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9389B1 -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 Google Patents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9389B1
KR100979389B1 KR1020030027142A KR20030027142A KR100979389B1 KR 100979389 B1 KR100979389 B1 KR 100979389B1 KR 1020030027142 A KR1020030027142 A KR 1020030027142A KR 20030027142 A KR20030027142 A KR 20030027142A KR 100979389 B1 KR100979389 B1 KR 1009793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iler
width
slabs
fi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27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92824A (ko
Inventor
김남수
김수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030027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9389B1/ko
Publication of KR200400928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928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93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93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9/00Arrangements for moving, supporting, or positioning work, or controlling its movement,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etal-rolling mills
    • B21B39/02Feeding or supporting work; Braking or tensioning arrangements, e.g. thread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8/00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 B21B38/04Methods or devices for measuring, detecting or monitoring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e.g. position detection, inspection of the product for measuring thickness, width, diameter or other transverse dimensions of the produ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Stacking Of Art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폭 슬라브를 선별하여 분리 및 산적할 수 있는 파일러에 관한 것으로, 승/강하며 슬라브를 산적하는 파일러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는 대차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에 탑재되며 이폭 슬라브를 선별해내기 위해 상기 파일러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삽입형 파일러를 구비하는 파일러형 대차부와; 상기 파일러부에 이송되는 슬라브의 폭을 비교하여 이폭 슬라브 선별작업 진행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동하여, 동일폭 또는 이폭 슬라브 각각에 대하여 상기 파일러부의 승/강운동 및 상기 파일러형 대차부의 전/후진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하여, 롤 테이블 및 수평 테이블에 배열되어 후공정으로 이송,구동하는 슬라브 사이에 폭이 상이한 슬라브가 혼재되어 있어도, 물류 흐름의 정체 및 주조작업에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상이한 폭의 슬라브만을 선별하고 분리해 산적함으로써, 라인상에 슬라브 정체화의 가중을 해소하고, 복구작업에 따른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게 한다.
Figure R1020030027142
슬라브, 파일러, 푸셔, 이폭 선별, 산적

Description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Apparatus for loading distinguish between different width slabs}
도 1과 도 2는 종래의 슬라브 산적장치의 구성도
도 3은 종래의 슬라브 산적 동작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및 산적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에 대한 결합관계 및 취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4의 파일러를 승강시키는 스크류와 기어박스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세도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와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 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제어부 전체동작 흐름도
도 9a는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에 슬라브를 산적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 상태도
도 9b는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를 2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한 상태도
도 9c는 본 발명 장치의 이폭 슬라브를 산적하려고 파일러를 테이크 아웃 포지션으로 상승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9d는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형 대차부를 파일러에 탑재한 상세도
도 9e은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를 하강하여 이폭 슬라브를 파일러형 대차에 산적하는 작동도
도 9f는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를 테이크 아웃 포지션으로 상승하여 대차를 기동하여 분리한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 9g는 본 발명 장치의 파일러를 정상적인 2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하여 슬라브를 산적하는 상태의 작동 상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파일러 11 : 레일
12 : 스토퍼 20 : 삽입형 파일러
30 : 하우징 31,31a : 종륜 차륜
32,32a : 구동륜 차륜 33 : 주행 레일
34 : 감속기 35,90,90a : 마그네트 브레이크
36,91,91a : 모터 37 : 엔코더
38 : 드러그 체인 39 : 가이드 롤러
40 : 롤 테이블 50 : 푸셔
60,60a,60b : 슬라브 70,70a : 베이스
80,80a : 홀더 81,82 : 스크류 볼트
93,93a : 기어박스 94 : PG 센서
100 : 피엘시 판넬 101 : 운전 판넬
본 발명은 이폭 슬라브를 선별하여 산적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롤러 테이블 및 수평 테이블에 배열된 슬라브들 사이에 폭이 상이한 슬라브가 혼재하고 있어도 동일 폭의 슬라브만을 선별하여 산적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류 흐름의 정체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폭 슬라브를 분리하여 선별할 수 있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일러는 수직으로 상승하거나 하강하면서 연속주조된 열간 슬라브를 폭 별로 분류하여 1~4매 산적하고, 용삭(스카핑) 처리한 슬라브를 1~3매 산적하여 이송 라인상의 물류 흐름을 원활히 할 수 있도록 사용되는 설비이다.
