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538B1 -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 Google Patents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538B1
KR100976538B1 KR1020080092112A KR20080092112A KR100976538B1 KR 100976538 B1 KR100976538 B1 KR 100976538B1 KR 1020080092112 A KR1020080092112 A KR 1020080092112A KR 20080092112 A KR20080092112 A KR 20080092112A KR 100976538 B1 KR100976538 B1 KR 1009765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knife
terminal
contact spring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92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33114A (ko
Inventor
김선경
최성주
김대진
황규복
이상혁
조창민
김동명
이현호
Original Assignee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80092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5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331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331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1/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in the form of a pivotable member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g. by a hand
    • H01H21/54Lever switches with blade-type contact co-operating with one or two spring-clip contacts, e.g. knife switch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9/00Details of switching devices, not covered by groups H01H1/00 - H01H7/00
    • H01H9/0005Tap chang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01R13/11Resilient sockets

Landscapes

  • Conta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나이프형 절연 개폐기는 절연체의 몸체와, 이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콘택트스프링을 갖는 한 쌍의 터미널과, 어느 한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에 일단이 피벗 지지되어 두 터미널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나이프커넥터를 포함한다.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은, 터미널의 베이스 하면에 접합되어 상술한 스크루가 관통하는 고정부와, 고정부의 양단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각각 벤딩되어 나이프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고정부가 터미널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조정부를 구비한다. 탄성조정부는 고정부를 역V형, 호형, 사다리꼴형 중 어느 하나의 형태로 벤딩하여 구성된다. 몸체에 터미널을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두 탄성부 사이가 넓어 도금이 용이하고, 몸체에 스크루로 체결하면 탄성조정부가 압축변형되어 두 탄성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짐으로써 그립력을 향상시킨다.
본 발명은, 나이프커넥터를 큰 탄성으로 안정되게 파지해 줄 수 있고 내구성과 수명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
배전반, 나이프, 개폐기, 스위치, 터미널

Description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Knife type switch}
본 발명은 변전소내의 배전반 등에 사용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knife type switch)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나이프커넥터(knife connector)가 삽입되는 터미널(terminal) 콘택트스프링(contact spring)의 그립(grip)력이 증대되어 나이프커넥터를 안정되게 파지해 줄 수 있고 내구성과 수명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도록 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급격한 산업발달로 인하여 전력수요가 크게 증가하고 있으며, 안정적인 전력공급을 위해 변전소의 신설과 더불어 송전방식도 점차 초고압송전으로 전환하는 추세이다.
이에 따라 변전소 내에 설치되는 각종 배전반들의 수효가 늘어나고 있는데, 이러한 배전반들의 운전이나 시험을 위해서는 전압을 필요에 따라 개폐할 수 있는 절환 개폐기가 반드시 필요하다.
절환 개폐기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변전소내의 배전반에 요구되는 정격과 특성상 비교적 높은 신뢰성과 내구성을 담보할 수 있어야 하는 바 변전소내의 배전반에는 주로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가 사용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도1에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합성수지로 구성된 몸체(1)의 보텀(bottom:1a) 위에 전력선(C)이 각각 연결되는 2개의 터미널(2:2a,2b)이 이격 배치되고, 이 중 1개의 터미널(2a)에는 두 터미널(2a)(2b)을 상호 접속시키기 위한 나이프커넥터(5)의 일단이 피벗(pivot) 지지되어 있다.
각 터미널(2a)(2b)은 나이프커넥터(5)의 피벗 접속을 위해 나이프커넥터(5)의 양단을 각각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콘택트스프링(4)을 갖는다. 나이프커넥터(5)는 손잡이(6a)를 갖는 합성수지제 홀더(holder:6)에 지지되어 회동된다. 나머지 부호 7은 몸체(1)의 개구된 상부를 덮어주는 탑커버(top cover)이고, 8은 전력선(C)을 고정하는 스크루(screw)이다.
