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896B1 -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위한 치과 장치 - Google Patents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위한 치과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896B1
KR100976896B1 KR1020057017096A KR20057017096A KR100976896B1 KR 100976896 B1 KR100976896 B1 KR 100976896B1 KR 1020057017096 A KR1020057017096 A KR 1020057017096A KR 20057017096 A KR20057017096 A KR 20057017096A KR 100976896 B1 KR100976896 B1 KR 1009768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patient
recording plate
respect
plat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570170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116819A (ko
Inventor
한스 셀만
Original Assignee
덴탈게뤠떼 콘딜라토르, 거버, 페터, 티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덴탈게뤠떼 콘딜라토르, 거버, 페터, 티이 filed Critical 덴탈게뤠떼 콘딜라토르, 거버, 페터, 티이
Publication of KR20050116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168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8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8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determining occlu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9/00Dental auxiliary appliances
    • A61C19/04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9/045Measuring instrumen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for recording mandibular movement, e.g. face bow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상봉합면(S)을 중심으로 면대칭이며 일체의 한쌍의 기록판들을 구비하는 데, 철필(202)이 구비된 상부 기록판(200)은 환자의 상부 턱에 고정될 수 있으며, 기록면(101)이 형성된 하부 기록판(100)은 환자의 하부 턱에 고정될 수 있다. 기록판은 평면 베이스 영역(110, 210), 경계를 이루는 평면 전이 영역들(113, 114 및 213, 214), 및 전이 영역들의 경계를 이루고 연속된 유지 구멍들(119, 219)을 가지는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을 구비한다. 베이스 영역은 대체로 시상봉합면(S)을 중심으로 면대칭인 전방으로 테이퍼진 이등변 사다리 형상이며 각각의 전이 영역은 대략 베이스 영역 및 지지면으로부터 각도가 멀어지는 길다란 평행사변형 형상이다. 따라서, 지지면들은 베이스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경사지며, 이로써 상부 기록판에서는 하향으로 경사지며, 하부 기록판에서는 상향으로 경사진다. 지지면들은 각각의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에 대해 대략 동일한 각도로서 상향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외측 후방에 위치되는 지지면들의 코너 영역들(124, 125 및 224, 225)은 대략 이등변 직각 삼각형 형상으로 상향으로 각도를 형성한다.
치과, 기록장치, 턱위치, 기록면, 철필, 시상봉합면

Description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치과 장치{Dental device for recording the position of the jaws of a patient in relation to one another by means of recording plates}
본 발명은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치과용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거의 일정한 두께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부분을 가지는 한 쌍의 기록판들을 구비하며, 상부 기록판은 환자의 상부 턱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기록판은 환자의 하부 턱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록판은 환자의 턱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기록판들의 위치에 대해 화살촉 모양의(sagittal) 평면에 대해 거울 대칭이며, 하나의 기록판에는 기입면이 구비되고 다른 기록판에는 상기 기입면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철필(stylus)이 구비된다.
상기 설명한 형태의 기록 기구는 치과 분야에 알려져 있다. 기록판들은 미끄러지지 않고 혀가 옆으로 밀지 않도록 환자의 자연적인 혹은 의치 위에 고정되어야 한다. 기록판들이 각각 환자의 위 턱과 아래 턱에 고정된 후에(예컨대 신속하게 장착되는 치과용 실리콘), 환자는 물도록 즉, 턱을 함께 누르도록 요구되며, 기록판들이 그 위에 고정되며, 이 기록판의 대향면 위에 철필이 가압된다. 이어서 환자는 위턱에 대해 아래턱을 일정하게 이동시키도록 요구되며, 기록면 위에 철필은 트레이싱을 그린다. 즉, 기록면 위에 도포된 왁스층 위에 긁음 자국을 남긴다. 이러한 자국, 혹은 소위 "화살점(arrow point)"으로부터 예컨대 치과의사와 같은 전문가는 환자의 기존 치아의 교합을 감시하거나 제거가능하거나 영구적인 치과용 의치의 생성을 위하여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기록장치에서 철필은 상부 기록판 위에 혹은 하부 기록판 위에 배치될 수 있는 데, 양자의 배치는 이점과 불리점을 가진다. 철필이 상부 기록판 위에 배치되면 기록은 전문가가 잘못된 것이라도 더욱 용이하고 편리하게 볼 수 있으며 더욱 보기 쉽게 될 것이나 해석에는 더욱 어려워질 것이다. 역의 경우, 기록은 보기가 덜 용이하고 편리할 것이나 바르게 이루어지면 보기는 어려우나 해석은 더욱 쉬울 것이다.
