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6420B1 -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6420B1
KR100976420B1 KR1020100010713A KR20100010713A KR100976420B1 KR 100976420 B1 KR100976420 B1 KR 100976420B1 KR 1020100010713 A KR1020100010713 A KR 1020100010713A KR 20100010713 A KR20100010713 A KR 20100010713A KR 100976420 B1 KR100976420 B1 KR 100976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project
change request
configuration management
group author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1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준용
Original Assignee
장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준용 filed Critical 장준용
Priority to KR102010001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6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6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6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06Q10/103Workflow collaboration or project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06F8/70Software maintenance or management
    • G06F8/71Version control; Configuration management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형상 관리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요청을 등록받으면 상기 변경 요청을 제1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의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받으면 제2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상기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하고, 상기 제2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과 관련된 복수개의 단위업무들을 등록받으면 상기 단위업무들을 제3 그룹 권한자 단말들에게 각각 할당하여 그 산출물을 제공받는 형상관리 서버와,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상관리 데이터베이스와,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산출물 및 상기 변경 요청에 따른 개발 산출물을 저장하는 버전 제어 저장소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therefore}
본 발명은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응용시스템 내지 응용프로그램은 업무분석 단계, 설계 단계 및 개발 단계의 과정을 통해 완성된다. 그런데, 응용시스템을 개발하는 프로젝트에서는 다음과 같은 어려움이 나타날 수 있다. 먼저, 업무분석 단계에서 파악한 업무현상과 설계 단계에서 반영된 업무현상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고, 또한 설계 단계에서의 설계도 내용이 개발단계에서 변경되어 설계 내용의 수정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다. 특히, 일정상의 문제로 변경된 업무내용을 설계도에 미처 반영하지 못한 상태에서 프로그램에만 반영하여 진행함으로써 다른 개발자에게 변경 내역을 통보하지 못하게 되는 경우도 많다.
이러한 경우, 변경 내용은 관련 프로그램에 영향을 미처 에러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때 에러 원인을 찾지 못하여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아울러, 프로그램이 완성되기 전 또는 통합테스트 이전에 개발자가 변경되는 경우, 후에 참여하는 개발자는 설계도와 종전 개발자가 개발한 프로그램 소스만으로는 프로그램의 전체 내용을 이해하는데 어려움을 겪게 된다.
또한, 단위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테스트하는 과정에서는 문제되지 않았던 사항들이 단위 시스템을 테스트하는 과정에서 심각한 문제로 드러날 수 있고, 단위 시스템 테스트 단계에서 전혀 문제가 되지 않는 사항들이 통합 시험 단계에서 심각한 문제로 등장하기도 한다. 이러한 문제점은 사용되는 용어가 표준화되지 않거나 함수 및 테이블에 대한 참조가 잘못된 데서 비롯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시스템에 대한 전체적인 통합 모델이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경우 이러한 문제점은 해결하는데 상당한 시간을 요하게 된다.
한편, 응용시스템 운영과정에서도 이와 유사한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먼저, 규모가 큰 프로젝트는 개발자와 운영자가 서로 달라 운영자는 시스템의 구조와 내용을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운영하는데 어려움이 많게 된다. 특히, 개발자가 시스템 개발 시에 적용한 설계사상과 프로그램의 내용이 서로 다른 경우가 많아, 설계도만을 믿고 시스템을 변경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또한, 업무환경의 변화로 특정 테이블이나 필드의 구조의 변경이 불가피한 경우 관련 테이블과 필드를 파악하는데 큰 어려움을 겪게 되며, 테이블이나 필드 또는 함수가 수정되는 경우 관련 프로그램 전부를 모두 파악해서 수정하는 것이 곤란해진다.
이처럼 시스템 개발 또는 운영 과정에서 발생되는 문제점은 규모가 큰 프로젝트일수록, 그리고 개발기간이 길고 참여자가 많은 프로젝트일수록 심각한 문제로 등장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부분적으로 해결하기 위하여 형상 관리 시스템 소프트웨어 형상관리시스템(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SCM)이 사용되고 있다. 형상 관리 시스템은 시스템 전체에 대한 통합 모델을 제공하여 시스템 개발자 또는 운영자가 용이하게 프로그램을 개발 또는 운영할 수 있게 해준다. 종래의 형상 관리 시스템은 일반적으로 케이스 도구(CASE Tool)로 응용 시스템을 모델링하여 프로그램의 생성, 분석, 역공학 및 문서화를 지원한다.
