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780B1 -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 Google Patents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780B1
KR100976780B1 KR1020080046785A KR20080046785A KR100976780B1 KR 100976780 B1 KR100976780 B1 KR 100976780B1 KR 1020080046785 A KR1020080046785 A KR 1020080046785A KR 20080046785 A KR20080046785 A KR 20080046785A KR 100976780 B1 KR100976780 B1 KR 100976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floor
segments
change
st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6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0799A (ko
Inventor
최재부
최창준
Original Assignee
노아테크놀로지(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아테크놀로지(주) filed Critical 노아테크놀로지(주)
Priority to KR1020080046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780B1/ko
Publication of KR2009012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07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2Position or depth indic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66B3/002Indicators

Landscapes

  • Elevator Control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르면,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가 위치한 현재 층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층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층표시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선택된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주위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전송받아, 상기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층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가 제공된다. 개시된 승강기 층 검출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현재 층 인식이 가능하되, 기존의 승강기 구동 시스템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동작 가능한 이점이 있다.
승강기, 층, 상하강, 표시

Description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Apparatus for floor detection operation and alarming of elevator}
본 발명은 승강기 층, 운행검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기존의 승강기 내부 시스템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승강기의 현재 층을 감지 및 연산하여 안내 가능한 승강기 층 검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엘리베이터 등의 승강기 내부 또는 외부에는 도 1과 같이 별도의 발광수단(10,20,30)을 내장한 표시패널(40)을 구비하여 이를 통해 현재 승강기의 층 표시와 상하강 상태 표시를 수행한다.
이러한 승강기의 층 표시 및 상하강 상태 표시를 위한 구성은 승강기 내부 시스템과 회로적으로 연결되어 승강기 전체 시스템의 일부로 구성된다.
이외에도, 승강기 내부 또는 외부의 다른 장치 혹은 다른 장소(ex, 사무실, 댁내 등)에서 현재 승강기의 층 위치 등을 알고자 하는 경우가 있는데, 종래에는 해당 승강기 시스템과 프로토콜을 맞춘 전용의 통신 장비를 이용하여야 했고, 또한 해당 승강기 제작사와의 자료공개나 기술협의 등이 별도로 요구되었다.
또한, 여러 회사마다 다양한 종류의 승강기 시스템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하드웨어적 연결 문제뿐만 아니라, 승강기마다 각기 다른 프로토콜에 이용되기 위한 통합 구현가능한 구성품을 개발하기란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종래의 경우에는, 실제 승강기 시스템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승강기의 층 위치 등을 표시하는 구성이므로, 전기적 연결에 따른 기존 제품의 규격문제, 기존제품과의 신호간섭 문제, 구동의 신뢰성 문제 등의 다양한 문제점이 발생하며, 이러한 이유로 실제 승강기 회사와의 협력과 기술 정보공유가 힘들며 그에 따른 대응 비용 및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에 설치된 승강기에서 별도로 신호를 분리하기 위한 작업이 복잡하고 어려우므로 설치 효율 및 비용적인 면에서 문제가 있고, 설치를 위해서는 일시적으로 승강기의 운행을 멈추어야 하는 불편함이 따른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승강기에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현재 층 인식이 가능하되, 기존의 승강기 구동 시스템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동작 가능한 승강기 층 검출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는,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가 위치한 현재 층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층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층표시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선택된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주위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전송받아, 상기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운행상태나 층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상태를 표시하는 상하강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강표시소자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제1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감지센서 및 제2광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전 송받아, 상기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층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층표시소자 및 상하강표시소자는, LED 또는 세븐세그먼트 발광소자, 복수 개의 세그먼트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매트릭스형 발광소자, VFD 또는 LCD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2광감지센서는 상기 층표시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승강기의 층 변화에 대응되는 발광상태의 변화 정도가 타 세그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층 구분에 용이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에만 설치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각 층별로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 변화 값을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현재 발광상태와 상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이후의 발광상태를 상기 DB화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의 운행상태와 현재 층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와 같이 위치하거나 원거리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운행정보와 층 운행시간을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층의 숫자가 늦게 변화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승강기가 정지하는 상황으로 인지하여 정지한 층 정보를 소리발생수단를 통해 음성으로 알릴 수 있다.
