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115502A -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 Google Patents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115502A
KR20090115502A KR1020080041391A KR20080041391A KR20090115502A KR 20090115502 A KR20090115502 A KR 20090115502A KR 1020080041391 A KR1020080041391 A KR 1020080041391A KR 20080041391 A KR20080041391 A KR 20080041391A KR 20090115502 A KR20090115502 A KR 200901155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pecific gravity
metal powder
resi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13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승용
한성재
최우남
Original Assignee
(주)엠피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피티 filed Critical (주)엠피티
Priority to KR10200800413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115502A/ko
Publication of KR20090115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155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5/02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 H02K15/03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dynamo-electric machines of stator or rotor bodies having permanent mag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고비중수지 분동은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이 일체화됨으로써 진동자의 제조공정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하여 대량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고비중수지, 통신기기 진동 모터, 분동

Description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All-in-one vibrators of high gravity polymer for vibration motor of mobile phon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통신기기의 수직형 진동 모터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이 일체화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분동에 관한 것이다.
통신기기에서 통화 또는 문자 메시지의 착신에 사용되는 것이 벨소리와 진동이다. 이 중 진동을 위해서는 기기 내에 소형 진동모터를 장착하여 이를 구동시킴으로써 구동력이 기기의 케이스로 전달되도록 하여 기기전체가 진동을 할 수 있게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과 같이 통신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착신수단중 하나인 진동모터는 전자기적 힘의 발생 원리를 이용하여 전기적 에너지를 기계적 진동으로 변 환하는 부품으로써 휴대폰에 탑재되어 무음 착신알림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근래 들어 휴대폰시장이 급속도로 팽창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여러 가지 기능이 휴대폰에 부가되는 추세에 따라 휴대폰 부품의 소형화, 고품질화가 요구되어지는 상황에서 진동 모터 또한 기존제품의 단점을 개선하고, 품질을 획기적으로 개선을 시킬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일반적인 진동모터인 편평형 또는 코인형(coin type) 진동모터는 외부전원공급시 편심배치된 중량체를 갖는 회전자를 회전시킴으로써 기계적 진동을 얻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으며, 회전자의 회전력은 대부분이 브러쉬와 정류자 간의 접점을 통한 정류작용을 거쳐 회전자의 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정류자 또는 브러쉬형 모터구조로 구현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를 갖는 모터의 구동시 브러쉬가 정류자의 세그먼트와 또다른 세그먼트사이의 극간을 지나면서 기계적인 마찰과 전기적인 스파크 및 마모를 발생시키고, 이로 인해 블랙파우더(Black Powder)와 같은 이물을 생성하여 모터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진동계의 공진주파수를 이용하여 음향 및 상하진동을 유발시키는 수단인 다기능 엑츄에이터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엑츄에이터는 구성부품수가 많고, 구조가 복잡하여 제품을 소형화하고 단순화하는데 한계가 있고, 제조 원가를 상승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엑츄에이터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구성부품수가 적고, 구조가 간단하면서 수직방향의 상하진동을 발생시키는 수직진동자가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직진동자에 구비되는 요크는 내부에 수직으로 착자된 마그네트의 외 부면을 감싸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자기저항을 낮추는 효과는 있으나, 상기 마그네트로부터 누설된 자기장의 경로상 상기 코일과 쇄교하지 못한채 요크의 하부단으로 바로 인입되는 자기장 흐름이 발생되고, 이로 인해 수직진동자의 진동효율및 진동파워를 저하시키는 원인이 된다. 또한, 상기 진동발생용 코일의 전체직경에 대하여 마그네트에서 누설되는 자기장에 영향을 받게 되는 코일몸체 중앙일부에서만 가진력을 유발시키는 힘을 발생하는 구조를 갖기 때문에, 베이스상에 진동발생용 코일을 배치하고, 코일의 권선수를 설계하는 자유도를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였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41112호에서 코일과 쇄교하는 자속량을 증가시켜 진동효율을 향상시키고, 가진력을 유발시키는 힘이 실제로 발생되는 범위를 확대시켜 코일을 배치하고, 코일 권선수에 대한 설계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분동내장형 수직진동자가 개시된 바 있다.