도 1은 종래의 파일러에 이폭 슬라브를 산적하는 동작 상태를 도시한 참고도로서, 롤 테이블(40)의 구동에 의해 슬라브(60)가 파일러의 중앙부분, 즉 파일링 포지션에 정지하면 파일러(15)는 1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하고, 측면의 푸셔(50)가 전진(도면상의 오른쪽방향)하면서 롤 테이블(40) 상의 슬라브(60)를 밀어 파일러(15)에 1매 산적한다.
다음으로 후속 슬라브가 구동하여 파일링 포지션에 정지하면 1매를 산적하고 있는 파일러(15)는 다시 2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하고, 다시 푸셔(50)가 전진하면서 롤 테이블(40) 상의 후속 슬라브를 밀어줌으로서 1매 산적된 슬라브 상단으로 상기 푸싱된 후속 슬라브가 2매 산적된다.
여기서 상기 푸셔(50)는 그 푸싱거리(슬라브 한쪽 모서리가 위치하는 곳)가 일정하기 때문에 동일폭의 슬라브가 이송되는 경우 파일러에 산적된 슬라브는 그 양측면이 직각을 이루면서 안전하게 산적되지만, 폭이 상이한 슬라브가 혼재되어 이송되는 경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도면상의 좌측면)만이 직각을 이루고 다른 측면(도면상의 우측면)이 불규칙하게 산적될 수 밖에 없다. 따라서 파일러에 산적된 슬라브들은 그 무게 중심이 분산된 불안전한 상태로 산적된다.
따라서 종래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테이블 및 수평 테이블의 라인상에서 이폭 슬라브가 혼재된 상태로 이송되면 이폭 슬라브를 선별하기 위해서는 매 슬라브가 파일러(15)에 푸싱될 때마다 슬라브를 1매씩 크레인 통스로 찝어내 산적하게 되며, 이러한 동작 흐름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이유로 종래에는 상이한 폭의 슬라브를 1매씩 산적해 찝어 내므로, 롤 테이블의 라인 상에 슬라브가 정체하는 시간이 길어져 탄소 함유량이 많은 강종은 벤딩이 심하게 발생하게 되며, 그로 인해 롤 테이블에 의해 구동되지 못해 후공정으로 이송이 불가능해며 물류 흐름의 정체화를 가중시키는 문제점을 발생시키고, 또한 상이한 폭의 슬라브를 혼재해 산적할 때 파일러에 산적된 슬라브가 푸싱 슬라브에 밀려 수평 상태를 상실하면서 틀어져 크레인 통스로 찝을 수 없는 현상이 발생하기도 한다.
따라서 복구 작업에 따른 안전사고 발생과 생산되는 슬라브의 롤 테이블 정체화를 초래하여 전,후 공정간의 물류 흐름이 차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물류 흐름의 정체화를 초래하지 않고, 이폭 슬라브만을 분리 선별하여 동일폭 슬라브의 산적을 용이하게 하는 삽입형 파일러를 포함하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및 산적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승/강하며 슬라브를 산적하는 파일러부와; 상기 파일러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는 대차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에 탑재되며 이폭 슬라브를 선별해내기 위해 상기 파일러부에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 삽입형 파일러를 구비하는 파일러형 대차부와; 상기 파일러부에 이송되는 슬라브의 폭을 비교하여 이폭 슬라브 선별작업 진행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동하여, 동일폭 또는 이폭 슬라브 각각에 대하여 상기 파일러부의 승/강운동 및 상기 파일러형 대차부의 전/후진 운전을 제어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및 산적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서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및 산적장치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주요부분에 대한 결합관계 및 취부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파일러를 승강시키는 스크류와 기어박스의 작동관계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상세도이고, 도 7a와 도 7b는 각각 본 발명 장치의 정면도 와 측면도로서, 기어박스(93,93a)와 연결된 홀더의 내부에 스크류 볼트(81,82)가 설치되며, 상기 홀더(80,80a)와 연결된 베이스(70,70a)에 크랭크 형상의 파일러(10)가 안착되며, 펄스발생기를 이용하여 상기 파일러의 높이 감지를 위한 피지(PG)센서(94)가 구비되고, 상기 피지센서와 마그네트 브레이크(90)와 모터(91)가 일직선상의 기어박스(93) 축과 연결되어 기어 커플링(92)과 연결되고, 상기 커플링(92)의 다른 측에는 모터(91a)와 마그네트 브레이크(90a)를 일축선상에 연결하여 타측의 기어박스(93a)를 결합한 상태에서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 테이블(40) 일측면에 배열되고, 상기 롤러 테이블의 타 측면에는 푸셔(50)가 배열되며, 삽입형 파일러(20)를 안착한 하우징(30)에 주행장치인 감속기(34)와 마그네트 브레이크(35)와 모터(36)와 엔코더(37)를 일체형으로 결합하고, 구동륜(32,32a)과 연결된 이동형 대차가 레일(33)에 안착되고, 드레그 체인(38)과 연결되어 배열되어 있다.
