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440B1 -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 Google Patents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440B1
KR100979440B1 KR1020047020936A KR20047020936A KR100979440B1 KR 100979440 B1 KR100979440 B1 KR 100979440B1 KR 1020047020936 A KR1020047020936 A KR 1020047020936A KR 20047020936 A KR20047020936 A KR 20047020936A KR 100979440 B1 KR100979440 B1 KR 100979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select jack
jack
knitting
carri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20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3608A (ko
Inventor
미야모토마사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시마세이키 세이사쿠쇼
Publication of KR200500136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36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82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needle cams used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32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 D04B15/36Cam systems or assemblies for operating knitting instruments for flat-bed knitt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5/00Details of, or auxiliary devices incorporated in, weft knitting machines, restricted to machines of this kind
    • D04B15/66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 D04B15/68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 D04B15/70Devices for determining or controlling patterns ; Programme-control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knitting instruments used in flat-bed knitting mach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Knitt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니들 실렉션 위치의 록 기능을, 실렉트 잭의 진퇴 이동할 수 있도록 실현하는 것이다.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렉트 잭22의 초기위치를 비작용에 대응하는 웰트위치로 하고,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버트22a를 캐리지33의 B프레서27에 의하여 가압하면, 록 부재30에 의한 록 상태가 된다. 록 상태에서, 실렉트 잭22는 니들 홈35 내에서 가라앉고 편침의 버트도 니들 홈 내에 가라앉아서 캐리지33에 구비되는 편성 캠으로부터 이탈된다. 니들 실렉션 액추에이터25에 의하여 니트위치나 텅위치를 선택하면, 실렉터 캠24에 의하여 실렉터22가 구동되어, 선단부22d가 실렉트 잭22의 접촉부22e를 가압하여 우측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동될 때에는, 록 부재30이 인출되어 록상태가 해제된다.

Description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ING APPARATUS FOR WEFT KNITTING MACHINE}
본 발명은, 횡편기(橫編機)에 설치되는 편침(編針)을, 다른 편성동작에 대응시키도록 선택할 수 있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ion 裝置)에 관한 것이다.
종래로부터 횡편기에서는, 편침의 편성동작으로서, 니트(knit), 턱(tuck) 및 웰트(welt)(미스(miss))의 기본적인 3개의 위치를 조합시켜서 여러 가지의 변화조직을 편성하고 있다. 횡편기는,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의 니들 홈(needle groove)을 구비하는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캐리지(carriage)를 왕복 주행시켜서, 캐리지에 구비되는 캠기구(cam 機構)에 의하여 각 편침의 편성동작을 하는 형식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캐리지는, 편성동작을 하는 편침에 편사(編絲)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연행(連行)하여 급사부재에 의한 급사위치에 합치되도록 복수의 편침에 대하여 순차적으로 편성동작을 하게 한다. 캠기구는, 기본적으로 니트위치의 편성동작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턱이나 웰트의 위치에 편침을 선택하기 위하여 각 니들 홈에는 니들 실렉션 장치가 설치되어 있다.
본건 출원인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00454호 공보,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20752호 공보 및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41952호 공보 등에 니들 실렉션 기구를 먼저 제안하였다. 도13은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9-2419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니들 실렉션 기구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변경되어 있는 부분이 있다. 횡편기1은,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하는 캐리지3을 구비한다.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에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4가 소정의 간격으로 배열되도록 결합되는 홈이 형성된다. 니들 플레이트4 사이에는 니들 홈5가 형성되고, 편침6이 슬라이딩 변위(sliding 變位)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횡편기1에서는, 길이방향이 정면과 평행하게 되는 니들베드2를 적어도 전후 한 쌍 구비하고, 각 니들베드2는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7을 사이에 두고 대향(對向)하도록 되어 있다. 다만 설명의 편의상, 도면에서는 타방(他方)을 생략하여 일방(一方)의 니들베드2에 관한 구성만을 측방으로부터 단면으로 보았을 때를 나타낸다. 또한 편침6의 슬라이딩 변위의 방향은, 니들베드 갭7측이 높아지도록 경사져 있지만, 니들베드2는 경사를 생략하여 편침6이 수평으로 슬라이딩 변위하는 자세로 나타낸다. 캐리지3은, 니들베드 갭7을 넘도록 전후의 니들베드2에 설치되고, 니들베드 갭7을 따라 편사를 공급하는 급사부재(給絲部材)를 연행한다.
편침6은, 횡편기1의 측방에서 보아서 각 니들 홈5 내에서, 니들베드 갭7측을 앞부분, 니들베드 갭7의 반대측을 뒷부분이라고 할 때에 전반부분인 바늘본체8과 후반부분인 니들 잭(needle jack)9를 포함한다. 바늘본체8의 전단(前端)에는, 편사의 공급을 받아서 편성을 하기 위한 훅(hook) 등이 설치된다. 니들 잭9에는, 편침6을 니들 홈5 내에서 전진 또는 후퇴시키기 위한 구동용의 버트(butt)9a가 형성된다. 니들 잭9는, 니들 홈5 내에 버트9a가 캐리지3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적(彈性的)으로 가압(加壓)되는 굴곡형상(屈曲形狀)을 갖는다. 버트9a가 캐리지3측으로 돌출되어 있으면, 캐리지3에 설치되어 있는 편성 캠(編成 cam)10에 의한 작용을 받아, 편침6을 니들 홈5 내에서 니들베드 갭7에 대하여 진퇴(進退)하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편침6에 대한 편성 캠10의 작용을 각 편침6마다 제어하기 위하여 니들 실렉션 장치11이 설치된다. 니들 실렉션 장치11은, 실렉트 잭(select jack)12와 실렉터(selector)13을 포함한다. 실렉트 잭12는, 니들 잭9의 뒷부분의 캐리지3측에 배치되고, 버트12a가 캐리지3측으로 돌출된다. 실렉트 잭12의 위치는, 버트12a의 위치가 B포지션(B position), H포지션 또는 A포지션 중의 어느 하나가 되도록 실렉터13에 의하여 선택된다. 실렉터13은, 캐리지3측으로 돌출되는 버트13a, 13b, 13c를 구비하고, 캐리지3에 설치되는 실렉터 캠(selector cam)14에 의한 작용을 받아서 니들 홈5 내에서 이동한다. 실렉터13이 전방으로 이동할 때, 선단부(先端部)13d에서 실렉트 잭12를 가압하여 실렉트 잭12를 전진시킨다. 실렉트 잭12의 전진위치는, 캐리지3측에 실렉터 캠14와 함께 실렉터13의 후반부를 삽입하도록 배치되는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select needle actuator)15의 작용에 의하여 선택된다.
실렉터13은, 니들 홈5 내에서 후반부의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15에 접하는 측에 형성되는 접극부(接極部 : armature)13e가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15로부터 이반(離反)되도록 탄성적으로 가압되는 굴곡되는 형상을 갖는다. 실렉터 캠14가 후방의 버트13c를 가압하면, 접극부13e가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15에 접촉되어 자기적(磁氣的)으로 흡착(吸着)된다.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15에는, 통전(通電)에 의하여 각 편침6마다 흡착상태를 해제시켜서 니들 실렉션을 할 수 있는 해제장소가, 예를 들면 2개의 장소 설치되어 있다. 실렉터 캠14에는, 실렉터13의 접극부13e에 대한 흡착이 해제되어 버트13b가 캐리지3측으로 돌출되면, 실렉터13을 전진시키는 캠홈이 각 해제장소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3의 주행에 따라 선행(先行)하는 쪽의 해제장소에서 접극부13e의 흡착을 해제시키면, 실렉터13은 니트의 편성에 대응하는 위치(A포지션)로 전진한다. 후행측(後行側)의 해제장소에서 흡착을 해제시키면, 실렉터13은 턱의 편성에 대응하는 위치(H포지션)로 전진한다. 어느 쪽의 해제장소에서도 흡착의 해제를 하지 않으면, 웰트의 편성에 대응하는 위치(B포지션)를 유지한다.
