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1493B1 -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1493B1
KR102251493B1 KR1020150068141A KR20150068141A KR102251493B1 KR 102251493 B1 KR102251493 B1 KR 102251493B1 KR 1020150068141 A KR1020150068141 A KR 1020150068141A KR 20150068141 A KR20150068141 A KR 20150068141A KR 102251493 B1 KR102251493 B1 KR 102251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bda
composition
air
torqu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1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2027A (ko
Inventor
슈테판 고틀립
Original Assignee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로베르트 보쉬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50132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2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1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1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97With detection of the mechanical response of the engi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04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6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 F02D41/068Introducing corrections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for engine starting or warming up for warming-u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02D41/145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with determination means using an estim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86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with correction for particular operating conditions
    • F02D41/1488Inhibiting the reg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30Controlling fuel injection
    • F02D41/38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 F02D41/40Controlling fuel injection of the high pressure type with means for controlling injection timing or duration
    • F02D41/402Multiple injections
    • F02D41/403Multiple injections with pilot injec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2200/00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 F02D2200/02Input parameters for engine control the parameters being related to the engine
    • F02D2200/10Parameters related to the engine output, e.g. engine torque or engine speed
    • F02D2200/1002Output torque
    • F02D2200/1004Estimation of the output torqu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35/00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D35/02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 F02D35/023Controlling engines, dependent on conditions exterior or interior to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n interior conditions by determining the cylinder press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이 방법에서는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채널 내에 있는 제1 람다 센서에 의해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결정되며, 제1 람다 센서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사전 설정된다.
본 발명에서는, 내연 기관의 측정된 토크와,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토크가 결정되고, 이 측정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 간에 편차가 있는 경우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보정하는 방식을 제안한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 및 관련 장치는, 제1 람다 센서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공기/연료 혼합물의 개선된 파일럿 제어를 가능케 하며, 이로써 유해 물질의 방출이 감소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CONTROLLING AN AIR-FUEL-MIXTURE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본 발명은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이 방법에서는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채널 내에 있는 제1 람다 센서에 의해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결정되며, 제1 람다 센서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는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사전 설정된다.
본 발명은 또한,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제어하기 위한 장치와도 관련되며, 이 장치에서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기 위해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채널 내에 제1 람다 센서가 제공되고, 제1 람다 센서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설정하기 위해 엔진 제어부에서 파일럿 제어가 제공된다.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시스템에서는, 유해 물질 배출 및 배기 가스 후처리를 최적화하기 위해 람다 센서가 사용된다. 람다 센서는 배기 가스의 산소 함량을 결정하며, 이 람다 센서는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 및 촉매 변환기 상류에서의 배기 가스 람다를 폐회로 제어하는 데 사용된다. 이때, 람다 폐회로 제어 회로를 통해,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채널 내에 제공된 촉매 변환기에 의한 배기 가스 후처리를 위해 최적인 배기 가스 조성이 얻어지도록, 내연 기관으로의 공기 공급 및 연료 공급이 폐회로 제어된다.
오토 엔진(otto engine)에서는 일반적으로 람다 1로, 다시 말해 이론 공연비로 폐회로 제어된다. 따라서, 내연 기관의 유해 물질 배출이 최소화될 수 있다. 더 나아가, 배기 가스 흐름으로 볼 때 촉매 변환기 하류에 배치된 람다 센서는 촉매 변환기의 정해진 기능을 진단하기 위해 사용된다.