상기 파일러부는 크랭크 형상으로 레일(11)과 스토퍼(12)를 오목홈에 결합한 파일러(10)가 외측면에 롤러(95,95a)를 결합한 베이스(70,70a)에 안착되고, 기어박스(93,93a)에 회전방향이 상이한 스크류 볼트(81,82)를 연결하여 홀더(80,80a)와 결합되고, 피지 센서(94)와 마그네트 브레이크(90)와 모터(91)가 일측부의 기어박스(93) 축에 수평하게 연결되고, 타측부의 기어박스(93a)의 축과 마그네트 브레이크(90a)와 모터(91a)가 연결되어 기어 커플링(92)에 두축이 일체형으로 연결된다.
상기 파일러형 대차부는 상단면의 길이가 긴 디귿 형상의 삽입형 파일러(20)가 굴절되어 블럭의 공간을 형성하는 하우징(30)에 안착되게 연결되고, 종륜 차륜(31,31a)과 구동륜 차륜(32,32a)을 체결하고, 감속기(34)의 저단 기어축이 하단부로 향하게 공간부에 결합되고, 구동륜 차륜(32,32a)과 연결되며, 공간부의 축에 마그네트 브레이크(35)가 연결되고, 모터(36)와 엔코더(37)가 축과 연결되어 레일(33)위에 안착되며, 드러그 체인(38)이 케이블(미도시)을 권취하고 레일(33) 사이의 공간 대차 하단부에 일측부가 연결되고 타측부는 하우징(30)과 연결되며, 가이드 롤러(39)가 파일러측 레일 끝단부 레일 사이에 배열된다.
상기 제어부는 운전 조건을 선택하고, 조작이 용이 하게 한 운전 판넬(101)과 슬라브의 상세 정보와 파일링 작업 프로그램이 내장된 피엘시 판넬(100)과 파일러(10)의 상,하한 작동 위치를 제어하는 리미트 스위치(미도시)가 회로를 구성하며 복합적으로 결선되어 있으며, 그 상세 동작 흐름은 도 8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동작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에 관하여 도 8의 동작 흐름도와 도 9a 내지 도 9g의 작동상태로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기 롤 테이블(40)에 슬라브(60)가 없이 파일러(10)와 이동 대차가 차례로 배열되어 있는 상태를 유지하다가, 도 9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브(60a)가 구동되어 푸셔(50) 앞의 롤 테이블(40) 정지 포지션에 정지하면 피엘시 판넬(100)은 파일러(10)의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에 전원을 인입하여 슈가 드럼에서 격리되어 제동이 해지되고, 모터(91,91a)를 기동하여 기어박스(93,93a)와 체결된 두 스크류 볼트(81,82)가 서로 방향이 상이하게 회전하면서 홀더(80,80a)를 하강시켜 베이스(70,70a)에 안착된 파일러(10)는 1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하고, 피지 센서(94)가 그 회전수를 감지하여 모터(91,91a)와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의 전원을 차단해 제동 및 정지시킨다.
이후 푸셔(50)를 전진 작동하면 슬라브(60a)는 롤 테이블(40)의 롤 표면과 접촉하여 마찰되면서 밀려 파일러(10)에 산적되고, 푸셔(50)는 후진하여 최초의 상태로 복원된다.
다시 후속 슬라브(60b)가 구동하여 정지 포지션에 정지하면 피엘시 판넬(100)은 파일러에 이미 산적된 슬라브(60a)와 파일러에 새로 산적할 후속 슬라브(60b)의 폭 정보를 비교 및 분석해 동일 폭의 슬라브일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파일러를 2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시키고, 푸셔(50)를 전진시켜 이미 산적된 슬라브 상단으로 후속 슬라브를 밀어 산적(도 9g 참조)한다.