치과 진료에 더욱 정확하게 사용되기 위하여 기록장치는 환자의 입 위에 배치되는 경우, 환자의 하나로 눌러진 턱을 전방으로(전문 용어로서 "앞으로(anteriorly)") 중심에서 약 1센티 이하로 가압하여 정상적인 물린 위치(전문 용어로서 "교합(occlusion)")가 도달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이러한 것의 주된 이유는 양호한 넓은 구멍의 경우 턱관절의 특성이 순수 회전(여기에서 턱 굽은 부위는 개방하며)에 영향을 미치며 바람직하지 않은 화살촉 모양(sagittal) 운동(하부 턱이 전방으로 이동)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기록 장치를 구성하기 위한 충분한 높이가 없으며 이러한 이유로서 이전에 알려진 기록장치는, 새로 생산되는 전체 보철을 제외하고, 방해가 되며, 환자의 턱 위에 기록판들을 고정하는 것이 어렵다. 즉, 이러한 구조로서 작업하는 것이 상당한 노력과 시간이 소요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서, 모든 치과적 상황에 사용될 수 있거나 적어도 대부분의 경우에 사용될 수 있는 유용한 기록판들은 없다. 특히, 유치악(dentulous) 환자의 경우, 전문가는 상부 및 하부 플라스틱 판들을 생성하기 위하여 더욱 많은 시간을 소비하여야 하는 데, 이는 치아에 정확하게 부합하도록 플라스틱 베이스에 기록판들이 일체화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를 위해 소비되는 상응하는 시간은 환자에게(적절하다면 건강보험 당국에) 비용을 증가시킨다.
미국 특허 제 2,481,203 호에는 서로에 대한 두 저작(mastication) 면의 위치 기록 장치가 개시된다. 기록판들은 치열 상에서 안내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수직 방향으로는 아무런 안내도 보장된 바가 없다. 이것이 수직 방향으로 잃어버린 버린 공간이 없도록 그리고 지지핀이 그 안에서 수직 공간을 가지도록 접시 형상의 베이스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이유이다. 또한 기록판들과 치아 사이에 적절한 화합물들(예컨대 실리콘)이 배치되자마자 치열 위에는 측방향 어버트먼트(abutment)가 위치된다. 그러나, 이와는 달리, 수직 지지대는 치열 위가 아니라 점막 위에서만 달성된다.
이러한 장치 및 다른 공지 장치들은 예컨대 적절한 플라스틱 부분의 개별적인 형성과 같은 사전 작업을 수행함이 없이 유치악 환자의 신뢰성 있는 기록을 허용하지 못한다. 유치악 환자의 경우, 사전 작업의 필요가 없는 신뢰성 있는 기록은 아직은 해결되지 않은 문제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과 비교하여 사용이 덜 서투르고 특히 더욱 용이하여 더욱 신속한 서두에서 설명한 유형의 장치를 제안하는 것이다. 실험실 및 치과 병원에서 아무런 복잡한 준비 작업은 요구되지 않으며, 여러 크기로 저장된 기록판들은 발생하는 모든 치과적인 상황들 혹은 적어도 대부분의 상황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특히 이러한 목적을 위해 특별한 측정이 없이 치열 위에 기록판들을 전방으로 안내하고 측방향의 안내 및 수직으로의 안내가 달성되는 사실에 의해 시술이 크게 향상될 것으로 생각된다.
서두에서 설명한 유형의 장치에서 이러한 목적은 청구항 1항에 기재한 특징들의 조합에 의하여 달성된다. 본 발명의 유익한 실시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에 규정된다.
