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6310B1 -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 Google Patents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6310B1
KR102416310B1 KR1020210145144A KR20210145144A KR102416310B1 KR 102416310 B1 KR102416310 B1 KR 102416310B1 KR 1020210145144 A KR1020210145144 A KR 1020210145144A KR 20210145144 A KR20210145144 A KR 20210145144A KR 102416310 B1 KR102416310 B1 KR 1024163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blade
electrodes
load
movable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5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태권
Original Assignee
동방전기공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방전기공업(주) filed Critical 동방전기공업(주)
Priority to KR1020210145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63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6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6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04Means for extinguishing or preventing arc between current-carrying parts
    • H01H33/12Auxiliary contacts on to which the arc is transferred from the main contacts
    • H01H33/121Load break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Gas-Insulated Switchgea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부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는,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된 회전구동부와; 내부 일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가동전극을 포함하는 부하 개폐모듈과; 상기 가동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가동전극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고정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은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 사이로 삽입되어 접촉되는 것을 요지로 한다.
이에 의해, 회전하는 가동전극의 양측으로 개극거리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시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극거리가 분산되므로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LOAD BREAK SWITCH MODULE AND APPATUS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부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회전하는 가동전극의 양측으로 개극거리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시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극거리가 분산되므로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부하 개폐기는 선로의 구분 및 분기를 위한 개폐장치로서, 정상 부하의 활선 상태에서 개폐시 발생되는 아크를 대기 중에서 소호(消弧)시켜 신속하게 회로를 분리 또는 연결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러한 부하 개폐기의 일례로 특허공개 제2010-0033114호에는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가 개시되어 있다. ,
그런데, 상기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는 나이프커넥터의 일측이 전원측에 상시 연결되어 있고, 개방시 개극거리가 부하측에만 형성되므로 개극거리가 짧아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고, 절연성능을 확보하기 위하여 개극거리를 늘리게 되면 그만큼 개폐기 전체의 크기가 커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나이프커넥터를 탄성적으로 삽입하는 부하측 컨택트스프링은 베이스의 하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바, 장기간 사용시 반복 개폐에 따른 벤딩부의 크리프(Creep) 현상과 잔류응력 및 고전압에 의한 전기저항열 등에 의해 변형될 우려가 많으며, 이 경우 나이프커넥터와의 접속불량이 야기되고 접촉부위가 작아 과열이 발생할 수 있으며, 무엇보다 컨택트스프링의 변형시 이를 보정하는 것이 불가능하거나 또는 극히 어렵다는 문제가 있다.
특허공개 제10-2010-0033114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하는 가동전극의 양측으로 개극거리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시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극거리가 분산되므로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는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회전하는 가동전극이 집게 형상의 블레이드로 마련되므로 사용에 따른 오차 발생, 압접력 조절 및 교체시 부하 개폐모듈을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한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분할된 각 블레이드 마다 압접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위치에 따라 압접력을 달리 설정할 수 있어 고정전극의 형상에 불구하고 균일한 분산력으로 고르게 접촉이 가능하고, 분할된 각 블레이드로 전원이 분기되므로 통전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된 회전구동부와; 내부 일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가동전극을 포함하는 부하 개폐모듈과; 상기 가동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가동전극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고정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은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 사이로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하 개폐장치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는, 상기 연장부 상하에 결합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거쳐 상기 하부 블레이드까지 형성된 블레이드 체결공과, 상기 블레이드 체결공에 체결되는 블레이드 스크루와, 상기 블레이드 체결공에 삽입되는 압접 스프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며 마련되고, 상기 각 블레이드 체결공, 블레이드 스크루 및 압접 스프링은 분할된 상기 각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 마다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분할된 상기 각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스크루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의 양 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부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가동본체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가이드가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가동본체는 1자형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은 각각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접지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본체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가동전극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전극 중 어느 하나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접지전극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지전극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동접지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중앙 일측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서로 다른 위치에 조립되어 상기 가동본체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면서 복수의 고정전극 각각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는 복수의 가동전극;을 포함하되, 상기 고정전극은 나이프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가동전극은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고정전극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 사이로 삽입되어 접촉되는 부하 개폐모듈에 의해서도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에 따르면, 회전하는 가동전극의 양측으로 개극거리를 형성함으로써 개방시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극거리가 분산되므로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에 따르면, 회전하는 가동전극이 집게 형상의 블레이드로 마련되므로 사용에 따른 오차 발생, 압접력 조절 및 교체시 부하 개폐모듈을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에 따르면, 분할된 각 블레이드 마다 압접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위치에 따라 압접력을 달리 설정할 수 있어 고정전극의 형상에 불구하고 균일한 분산력으로 고르게 접촉이 가능하고, 분할된 각 블레이드로 전원이 분기되므로 통전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에 따르면, 분할된 각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는 블레이드 스크루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고정전극의 삽입 및 이탈시 기계적 충격을 완충활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부하 개폐모듈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부하 개폐모듈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부하 개폐모듈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의 개방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의 단로주입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의 접지상태도이다.