더불어, 상기 표시단말기는 상기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 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TV나 모니터 화면에 표시 가능한 방송신호의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OSD 장치, Digital 방송 모듈레이터, RF Up Converter, Combiner를 포함하여 이루어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단말기는 웹서버 기능을 구비하며, 외부에서 LAN/WLAN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출력정보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확인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표시단말기에 표시된 승강기의 현재 층정보를 참고로 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호출단말기; 및 상기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구동을 위한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과 대응되어 구비되고, 상기 호출단말기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구동하는 버튼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버튼구동부는, 상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누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의 일상적인 누름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구적인 압력을 가하여 버튼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또는 기어드모터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정전용량 변화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에 정전용량 변화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인가하여 상기 버튼을 구동시키는 정전용량 변화수단일 수 있다.
게다가, 상기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버튼구동부 대신에, 승강기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절연 또는 분리가 되는 릴레이나 광 분리장치를 이용한 접점을 구비하고,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버튼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를 기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승강기 층 검출장치에 따르면,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설치되어 승강기의 현재 층 인식이 가능하되, 승강기의 표시패널 상부에 설치되어 기존의 승강기 구동 시스템에 전혀 영향을 주지 않고 설치 및 동작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가정이나 사무소 등의 실내에서 승강시의 상하강 상태 및 층정보를 실시간 수신받아 확인 가능하고, 실내에서 승강기의 호출이 가능하므로, 승강기 대기시간을 줄임은 물론이며 사용자 환경 전반을 크게 개선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 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일반 승강기의 내부 혹은 외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층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각 센서가 승강기의 표시판넬에 구비된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이용한 층 검출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층표시소자가 매트릭스형 발광소자인 경우의 예시도이다.
또한, 도 6 또는 도 7은 도 2의 제어부로부터 승강기의 층정보를 수신하는 표시단말기의 구성도, 도 8은 호출단말기 및 버튼구동부의 예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층 검출장치(100)는 제1광감지센서(110,120), 제2광감지센서(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우선, 본 발명의 각 센서(110,120,130)는 도 1 내지 도 3과 같이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 구비된 표시패널(40)의 일측에, 예를 들어 표시패널의 위를 덮는 상부에 설치되어, 표시패널(40) 내에서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 및 층정보를 발광에 의해 표시하는 각 발광소자(10,20,30)에 대한 발광 여부의 감지를 수행한다. 여기서 표시패널의 위를 덮는 상부에 설치되는 것은 일 예에 불과하며, 표시패널의 가까운 곳에서 광감지가 가능하다면 어떠한 위치라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표시패널(40)은 각 발광소자(10,20,30)의 발광 상태 표시가 가능하도록 그 일부 또는 전부가 투명한 재질로 구성된다. 물론, 상기 발광소자(10,20,30)는 이미 구축된 승강기 내부 시스템인 층표시 구동부(1)의 제어에 의해 발광되는 부분이다.
한편, 상기한 각 센서(110,120,130)는 포토 다이오드(Photo Diode), 포토 트랜지스터(Photo Transistor), 황화카드뮴 광센서(CdS) 중 선택된 하나에 의해 구현 가능한데, 물론 이외에도 빛의 발광 감지가 가능한 그 어떠한 광센서로 대체 가능함은 자명하다.
이하에서는, 상기 각 센서(110,120,130)를 포함한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먼저, 제1광감지센서(110,120)는 상기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상태를 표시하는 상하강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 상부에 설치되어, 상하강표시소자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부분이다.
하나의 실시예로서, 상하강표시소자는 상승표시소자(10), 하강표시소자(20)로 구분될 수 있다. 제1광감지센서(110,120)는 또한 상승광감지센서(110) 및 하강광감지센서(120)로 세분화될 수 있는데, 이들은 도 1 내지 도 3와 같이, 상승표시소자(10) 및 하강표시소자(20)의 발광상태를 각각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하강표시소자인 상승표시소자(10)와 하강표시소자(20) 및 상기 층표시소자(30)는 LED소자, 세븐세그먼트 발광소자, 복수 개의 세그먼트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매트릭스형 발광소자, VFD 및 LCD 등으로 구현된 발광소자일 수 있다.