이와 같이 규정된 본 발명의 하나의 이점은 특히 상부 및 하부 기록판들이 상이한 크기로 제조되어 저장유지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생하는 상황들(모든 치아를 가진 환자, 일부 세트의 치아만 가진 환자, 치아가 없거나 의치를 가진 환자)에 대해 적절하게 선택된 상부 기록판 및 하부 기록판이 본질적으로 어떠한 사전 준비 없이 발견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규정된 본 발명의 다른 이점은 기록판들이 날개 형태의 지지면들을 구비하여 유치악 환자 및 의치 환자의 경우 기록판들이 치아면 위에 놓여지거나, 혹은 유치악 환자의 경우 왁스 형판 위에 위치된다. 따라서, 각각의 기록판에서 베이스 영역에 대한 지지면의 특정 각도 및 지지면의 잔여 부분에 대한 모서리 영역의 특정 각도는 기록판에게 일반적으로 치열에 잘 적용되는 공간 형상과 공간 곡률(양자 모두 가로지르는 방향 및 화살 모양의)을 부여하며, 특히 하나 혹은 양자의 기록판의 중간부의 하강과 같이 날개 형상 지지면의 접촉에 의하여 이동에 대해 측면의 고정으로서 치아를 직접 지지함과 동시에 결과적으로 어떤 사전 준비 없이 유치악 환자의 신뢰성 있는 기록을 제공하는 것이다.
기록판의 지지면을 좁히는 것의 이점은 특히 환자의 입 내부에 고정된 기록판들의 위치에 대해 상부 기록판의 지지면들을 전방으로 표출된 좁히는 것의 이점은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전구치들(premolars)이 기록판들의 고정을 방해하지 않으며, 기록판들의 고정 동안에 시술 공간이 더 크게 되는 점이다.
지지면들의 이중 각도의 - 베이스 영역에 대해서 및 각각의 인접한 전이 영역에 대해 - 상호 작용 및 베이스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지지면의 결과적인 경사 배치의 이점은 환자 잇몸에 고정된 기록판들의 위치에 대해 전이 영역이 베이스 영역의 평면에서 기록판들의 위치를 가로방향으로 안정시키는 어깨부 혹은 계단부로서 작용하며, 베이스 영역의 전방으로 좁아지는 사다리형 형상은 베이스 영역에 기록판을 화살표 형상으로 위치시키도록 보조한다.
지지면 위에 배치된 연속적인 유지구멍들에 의하여 지지면들은 용이하고 신속하게 치과용 실리콘에 의하여 치아 표면 혹은 왁스 형판 위에 고정될 수 있다. 실제 치아 표면에서 치과용 실리콘은 기록판의 지지면 아래에 환자의 전면에서 직접 주입되며, 치과용 실리콘이 제공된 기록판의 지지면들은 이어서 치아 혹은 왁스 림들(rims)의 열 위에 눌러진다. 치과용 실리콘은 신속하게 고정되므로 기록판들의 위치를 검사한 후에 전문가는 즉시, 즉 부가적인 처치 조작없이 짧은 시간(몇 분) 후에 기록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의치가 존재하는 경우, 지지면들은 실제 치아 표면에 대해서와 같이 고정될 수 있다. 왁스 형판들의 경우, 지지면들은 통상의 경우와 같이 왁스 형판들 위에 용융되거나 및/또는 왁스로 고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종래기술에서 필요하였던 사전의 준비 작업을 제거하며, 환자는 적어도 한 번의 사전 처치 시술의 필요를 절약하며 이로써 상응하는 불편함을 제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도면과 관련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되는 데, 모든 도면에서 동일한 부품들은 동일한 부호 표시로 표시된다. 도면내에서:
도 1a는 하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위로부터 본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기록판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b는 하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뒤로부터 본 도 1a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기록판의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1c는 하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좌측으로부터의 단면도로서, 도 1a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하부 기록판의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a는 상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아래로부터 본 핀과 철필이 삽입된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기록판의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b는 상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뒤로부터 본 재차 핀과 철필이 삽입된 도 2a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기록판의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2c는 상부 턱 위에 기록판이 배치된 환자의 방향과 관련하여 우측으로부터 기록판을 도시한 점선 방향의 단면도로서, 도 2a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부 기록판의 동일한 실시예를 도시하며, 기록판에 삽입된 핀과 철필은 단면이 아닌 측면도로서 도시된다.