그러나 도 9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속 슬라브(60b)의 폭이 이미 산적된 슬라브(60a)의 폭과 상이한 경우에는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에 전원을 인입해 제동을 해지하고, 모터(91,91a)를 역회전시키면 기어박스(93,93a)에 체결된 두 스크류 볼트(81,82)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홀더(80,80a)를 상승시켜 상기 홀더에 안착된 베이스(70,70a) 위의 파일러(10)는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은 위치로 상승하고, 피지 센서(94)가 회전수를 감지해 브레이크(90,90a)와 모터(91,91a)의 전원을 차단해 파일러(10)는 테이크 아웃 포지션에 정지한다.
이때 파일러(10) 홈부분의 레일(11)과 삽입형 파일러(20)의 주행 레일(33)은 도 9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한 레벨을 유지한다.
이후에 파일러형 대차부의 주행부 마그네트 브레이크(35)에 전원을 인입하여 슈를 드럼에서 격리하여 제동을 해지하고 모터(36)를 기동하면 감속기(34) 축과 연 결된 구동륜(32,32a)이 회전해 파일러형 대차부는 레일(33)을 따라 파일러(10) 홈의 레일(11)에 도 9d와 같이 안착한다. 이때 삽입형 파일러(20)의 하단 부분은 파일러(10)의 산적된 슬라브(60a) 하단의 홈 부분으로 삽입되고, 상기 삽입형 파일러의 중간부 공간에는 슬라브를 2매까지 삽가능하게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파일러(10)의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와 모터(91,91a)에 전원을 인입해 제동을 해지하고, 기동하여 기어박스(93,93a)에 체결된 스크류 볼트(81,82)를 좌,우방향으로 상이하게 회전시키면 홀더(80,80a)가 하강하여 파일러형 대차부를 탑재한 형태의 파일러(10)가 통째로 하강하게 되고, 대차의 삽입형 파일러(20)가 슬라브 산적 포지션에 도달하면 피지 센서(94)가 회전수를 감지해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와 모터(91,91a)의 전원을 차단해 도 9e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상을 유지한다.
이때 푸셔(50)를 전진시켜 롤 테이블(40) 상의 슬라브(60b)를 밀어 도 9e의 점선 표시부분과 같이 파일러형 대차부의 삽입형 파일러(20)의 상부에 산적한다.
이후에 다시 상기 산적한 슬라브(60b)와 동일한 폭의 후속 슬라브가 푸싱 포지션에 정지하면 상기와 같이 파일러형 대차부를 탑재한 파일러(10)를 하강하고 후속 구동된 슬라브를 다시 푸셔(50)로 밀어 산적된 슬라브(60b) 상단으로 산적(도면에는 미도시됨)한다.
한편, 상기 도 9e와 같은 상태에서 후속 구동되는 슬라브의 폭이 상이하면, 도 9f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파일러(10)가 테이크 아웃 포지션으로 상승하도록 마그네트 브레이크(90,90a)와 모터(91,91a)의 전원을 인입해 제동을 해지하고, 모터를 기동하여 기어박스(93,93a)와 연결된 두 스크류 볼트(81,82)를 방향이 상이하게 회전시키면 홀더(80,80a)에 안착된 파일러(10)와 이에 산적된 슬라브(60a)와 탑재된 파일러형 대차부의 삽입형 파일러(20)에 산적된 슬라브(60b)를 상승시키면 피지 센서(94)가 회전수를 감지해 테이크 아웃 포지션에 정지한다.
파일러(10)의 상승함에 따라 드러그 체인(38)은 굴절되며 도 9f의 점선 표시부분과 같이 오른쪽으로 밀려 수평 상태를 유지하고 파일러(10)의 레일(11) 높이와 대차 주행 레일(33)의 레벨이 수평하게 연결된다.
대차의 주행 마그네트 브레이크(35)에 전원을 인입해 슈를 드럼에서 격리하고, 모터(36)를 기동하면 속도를 감속한 감속기(334)의 저단 축과 연결된 구동륜(32,32a)이 회전하여 대차는 레일(33)을 따라 주행하고, 엔코더(37)가 모터(36)의 회전수를 감지해 정지 포지션에 대차는 정지한다. 이때 드러그 체인(38)은 굴절되며 밀려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의 상태를 유지한다.
이후 파일러(10)를 도 9g에 도시된 바와 같이 2매 산적 포지션으로 하강하고, 푸셔(50)로 슬라브(60a)를 밀어 파일러(10)에 산적된 슬라브 상단으로 또 하나의 동일폭의 슬라브를 산적하고 이동 대차에 산적한 이폭 슬라브는 크레인 통스로 찝어 베드에 산적하거나, 또는 대차에 상차한다.