다양한 형태의 람다 센서들이 사용되고 있다. 불연속 레벨 센서(discrete level sensor) 또는 네른스트 센서라고도 불리는 2점 람다 센서의 경우, 전압/람다 특성 곡선이 람다 = 1에서 점프 형태의 거동을 갖는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특성 곡선은 실질적으로 내연 기관이 연료 과잉 상태로 작동할 때의 농후 배기 가스(λ < 1)와 내연 기관이 공기 과잉 상태로 작동할 때의 희박 배기 가스(λ > 1) 간의 구별을 가능케 하고, 배기 가스를 람다 1로 폐회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연속 람다 센서 또는 선형 람다 센서라고도 불리는 광대역 람다 센서는, 람다 = 1 근방의 넓은 범위 내에서 배기 가스 내 람다값의 측정을 가능케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내연 기관은 공기 과잉 상태인 희박 연소 모드로도 폐회로 제어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냉간 시동 후, 람다 센서가 처음에는 아직 자신의 작동 온도를 갖지 않으며, 아직은 배기 가스의 람다값을 결정하고 람다를 폐회로 제어하는 데 사용될 수 없다. 작동 시작 시 람다 센서가 습기로 젖어 있다면, 이 람다 센서를 전출력(full power)으로 가열하는 과정은 습기가 증발된 후에야 비로소 시작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와 같은 작동 단계에서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파일럿 제어된다. 조성이 원하는 람다값 1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때 이미 작동 준비가 된 [활성 온도(light-off-temperature)에 도달된] 촉매 변환기가 최적으로 변환을 수행할 수 없고, 바람직하지 않은 배기 가스 성분의 배출량이 원래 가능했던 것보다 더 높을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작동 단계에서 배기 가스의 람다값을 가급적 람다 = 1에 근접할 정도로 보정하는 것이 목적이다.
DE 10307004 B3호에는, 람다 폐회로 제어를 이용하여 내연 기관을 제어하는 방법을 공개되어 있으며, 이 방법은 다음과 같은 처리 단계들을 포함한다:
- 내연 기관의 시동 후, 사전 설정된 활성화 조건들의 존재 여부를 체크하는 단계,
- 활성화 조건들이 존재하는 경우, 내연 기관의 온도를 측정하고, 특성 곡선을 통해 상기 측정된 온도에 따라 연료 혼합물을 결정하기 위한 적응값을 결정하는 단계,
- 람다 폐회로 제어의 진행 중에, 사전 설정된 적응 조건들이 존재하는 지 체크하는 단계,
- 적응 조건들이 존재하는 경우, 람다 폐회로 제어기의 폐회로 제어 파라미터들로부터 적응값을 결정하고, 새로 결정된 적응값 및 내연 기관의 측정된 온도에 따라 특성 곡선을 조정하는 단계, 및
- 적응 조건들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특성 곡선의 조정을 중지하는 단계.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은, 내연 기관의 온도에 기초한 혼합물 파일럿 제어의 보정 및 그와 더불어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배출 저감을 가능케 한다.
DE 102007060224 A1호는, 하나 이상의 연소실을 갖춘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제1 연료 및 하나 이상의 제2 연료로 이루어진 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는 방법을 기술하고 있으며, 상기 방법에서는 다양한 조성의 연료 혼합물이 이론공연비 연소 시 상이한 에너지 상당량(energy equivalent)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라, 연소실 내 공기 유량을 알고 있을 때 내연 기관의 토크 레벨을 토대로 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는 방식이 제안된다. 예상되는 토크에 대한 내연 기관 토크의 편차를 평가하여 람다를 조절하기 위한 파일럿 제어는 본 문헌에 공개되어 있지 않다.
전술한 선행 기술에 따른 방법 및 장치에 의해서는, 내연 기관의 작동 단계 동안에 작동 준비가 되지 않은 람다 센서를 이용해서, 내연 기관에 공급된 람다 = 1의 값을 갖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파일럿 제어를 충분히 수행하기가 어렵다.
본 발명의 과제는, 람다 센서의 작동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더욱 정확한 파일럿 제어를 가능케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방법과 관련된 본 발명의 과제는, 내연 기관의 측정된 토크 및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내연 기관의 토크가 결정되고, 측정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 간에 편차가 있는 경우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파일럿 제어에서 보정됨으로써 해결된다. 내연 기관으로부터 송출되는 토크는, 공지된 크기에서 무엇보다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람다값에 따라 좌우된다. 그렇기 때문에,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토크와 측정된 토크를 비교함으로써, 람다 센서가 아직까지 작동 준비를 갖추지 않은 경우에도 람다값에서의 편차가 결정될 수 있고, 후속적으로 보정도 될 수 있다.