이외에도, 상기 상하강표시소자는 상승표시소자(10), 하강표시소자(20)로 물리적으로 구분되지 않고, 하나의 매트릭스형 소자 상에서 상승 및 하강 표시가 모두 가능하도록 구현된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화살표 모양이 상측 또는 하측으로 움직이는 형상 등으로 상하강 상태를 표시할 수 있는데, 이러한 경우에는 상하강 상태의 구분이 가능한 별도의 특정 셀 부분을 채택하여 특정 셀 부분에 제1광감지센서를 설치함으로써 상승 또는 하강의 구분이 가능할 수 있고, 이하의 후술할 제2광감지센서(130)의 감지 원리를 이용하여 구현 가능할 수도 있다.
상기 제2광감지센서(130)는, 도 1 내지 도 3와 같이, 승강기가 위치한 현재 층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층표시소자(30)를 내장한 표시패널(40)의 일측에, 예를 들어, 표시패널(40)을 위에서 덮는 형태로 상부에 설치되는데, 여기서 층표시소자(30)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선택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표시패널(40)의 특정 위치에, 예를 들어 상부에 각각 설치되어, 상기 선택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만을 감지한다.
즉, 상기 층표시소자(30)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승강기의 층 변화에 대응되는 발광상태의 변화 정도가 타 세그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아 층 구분이 용이한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층표시소자(30)는 도 3 또는 도 4와 같이, 7개의 세그먼트로 이루어진 LED 세븐세그먼트 발광소자일 수 있고, 또한 도 5와 같이 복수 개의 세그먼트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LED 매트릭스형 발광소자 혹은 LCD일 수 있으며, 외부에서 빛이 감지될 수 있는 형태의 플랫패널 디스플레이(FPD) 장치라면 어떠한 것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구성 하에, 상기 제어부(140)는, 제1광감지센서(110,120) 및 제2광감지센서(130)의 감지 값을 전송받아,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또한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선택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층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제어부(140)는 상승광감지센서(110)와 하강광감지센서(120)를 이용하여 현재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상태를 알 수 있는데, 상기 상승 또는 하강 상태만으로는 현재 승강기의 층 정보를 연산할 수는 없으므로, 층표시소자(30)의 발광 여부를 감지하는 제2광감지센서(130)의 감지값의 변화를 이용하여 층 정보를 연산한다.
이를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로서, 층표시소자(30)가 도 3 또는 도 4와 같은 세븐세그먼트인 경우를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2광감지센서(130)가 7개의 각 세그먼트에 모두 설치되는 경우, 즉 상기 일정개수가 7개인 경우, 제어부(140)는 7개의 모든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 감지값을 전송받아 현재 층정보를 연산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모든 세그먼트의 정보를 참고하므로 층정보의 연산이 용이한 이점이 있으나, 제2광감지센서(130)가 각 세그먼트마다 모두 필요(세븐세그먼트인 경우 7개 필요)하게 되어 부품 및 부가 회로의 소비가 많고 설치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다르게, 도 3 또는 도 4는 상기한 구성을 더욱 간소화한 것으로서, 층표시소자(30)의 상방에 제2광감지센서(130)를 설치하되, 층표시소자(30)의 각 세그먼트 중 승강기의 층 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발광상태의 변화 정도가 타 세그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일정개수(2개)의 세그먼트(e,g)에만 설치한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 제2광감지센서(130)가 2개만 구비되므로 부품 및 설치비용의 낭비를 줄일 수 있고, 보다 간단하게 장치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때, 도 4를 참고하면, 상기 제어부(140)는 승강기의 각 층별로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 변화 값을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현재 발광상태와, 상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이후의 발광상태를 상기 DB화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의 운행상태와 현재 층정보를 연산하게 된다.
즉, 제어부(140)는 승강기의 층을 표현하는 숫자(0,1~9,F 등)들에 대해, 이를 표현하는 7개의 세그먼트(a,g,c,d,e,f,g) 각각에 대한 디지트(digit)(0:발광off, 1;발광on)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참고로, 디지트 값이 'x'인 세그먼트는 해당 숫자 표현시 세그먼트의 발광상태가 0 혹은 1 중 어떠한 상태로도 표현 가능한 경우이다.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각 세그먼트(a,g,c,d,e,f,g) 중에서도, 층 변화시 타 세그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디지트의 변화가 큰 2개의 세그먼트(d,e)를 그 대상으로 하고 있다.