본 발명의 장점과 특징 그리고 이를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후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제외하려는 것이 아니므로, 이러한 제외에 대하여 예외적으로 명시하지 않는 한 이들을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그러나, "제1~" 또는 "제2~"등의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 또는 실시예들을 구성요소 또는 실시예들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 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다른 실시예에서의 제2구성요소일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본적으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그러나, 후술되는 각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것으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용어의 명확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우선적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1)는, 베이스프레임(2)과, 회전구동부(미도시)와, 부하 개폐모듈(10)과 고정전극(31,32)을 포함한다.
베이스프레임(2)에는 복수의 고정전극(31, 32, 33)이 마련되는 바, 고정전극(31, 32, 33)은 예를 들어, 전원측 및 부하측 2개로 마련될 수도 있고(도 4참조), 여기에 접지측을 추가하여 3개로 마련될 수도 있다(도 1 참조).
고정전극(31, 32, 33)은 후술할 부하 개폐모듈(10)의 회전에 따라 제1~3가동전극(11, 12, 13)과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하도록 가동전극(11, 12, 13)의 회전반경 내에 설치되며, 구체적인 설치위치는 도 5에 도시된 배치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로서, 제1고정전극(31)을 전원측, 제2고정전극(32)을 부하측, 그리고 제3고정전극(33)을 접지측으로 하여 예를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필요에 따라 제1고정전극(31)이 부하측 또는 접지측이 될수도 있는 등 제한없이 변경이 가능하다.
제1~3고정전극(31, 32, 33)은 필요에 따라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도 5에 도시된 평면형상과 같이 모두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다. 다만, 제1~3고정전극(31, 32, 33)의 단면형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3가동전극(11, 12, 13)의 2개의 블레이드(17) 사이에 삽입될 수 있는 형상(예를 들어, 나이프 형상)으로 마련되어야 한다. 한편, 제1~3고정전극(31, 32, 33)의 단면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단면에 한정되지 않으며 두께가 일정하지 않는 등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회전구동부(미도시)는 베이스프레임(2)에 마련되어 부하 개폐모듈(10)의 가동본체(15)를 회전가능하게 구동한다. 회전구동부는 공지된 다양한 형태의 구동부가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부하 개폐모듈(10)은 가동본체(15)와 복수의 가동전극(11, 12, 13)을 포함한다.
가동본체(1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일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한다.
가동본체(15)의 회전중심은 반드시 중앙에 위치할 필요는 없으며, 가동본체(15)의 형상에 따라 그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즉, 가동본체(15)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는 바, 예를 들어, 가동본체(15)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자형 판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회전중심(5)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가동본체(15)가 "ㄴ"자 형상이나 "
Figure 112021123821329-pat00001
"자 형상 등 비대칭 형상으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연결지점에 마련되는 등, 가동본체(15)의 회전에 따라 가동전극(11, 12, 13)이 고정전극(31, 32, 33)과 접촉 및 분리가 가능한 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고정전극(31, 32, 33)의 "삽입" 또는 "접촉"은 사전적 의미에 한정되지 않고 동일한 의미로 해석된다. 즉, "접촉 및 분리"에서 접촉은 가동전극(11, 12, 13)과 고정전극(31, 32, 33) 사이에 전원입력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하는 것으로 물리적 접촉에 한정되지 않고 통전이 가능한 상태를 의미한다. 한편, "삽입 및 분리"에 있어서도 '삽입'은 통전이 가능하도록 고정전극(31, 32, 33)이 가동전극(11, 12, 13)에 물리적으로 삽입 되어 통전이 가능하도록 접촉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명세서 상에서 상대적으로 물리적 의미를 강조할때에는 '삽입'으로 표현하고 기능적(통전) 의미를 강조할 때에는 '접촉'으로 표현하지만 이는 나머지 의미를 배제하는 것이 아님을 밝혀둔다.
