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0209U -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 Google Patents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0209U
KR20000010209U KR2019980022406U KR19980022406U KR20000010209U KR 20000010209 U KR20000010209 U KR 20000010209U KR 2019980022406 U KR2019980022406 U KR 2019980022406U KR 19980022406 U KR19980022406 U KR 19980022406U KR 20000010209 U KR20000010209 U KR 20000010209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b
piler
pusher
trolley
senso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8002240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성회
강종필
박병수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201998002240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0209U/ko
Publication of KR20000010209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0209U/ko

Links

Landscapes

  • Stacking Of Articles And Auxiliar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파일러에 적치되어 있는 가장 상부측 슬라브가 푸셔에 의해 파일러 상부로 이동하는 슬라브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슬라브 다단적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슬라브(120)를 밀도록 된 푸셔(130)와, 상기 슬라브(120)의 밀림방향에 갖추어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치대(142)를 가지는 파일러(140)로 이루어져 상기 적치대(142)에 슬라브를 다단 적치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142)에 대해 슬라브(120)가 진입하는 반대측에 갖추어져 실린더(20)에 의해 파일러(140)측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선단부의 폭방향 동일선상에 슬라브 지지구(14)를 다수개 장착한 대차(10); 상기 대차(10)상에 전후방향의 일정거리를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미끄럼축(32)의 선단에는 슬라브 감지롤(34)이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축(32)은 탄성스프링(36)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슬라브 감지롤(32)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38a)(38b)를 가지는 슬라브 감지부(30); 및, 상기 푸셔(130)와 파일러(140)의 동작상태와 센서(38a)(38b)의 감지신호를 입력신호로 제공받아 실린더(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본 고안은 테이블 롤러등을 통해 연속적으로 이동되는 슬라브를 다단으로 적치하여 통크레인 작업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일러에 적치되어 있는 가장 상부측 슬라브가 푸셔에 의해 파일러 상부로 이동하는 슬라브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도록 된 슬라브 다단적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철소등에서 생산되는 슬라브는 일정길이로 절단된 후 테이블 롤러등을 이용하여 연속하여 이송되고 다단으로 적치되어 통크레인등에 의해 다음 공정으로 이동되어진다.
도1은 이러한 다단적치를 위하여 갖추어진 설비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며, 테이블 롤러(110)에 의해 일정길이로 절단된 슬라브(120)가 연속적으로 이동하며, 상기 테이블 롤러(110)가 형성된 경로의 후단부 일측과 타측에는 푸셔(Pusher)(130)와 파일러(Piler)(140)가 각각 설치됨으로서 이송된 슬라브(120)는 푸셔(130)에 의해 파일러(140)측으로 공급된다. 상기 푸셔(130)는 랙(132)과 피니언기어(134)의 결합구조에 의해 슬라브(120)측으로 전후진될 수 있는 대차형 이동몸체(136)를 가지고, 상기 몸체(136)의 선단에 슬라브(120)와 대략 평행하게 푸싱판(138)을 갖춤으로서 이동몸체(136)에 갖추어진 피니언기어(134)를 회전시킴에 의해 푸싱판(138)이 전후진하면서 슬라브(120)를 파일러(140)측으로 밀도록 이루어진다. 상기 파일러(140)는 슬라브(120)보다 약간 더 큰 크기를 가지면서 수평하게 위치된 평판형 적치대(142)를 가지며, 상기 평판형 적치대(142)는 미도시된 모터 또는 실린더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도록 이루어짐으로서 푸셔(130)에 의해 밀려진 슬라브(120)를 적치대(142) 상부에 받은후, 슬라브 폭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하강하여 슬라브(120)의 다단적치가 가능한 것이다. 물론, 상기 적치대(142)에 설정수량, 예컨데 4매의 슬라브(120)가 적치되면 그 적치된 슬라브(120)는 통크레인등에 의해 다른 장소로 이동되고, 적치대(142)는 초기위치로 복귀하여 슬라브(120) 다단적치작업이 연속하여 수행된다.
