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7904B1 - 신호 보정 장치 - Google Patents

신호 보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7904B1
KR100977904B1 KR1020037008553A KR20037008553A KR100977904B1 KR 100977904 B1 KR100977904 B1 KR 100977904B1 KR 1020037008553 A KR1020037008553 A KR 1020037008553A KR 20037008553 A KR20037008553 A KR 20037008553A KR 100977904 B1 KR100977904 B1 KR 1009779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correction
average value
fra
or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70085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44178A (ko
Inventor
레데러디터
파일미하엘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claimed from PCT/DE2002/003516 external-priority patent/WO2003038532A1/de
Publication of KR200400441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441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79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79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G05B13/0205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 G05B13/021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not using a model or a simulator of the controlled system in which a variable is automatically adjusted to optimise the performance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3/00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 G05B13/02Adaptive control systems, i.e. systems automatically adjusting themselves to have a performance which is optimum according to some preassigned criterion electric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4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 F02D41/2406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digital means using essentially read only memories
    • F02D41/2409Addressing techniqu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F02D41/2422Selective use of one or more t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005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77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regulation circuit or part of it,(e.g. comparator, PI regulator, outpu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조절기(26) 및/또는 조절기(26)의 설정 변수(fr)의 입력 신호(US)의 특성 변수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보정 신호(ora, fra) 및/또는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frm)을 결정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SC1, SC2, SC3)과 비교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SC1, SC2, SC3)의 도달 또는 통과 시에 보정 신호(ora, fra) 결정 종료를 위한 출력 신호(a)를 공급하는 신호 평가부(28)를 포함하는 신호(S) 보정 장치가 제안된다.
입력 신호, 설정 변수, 보정 신호, 조절기, 평균값, 신호 평가부

Description

신호 보정 장치{SIGNAL CORRECTION DEVICE}
본 발명은 신호 보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미국 특허 제4,584,982호에는 엔진의 구동을 위한 연료 분배 신호로써 사용되는 신호의 보정을 나타내는 장치가 공지되어 있다. 상기 장치의 목적은, 예를 들어 한편으로는 가능한 한 적은 연료 소비를 유지하고 다른 한편으로는 포괄적으로 유독 성분 없이 배기 가스 성분을 유지하기 위한 사전 설정된 연료-/공기비(람다)에 도달하기 위한 것이다. 상이한 에러의 보상에 대해서 상이한 보정 변수가 제공된다.
이러한 에러는 예를 들어 연료 분배에 대해 곱셈 보정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공기량 센서의 측정 에러이다. 다른 에러는 예를 들어 연료 분배에 대해 덧셈 보정식으로 영향을 미치는 누출 공기 유입이다. 또한, 연료 분사 밸브의 장착 시에 특히 절환 지연을 통해 야기되는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에러는 덧셈 보정식으로 영향을 미친다. 이러한 유형의 시스템 에러는 보정 변수를 통해 효과적으로 보정된다.
에러는 엔진의 상이한 부하-/회전수 영역에서 상이하게 영향을 미친다. 바람직하게는 덧셈 에러는 하부 부하-회전수 영역에서 나타나고, 곱셈 에러는 특히 중간 부하-회전수 영역에서 나타난다.
법 규정에 따라 배기 가스와 관련된 에러는 차량에 자체의 수단에 의해 인식되어 표시되어야 한다. 보정은 이러한 과제를 인수한다. 예를 들어 보정 간섭이 허용된 임계값의 상부 또는 하부에 놓이면, 이것은 에러를 나타낸다. 다양한 엔진 제어 기능 및 진단 기능이 최적으로 함께 작용하는 것이 보장되도록, 보정이 시간-및/또는 사건 제어를 통해서 위상적으로 실행된다.
독일 특허 제198 50 586호에는 직접 분사식 엔진에서 성층 작동과 균질 작동 사이의 전환을 제공하는 엔진 제어 프로그램이 공지되어 있다.