그런데, 이러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나이프커넥터(5)의 회동에 의해 개폐되는 바, 나이프커넥터(5)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터미널(2a)(2b)의 콘택트스프링(4)이 개폐기의 내구성과 수명에 대단히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도2 및 도3에는 이와 같은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종래 터미널의 구성을 도시하였다. 터미널(2a)(2b)은 기기의 특성상 높은 탄성복원을 갖도록 전력선(C)이 연결되는 판상의 베이스(base:3)와 한 쌍의 탄성부(4)를 대향되게 구비하여 나이프커넥터(5)를 삽입하는 콘택트스프링(4)이 이질(異質)재로 제작되어 용접에 의해 일체로 접합된 후 산화방지를 위해 니켈(Ni) 등으로 도금된 구성을 가지며, 몸체(1)의 보텀(1a)에 스크루(9)로 체결된다.
콘택트스프링(4)은 베이스(3)의 하면에 용접되는 편평한 고정부(4a) 양단에서 제1탄성부(4b)가 L벤딩(L type bending)에 의해 상방으로 각각 형성되고, 각 제1탄성부(4b)의 상단에서 U벤딩에 의해 제2탄성부(4c)가 내측 하방으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제1탄성부(4b)는 벤딩부의 스프링 백(spring back) 개선을 위해 수직에서 안쪽으로 일정각도(θ) 기울어진 미세 과(過)벤딩 형태를 취하며, 두 탄성부(4)의 제2탄성부(4c)들은 나이프커넥터(5)의 두께(t)보다 작은 간격(d)을 갖는다.
이에 따라 나이프커넥터(5)를 회동하여 개폐기를 닫으면,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나이프커넥터(5)가 두 탄성부(4)들 사이로 진입함에 따라 제1탄성부(4b)들이 바깥쪽으로 벌어진 뒤 제2탄성부(4c)들이 오므라듦으로써 점선의 화살표로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벤딩부(4b)(4c)의 복원탄성에 의해 나이프커넥터(5)를 균일하게 파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터미널(5)은, 제1벤딩부(4b)의 내구성 향상을 위해서 제1탄성부(4b)가 과벤딩 되기 때문에 두 탄성부(4) 간의 간격(d)이 지나치게 협소할 뿐 아니라 자칫 서로 밀착되는 현상이 발생되기 쉽고, 이 경우 두 탄성부(4) 사이에 대한 산화방지용 도금액의 침투가 불량하거나 아예 침투하지 못해 도금불량이 야기되기도 한다.
도금불량이 발생되면, 해당부위에서 산화가 쉽게 발생되고, 산화된 부분에서 전기적 스파크(spark)가 일어나 화재의 위험이 있다.
또한, 콘택트스프링(4)은 장기간 사용 시 반복개폐에 따른 벤딩부의 크리프(creep) 현상과 잔류응력 및 고전압에 의한 전기저항열 등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많으며, 이 경우 나이프커넥터(5)와의 접속불량이 야기되고 접촉부위가 작아 과열이 발생될 수도 있다.
특히, 종래의 터미널(2)은 위와 같은 콘택트스프링(4)의 변형이 발생하면 전혀 보정할 방법이 없어 개폐기를 새 것으로 교환해주어야만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제반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나이프커넥터를 삽입하는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을 과벤딩 하지 않고서도 콘택트스프링의 그립력이 우수하여 나이프커넥터를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음은 물론 콘택트스프링의 두 탄성부간 간격이 충분히 떨어져 도금액의 침투가 용이하여 균일한 도금을 얻을 수 있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콘택트스프링 벤딩부의 내구성이 우수하여 반복개폐로 인한 변형의 우려가 적고 장기간 안정된 품질을 보장할 수 있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택트스프링에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그 변형을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어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절연체의 몸체와, 이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콘택트스프링을 갖는 한 쌍의 터미널과, 어느 한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에 일단이 피벗 지지되어 두 터미널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나이프커넥터를 포함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에 있어서,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이,
