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534B1 -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534B1
KR100979534B1 KR1020080041390A KR20080041390A KR100979534B1 KR 100979534 B1 KR100979534 B1 KR 100979534B1 KR 1020080041390 A KR1020080041390 A KR 1020080041390A KR 20080041390 A KR20080041390 A KR 20080041390A KR 100979534 B1 KR100979534 B1 KR 100979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ific gravity
resin
metal powder
vibrator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3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15501A (ko
Inventor
한승용
한성재
최우남
Original Assignee
(주)엠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티 filed Critical (주)엠피티
Priority to KR10200800413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534B1/ko
Publication of KR200901155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5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14Casings; Enclosures;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3/0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 B22F3/20Manufacture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characterised by the manner of compacting or sinter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Presses and furnaces by extrud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75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using crankshafts or eccent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 소재로서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 방법, 및 고비중 수지로 제조된 강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고비중수지를 사용하여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와 같은 고비중을 필요로 하는 최종 제품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고 진동모터의 폐기 후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비중수지, 통신기기 진동 모터, 진동자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Polymer with high gravity for a vibrator in vibration motor of mobile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 소재로서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 방법, 및 고비중 수지로 제조된 강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에서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착신에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이 중 진동을 위해서는 기기 내에 소형 진동모터를 장착하여 이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전체가 진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중 하나인 진동 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환하는 부품으로써 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휴대폰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 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을 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종래로부터 이동 전화기 사용되고 있는 모터용 진동자는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420호(등록일자;2000년 9월 25일)에 개시되어 있다. 상기 한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05420호에 개시되어 있는 이동 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2)는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부채꼴 내지는 반원기둥 형상의 텅스텐 합금분말로 성형된 텅스텐합금체(5)와. 상기 텅스텐합금체(5)의 길이방향 외주면을 외주에 접착제를 개재해서 씌운 합성수지(6)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합성수지(6)에는 샤프트 삽입구(4)가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이동 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2)는 모두 텅스텐 합금분말을 초경체의 금형 내에 적량의 소결 접착제 등과 함께 삽입한 후, 고온고압을 가하여 성형하는 것으로서, 진동자의 무게를 줄일 수 있고, 부품가를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진동 모터의 샤프트에 진동자를 용이하게 부착시킬 수 있다는 장점은 있으나, 상기 텅스텐 합금체(5)의 길이방향을 따라 합성수지(6)가 피복되어 있어 진동자 전체 무게가 가벼워서 강한 진동을 얻을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텅스텐 합금체(5)를 소결한 후에, 부식을 방지하기 위해서 텅스텐 합금체(5)의 외주면에 2 내지 4㎛의 니켈도금을 하여야 하므로,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한 방안으로서 본 발명자들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494734호에서는 이동전화기 진동 모터의 분동의 제조 방법을 개발한 바 있으나, 상기의 방법 또한 분동을 사출 성형한 후 진동모터 분동의 구동을 위한 PCB 및 코일 등을 접착처리에 있어서는 전기적인 쇼트 문제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분동을 PCB와 코일에 인서트 사출을 할 경우 전기전도도(전기저항도)를 조절하지 않을 경우 전기적인 쇼트 문제가 발생하여 진동모터를 구동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 소재로서 구동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동시에 제조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는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 이로 제조된 강한 진동을 발생할 수 있는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고비중수지를 제조함에 있어, 금속분말 원료 로서 입경이 큰 금속분말과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일정 비율로 혼합하여 사용하고, 이를 열가소성 수지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압출성형하여 목적하는 비중과 전기저항치를 얻음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비중이 다른 1종 이상의 금속분말을 혼합하고, 여기에 열가소성 수지, 전기전도성 조절제 및 유동화제를 혼합한 후 압출처리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비중수지의 제조는, 입경 1 내지 1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 30 내지 15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금속분말 11 내지 65부피%와 열가소성 수지 27 내지 79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전기전도성 조절제 58부피%이하 및 유동화제 수지대비 5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출처리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같은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은 비중 7이상 이면 어떠한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텅스텐, 동 및 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금속분말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금속분말은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과 입경이 큰 금속분 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련저항을 낮게 하고 또한 성형기 등의 스크루가 파손되지 않도록 입경이 작은 금속 분말입자와 입경이 큰 금속분말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입자는 입경 1 내지 1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입경이 1㎛보다 작게 되면, 최종 수지로 진동자를 성형했을 때, 금속분말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또한, 분말입자 직경이 작다는 것은 그 형상이 미세하다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 중에 분진이 발생되어 비산되기 쉬워, 작업환경이 악화되어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입경이 10㎛보다 크게 되면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하기 쉽게 되어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분말입자 직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분말입자 직경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는 입경 30 내지 15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의 입경이 30㎛ 보다 작게 되면,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을 첨가한 효과가 작아져서 최종 제품 성형 시 혼련저항이 커지게 된다.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의 입경이 150㎛ 보다 크게 되면, 압출할 때의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해서 압출기의 내부의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쉽고, 성형 가공된 제품에 균열 발생이나 강도 부족이 발생한다. 