여기서, 도 3 또는 도 4에서는 승강기의 층이 두자릿수까지 표현되도록, 층표시소자(30)로서 두 개의 세븐세그먼트를 이용한 경우이다. 물론, 통상의 경우 10층 이하의 층인 경우, 좌측 세븐세그먼트의 0의 표시는 생략하고 우측 세븐세그먼트에만 1을 표현한다. 예를 들어 1층의 경우 '01'로 표현하지 않고 '1'로 표현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러한 전제 하에서, 상기 제어부(140)에 의한 층정보 연산의 실시예를 도 4를 참고로 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현재 승강기에서 감지된 세그먼트(d,e)의 디지트값이 (1,1)인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 승강기 층의 후보군으로 각각 2,6,8층을 인식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상승광감지센서(110)의 발광이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현재 승강기가 상승상태임을 인지한다. 여기서, 상승광감지센서(110)와 하강광감지센서(120)의 동시 발광이 이루어지지 않음은 자명하다.
그런데, 승강기의 상승 후 변경된 세그먼트(d,e)의 디지트값이 (1,0)로 감지된 경우, 제어부(140)는 상승 전후의 층을 각각 2층과 3층으로 연산 가능하다. 이는 승강기의 상승시 (1,1)에서 (1,0)으로 변경되는 것은 상기 3개의 후보군 중 2층의 경우에만 해당되기 때문이다.
상기의 예시는 3개의 후보 중 1개로 좁혀져 정확한 승강기의 층정보를 연산할 수 있는 경우로서, 만일 3개의 후보중 2개로 좁혀진 경우라면 그 중 선택된 하나의 층을 변경된 층으로 임의 인식하고, 이후의 승강기 층 변화를 이용하여 재연산하여 점차로 정확한 하나의 층 정보로 좁혀나갈 수 있게 된다.
물론, 이러한 시행착오 과정은 무한 반복되는 사항은 아니나, 제2광감지센서(130)의 설치 개수가 증가될수록 그러한 과정 혹은 오류를 더욱 줄일 수 있고, 그에 따른 정확성 있는 층정보를 좀더 신속히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상술한 2개 세그먼트의 선택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의 종류 및 세그먼트의 개수는 반드시 상술한 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 은 아니다.
게다가, 상기 제어부(140)는 상기 승강기의 운행정보와 층 운행시간을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층의 숫자가 늦게 변화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승강기가 정지하는 상황으로 인지하여 정지한 층 정보를 소리 발생수단을 통해 음성으로 알릴 수 있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세븐세그먼트의 일부 디지트의 변화만으로도 숫자의 바뀜, 즉 층 변화를 검출할 수 있는데, 즉 현재 승강기의 상하강에 대한 정보(제1광감지센서(110,120)의 감지값)와 일부 세그먼트(ex;d,e)의 발광상태 변화(제2광감지센서(130)의 감지값)를 이용한 천이 정보만으로도 층정보를 쉽게 검출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은 층표시소자(30)가 세븐세그먼트인 경우 이외에도 도 5와 같이 매트릭스형 발광소자로 구현된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또한, 숫자 변화를 구분할 수 있는 최소 정보로서 2개 혹은 그 이상의 소자를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광감지센서(상승광감지센서(110), 하강광감지센서(120)) 및 제2광감지센서(130)는 도 3과 같이, 내부 발광소자(10,20,30)를 통한 층정보의 확인이 용이하도록, 투명재질의 부착시트(테이프;70)에 의해 표시패널(40) 상부에 부착될 수 있다.
이러한 부착시트(70)는 유연성 있는 재질 혹은 하드 재질 모두 이용 가능한데, 제2광감지센서(130)의 부착성이 용이하도록 유연성 있는 재질로 구현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검출장치(100)는 단지 승강기의 표시패널(40) 상부에 장착되어 기존의 승강기 시스템 및 회로(1)에 어떠한 간섭도 주지 않음은 물론이며, 설치시 승강기의 운행을 일시 중단할 필요가 전혀 없어 설치가 용이하며, 구현 회로가 비교적 간단하여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제어부(140)와 같이 위치하거나 원거리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와 원격지의 소정 공간에 설치되고, 제어부(140)로부터 수신된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단말기(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승강기는 아파트, 현장 등에 설치될 수 있는데, 이때 표시단말기(150)는 승강기와 일정 거리 떨어진 각 가정, 사무실, 복도 등에 설치 가능하다. 따라서, 도 1의 승강기 측으로 사용자가 이동하여 표시패널(40)을 직접 확인할 필요없이, 현재 사용자가 위치한 가정, 사무실, 복도 등에서 승강기의 층정보를 실시간 확인할 수 있어, 승강기 이용을 위한 대기 시간을 줄이고 그에 따른 사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수 있다.