이러한 종래 형상관리 시스템은 한국 특허공개 제2001-112753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기술에 따른 형상관리시스템은 기 개발된 개발 산출물에서 발견된 변경요청사항에 대한 처리절차 및 그에 따른 산출물변경/추가등록 방식을 제공하였다. 그런데 종래 기술에 따른 형상관리 기술은 프로젝트개발 시작에서부터 종료 및 이후의 유지보수라는 소프트웨어 생명주기 전반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력 및 비용을 예측 또는 모니터링 하기에는 기술적인 한계가 있어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수 또는 다수의 조직이 프로젝트환경 하에서 S/W개발업무를 진행함에 있어, 형상계획/형상식별 활동을 시스템화할 수 있도록 방법을 제시하고, 명확한 사용자 통제권한 설정으로 버전제어 및 변경 제어를 실시하며, 변경요청 및 형상항목의 상태별 이력을 구체화하고 체계적으로 통제함으로써 효율적인 형상감사활동을 할 수 있는 SCM 구축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형상관리 시스템은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요청을 등록받으면 상기 변경 요청을 제1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의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받으면 제2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상기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하고, 상기 제2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과 관련된 복수개의 단위업무들을 등록받으면 상기 단위업무들을 제3 그룹 권한자 단말들에게 각각 할당하여 그 산출물을 제공받는 형상관리 서버와,상기 형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상관리 데이터베이스와,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산출물 및 상기 변경 요청에 따른 개발 산출물을 저장하는 버전 제어 저장소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형상관리 방법은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요청을 등록받으면 상기 변경 요청을 제1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의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받으면 제2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상기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2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과 관련된 복수개의 단위업무들을 등록받으면 상기 단위업무들을 제3 그룹 권한자 단말들에게 각각 할당하여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따르면, 다양한 운영체제 및 서로 다른 구성의 하드웨어에서 상에서 운영되어지는 복잡한 프로젝트 환경 하에서, 소프트웨어 개발프로젝트 시작단계에서부터 종료 후 유지보수에 이르기까지 전 과정을 단계별 상태별로 정의하고, 그에 따른 접근권한 및 이력을 관리함으로써, 개발과정의 가시성확보 및 개발공정 진척률을 파악할 수 있으며, 궁극적으로 반복되는 개발 산출물의 문제점을 미연에 방지하고, 개발공정 단축 및 개발 산출물 품질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관리시스템의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2는 형상관리시스템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그룹 권한을 설명한다.
도 3은 프로젝트와 변경 요청 및 태스크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2의 그룹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형상 관리 시스템을 이용하는 업무흐름도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진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형상 관리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변경 요청 처리 절차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에서 단위업무 수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설계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검토 요청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검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는 형상감사 기능에서 프로젝트/변경요청/단위업무의 상태별 진척률 산출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형상관리시스템(10)의 구성 예를 보여준다.
도 1을 참조하면, 복수개의 단말들(20)이 TCP/IP를 통해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고 있다. 형상관리 시스템(10)은 버전 제어 시스템(Version control system)(11), 버전 제어 저장소(Version control repository)(12), SCM(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System) 서버(13), SCM 데이터베이스(14), 파일 시스템(15)을 포함한다. 형상관리 시스템(10)에 포함된 구성요소들(11~15)는 TCP/IP 방식으로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버전 제어 시스템(11)은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단말(20)로부터 SCM 서버(13)를 통하여 전달된 개발 산출물에 대한 변경사항 발생시 버전을 부여하여 변경 전과 변경 후의 산출물 상태를 추출가능하고, 해당 개발 산출물의 복제, 복제 버전과 원본 버전과의 병합, 버전 삭제를 수행한다. 버전 제어 시스템(11)은 이러한 개발 산출물을 버전 제어 저장소(12)라는 별도의 파일 시스템에 TCP/IP 방식으로 접속하여, 저장/참조하여 해당 결과를 SCM 서버(13)를 통해 단말(20)에 제공한다.
SCM 서버(13)는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단말(20)이 형상관리 시스템(10)에 요청하는 정보등록 및 정보조회를 제어하며, 형상관리시스템(10)의 하위시스템(버전 제어 시스템(11), 버전 제어 저장소(12), SCM 데이터베이스(14), 및 파일 시스템(15))을 개별적으로 제어 및 모니터링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SCM 데이터베이스(14)는 SCM 서버(13)를 통한 단말(20)의 요청에 대하여, 사용자 정보(아이디, 패스워드, 소속부서, 그룹권한, 메뉴권한), 프로젝트 정보, 변경요청 정보, 단위업무 정보, 변경이력 정보를 저장하는 기능을 갖는다.
파일 시스템(15)은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단말(20)이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이용하여 버전 관리할 필요가 없는 참조 형태의 파일을 저장하는 저장소이다. 해당 기능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단말(20)이 SCM 서버(13)를 통해 요청을 해야만 저장/참조가 가능하다.