실렉트 잭12는, 실렉터13의 선단부13d에 의하여 밀려서 니들 홈5 내를 전진한다. 각 위치의 실렉트 잭12의 버트12a에 대해서는, 캐리지3측에 설치되는 B프레서16이나 H프레서17에 의한 가압작용이 이루어진다. 가압작용은, 버트12a를 밀어 내려서 실렉트 잭12를 니들 홈5 내에 가라앉힘으로써 니들 잭9를 니들 홈5 내에서 밀어 내리면, 버트9a를 편성 캠10으로부터 이탈시킨다. B프레서16은, 편성동작에 대한 비작용위치(非作用位置 : non-operative position)인 웰트위치(welting position)(B포지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버트9a가 거의 전체 행정(行程)에서 편성 캠10으로부터 이탈되도록 작용한다. H프레서17은, 턱위치(tucking position)(H포지션)에 대응하여 설치되어, 바늘본체8이 니들베드 갭7로 도중까지 진출할 때까지 버트9a가 편성 캠10의 작용을 받은 후에 이탈되도록 버트12a를 밀어 내린다. 니트위치(knitting position)(A포지션)에는 프레서를 설치하지 않고 편침6에 편성 캠10에 의한 작용을 전체 행정에서 받아 들이도록 한다.
니들 홈5 내에서의 실렉트 잭12의 슬라이딩 변위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니들베드2의 길이방향을 따라 니들 홈5를 관통하는 와이어(wire)18, 19가 설치되어 있다. 실렉트 잭12의 각 위치를 지지하기 위하여 후방의 와이어19를 사이에 두고 2개로 갈라지는 부분의 내측에, 와이어19에 결합되는 오목부12b, 12c, 12d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편성 캠10에 의한 편성동작의 종료 후에는, 실렉트 잭12를 예를 들면 웰트위치인 초기위치까지 후퇴시키도록, 버트12a에 작용하는 가이드 캠(guide cam)이 실렉터 캠14에 설치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20752호 공보에는, 상기한 바와 같은 A, H, B의 3개 포지션의 니들 실렉션이 가능하도록, 실렉트 잭을 실렉터에 의하여 밀어 올려서 A포지션으로 전진시켜서, 캐리지에 설치되는 실렉트 잭 프레서에 의한 가압이 해제되더라도 실렉트 잭의 버트가 밀어 누르는 상태를 유지하도록 록(lock) 시킬 수 있는 3포지션·록 방식(three position·locking type)의 니들 실렉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00454호 공보에는, 실렉트 잭에 의하여 비작용의 웰트위치와 턱위치를 B포지션에서 공통화 하여,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를 작용시키는 타이밍(timing)이 선행하는 B포지션에서 록 하는 2포지션·록 방식의 니들 실렉션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웰트위치에서의 록에 의하여 캐리지의 진행 중에 니들 잭의 버트가 편성 캠과 결합하는 경우가 없어지기 때문에, 버트나 편성 캠의 마찰손상 등의 발생을 적게 하고 또한 캐리지의 이동에 따르는 슬라이딩 저항을 감소시켜서 동력 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다.
도13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캐리지3의 편성 캠10에 의하여 편침6의 편성동작을 하도록 하는 횡편기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록기구(lock 機構)를 설치함으로써 마찰손상 등의 발생 방지나 동력 비용의 절감효과가 기대된다. 또한 기본적인 편성동작의 이외에, 예를 들면 본건 출원인이 국제공개번호 WO01/367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새로운 스티치(stitch) 편성을 하기 전에, 싱커장치(sinker 裝置)와 연동(連動)되어 스티치 루프(stitch loop)를 조이는 동작을 할 때에 효과가 기대된다. 이 동작에서는 새로운 스티치를 형성하기 전에, 싱커의 선단의 스티치 결합훅(stitch 結合 hook)을, 스티치를 가압하는 위치로부터 상승시켜서 스티치를 스티치 결합훅으로부터 일단 해제시킨다. 그 상태에서 편침을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키는 하강위치에 세트되어 있는 선행측의 스티치 캠(stitch cam)에 의하여 편침을 니들베드 갭으로부터 후퇴시켜서 스티치를 조인다. 그리고 다시 싱커의 선단을 하강시켜서 스티치를 스티치 결합훅에서 삽입되게 한다. 이러한 스티치 형성에 선행되는 동작에 의하여 이미 형성되어 있는 스티치를, 싱커에 의하여 확실하게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후속되는 스티치 루프의 형성을 무사히 할 수 있다.
이러한 「프리시딩 리트랙션(preceding retraction)」의 기능에서는, 캐리지3의 이동방향에 대하여 편성시스템의 선행측의 스티치 캠에 의하여 「프리시딩 리트랙션」이 이루어진다. 이 때에 선행되는 스티치 루프의 편성에서 비작용의 웰트위치가 선택되어 있는 편침6의 실렉트 잭12의 버트12a도 B프레서16에 의한 가압으로부터 해제된다. 이 결과, 니들 잭9의 버트9a도 니들 홈5로부터 부상(浮上)되어 계속되는 선행측의 스티치 캠의 작용을 받아서 낮출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티치 형성을 하지 않은 편침6이 「프리시딩 리트랙션」의 때에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은 아니다. 비작용의 B포지션의 편침6 상을 캐리지3의 편성시스템이 통과할 때마다 편사가 편침에 의하여 바싹 당겨지게 되어 실 마모나 실 끊어짐의 원인이 되는 등 편성상, 편사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프리시딩 리트랙션」에 따르는 문제의 대책으로서도 웰트위치에서 실렉트 잭을 가라앉힌 상태에서 록 하는 것이 유효하다. 그러나 일 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00454호 공보나 일본국 공개특허공보 특개평6-220752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록 기능에서는, 실렉터의 진퇴동작을 필수로 하고 있다. 그 제어를 하기 위하여 프레서 등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캐리지에 복수의 편성시스템을 탑재하는 경우에는 편성시스템 사이의 간격이 커지게 되어 캐리지가 대형화 되는 문제도 발생한다.