상기 진동자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일정크기의 내부공간을 갖는 하우징 ; 상기 하우징의 내부공간에 배치되고, 수직방향으로 착자되는 마그네트와, 상기 마그네트가 내부에 고정배치되는 요크로 이루어져 일정세기의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자기회로부; 상기 하우징에 상단이 고정되고, 상기 자기회로부에 하단이 고정되어 상기 자기회로부를 상하로 탄력지지하는 스프링부재; 상기 요크의 내부에 몸체외부면이 감싸지도록 배치되고, 상기 마그네트가 중앙공에 삽입된 중공원통형의 분동을 상기 자 기회로부에 일체로 갖추어 상기 자기회로부와 더불어 스프링부재를 매개로 상하진동되는 진동부; 및 상기 마그네트에서 누설되는 자기장과 쇄교하도록 상기 자기회로부의 직하부에 배치되어 외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류가 일방향으로 흐르는 진동발생용 코일로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진동자는 링모양의 텅스텐소결 중량체를 사용하여 링 중앙의 공부(空部)에 마그네틱을 접착제로 도포한 후 삽입 접착하여 구성된 질량부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덮개를 덮고 최종적으로 하단부에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함으로써 자기회로부를 구성하므로 공정이 복잡하고, 제조 원가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기기 진동 모터용 수직형 진동자에 있어서,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이 일체화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분동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입경이 큰 금속분말과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열가소성 수지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압출성형하여 제조된 고비중수지로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인서트사출하여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을 일체화시킴으로써 달성되었다.
본 발명은 입경이 큰 금속분말과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일정 비율로 혼합하고, 이를 열가소성 수지와 일정비율로 혼합한 후, 압출 성형하여 제조된 고비중수지로를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인서트 사출하여 제조된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이 일체화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용 수직형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비중수지의 제조는, 입경 1 내지 1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 30 내지 15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금속분말 11 내지 65부피%와 열가소성 수지 27 내지 79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전기전도성 조절제 58부피% 이하 및 유동화제 수지대비 중량 5%이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출 처리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와 같은 일련의 연속적인 공정으로 수행된다.
본 발명에 따른 금속 분말은 비중 7이상이면 어떠한 금속분말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나, 텅스텐, 동 및 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금속분말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혼합 금속분말은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과 입경이 큰 금속분 말을 혼합하여 제조한 것으로, 열가소성 수지와의 혼련저항을 낮게 하고 또한 성형기 등의 스크루가 파손되지 않도록 입경이 작은 금속 분말입자와 입경이 큰 금속분말을 혼합한 것이다.
상기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입자는 입경 1 내지 1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입경이 1㎛보다 작게 되면, 최종 수지로 진동자를 성형했을 때, 금속분말의 표면적이 증가하여 마찰저항이 증가하게 되고, 따라서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또한, 분말입자 직경이 작다는 것은 그 형상이 미세하다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 중에 분진이 발생되어 비산되기 쉬워, 작업환경이 악화되어 제조 코스트가 상승하게 된다. 또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입경이 10㎛보다 크게 되면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하기 쉽게 되어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따라서, 분말입자 직경이 작은 금속분말의 분말입자 직경은 1∼10㎛인 것이 바람직하다.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는 입경 30 내지 150㎛의 범위의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의 입경이 30㎛ 보다 작게 되면,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을 첨가한 효과가 작아져서 최종 제품 성형 시 혼련저항이 커지게 된다. 입경이 큰 금속분말 입자의 입경이 150㎛ 보다 크게 되면, 압출할 때의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해서 압출기의 내부의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발생하기 쉽고, 성형 가공된 제품에 균열 발생이나 강도 부족이 발생한다. 또 한, 분말입자 직경이 크기 때문에 국부적으로 편석되어 질이 같은 재료를 형성하지 못하여, 재료로서의 품질이 저하되며,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이 제품의 표면에 나타나면, 표면에 요철이 커져서 표면이 고르지 못하고, 내면에의 밀착도가 나빠진다. 따라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분말입자 직경은 30 내지 15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과 입경이 큰 금속분말을 혼합함에 있어서, 혼합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해,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로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최종 수지의 후로우-마-크(flow mark)를 억제하기 위하여 입경이 큰 금속분말은 55 내지 70 부피%로 혼합할 수 있다.