형상관리시스템(10)의 하위시스템인 버전 제어 시스템(11), 버전 제어 저장소(12), SCM 데이터베이스(14) 및 파일 시스템(15)은 서로 TCP/IP방식으로 연결되어 정보교환을 수행하므로, 각기 이종 OS 및 이종 하드웨어로 구성되어진 시스템에 분산설치가 가능하다.
도 2는 단말(20)을 통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는 사용자의 그룹 권한을 설명한다.
각 사용자의 그룹은 General(21), QC(22), Dev(23), ADH(24)로 구분하며, 해당업무 및 직위에 따라 복수권한을 부여할 수 있다.
General(21) 그룹권한은 해당 프로젝트기간 중 또는 프로젝트 종료 후에 발생되는 변경요청사항을 등록하고, 해당 변경요청사항의 진행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는 그룹권한이며 주로 프로젝트 팀원, 프로젝트 종료 후 도출된 개발 산출물을 이용하게 되는 고객, 해당 개발 산출물을 판매하는 마케팅조직이 해당 그룹권한을 부여받게 된다.
QC(22) 그룹권한은 General(21) 그룹권한과 동일한 변경요청사항의 등록 권한을 소유하며, 추가적으로 변경요청사항의 상태를 보류/거부/검증/실패/종료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는 그룹 권한이다. 주로 품질관리조직이나 프로젝트 개발 산출물 테스트조직이 이에 해당한다.
ADH(24) 그룹권한은 프로젝트 등록 및 시작 상태 전이의 권한을 가지며, General(21) 그룹권한과 동일한 변경요청사항의 등록 권한을 소유하고, 등록된 접수상태의 변경요청사항을 할당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는 그룹권한이며, 할당상태의 변경요청사항에 대하여, 단위업무를 등록하고 Dev(23) 그룹 권한자가 단위업무 검토요청을 하는 경우에 대해 검토 및 해결 처리하는 그룹권한이다. 해당 그룹권한은 프로젝트 PM, 개발팀장, 연구소장이 이에 해당한다.
Dev(23) 그룹권한은 ADH(24) 그룹 권한으로부터 등록된 단위업무의 담당자로서, 해당단위업무를 분석설계/진행/보류/검토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는 권한을 가지며, 진행상태의 단위업무의 경우, SCM 서버(13)로부터 사용자인증을 받은 후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해 버전제어 저장소(12)로부터 개발 산출물을 단말(20)로 가져와 변경작업을 수행 후 변경된 개발 산출물을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하여 버전 제어 저장소(12)에 적용하는 역할을 한다. 추가로 General(21) 그룹권한과 동일한 변경요청사항의 등록권한을 소유한다.
도 3은 프로젝트와 변경 요청 및 태스크 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다.
프로젝트(31) 진행시에 변경 요청(Change Request)(32)을 포함하며, 변경 요청(32)는 단위업무들 즉, 태스크들(33)로 이루어져 있다. 변경 요청(32)이 발생되면 변경 요청에 따른 단위 업무들이 할당되어 진행된다.
도 4는 도 2의 그룹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20)로부터 형상관리시스템(10)을 이용하는 업무흐름도 예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관리자가 단계 S40에서 어떤 프로젝트를 형상관리시스템(10)에 등록할 수 있다. 이 관리자는 SCM 서버(13)로부터의 인증에 성공해야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하여 프로젝트를 등록할 수 있다. 형상관리시스템(10)의 SCM 서버는(13)는 프로젝트가 등록되면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게 프로젝트 정보를 통지하고, 이후 프로젝트의 단위업무의 일정이 도래하면, 이를 해당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게 통지한다. 이러한 프로젝트를 도 5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젝트 진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SCM 서버(13)는 단계 110에서 그룹권한을 부여받은 사용자 단말(20)이 로그인 요청을 하는 지를 판단한다. 그에 따라 SCM 서버(13)는 단계 120에서 사용자가 입력한 사용자 정보에 기초하여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인증이 성공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사용자 인증이 성공하였으면 SCM 서버(13)는 단계 130에서 사용자에 의해 신규 프로젝트가 등록되는 지를 판단한다. 이 경우, 도 2에 도시된 사용자 그룹 권한 중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신규 프로젝트를 등록할 수 있다. 프로젝트는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된다. 즉, 프로젝트 등록단계에서,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들이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된다. 프로젝트에 관련된 정보는 프로젝트 제목, 프로젝트 상세설명, 프로젝트종류, 프로젝트 종속성, 프로젝트 기간, 프로젝트 개발 산출물이 버전 관리되어 저장될 버전 제어 저장소(12)의 저장소 경로명, 버전 관리될 개발 산출물의 파일유형 및 파일개요, 프로젝트 참여인원 및 프로젝트 관리역할, 프로젝트 일정 항목 등이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된다. 이를 위해, SCM 서버(13)는 사용자에 의해 프로젝트 등록이 선택되면, 사용자가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프로젝트 정보 입력 윈도우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는 프로젝트 정보 입력 윈도우를 통해 프로젝트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젝트의 종류 항목은 제품프로젝트 및 일반프로젝트로 구분되어 선택되도록 한다. 제품프로젝트 항목의 경우, SCM 서버(13)는 개발되어질 프로젝트의 제품명과 버전코드, 릴리즈코드, 제품이 운영되는 시스템의 OS코드의 선택을 제공한다. 프로젝트 종속성 항목은 기존프로젝트에서 추가적인 개발사항이 발생하는 경우, 또는 프로젝트 일정과 조직을 종속 프로젝트 단위로 관리하고 싶을 경우, 종속관계를 줄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종류 항목에서 일반프로젝트의 경우는 개발업무와 무관한 시장조사, 보고서등의 업무를 프로젝트 규모로 진행하고자 할 때 선택하며, 제품프로젝트 등록 시 선택하는 제품명 항목과 버전코드 항목, 릴리즈코드 항목, 제품이 운영되는 시스템의 OS코드 항목을 제외한 나머지 항목을 등록한다.