<도면부호 리스트>
S: 시상봉합면 100: 하부기록판
101: 기록면 110:하부 기록판(100)의 베이스 영역
111, 112:하부 기록판(100)의 지지면
113: 지지면(111)과 베이스 영역(110) 사이의 전이 영역
114: 지지면(112)과 베이스 영역(110) 사이의 전이 영역
115, 117: 전이 영역(113)의 긴 측면들
116, 118: 전이 영역(114)의 긴 측면들
119: 지지면들(111, 112) 위의 유지 구멍들
120: 하부 기록판(100)의 베이스 영역(110) 위의 연장부
121, 122: 연장부(120)의 각도
123: 연장부(120)의 구멍 124, 125: 코너 영역
126, 127: 코너 영역(124, 125)의 빗변
200: 상부 기록판 201: 핀
202: 철필 203: 가이드 슬리브
204: 가이드 슬리브(203)의 나사구멍 205: 핀(201)의 외부 나사
210: 상부 기록판(200)의 베이스 영역
211, 212:상부 기록판(200)의 지지면
213, 214: 지지면(211, 212)과 베이스 영역(210) 사이의 전이 영역
215, 217: 전이 영역(213)의 긴 측면
216, 218: 전이 영역(214)의 긴 측면들
219: 지지면들(211, 212) 위의 유지 구멍들
220: 상부 기록판(200)의 베이스 영역(210) 위의 연장부
221, 222: 연장부(220)의 각도 223: 연장부(220)의 구멍
224, 225: 지지면들(211, 212)의 코너 영역
226, 227: 코너 영역들(224, 225)의 빗변들
이하의 설명에서 위/아래, 내측/외측, 전방/후방, 수평/수직, 가로/세로방향, 등의 표시는 항상 본 발명의 기록판이 그 위에 배치된 턱을 가지는 환자의 방향에 관련된다.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들의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치과용 장치는 환자의 상부 턱 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상부 기록판과 환자의 하부 턱 위에 고정되도록 구성된 하부 기록판의 한 쌍의 기록판들(100, 200)을 구비한다.
도 1a, 도 1b 및 도 1c에 도시된 하부 기록판(100)의 실시예 및 도 2a,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상부 기록판(200)의 실시예는 각각 접는 면(S)에 대해 대칭이다.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기록판은 실질적으로 평면인 영역과 거의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이러한 기록판들이 스테인레스강과 같은 금속으로 제조되면, 이들은 금속판을 가공하여(프레스, 펀칭, 벤딩 등) 상기 평면 영역과 일정한 두께를 형성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그러나, 다른 소재 혹은 제조방법, 예컨대 프레싱 및 /또는 사출 성형을 사용하는 플라스틱의 사용이 배제되지는 않는다.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들의 위치를 기록하기 위하여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부 기록판(200)은 철필(202)을 가진 핀(201)이 구비되며, 하부 기록판(100)에는 철필(202)에 대한 평면 기록면(101)이 구비된다. 상부 기록판(200)에 핀(201)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부 기록판(200)의 베이스 영역(210)의 대체로 중심에 예컨대, 펀치가공하여 가이드 슬리브(203)가 장착된다. 상기 핀(201)의 일단부는 이러한 가이드 슬리브(203) 내에 배치수용되며, 철필(202)은 상기 핀(201)의 타단부, 자유 단부에 형성된다. 도시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가이드 슬리브(203)는 압입 고정을 통하여 상부 기록판(200)에 고정되며, 상기 가이드 슬리브(203)에는 상기 핀에 형성된 외부 나사(205)를 통하여 핀(201)이 나사결합되는 연속 나사구멍(204)이 형성된다. 그러나, 다른 고정 수단을 생각할 수 있다. 예컨대, 가이드 슬리브는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에 용접될 수 있으며, 핀은 예컨대 가이드 슬리브에 형성된 나사를 통하여 가이드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으며 혹은 가이드 슬리브를 고 정하여 핀이 가이드 슬리브에 고정될 수 있고, 핀은 또한 기록판과 일체로, 예컨대 기록판을 직접 펀칭 가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하부 기록판(100)의 베이스 영역(110)에는 왁스층이 도포될 수 있으며, 혹은 기록 압력에 민감한 필름이 부착될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이 준비된 기록면(101) 위에 제공된 철필(202)은 기록면과 상호작용하여 그 위에 혹은 왁스층이나 필름 위에 자국을 형성하며 각각의 상대적인 운동에 따라 그리고 이러한 자국으로부터 이미 설명되었던 바와 같이 서로에 대한 환자의 턱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끌어낼 수 있는 것이다.