다른 대책으로서, 스티치 루프를 조이는 동작 등을 할 때에도 스티치 루프를 조이는 동작 등을 하는 위치에 맞추어 실렉트 잭의 웰트위치의 버트를 밀어 내리는 B프레서를 폭 넓게 연장시켜서 설치하면, 불필요한 편침의 낮추기 동작을 피할 수 있다. 그러나 실렉트 잭은, 각 편성시스템에서의 스티치 루프 형성에 앞서 B포지션의 초기위치까지 되돌려진다. 이 때문에 복수의 편성시스템을 탑재하는 캐리지에서는, 후행의 편성시스템에 의한 편성을 시작할 때에, B포지션으로부터 H포지션으로 선택되는 편침에 대응하는 실렉트 잭의 버트도 H포지션으로 진출할 때까지는 B프레서에 가압되고, 이 가압된 상태에서 프리시딩 리트랙션용의 스티치 캠에 도달하면 프리시딩 리트랙션을 할 수 없게 된다는 불량이 발생한다. 이 때문에 캠이 필요로 하는 캐리지의 이동방향의 길이가 증대되어 인접하는 편성시스템 사이의 간격을 크게 하여야 하므로 캐리지의 형상이 커지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니들 실렉션 위치의 록 기구를 개량하여 실렉터의 진퇴동작을 하지 않고서도 니들 실렉션의 위치를 록 할 수 있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복수의 니들 홈(needle groove)을 나란하게 형성하는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의 선택기구(選擇機構)와 연동(連動)되어, 각 니들 홈 내에서 캐리지의 캠기구(cam 機構)의 작용을 받는 편침(編針)의 버트(butt)에 대하여, 캐리지측으로부터의 가압(加壓)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캠기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한 실렉트 잭(select jack)을, 비작용(非作用 : non operation)을 포함하는 복수의 편성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정하여진 포지션(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이동시키는 실렉터(selector)가 각 니들 홈에 구비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ion 裝置)에 있어서,
그 복수의 포지션은, 실렉트 잭의 초기위치를 비작용에 대응시키도록 설정되고,
각 니들 홈 내에는, 초기위치의 실렉트 잭이 미리 정하여지는 근방에 간격을 두고 결합부(結合部)가 형성되고,
각 실렉트 잭마다 설치되고, 초기위치에서 실렉트 잭이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되면 니들 홈의 결합부와의 사이의 간극에 결합되어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를 결합부와의 사이에서 지지하고 또한 실렉터에 의하여 실렉트 잭이 비작용과는 다른 포지션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그 간극으로부터 이탈하여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의 지지를 해제하는 록 부재(lock 部材)를 포함하 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이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홈 내의 결합부는, 상기 니들베드를 니들 홈의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실렉트 잭의 상기 캐리지측에 접촉되어 실렉트 잭을 니들 홈 내에 멈추게 하는 관통부재(貫通部材)이고,
상기 록 부재는 스프링 가압(spring 加壓)되어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렉트 잭은, 두께가 판의 두께방향의 양측에서 얇아지는 두께가 얇은 부분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그 두께가 얇은 부분을 두께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는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와, 상기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에 진입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고,
실렉트 잭의 두께가 얇은 부분과 록 부재의 결합부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록 부재가 결합부를 그 간극에 진입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실렉트 잭은, 대략적으로 U자 모양이고, 개구부(開口部)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의 홈부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개구(開口)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그 홈부 내에 삽입되어, 홈부의 양측으로부터 가압 되고, 상기 관통부재측으로 가압되는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와, 상기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으로 진입 가능한 결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각 니들 홈 내의 결합부는, 상기 실렉트 잭의 측방에 형성되는 오목부이고,
상기 록 부재는 실렉트 잭의 측면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그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캐리지측으로의 변위(變位)를 저지하는 선단부(先端部)를 구비하는 판스프링(板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캠기구는, 상기 복수의 편성동작에 선행(先行)하여 상기 버트가 이탈되어 있지 않은 편침을 끌어 들이는 기능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색 및 이점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과 도면으로부터 더 명확하게 될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1형태인 횡편기20에 구비되는 니들 실렉션 장치21에서, 실렉트 잭22가 비작용의 웰트위치를 초기위치로 하고 있는 비가압상태와, 실렉트 잭22가 웰트위치에서 압력을 받아 록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2는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을 구비하는 니들베드32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3은 도2의 캐리지33에서의 캠 배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4는 도1에 대응하여 니들베드32 전체의 제어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5는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에서, 실렉터 캠24에 의하여 실렉터23 및 실렉트 잭22가 턱 위치에 선택되어 있을 때의 비가압 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6은 도1의 캐리지33에서, 편성시스템 사이의 간격 증대가 횡편기20에 끼치는 영향을 간략화 하여 나타내는 모식적인 정면도이다.
도7은 도1의 록 부재30의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8은 도1의 록 부재30을 장착할 수 있는 실렉트 잭22의 두께가 얇은 부분22f의 형상 및 구성을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2형태인 니들 실렉션 장치71에서, 실렉트 잭72가 비작용의 웰트위치를 초기위치로 하고 있는 비가압상태와, 실렉트 잭72가 웰트위치에서 압력을 받아 록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0은 도9의 록 부재75의 측면도 및 홈부72e 부근의 실렉트 잭72의 부분적인 측면도이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3형태인 니들 실렉션 장치81에서, 실렉트 잭82가 비작용의 웰트위치를 초기위치로 하고 있는 비가압상태와, 실렉트 잭82가 웰트위치에서 압력을 받아 록 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도12는 도11의 판스프링88의 형상을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13은 종래의 횡편기에서 니들베드에 구비되는 니들 실렉션 장치21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적합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 도1∼도1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앞에서 설명되어 있는 부분 및 도13에서 종래의 기술에 대하여 설명되어 있는 부분과 대응하여, 동일한 명칭을 갖는 기구, 부재 및 부분 등은 다른 참조부호를 붙이고 있는 경우이더라도 기본적으로 동등한 기능이나 구성을 구비하고, 중복되는 부분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니들베드(needle bed)의 자세나 니들베드 갭(needle bed gap)을 기준으로 하는 전후의 방향을 결정하는 방법은 도13과 동등한 것으로 한다. 각 실시예에서, A가 니트(knit), H가 턱(tuck), B가 웰트(welt)(미스(miss))에 각각 대응하는 포지션(position)을 나타낸다.
도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1형태인 횡편기(橫編機)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bed selection 裝置)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횡편기20에 구비되는 니들 실렉션 장치21에서, 실렉트 잭(select jack)22를 편성동작이 비작용(非作用 : non operation)의 초기위치의 가압상태(加壓狀態)를 지지하도록 록(lock)할 수 있다. 도1(a)는 실렉트 잭22가 비작용의 웰트위치(welting position)를 초기위치로 하고 있는 비가압상태(非加壓狀態)를 나타내고, 도1(b)는 실렉트 잭22의 가압상태를 나타낸다. 니들 실렉션 장치21은, 실렉트 잭22를 이동시키는 실렉터(selector)23을 구비한다. 실렉터23은, 복수의 버트(butt)23a, 23b, 23c를 구비하고, 실렉터 캠(selector cam)24가 버트23a, 23b, 23c에 작용하여 실렉터23을 구동시킬 수 있다. 실렉터23의 선단부(先端部)23d는, 실렉트 잭22에 접촉되어 실렉트 잭2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실렉터23의 후단측에는, 접극부(接極部 : armature)23e가 형성되어 실렉터 캠24가 버트23c를 가압하면,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select needle actuator)25에 접촉되어 자기적(磁氣的)으로 흡인(吸引)된다.