람다 센서의 작동 준비 상태는 람다 센서의 작동 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에 좌우된다. 저온의 람다 센서가 습한 상태에서는 람다 센서가 바로 전출력으로 가열될 수 없는데, 그 이유는 그렇지 않으면 세라믹 부품이 파손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이와 동일한 이유에서, 배기 가스 채널 내에서 람다 센서와 만날 수도 있는 습기가 이송되는 동안에는, 람다 센서가 작동 온도로 가열될 수 없다. 일반적으로, 이와 같은 경우에는 우선, 람다 센서를 손상시키지 않기 위하여, 감소된 출력으로 보호 가열이 실시된다. 엔진 제어부에 융해점 종료 신호가 공급되어야 비로소 완전한 가열 출력이 허용된다. 특히 냉간 시동이 반복되는 경우, 람다 센서는 너무 늦게 작동 온도에 도달할 수 있다. 이 경우, 내연 기관의 배기 가스 채널 내에 배치된 촉매 변환기가 훨씬 더 빨리 작동 온도[활성 온도(light-off-temperature)]에 도달할 가능성이 있고,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이 정확하게 람다 = 1인 경우 배기 가스 내 유해 물질을 효과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 이는 실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의 비교로부터 도출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보정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특히 냉간 시동이 반복되는 경우에는, 람다값 1의 정확한 설정이 선행 기술보다 훨씬 더 빠르게 이루어진다.
내연 기관으로부터 송출되는 토크는, 연소실 압력 센서에 의해 결정될 수 있는 연소실 압력으로부터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송출되는 토크는 회전수 신호를 토대로 결정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실시예에서는, 측정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 간의 편차를 토대로, 역 람다 효율로부터의 람다 편차를 결정하고, 이 람다 편차를 이용하여 파일럿 제어에서 조성을 보정하는 것을 제안한다.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은,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람다값과 효율 간의 포물선 모양의 관계이며, 이 특성 곡선은 개별 오토 엔진의 교정(calibration)에 속한다.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해 공급되는 공기 유량 및 람다값으로부터, 내연 기관에 실제로 공급되는 연료 유량이 산출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파일럿 제어에서 사전 설정된 연료 유량과의 비교를 통해, 보정 요구가 검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보정은, 전체 내연 기관에 걸친 토크 비교를 위한 평균값들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 방법의 일 개선예에서는, 측정된 토크의 결정 및 파일럿 제어의 보정을, 일 실린더의 각각의 연소 행정을 위해 또는 연소 행정들의 사전 설정 가능한 선택을 위해 수행하는 것이 제안된다. 실린더별로 관찰해보면, 연료 유량이 개별 실린더에 할당됨으로써, 동적 작동 상태들에서도 파일럿 제어의 유효한 보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토크들의 편차를 한계값과 비교하고, 이 한계값을 초과하는 경우에 비로소 보정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일 변형예에서는, 목표 조성에 도달하기까지 파일럿 제어의 보정을 복수의 단계로 수행하는 것이 제안된다. 하나의 단계에서 포물선 모양의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을 토대로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의 보정이 결정될 수 있다 하더라도, 보정을 단지 일부분만 수행하고 이러한 부분 보정이 토크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렇게 하면 추가 보정 단계들에서 조성이 점점 더 양호하게 람다 = 1에 근접하게 된다.