상부 기록판(200)의 부품으로 인식되지 않고 거기에 부착된 기록 도구로 이해되는 가이드 슬리브(203)와 그 안에 수용된 핀(201)과 달리, 두 기록판들(100, 200) 각각은 단일 부품으로서 제조된다.
두 기록판들(100, 200) 각각은 평면상 베이스 영역(110, 210) 각의 양측 그리고 시상봉합면(S)의 양측에 배치되며 이 시상봉합면(S)에 대해 면대칭인 한 쌍의 지지면(111, 112 및 211, 212)과, 각 베이스 영역(110, 210)에 인접하고 각각의 하나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시상봉합면(S)에 대해 면대칭인 한 쌍의 실질적으로 평면인 전이 영역(113, 114 및 213, 214)을 구비한다. 각각의 전이 영역(113, 114 및 213, 214)은 인접한 베이스 영역(110, 210)으로부터 그리고 인접한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로부터 각도가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이러한 두가지 각도 형성 방식의 연속의 결과로서 지지면들은 베이스 영역으로부터 경사된다. 환자의 본래 위치에 고정된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각각의 각을 이룬 구조는 도 1b 및 도 1c와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지지면의 기울어짐이 상부 기록판(200)에서는 하향으로 향하며 하부 기록판(100)에서는 상향으로 향하도록 방향이 설정된다.
환자의 턱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도록 각각의 베이스 영역(110, 210)은 전방을 향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좁아지는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시상봉합면(S)을 중심으로 면대칭인 데, 이는 환자의 입에 실질적으로 수평인 베이스 영역의 평면에서 관련되는 기록판을 대칭으로 위치시키는 것을 보조한다. 또한, 환자의 턱의 형상에 부합할 수 있고 상기 설명한 각도 형상과 각각의 베이스 영역(110, 210)으로부터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이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경사되는 구조를 제공하기 위하여 특히 도 1a 및 도 2a에 각각 도시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각각의 전이 영역들(113, 114 및 213, 214)은 길고 거의 평행사변형 형상이다. 각각의 전이 영역들(113, 114 및 213, 214)은 각각의 하나의 긴 측면들(115, 116 및 215, 216)이 거의 사다리형 베이스 영역(110, 210)의 하나의 비평행 측면들에 접하고 다른 긴 측면들(117, 118 및 217, 218)은 각각 하나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지지면들이 그 위에 고정되는 치아 표면 혹은 왁스 형판의 위치에 각각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의 위치가 가장 양호하게 부합하도록 상부 및 하부 기록판들(100, 200) 각각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은 각각의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110, 210)에 대해 상향으로 거의 동일한 각도로 각도가 설정된다. 더욱이, 각각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은 각각 코너 영역들(124, 125 및 224, 225)을 가지는 데, 이들은 외부 및 후방에 위치하며 다른 지지면과 접하는 삼각형의 빗변들(126, 127 및 226, 227)을 가지는 이등변 직각 삼각형의 형상으로서 다른 지지면에 대해 상향으로 각도를 이루는 형상이다. 이와 같이, 각각 도 1b, 도 1c 및 도 2b, 도 2c로부터 특히 잘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코너 영역은 기록판의 다른 지지면 보다 그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에 대해 상향으로 각도가 이루어진다. 상부 및 하부 기록판(100, 200)에서 각각의 코너 영역들(124, 125 및 224, 225)은 거의 동일한 각도로서 각각의 기록판의 다른 지지면에 대해 상향으로 각도를 이루는 데, 이는 각각의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에 대한 지지면들의 경우와 같으며, 그 결과, 지지면들 위에 형성된 돌출하는 코너 영역들은 상부 및 하부 지지면들이 서로 맞추어지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다.
