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8029B1 -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 Google Patents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8029B1
KR100978029B1 KR1020080011003A KR20080011003A KR100978029B1 KR 100978029 B1 KR100978029 B1 KR 100978029B1 KR 1020080011003 A KR1020080011003 A KR 1020080011003A KR 20080011003 A KR20080011003 A KR 20080011003A KR 100978029 B1 KR100978029 B1 KR 1009780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sheet
joint
waterproof sheet
joint ban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10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16921A (ko
Inventor
김지윤
김석준
Original Assignee
(주)삼성방수
(주)동아방수
김지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성방수, (주)동아방수, 김지윤 filed Critical (주)삼성방수
Priority to KR10200800110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8029B1/ko
Publication of KR200800169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169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8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80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6Sealings
    • E04B1/68Sealings of joints, e.g. expansion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와 인접하는 타 방수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조인트 부위를 형성하는 시트 방수에서,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에 따라 상기 조인트 부위의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인트 밴드와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물 및 시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조인트 밴드는 아스팔트 또는 부틸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점착 특성을 갖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기 구비되고 EPDM을 포함한 합성고무 필름 또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이형 재료층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방수 구조물은 상기 조인트 밴드가 방수 시공면 상부에 배치되는 방수시트와 인접한 타 방수시트의 일부가 중첩되는 조인트 부위에 교차로 적층 배치되어 실질적으로 'S' 자 형상의 단부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 시트 방수에서 가장 취약한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여 방수 효과를 극대화 하고, 방수 시공에 따른 하자를 미연에 방지하며, 시공 시 방수 시트에 직접적으로 가열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방수 시트의 성능 저하 및 화재 위험을 방지 하게 된다.
방수, 방수시트, 조인트 밴드

Description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JOINT BAND FOR WATERPROOF SHEET AND SHEET WATERPROOF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와 인접하는 타 방수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조인트 부위를 형성하는 시트 방수에서, 방수 효과를 극대화하고 그에 따라 상기 조인트 부위의 하자를 최소화할 수 있는 조인트 밴드와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물 및 시트 방수 공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방수공법은 도막 방수와 시트 방수로 나눌 수 있는데, 상기 도막 방수는 연속적인 방수층을 만들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일정한 방수층의 두께를 시공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이에 반해 상기 시트 방수는 물리적으로 우수한 방수층의 성능과 일정한 두께의 방수층을 시공할 수 있으나, 시트와 시트 사이의 연결부위 즉, 시트 간의 조인트 부위의 접합에 있어 큰 단점이 있다.
상술한 도막 방수와 시트 방수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복합방수는 시트의 물리적 성능과 시트 간의 조인트 부위를 도막제로 도포하여 종래 시트 방수의 문제점을 보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복합방수의 대표적인 예로 I공법으로 부직포타입의 시트를 우레탄 계열의 도막제을 이용하여 I형의 형태로 접합하는 것인데, 상기 I공법은 인건비가 상당하며 부직포형 시트는 물질의 팽창계수가 달라 위로 말려올라가 상부에 도막제를 도포할 때 규정된 도막제의 사용량을 초과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아스팔트 계열의 시트는 상기한 우레탄 계열의 도막제에 녹아버리는 문제점이 있어 시트를 보호하기 위해 부직포를 상부층에 부착하였으나 상기 시트의 단부는 우레탄계열의 도막제에 그대로 노출되어 손상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종래 시트 방수의 가장 큰 문제점은 하자의 발생과 보수하는데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시트 방수는 대부분 시트, 이와 인접하는 타 시트가 중첩되도록 배치하여 접합부위 즉 조인트 부위를 형성하게 된다. 이때, 시트와 시트사이의 조인트 부위에 힘이 가해지거나, 시공 시 조인트 부위의 처리가 미숙했을 때 시트의 조인트 부위가 들뜨거나 끊어져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며, 시트 공법 상 한번 물이 침투되면 제대로 시공되었던 부분마저도 들뜸 현상이 진행하게 되고, 물이 시트의 하부측으로 흐르게 된다.