제1,2가동전극(11, 12)은 각각 가동본체(15)의 양 단부에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양 단부"는 회전중심(5)을 기준으로 방사상의 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베이스프레임(2)에는 고정접지전극(13)이 더 마련될 수 있는 바, 이 경우, 가동본체(15)에는 이에 대응하는 가동접지전극(13)이 더 마련될 수 있다.
가동접지전극(13)은 제1 및 제2가동전극(11, 12) 중 어느 하나에 제1 또는 제2고정전극(31,32) 중 어느 하나가 접촉된 상태에서 고정접지전극(13)에 동시에 접촉되는 바, 이에 대하여는 후술할 부하 개폐장치(1)의 구동에서 상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가동접지전극(13)은 제1,2가동전극(11, 12)이 제1,2고정전극(31, 32)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도 5의 A,B 참조)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가이드(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가동전극(11, 12, 13)의 형상을 상세히 설명한다.
가동전극(11, 12, 13)은 고정전극(31, 32, 33)이 삽입가능한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는 한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도 1 및 2는 이러한 가동전극(11, 12, 13)의 구체적인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여기서, 제1~3가동전극(11, 12, 13)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마련될 수도 있으나, 서로 다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1 및 2에서는 제1~3가동전극(11, 12, 13)이 모두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도시되었는 바, 제1가동전극(11)을 기준으로 설명하며, 제2,3가동전극(12, 13)에 대하여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먼저, 제1가동전극(11)은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171, 173)로 이루어진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제1고정전극(31)이 한 쌍의 블레이드(17) 사이로 삽입되어 접촉되도록 마련된다.
한 쌍의 블레이드(17)는, 연장부(151) 상하에 결합되는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로 마련된다.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17)는 다양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는 각 상부 블레이드(171) 또는 하부 블레이드(17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체가 하나로 마련될 수도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예를 들어, 4개)로 구분되며 마련될 수도 있다.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는 각각 가동본체(15)의 단부에 결합되는 바, 이 경우, 가동본체(15)의 양단부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151)가 마련될 수 있으며,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에는 연장부(151)와의 결합을 위한 블레이드 고정부(177)가 마련될 수 있다.
한편, 가동접지전극(13)이 추가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본체(15)의 측면에 접지고정부(13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17)의 체결방법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부 블레이드(171)로부터 연장부(151)를 거쳐 하부 블레이드(173)까지 형성된 블레이드 체결공(111)과, 블레이드 체결공(111)에 체결되는 블레이드 스크루(113)와, 블레이드 체결공(111)에 삽입되는 압접 스프링(115)을 포함할 수 있다.
압접 스프링(115)은 상부 블레이드(171)와 하부 블레이드(173) 사이의 압접력을 부여하는 것으로, 블레이드 스크루(113)의 체결깊이를 변경하여 압접력을 조절할 수 있고, 또는 압접 스프링(115) 자체를 교체하는 방법으로 압접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전자의 경우,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는 가동전극을 분해하거나 압접스프링을 교체하지 않더라도 블레이드 스크루의 체결깊이를 조절하는 간단한 방법으로 가동전극의 압접력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며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블레이드 체결공(111), 블레이드 스크루(113) 및 압접 스프링(115)은 분할된 각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 마다 마련될 수 있다.