이러한 푸셔(130)와 파일러(140)에 의한 슬라브 다단적치작업은 슬라브(120)의 표면이 매끄럽고 평활하게 형성된 경우에는 큰 문제점을 발생시키지 않으나, 도2에 도시한 바와같이 스카핑작업에 의해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연속된 결을 형성한 슬라브(120')를 다단 적치하는 경우에는 푸셔(130)에 의해 밀려지는 슬라브(120')가 파일러(140)의 슬라브(120') 상부면을 미끄럼 이동하는데 상당한 저항력이 발생하고, 따라서 파일러(140)측 슬라브(120')도 함께 밀려 다단적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을 가지게 된다. 또한, 파일러(140)측 슬라브(120")가 벤딩되어 상부로 볼록한 상태로 있거나 또한 하부로 오목한 상태로 존재하는 경우에도 다단적치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었고, 이러한 경우에는 푸셔(130) 설비가 과부하에 의해 파손됨으로서 슬라브 이송작업이 정지되는등 설비가동효율을 저하시키는 것이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파일러에 적치되어 있는 가장 상부측 슬라브가 푸셔에 의해 파일러 상부로 이동하는 슬라브에 의해 밀리는 것을 방지하여 슬라브 다단적치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슬라브 다단적치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기술에 따른 슬라브 다단적치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
도2는 슬라브 다단적치시 발생되는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다단적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
도4는 본 고안의 슬라브 감지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구성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대차
12 ... 레일
20 ... 실린더
30 ... 슬라브 감지부
32 ... 미끄럼축
34 ... 슬라브 감지롤
36 ... 탄성스프링
38a,38b ... 센서
51,52 ... 투,수광센서
120 ... 슬라브
130 ... 푸셔
140 ... 파일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인 구성으로서 본 고안은,
슬라브를 밀도록 된 푸셔와, 상기 슬라브의 밀림방향에 갖추어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치대를 가지는 파일러로 이루어져 상기 적치대에 슬라브를 다단 적치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에 대해 슬라브가 진입하는 반대측에 갖추어져 실린더에 의해 파일러측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선단부의 폭방향 동일선상에 슬라브 지지구를 다수개 장착한 대차;
상기 대차상에 전후방향의 일정거리를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미끄럼축의 선단에는 슬라브 감지롤이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축은 탄성스프링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슬라브 감지롤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가지는 슬라브 감지부; 및,
상기 푸셔와 파일러의 동작상태와 센서의 감지신호를 입력신호로 제공받아 실린더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다단적치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다단적치장치를 전체적으로 도시한 개략 구성도로서, 슬라브(120)를 밀도록 된 푸셔(130)와, 상기 슬라브(120)의 밀림방향에 갖추어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치대(142)를 가지는 파일러(140)로 이루어져 상기 적치대(142)에 슬라브를 다단 적치하도록 된 장치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은 종래와 동일하다.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다단적치장치(1)는 파일러(140)에 대해 슬라브(120)가 진입하는 반대측에 갖추어진 레일(12)을 가지며, 상기 레일(12)은 평행한 한쌍으로 이루어져 그 방향이 푸셔(130) 이동방향과 동일하게 이루어진다.
상기 레일(12)상에는 대차(10)가 얹혀지고, 상기 대차(10)는 다수개의 바퀴(11)를 가짐으로서 그 바퀴(11)가 레일(12)을 따라 구름운동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대차(10)는 'H'형강등에 의해 적정한 형상의 구조물로 형성되고, 실린더(20)에 의해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동력을 제공받는바, 상기 실린더(20)는 설비바닥 또는 설비지지대등에 고정되고, 그 로드가 대차(10)에 연결됨으로서 실린더(20)의 전후동작에 의해 대차(10)가 레일(12)을 따라 이동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실린더(20)는 큰 힘을 제공할 수 있는 유압에 의해 동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대차(10)의 선단부에는 다수개의 슬라브 지지구(14)를 장착하며, 이러한 슬라브 지지구(14)는 대차(10)를 이루는 구조물보다 더 전방측으로 돌출하면서 폭방향으로 동일선상에 위치함으로서 대차(10)가 슬라브(120)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후술할 슬라브 감지부(30)에 이어 슬라브 지지구(14)의 각각이 슬라브(120)에 동시에 접촉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슬라브 지지구(14)에 대한 형상 등은 특별하게 제한하지는 않는다.