또한, 시트의 중심제로 쓰이는 부직포나 PP포는 섬유질로 되어 있어 평상시에는 높은 신장율과 인장강도를 보이지만 강한 힘이 한 방향으로 계속 가해져 한번 찢어지면 천이 찢어지듯 시트의 손상이 계속 진행되고, 이로 인해 하자가 발생하게 되면 하부측의 물이 흐르게 되므로 보수가 거의 불가능해지기 때문에 심할 경우 방수의 재시공으로 이어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종래 시트 방수는 조인트 부위가 취약하여 복합방수류의 보강공 법이 성행되고, 조인트 부위에서 누수가 발생하면 시트 하부에 누수가 전면적으로 진행되어 하자 부위를 찾을 수 없다. 또한, 시트 방수의 시공 시에도 방수 시트에 열을 가하게 되면 최소 20%의 물리적 성능이 저하되어 더욱더 상기 조인트 밴드가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안출된 것으로, 기존 시트 방수의 물리적 특성을 그대로 유지하며, 중첩되는 방수시트의 조인트 부위의 취약점을 보강하여 시트 방수에서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시트 방수 시공 시 방수 시트를 가열하지 않고도 시공을 진행할 수 있게 하여 화재의 위험으로부터 안전하고, 공정의 간소화에 따른 인건비 및 시공 단가의 절감을 제공하는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을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는 아스팔트 또는 부틸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점착 특성을 갖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기 구비되고, EPDM을 포함한 합성고무 필름 또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이형 재료층;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삭제
삭제
삭제
한편, 상기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 시트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에 있어서, 모체 콘크리트의 방수 시공면에 방수시트를 배치하며 이와 인접한 타 방수시트를 상기 방수시트와 중첩되도록 부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부위에 조인트 밴드를 교차로 적층 배치하여 실질적으로 'S' 자 형상의 단부를 갖도록 상기 조인트 밴드를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때, 상기 조인트 밴드를 배치하는 단계는 상기 시공면에 제1조인트 밴드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인트 밴드 상부 표면의 일부에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가 서로 접하도록 상기 하부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에 제2조인트 밴드를 중첩 부착하여, 상기 제1조인트 밴드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2조인트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조인트 밴드의 상부 표면에 상부 방수시트를 중첩 부착하는 단 계; 및 상기 조인트 부위 상부 표면에 상기 하부 및 상부 방수시트의 일부가 접하도록 제3조인트 밴드를 중첩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조인트 밴드를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청소 및 정리된 모체 콘크리트의 방수 시공면 전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방수 구조물은 종래 시트 방수의 최대 단점인 조인트 부위를 3번에 걸쳐 연속적으로 동질의 조인트 밴드를 적층 배치하여 3중의 방수층을 형성 및 보강함으로써 종래 시트 방수에서 조인트 부위가 들뜨거나 끊어져 외부로부터 물이 유입되어 발생하는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은 작업공정의 간소화로 인해 적업시간 및 인건비를 절감하고, 접합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비숙련공이라도 쉽게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위에 도막제를 포함한 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막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수 시트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고, 방수 시트에 직접적으로 가열을 하지 않기 때문에 방수시트 가열에 따른 성능저하를 방지하며 화재의 위험성으로부터 안전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하기의 실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현할 수 있을 것이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각 구성 요소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하나의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상부에" 또는 "하부"에 형성되는 것으로 언급되는 경우에는 상기 하나의 구성 요소는 상기 다른 구성요소 위에 형성되거나 또는 아래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거나, 또 다른 구성 요소들이 상기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추가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각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및/또는 "제3"으로 언급되는 것은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단지 각 구성 요소들을 구분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제1", "제2" 및/또는 "제3"은 각 구성 요소에 대하여 각기 선택적으로 또는 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도 1은 본 발명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보인 도면으로, 도시된 조인트 밴드(20)는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시트와 인접하는 타 방수시트가 서로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조인트 부위를 형성하는 구조에서, 상기 방수시트의 조인트 부위에 해당하는 곳에 하나 이상 적층 배치되어 상기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고, 그에 따라 시트 방수에서 상기 조인트 부위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하자를 최소화하게 된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20)를 설명하면, 상기 조인트 밴드(20)는 중심층(200) 및 이형 재료층(210)을 포함한다. 상기 중심층(200)은 아스팔트 또는 부틸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점착(粘着) 특성을 갖는다.
