해제 시킬 수 있는 탈착부재가 구비되는 부츠;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리테이너의 저면 일측으로부터 돌출되는 한 쌍의 바를 포함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샤프트가 상기 한 쌍의 바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상기 리테이너의 일측이 상기 샤프트에 고정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는, 끝단이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바는, 상기 샤프트가 끼워맞춤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중단에는 상기 샤프트의 이동방향을 제한 및 해제하는 스커트가 구비되고,
    상기 탈착부재는 상기 스커트에 탈착 가능한 구조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6.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접촉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되어,
    상기 부츠는 상기 노브가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기 이전에 상기 샤프트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7.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TGS레버를 덮도록 자동차의 플로워콘솔에 결합되며, 상기 리테이너가 관통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는 콘솔어퍼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리테이너는 상기 관통공을 관통한 후 상기 관통공에 결합될 수 있도록 탄성체로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속레버 조립체.
KR1020080096710A 2008-10-01 2008-10-01 변속레버 조립체 KR1009809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10A KR100980946B1 (ko) 2008-10-01 2008-10-01 변속레버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6710A KR100980946B1 (ko) 2008-10-01 2008-10-01 변속레버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98A KR20100037398A (ko) 2010-04-09
KR100980946B1 true KR100980946B1 (ko) 2010-09-07

Family

ID=42214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6710A KR100980946B1 (ko) 2008-10-01 2008-10-01 변속레버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80946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225U (ko) 1985-09-10 1987-03-20
JPH02149321U (ko) * 1989-05-22 1990-12-19
KR970035903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 변속레버 부츠(boots)의 취부방법
KR20050070516A (ko) * 2003-12-30 200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인지 레버부츠 결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246225U (ko) 1985-09-10 1987-03-20
JPH02149321U (ko) * 1989-05-22 1990-12-19
KR970035903A (ko) * 1995-12-29 1997-07-22 한승준 자동차 변속레버 부츠(boots)의 취부방법
KR20050070516A (ko) * 2003-12-30 2005-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체인지 레버부츠 결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7398A (ko) 2010-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32829B2 (en) Button structure of shift knob
JP5061780B2 (ja) リヤバンパカバーの構造
JP4109070B2 (ja) コントロールケーブル固定用のワンタッチキャップ
JP6346758B2 (ja) 電動アシスト自転車及びバッテリケース
US20160178051A1 (en) Shift lever of automotive transmission
JP2008071527A (ja) コネクタ
JPH07298450A (ja) ハーネス用ハウジングカバーの取付け構造
KR100980946B1 (ko) 변속레버 조립체
JP2004230969A (ja) 車両用フィニッシャ構造
JP5120096B2 (ja) シフトレバー周辺構造
JP2010083183A (ja) ワイパ装置および連結部材
JP2011246089A (ja) シフトレバー装置のコネクタ構造
US8033198B2 (en) Shift control device for bicycle
JP6042460B2 (ja) キーシリンダ装置
JP6081223B2 (ja) 車両用コンソールボックス
US9108586B2 (en) Steering lock device
KR101704290B1 (ko) 변속 노브 조립체
JP2007039973A (ja) バックドアロック装置
JP2010175019A (ja) カバー部材の取付構造
US20180283544A1 (en) Shift Lever Device
KR100568819B1 (ko) 차량용 시프트레버 어셈블리
JP6321475B2 (ja) マット用留め具
JP4396844B2 (ja) ステアリングコラムカバー取付構造
JP2011195042A (ja) 車両のセンターコンソール
JP2004255969A (ja) 自動変速機のシフトレバー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9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3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7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