터미널의 베이스 하면에 접합되어 상술한 스크루가 관통하는 고정부; 고정부의 양단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각각 벤딩되어 나이프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고정부를 역V형, 호형, 사다리꼴형 중 어느 한 형태로 벤딩하여 터미널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조정부를 고정부에 구비함으로써, 스크루의 체결력에 의해 탄성부의 그립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콘택트스프링의 탄성부는, 고정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L벤딩되는 제1탄성부와, 이들 제1탄성부의 선단에서 내측 하방으로 각각 U벤딩되어 그들 사이에 나이프커넥터를 삽입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제2탄성부들은 콘택트스프링의 산화방지도금을 위해 서로 이격된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특징에 의하면, 각 제2탄성부는, 그 선단부들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직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나이프커넥터를 균일하게 파지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터미널의 베이스 하면에 용접되는 콘택트스프 링의 고정부에 상방으로 볼록한 탄성조정부가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콘택트스프링의 탄성부를 종래와 같이 과벤딩하지 않고서도 개폐기 몸체에 대한 터미널의 스크루 체결로 나이프커넥터의 파지에 필요한 그립력을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즉, 터미널을 개폐기 몸체에 스크루로 체결하게 되면, 콘택트스프링의 고정부에 형성된 탄성조정부가 압축변형 되고, 이에 따라 두 탄성부가 안쪽으로 기울어지게 됨으로써 나이프커넥터의 삽입에 필요한 그립력을 구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터미널을 개폐기 몸체에 체결하지 않은 상태에서는 콘택트스프링의 두 탄성부간 간격이 충분히 넓기 때문에 산화방지 도금 시에도 도금액의 침투가 매우 용이하여 도금불량의 우려가 전혀 없다.
또한, 콘택트스프링의 두 탄성부가 탄성조정부의 압축변형에 기인하여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기울어지려는 힘이 발생되므로 일정각도로 과벤딩 된 종래에 비해 반복개폐로 인한 벤딩부의 변형우려도 적어 장기간 안정된 품질을 보장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콘택트스프링에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스크루의 조임에 의해 그 변형을 간편하게 보정할 수 있어 수명을 크게 연장할 수 있게 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신뢰성과 내구성 및 안전성 향상은 물론 수명 연장 등에 크게 기여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구체적 특징과 다른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설명으로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4 내지 도7에서,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절연체인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몸체(10)와, 이 몸체(10)에 이격 배치되는 2개의 터미널(20)과, 이들 2개의 터미널(20)을 상호 접속 및 접속해제 시키는 나이프커넥터(30) 및 몸체(10)의 상부 개구를 덮어주는 탑 커버(40)로 구성된다.
몸체(10)는 한쪽 측면에 보텀(13)을 갖는 제1몸체(11)와, 이 제1몸체(11)와 스크루(15)로 체결되는 제2몸체(12)로 구성된다. 제1몸체(11)의 보텀(13)에는 두 터미널(20)을 각각 고정하기 위한 2개의 체결구멍(14)이 수평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구비된다.
제1 및 제2몸체(11)(12)의 내면 상단 전후에는 탑 커버(40)를 조립하기 위한 조립돌기(15a)(15b)들이 서로 대향하도록 각각 구비된다.
터미널(20)은 제1몸체(11)의 베이스(13) 위에 얹혀지는 판상의 베이스(21)와, 이 베이스(21)의 한쪽에 용접되어 나이프커넥터(30)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콘택트스프링(22)으로 이루어진다.
터미널(20)은 통전(通電)을 위한 부품이므로 전기전도율이 우선적으로 중요하나, 구리의 경우 탄성계수가 매우 작기 때문에 통상 스위치용 소재로는 적절한 탄성계수와 전기전도율을 갖는 황동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경우 그 특성상 콘택트스프링(22)의 탄성복원력이 대단히 중요한 인자인데, 황동의 탄성계수(약 96GPa)는 강(steel)의 탄성계수(200GPa)에 비해 지나치게 작아 특히 변전소내의 배전반 스위치에 사용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따라서 그다지 고탄성이 요구되지 않는 베이스(21)는 황동으로 제작하고, 반복적인 탄성작용이 필요한 콘택트스프링(22)은 황동과 전기전도율이 유사하면서도 높은 탄성계수(약 130GPa)를 갖는 인청동으로 제작하여 상호 접합한 뒤, 산화방지를 위해 니켈로 도금함으로써 터미널(20)을 구성한다.