실렉트 잭22의 버트22a는, 가이드 캠(guide cam)26에 의한 안내작용도 받아서 초기위치와 다른 위치에 진출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초기위치인 B포지션(B position)으로 되돌려진다. 실렉트 잭22의 초기위치는, 웰트위치로서, 편사를 편성하지 않는 미스(miss)의 편성동작이 선택된다. 초기위치에서는, 버트22a는 B프레서(B presser)27에 의한 가압을 받는다. 실렉트 잭22의 변위 (變位)를 제한하기 위하여 와이어(wire)28, 29를 이용한다. 와이어29는, 실렉트 잭22의 후반측의 2개로 갈라지는 부분에 협지(挾持)되어, 오목부22b, 22c, 22d와 결합하여 니트위치(knitting position), 턱위치(tucking position) 및 웰트위치(welting position)의 위치결정을 각각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실렉트 잭22에 록 부재(lock 部材)30을 부가하여 도1(b)에 나타나 있는 초기위치인 웰트위치에서, B프레서27이 실렉트 잭22의 버트22a를 가압하면, 실렉트 잭22와 와이어28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間隙)으로 진입한다. 록 부재30은 스프링(spring)31에 의하여 가압된다. 실렉트 잭22는,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버트22a로의 가압을 받지 않는 상태에서도,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버트22a로의 가압을 받는 상태에서도 실렉터23의 선단부23d가 접촉 가능한 접촉부(接觸部)22e가 형성된다. 록 부재30은, 실렉트 잭22의 버트22a로부터 접촉부22e에 걸쳐서 형성되는 두께가 얇은 부분22f에 장착된다. 록 부재30이나 두께가 얇은 부분22f에 관련되는 구성에 관해서는, 도8 및 도9에 관련시켜서 후술한다.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록(lock) 상태는, 실렉터 캠24에 의하여 실렉터23을 구동시켜서 실렉트 잭22를 턱위치나 니트위치로 이동시키면, 록 부재30이 와이어28과 실렉트 잭22와의 간극으로부터 인출되어 해제된다. 실렉트 잭22는, 가압상태에서 가압되어 있는 니들 잭으로부터 받는 탄성력(彈性力)으로 와이어28에 의하여 제한될 때까지 부상(浮上)되어, 버트22a가 턱위치의 프레서로부터의 가압을 받거나 가이드 캠26에 의한 구동을 받거나 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가 된다. 가이드 캠26은, 버트22a를 후퇴시켜서 실렉트 잭22를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실렉트 잭22가 후퇴할 때에는, 실렉트 잭22의 부상을 와이어28이 접촉되어 제한하고 있기 때문에, 와이어28과 실렉트 잭22와의 사이에 간극이 없어 록 부재30이 진입할 수는 없다. 이 때문에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30은, 와이어28에 의하여 전방으로 가압되어 스프링31이 압축됨으로써 실렉트 잭22의 두께가 얇은 부분22f측으로 가압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이상과 같은 니들 실렉션 장치21은, 횡편기20의 니들베드32에 설치되고, 캐리지33에 구비되는 실렉터 캠24나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에 의하여 구동이나 제어를 받는다. 실렉트 잭22나 실렉터23은, 니들베드32에 나란하게 설치되는 니들 플레이트(needle plate)34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 홈(needle groove)35 내에 수용되고, 금속판재(金屬板材)에서 일정한 외형을 절단한 형상을 갖는다. 와이어28, 29는, 니들 플레이트34를 니들베드32의 길이방향으로 관통하는 피아노 선(piano 線) 등의 관통부재이다. 관통부재로서, 밴드(band) 등을 사용할 수도 있다. 실렉트 잭22가 가압상태나 록상태에서 니들 홈35 내에 가라앉으면, 선단에서 편침36을 니들 홈35 내에 하방으로 가압하여 편성작용을 받지 않도록 제어한다.
도2는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을 포함하는 횡편기20의 니들베드32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다. 도13과 마찬가지로 니들베드32는, 니들베드 갭37에 대향(對向)하고 있는 일방(一方)만에 대하여 나타낸다. 편침36은, 바늘 본체38의 전단(前端)에 훅(hook) 및 래치(latch)를 갖는 래치 니들(latch needle)로서, 니들 잭(needle jack)39의 버트39a에 캐리지33측으로부터 편성 캠(編成 cam)40을 작용시켜서 편성운동을 하게 한다. 니들 실렉션 장치21은, 실렉트 잭22의 버트22a를 캐리지33측의 B프레서27 등으로부터 가압시켜서, 실렉트 잭22에 의하여 니들 잭39를 니들 홈(needle groove)35 내에 가라앉힘으로써 버트39a를 편성 캠40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동작을 선택적으로 한다. 편침36으로서는, 코이동의 기능을 갖는 것이나 복합 니들(compound needle) 등을 이용할 수도 있다.
니들베드32의 니들베드 갭37측의 선단 부근에는, 스티치(stitch)가 편성된 후에 편사를 밀어 내리는 싱커장치(sinker 裝置)41이 설치되어 있다. 싱커장치41은, 가동싱커(可動 sinker)42가 스프링 가압(spring 加壓)되어 니들베드 갭37로 진출하는 선단의 편사결합훅(編絲結合 hook)42a에서 편사를 밀어 내린다. 가동싱커42의 구동은, 싱커 잭(sinker jack)43의 버트43a를 캐리지33에 설치되는 싱커제어캠(sinker 制御 cam)44에 의하여 안내되어 이루어진다. 이러한 가동싱커를 구비하는 횡편기의 싱커장치의 구성이나 작용에 대하여 본건 출원인은, 일본국 특허공보 특공평5-83657호 공보 등에 개시하였다. 본 실시예에서는, 국제공개번호 WO01/36730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것과 같은 스티치의 편성에 선행(先行)하여 편침36을 삽입하여, 스티치를 조이는 동작을 하기 위하여 가동싱커42의 편사결합훅42a도 일단 니들베드 갭37로부터 올라가는 동작을 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3은 도2에 나타나 있는 캐리지33에서, 니들베드32에 대향하고 있는 면에 배치되어 있는 편성시스템의 캠 탑재면(cam 搭載面)에서의 캠 배치를, 도2의 니들베드 갭37측이 상방이 되도록 표시하여 나타낸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리지33에는, 편성 캠40, 실렉터 캠24 및 싱커제어캠44와 B프레서27이 설치된다. 실렉트 잭22가 턱위치에 전진하고 있을 때의 버트22a의 위치인 H포지션에는, H프레서45가 설치된다. 도2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는, 캐리지33의 캠탑재면이 아니라 이 면과 대향하여 중간에 실렉터23의 접극부23e를 흡착(吸着)할 수 있는 위치에 있지만, 설명의 편의상, 대응하는 위치에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캐리지33에는, 복수의 편성시스템이 탑재되고, 도면에는 캐리지33이 화살표46으로서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도면의 좌측으로부터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의 선행시스템(先行 system)47과 후행시스템(後行 system)48을 나타낸다. 또한 편침36으로서, 코이동의 기능을 갖는 것이나 복합 니들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그 제어를 위한 캠이 추가된다. 또한 초기위치를 비작용의 웰트위치로서 록 가능하게 하는 한 캠이나 프레서를 변경하여 다른 위치에서 편침36이 선택할 수 있는 편성작용의 수나 종류를 변경할 수도 있다.
편성 캠40은, 편침36을 니들베드 갭37로 진출시키는 니들레이징 캠(needle raising cam)50과, 편침36의 진출상태를 제한하는 브리지 캠(bridge cam)51과, 편침36을 끌어 들이는 스티치 캠(stitch)52, 53 등을 구비한다. 스티치 캠52, 53은, 니들레이징 캠50의 경사캠면과 대향하면서 경사캠면의 경 사방향으로 변위 가능하여, 그 변위량에 따라 스티치 밀도(stitch density)를 정한다. 스티치 밀도를 정하는 것은, 니들레이징 캠50에 대하여 후행측이 되는 스티치 캠53의 니들레이징 캠50과 대향하고 있는 경사캠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스티치의 편성에 선행하여 편침36을 삽입하여 스티치를 조이는 동작은, 선행측이 되는 스티치 캠52에서, 니들레이징 캠50과 대향하고 있는 경사캠면에서도 선행측이 되는 경사캠면이다. 이 경사캠면에는, 가이드 캠26의 상반부의 캠면이 대향하고 있다.
이하, 후행시스템48에 대하여 설명하지만, 웰트위치에서의 동작을 제외하고 선행시스템47에서도 같은 동작이 이루어진다. 니들 잭39의 버트39a는, 니들 홈35로부터 캐리지33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니트위치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궤적(軌跡)에서, 스티치 캠52, 53 및 브리지 캠51에 형성되는 캠면과 니들레이징 캠50 및 가이드 캠26에 형성되는 캠면과의 사이에 형성되는 캠홈 내를 안내된다. 실렉트 잭22의 버트22a가 턱위치인 H포지션이 되면, 버트22a가 H프레서45로부터 가압되는 기간은 니들 잭39의 버트39a가 편성 캠40으로부터 분리되어, 버트39a는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궤적을 따라 니들레이징 캠50에 의한 작용을 도중까지밖에 받지 않는다.