지지면들이 그 위에 고정되는 치아 표면 혹은 왁스 형판의 위치에 대해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을 가장 잘 적합하게 하는 다른 기여가 지지면들의 형상에 의하여 제공된다. 도 1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하부 기록판(100)의 지지면들(111, 112)은 각각의 코너 영역들(124, 125)을 제외하거나 포함하든 거의 사다리 형상이며, 이러한 사다리 형상은 사각 형상과 거의 다르지 않은 바, 이는 하부 기록판(100)의 지지면들(111, 112)이 12도 각도 이하로, 양호하게는 대략 6도 정도로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기 때문이다. 도 2a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부 기록판(200)의 기록면들(211, 212)은 실질적으로 5각형 형상이나 각각의 코너 영역들(224, 225)을 제외하면 거의 사다리 형상인 데, 이러한 사다리 형상은 삼각 형상과 거의 다르지 않은 바, 이는 상부 기록판(200)의 지지면들(211, 212)이 표현 된 삼각형 형상에서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기 때문이다.
각각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에는 여러 연속된 유지 구멍들(119, 219)이 형성되는 데, 이미 설명하였던 바와 같이, 이들은 치과용 실리콘에 의하여 지지면들을 치아 표면 혹은 왁스 형판 위에 고정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고정의 효과에 대해, 지지면과 유지 구멍의 상대 크기들에 대한 효과적인 균형으로서는 지지면 위의 유지 구멍들(119, 219)의 전체 크기가 전체 지지면(111, 112 및 211, 212)의 크기의 1/3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취급이 더욱 용이하도록 기록판들(100, 200)에는 전방을 향하여 중심에(전문 용어로서 "전방으로(anteriorly)") 그리고 각각의 베이스 영역(110, 210)에 인접하여 주로 시술자의 손가락이나 핀셋을 위한 그립으로 작용할 것인 각각의 연장부(120, 220)가 구비된다. 이러한 목적으로서,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의 경우와 같이, 이들 연장부(120, 220)는 양측으로 각각의 접는 부분들(121, 122 및 221, 222)에서 각도를 형성하면서 베이스 영역의 평면에 기울어지며, 자유 단부 영역에 부가적으로 각각 관통구멍(123, 223)이 형성된다. 연장부(120, 220)의 각도를 형성하는 부분은 상부 기록판(200)의 연장부(220)의 자유 단부가 거의 수평으로, 즉 베이스 영역(210)에 거의 평행하게 전방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며(도 2c), 하부 기록판(100)의 연장부(120)의 자유 단부는 전방을 향하여 아래 방향으로 즉, 베이스 영역(110)의 평면에 대해 기울어지도록 연장한다(도 1c).
따라서, 상기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부 및 하부 기록판들이 상이한 크 기로 제조되어 저장유지될 수 있으므로 각각의 발생하는 상황들(모든 치아를 가진 환자, 일부 세트의 치아만 가진 환자, 치아가 없거나 의치를 가진 환자)에 대해 적절하게 선택된 상부 기록판 및 하부 기록판이 본질적으로 어떠한 사전 준비 없이 발견되어 사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 위한 치과용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는 일체로 이루어지며 일정한 두께의 평면인 부분을 가지는 한 쌍의 기록판들을 구비하며, 상부 기록판(200)은 환자의 상부 턱에 고정될 수 있으며, 하부 기록판(100)은 환자의 하부 턱에 고정될 수 있으며, 각각의 기록판(100, 200)은 환자의 턱 내부에 고정된 한 쌍의 기록판들의 위치에 대해 대칭면(S)에 대해 면 대칭이며, 하나의 기록판(100)에는 기입면(101)이 구비되고 다른 기록판(200)에는 상기 기입면(101)과 협력하도록 구성된 철필(202)이 구비된 환자의 턱 위치 기록용 치과 장치에 있어서,
    상기 기록판들(100, 200)의 적어도 하나는 평면 베이스 영역(110, 210), 상기 평면 베이스 영역 및 시상봉합면의 양측 위에 형성되고 연속적인 유지 구멍들(119, 219)이 그 위에 배치된 한 쌍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 및 상기 베이스 영역과 지지면에 각각 인접하여 배치된 평면인 한 쌍의 전이 영역들(113, 114 및 213, 214)을 구비하며, 이들 사이에서 상기 베이스 역역(110, 210)은 전방을 향하여 삼각형 형상으로 좁아지며 시상봉합면(S)을 중심으로 면대칭인 이등변 사다리꼴 형상을 가지며, 각각의 전이 영역(113, 114 및 213, 214)은 기다랗고 평행사변형 형상이며 길다란 측면들(115, 116 및 215, 216)의 하나는 사다리꼴 형상의 베이스 영역(110, 210)의 평행하지 않은 측면들의 하나와 접하며 다른 길다란 측면들(117, 118 및 217, 218)은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과 접하며, 각각의 전이 영역(113, 114 및 213, 214)은 인접한 베이스 영역(110, 210) 및 인접한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로부터 환자의 제위치에 고정된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하부 기록판(100)에서는 상향으로 상부 기록판(200)에서는 하향으로 경사되도록 베이스 영역의 평면으로부터 지지면들이 경사되게 모두 멀어지도록 각도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자의 턱 위치 기록용 치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제 위치에 고정된 한 쌍의 기록판들의 위치에 대해 상부 및 하부 기록판들(100, 200)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은 각각의 기록판의 대응하는 베이스 