또 한, 분말입자 직경이 크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편석되어 질이 같은 재료를 형성하지 못하여, 재료로서의 품질이 저하되며,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이 제품의 표면에 나타나면, 표면에 요철이 커져서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내면에의 밀착도가 나빠진다. 따라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분말입자 직경은 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과 입경이 큰 금속분말을 혼합함에 있어서, 혼합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해,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수지의 후로우-마-크(flow mark)를 억제하기 위하여 입경이 큰 금속분말은 55 내지 70 부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이 30중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적어져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금속분말의 비율이 증가하여 성형기내에서 브릿지를 형성하기 쉽게 되어 압출기의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금속분말의 총표면적이 감소되어 금속분말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 박리가 생겨서 최종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강도부족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한편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이 70중량%를 초과하면, 금속분말의 총표면적이 지나치게 커져서 마찰저항이 증가함 으로서 최종 제품을 성형할 때,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은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30∼70중량%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입경이 큰 금속분말이 30중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작 아져서, 압출 때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이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70중량을 넘으면, 압출할 때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하여 압출기의 내부의 스크류가 손상되기 쉽다. 또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생기기 쉽고,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서 최종 제품에 균열 발생하므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은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중량%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LCP(액정폴리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수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조절제는 금속산화물계 세라믹, 미네랄 및 유리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화제는 프탈산 디옥틸 또는 프탈산 디부틸과 같은 프탈산에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틸렌 비스스테아로아마이드 또는 에틸렌비스아미드와 같은 내부할제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크레딜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또 는 메틸아세틸 시노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전기 저항값이 10²~10¹²이며, 비중이 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수지는 상기의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하여 커팅하여 직경이 0.5mm이고, 길이가 약 0.5∼1.0mm 정도인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펠렛으로 성형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수지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진동자를 성형하는 데 사용할 수 있으며, 기타 고비중을 요구하는 제품의 성형에 바람직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고비중 수지로 제조된 성형품으로서 이동전화기 진동모터용 진동자를 제공한다.
상기의 진동자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수지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기 내부의 스크류와 열에 의해 노즐부를 통해 금형에 주입한 후, 사출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진동자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버어(burr)를 샌딩 공정에서 제거한 후에, 진동자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한 결과 5 내지 13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비수지와 동일한 값을 가졌다.
상기에서 고비중수지 중 금속분말 65부피% 이상과 열가소성수지/세라믹 분말 35부피% 이하로 함유되면, 비중이 12이상이 되어 기존 텅스텐 소결 분동보다 2배 이상의 무게가 되어 진동 모터의 샤프트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진동이 보다 강하나, 인서트 사출을 할 경우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게 되어 인서트사출의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고, 전기적 쇼트의 발생이 없는 바 타입과 같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다. 금속분말을 11부피% 이하로 함유하면, 비중이 5 미만이 되어 전기적 충격은 적으나 진동 모터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진동이 약하여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비중수지의 비중을 5 내지 13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진동 모터의 분동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한 비중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진동자를 모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Ⅳ-Ⅳ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형상은 통상의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10)는 부채꼴 또는 반원기둥 형상의 금속분말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본체(12)와, 상기 본체의 직경보다 1/2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본체(12)의 중심으로 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부채꼴 또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14)와, 진동모터(16)의 샤프트(18)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14)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관 통구멍(20)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Ⅵ-Ⅵ선 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해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40)는 부채꼴 또는 반원형 형상의 금속분말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이 일정 비율로 혼합된 본체(42)와, 상기 본체(42)의 직경보다 1/2 이하의 직경을 가지며, 상기 본체(42)의 중심으로 부터 길이 방향을 따라 부채꼴 또는 반원기둥 형상으로 돌출된 돌출부(44)와, 진동 모터(도시하지 않음)의 샤프트가 삽입되도록 상기 돌출부(44)에 형성된 관통구멍(46)으로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서 미설명 부호 48은 이젝터핀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고비중수지를 사용하여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와 같은 고비중을 필요로 하는 최종 제품으로 성형함으로써 제조 원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보다 강한 진동을 발생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재활용이 가능하고 진동모터의 폐기 후에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어 전기소재 산업 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고비중 수지를 사용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입경 1.2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4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21부피%와 LCP(액정폴리머) 77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에 수지 대비 0.4 내지 2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한 후 생산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진동자(10,40)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동자를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4.9 ~ 5.1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7 이상이었다.
실시예 2
입경 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8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65부피%와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4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에 수지 대비 0.4 내지 1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한 후 생산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진동자(10,40)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동자를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12 ~ 12.5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2 이상이었다.