이러한 표시단말기(150)는 실내, 복도 등에 직접 장착 설치되는 형태, 혹은 사용자가 휴대 가능한 일반 단말장치(PDA, 핸드폰 등)의 형태일 수 있다. 표시단말기(150)는 실제 도 3과 같은 표시패널(40)에서 보여지는 형태와 유사한 도 6의 형태로 층정보를 표현할 수 있으나 반드시 상술한 바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6의 경우, 각 센서(110,120,130)로부터 전송된 정보를 이용하여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 및 층정보를 검출한 제어부(140)의 A/D컨버팅을 통해 무선 송신된 신호를, 상기 표시단말기(150)가 무선 수신한 후 신호처리하여 표시하게 된다. 무선 송수신 방식은 RF통신 방식, 무선랜 방식 등이 적용 가능하다.
또한, 상기 표시단말기(150)는 Web Server와 LAN/WLAN으로 연결되어 인터넷 네트워크를 구성함으로써, 상기 제어부(140)에서 연산된 출력정보를 외부에서 브라우저(Browser)를 통해 접속하여, 인터넷 네트워크로 연결된 어느 곳에서든지 상기 출력정보를 획득할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물론, 상기 표시단말기(150)는 상술한 상하강 상태 및 층정보의 시각적인 표시뿐만 아니라, 음성메시지 등을 통한 청각적인 알림 또한 가능하다. 이에 더하여, 상술한 음성메시지 이외에도 현재 층정보의 감지 상황을 알람음(비퍼음 등)으로 알리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의 경우는, 표시단말기(150)가 TV수상기인 경우로서,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를 상기 제어부(140)로부터 수신하여 2D정보 형태(문자, 그래픽 등)로 가공하여 기존 방송신호와 함께 제공 가능한 구성이다. 이러한 경우 별도로 단말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없는 이점이 있다.
여기서, 상기 방송신호란 디지털 TV신호, 케이블 방송, NTSC 비디오 신호 등을 포괄하는 개념이다. 물론, 이러한 본 발명의 기술은 TV수상기에 PIP(Picture In Picture)기능이 이용될 경우 더욱 유용하다.
또한, 상기 표시단말기(150)은 단지 TV수상기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며, OSD(On Screen Display)장치, Digital 방송 모듈레이터, RF Up Converter, Combiner 중의 어느 하나 이상의 장치 또는 모듈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호출단말기(160) 및 버튼구동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호출단말기(160)란, 표시단말기(150)에 표시된 승강기의 현재 층정보를 참고로 하여 원격지(가정, 실내, 사무실, 복도 등)에서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호출이 무선으로 가능하도록 하는 부분으로서, 리모트 컨트롤 등의 형태로 구현 가능하다.
이때, 상기 버튼구동부(170)는 도 1 또는 도 8과 같이,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구동을 위한 상승버튼(50) 또는 하강버튼(60) 상에 구비되어, 호출단말기(160)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상승버튼(50) 또는 하강버튼(60)을 구동할 수 있다.
여기서, 일례로 상승버튼(50)과 하강버튼(60)은 사용자의 별도의 누름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인체(손가락 등) 열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내부 도체의 정전용량 변화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버튼구동부(170)는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또는 기어드모터 중 선택된 하나일 수 있는데, 이때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또는 기어드모터는 상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승버튼(50) 또는 하강버튼에 압력을 가하여 각 버튼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각각의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기어드모터는 공압식, 유압식, 압전식 등에서 선택적으로 채용 가능하다.
이와 다르게, 버튼구동부(170)는 열발생수단일 수 있는데, 이때 열발생수단 은 상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승버튼(50) 또는 하강버튼(60)에 열을 가하여 각 버튼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열발생수단은 전자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열에너지로 변환 가능한 소자라면 어떠한 수단도 가능하다.
또한, 버튼구동부(170)는 정전용량 변화수단일 수 있는데, 이때 정전용량 변화수단은 상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상승버튼(50) 또는 하강버튼(60)에 정전용량 변화를 발생시켜 버튼을 구동시킬 수 있다. 이러한 정전용량 변화수단은 전자신호를 수신하여 정전용량의 변화가 가능한 어떠한 수단도 가능하다.