상기 대차(10)의 선단부에는 슬라브 감지부(30)가 갖추어지는바, 이 슬라브 감지부(30)는 도4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같이 대차(10)의 이동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미끄럼운동할 수 있는 미끄럼축(32)을 가진다. 상기 미끄럼축(32)은 대차(10)상에 복수개 갖추어진 미끄럼지지대(15)의 각각에 형성되고 대차(10)의 이동방향으로 관통형성된 관통구멍(16)에 끼워져 미끄럼이동이 가능하다. 물론, 상기 미끄럼축(32)의 후단부에는 관통구멍(16)을 통과하지 못하는 정도의 크기를 가지는 스토퍼(33a)를 형성함으로서 미끄럼축(32)이 대차(10) 전방측으로 빠져버리는 것을 방지하고, 선단부에는 슬라브 감지롤(34)이 장착되며, 탄성스프링(36)에 의해 대차(10)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다. 즉, 상기 미끄럼축(32)은 외력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도4에 도시한 바와같이 대차(10) 전방측으로 최대한 이동하고, 따라서 슬라브 감지롤(34)도 대차(10) 전방측으로 최대한 이동하며, 이렇게 이동한 상태의 슬라브 감지롤(34)의 위치는 상기 슬라브 지지구(14)보다 더 전방측에 있어야 한다.
또한, 상기 슬라브 감지부(30)에는 복수개의 센서(38a)(38b)를 가지는바, 상기 센서(38a)(38b)는 미끄럼축(32) 이동경로상에 적정거리 떨어져 설치되고, 상기 미끄럼축(32)에는 센서감응판(33b)을 설치하여 미끄럼축(32) 이동시 센서감응판(33b)이 센서(38a)(38b)에 의해 감지될 수 있도록 하며, 도4와 같은 초기상태에서는 센서감응판(33b)이 센서(38a)(38b)의 어느 하나에도 감지되지 않고, 미끄럼축(32)이 탄성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후진하면 센서감응판(33b)이 상기 센서(38a)(38b)에 의해 차례로 감지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센서(38a)(38b)는 브라켓(39)을 매개로 대차(10)상에 고정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장치(1)는 파일러(140)의 적치대(140) 상에 얹혀진 슬라브(120)가 벤딩되어 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수단을 갖추는바, 이 수단은 도3에 도시한 바와같이 투광센서(51)와 수광센서(52)로 이루어지고, 상기 투광센서(51)에서 발사된 빛이 수광센서(52)에 도달하면 그 사이에 물체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에 수광센서(52)에 도달하지 못하면 그 사이에 물체가 존재한다는 것을 나타내는 통상의 센서이다. 상기 투광센서(51)와 수광센서(52)는 적치대(142)가 슬라브(120)를 얹은 상태로 차기 슬라브를 받기 위하여 하강한 상태에 있을 때 가장 상부에 존재하는 슬라브의 일측 모서리 상부측으로부터 타측 모서리 상부측으로 빛의 경로가 형성될 수 있도록 적정한 장소에 설치된다.