성층 작동에서, 가능한 한 낮은 연료 소비를 달성하기 위해, 엔진은 층상 실린더 충전 및 높은 과잉 공기로 작동된다. 그에 반해, 높은 엔진 부하에서 엔진은 가능한 한 높은 출력을 제공할 수 있도록, 균질의 실린더 충전으로 작동된다. 신호 보정은 람다 센서의 신호로부터 결정되는 설정 변수에 기인하기 때문에, 적어도 보정 중에 양호한 람다 센서 신호가 존재해야 한다. 높은 과잉 공기가 발생하는,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료 절약 성층 작동에서, 람다 센서의 신호는 높은 과잉 공기로 인해 항상 신뢰할 수는 없다. 따라서, 보정은 유리하게는 단지 균질 작동 중에만 수행된다. 보정 단계가 제공되고, 엔진이 현재 성층 작동에 있는 경우, 보정이 개시될 때 균질 작동으로 전환된다. 연료 소비의 최적화 관점에서 보정 시간이 가능한 한 짧게 이루어져야 한다.
보정 시간 동안 다른 제어 기능들과 추가의 목표 갈등이 발생한다. 이러한 기능은 예를 들어 보정될 신호에 작용함으로써 보정 시간 동안 활성화될 수 없는 탱크 환기이다. 또한, 이러한 이유로 인해 보정 시간이 최적화되어야 한다.
상기 목적은 청구범위의 독립항에 제시된 특징을 통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우선 조절기의 입력 신호 또는 설정 변수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 신호를 결정하는 보정 신호 결정부가 제공된다. 보정될 신호는, 보정될 신호와 동일할 수 있거나 적어도 보정될 신호에 영향을 미치는 설정 변수를 제공하는 조절기의 입력 신호에 영향을 미친다.
또한 제공된 신호 평가부는 조절기의 입력 변수의 특성 변수, 및/또는 조절기의 설정 변수의 특성 변수, 및/또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 신호의 특성 변수, 및/또는 조절기의 입력 변수의 평균값 및/또는 조절기의 설정 변수의 평균값 및/또는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보정 신호의 평균값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고, 이로부터 얻어진 특성 변수를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과 비교한다. 임계값의 도달 또는 초과 시에 신호 평가부는 보정 신호의 결정을 종료하는 차단 신호를 공급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중요한 장점은 사전 설정된 기준이 제시될 때 보정이 종료되는 가능성이 제공된다는 것이다. 보정을 위해 필요한 시간은 반드시 필요한 정도로 감소된다. 이로써 다른 기능들, 예를 들어 서두에 언급된 탱크 환기 또는 연료 절약 성층 작동에서 엔진의 작동을 위해 더 많은 시간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 및 구성은 청구범위의 종속항을 통해 나타난다.
제1 구성에 따라 특성 변수는 입력 신호, 및/또는 설정 변수, 및/또는 보정 신호, 및/또는 특히 입력 신호의 평균값 및/또는 설정 변수의 평균값 및/또는 보정 신호의 평균값과 동일하다.
선택적 또는 제1 구성에 추가적으로 제공될 수 있는 다른 구성에 따르면, 특성 변수는 입력 신호의 기울기 및/또는 설정 변수의 기울기 및/또는 보정 신호의 기울기 및/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의 기울기 및/또는 설정 변수(fr)의 평균값의 기울기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의 기울기에 상응한다.
바람직한 형태에서, 입력 신호, 및/또는 설정 변수, 및/또는 보정 신호, 및/또는 입력 신호의 평균값 및/또는 설정 변수의 평균값 및/또는 보정 신호의 평균값이 적어도 하나의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하면 비로소 상기 기울기가 평가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소정의 한계 조건이 제시되면 보정 신호의 결정이 비로소 제공된다. 이러한 한계 조건은 예를 들어 엔진의 부하 및/또는 회전수 및/또는 온도이다.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르면, 보정될 신호의 덧셈 보정이 제공된다. 선택적 또는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에서 곱셈의 보정이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보정 신호의 결정이 소정의 임계값을 초과함에 따라 소정의 시간 경과 후에 비로소 종료된다. 이러한 구성으로, 보정의 안정된 결과가 보장된다.
다른 바람직한 구성에서, 입력 신호, 및/또는 설정 변수, 및/또는 보정 신호, 및/또는 입력 신호의 평균값 및/또는 설정 변수의 평균값 및/또는 보정 신호의 평균값이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과 비교되고, 한계값의 도달 또는 초과 시에 에러 보고가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다른 바람직한 구성 및 형태는 다른 청구범위 종속항 및 이하의 서술에 나타난다.