실렉트 잭22의 버트22a가 B프레서27에 의한 가압을 받는 웰트위치에서는, 선행시스템47에서 록 상태로 되어 있으면 일점쇄선과 같은 궤적을 버트39a가 지나간다. 본 발명을 적용하지 않을 때에는 이점쇄선과 같은 궤 적을 버트39a가 지나간다. 선행시스템47측에서도 선행하는 편성동작에서 록 상태로 되어 있으면, 일점쇄선과 같은 버트39a의 궤적이 된다. 즉 록 상태로 되어 있으면, 다음의 편성시스템에서 웰트위치의 선택이 계속되는 한 실렉트 잭39의 버트39a는 니들 홈35 내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계속하여 편성 캠40의 캠홈과 결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일단 록 상태가 되면, 웰트위치와는 다른 위치가 선택될 때까지 웰트위치의 편침36이 선행측의 스티치 캠52에 의한 삽입동작을 받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가이드 캠26의 하반부의 선행측은, 실렉트 잭22의 버트22a에 대한 캠면으로서 기능을 하여, 실렉트 잭22가 초기위치인 웰트위치와는 다른 니트위치나 턱위치에 있으면 초기위치까지 강제적으로 안내한다. 가이드 캠26이 하단까지 버트22a를 안내하는 위치는, B프레서27에 의하여 버트22a를 가압하는 위치에 합치하여야 한다. B프레서27이나 H프레서45는, 버트22a에 대하여 니들 잭39의 버트39a를 니들 홈35 내에 가라앉히기 위하여 필요한 가압량을 얻기 위하여, 캠의 배치면으로부터 니들베드32측으로 돌출되어 평탄한 가압면27a, 45a를 구비하고 있다. 버트22a의 정상부를 B프레서27이나 H프레서45의 가압면까지 원활하게 인도하기 위하여 가압면27a, 45a의 선행측 및 후행측에는, 사선(斜線)으로 나타나 있는 경사면(傾斜面)27b, 27c, 45b, 45c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실렉터23의 버트23a, 23b, 23c에 작용하는 실렉터 캠24에는, 실렉터 가이드 캠(selector guide cam)60과 실렉터 가이드 캠61이 포함된다. 실렉터 캠24 는, 선행시스템47의 선행측과, 선행시스템47과 후행시스템48과의 사이와, 후행시스템48의 후행측에 각각 설치되어 있다. 즉 각 편성시스템 사이와 전후에 설치된다. 편성시스템 사이에 설치되는 실렉터 캠24는 선행측과 후행측이 대칭이고, 전후에 설치되는 실렉터 캠24에서는 편성시스템이 존재하고 있는 내부측에서 버트23a, 23b, 23c에 대한 작용을 한다.
실렉터 가이드 캠60의 하방에는, A포지션용 캠홈62 및 H포지션용 캠홈63이 형성되어 있다. 실렉터 가이드 캠61은, 실렉트 잭23의 버트23b를 안내하여 초기위치로 되돌린다. 실렉트 잭23은, 초기위치에서 접극부23e가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에 의하여 자기적으로 흡인(吸引)되어 버트23c가 실렉터 가이드 캠60으로부터 이탈되어 있다.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에는, 자기적(磁氣的)인 흡인을 해제하기 위한 코일자극(coil 磁極)25a, 25b가 중심에 대하여 대칭이 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캐리지33이 화살표46의 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선행측이 되는 코일자극25a에 통전(通電)하면, 버트23c가 A포지션용 캠홈62와 결합하여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궤적으로 버트23c를 안내하여, 실렉터23을 전진시켜서 실렉트 잭22를 니트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선행측이 되는 코일자극25a에서는 통전되지 않고 후행측이 되는 코일자극25b에서 통전되면, 버트23c가 H포지션용 캠홈63과 결합하여 점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궤적으로 버트23c를 안내하여, 실렉터23을 전진시켜서 실렉트 잭22를 턱위치까지 이동시킨다. 실렉트 잭22가 턱위치로 이동하면, 버트22a는 H프레서45에 의하여 가압된다.
싱커제어캠44는, 편성 중의 편사를 급사(給絲)할 때와 상기의 선행 삽입할 때에 편사결합훅42a를 니들베드 갭37로부터 상승시키기 위한 상승 캠(上昇 cam)65와, 상승한 편사결합훅42a를 니들베드 갭37로 하강시키기 위한 하강 캠(下降 cam)66과, 편성동작 종료 후에 편사결합훅42a를 니들베드 갭37로 하강시키는 하강 캠67을 포함한다. 싱커잭43의 버트43a는, 상승 캠65, 하강 캠66 및 하강 캠67의 상호간에 형성되는 캠홈으로 안내되고, 화살표46 방향의 주행에서는 이점쇄선으로 나타나 있는 것과 같은 궤적을 따라 변위된다.
도4는 도1에 나타나 있는 니들 실렉션 장치21에서, (a)와 (b)에 나타나 있는 초기위치의 실렉트 잭22에 대응하는 비가압시(非加壓時)와 가압시(加壓時)의 제어상태를, 니들베드32의 전체에 대하여 각각 나타낸다. 도4(a)에 나타나 있는 비가압시에서는, 니들 잭39의 버트39a가 돌출되어 편성 캠40에 의한 구동을 받는다. 도4(b)에 나타나 있는 가압시에서는, 버트39a가 니들 홈35 내에 가라앉아 편성 캠40에 의한 구동을 받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는, 록 부재30에 의한 록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실렉트 잭22의 버트22a에 대한 가압이 해제되더라도 니들잭39의 버트39a가 니들 홈35 내에 가라앉아 있는 상태를 계속할 수 있다.
도5는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에서, 실렉터 캠24에 의하여 실렉터23 및 실렉트 잭22가 턱위치(H포지션)에 선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실렉 터23의 버트23c는, 실렉터 가이드 캠60의 H포지션용 캠홈63에 결합하도록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가 선택적으로 구동된다. 실렉트 잭22의 버트22a를 캐리지33측으로부터 가압하더라도 록 부재30은 와이어28로부터 떨어져 있어, 와이어28과 실렉트 잭22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으로 진입할 수는 없어 록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도6은 편성시스템 사이의 간격의 증대가 횡편기20에 끼치는 영향을 간략화 하여 나타낸다. 도6(a)는 본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6(b)는 록 기능을 설치하지 않고 편성시스템 간격을 넓힌 형태를 나타낸다. 즉 도6(a)의 캐리지33에 대하여 도6(b)에 나타나 있는 캐리지33'는, 선행시스템47과 후행시스템48의 간격d보다 큰 간격d'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캐리지33'로서의 길이L'도 캐리지33의 길이L보다 커지게 된다. 캐리지33, 33'가 동일한 편성폭W의 편성포70을 편성하는 경우, 도6(a)에서는 W+2L의 범위를 캐리지33이 이동하고, 도6(b)에서는 W+2L'의 범위를 캐리지33'가 이동한다. 본 실시예의 캐리지33에서는, 웰트위치에서 실렉트 잭22를 록 하여 편침36의 버트39a를 니들 홈35에 가라앉힐 수 있기 때문에 캐리지33을 컴팩트화(compact 化) 시켜서 경량화(輕量化)나 비용의 절감 또한 동력 비용의 절감도 도모할 수 있다. 불필요한 선행 삽입 등 버트39a로의 불필요한 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편사나 버트39a 등에 끼치는 바람직하지 못한 영향도 감소시킬 수 있다.