물론, 상기 푸셔(130)와 파일러(140)의 동작상태와 센서(38a)(38b)의 감지신호를 입력신호로 제공받아 실린더(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가지는바, 상기 투광 및 수광센서(51)(52)도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제어신호를 제공하도록 하고, 상기 제어부는 본 고안의 장치가 적정하게 동작될 수 있도록 미리 프로그래밍된다.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의 장치에 대한 작용의 일례를 이하에서 설명하며, 여기에서 보여지는 작동순서등은 필요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바, 이러한 작동순서등에 본 고안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파일러(140)에 아무런 슬라브도 얹혀져 있지 않은 초기상태에서 상기 적치대(142)의 상부면 위치는 테이블 롤러(110)의 상단부 위치와 동일하거나 약간 낮은 위치에 있도록 설정되며, 슬라브(120)가 푸셔(130)와 파일러(140) 사이에 위치하면, 상기 푸셔(130)가 전진함에 의해 파일러(140)의 적치대(142) 상부에 슬라브(120)가 얹혀진다.
이후에 상기 푸셔(130)는 후진하여 초기상태에 위치하고,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상기 파일러(140)가 슬라브(120)의 두께에 해당하는 높이만큼 하강하여 차기 슬라브 적치를 대기한다.
이때, 투광센서(51)에서 광선이 발생하여 수광센서(52)측으로 조사되며, 수광센서(52)에 광선이 감지되면 상기 슬라브(120)는 벤딩되지 않은 상태에 있는 것으로 판단되지만, 반대로 수광센서(52)에서 광선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상기 슬라브(120)가 벤딩된 상태에 있음을 판단하여 제어부는 슬라브 이송설비를 정지시키거나 작업자에게 부져등을 통하여 알림으로서 벤딩된 슬라브(120)를 파일러(140)로부터 제거하는등 후속조치를 신속하게 취하게 된다.
상기 투광센서(51)와 수광센서(52)의 작동과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실린더(20)를 전진동작시키는바, 이는 대차(10)를 슬라브(120)측으로 전진시키며, 가장 먼저 슬라브 감지부(30)의 슬라브 감지롤(34)이 슬라브(120)에 접촉하고, 따라서 상기 슬라브 감지롤(34)은 그 위치에서 정지하며, 결과적으로는 대차(10)에 대하여 미끄럼축(32)이 탄성스프링(36)의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구멍(16)을 통해 상대적으로 후진하게 된다.
이러한 미끄럼축(32)의 이동에 의해 먼저 센서(38a)에서 센서감응판(33a)을 감지하고, 이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제어부는 대차(10)의 이동속도를 줄이게 된다. 계속하여 센서(38b)에서 센서감응판(33b)을 감지하면 제어부는 대차(10)를 정지시키며, 이 상태는 대차(10)의 슬라브지지구(14)가 슬라브(120)에 접촉한 상태이거나 매우 근접한 상태이다.
따라서, 차기 슬라브(120)가 푸셔(130)에 의해 적치대(142)상의 슬라브(120) 상부에 미끄럼운동에 의해 얹혀질 때 슬라브(120) 사이의 표면마찰에 의한 힘으로 적치대(142)상의 슬라브(120)가 이동할려는 것을 슬라브지지구(14)가 차단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고안에 따른 슬라브 다단적치장치에 의하면, 파일러 상부에 적치되어 있는 슬라브중 가장 상부에 있는 슬라브를 그 위치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지지함으로서 푸셔에 의해 밀려지는 슬라브가 파일러에 적치되어 있는 슬라브에 마찰력을 가하더라도 파일러측 슬라브의 이동이 방지되어 다단 적치가 매우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파일러측에 얹혀진 슬라브의 벤딩여부가 자동으로 감지되어 신속한 후속조치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서 슬라브 낙하등에 의한 설비사고를 미연에 방지하는 효과도 가진다.