물론, 터미널(20)을 인청동으로만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 경우 황동에 비해 고가인 인청동으로 인해 개폐기의 코스트 증가 요인이 되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베이스(21)와 콘택트스프링(22)을 이질재로 구성하는 것이다.
베이스(21)는 다른 쪽에 전력선(C)의 연결고정을 위한 스크루(23)를 가지며, 콘택트스프링(22)이 접합되는 부위에 몸체(10)의 보텀(13)과 스크루(29)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구멍(21a)을 갖는다.
콘택트스프링(22)은 베이스(21)의 하면에 점용접(spot welding)되는 고정부(24)와, 이 고정부(24)의 양단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상방으로 각각 벤딩되어 나이프커넥터(30)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부(25)로 이루어진다.
고정부(24)에는 터미널(20)을 몸체(10)의 보텀(13)에 체결하는 스크루(29)가 관통하는 관통구멍(24a)이 형성됨과 함께, 두 탄성부(25)의 탄성을 조정할 수 있는 탄성조정부(26)가 형성된다. 탄성조정부(26)는 도6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부(24)의 나비방향 중앙부위에 위치하고, 예컨대 고정부(24)를 역V자 형으로 벤딩함으로써 상방으로 일정높이(h)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러한 탄성조정부(26)는 후술한 바와 같이, 터미널(20)을 몸체(10)에 체결하는 스크루(29)의 체결력에 의해 압축변형 됨으로써 두 탄성부(25)를 오므려줄 수 있으면 되는 바, 예를 들어 도9a 및 도9b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부(24)를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호(弧)형 또는 대략 사다리꼴 형으로 벤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관통구멍(24a)은 탄성조정부(26)상에 위치하고, 이 탄성조정부(26)가 베이스(21)의 하면에 용접되어 터미널(20)을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터미널(20)은 콘택트스프링(22)의 고정부(24) 중앙만 베이스(21) 하면에 접합되고, 고정부(24)의 양쪽 단부는 베이스(21)와 탄성조정부(26)의 돌출높이(h)만큼 떨어지는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20)을 몸체(10)의 보텀(13)에 스크루(29)로 체결하게 되면, 콘택트스프링(22)의 탄성조정부(26)가 압축변형되어 탄성조정부(26)의 돌출높이(h′)가 낮아지게 됨으로써 두 탄성부(25)가 내측으로 오므라들게 된다.
한편, 탄성부(25)는 고정부(24)의 양단에서 상방으로 L벤딩되는 제1탄성부(27a)와, 이 제1탄성부(27a)의 상단에서 내측 하방으로 U벤딩되어 나이프커넥터(30)를 접촉 지지하는 제2탄성부(27b)로 구성된다. 이하에서, 설명의 편의상 제1탄성부(27a)를 형성해주는 L벤딩부를 제1벤딩부(28a)라 칭하고, 제2탄성부(27b)를 형성해주는 U벤딩부를 제2벤딩부(28b)라 칭하기로 한다.
제1탄성부(27a)들은 고정부(24)와 직각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두 탄 성부(25)간의 간격(d)이 제1벤딩부가 과벤딩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에 비해 넓게 형성되고, 이는 콘택트스프링(22)이 베이스(21)와 접합된 후 산화방지를 위해 니켈도금 처리되는 과정에서 도금액이 제2탄성부(27b)들 사이로 매우 고르고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도록 하여 양호한 도금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제2탄성부(27b)들은 그 선단이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직에 대해 일정각도(β) 기울어지도록 형성되는데, 이는 제2탄성부(27b)들 사이로 나이프커넥터(30)가 삽입된 때 외측 방향으로 벌어지는 제1탄성부(27a)들과 함께 제2탄성부(27b)들이 외측으로 밀려 제2벤딩부(28b)들이 오므라듦으로써 나이프커넥터(30)를 접촉부 전체에서 균일한 탄성으로 접촉 지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두 제2탄성부(27b)의 선단부들 사이의 간격(d)은 나이프커넥터(30)의 삽입 시 두 탄성부(25)가 외측으로 벌어져 복원탄성이 작용할 수 있도록 나이프커넥터(30)의 두께(t)보다 작게 설정된다.