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의 포물선 모양의 거동에 의해, 실제 효율의 관찰이 2가지의 가능한 실제 람다값을 산출한다. 그렇기 때문에, 혼합물의 농후화 또는 희박화를 위한 보정을 수행해야 할 수 있다. 내연 기관의 시동 시에는 통상 농후 혼합물이 파일럿 제어된다. 그렇기 때문에, 파일럿 제어의 보정이 공기/연료 혼합물 조성의 희박화로써 시작되는 경우, 그리고 측정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 간의 편차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농후화에 의해 파일럿 제어가 보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모델링된 토크와 측정된 토크 간의 편차가 제1 보정 단계 후에 감소한다면, 보정은 올바른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것이고, 계속해서 이 방향으로 보정될 수 있다. 편차가 증가한다면, 이는 희박화가 잘못된 방향으로의 보정이고 반대 방향으로 보정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 경우, 추가 보정은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단계적으로 계속 농후화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장치와 관련된 본 발명의 과제는, 엔진 제어부에 내연 기관의 측정된 토크 및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토크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시퀀스 또는 회로가 제공되고, 측정된 토크와 모델링된 토크 간에 편차가 있는 경우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 조성의 보정이 실시됨으로써 해결된다. 이때, 내연 기관의 토크는 연소실 압력 센서에 의해 측정된 연소실 압력을 토대로 결정될 수 있다. 한 변형예에서는, 내연 기관의 회전에 대한 회전수 거동을 통해서도 토크가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정된 토크는 엔진 제어부에서, 이곳에서 모델링된 토크와 비교되고, 람다 효율이 검출된다. 그런 다음 엔진 제어부에 저장된 포물선 모양의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을 토대로, 내연 기관에 공급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람다값이 결정될 수 있으며, 후속하여 상기 파일럿 제어 단계에서 람다 = 1의 람다값이 얻어지도록,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이 보정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도면들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위한 함수 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함수로서 효율의 그래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기술적 환경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외부 점화식 오토 엔진으로서 구현되어 있는 내연 기관(10)은 공기 공급관(11)을 통해 연소 공기를 공급받는다. 이때, 연소 공기의 공기 유량은 공기 공급관(11) 내 공기 유량계(12)를 이용해서 검출될 수 있다. 공급된 공기 유량은, 파일럿 제어될 람다값에서 계량 공급될 연료량의 결정, 또는 배기 가스량, 체적 흐름 또는 배기 가스 속도와 같은 배기 가스 파라미터의 결정에 이용된다. 내연 기관(10)의 배기 가스는 배기 가스 채널(17)을 통해 배출되며, 이 배기 가스 채널 내에는 촉매 변환기(18)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배기 가스 채널(17) 내에서 제1 람다 센서(16)가 촉매 변환기(18) 상류에 배치되고, 제2 람다 센서(19)가 촉매 변환기(18) 하류에 배치되며, 이들 람다 센서의 신호들이 엔진 제어부(15)에 공급된다. 또한, 엔진 제어부(15)에는 공기 유량계(12)의 신호가 공급된다. 이와 같이 검출된 공기 유량을 토대로 하여, 엔진 제어부(15)에서 내연 기관(10)의 연료 계량 공급부(13)를 통해 공급될 연료 유량이 결정된다. 