한편, 상기 이형 재료층(210)은 상기 중심층(200)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기 구비되어 있고, EPDM을 포함한 합성고무 필름 또는 이형지로 이루어지는데, 각 용도에 맞게 변경가능하다. 즉, 상기 중심층(200)은 점착 성분을 갖고 있으므로 상기 점착 성분을 보호하기 위해서 이형지가 부착 되어 있다.
상기 이형지(離型紙)는 일반적으로 박리지(release paper)라고 불리며, 점착(粘着) 성분을 갖는 중심층면을 보호하기 위해 붙인 종이라 할 수 있는데, 사용할 때는 벗겨내어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표면 가공되어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조인트 밴드(20)가 방수 시트의 최하부 또는 중간으로 배치될 경우 상기 이형 재료층(210)은 각 방수 시트로 점착을 위해 이형지가 구비될 수도 있고, 상기 방수 시트의 최상부로 배치될 경우에는 외부로 노출이 되는 상기 조인트 밴드(20)의 상부면은 EPDM 재질의 필름이 구비될 수도 있다.
여기에서, 상기 EPDM은 엘틸렌프로필렌고무(ethylene proplene rubber)이라 칭하며, 에틸렌과 프로필렌을 혼성 중합시켜 얻은 비결정성 고분자물질이며, 화학적으로 안정하며 가황한 것은 물리적 성질이 천연고무와 SBR의 중간성질을 보인다. 그밖에도 상기 EPDM은 내오존성, 내후성, 내노화성, 내열성, 내한성, 내약품성 등이 우수하여 방수 업계뿐만 아니라, 다양한 기술 분야에 활용되고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도 5는 본 발명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밴드를 적용한 시트 방수 공법은 방수 시공 전 먼저 모체 콘크리트에 이물질이 없도록 방수 시공면을 청소 및 정리한 후, 상기 시공면을 편평하게 작업을 한다. 이때, 상기 시공면은 시공 환경에 따라 청소 작업 전에 배수 및 건조 작업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시공면 전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하게 된다. 이때, 상기 프라이머 도포는 솔, 고무주걱, 롤러 등 다양한 도구들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 가능하다.
여기에서,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의 도포는 방수시트와 방수 시공면이 용이하게 점착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공정은 작업 환경 및 경우에 따라 생략할 수도 있기 때문에, 하기에서 설명할 조인트 밴드를 배치하는 단계 이전 상기 청소 및 정리된 모체 콘크리트의 방수 시공면 전면으로 아스팔트 프라이머를 도포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방수 시공면에 시트 방수를 시공하기 전 전체적인 준비과정을 거친 뒤, 상기 방수 시공면의 면적에 대응하도록 다수의 방수시트를 배치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방수시트 및 상기 방수 시트와 인접한 타 방수시트를 서로 중첩되도록 즉, 하부 방수시트를 시공면에 부착한 뒤,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상부면에 상부 방수시트의 하부면이 접하도록 부착하여 조인트 부위를 형성한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중첩되는 방수 시트 간의 조인트 부위에 조인트 밴드를 교차로 적층 배치하여 실질적으로'S'자 형상의 단부를 갖도록 배치하게 된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시트 방수 시공 시 가장 취약했던 조인트 부위에 본 발명에 따른 조인트 밴드를 'S'자 형상을 갖도록 적층 배치함으로써, 상기 조인트 부위를 보강하여 방수 효과를 최대화 하고 그로 인해 종래에 발생하였던 하자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조인트 밴드의 배치 공정의 가장 바람직한 예는 제1, 2 및 3 조인트 밴드를 구비하고, 중첩 배치되는 두 개의 방수 시트의 조인트 부위에서 최상부, 최하부 및 중간층에 상기 제1, 2 및 3조인트 밴드를 각각 배치하여 3개의 방수층을 형성 보강하는 것이다. 