영역(110, 210)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서 상향으로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제 위치에 고정된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각각의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은 외측 후방에 위치되고 이등변 직각 삼각형 형상인 코너 영역(124, 125 및 224, 225)을 가지며, 이 삼각형의 빗변들(126, 127 및 226, 227)은 다른 지지면과 인접하고, 당해 빗변의 코너 영역은 다른 지지면에 대해 상향으로 각도를 형성하여 다른 지지면 보다 더욱 기록판의 베이스 영역(110, 210)에 대해 상향으로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의 제위치에 고정된 한 쌍의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상부 및 하부 기록판들(100, 200)의 지지면들의 코너 영역들(124, 125 및 224, 225)은 각각 각 기록판의 잔여 지지면에 대해 동일한 각도로서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지지면들(111, 112 및 211, 212)은 기록판을 관통하여 연장하는 여러 개의 유지 구멍들(119, 219)을 가지며, 지지면 위의 유지 구멍들의 전체 크기는 전체 지지면 크기의 1/3에 이르는 크기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록판(100)의 지지면들(111, 112)은 각각의 코너 영역(124, 125)을 포함하는 여부와 관계없이 사다리 형상으로, 환자의 제위치에 고정된 하부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12도 이하의 각도로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기록판(100)의 지지면들(111, 112)은 환자의 제위치에 고정된 하부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6도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8.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기록판(200)의 지지면들(211, 212)은 5각형이며, 각각의 코너 영역(224, 225)을 제외하면 환자의 제위치에 고정된 상부 기록판의 위치에 대해 전방을 향하여 좁아지므로 사다리 형상이며 삼각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과 장치.
KR1020057017096A 2003-03-18 2004-02-09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위한 치과 장치 KR1009768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H434/03 2003-03-18
CH4342003 2003-03-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16819A KR20050116819A (ko) 2005-12-13
KR100976896B1 true KR100976896B1 (ko) 2010-08-20

Family

ID=32996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57017096A KR100976896B1 (ko) 2003-03-18 2004-02-09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위한 치과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7300280B2 (ko)
EP (1) EP1603484B1 (ko)
JP (1) JP4405506B2 (ko)
KR (1) KR100976896B1 (ko)
CN (1) CN100548235C (ko)
AT (1) ATE372095T1 (ko)
DE (1) DE502004004877D1 (ko)
ES (1) ES2293220T3 (ko)
WO (1) WO200408251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03763B2 (en) * 2006-03-30 2009-03-17 Casting-In Co., Ltd. In-mouth cavity tracing device
BG1040U1 (bg) * 2007-04-13 2008-04-30 Андон ФИЛЧЕВ Интраорални регистриращи пластини
US8070489B2 (en) * 2008-03-28 2011-12-06 Global Dental Impression Trays, Inc. Integrated modular dental measuring apparatus and method for dentures
AU2014366783B2 (en) * 2013-12-19 2020-01-23 Trispera Dental Inc. System and method for recording a bite of an edentulous individual
US10166091B2 (en) 2014-02-21 2019-01-01 Trispera Dental Inc. Augmented reality dental design method and system
CN104771238B (zh) * 2015-02-02 2016-08-24 西安交通大学口腔医院 一种用于牙尖斜度测量的装置
CN108451661A (zh) * 2018-03-09 2018-08-28 爱迪特(秦皇岛)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定制美学的口腔数字化功能托盘及其使用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203A (en) 1946-11-29 1949-09-06 Maurice Y Nicole Gothic arch tracing device