여기서, 버튼구동부(170) 또한, 도 8과 같이 투명재질의 부착시트(테이프;80)에 의해 각 버튼(50,60)에 부착될 수 있다. 물론, 버튼(50,60)의 외곽라인(삼각형라인)에 맞는 형태로 부착시트(80) 제작한 경우, 외부와 버튼 간의 구분이 명확히 가능하므로 투명 혹은 불투명 재질 모두 이용 가능하다.
이러한 호출단말기(160)와 버튼구동부(170)에 의하면, 사용자가 승강기 근처에서 층을 호출 및 대기할 필요없이, 원격지(댁내, 사무실, 복도 등)에서 승강기의 무선 호출이 가능하다.
물론, 사용자가 승강기 대신에 계단 출입으로도 무난히 가능한 2층 이하에는 설치하지 않도록 하여, 각 층에서의 호출에 의한 사용자 간 혹은 시스템 간 충돌문제를 가능한 줄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승강기 층 검출 장치는 상기 버튼구동부(170) 대신에, 승강기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절연 또는 분리가 되는 릴레이나 광 분리장치(Optical Isolator ; Photo Coupler)를 이용한 접점을 구비하고,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버튼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를 기동 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1은 일반 승강기의 내부 혹은 외부 정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승강기 층 검출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각 센서가 승강기의 표시판넬에 구비된 예시도,
도 4는 도 2의 제어부를 이용한 층 검출 예시도,
도 5는 도 2의 층표시소자가 매트릭스형 발광소자인 경우의 예시도,
도 6 또는 도 7은 도 2의 제어부로부터 승강기의 층정보를 수신하는 표시단말기의 구성도,
도 8은 호출단말기 및 버튼구동부의 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상승표시소자 20...하강표시소자
30...층표시소자 40...표시패널
50...상승버튼 60...하강버튼
100...승강기 층 검출장치 110,120...제1광감지센서
130...제2광감지센서 140...제어부
150...표시단말기 160...호출단말기
170...버튼구동부

Claims (12)

  1.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가 위치한 현재 층정보를 숫자로 표시하는 층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의 일측에 설치되되, 상기 층표시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선택된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응되는 상기 표시패널의 주위 대응 위치에 설치되어,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 및
    상기 복수 개의 제2광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전송받아, 상기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일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운행상태나 층정보를 연산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광감지센서는, 상기 층표시소자를 이루는 다수의 세그먼트 중, 상기 승강기의 층 변화에 대응되는 발광상태의 변화 정도가 타 세그먼트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층 구분에 용이한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에만 설치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각 층별로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의 발광상태 변화 값을 DB화하여 저장하고, 상기 일정개수의 세그먼트 각각에 대한 현재 발광상태와 상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이후의 발광상태를 상기 DB화된 값과 비교하여 상기 승강기의 운행상태와 현재 층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상태를 표시하는 상하강표시소자를 내장한 표시패널의 일측에 설치되어, 상기 상하강표시소자의 발광상태를 감지하는 제1광감지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광감지센서 및 제2광감지센서의 감지 값을 전송받아, 상기 승강기의 상하강 상태변화를 인지하고, 상기 상하강 상태변화에 대응되어 변경되는 상기 일 정 개수의 세그먼트에 대한 발광상태 변화를 이용하여 현재 위치한 승강기의 층정보를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층표시소자 및 상하강표시소자는,
    LED 또는 세븐세그먼트 발광소자, 복수 개의 세그먼트가 매트릭스형으로 배열된 매트릭스형 발광소자, VFD 또는 LC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4. 삭제
  5. 삭제
  6.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와 같이 위치하거나 원거리에 유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와 설치되고,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된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는 표시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승강기의 운행정보와 층 운행시간을 모니터링함에 있어서, 층의 숫자가 늦게 변화하는 경우가 발생하면, 승강기가 정지하는 상황으로 인지하여 정지한 층 정보를 소리발생수단를 통해 음성으로 알리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말기는,
    상기 승강기의 현재 상하강 상태 및 현재 층정보를 상기 제어부로부터 수신하여, TV나 모니터 화면에 표시 가능한 방송신호의 형태로 제공하기 위한 OSD 장치, Digital 방송 모듈레이터, RF Up Converter, Combiner를 포함하여 이루어 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말기는,