이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전체적인 준비 과정이 끝난 방수 시공면에 아스팔트 프라이머가 도포된 상태에서 제1조인트 밴드를 시공면의 길이방향으로 부착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조인트 밴드의 상부면 및 하부면은 각기 이형지가 구비되어 있으며, 부착 전 상기 양 이형지를 제거한 후 상기 아스팔트 프라이머가 도포된 시공면에 부착하게 된다.(s200)
이후, 상기 제1조인트 밴드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상부 표면의 일부에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가 부착되는데, 이때,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는 상기 제1조인트 밴드의 상부 표면의 일부와 50mm ~ 100mm 접하도록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s210)
또한, 제2조인트 밴드를 상기 하부 방수 시트의 일측을 감싸도록 부착한다. 다시 말해,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에 제2조인트 밴드를 중첩 부착하여, 상기 제2조인트 밴드가 상기 제1조인트 밴드 상부 표면의 일부 즉, 미부착된 일부와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 즉 측면 및 상부면과 접하도록 부착한다.(s220)
한편, 상기 하부 방수 시트와 중첩되도록 배치되는 상부 방수 시트는 상기 제2조인트 밴드가 부착된 상태에서 그 상부 표면 전면에 중첩 부착한다.(s230)
여기까지 상술한 공정을 간략하게 다시 설명하면, 하부 방수시트 및 이와 인접하는 상부 방수 시트가 중첩 배치되어 조인트 부위를 형성할 때, 상기 하부 방수 시트와 상부 방수 시트의 접합면 사이에는 제2조인트 밴드가 배치하게 된다.
이후, 최종적으로 조인트 부위의 상부 표면에는 제3조인트 밴드가 중첩 부착되어, 상기 중첩된 하부 방수 시트 및 상부 방수 시트의 각 상부 표면과 접하도록 부착하게 된다.(s240) 이때, 상기 제3조인트 밴드의 상, 하부에 각각 구비되는 이형 재료층은 외부로 노출되는 상부면를 EPDM 재질의 필름층으로, 상기 하부 및 상부 방수 시트와 접하게 되는 하부면을 이형지로 각각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시트 방수 공법은 작업 공정의 간소화로 인해 적업 시간 및 인건비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접합 공정이 간단하기 때문에 비숙련공이라도 쉽게 본 발명에 따른 방수 공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조인트 부위에 도막제를 포함한 보강제를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상기 도막제의 사용으로 인해 방수 시트의 손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방수 시트의 조인트 부위가 내부 및 외부에서 동질의 재질로 연속적으로 적층 배치함에 따라 연속된 방수층을 형성하게 되어 방수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적인 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사상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보인 도면.