프로젝트 기간 항목은 연월일시분초로 시작일과 종료일을 등록하는 항목이다. SCM 서버(13)는 사용자로부터 프로젝트 시작일이 입력되는 경우 SCM 데이터베이스(14)가 설치된 시스템의 현재 날짜보다 이전에 설정할 수 없도록 유효성 체크를 수행하며, 또한 프로젝트 종료일의 경우에도 시작일보다 이전에 설정 할 수 없도록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다.
SCM 서버(13)는 프로젝트 참여인원 항목 및 프로젝트 관리역할 항목의 입력시에는 형상관리시스템(10)에 등록된 사용자의 리스트를 사용자 단말(20)에 제공하여 사용자가 참여인원을 선택하고 각각 참여인원에 프로젝트 관리역할코드를 부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에 따라 사용자 단말(20)을 통해 사용자는 프로젝트 참여인원 항목은 형상관리시스템(10)에 등록되어진 사용자정보에서 조회하여 선택할 수 있으며, 프로젝트 관리역할코드 항목은 프로젝트 매니저(Project Manager; PM) 프로젝트 리더(Project Leader; PL), 코더, DBA로 코드화되어지며, 코드 추가를 통해 다양한 관리역할을 부여할 수 있다.
프로젝트 일정 항목은 프로젝트 일정, 참여인원 및 일정 기간을 포함한다. 프로젝트 일정 기간은 프로젝트 시작일과 종료일 사이에서 설정이 가능하며, 일정시작일과 일정종료일을 연월일시분초로 등록되어야 한다. SCM 서버(13)는 프로젝트 일정시작일의 경우 프로젝트 시작일보다 이전에 설정 할 수 없도록 유효성 체크를 수행하며, 일정종료일의 경우 일정시작일보다 이전에 설정 할 수 없고 프로젝트 종료일 이후에 등록될 수 없도록 유효성체크를 수행한다.
또한, 프로젝트 일정 항목에서 참여인원은 프로젝트 참여인원 항목에서 선택될 수 있으며 각 프로젝트 일정은 세부설명을 기재하여 일정별 업무에 대한 개요를 기술한다. 이러한 프로젝트 일정은 일정 조회화면에서 보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SCM 서버(13)는 단계 130에서 사용자에 의한 프로젝트 등록시 프로젝트 정보를 수신하여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이어서, SCM 서버(13)는 단계 135에서 SCM 데이터베이스(14)의 기존 저장된 프로젝트를 조회하여 프로젝트의 정보를 확인하고, 등록된 프로젝트에 기존 프로젝트 ID와 다른 프로젝트 ID를 할당한다. 예컨대, 프로젝트 ID는 프로젝트 이니셜인 P의 1 자리와 연도/월/일 8 자리와 3 자리 일련번호를 포함한 12자리의 문자를 포함한다. 일련번호는 동일한 연월일에 등록된 프로젝트의 ID를 식별하기 위해 부여된다. 이 경우, SCM 서버(13)는 프로젝트 ID, 프로젝트 상태, 작성날짜, 작성자 ID의 이력 정보를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SCM 서버(13)는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 즉, 프로젝트 관리자가 프로젝트 내역을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게 되면, 단계 140에서 SCM 서버는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신규 프로젝트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이 경우, SCM 서버(13)는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게 프로젝트 정보를 제공한다.