파일러(10)에 산적한 슬라브(60a)도 상기와 같이 파일러를 상승하여 테이크 아웃 처리하여 베드에 산적하거나, 또는 상차 작업을 한다.
이러한 과정은 후속 슬라브가 구동하여 푸셔(50) 앞 롤러 테이블(40) 푸싱(정지) 포지션에 정지하면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일한 작업을 반복적으로 수행 하여 물류 흐름의 정체없이 슬라브를 계속해서 산적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본 발명에 의하면, 롤 테이블 및 수평 테이블에 배열된 슬라브 사이에 폭이 상이한 슬라브가 혼재되어 있어도, 물류 흐름의 정체 및 지장을 초래하지 않고 이폭 슬라브 만을 선별,분리하여 파일러에 계속해서 산적할 수 있게 되므로 슬라브가 롤 테이블 및 수평 테이블에서 정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따라서 슬라브가 벤딩되어 구동이 하지 않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며, 이폭 슬라브를 혼재해 산적할 때 슬라브가 뒤틀어지는 사고를 예방하여, 전,후 공정간 원활한 물류 흐름을 유도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할 수 있는 실용상의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있다.

Claims (1)

  1. 상승과 하강을 반복하면서 슬라브를 산적하고 대차를 탑재하는 파일러부를 구비한 슬라브 산적장치에 있어서,
    상기 파일러부의 측면에 설치되어 상부로 전진 또는 후진 주행할 수 있는 대차를 구비하고, 상기 대차에 탑재되며 이폭 슬라브를 선별하여 산적하기 위해 상기 파일러부에 긴 디귿형상의 삽입형 파일러를 구비하는 파일러형 대차부와;
    이송되는 슬라브의 폭을 비교하여 동일폭 또는 이폭 슬라브 각각에 대하여 상기 파일러부의 승/강운동 또는 상기 파일러형 대차부의 전/후진 운전을 제어하여 슬라브 선별작업 진행을 위한 프로세스를 구동하는 제어부로 구성되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및 산적장치.
KR1020030027142A 2003-04-29 2003-04-29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KR1009793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42A KR100979389B1 (ko) 2003-04-29 2003-04-29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27142A KR100979389B1 (ko) 2003-04-29 2003-04-29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24A KR20040092824A (ko) 2004-11-04
KR100979389B1 true KR100979389B1 (ko) 2010-08-31

Family

ID=373731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27142A KR100979389B1 (ko) 2003-04-29 2003-04-29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938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09U (ko) * 1998-11-17 2000-06-15 이구택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KR20020001003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슬라브 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0209U (ko) * 1998-11-17 2000-06-15 이구택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KR20020001003A (ko) * 2000-06-23 2002-01-09 이구택 슬라브 이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92824A (ko) 2004-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123762B1 (de) Abstapelvorrichtung für Blechteile
EP0354461A1 (en) Freight system
EP0562220A1 (en) Method and equipment to palletize packs of sheets, books or the like
US4487540A (en) Stacking machine for rolled bar shapes
US5374150A (en) Multi-tier parking facility system for depositing and removing vehicles
US8011870B2 (en) Multi level automated car parking system
KR100979389B1 (ko)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KR20050028792A (ko) 스택커 번들러 및 그 제어방법
US3942784A (en) Dual sheet piling machine
EP2181230B1 (en) Device for handling cars in multistorey car parks with improved raising system
DE2917896A1 (de) Schwerkraftbetaetigtes werkstueck- uebertragungs- und speichersystem
CN113023301B (zh) 钢筋调直自动上料设备
US3601263A (en) Billet-handling apparatus
DE1611389A1 (de) Signaturen-Zufuehrvorrichtung
CN213059756U (zh) 一种电梯防冲顶装置
US3727780A (en) Scissors-type hoist mechanism
US4573860A (en) Equipment for disentangling bars
US5738485A (en) Pallet handling apparatus
US3977537A (en) Sheet piling method and apparatus
JP2005188033A (ja) 自走式トレー及びこれを用いた物品格納装置
EP0410084B1 (en) Freight system
CN110615281A (zh) 一种金属切割自动上下料装置
CN213622299U (zh) 一种自动回砂装置
JP2662816B2 (ja) 地下式立体駐車装置
CN215243215U (zh) 自动拆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