이 경우, 분할된 각 블레이드 마다 압접력을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므로, 위치에 따라 압접력을 달리 설정할 수 있어 고정전극의 형상에 불구하고 균일한 분산력으로 고르게 접촉이 가능하고, 분할된 각 블레이드로 전원이 분기되므로 통전기능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할된 각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는 블레이드 스크루(113)를 기준으로 상하(화살표 방향 참조)로 이동이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이에, 고정전극의 삽입 및 이탈시 기계적 충격을 완충활 수 있으므로 물리적인 손상을 최소화하여 내구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
상부 블레이드(171) 및 하부 블레이드(173)의 양 단부 일측에는 제1,2고정전극(31, 32)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부(175)가 마련될 수 있다(도 3참조). 경사부(175)는 고정전극(31, 32, 33)의 진입각도가 틀어진 경우 또는 고정전극(31, 32, 33)의 두께가 한 쌍의 블레이드(17) 사이간격보다 큰 경우에도 고정전극(31, 32, 33)이 가동전극(11, 12, 13) 사이로 용이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가이드(153)는 가동본체(15)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제1,2가동전극(11, 12)이 제1,2고정전극(31, 32)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한다.
블레이드 가이드(153)는 가동본체(15)의 양측에 모두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접지전극(13)이 가동본체(15)의 측면에 마련되는 경우에는, 가동접지전극(13)의 좌우방향의 이동을 방지하는 접지가이드(133)가 가동본체(15)의 상하면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블레이드 가이드(153)는 블레이드(17)가 설치된 위치 및 형상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이 가능하다.
이상에서 전술한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173)와 가동본체(15)와의 결합방법은 도면에 도시된 방법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이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1)의 작동과정을 설명한다.
먼저, 도 5는 개방상태를 살펴보면, 제1고정전극(31)은 전원측, 제2고정전극(32)은 부하측을 나타내는 바, 부하 개폐모듈(10)은 제1,2가동전극(11, 12)이 모두 각각 제1,2고정전극(31, 32)과 이격된 상태에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는, 개방시 부하 개폐모듈의 양측이 모두 개극되므로 결과적으로 개극거리가 길어져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으며, 동일한 개극거리의 경우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장치는, 회전하는 가동전극이 집게 형상의 블레이드로 마련되므로 사용에 따른 오차 발생, 압접력 조절 및 교체시 부하 개폐모듈을 분리하기만 하면 되므로 유지보수 및 교체가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단로주입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서 정방향(화살표 A 방향)으로 부하 개폐모듈(10)을 회전중심(5)을 기준으로 회전한 것이다. 이에 전원측에 연결된 제1고정전극(3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이를 부하 측에 연결된 제2고정전극(32)으로 전달하게 된다.
도 7은 접지상태를 나타낸 것으로, 도 5에서 역방향(화살표 B 방향)으로 부하 개폐모듈(10)을 회전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가동본체(15)를 역방향으로 회전시켜 부하측(제2고정전극(32))을 접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는 회전하는 가동전극의 양측으로 개극거리를 형성하여 개방시 절연성능을 극대화할 수 있고, 개극거리가 분산되므로 개폐장치의 크기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을 구현하는 실시예들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 부하 개폐장치 2. 베이스프레임
31, 32, 33 : 제1,2,3고정전극 5 : 회전중심
10 : 부하 개폐모듈
15 : 가동본체 151 : 연장부
153 : 블레이드 가이드
11, 12, 13 : 제1,2,3가동전극
111 : 블레이드 체결공 113 : 블레이드 스크루
115 : 압접 스프링 17 : 블레이드
171 : 상부 블레이드 173 : 하부 블레이드
175 : 경사부 177 : 블레이드 고정부
13 : 가동접지전극 131 : 접지고정부
133 : 접지가이드

Claims (10)

  1. 베이스프레임과;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된 회전구동부와;
    내부 일측이 상기 회전구동부에 연결되어 회전하는 가동본체와,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된 제1 및 제2가동전극을 포함하는 부하 개폐모듈과;
    상기 가동본체의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또는 제2가동전극에 선택적으로 접촉 또는 분리되도록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제1 및 제2고정전극;을 포함하여,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은 이격된 한 쌍의 블레이드로 이루어진 집게 형상으로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이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 사이로 삽입되어 접촉되되,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로 각각 연장된 연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한 쌍의 블레이드는, 상기 연장부 상하에 결합되는 상부 블레이드 및 하부 