삭제
삭제
삭제
도 5는 본 발명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도면부호의 간단한 설명 **
20 : 조인트 밴드 200 : 중심층
210 : 이형 재료층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방수 시트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에 있어서,
    모체 콘크리트의 방수 시공면에 방수시트를 배치하며 이와 인접한 타 방수시트를 상기 방수시트와 중첩되도록 부착하여 형성되는 조인트 부위에 아스팔트 또는 부틸을 포함하는 고분자 화합물로 점착 특성을 갖는 중심층; 및
    상기 중심층 상부면 및 하부면에 각기 구비되고, EPDM(Ethylene Propylene Diene Monomer)을 포함한 합성고무 필름 또는 이형지로 이루어진 이형 재료층;을 포함하는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상기 조인트 부위에 배치하되,
    상기 시공면에 제1조인트 밴드를 길이방향으로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1조인트 밴드 상부 표면의 일부에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가 서로 접하도록 상기 하부 방수시트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에 제2조인트 밴드를 중첩 부착하여, 상기 제1조인트 밴드의 상부 표면 일부 및 상기 하부 방수시트의 일부와 접하도록 상기 제2조인트 밴드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제2조인트 밴드의 상부 표면에 상부 방수시트를 중첩 부착하는 단계; 및
    상기 조인트 부위 상부 표면에 상기 하부 및 상부 방수시트의 일부가 접하도록 제3조인트 밴드를 중첩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6. 삭제
  7. 삭제
KR1020080011003A 2008-02-04 2008-02-04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09780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03A KR100978029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1003A KR100978029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21A KR20080016921A (ko) 2008-02-22
KR100978029B1 true KR100978029B1 (ko) 2010-08-25

Family

ID=393846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1003A KR100978029B1 (ko) 2008-02-04 2008-02-04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802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819B1 (ko) * 2019-01-28 2020-03-26 이대우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07643B1 (ko) * 2008-11-25 2009-07-13 장성덕 지붕소재의 연결부 방수시공 방법 및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597B1 (ko) * 2006-04-13 2006-12-05 동일티엔디 주식회사 Epdm 고무 방수 시트를 활용한 건물 옥상 녹지화 조경방수 구조 및 방수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3597B1 (ko) * 2006-04-13 2006-12-05 동일티엔디 주식회사 Epdm 고무 방수 시트를 활용한 건물 옥상 녹지화 조경방수 구조 및 방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2819B1 (ko) * 2019-01-28 2020-03-26 이대우 방근성이 강화된 복합방수시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16921A (ko) 2008-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36887B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와 이를 이용한 복합 방수 공법
KR100702921B1 (ko) 2중 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10097140A (ko) 플라스틱 패널을 이용한 복합 방수공법
KR102051495B1 (ko) 방수방근시트 및 그 시공방법
KR101286931B1 (ko) 옥상 복합 방수층 및 그 방수 시공방법
KR20090110034A (ko) 부틸라바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복합방수시공방법 및방수구조
KR101142857B1 (ko) 개량방수시트와 이를 사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구조
KR200405387Y1 (ko) 메쉬형 유리섬유시트
KR100978029B1 (ko) 방수시트용 조인트 밴드 및 이를 이용한 시트 방수 공법
KR100444907B1 (ko) 방수 시트를 이용한 복합 방수구조 및 방수공법
KR101135165B1 (ko) 복합 방수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시공방법 및 방수시공구조
KR101128760B1 (ko) 풍압에 의한 파열을 방지하는 노출 지붕용 방수시트 시공방법
KR100875897B1 (ko) 합성수지 시트 양면에 엘엠에프 부직포가 형성된방수시트를 이용한 방수 공법
KR200393968Y1 (ko) 이피디엠-부틸 복합형 자착식 방수시트
KR100638990B1 (ko) 시트방수 구조 및 방수공법
KR100956884B1 (ko) 방수시트 및 이의 시공방법
KR20170104172A (ko) 교량 슬래브의 복합식 방수 공법 및 방수 구조
KR101142856B1 (ko) 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2063334B1 (ko) 친환경 고무아스팔트와 이지시트를 이용한 복합방수공법
KR100496627B1 (ko) 방수층 접착방식이 개선된 복합방수층 시공 방법
KR100942375B1 (ko) 콘크리트 수로의 이음용 복합 방수 시트 및 그 복합 방수시트를 이용한 콘크리트 수로 이음 공법
KR200434864Y1 (ko) 자착식 복합 방수시트
KR100552452B1 (ko) 옥상 노출형 절연 통기완충 시트와 에어벤트를 사용한옥상 방수구조 및 이를 이용한 옥상 방수공법
KR20010007922A (ko) 엠보싱 방수패드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87410B1 (ko) 구조물용 단열방수패널 및 그 패널의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