도1은 본 발명의 기술 배경도이다.
도2는 두 개의 상이한 보정 영역의 위치도이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회로도이다.
도4는 시간에 따른 신호 진행도이다.
도1에는 흡기관(11)을 포함하는 엔진(10)이 도시되어 있다. 제어 장치(13)는 센서(14 내지 17)에 의해 공급되는 신호에 따라 연료 분배 신호(ti)를 전송한다.
공기량 센서(14)는 엔진(1)에 의해 흡입되는 공기량(ml)에 대한 신호를 제어 장치(13)에 공급한다. 회전수 센서(15)는 제어 장치(13)에 회전수 신호(n)를 공급한다. 온도 센서(16)는 엔진(1)의 온도(T)를 공급하고, 배기 가스 센서(17)는, 제어 장치(13)에 포함되고 도1에 더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조절기의 입력 신호(US)인, 엔진(10)의 배기 가스관(12) 내의 배기 가스 성분에 대한 센서 신호를 공급한다.
제어 장치(13)는 상기 신호 또는 경우에 따라 엔진(10)의 다른 작동 특성 변수에 대한 다른 신호로부터 다른 설정 변수 이외에도 연료 분배 신호(ti)를 결정 하므로써, 엔진(10)의 소정의 거동 특히 소정의 배기 가스 성분이 형성된다.
도2는 공기량(ml) 및 회전수 신호(n)에 따른 두 개의 보정 영역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 부하-/회전수 영역은 낮은 부하-/회전수 영역에 놓인다. 제1 부하-/회전수 영역(20)에서 덧셈 요소(21)를 통해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진 덧셈 보정이 실행된다. 제2 부하-/회전수 영역(22)은 높은 부하- 및 회전수 영역에 놓인다. 곱셈 요소(23)를 통해 도면 부호로 나타내어진 곱셈 보정이 실행된다.
도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블록 회로도를 나타낸다. 보정될 신호(S)는 파일럿 제어 신호(rk)와 설정 변수(fr)로부터 곱셈부(24)를 통해 얻어진다. 파일럿 제어 신호(rk)는 파일럿 제어 신호 결정부(25)에서 예를 들어 공기량(ml)으로부터 유도될 수 있는 상대적인 공기 충전(rl) 및 회전수 신호(n)로부터 결정된다. 입력 신호(US)로부터 설정 변수(fr)를 얻는 조절기(26)가 설정 변수(fr)를 공급한다.
입력 신호(US)는 조절기(26) 이외에 평균값 형성기(27) 및 신호 평가부(28)에 공급된다. 또한, 곱셈부(24)에 도달하는 설정 변수(fr)는 신호 평가부(28)에 공급된다.
평균값 형성기(27)는 신호 평가부(28) 및 전환기(29)에도 공급되는 적어도 하나의 설정 변수 평균값(frm)을 결정한다. 평균값 형성기(27)는 경우에 따라서 설정 변수 평균값(frm) 이외에 도3에 도시되지 않은 평균값을 결정한다.
전환기(29)는 입력 신호로써 상대적 공기량(rl), 회전수 신호(n), 온도(T) 및 신호 평가부(28)의 출력 신호(A)가 공급되는 스위치 제어부(30)에 의해 제어된다. 전환기(29)는 제1 및 제2 보정 신호 결정부(31, 32)와 연결 가능하고, 중립 위치로 전환 가능한다.
제1 보정 신호 결정부(31)는, 도2에 도시된 덧셈 요소(21), 평균값 형성기(27) 및 신호 평가부(28)에 제1 보정 신호(ora)를 공급한다. 제2 보정 신호 결정부(32)는, 도2에 도시된 곱셈 요소(23), 평균값 형성기(27) 및 신호 평가부(28)에 제2 보정 신호(fra)를 공급한다.
덧셈 요소(21) 및 곱셈 요소(23)를 통해 보정된 신호(S)는 연료 분배 신호(ti)를 공급하는 신호 변환기(33)에 공급된다.
도4는 시간(t)에 따른 신호 곡선을 나타낸다.
도4a는 설정 변수(fr) 및 설정 변수 평균값(frm)을 도시한다. SO는 값 1을 갖는 설정 변수(fr)의 목표값이다. 설정 변수 평균값(frm)의 값 1.05 및 1.02가 도시되어 있다. 설정 변수 평균값의 값 1.02는 제1 임계값(SC1)에 상응한다. 또한, 값 0.98이 할당되는 제2 임계값(SC2)이 도시되어 있다.