이어서, SCM 서버(13)는 단계 150에서 프로젝트 일정이 도래하였는 지를 판단한다. 프로젝트는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진행되는데, 프로젝트 일정은 프로젝트 등록시 설정된다. 예컨대, SCM 서버(13)는 현재 시각이 프로젝트 시작일과 동일한 연월일시분초인지를 판단하고 동일한 경우, 해당프로젝트를 시작상태로 전이시키고 해당 프로젝트에 참여하는 인원에게 통지한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 일정 기간이 도래하면, SCM 서버(13)는 단계 160에서 해당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게 해당 일정을 통지한다. SCM 서버(13)는 단계 170에서 프로젝트가 종료하였는 지를 판단하고, 프로젝트가 종료하기 전까지 프로젝트 일정이 도래할 때마다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프로젝트 일정을 통지한다.
한편, 프로젝트 관리자는 프로젝트 시작일 전에 등록된 프로젝트 내용을 삭제/수정할 수 있으며, 시작 및 종료상태의 프로젝트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수정 시 프로젝트 ID, 프로젝트상태, 작성날짜, 수정자 ID, 작성항목, 작성 전 데이터, 작성 후 데이터, 수정사유 등의 이력이 SCM 서버(13)를 통해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된다.
이와 같이, 프로젝트가 프로젝트 내용과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되면 SCM 서버(13)는 프로젝트가 종료될 때까지 계속적으로 프로젝트 일정에 따라 프로젝트 참여 인원들에게 프로젝트를 통지하다.
다시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S41에서 프로젝트 시작상태 이후 또는 종료상태 이후 개발 산출물과 관련하여 내부(개발조직, 경영진, 마케팅, SE(System Engineer), 품질관리조직)/외부(고객)으로부터 변경요청(BUG, 기능개선, 기능추가, 문서)이 발생할 수 있다. 이 경우, QC(22), ADH(24) 그룹 권한자는 형상관리시스템(10)에 변경요청사항을 등록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데, 이 때, 프로젝트 일정등록과 관련하여 해당일정에 완료해야하는 변경요청사항에 대하여 논의한다.
프로젝트 시작상태에서 변경요청사항이 발생한 경우 S42 단계에서 프로젝트 참여인원으로 등록되고 변경요청을 등록할 수 있는 그룹권한 사용자가 변경요청사항을 등록한다. S42 단계에서, 등록되어진 접수상태의 변경요청사항을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S43 단계에서 할당상태로 전이시키거나 접수상태의 변경요청사항을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보류처리(S44단계), 거부처리(S45단계)한다.
S46 단계는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할당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과 관련하여, 해당 변경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처리업무를 담당하는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로부터 이의제기가 발생하였을 경우 이슈처리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S47 단계는 S46 단계에서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에 의해 할당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에 대하여, 실제로 업무를 담당할 담당자(DEV) 그룹 권한자에게 단위업무를 등록하여 제공하는 단계이다.
S48단계는 S47단계에서 등록된 단위테스트가 필요한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담당자로 하여금 분석설계를 작성하고, 분석설계 검토자로 하여금 분석설계 검토를 받는 단계이다.
S49 단계는 단위테스트를 하지 않는 할당 상태의 단위업무(S47단계) 및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으로 검토되어진(S48단계) 할당상태의 단위업무에 대하여, 단위업무 담당자가 할당상태에서 진행 상태로 상태를 전이시키는 단계이다.
S50 단계는 S49단계로부터 검토상태로 전이되어진 단위업무에 대하여,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테스트를 하지않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산출물의 완료여부를 검토하여 반려 또는 종료 상태로 상태를 전이시킨다. 단위테스트를 하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업무 담당자가 단위업무의 진행 상태에서 등록한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검토 후 단위업무 산출물을 획득한 후 코드검토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코드검토결과 코드, 코드검토내용, 첨부화일 항목으로 이루어진 검토내용을 작성한다. 코드검토결과 코드는 성공과 실패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코드검토내용은 담당자가 작성한 단위업무작업내역을 참고로 실제 테스트한 결과 및 그에 따른 의견을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S52단계는 S50단계로부터 검증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사항을 QC(22) 그룹권한자가 통합테스트를 실시하여, 해당 변경요청사항의 실패 또는 종료여부를 결정하는 단계이다.
통합테스트결과가 실패일 경우 해당 변경요청의 하위 단위업무는 모두 실패로 상태가 자동전이되며, 실패상태의 단위업무는 실패사유를 기재한 뒤, S49단계의 단위업무 진행상태 전이 이 후의 업무를 반복 수행하게 되며 변경요청의 상태는 실패로 전이된다.