블레이드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블레이드로부터 상기 연장부를 거쳐 상기 하부 블레이드까지 형성된 블레이드 체결공과, 상기 블레이드 체결공에 체결되는 블레이드 스크루와, 상기 블레이드 체결공에 삽입되는 압접 스프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는 폭 방향을 따라 복수 개로 분할되며 마련되고, 상기 각 블레이드 체결공, 블레이드 스크루 및 압접 스프링은 분할된 상기 각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 마다 마련되며, 분할된 상기 각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는 상기 블레이드 스크루를 기준으로 상하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부하 개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및 하부 블레이드의 양 단부 일측에는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이 용이하도록 경사부가 마련되는 부하 개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본체의 양측면에 마련되어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블레이드 가이드가 마련되는 부하 개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본체는 1자형 판 형상으로 마련되고,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은 각각 상기 가동본체의 양 단부에 마련되는 부하 개폐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에 마련되는 고정접지전극을 더 포함하고,
    상기 가동본체에는 상기 제1 또는 제2가동전극 중 어느 하나에 상기 제1 또는 제2고정전극 중 어느 하나가 접촉된 상태에서 상기 고정접지전극에 동시에 접촉되는 가동접지전극이 더 마련되는 부하 개폐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접지전극은,
    상기 제1 및 제2가동전극이 상기 제1 및 제2고정전극의 삽입 및 분리되는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는 접지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부하 개폐장치.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210145144A 2021-10-28 2021-10-28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KR102416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44A KR102416310B1 (ko) 2021-10-28 2021-10-28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5144A KR102416310B1 (ko) 2021-10-28 2021-10-28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6310B1 true KR102416310B1 (ko) 2022-07-05

Family

ID=82402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5144A KR102416310B1 (ko) 2021-10-28 2021-10-28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63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110A (ja) * 2002-07-25 2004-02-26 Hitachi Ltd 開閉装置
KR100549510B1 (ko) * 2005-08-05 2006-02-08 한빛일렉컴(주) 가스절연부하개폐기
KR20100033114A (ko) 2008-09-19 2010-03-29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JP2020529707A (ja) * 2017-08-01 2020-10-08 ヴァルター クラウ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alter Kraus GmbH 残留負荷遮断器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63110A (ja) * 2002-07-25 2004-02-26 Hitachi Ltd 開閉装置
KR100549510B1 (ko) * 2005-08-05 2006-02-08 한빛일렉컴(주) 가스절연부하개폐기
KR20100033114A (ko) 2008-09-19 2010-03-29 서울산업대학교 산학협력단 나이프형 절환 개폐기
JP2020529707A (ja) * 2017-08-01 2020-10-08 ヴァルター クラウス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Walter Kraus GmbH 残留負荷遮断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7186061A1 (zh) 断路器触头系统及断路器
CN100541697C (zh) 多极断路器
US9281138B2 (en) Parallel type transfer switch contacts assemblies
CN102412085B (zh) 一种双断电触头装置以及采用该装置的隔离开关
CN1805093A (zh) 滑动式隔离器
KR102416310B1 (ko) 부하 개폐모듈 및 이를 포함한 부하 개폐장치
US3381105A (en) Modular high current switch
CN109478475A (zh) 具有磁性电弧偏转组件的高压电气断开装置
CN108074757A (zh) 一种基于转动调节的电触头推移及灭弧结构装置
KR101343185B1 (ko) 차단기의 가동자 어셈블리
CN105762039A (zh) 断路器触头系统及断路器
KR101912699B1 (ko) 직류 기중차단기
KR20110024263A (ko) 회로차단기의 슬라이드형 가동접촉자 어셈블리
CN114846572A (zh) 闸刀开关装置
US20200098531A1 (en) Electrical Contact System
CN207587676U (zh) 一种断路器的动触头
KR101704989B1 (ko) 회로차단기의 가동접촉자
KR101707965B1 (ko) 링메인유닛(rmu)의 진공인터럽터 접압량 조절구조
JP3851499B2 (ja) 開閉装置
CN215266159U (zh) 触头系统和负荷断路开关
CN109285732B (zh) 直流接触器及其触头结构
CN220041679U (zh) 负荷开关及具有其的气体绝缘开关柜
CN101673624A (zh) 大电流自洁式凸轮开关
CN220984365U (zh) 自动转换开关电器及其触头系统
CN216902626U (zh) 一种开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