도4b는 제2 보정 신호(fra)를 나타낸다. 제2 보정 신호(fra)의 값 1과, 1.03과, 1.05가 강조된다. 값 1.03은 제3 임계값(SC3)에 상응한다. 또한, 제1 및 제2 한계값(SC4, SC5)이 도시되어 있다.
도4c는 시간(t)에 따른 출력 신호(A)를 도시한다. 출력 신호(A)는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값을 가질 수 있다. 설정 변수 평균값(frm)이 제1 임계값(SC1) 및 제2 보정 신호(fra)가 제3 임계값(SC3)에 도달하는 제1 시점(T1)이 개시 시점(TO) 이외에 강조된다. 또한, 제1 시점(T1) 이후에 시간(TD)의 경과에 따라 발생하는 제2 시점(T2)이 강조된다.
도3에 블록 회로도로써 도시된 장치의 기능은 도4에 도시된 신호 곡선에 의해 설명된다.
상기 장치의 목적은, 엔진(10)의 배기 가스관(12)에서 예를 들어 센서 신호 또는 입력 신호(US)를 반영하는 소정의 배기 가스 성분이 발생하도록 신호 변환기(33)에서 연료 분배 신호(ti)를 결정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이론 혼합기(stoichiometric mixture)가 얻어져야 한다. 배기 가스 센서(17)로써 공지된 람다 센서를 기초로 하여 이론 혼합기에서 예를 들어 대략 450㎷의 전압이 발생한다. 또한, 이론 혼합기는 조절기(26)의 설정 변수(fr)에 반영되야 한다. 설정 변수(fr)의 목표값(SO)은 이론적 연료-/공기비에 상응하는 상징적인 수치값 1을 갖는다.
신호 변환기(33)는 이미 독자적으로 설정 변수(fr)로부터 연료 분배 신호(ti)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로써, 조절기(26)가 조작할 수 있는 조절 범위로 조정될 수 있도록, 경우에 따라서 마찬가지로 신호(S)를 얻는데 기여하는 파일럿 제어 신호 결정부(25)가 추가로 제공된다. 파일럿 제어 신호 결정부(25)는 상대적 공기 충전(rl) 및 예를 들어 회전수 신호(n)로부터 예를 들어 유도된 특성 곡선을 기초로 하여 곱셈부(24)에서 설정 변수(fr)와 곱해지는 파일럿 제어 신호(rk)를 결정한다. 상대적 공기 충전(rl)은 엔진(10) 연소실의 최대 공기 충전과 연관되고, 최대 연소실 충전 또는 실린더 충전의 소정의 일부를 나타낸다. 공기 충전은 실질적으로 공기량(ml)으로부터 형성된다. 파일럿 제어 신호(rk)는 광범위하게는 상대적 공기 충전(rl)에 할당된 연료량에 상응한다. 이제 파일럿 제어 신호(rk)의 형성이 간략하게 설명된다.
파일럿 제어 신호(rk)를 통한 상기 신호(S)의 제1 영향에 부가로 신호(S)의 다른 보정이 상기 두 보정 신호(ora, fra)에 의해 제공된다. 두 보정 신호(ora, fra)를 분리하는 것은, 제1 보정 신호(ora)가 예를 들어 덧셈 요소(21)를 통해 신호(S)에 대해 덧셈 방식으로 보정하는데 영향을 미치고, 반면에 제2 보정 신호(fra)는 곱셈 요소(23)를 통해 신호(S)에 대해 곱셈 방식으로 보정하는데 영향을 미치는 장점을 갖는다. 물론 임의의 방법으로 신호(S)에 대해 영향을 미치는 다른 보정 변수가 제공될 수 있다.
도2를 참조로 설명된 것처럼 제1 보정 신호(ora)는 특히 엔진(10)의 낮은 부하 - 및 회전수 영역에서 신호(S)의 보정에 영향을 미치는 반면, 제2 보정 신호 (fra)는 엔진(10)의 높은 부하- 및 회전수 영역에서 영향을 미친다.