또한, 종속 단위업무가 모두 해결로 상태전이가 되면 실패상태의 변경요청은 다시 검증상태(S52단계)로 전이되어 검증상태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변경요청이 종료상태(S53단계)로 전이된 경우는 SCM 서버(13)에 의해 종속된 해결상태의 단위업무가 S51단계인 종료상태로 자동 전이된다.
S54 단계는 S53 단계인 변경요청사항이 모두 종료된 경우, 프로젝트 시작상태가 자동으로 종료상태로 바뀌는 단계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프로젝트 진행 또는 완료후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해 변경요청 사항이 발행하는 경우에 변경요청을 프로젝트 참여인원들이 체계적으로 관리하고 변경요청에 따른 단위 업무의 할당 및 검토가 용이하게 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프로젝트 개발중에 또는 개발 산출물에 관련하여 발생된 변경요청에 대한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형상관리 시스템에서 프로젝트 변경 요청 처리 절차를 설명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SCM 서버(13)는 단계 201에서 프로젝트 변경 요청이 수신되는 지를 판단한다. 변경요청사항이 발생한 경우 프로젝트 등록시에 프로젝트 참여인원으로 설정되고 변경요청을 등록할 수 있는 그룹권한 사용자가 변경요청사항을 등록할 수 있다. 즉, 프로젝트 참여인원으로 등록되고 변경요청을 등록할 수 있는 그룹권한 사용자가 단말(20)을 통하여 SCM 서버(13)로부터 인증에 성공한 경우 변경요청사항을 입력할 수 있다. 변경요청 등록항목에는 등록제목, 검색등록, 변경요청자코드, 변경요청제출자, 고객명, 유형코드, 종료요청일, 프로젝트, 상세내용, 관련 변경요청, 첨부화일을 포함한다.
즉, 사용자에 의한 프로젝트 변경요청을 수신하는 경우 SCM 서버(13)는 단계 203에서 변경요청 등록 사항을 수신하여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한다. 만약 변경요청에 관한 첨부파일이 존재하면,SCM 서버(13)는 첨부화일을 파일 시스템(15)에 저장한다. 변경요청 등록 사항은 등록제목, 검색등록, 변경요청자코드, 변경요청제출자, 고객명, 유형코드, 종료요청일, 프로젝트, 상세내용, 관련 변경요청, 첨부화일경로 항목을 포함한다.
변경요청의 등록제목은 단말(20)을 통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을 접속한 사용자가 변경요청사항을 조회할 때 직관성이 있도록 변경요청사항을 요약하여 작성하며, 검색등록은 검색기능을 통하여 단말(20)사용자가 변경요청을 조회할 경우 색인어를 작성한다. 변경요청자 코드는 변경요청 제출자에게 변경요청사항을 의뢰한 경우 의뢰한 조직의 유형을 코드화하여 선택할 수 있는 항목이며, 마케팅, SE(System Engineer), 고객, 경영진, 개발조직, 품질관리조직, 기타로 코드화 되어있다. 변경요청제출자는 변경요청을 등록하는 단말(20) 사용자의 이름을 보여주고,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고객명 항목은 해당 변경요청자 코드가 고객일 경우 선택할 수 있도록 하며, SCM 데이터베이스(14)에 등록된 고객데이터를 선택할 수 있도록 고객명, 고객주소리스트를 보여준다. 유형코드는 변경요청의 유형코드 목록이며, BUG, 기능개선, 기능추가, 문서로 코드화 되어있으며 BUG코드를 선택할 경우 BUG유형코드 항목이 활성화 되어 BUG 유형코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BUG유형코드 항목은 논리오류, 중복코드, 경계조건 오류, 메모리관리, 예외처리오류, 표준관련 오류, 이식성, UI오류, 빌드과정오류, 성능오류, 수정착오, 설계결함, 기타로 구성되어지며 기타를 선택할 경우, 변경요청 등록자가 유형을 입력할 수 있도록 한다. 종료요청일 항목은 변경요청 사안이 시급하거나, 중요도가 높은 경우 종료 요청일을 기재하도록 하며, 해당 변경요청사항에 연계되는 단위업무 등록 시 기재하는 단위업무 종료일(계획)이 변경요청의 종료요청일 전 까지 자동세팅 된다. 프로젝트 항목은 현재 등록하는 변경요청이 어느 프로젝트에 해당되는지 연결해주는 항목으로서 시작 또는 종료상태의 프로젝트 리스트를 보여주고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시작상태의 프로젝트에 연결되는 변경요청은 상태전이 때마다 진척률을 산출하며, 동일 프로젝트에 연결된 변경요청의 진척률과 누적평균을 산출하여 프로젝트 진척률을 보여준다. 종료상태의 프로젝트에 할당되는 변경요청은 종료상태의 프로젝트 진척률을 계산하지 않는다. 상세내용 항목은 해당 변경요청사항의 세부내역을 자세하게 입력하는 항목이며, 하이퍼링크기능을 제공하여 웹주소나 IP주소를 기재하여 관련 자료를 쉽게 참조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 변경요청 항목은 현재 등록하는 변경요청에 연결되어 등록되는 단위업무의 담당자가 단위업무를 진행하는데 참조할 수 있도록 기 종료상태로 전이된 유사한 변경요청을 연결해 주는 항목이며, 관련 변경요청사항을 검색하여 등록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해 준다. 첨부화일 항목은 상세내용에 기재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형태로 등록할 수 있는 항목이며, 변경요청 저장 시 해당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되고, 첨부화일 경로 항목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변경요청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를 통해 해당 변경요청 ID를 참조하여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획득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할 수 있다.