도7은 도1의 록 부재30의 형상을 확대하여 나타낸다. 도7(a)는 도1의 상방에서 보는 경우에 평면의 상태, 도7(b)는 도1의 정면에서 보는 경우에 측면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록 부재30은, 실렉트 잭22와 동일한 두께의 금속 등의 탄성재료(彈性材料)의 판재(板材)로 형성되고,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結合部)30a와 결합부30b를 구비한다. 결합부30b는, 웰트위치의 실렉트 잭22가 가압되어 와이어28과 실렉트 잭22의 캐리지33측과의 사이에 생기는 간극으로 진입 가능하다. 결합부30a로부터 결합부30b로 이행하는 중간의 위치에는, 결합부30c가 형성되어 있다.
도8은 록 부재30을 장착할 수 있는 실렉트 잭22의 두께가 얇은 부분22f의 형상 및 구성을 확대하여 부분적으로 나타낸다. 도8(a)는 도7(a)에 대응하는 평면의 상태, 도8(b)는 도7(b)에 대응하는 측면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실렉트 잭22는, 두께가 판의 두께방향의 양측에서 얇아지는 두께가 얇은 부분22f를, 초기위치에서 와이어28 등의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구비한다. 두께가 얇은 부분22f의 와이어28측에는, 도7에 나타나 있는 결합부30c가 결합되는 절단부(切斷部)22g가 형성된다. 두께가 얇은 부분22f의 중심에는, 스프링31을 수용할 수 있는 오목부22h가 형성된다. 두께가 얇은 부분22f 및 절단부22g는, 록 부재30을 장착하여 록 부재30이 도1(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31을 압축시켜서 전방측으로 가압하고 있는 상태와, 도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스프링31의 가압에 의하여 후방측으로 돌출되는 록 상태와의 사이의 변위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도9는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2형태인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니들 실렉션 장치71에서도 실렉트 잭72를 편성동작이 비작용의 초기위치의 가압상태를 지지하도록 록 할 수 있다. 도9(a)는 실렉트 잭72가 웰트위치가 되는 초기위치에 있는 비가압상태를 나타내고, 도9(b)는 실렉트 잭72의 가압상태를 나타낸다. 니들 실렉션 장치71은, 실렉트 잭72를 이동시키는 실렉터73을 구비한다. 실렉터73은, 복수의 버트73a, 73b, 73c를 구비하고, 실렉터 캠24가 버트73a, 73b, 73c에 작용하여 실렉터를 구동시키는 동작은, 기본적으로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과 동일하다. 실렉터73의 선단부73d는, 실렉트 잭72의 버트72a에 접촉하여 실렉트 잭72를 전진시킬 수 있다. 실렉터73의 후단측에는, 접극부73e가 형성되어 실렉터 캠24가 버트73c를 가압하면, 니들 실렉션 액추에이터25에 접촉되어 자기적으로 흡인된다. 실렉트 잭72가 와이어29와 결합하여 위치결정을 하는 오목부72b, 72c, 72d를 구비하는 것도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실렉트 잭72는, 초기위치에서 와이어28에 접하는 선단 부근에 홈부72e를 구비한다. 홈부72e 내에는 록 부재75가 삽입되어 홈부72e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록 부재75는 탄성을 갖는 금속 등의 판재로 형성되고, 홈부72e 내에는 전반부분의 결합부75a가 삽입된다. 록 부재75의 후반부분의 결합부75b는, 홈부72e의 개구측(開口側)으로부터 와이어28측으로 돌출된다.
도10은, (a)에서 록 부재75의 형상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내 고, (b)에서 홈부72e 부근의 실렉트 잭72의 부분적인 형상을 측면에서 보았을 때를 나타낸다. 도10(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록 부재75에는, 선단측이 2개로 갈라지는 모양으로 기단측(基端側)에서 상하 폭이 좁아지는 전반부분의 결합부75a와, 폭이 좁아지는 결합부75a의 기단측으로 연속되는 후반부분의 결합부75b를 구비한다.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렉트 잭72의 홈부72e는, 대략적으로 U자 모양이고, 개구부(開口部)72f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을 갖는다. 홈부72e는, 개구부72f와, 개구부72f의 폭보다 크고 일정한 폭을 갖는 평행부(平行部)72g와, 평행부72g에 연속되어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져 있는 경사부(傾斜部)72h를 구비한다.
본 실시예의 록 부재75는, 결합부75a의 2개로 갈라지는 모양으로 되어 있는 선단측으로 홈부72e의 경사부72h를 따라 구부러졌을 때에 탄성력을 받고, 홈부72e로부터 외측으로 돌출하는 방향의 가압을 받는다. 즉 록 부재75 자체의 형상이, 홈부72e의 경사부72h와 협동하여 결합부75b가 돌출되어 도10(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은 록 상태가 되도록 변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실렉트 잭72 및 록 부재75는, 니들 플레이트34 사이에 형성되는 니들 홈35 내에 수용되어, 판의 두께방향은 양측에서 니들 플레이트34에서 삽입되기 때문에, 니들 홈35의 폭과 두께의 차이가 지나치게 크지 않다면, 판의 두께방향으로 탈락되는 경우는 없다. 록 부재75의 결합부75a는, 실렉트 잭72의 홈부72e의 개구부72f보다 폭이 크기 때문에, 홈부72e로부터 개구부72f측으로 빠져 나가는 것이 제한된다.
도11은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제3형태인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의 개략적인 단면 구성을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니들 실렉션 장치81에서도 실렉트 잭82를 편성동작이 비작용이 되는 초기위치의 가압상태를 지지하도록 록 할 수 있다. 도11(a)는 실렉트 잭82가 초기위치에 있는 비가압상태를 나타내고, 도11(b)는 실렉트 잭82의 가압상태를 나타낸다. 니들 실렉션 장치81은, 실렉트 잭82를 이동시키는 실렉터83을 구비한다. 실렉터83은 복수의 버트83a, 83b, 83c를 구비하고, 실렉터 캠24가 버트83a, 83b, 83c에 작용하여 실렉터83을 구동시키는 동작은, 기본적으로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과 동일하다. 또 도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실렉터83은, 선단부83d가 실렉트 잭82를 그 버트82a에 접촉되어 전진시킬 수 있고, 후단측에는 접극부83e가 형성되어 실렉터 캠24가 버트83c를 가압하면, 실렉트 니들 액츄에이터25에 접촉되어 자기적으로 흡인된다. 실렉트 잭82가 와이어29와 결합하여 위치결정을 하는 오목부82b, 82c, 82d를 구비하는 것도 도1의 니들 실렉션 장치21과 동일하다.
본 실시예의 니들 플레이트84에는, 실렉트 잭82가 초기위치에 있을 때의 와이어28과 버트82a와의 사이에서 니들 홈85의 벽면(壁面)이 되는 위치에 결합 오목부86이 형성된다. 실렉트 잭82측에는, 록 부재로서의 판스프링(板 spring)88이 장착되는 장착 오목부82e가 형성된다.
도12는 판스프링88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12(a)는 평면에서 볼 때, 도12(b)는 측면에서 볼 때의 상태를 각각 나타낸다. 도12(a)의 평면에서 볼 때의 상태에서는, 실렉트 잭82도 가상선으로 나타낸다. 판스프링88은, 구부려져 있는 선단부88a와 평탄한 기단부(基端部)88b를 구비한다. 기단부88b는, 실렉트 잭82의 장착 오목부82e에 장착되고,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상태에서는 선단부88a가 장착 오목부82e로부터 실렉트 잭82의 측방으로 돌출된다. 니들 홈85 내에서는, 결합 오목부86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벽면이 되는 니들 플레이트84의 측면에서 가압되어, 선단부88a는 장착 오목부82e 내에 삽입된다.