상기에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이 30중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적어져서 상대적으로 입경이 큰 금속분말의 비율이 증가하여 성형기내에서 브릿지를 형성하기 쉽게 되어 압출기의 스크류가 파손되기 쉽다. 또한, 금속분말의 총표면적이 감소되어 금속분말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 박리가 생겨서 최종 제품에 균열이 생기거나 강도부족현상이 발생되기 쉽다.
한편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이 70중량%를 초과하면, 금속분말의 총표면적이 지나치게 커져서 마찰저항이 증가함 으로서 최종 제품을 성형할 때,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따라서, 입경이 작은 금속분말은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30∼70중량%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에서 입경이 큰 금속분말이 30중량% 미만이면, 그 첨가 효과가 작 아져서, 압출 때 혼련저항이 높아진다.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이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70중량을 넘으면, 압출할 때 압출기의 내부에서 브릿지를 형성하여 압출기의 내부의 스크류가 손상되기 쉽다. 또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생기기 쉽고,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의 표면과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사이에서 박리가 일어나기 쉬워서 최종 제품에 균열 발생하므로, 분말입자 직경이 큰 금속분말은 금속분말의 총중량에 대하여 30 내지 70중량% 범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LCP(액정폴리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수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전도성 조절제는 금속산화물계 세라믹, 미네랄 및 유리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따른 유동화제는 프탈산 디옥틸 또는 프탈산 디부틸과 같은 프탈산에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틸렌 비스스테아로아마이드 또는 에틸렌비스아미드와 같은 내부할제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크레딜 포스페이트 또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와 같은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시화 대두유 또 는 메틸아세틸 시노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되어, 전기 저항값이 10²~10¹²이며, 비중이 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수지는 상기의 각 성분들을 혼합하여, 압출 성형하여 커팅하여 직경이 0.5mm이고, 길이가 약 0.5∼1.0mm 정도인 대체로 원기둥 형상의 펠렛으로 성형된다.
상기의 진동자는 본 발명에 따른 고비중수지를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통상의 사출기에 투입하여 사출기 내부의 스크류와 열에 의해 노즐부를 통해 금형에 주입한 후, 사출시켜 제조할 수 있다. 이렇게 제조된 진동자의 각 모서리부에 형성된 버어(burr)를 샌딩 공정에서 제거한 후에, 진동자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한 결과 5 내지 13으로 상기 본 발명에 따른 고비수지와 동일한 값을 가졌다.
상기에서 고비중수지 중 금속분말 65부피% 이상과 열가소성수지/세라믹 분말 35부피% 미만으로 함유되면, 비중이 12 이상이 되어 기존 텅스텐 소결 분동보다 2배 이상의 무게가 되어 진동 모터의 샤프트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진동이 보다 강하나, 인서트 사출을 할 경우 전기적인 쇼트가 발생하게 되어 인서트사출의 경우 바람직하지 못하고, 전기적 쇼트의 발생이 없는 바 타입과 같은 경우에는 적용할 수 있다. 금속분말을 11부피% 이하로 함유하면, 비중이 5 미만이 되어 전기적 충격은 적으나 진동 모터에 장착하여 사용하였을 경우, 진동이 약하여 바람직 하지 못하다.