SCM 서버(13)는 단계 203에서 프로젝트 변경요청사항을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할 때 프로젝트 변경요청사항에 변경요청 ID를 부여하여 저장한다. 저장 시 SCM 서버(13)는 SCM 데이터베이스(14)의 기존 저장된 변경요청사항을 조회하여 기존 변경요청사항에 관련된 ID와 다른 변경요청 ID를 할당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변경요청 ID는 이니셜 C 한자리와 연도/월/일 8자리, 3자리 일련번호를 포함한 12자리의 캐릭터를 포함한다. 일련번호는 동일한 연월일에 등록된 변경요청 ID에 1을 추가하여 부여한다.
한편, SCM 서버(13)는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상태(접수), 작성날짜, 작성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에 변경요청항목에 관련한 이력(history)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또한 변경요청정보는 변경요청 등록자로 하여금 변경요청이 접수 상태인 경우 변경요청 내용을 수정/삭제할 수 있으며, 다른 상태에서는 수정이 불가능하다.
SCM 서버(13)는 변경요청항목 수정시,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상태, 작성날짜, 수정자ID, 작성항목, 작성 전 데이터, 작성 후 데이터, 수정사유를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하며, QC(22) 및 ADH(24) 그룹 권한을 가진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변경요청이 수정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한편, SCM 서버(13)는 변경요청 등록 시 변경요청 내역을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게 되면, 단계 205에서 QC(22)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신규 변경요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에 따라,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단말은 단계 205에서 신규 변경요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받는다.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의 단말은 이를 사용자에게 예컨대, 팝업 윈도우 등을 통해 통지한다.
QC(22)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등록된 접수상태의 변경요청사항을 할당상태로 전이시키거나, 보류처리하거나, 거부처리할 수 있다. QC(22)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품질관리조직이나 프로젝트 개발 산출물 테스트조직이며, 프로젝트의 기획, 개발 산출물의 논리적/물리적 구조, 프로젝트 참여인원의 역할에 대한 깊은 이해를 하고 있다. 만약, 접수상태의 변경처리가 처리되어져야 한다는 판단되면, QC(22)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변경요청의 상태를 할당상태로 전이시킴으로써 해당 변경요청을 승인할 수 있다.
그에 따라, QC(22)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 즉 QC 그룹 권한자의 단말(70)은 단계 207에서 QC 그룹 권한자에 의해 변경요청의 상태가 할당 상태로 전이되는 지를 판단하고, 할당 상태로 전이되면 이를 단계 211에서 SCM 서버(13)에 통지한다.
변경요청에 대한 상태가 변경되면, SCM 서버(13)는 단계 213에서 ADH(24)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신규 변경요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어서 SCM 서버(13)는 단계 215에서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상태(할당), 작성날짜, 상태 전이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반대로 QC(22)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등록된 접수상태의 변경요청사항이 타당하지 않다고 판단되어지는 경우 거부 처리함으로써 거부상태로 전이시키거나 타당하지 않다는 여부를 결정할 때까지 보류 처리함으로써 보류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고, 보류처리 및 거부처리 모두 해당상태로 전이되기 전에 보류처리 또는 거부처리 사유를 등록한다.
그에 따라, QC(22)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 즉 QC 그룹 권한자의 단말(70)은 단계 209에서 QC 그룹 권한자에 의해 변경요청의 상태가 거부상태 또는 보류상태로 전이되는 지를 판단하고, 거부상태 또는 보류상태로 전이되면 이를 단계 211에서 SCM 서버(13)에 통지한다.
변경요청에 대한 상태가 변경되면, SCM 서버(13)는 단계 215에서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상태(보류 또는 거부), 작성날짜, 상태 전이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이 경우에도 SCM 서버(13)는 QC(22) 및 ADH(24)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변경요청이 보류처리 또는 거부처리 되었음을 통지한다.