나이프커넥터(30)는 한쪽 단부가 2개의 터미널(20) 중 어느 한 콘택트스프링(22)의 두 탄성부(25) 사이에 끼워져 리벳(rivet)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피벗 지지된다. 이러한 나이프커넥터(30)는 그 상단이 판상의 합성수지 홀더(holder:31)에 인서트(insert) 성형되고, 홀더(31)에 구비된 손잡이(32)를 통해 회전 개폐될 수 있다.
탑 커버(40)는 양단에 C형 클립(41)을 각각 일체로 갖는 PC등의 합성수지로 구성되어 몸체(10)의 상단 전후에 형성된 조립돌기(15a)(15b)에 장착되며, 그 몸체 에 나이프커넥터(30) 홀더(31)의 손잡이(32)가 관통할 수 있는 슬롯(slot:42)이 길게 형성된다.
나머지 부호 16은 개폐기를 배전반의 내부에 설치할 때 더브테일(dovetail) 형태의 고정레일에 조립하기 위한 조립슬롯이다.
다음,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작동을 도8을 병행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터미널(20)이 몸체(10)에 체결되기 전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콘택트스프링(22)의 제1탄성부(27a)들이 종래와 달리 내측으로 과벤딩 되지 않고 고정부(24)에 대해 수직을 이루므로 제2탄성부(27b)들 간의 간격(d)이 충분히 떨어져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베이스(21)와 콘택트스프링(22)을 접한한 후 산화방지도금 처리할 때, 도금액이 두 탄성부(25) 사이에도 용이하게 침투할 수 있으며, 균일한 도금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터미널(20)의 콘택트스프링(22) 고정부(24)는 탄성조정부(26)에 의해 베이스(21)의 하면과 일정높이(h)만큼 떨어져 있으며, 이에 따라 몸체(10)의 보텀(13) 위에 재치한 경우에도 베이스(21)가 보텀(13)과 일정간격 이격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터미널(20)을 몸체(10)의 보텀(13) 위에 얹은 뒤, 보텀(13)의 하부에서 터미널(20) 베이스(21)의 나사구멍(21a)에 스크루(29)를 체결하게 되면, 터미널(20)의 베이스(21)가 하방으로 이동됨으로써 콘택트스프링(22)의 고정부(24)를 압축변형 시킨다.
그러면, 고정부(24)에 구비된 탄성조정부(26)의 돌출높이(h)가 h′로 낮아지게 됨으로써 고정부(24) 양단의 제1벤딩부(28a)에서 내측방향으로 모멘트가 작용하게 되고, 이에 따라 두 탄성부(25)가 내측으로 약간 기울어져 콘택트스프링(22)이 종래의 과벤딩과 같은 형태를 취하게 된다.
하지만, 이때 두 탄성부(25)에는 탄성조정부(26)의 압축변형에 기인한 모멘트가 내측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정형화된 과벤딩과는 많은 차이가 있다.
즉, 종래 콘택트스프링의 탄성부는 제1벤딩부가 과벤딩 상태로 정형화되어 나이프커넥터를 삽입한 경우 오직 나이프커넥터의 삽입에 따라 벌어지는 두 탄성부의 복원탄성에 의해서만 나이프커넥터가 파지되지만, 본 발명의 콘택트스프링(22)은 나이프커넥터(30)의 삽입으로 벌어진 두 탄성부(25)에 발생하는 복원탄성에 몸체(10)에 대한 터미널(20)의 체결 시 탄성조정부(26)의 압축변형으로 작용하는 모멘트가 더해져 두 힘이 동시에 나이프커넥터(30)를 파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를 보다 자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의 콘택트스프링(22)은 도7의 상태에서 도8a와 같이 콘택트스프링(22)의 두 탄성부(25) 사이에 나이프커넥터(30)를 삽입하면, 먼저 모멘트에 의해 안쪽으로 기울어져 있던 제1탄성부(27a)들이 외측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이때 각 제1탄성부(27a)에는 이미 탄성조정부(26)의 압축변형에 따른 모멘트가 내측방향으로 작용하고 있기 때문에 나이프커넥터(30)의 삽입에 보다 큰 힘이 소요된다.