실시예 3
입경 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80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28부피%와 LCP(액정폴리머) 47부피%와 미네랄(중정석) 14부피% 와 유리섬유 11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열가소성 수지 대비 0.7 내지 2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하여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한 후 생산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진동자(10,40)를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동자를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7~7.15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7 이상이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 모터의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화살표 Ⅱ-Ⅱ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해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진동자를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에 설치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서 화살표 Ⅳ-Ⅳ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의해 이동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한 진동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서 화살표 Ⅵ-Ⅵ선을 따라 취한 종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진동자 12 본체
14 돌출부 16 진동 모터
18 샤프트 20 관통구멍
40 진동자 42 본체
44 돌출부 46 관통구멍
48 에젝터핀

Claims (7)

  1. 금속분말과 열가소성 수지로 구성된 통신기기 진동 모터 진동자용 수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입경 1 내지 1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 30 내지 15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금속분말 11 내지 65부피%와 열가소성 수지 27 내지 79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전기전도성 조절제 58 부피% 이하 및 유동화제 수지대비 중량5%이하 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출처리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이 비중 7이상의 텅스텐, 동 및 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금속분말 또는 2종 이상의 금속분말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LCP(액정폴리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수지 또는 2종 이상의 수지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조절제가 금속산화물계 세라믹, 미네랄 및 유리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조절제 또는 2종 이상의 조절제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가 프탈산 디옥틸 또는 프탈산 디부틸과 같은 프탈산에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틸렌 비스스테아로아마이드 또는 에틸렌비스아미드와 같은 내부할제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크레딜 포스페이트(TCP) 또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와 같은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또는 메틸아세틸 시노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의 제조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의 방법으로 제조되어, 전기 저항값이 102~1012이며, 비중이 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
  7. 제6항의 고비중수지를 사용하여 사출 성형 공정으로 제조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
KR1020080041390A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09795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0A KR100979534B1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0A KR100979534B1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501A KR20090115501A (ko) 2009-11-05
KR100979534B1 true KR100979534B1 (ko) 2010-09-02

Family

ID=415566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390A KR100979534B1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53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314B1 (ko) 1996-01-26 1999-06-15 조규석 환봉 및 와이어 형태의 구리-텅스텐 합금 제조방법
KR100403794B1 (ko) 1999-12-28 2003-11-01 한승용 소화기용 탄환
KR100494734B1 (ko) 2002-10-24 2005-06-13 한성재 이동 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
KR100623362B1 (ko) 2005-06-22 2006-09-12 김기호 금속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198314B1 (ko) 1996-01-26 1999-06-15 조규석 환봉 및 와이어 형태의 구리-텅스텐 합금 제조방법
KR100403794B1 (ko) 1999-12-28 2003-11-01 한승용 소화기용 탄환
KR100494734B1 (ko) 2002-10-24 2005-06-13 한성재 이동 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
KR100623362B1 (ko) 2005-06-22 2006-09-12 김기호 금속 세라믹 필터 및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501A (ko) 2009-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35393A1 (en) Tapered ferrite core, its produc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inductance device comprising it
JP2007154007A (ja) フィラーの製造方法、フィラーおよび樹脂成形体
KR102028327B1 (ko) 세라믹 3차원 프린터
KR100979534B1 (ko)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및 그 제조방법
CN102163496B (zh) 高性能无卤环保型橡塑铁氧体挤出磁条的制备方法及磁条
KR102003217B1 (ko) 삼차원 프린터
EP1386328B1 (en) Electrically conductive polymeric mixture, method of molding conductive articles using same, and electrically conductive articles formed therefrom
KR20090115502A (ko)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JP2011192714A (ja) 電磁波シールド材
KR100494734B1 (ko) 이동 전화기의 진동 모터용 진동자의 제조방법
JP4427776B2 (ja) シート状樹脂磁石の製造方法
CN219466959U (zh) 一种生产免辐照tpe的螺杆结构
KR20040030860A (ko) 마그네틱 롤러와 이를 생산하는 방법
CN116021744B (zh) 一种环保型金色环氧模塑封料生产装置及其方法
JP2010123706A (ja) 希土類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
US20040131841A1 (en) Conductive resin molded product having insulating skin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CN211807743U (zh) 一种挤出螺杆
CN108308623B (zh) 空心金属研磨头以及制作方法
KR20030015436A (ko) 수용성 매개체를 이용한 다공성 플라스틱 성형품 사출방법
KR20170076533A (ko) 세라믹 분말을 이용한 다공질체 및 그 제조방법
JPH06287055A (ja) セラミックス焼結体の製造方法
JP2005012162A (ja) シート磁石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3608411B2 (ja) 電子部品と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2004338337A (ja) 円筒状磁性体付き樹脂成形体の製造方法およびバリ除去バイト
JP2004043740A (ja) 合成樹脂と木粉の混合成形物よりなる立体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