보정 신호(ora, fra)의 형성은 바람직하게는 스위치 제어부(30)에 공급되는 작동 조건에 따른다. 이것은 특히 상대적 공기 충전(rl), 회전수 신호(t) 및/또는 엔진(10)의 온도(T)들이다. 상기 작동 변수 이외에 다른 특성 변수가 제공 될 수 있다. 또한, 신호 평가부(28)의 출력 신호(A)는 스위치 제어부(30)에 공급되고, 출력 신호(A)는 기본적으로 보정 신호 결정부(31, 32)의 "활성화" 또는 "비활성화" 상태를 결정한다. 이러한 보정 신호 결정은 도4를 참조로 설명된다.
보정 신호 결정부(31, 32)는 예를 들어 입력 신호(US)로부터 보정 신호(ora, fra)를 직접 결정할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설정 변수(fr)가 사용된다. 여기에서 더 자세히 서술되지 않는 규정들에 따라, 도4a에 도시된 것처럼, 변동하는 설정 변수(fr)는 설정 변수 평균값(frm) 주위에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정 신호 결정부(31, 32)가 평균값 특히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설정 변수 평균값(frm)으로부터 보정 신호(ora, fra)를 결정한다. 도3에는 평균값 형성기(27)의 출력부에서의 설정 변수 평균값(frm)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또한, 이러한 선택은 도4a를 기초로 하고 있다.
출력 신호(A)가 "활성화"라는 가정 하에, 설정 변수 평균값(frm)이 제2 보정 신호 결정부(32)에 공급되는 방식으로, 작동 조건을 참조하여 스위치 제어부가 전환기(29)를 전환한다. 도4c에 따른 개시 시점(TO)에서 설정 변수 평균값(frm)은 예를 들어 1.05의 수치값에 놓인다. 그러나 설정 변수 평균값은 적어도 근사적으로 수치값 1에 상응하는 목표값(SO)에 놓여야 한다. 제1 보정 신호(fra)는 개시 시점에서 어떠한 보정도 제시되지 않도록 개시 시점(TO)에서 수치값 1을 갖는다. 제1 보정 신호(fra)가 시간(t)의 증가에 따라 변경되어 설정 변수 평균값(frm)이 수치값 1의 방향으로 움직인다. 설정 변수 평균값(frm)은 제1 시점(T1)에서 수치값 1.02에 상응하는 제1 임계값(SC1)이다. 제2 보정 신호(fra)의 수치값은 동일한 제1 시점(SC1)에서 1.03을 갖는다. 제1 임계값(SC1)의 도달은 신호 평가부(28)에 의해 결정된다.
먼저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및/또는 바람직하게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및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이 신호 평가부(28)에 공급된다. 도3에는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형성이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으므로, 설정 변수 평균값(frm)에 대한 추가의 설명이 예시적으로 설명된다. 신호 평가부(28)는 설정 변수 평균값(frm)과 제1 및 제2 임계값(SC1, SC2)이 비교되는 것을 인식한다. 설정 변수 평균값(frm)을 통한 제1 임계값(SC1)의 도달 또는 초과를 확인한 후에 제2 보정 신호(fra)의 다른 형성이 종료된다. 그러나 설정 변수(fr) 또는 설정 변수 평균값(frm)의 다른 전개가 고려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보정 신호 결정이 소정의 시간(TD)에 대한 제1 시점(T1)으로부터 제2 시점(T2)까지 계속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2 시점(T2)에서 설정 변수 평균값(frm)이 (우연히) 정확히 수치값 1에 상응하는 목표값(S0)에 도달한다. 동시에 시간(TD) 동안 제2 보정 신호(fra)는 수치값 1.03으로부터 수치값 1.05로 증가한다. 따라서, 도시된 실시예에서 보정은 성공적이었다.
유사한 방법으로 상응하는 작동 조건의 존재 시에, 제1 보정 신호(ora)의 결정은 제1 보정 신호 결정부(31)에서 스위치 제어부(30)를 통한 전환기(29)의 상응하는 작동을 통해 이루어진다.