또한, 엔진 제어부(15)에는 연소실 압력 센서(14)의 출력 신호가 공급되며, 이 출력 신호를 토대로 내연 기관으로부터 송출되는 토크가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 엔진 제어부(15)에서는 제1 람다 센서(16)의 작동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에서, 공연비가 람다 = 1인 경우에 내연 기관(10)의 현재 작동점을 토대로 하여 토크가 모델링되고, 이 토크는 연소실 압력을 토대로 결정된 토크와 비교된다. 비교 결과, 람다 = 1과의 람다값 편차가 발생하면, 주어진 공기 유량에서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이 보정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의 진행을 위한 시퀀스 다이어그램(20)을 보여준다. 시작(21) 단계에서 출발해서, 먼저 제1 람다 센서(16)가 자신의 작동 온도에 도달했는지의 여부 그리고 이로써 작동 준비가 되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에서 작동 준비성(22)이 검출된다. 작동 준비가 되어 있는 경우, 람다 폐회로 제어부(23)로 분기되고, 내연 기관(10)의 정상적인 람다 폐회로 제어가 실시된다. 아직 작동 준비가 되지 않은 경우라도, 촉매 변환기(18)가 이미 작동 준비가 되어 있다면, 상기 촉매 변환기가 배기 가스 내 바람직하지 않은 성분들의 양호한 변환을 시작할 수 있도록, 람다값을 정확하게 설정하려는 노력이 강구될 수 있다. 따라서 토크 측정(24)으로 분기된다. 토크 측정 단계(24)에서는, 연소실 압력을 토대로, 또는 회전수 신호의 평가를 통해, 현재 내연 기관(10)으로부터 송출되는 토크가 결정된다. 그 다음에 이어지는 토크 모델링 단계(25)에서는, 공연비가 람다 = 1일 때 내연 기관(10)의 현재 작동점에 기반한 토크 비교 값이 모델링된다. 편차 판정 단계(26)에서는, 토크 측정 단계(24)에서 결정된 값과 토크 모델링 단계(25)에서 결정된 값이 비교된다. 편차가 사전 설정된 한계값에 못 미치면, 시작(21) 단계로 분기된다. 편차가 사전 설정된 한계값보다 크면, 람다 편차 검출 단계(27)에서, 모델링된 토크 및 측정된 토크를 토대로 결정된 효율 비로부터,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을 위한 보정 인자가 결정된다. 그에 이어서, 연료량 조정 단계(28)에서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이 확정된다. 이 단계로부터 시작 단계(21) 이후 위치로 분기된다.
도 3에는, 본 발명에 따른 조치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의 함수 관계가 함수 다이어그램(30)에 도시되어 있다. 측정된 토크(31) 및 모델링된 토크(32)로부터, 제1 나눗셈(33)에서 실제 람다 효율이 결정되고, 이 실제 람다 효율로부터, 역 람다 효율을 내포하는 효율 특성 곡선(34)에서 람다값이 결정된다. 이 람다값은 공기 유량(35)과 함께 제2 나눗셈(36)에 공급되고, 이 제2 나눗셈에서는 현재 내연 기관(10)에 공급되는 연료 유량이 결정된다. 현재 공급되는 연료 유량 및 사전 설정된 연료 유량(38)이 제3 나눗셈(37)에 공급되고, 이 제3 나눗셈에서 계량 공급될 연료 유량을 위한 보정 인자(39)가 결정된다.
도 4에는, 효율 축(41) 및 람다 축(49)을 따라 효율 곡선(45)이 도시되어 있는 효율 그래프(40)가 도시되어 있으며, 이 효율 곡선은 관찰된 내연 기관(10)의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이다. 이러한 역 람다 효율 특성 곡선은 개별 오토 엔진의 기본 교정(basic calibration)에 속한다. 측정된 토크(31) 및 모델링된 토크(32)를 토대로 효율 값(42)이 결정되면, 효율 곡선(45)의 포물선 모양의 거동으로 인해, 현재의 람다값으로서 고려되는 제1 람다값(44) 및 제2 람다값(48)이 주어진다. 이하에서 기술되는 방법 변형예에서는, 혼합물 조성의 보정이 하나의 단계에서 수행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부분 단계들에서 수행된다. 시동 농후화에 의해 내연 기관(10)이 농후 람다 범위 내에 있다고 추정되면, 제1 조정 경로(43)를 따라서 더 희박한 혼합물로의 단계적 조정이 수행되며, 이 조정 과정은 그 다음 단계에서 체크 되고, 필요한 경우 속행된다. 이때, 혼합물이 이미 희박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면, 제2 조정 경로(47)를 따라서 혼합물이 단계적으로 농후화된다.