도11(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니들 잭82의 버트82a가 캐리지33측으로부터 가압되면, 판스프링88의 선단부88a가 니들 플레이트84의 측면과 결합 오목부86과의 단차(段差)에 결합됨으로써 록 상태를 지지한다. 결합 오목부86은, 무부하상태(無負荷狀態)의 판스프링88의 선단부88a를 받아 들이기에 충분한 스페이스(space)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나 실렉트 잭82는, 록 되지 않는 이외의 위치에서는 니들 홈85 내에서 필요 이상의 슬라이딩 부하(sliding 負荷)를 받지 않고 자유롭게 이동할 필요가 있다. 실렉터83을 턱위치나 니트위치로 이동시키면, 판스프링88의 선단부88a는 결합 오목부86의 단차부분으로부터 이탈하여 록 상태는 해제된다. 선단부88a가 니들 플레이트84의 측면에서 가압되어 실렉트 잭82의 장착 오목부82e 내에 삽입되면, 실렉트 잭82는 니들 홈85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다. 또한 록 상태가 해제되어 있으면, 도12(a)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실렉트 잭82가 초기위치의 웰트위치로 되돌려지는 것만으로는 록 상태로는 되지 않는다.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일탈하지 않고 다른 여러 가지의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실시예는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는 것으로서, 명세서의 본문에는 조금도 구속되지 않는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 내가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실렉터에 의하여 니들 홈 내를 이동하는 실렉트 잭의 초기위치를 비작용의 편성동작에 대응시켜서 실렉트 잭을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하면, 초기위치의 실렉트 잭이 미리 정하여진 근방에 간격을 두고 형성되는 결합부와의 사이의 간극에 록 부재가 결합되어, 결합부와의 사이에서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니들 실렉션 위치의 록상태를, 실렉트 잭의 진퇴(進退) 이동을 하지 않고서도 실현시킬 수 있다.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가 지지되는 사이에는, 편침의 버트는 캐리지의 캠기구로부터 이탈되어 있기 때문에 편성작용을 비작용으로 할 수 있다. 실렉터에서 실렉트 잭의 위치를 비작용에 대응하는 위치와 다른 위치로 이동시키면, 록 부재는 간극으로부터 이탈되어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의 지지를 해제하기 때문에 편성작용에 따라 실렉트 잭을 캐리지측에 설치되는 프레서에 의하여 가압시켜서 편침의 버트에 대한 캠기구의 작용을 제어할 수 있다. 록 부재는 편침의 비작용의 위치가 실렉트 잭의 초기위치이기 때문에 캐리지의 캠기구가 편침을 통과하는 사이에 연속하여 비작용이라면, 실렉터나 실렉트 잭을 이동시킬 필요는 없어 이동에 따르는 마모나 손상의 감소나 동력 비용의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니들 홈 내에서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에 접촉되어 실렉트 잭을 니들 홈 내에 멈추게 하는 관통부재를 결합부로서 이용하여, 실렉트 잭을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하여 관통부재와의 사이에 형성되는 간극에 스프링 가압되는 록 부재를 결합시켜서 실렉트 잭에 대한 캐리지측으로부터의 가압상태를, 결합부로부터 록 부재를 통하는 가압상태로 계승하여 지지할 수 있다. 실렉트 잭을 비작용에 대응하는 초기위치로부터 다른 편성작용에 대응하는 위치로 이동시키면, 록 부재를 간극으로부터 이탈시켜서 가압상태의 지지를 해제하여 편성작용에 따르는 실렉트 잭의 가압에 의한 편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렉트 잭은, 초기위치에서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두께가 판의 두께방향의 양측에서 얇아지는 두께가 얇은 부분을 구비하고, 록 부재의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가 두께가 얇은 부분을 두께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하여, 록 부재의 결합부가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으로 진입될 수 있기 때문에, 니들 홈 내의 실렉트 잭과 관통부재와의 사이의 작은 공간에 록 부재를 배치할 수 있다. 실렉트 잭의 두께가 얇은 부분과 록 부재의 결합부와의 사이에는, 록 부재 가 결합부를 간극으로 진입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을 구비하기 때문에 실렉트 잭이 초기위치에서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되면, 록 부재의 결합부를 간극으로 진입시켜서 가압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실렉트 잭에는, 대략적으로 U자 모양이고, 개구부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의 슬릿부를, 초기위치에서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개구하도록 구비한다. 록 부재는, 슬릿부 내에 삽입되어 슬릿부의 양측으로부터 가압되고 또한 관통부재측으로 가압되는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와,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으로 진입할 수 있는 결합부를 구비하기 때문에, 초기위치에서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되면 록 부재의 결합부를 간극으로 진입시켜서 가압상태를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각 니들 홈 내에서 실렉트 잭의 측방에는 결합부가 되는 오목부가 형성되고, 록 부재는 실렉트 잭의 측면에 설치되어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그 오목부에 삽입되고,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으로의 변위를 저지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는 판스프링이기 때문에, 가압상태의 지지를 할 수 있다. 실렉트 잭이 초기위치와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가압상태의 지지를 해제하여 편성작용에 따르는 실렉트 잭의 가압에 의한 편침의 제어를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캐리지의 캠기구는, 캠기구가 편침의 버트에 작용하여 복수의 편성동작을 선택적으로 하는 것에 선행하여 버트가 캠기구로부터 이탈되어 있지 않은 편침을 끌어 들이는 기능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싱커장치와 연동하여 스티치를 조이기 위한 프리시딩 리트랙션 등을 할 수 있다. 비작용의 위치에 설정되는 편침은, 실렉트 잭이 록 부재에 의하여 가압상태를 지지하기 때문에 가압상태가 해제될 때까지는, 편침의 버트가 캠기구로부터 이탈하고 있는 상태를 지지하여 프리시딩 리트랙션(preceding retraction) 등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비작용의 편침 상을 캐리지의 캠기구가 통과할 때마다 편사가 편침에 의하여 바싹 당겨져서 실 마모나 실 끊어짐의 원인이 되는 등 편성상, 편사에 대하여 바람직하지 않은 영향을 끼치는 것을 피할 수 있다.