이 후 도8b와 같이 나이프커넥터(30)가 완전히 삽입되면 제2탄성부(27b)들이 오므라들면서 나이프커넥터(30)의 전 부위를 고른 탄성으로 파지하게 되는데, 본 발명의 콘택트스프링(22)은 도8b에 점선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나이프커넥터(30)의 삽입에 따라 변형된 제1 및 제2탄성부(27a)(27b)들의 복원탄성에 더하여 탄성조정부(26)의 압축변형에 따라 탄성부(25)에 발생된 모멘트가 동시에 작용하게 되어 나이프커넥터(30)를 매우 강하고 안정되게 파지할 수 있음은 물론 제1벤딩부(28a)의 내구성도 증대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장기간의 반복개폐에 따른 콘택트스프링(22)의 변형우려도 낮아질 뿐 아니라, 설사 변형이 발생되더라도 터미널(20)을 체결하는 스크루(29)를 더욱 조여 탄성조정부(26)의 돌출높이(h)를 더욱 낮춰줌으로써 보상해 줄 수 있는 바 개폐기의 수명이 크게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성능을 알아보기 위해 본 발명자는 종래의 터미널과 본 발명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의 탄성을 테스트하였으며, 그 결과를 표1에 나타내었다.
시험방법은 개폐기를 지그에 고정하고, 나이프커넥터를 콘택트스프링에 삽입되도록 누르면서 이때 삽입되는 힘을 푸시풀 게이지(push-pull gauge)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초기상태에서 측정한 후 1초당 1회를 기준으로 100회 개폐 후 및 1000회 개폐 후의 힘을 각각 3회씩 측정하였다.
본 발명 종래
최초 1 460 400
최초 2 445 410
최초 3 450 404
100회 개폐 후 1 450 405
100회 개폐 후 2 455 400
100회 개폐 후 3 445 408
1000회 개폐 후 1 421 380
1000회 개폐 후 2 425 376
1000회 개폐 후 3 419 374
〈표 1〉
위의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터미널(20)의 콘택트스프링(22)이 종래에 비해 우수한 탄성력을 발휘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최초 뿐 아니라 100회 개폐 후와 1000회 개폐 후에도 종래에 비해 높은 탄성력을 유지하고 있음을 확인 할 수 있다.
도1은 일반적인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를 보인 정면도,
도2 및 도3은 종래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터미널을 나타낸 단면도,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분해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의 터미널을 발췌하여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6은 도5의 부분절단 결합상태 측면도,
도7은 본 발명 터미널이 몸체에 체결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8a 및 도8b는 본 발명 개폐기 터미널의 작용상태를 나타낸 측면도들,
도9a 및 도9b는 본 발명 개폐기 터미널의 다른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발췌 측면도들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몸체 13: 보텀
14: 체결구멍 20: 터미널
21: 베이스 22: 콘택트스프링
24: 고정부 25: 탄성부
26: 탄성조정부 27a: 제1탄성부
27b: 제2탄성부 29: 스크루
30: 나이프커넥터 40: 탑 커버
C: 전력선 h: 탄성조정부 돌출높이

Claims (3)

  1. 절연체의 몸체와, 이 몸체에 이격 배치되어 스크루로 체결되고 콘택트스프링을 갖는 한 쌍의 터미널과, 어느 한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에 일단이 피벗 지지되어 두 터미널을 상호 접속시켜 주는 나이프커넥터를 포함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의 콘택트스프링이,
    상기 터미널의 베이스 하면에 접합되어 상기 스크루가 관통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서 상호 대향하도록 상방으로 각각 벤딩되어 상기 나이프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한 쌍의 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를 역V형, 호형, 사다리꼴형 중 어느 한 형태로 벤딩하여 상기 터미널 쪽으로 볼록하게 돌출되는 탄성조정부를 상기 고정부에 구비함으로써, 상기 스크루의 체결력에 의해 상기 탄성부의 그립력을 강화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스프링의 탄성부는,
    상기 고정부의 양단에서 각각 상방으로 L벤딩되는 제1탄성부와, 이들 제1탄성부의 선단에서 내측 하방으로 각각 U벤딩되어 그들 사이에 상기 나이프커넥터를 삽입하는 제2탄성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탄성부들은 콘택트스프링의 산화방지도금을 위해 서로 이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제2탄성부는, 그 선단부들이 서로 근접하는 방향으로 수직에 대해 일정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KR1020080092112A 2008-09-19 2008-09-19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KR100976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12A KR100976538B1 (ko) 2008-09-19 2008-09-19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92112A KR100976538B1 (ko) 2008-09-19 2008-09-19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14A KR20100033114A (ko) 2010-03-29