Claims (6)

  1. 내연 기관(10)의 배기 가스 채널(17) 내에 있는 제1 람다 센서(16)를 이용하여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고, 제1 람다 센서(16)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사전 설정하는, 내연 기관(10)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제어하는 방법에 있어서,
    내연 기관(10)의 측정된 토크(31)와,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토크(32)를 결정하고, 상기 측정된 토크(31)와 모델링된 토크(32) 간에 편차가 있는 경우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보정하고,
    측정된 토크(31)와 모델링된 토크(32) 간의 편차를 토대로, 역 람다 효율로부터의 람다 편차를 결정하며, 상기 람다 편차를 이용하여 파일럿 제어에서 조성을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 제어 방법.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측정된 토크(31)의 결정 및 파일럿 제어의 보정은, 일 실린더의 각각의 연소 행정을 위해 또는 연소 행정들의 사전 설정 가능한 선택을 위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 제어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파일럿 제어의 보정은, 목표 조성에 도달하기까지 복수의 단계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 제어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파일럿 제어의 보정은 공기/연료 혼합물 조성의 희박화로써 시작되며, 측정된 토크(31)와 모델링된 토크(32) 간의 편차가 증가하면 농후화를 통해 파일럿 제어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 제어 방법.
  6.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결정하기 위해 내연 기관(10)의 배기 가스 채널(17) 내에 제1 람다 센서(16)가 제공되며, 제1 람다 센서(16)의 작동이 준비되지 않은 경우에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설정하기 위해 엔진 제어부(15)에서 파일럿 제어가 제공되는, 내연 기관(10)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을 제어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엔진 제어부(15) 내에 내연 기관(10)의 측정된 토크(31)와, 람다값 1을 위해 모델링된 토크(32)를 결정하기 위한 프로그램 시퀀스 또는 회로가 제공되며, 상기 측정된 토크(31)와 모델링된 토크(32) 간에 편차가 있을 경우 파일럿 제어에서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의 보정이 실시되고,
    측정된 토크(31)와 모델링된 토크(32) 간의 편차를 토대로, 역 람다 효율로부터의 람다 편차가 결정되며, 상기 람다 편차를 이용하여 파일럿 제어에서 조성이 보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연료 혼합물의 조성 제어 장치.
KR1020150068141A 2014-05-15 2015-05-15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251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4209174.8A DE102014209174A1 (de) 2014-05-15 2014-05-15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Steuerung eines Luft-Kraftstoff-Gemischs zum Betrieb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4209174.8 2014-05-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2027A KR20150132027A (ko) 2015-11-25
KR102251493B1 true KR102251493B1 (ko) 2021-05-14

Family

ID=543616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141A KR102251493B1 (ko) 2014-05-15 2015-05-15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2251493B1 (ko)
CN (1) CN105298668B (ko)
DE (1) DE1020142091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5200898B3 (de) 2015-01-21 2015-11-05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orsteuerung eines Verbrennungsmotors
FR3064027B1 (fr) * 2017-03-14 2019-03-22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rocede d’estimation du couple d’un moteur a combustion interne en fonctionnement
DE102017005783B4 (de) * 2017-06-20 2021-12-02 Mtu Friedrichshafen Gmbh Verfahren zur modellbasierten Steuerung und Regelung einer Brennkraftmaschine
DE102018217139B4 (de) * 2018-10-08 2020-06-18 Audi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Konfigurieren einer Kennfunktion eines Steuergeräts eines Kraftfahrzeug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0224A1 (de) * 2007-12-14 2009-06-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Zusammensetzung eines Kraftstoffgemisch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46033A (en) * 1980-09-05 1982-03-16 Toyota Motor Corp Method of injecting fuel under electronic control
JPS60195350A (ja) * 1984-03-17 1985-10-03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燃料供給制御装置
JPS61104138A (ja) * 1984-10-27 1986-05-22 Mazda Motor Corp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45443A (ja) * 1990-04-19 1992-01-09 Isuzu Motors Ltd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US5685283A (en) * 1994-07-01 1997-11-11 Mazda Motor Corporatio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engine
JPH09177574A (ja) * 1995-12-21 1997-07-08 Unisia Jecs Corp 筒内直接噴射式ガソリンエンジンの制御装置