신호 평가부(28)는 임계값(SC1, SC2) 이외에 다른 신호를 상응하는 다른 임계값과 비교할 수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신호 평가부(28)는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또는 입력 신호(US) 또는 설정 변수(fr)의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을 직접 평가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신호 평가부(28)는 얻어진 보정 신호(ora, fra) 자체 및/또는 이 보정 신호의 평균값을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도3에서 두 개의 보정 신호(ora, fra)는 신호 평가부(28)와 직접 연결되고 평균값 형성기(27)를 통해 신호 평가부(28)와 간접 연결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보정 변수가 일체 과정으로부터 유추될 수 있고, 따라서 평균값을 형성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보정 변수(ora, fra)가 신호 평가부(28)에 직접 공급된다. 보정 신호(ora, fra)를 비교하기 위해 신호 평가부(28)는 제3 임계값(SC3)을 갖는다. 물론 다른 임계값이 음의 신호 값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다른 임계값이 상이한 보정 신호(ora, fra)를 위해 별도로 제공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신호 평가부가 전체 평가 가능한 신호를 추가적으로 사전 설정된 한계값과 비교한다. 도4b에 따른 도시된 실시예에서, 두 개의 보정 변수(fra)와 예시적으로 비교되는 두 개의 제1 및 제2 한계값(SC4, SC5)이 도시되어 있다. 한계값(SC4, SC5)의 도달 또는 초과 시에 신호 평가부(28)는 "비활성화"로 전환된 전환 신호(A) 이외에 추가적으로 차량에 장착된 다른 신호 평가부를 위해 고려될 수 있는 에러 메시지를 보낸다.
개별적 신호의 처리 특히, 입력 신호(US), 설정 변수(fr), 평균값, 제1 및 제2 보정 신호(ora, fra)의 처리가 지금까지 서술되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특히 신호 평가부(28)에서 개별적 특성 곡선의 기울기가 고려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평가될 신호의 기울기를 위해 그에 상응하는 임계값 및 한계값이 제공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호 평가부(28)는 입력 신호(US)의 특성 변수 및/또는 설정 변수(fr)의 특성 변수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특성 변수 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및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의 특성 변수를 평가 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 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및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이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에 도달하거나 또는 임계값을 초과하는 경우, 기울기가 특성 변수로써 고려된다. 상기의 조치로 소정의 시간(TD)에 대해 보충적 또는 선택적으로 가능한 극히 짧은 시간에 적응이 성공적으로 종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조치로 에러 메시지를 유발하는 한계값 초과와 관련된 다른 진단이 가능하다.
보정 신호(ora, fra)의 결정이 종료된 후에 보정 신호(ora, fra)는 새로워진 보정 과정이 시작될 때까지 결국 결정된 값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장치에서 서술된 기능 및 진행은 부분적 또는 전체적으로 소프트웨어로써 구현될 수 있다.

Claims (10)

  1. 조절기(26)가 입력 신호(US)로부터 결정하는 설정 변수(fr)에 의해 조절되는 신호(S)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이며,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및/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및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보정 신호(ora, fra)를 결정하는 보정 신호 결정부(31, 32)와,
    보정 신호(ora, fra)를 신호(S)와 연결하는 덧셈 요소(21) 및/또는 곱셈 요소(23)를 포함하는 신호 보정 장치에 있어서,
    신호 평가부(28)가 제공되며, 상기 신호 평가부(28)는,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 및/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및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의 특성 변수를 결정하고,
    입력 신호(US), 및/또는 설정 변수(fr),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 및/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및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의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SC1, SC2, SC3)과 상기 특성 변수를 비교하고,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SC1, SC2, SC3)의 도달 또는 초과 시에 보정 신호(ora, fra)의 결정을 종료하기 위한 출력 신호(A)를 공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특성 변수는 입력 신호(US) 또는 설정 변수(fr) 또는 보정 신호(ora, fra) 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또는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특성 변수는 입력 신호(US)의 기울기, 또는 설정 변수(fr)의 기울기, 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기울기, 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의 기울기, 또는 설정 변수(fr)의 평균값의 기울기, 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의 기울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US), 또는 설정 변수(fr), 또는 보정 신호(ora, fra), 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또는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이 적어도 하나의 임계값(SC1, SC2, SC3)에 도달하거나 또는 초과하는 경우에만 기울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보정 신호(ora, fra)의 결정은 소정의 한계 조건의 존재 시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계 조건은 엔진(10)의 상대적 공기 충전(rl) 및/또는 회전수(n) 및/또는 온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덧셈 요소(21)를 통해 신호(S)와 연결되는 제1 보정 신호(ora)가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곱셈 요소(23)를 통해 신호(S)와 연결되는 제2 보정 신호(fra)의 결정이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소정의 시간(TD)에 대한 보정 신호(ora, fra)의 결정은 임계값(SC1, SC2, SC3)의 도달 또는 초과 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입력 신호(US)의 특성 변수, 및/또는 설정 변수(fr)의 특성 변수, 및/또는 보정 신호(ora, fra)의 특성 변수, 및/또는 입력 신호(US)의 평균값, 설정 변수(fr)의 평균값 및 보정 신호(ora, fra)의 평균값 중 적어도 하나의 평균값의 특성 변수가 적어도 하나의 한계값(SC4, SC5)과 비교되고, 상기 한계값(SC4, SC5)의 도달 또는 초과 시에 에러 메시지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보정 장치.