따라서, 고비중수지의 비중을 5 내지 13의 범위 내에서 조절하여 진동 모터의 분동의 형상에 따라서 적절한 비중으로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방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기존 진동모터 진동자용 분동의 제조방법은 링모양의 텅스텐소결 중량체를 사용하여 링 중앙의 공부(空部)에 마그네틱을 접착제로 도포한 후 삽입 접착하여 구성된 질량부에 다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덮개를 덮고 최종적으로 하단부에 하부플레이트를 장착하는 방법으로 과정이 복잡하다.
고비중 수지를 이용한 진동 모터 진동자용 분동의 제조방법은 도 1의 마그네틱(124)을 인서트 사출용 금형에 올리고 고비중 수지로 분동(142)을 인서트 사출기를 이용하여 사출한다.
사출된 분동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를 마그네트가 탈락되지 않도록 마그네트를 잡아주는 형태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진동자용 수직형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은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에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마그네트와 하부플레이트 분동이 일체화됨으로써 진동자의 제조공정을 효과적으로 단축시킬 수 있고, 원가를 절감하여 대량 생산이 가능하여 전기소재 산업 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 고비중 수지를 사용한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방법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들어서 상세히 설명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입경 1.2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4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21부피%와 LCP(액정폴리머) 77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에 수지 대비 0.4 내지 2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하였다. 이어서, 미리 준비한 마그네트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키고, 상기에서 생산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진동자용 분동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분동을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4.9 ~ 5.1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7 이상이었다.
실시예 2
입경 1.2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4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65부피%와 PBT(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34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의 혼합물에 수지 대비 0.4 내지 1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하였다. 이어서, 미리 준비한 마그네트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키고, 상기에서 생산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진동자용 분동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동자를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12 ~ 12.5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2 이상이었다.
실시예 3
입경 5㎛의 텅스텐 분말 50 부피%와 입경 800㎛의 텅스텐분말 50 부피%를 혼합하여 혼합 텅스텐 분말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상기의 혼합 텅스텐 분말 28부피%와 LCP(액정폴리머)47부피% 과 미네랄(중정석) 14부피% 와 유리섬유 11부피%를 혼합하였다.
상기 혼합물에 열가소성 수지 대비 0.7 내지 2부피%의 결합제, 28부피%의 n- 프로필 알콜 및 70부피%의 프탈산 디옥틸을 혼합한 후, 그 혼합물을 그 혼합물을 압출기에 투입하여 펠렛 형상으로 생산하였다. 이어서, 미리 준비한 마그네트를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키고, 상기에서 생산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 사출하여 진동자용 분동을 제조하였다.
이와 같이 제조한 진동자를 20개 샘플링하여 그 비중을 통상의 비중계에 의해 측정하였더니 모두 비중이 7~7.15의 범위 내에 있었고 전기저항치는 107 이상이었다.
도 1은 종래의 진동 모터의 진동자의 각 구성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의 진동자의 각 구성부분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모터 진동자용 분동의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수직진동자 110 하우징
115 베이스 116 주입공
120 자기회로부 122 요크
124 마그네트 126 하부플레이트
130 스프링부재 131 고정링
132 탄성다리 133 고정원반
140 진동부 142 분동
142a 중앙공 150 진동발생용 코일

Claims (7)

  1. 통신기기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분동에 있어서, 마그네틱을 인서트 사출용 금형에 올리고 주위를 고비중 수지로 인서트 사출하여 제조된, 마그네트가 중심부에 위치하고, 그 둘레와 상부가 고비중수지로 쌓여 마그네틱과 하부플레이트가 일체화된 통신기기 진동 모터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
  2. 통신기기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분동의 제조에 있어서,
    입경 1 내지 1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와 입경 30 내지 150㎛의 금속분말 30 내지 70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 금속분말 11 내지 65부피%와 열가소성 수지 27 내지 79부피%를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 전체에 대하여 전기전도성 조절제 58 부피% 이하 및 유동화제 수지대비 중량5%이하를 혼합하는 단계; 및
    상기 혼합물을 압출처리하여 펠릿으로 제조하는 단계
    마그네틱을 인서트 사출 금형에 위치시키고, 상기 생산된 고비중수지를 인서트사출하여 분동을 제조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기기 진동모터 분동용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금속 분말이 비중 7이상의 텅스텐, 동 및 철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금속분말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폴리스티렌,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나일론 6, 나일론 66, 나일론 11, 나일론 12, 나일론 6T,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LCP(액정폴리머), 폴리페닐렌 설파이드 및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으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의 수지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전도성 조절제가 금속산화물계 세라믹, 미네랄 및 유리섬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 방법.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화제가 프탈산 디옥틸 또는 프탈산 디부틸과 같은 프탈산에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틸렌 비스스테아로아마이드 또는 에틸렌비스아미드와 같은 내부할제를 포함하는 것이거나, 폴리에스테르계 가소제, 트리크레딜 포스페이트(TCP) 또는 트리페닐 포스페이트(TPP)와 같은 인산 에스테르계 가소제, 에폭 시화 대두유 또는 메틸아세틸 시노레이트와 같은 지방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 방법.