US5044950A (en) 1989-11-29 1991-09-03 Stanley Hobish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US5059120A (en) 1989-12-19 1991-10-22 Lee Robert L Dental impression pad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582931B1 (en) 2000-11-08 2003-06-24 Panadent Corporation Dento-facial analyz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47287A (en) * 1947-06-26 1948-08-17 Fay E Smith Adjustable intraoral tracer
US2876541A (en) * 1954-09-24 1959-03-10 Walter H Jensen Centric recorder
US2994957A (en) * 1956-09-13 1961-08-08 Smith And Mcleod Dental Lab Intra-oral tracer having a scriber for indicating vertical position of dentures
US3564717A (en) * 1969-06-30 1971-02-23 Paul L Ennor Intra-oral tracing apparatus
CA2133549C (en) * 1994-10-03 1999-12-14 Leonard Wayne Halstrom Gothic arch tracer ki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481203A (en) 1946-11-29 1949-09-06 Maurice Y Nicole Gothic arch tracing device
US5044950A (en) 1989-11-29 1991-09-03 Stanley Hobish Therapeutic training device and method for fitting dentures
US5059120A (en) 1989-12-19 1991-10-22 Lee Robert L Dental impression pads and method of manufacture
US6582931B1 (en) 2000-11-08 2003-06-24 Panadent Corporation Dento-facial analyz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04082516A1 (de) 2004-09-30
JP4405506B2 (ja) 2010-01-27
CN1780593A (zh) 2006-05-31
US20060127839A1 (en) 2006-06-15
ATE372095T1 (de) 2007-09-15
KR20050116819A (ko) 2005-12-13
DE502004004877D1 (de) 2007-10-18
ES2293220T3 (es) 2008-03-16
CN100548235C (zh) 2009-10-14
JP2007523662A (ja) 2007-08-23
EP1603484B1 (de) 2007-09-05
EP1603484A1 (de) 2005-12-14
US7300280B2 (en) 2007-11-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079B1 (ko) 치열 교정용 브라켓 위치설정 지그 및 그 제조방법
USRE46824E1 (en) Dental impression tray for use in obtaining an impression of a dental structure
US9433483B2 (en) Impression tray set for edentulous jaw
KR20180103761A (ko) 치아 교정용 지그 일체형 브라켓 및 그 제조방법
US4432728A (en) Dental tray
KR100976896B1 (ko) 기록판에 의해 서로에 대해 환자의 턱 위치를 기록하기위한 치과 장치
US4543062A (en) Dent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Gupta et al. Relationship of anatomic landmarks with occlusal plane
US20020006595A1 (en) Orthodontic tools
US10772493B2 (en) Dental retractor
KR102415940B1 (ko) 스캔데이터 정합용 식별타겟을 이용한 스캔데이터 정합 방법
Keerthana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condylar guidance obtained by three different interocclusal recording materials in a semi-adjustable articulator and digital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in dentate patients: An: in vivo: study
JP2007209635A (ja) 口唇開拡具
US4693683A (en) Dental apparatus and method of use
KR101394887B1 (ko) 고딕 아치 트레이서 및 그 제조방법 및 그를 이용한 cad cam 총의치 제작 방법
CN115137505B (zh) 基于数字化技术的标准牙颌固位导板的制作工艺
US9872749B2 (en) Bite registration block and bite registration kit including the same
US4576576A (en) Measurement templates for a dental restoration
US10010391B2 (en) Device for evaluating dental crown contacts
JP6268376B1 (ja) 下顎奥歯用印象トレー
CN212326628U (zh) 颌位关系记录辅助装置
AU2018267129B2 (en) Reference denture alignment jig, kit for preparing dentures, and method for preparing dentures using same
JP6730469B2 (ja) 歯科用測定具
Osnes Investigating clinically relevant methods of assessing the quality of three-dimensional surface scan data in dentistry
KR101924582B1 (ko) 치과용 견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3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04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03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