    웹서버 기능을 구비하며, 외부에서 LAN/WLAN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에서 연산된 출력정보를, 브라우저를 통해 접속하여 확인가능하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10.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단말기에 표시된 승강기의 현재 층정보를 참고로 하여 원격지에서 상기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호출이 가능하도록 하는 호출단말기; 및
    상기 승강기의 내부 또는 외부에서 승강기의 상승과 하강 구동을 위한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과 대응되어 구비되고, 상기 호출단말기의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을 구동하는 버튼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구동부는,
    상기 상승 호출 또는 하강 호출 신호를 수신한 경우,
    누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의 일상적인 누름동작에 영향을 주지 않고, 기구적인 압력을 가하여 버튼을 구동시키는 액추에이터, 솔레노이드 또는 기어드모터 중의 하나 이상일 수 있으며,
    또는, 정전용량 변화 감지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상승버튼 또는 하강버튼에 정전용량 변화 또는 임피던스 변화를 인가하여 상기 버튼을 구동시키는 정전용량 변화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는,
    상기 버튼구동부 대신에, 승강기 시스템과 전기적으로 절연 또는 분리가 되는 릴레이나 광 분리장치를 이용한 접점을 구비하고, 승강기의 상승 또는 하강 버튼과 병렬 연결되어 상기 승강기를 기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 층, 운행상태 검출장치.
KR1020080046785A 2008-05-20 2008-05-20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KR100976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85A KR100976780B1 (ko) 2008-05-20 2008-05-20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6785A KR100976780B1 (ko) 2008-05-20 2008-05-20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99A KR20090120799A (ko) 2009-11-25
KR100976780B1 true KR100976780B1 (ko) 2010-08-18

Family

ID=41603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6785A KR100976780B1 (ko) 2008-05-20 2008-05-20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78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150929A1 (ko) * 2009-06-25 2010-12-29 노아테크놀로지(주)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78A (ko) * 1999-07-07 1999-10-05 김철주 실내에서엘리베이터를호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010069797A (ko) * 2001-05-11 2001-07-25 종 욱 최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KR20070065724A (ko) * 2005-12-20 2007-06-25 (주)현경정보통신 층수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수표시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73378A (ko) * 1999-07-07 1999-10-05 김철주 실내에서엘리베이터를호출하기위한방법및장치
KR20010069797A (ko) * 2001-05-11 2001-07-25 종 욱 최 승강기 모니터링 및 호출 시스템
KR20070065724A (ko) * 2005-12-20 2007-06-25 (주)현경정보통신 층수검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층수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0799A (ko) 2009-1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85150A (zh) 一种外置式电梯按键装置及其控制方法
CN105899449B (zh) 电梯设备的操纵单元的配置
CN107445002A (zh) 一种电梯楼层信息获取方法、装置和外置式电梯设备
JP2006321607A (ja) エレベーター呼び登録装置
JP4153822B2 (ja) 警報器
CN111362083A (zh) 非接触式外呼面板和电梯
CN103253568A (zh) 触摸式电梯操纵盘
US20220274803A1 (en) Operating method for an elevator operating device with a touch-sensitive screen system
CN212127151U (zh) 非接触式外呼面板和电梯
CN111392533A (zh) 模拟电梯按键装置及电梯系统
CN207108155U (zh) 一种外置式电梯按键装置
KR100976780B1 (ko)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CN101110971A (zh) 检测电子装置的设备和方法
KR20090041002A (ko) 보안기능을 구비한 가전제품
US20210155454A1 (en) System and a method for detecting an out-of-operation state of an elevator system based on control bus traffic
JP2005536083A (ja) 状態の遠隔読取装置およびその適用方法
AU2020312133B2 (en) Touch-sensitive lift operation device for direction of travel calls
KR101069754B1 (ko) 진동센서가 구비된 콘센트
WO2010150929A1 (ko) 승강기 층, 운행 검출 및 알림장치
CN210895045U (zh) 面板操作装置、面板操作系统、机器人和电梯控制装置
KR200443715Y1 (ko) 주차 위치 확인 시스템
CN107851030A (zh) 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JP2007122196A (ja) 監視システム
CN218644106U (zh) 用于生物安全柜的柜门及生物安全柜
KR20040089725A (ko) 무선 통신에 의해 조정 가능한 장치, 장치 조정 방법 및장치 조정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