  7.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비중 수지가 전기 저항값이 10²~1012이며, 비중이 5 내지 1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일체형 고비중수지 분동의 제조방법.
KR1020080041391A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KR200901155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1A KR20090115502A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1391A KR20090115502A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15502A true KR20090115502A (ko) 2009-11-05

Family

ID=415566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1391A KR20090115502A (ko) 2008-05-02 2008-05-02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1155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69B1 (ko) * 2009-02-11 2012-05-25 손지혁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수평선형 진동기의 엑츄에이터
CN107626759A (zh) * 2017-10-11 2018-01-26 台州市百达电器有限公司 电机磁极制作方法
CN111515655A (zh) * 2020-03-20 2020-08-1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机转子流水线的压装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8469B1 (ko) * 2009-02-11 2012-05-25 손지혁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수평선형 진동기의 엑츄에이터
CN107626759A (zh) * 2017-10-11 2018-01-26 台州市百达电器有限公司 电机磁极制作方法
CN111515655A (zh) * 2020-03-20 2020-08-1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用于电机转子流水线的压装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52229B (zh) 振动器以及包括该振动器的电子装置
US8937411B2 (en) Vibration generating device
US7170205B2 (en) Internal weight type vertical vibrator
KR100967033B1 (ko) 수평 진동자
KR100558456B1 (ko) 표면실장이 가능한 선형 진동자
KR100735299B1 (ko) 수직진동자
KR100541113B1 (ko) 패턴코일형 수직진동자
KR20100119970A (ko) 선형 진동 장치
KR20090130881A (ko) 코일 부품 및 그 코일 부품의 제조방법
KR20090115502A (ko) 통신기기의 진동 모터 수직형 진동자용 일체형 고비중수지분동
US20110068641A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JP2013223833A (ja) 振動発生装置
JP4782083B2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CN1581383A (zh) 层压的极性各向异性混合磁体的制备方法
JP4208683B2 (ja) 電動機の回転子及び電動機及び空気調和機
JP2007215342A (ja) マグネッ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2011015571A (ja) ロータの製造方法、モータおよ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JP2011030314A (ja) リング磁石、それを備えたモータおよび電気機器、並びにリング磁石の形成方法
KR101454717B1 (ko) 리니어 진동모터용 진동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148469B1 (ko) 사출성형에 의해 일체로 이루어진 수평선형 진동기의 엑츄에이터
JP6056141B2 (ja) 円筒状ボンド磁石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製造装置
KR101503869B1 (ko) 스피커용 자기회로 및 스피커용 자기회로 제조방법
EP0295744B1 (en) Multipolar rotor
JP2008517573A (ja) リニア電気機械マシンのためのマグネットアセンブリ
US11673164B2 (en) Vibration motor with movable portion having bearing with flange around a magnet and tactile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