KR1020037008553A 2001-10-25 2002-09-19 신호 보정 장치 KR1009779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152148 2001-10-25
DE10152148.0 2001-10-25
DE10241557.9 2002-09-07
DE10241557A DE10241557A1 (de) 2001-10-25 2002-09-07 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Signals
PCT/DE2002/003516 WO2003038532A1 (de) 2001-10-25 2002-09-19 Vorrichtung zur korrektur eines signal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44178A KR20040044178A (ko) 2004-05-27
KR100977904B1 true KR100977904B1 (ko) 2010-08-24

Family

ID=77033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7008553A KR100977904B1 (ko) 2001-10-25 2002-09-19 신호 보정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977904B1 (ko)
DE (1) DE10241557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190A (en) 1990-03-17 1992-02-04 Robert Bosch Gmbh Error-corrected automatic control system
US5315976A (en) 1990-03-17 1994-05-31 Robert Bosch Gmbh Error-corrected closed-loop control system
US5524600A (en) 1993-06-15 1996-06-11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tank-venting apparatus
US5873350A (en) 1996-03-15 1999-02-23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adapting the delay time of an electromagnetic tank-venting valv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85190A (en) 1990-03-17 1992-02-04 Robert Bosch Gmbh Error-corrected automatic control system
US5315976A (en) 1990-03-17 1994-05-31 Robert Bosch Gmbh Error-corrected closed-loop control system
US5524600A (en) 1993-06-15 1996-06-11 Robert Bosch Gmbh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trolling a tank-venting apparatus
US5873350A (en) 1996-03-15 1999-02-23 Robert Bosch Gmbh Method for adapting the delay time of an electromagnetic tank-venting valv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41557A1 (de) 2003-05-08
KR20040044178A (ko) 200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54454B1 (ko) 람다 폐루프 제어의 적응 방법 및 그 장치
KR101530409B1 (ko) 내연 기관의 정적 최대 토크의 매칭 방법
JP4241943B2 (ja) 直接噴射装置を備えた、例えば自動車の内燃機関を駆動する装置
KR20000068967A (ko) 내연기관용 점화 장치의 점화각 결정 방법
CN107002573B (zh) 用于内燃机的控制器
KR102251493B1 (ko)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US6513496B2 (en) Fuel injection controller of engine
JP2836270B2 (ja) 燃料噴射系の異常診断装置
US10914264B2 (en) Air-fuel ratio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100977904B1 (ko) 신호 보정 장치
US6332452B1 (en) Method for torque monitoring in the case of Otto engines in motor vehicles
JP2016118111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4369621B2 (ja) 内燃機関の運転及び監視方法並びに装置
JP2003214248A (ja) 車両のバッテリ劣化判定装置
KR20040016976A (ko) 엔진의 개별 실린더 분사량 보상 방법
KR101222176B1 (ko) 가스 엔진 제어 장치
KR20020072567A (ko) 엔진 작동 방법
EP1554491A1 (en) Electronic control unit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gnition timing of an internal-combustion engine
US7117829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the drive unit of a vehicle
KR100730665B1 (ko) 엔진 제어 방법
JP2006097698A (ja) エンジンの診断装置
US20180119633A1 (en) Feedback Control Method For A Fuel Delivery System
JP2005524126A (ja) 信号補正装置
JPH02291448A (ja) エンジンの吸入空気量制御装置
JPH11190246A (ja) 燃料噴射制御装置および燃料噴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07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9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