KR100976538B1 true KR100976538B1 (ko) 2010-08-17

Family

ID=421821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92112A KR100976538B1 (ko) 2008-09-19 2008-09-19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53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643B1 (ko) 2022-02-28 2022-08-29 주식회사 누리라인 철도차량용 교류 및 직류 겸용 나이프 스위치
KR102437644B1 (ko) 2022-02-28 2022-08-29 주식회사 누리라인 철도차량용 대용량 나이프 스위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6310B1 (ko) 2021-10-28 2022-07-05 동방전기공업(주)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836A (ja) 1987-04-30 1988-11-09 Hitachi Ltd 刃形開閉器
JPH05347169A (ja) * 1992-06-12 1993-12-27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JPH08306408A (ja) * 1995-04-28 1996-11-22 Nippon Seiki Co Ltd Fpc用コネクタ
JPH10302574A (ja) 1997-04-30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刃型開閉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271836A (ja) 1987-04-30 1988-11-09 Hitachi Ltd 刃形開閉器
JPH05347169A (ja) * 1992-06-12 1993-12-27 Murata Mfg Co Ltd 同軸コネクタ
JPH08306408A (ja) * 1995-04-28 1996-11-22 Nippon Seiki Co Ltd Fpc用コネクタ
JPH10302574A (ja) 1997-04-30 1998-11-13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刃型開閉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7643B1 (ko) 2022-02-28 2022-08-29 주식회사 누리라인 철도차량용 교류 및 직류 겸용 나이프 스위치
KR102437644B1 (ko) 2022-02-28 2022-08-29 주식회사 누리라인 철도차량용 대용량 나이프 스위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33114A (ko) 2010-03-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1602B2 (en) Connecting terminal
KR102149850B1 (ko) 스프링-부하형 클램핑 연결부 및 전도체 단자
GB2404793A (en) Contact arrangement in the case of an electrical plug-in connection
US9601844B2 (en) Spring-loaded connection terminal
US7252563B2 (en) Electricity connector
KR100976538B1 (ko)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US20030054220A1 (en) Electrical contacting device for a fuel cell
US20080233808A1 (en) Conductor terminal and leaf spring contact therefor
US9413086B2 (en) Cost optimized cell voltage tap-off connection
KR101048250B1 (ko) 진공 개폐기의 퓨즈 설치 구조
US20200366240A1 (en) Device for electrically contacting a solar cell during the measurement of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the solar cell, and method for measuring electrical characteristics of a solar cell
US4655538A (en) Terminal connecting device for pulling-type breaker
KR200419244Y1 (ko) 전지 테스트용 클립
CN108931740B (zh) 一种用于锂电池电性能测试的探针夹具
US6793542B1 (en) Clamp-jaw contact assembly and meter socket employing the same
JP4800398B2 (ja) 端子台の試験用配線治具
CN201956492U (zh) 灯头导电片
JP2001023836A (ja) 負荷時タップ切換器のタップ選択器
CN112557707A (zh) 一种升流试验夹
CN220121723U (zh) 一种刀开关导电系统组件
CN219935921U (zh) 试验夹
CN102037535A (zh) 自调整插入式接线端子
CN218975934U (zh) 一种插套组件及插座
CN215451291U (zh) 一种继电器静簧片组件
CN220022753U (zh) 一种光伏组件测试工装及测试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2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