Claims (6)

  1. 복수의 니들 홈(needle groove)을 나란하게 형성하는 횡편기(橫編機)의 니들베드(needle bed)를 따라 주행하는 캐리지(carriage)의 선택기구(選擇機構)와 연동(連動)되어, 실렉트 잭(select jack)을 이동시키는 실렉터(selector)가 각 니들 홈에 구비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ion 裝置)에 있어서,
    실렉트 잭은, 각 니들 홈 내에서 캐리지의 캠기구(cam 機構)의 작용을 받는 편침(編針)의 버트(butt)를, 캐리지측으로부터의 가압(加壓)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캠기구로부터 이탈시키는 것이 가능하고,
    실렉터는, 비작용(非作用 : non operation)을 포함하는 복수의 편성동작에 대응하여 미리 정하여진 포지션(position)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도록 실렉트 잭을 이동시키고,
    그 복수의 포지션은, 실렉트 잭의 초기위치를 비작용에 대응시키도록 설정되고,
    각 니들 홈 내에는, 초기위치의 실렉트 잭이 미리 정하여지는 근방에 간격을 두고 결합부(28, 82e)가 구비되고,
    각 실렉트 잭마다 설치되고, 초기위치에서 실렉트 잭이 캐리지측으로부터 가압되면 상기 결합부(28, 82e)와의 사이의 간극에 결합되어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를 상기 결합부(28, 82e)와의 사이에서 지지하고 또한 실렉터에 의하여 실렉트 잭이 비작용과는 다른 포지션 위치로 이동할 때에는, 그 간극으로부터 이탈하여 실렉트 잭의 가압상태의 지지를 해제하는 록 부재(lock 部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needle selection 裝置).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28)는, 상기 니들베드를 니들 홈의 나란하게 설치되는 방향으로 관통하고, 상기 실렉트 잭의 상기 캐리지측에 접촉되어 실렉트 잭을 니들 홈 내에 멈추게 하는 관통부재(貫通部材)이고,
    상기 록 부재는 스프링 가압(spring 加壓)되어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렉트 잭은, 두께가 판의 두께방향의 양측에서 얇아지는 두께가 얇은 부분을,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그 두께가 얇은 부분을 두께방향의 양측으로부터 삽입하는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30a)와, 상기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에 진입 가능한 결합부(30b)를 구비하고,
    실렉트 잭의 두께가 얇은 부분과 록 부재의 결합부(30a)와의 사이에 설치되고, 록 부재가 결합부(30b)를 그 간극에 진입시키도록 가압하는 스프링(spring)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실렉트 잭은, 대략적으로 U자 모양이고, 개구부(開口部)의 간격이 좁아지는 형상의 홈부를,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관통부재에 접하는 근방에 개구(開口)하도록 구비하고,
    상기 록 부재는, 그 홈부 내에 삽입되어, 홈부의 양측으로부터 가압되고, 상기 관통부재측으로 가압되는 2개로 갈라지는 모양의 결합부(75a)와, 상기 관통부재와 실렉트 잭의 캐리지측과의 간극으로 진입 가능한 결합부(75b)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82e)는, 상기 실렉트 잭의 측방에 형성되는 오목부이고,
    상기 록 부재는 실렉트 잭의 측면에 설치되고, 측방으로 돌출하도록 가압되어 그 오목부에 삽입되어, 상기 캐리지측으로의 변위(變位)를 저지하는 선단부(先端部)를 구비하는 판스프링(板 sprin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캐리지의 캠기구는, 상기 복수의 편성동작에 선행(先行)하여 상기 버트가 이탈되어 있지 않은 편침을 끌어 들이는 편성 캠(編成 cam)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KR1020047020936A 2002-06-26 2003-06-04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KR100979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86284 2002-06-26
JP2002186284 2002-06-26
PCT/JP2003/007059 WO2004003275A1 (ja) 2002-06-26 2003-06-04 横編機の選針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3608A KR20050013608A (ko) 2005-02-04
KR100979440B1 true KR100979440B1 (ko) 2010-09-02

Family

ID=299967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20936A KR100979440B1 (ko) 2002-06-26 2003-06-04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7213422B2 (ko)
EP (1) EP1541734B1 (ko)
JP (1) JP4016029B2 (ko)
KR (1) KR100979440B1 (ko)
CN (1) CN100368615C (ko)
AU (1) AU2003242017A1 (ko)
DE (1) DE60333845D1 (ko)
WO (1) WO200400327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809215B (zh) * 2007-08-02 2012-06-20 株式会社岛精机制作所 横机的选针机构、横机的选针机构用选针片及横机的选针机构用隔距片
JP2009068122A (ja) * 2007-09-10 2009-04-02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およびその選針方法
DE502008002304D1 (de) * 2008-07-15 2011-02-24 Stoll H Gmbh & Co Kg Nadelauswahleinrichtung
WO2011027543A1 (ja) * 2009-09-01 2011-03-1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選針装置およびセレクタ
JP5788675B2 (ja) * 2010-12-28 2015-10-07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JP5844586B2 (ja) * 2011-09-16 2016-01-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の選針システム、セレクタ、および横編機
DE102015103639B4 (de) * 2015-03-12 2020-04-23 Terrot Gmbh Nadelzylinder und Rundstrickmaschine
CN106480595B (zh) * 2016-12-30 2018-10-30 杭州昵特家居用品有限公司 上针盘提花机构
JP7307580B2 (ja) * 2019-04-05 2023-07-12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454A (ja) * 1992-12-29 1994-07-1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選針装置
JPH06220752A (ja) * 1993-01-27 1994-08-0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US5694792A (en) * 1995-06-15 1997-12-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Needle selection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3237732A1 (de) * 1982-10-12 1984-04-12 H. Stoll Gmbh & Co, 7410 Reutlingen Flachstrickmaschine mit nadelauswahleinrichtung
JPH03206161A (ja) 1989-12-28 1991-09-09 Shima Seiki Seisakusho:Kk 横編機におけるシンカー装置
KR0123800B1 (ko) 1989-12-28 1997-11-27 마사히로 시마 횡편기에 있어서의 싱카장치
JP2610533B2 (ja) * 1990-02-14 1997-05-14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ニット,トランスファー兼用カム
JP2700203B2 (ja) * 1991-10-04 1998-01-19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の方法およびその装置
JP2915308B2 (ja) * 1994-06-02 1999-07-05 株式会社福原精機製作所 丸編機における3位置のカム装置、その選針方法およびカムタイミングの設定方法、およびそれに使用する編針
CN1049933C (zh) * 1995-04-11 2000-03-01 佰龙机械厂股份有限公司 圆编针织机的选针机构
JP3459514B2 (ja) 1995-06-15 2003-10-20 株式会社島精機製作所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IT1293789B1 (it) * 1997-07-25 1999-03-10 Santoni Srl Dispositivo per la selezione degli aghi, in particolare per la selezione degli aghi del piatto in macchine circolari per
TW522186B (en) 1999-11-17 2003-03-01 Shima Seiki Mfg Sinker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TW521105B (en) * 2000-03-31 2003-02-21 Shima Seiki Mfg Knitting member selecting actuator of knitting machin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00454A (ja) * 1992-12-29 1994-07-1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の選針装置
JPH06220752A (ja) * 1993-01-27 1994-08-09 Shima Seiki Mfg Ltd 横編機における選針装置
US5694792A (en) * 1995-06-15 1997-12-09 Shima Seiki Manufacturing, Ltd. Needle selection device of flat knit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0368615C (zh) 2008-02-13
EP1541734A4 (en) 2006-09-06
JP4016029B2 (ja) 2007-12-05
US20060201208A1 (en) 2006-09-14
KR20050013608A (ko) 2005-02-04
US7213422B2 (en) 2007-05-08
EP1541734A1 (en) 2005-06-15
JPWO2004003275A1 (ja) 2005-10-27
EP1541734B1 (en) 2010-08-18
WO2004003275A1 (ja) 2004-01-08
DE60333845D1 (de) 2010-09-30
AU2003242017A1 (en) 2004-01-19
CN1662694A (zh) 2005-08-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01023B2 (en) Yarn carrier of weft knitting machine
KR100979440B1 (ko) 횡편기의 니들 실렉션 장치
EP2196569B1 (en) Weft knitting machine
US20070289338A1 (en) Complex Cam System
JP2917146B2 (ja) 編目形成方法及び該編目形成のための横編機
US7380419B2 (en) Movable sinker apparatus and sinker of weft knitting machine
EP1942216B1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yarn guide
JP4348286B2 (ja) 横編機
JP5637984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US7152435B2 (en)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movable sinker
JP2604677B2 (ja) 横編機におけるトランスファージャック
JP4180541B2 (ja) 横編機によるパイル編成方法
US5163305A (en) Knitting machine with stitch retention sinkers
KR100517402B1 (ko) 편직기 및 경편기의 루프-형성 부재
US6688140B2 (en) Weft knitting machine with transfer mechanism and transferring method
US7036341B2 (en) Transfer jack and weft knitting machine having the same, and stitch transfer method using transfer jack
JP4175977B2 (ja) 可動シンカーを備える横編機
US2017673A (en) Knitt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2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