JP3620151B2 (ja) * 1996-06-19 2005-02-16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6161530A (en) * 1997-07-04 2000-12-19 Nissan Motor Co., Ltd.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299786B2 (en) * 2004-02-05 2007-11-27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control system
DE10307004B3 (de) 2003-02-19 2004-08-05 Siemens Ag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rennkraftmaschine mit einer Lambda-Regelung
JP3853747B2 (ja) * 2003-03-17 2006-12-06 川崎重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方法及び装置
JP4251073B2 (ja) * 2003-12-25 2009-04-08 株式会社デンソー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7117862B2 (en) * 2004-05-06 2006-10-10 Dresser, Inc. Adaptive engine control
JP4305358B2 (ja) * 2004-10-07 2009-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2008138522A (ja) * 2006-11-30 2008-06-19 Hitachi Ltd エンジンの始動時の触媒の早期昇温方法、及びその方法を備えた燃料制御装置
JP4221025B2 (ja) * 2006-12-25 2009-02-12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DE102006061682B4 (de) * 2006-12-28 2022-01-27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Vorsteuerung einer Lambdaregelung
JP4442623B2 (ja) * 2007-03-14 2010-03-3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の制御装置
DE102007043440B3 (de) * 2007-09-12 2009-04-02 Continental Automotive Gmbh Verfahren zum Ermitteln einer in einem Zylinder einer Brennkraftmaschine eingefangenen Luftmasse
JP2009167871A (ja) * 2008-01-15 2009-07-30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5158977B2 (ja) * 2009-07-28 2013-03-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空燃比推測検知装置
US8335604B2 (en) * 2010-03-12 2012-12-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Control system and method for oxygen sensor heater control in a hybrid engine system
DE102011003681A1 (de) * 2011-02-07 2012-08-09 Man Diesel & Turbo S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Anpassung des Betriebszustands eines Verbrennungsmotors
JP2013204553A (ja) * 2012-03-29 2013-10-07 Toyota Motor Corp 内燃機関の統合制御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60224A1 (de) * 2007-12-14 2009-06-18 Robert Bosch Gmbh Verfahren zur Bestimmung der Zusammensetzung eines Kraftstoffgemisch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14209174A1 (de) 2015-11-19
CN105298668A (zh) 2016-02-03
KR20150132027A (ko) 2015-11-25
CN105298668B (zh) 2020-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22895B1 (ko) 2점 람다 센서의 특성 보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US8380422B2 (en) Contro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9291112B2 (en) Method and control unit for detecting a voltage offset of a voltage-lambda characteristic curve
KR101230556B1 (ko) 공연비 조절에 사용되는 수정값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및장치
KR102251493B1 (ko) 내연 기관을 작동시키기 위한 공기/연료 혼합물을 제어하는 방법 및 장치
JP2007120392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KR102234973B1 (ko) 내연기관의 운전방법
US9037383B2 (en) Fuel injection amount control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7584642B2 (en) Procedure to calibrate a signal supplied by a lambda sensor and device to implement the procedure
RU2016123339A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и система для регулировки крутящего момента
JP2007100575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9982620B2 (en) Method for the correction of a fuel quantity injected by means of a fuel injection device during operation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4978749B2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量制御装置
CN106414968B (zh) 用于校正电压-λ特征曲线的方法
KR20160035072A (ko) 내연기관 작동 방법
KR101262198B1 (ko) 작동 모드를 변화시킬 때 내연기관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및 장치
US10890134B2 (en) Controller and control method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including port injection valve that injects fuel into intake passage
US20180266353A1 (en) Engine control device and engine control method
JP4920438B2 (ja) 内燃機関の運転方法及びその制御装置
CN107002577B (zh) 用于至少在电压λ特性曲线中的一个区域中识别电压偏移的方法
US9624861B2 (en) Method for operat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20150096544A1 (en) Method and device for regulating an air-fuel ratio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180054845A (ko) 내연 엔진을 동작시키는 방법 및 장치
KR20090088335A (ko) 내연 기관의 동작 방법 및 장치
JP2016098772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