Claims (2)

  1. 슬라브(120)를 밀도록 된 푸셔(130)와, 상기 슬라브(120)의 밀림방향에 갖추어지고 상하방향으로 이동하는 적치대(142)를 가지는 파일러(140)로 이루어져 상기 적치대(142)에 슬라브를 다단 적치하도록 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142)에 대해 슬라브(120)가 진입하는 반대측에 갖추어져 실린더(20)에 의해 파일러(140)측으로 전후진 이동하고, 선단부의 폭방향 동일선상에 슬라브 지지구(14)를 다수개 장착한 대차(10);
    상기 대차(10)상에 전후방향의 일정거리를 미끄럼 이동하도록 설치된 미끄럼축(32)의 선단에는 슬라브 감지롤(34)이 장착되고, 상기 미끄럼축(32)은 탄성스프링(36)에 의해 전방측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으며, 상기 슬라브 감지롤(32)의 이동위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38a)(38b)를 가지는 슬라브 감지부(30); 및,
    상기 푸셔(130)와 파일러(140)의 동작상태와 센서(38a)(38b)의 감지신호를 입력신호로 제공받아 실린더(20)의 구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치대(142)의 가장 상부측에 적치된 슬라브(120)의 일측 상부모서리 외측과 타측 상부모서리 외측에 투광 및 수광센서(51)(52)를 각각 설치하며, 상기 센서(51)(52)에 의한 감지신호는 제어부에 전송되어 슬라브(120)의 벤딩여부를 판단할 수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KR2019980022406U 1998-11-17 1998-11-17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KR20000010209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406U KR20000010209U (ko) 1998-11-17 1998-11-17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80022406U KR20000010209U (ko) 1998-11-17 1998-11-17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0209U true KR20000010209U (ko) 2000-06-15

Family

ID=695084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80022406U KR20000010209U (ko) 1998-11-17 1998-11-17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0209U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7112B1 (ko) * 2006-04-0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완충 기능을 갖는 슬라브 푸쉬 헤드 장치
KR100815750B1 (ko) * 2002-03-20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스라브 위치복구장치
KR100821134B1 (ko) * 2001-12-17 2008-04-11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적재용 파일러에서의 슬래브 고정장치
KR100979389B1 (ko) * 2003-04-29 2010-08-31 주식회사 포스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1134B1 (ko) * 2001-12-17 2008-04-11 주식회사 포스코 슬래브 적재용 파일러에서의 슬래브 고정장치
KR100815750B1 (ko) * 2002-03-20 2008-03-20 주식회사 포스코 스라브 위치복구장치
KR100979389B1 (ko) * 2003-04-29 2010-08-31 주식회사 포스코 이폭 슬라브 선별 분리 산적장치
KR100727112B1 (ko) * 2006-04-06 2007-06-13 주식회사 포스코 완충 기능을 갖는 슬라브 푸쉬 헤드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2218A (en) Apparatus for transferring a motor vehicle and multistory parking lot
US9221605B2 (en)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having same
US4133436A (en) Method of retrieving articles from storage and an apparatus for carrying out the method
CN217996046U (zh) 一种高速护栏板翻转式下料码垛装置
EP0405096A1 (en) Clamping arrangement for a lift mast
KR20000010209U (ko) 슬라브 다단적치장치
JP4855865B2 (ja) 荷移載装置及び荷移載方法
JPH09255153A (ja) 積載装置
US3791536A (en) Warehousing system using a stacker crane with an improved brake mechanism
CN214166545U (zh) 下料托盘装置
CN213974744U (zh) 一种钢筋桁架楼承板的翻板机结构
CN212221721U (zh) 自动化双向料盘升降台
CN114313933A (zh) 一种升降翻转装置
JPH0815953B2 (ja) 枚葉紙給紙機
KR100581623B1 (ko) 리프트와 대차 사이의 단차에 의한 팔레트 이송 불능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주차장치 및 팔레트 이송 제어방법
CN114083289A (zh) 寻边焊接冲孔机
JP3761012B2 (ja) 物品保管設備
KR100438475B1 (ko) 전환 프레스용 이송 스테이션
CN111620013A (zh) 堆垛机、取放设备和立体仓库
JPH08304063A (ja) 板材の選別搬送方法及び装置
KR100858126B1 (ko) 스틸 슬리브 폭별 공급장치
JP3835189B2 (ja) 物品供給設備
CN210166966U (zh) 一种应用于机器人教学设备的上料分拣单元
CN218538022U (zh) 一种叠货区自动叠货设备
CN214651983U (zh) 自动捡砖装置的瓷砖出料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