만약 보류 상태에 있는 변경요청이 타당하지 않다고 최종판단이 될 경우 QC(22) 그룹 권한자는 보류 상태의 변경요청을 거부상태로 전이할 수 있으며, 전이되기 전에 거부처리 사유를 등록한다. 이에 따라 QC 그룹 권한자의 단말(70)은 보류 상태의 변경요청이 거부상태로 전이되면, 이를 SCM 서버(13)에 통지한다. 이 경우, SCM 서버(13)는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거부상태, 작성날짜, 상태 전이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SCM 서버(13)는 QC(22) 및 ADH(24)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는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에게 보류 상태의 변경요청이 최종적으로 거부처리 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은 단계 213에서 할당 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을 통지받으면, 이를 ADH(24)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한다.
도 6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ADH(24) 그룹 권한자는 할당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과 관련하여, 해당 변경요청에 대한 실질적인 처리업무를 담당하며, 해당 변경요청에 대해 이의제기를 발생시켜 이슈처리 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ADH(24) 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이슈처리를 할 경우 이슈내용 및 이슈회의일시, 관련인원, 첨부화일 항목을 등록한다. 이슈내용은 할당상태로 전이되어진 변경요청에 대하여 이의제기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등록하며, 이슈회의일시는 관련 변경요청사항의 처리여부를 결정하기 위해 이슈회의를 개최할 연월일시분초를 설정하는 항목이며, 관련인원은 이슈회의에 참석할 해당 프로젝트의 참여인원을 선택하여 등록하되 반드시 QC(22) 그룹 권한을 가지고 있는 사용자는 1명 이상 등록하도록 하고, 첨부화일 경로 항목은 이슈내용에 기술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형태로 등록하는 항목이다. 즉, ADH(24)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는 이슈처리에 필요한 항목을,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로 입력할 수 있다.
ADH(24)그룹권한을 가진 사용자가 이슈처리 항목들을 입력하면,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은 이를 SCM 서버(13)로 전송한다. SCM 서버(13)는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로부터 이슈처리 항목들을 수신하여 데이터베이스(14)로 저장하며, 첨부화일은 파일 시스템(15)에 저장하고,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이슈상태, 작성날짜, 상태 전이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QC(22) 그룹 권한자 및 ADH(24) 그룹 권한자 그리고 이슈회의 참석자에게 변경요청이 이슈처리 되었음을 통지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변경요청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또한 이슈처리에서 등록한 이슈회의일시는 이슈회의 참석자의 경우 일정 조회화면에서 보여질 수 있어야 하며, 해당 이슈회의일시가 도래하는 날에는 일정별 참여인원에게 통지할 수 있어야 한다. 이슈등록 시 등록한 QC(22)그룹 권한을 가진 회의참여자는 이슈회의 결과를 등록해야 하며, 이슈회의일시, 결정사항, 관련인원, 첨부화일 항목을 등록한다.
이슈회의일시 항목은 SCM 서버(13)에 의해 SCM 데이터베이스(14)에서 조회하여 이슈처리(S46 단계)에서 등록한 이슈회의일시를 수정할 수 있어야 하며, 결정사항 항목은 이슈회의결과의 상세한 내용을 입력하고, 관련인원 항목은 이슈처리(S46단계)에서 등록한 관련인원에서 실제로 회의에 참석한 사람을 선택한다. 첨부화일 항목은 결정사항 항목에 기재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형태로 등록할 수 있는 항목이며, 이슈회의결과 저장 시 해당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되어지고, 변경요청ID, 이슈회의일시, 결정사항, 관련인원, 첨부화일 경로정보는 SCM 서버(13)에 의하여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변경요청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SCM 서버(13)는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이슈상태, 이슈회의결과 작성날짜, 이슈회의결과 등록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QC(22) 그룹 권한자 및 ADH(24) 그룹 권한자 그리고 이슈회의 참석자에게 변경요청의 이슈회의 결과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한편, ADH(24) 그룹 권한자가 할당상태의 변경 요청에 대해 이의제기가 없다면, 실제로 업무를 담당할 담당자 그룹(DEV 그룹)의 사용자에게 단위 업무를 할당한다.
그에 따라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은 단계 217에서 ADH(24) 그룹 권한자로부터 변경요청과 관련된 단위 업무를 등록받는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당 단위업무를 등록하는 ADH(24) 그룹 권한자는 단위업무 등록 시 등록제목, 상세설명, 예상소요 MD, 작업지시 시작일, 작업지시 종료일, 단위업무 제출자, 단위업무 담당자, 단위업무 검토자, 단위테스트여부, Work Type 코드, 분석설계 여부, 분석설계 검토자, 모듈코드, 첨부화일 항목을 입력한다.
등록제목 항목은 단말(20)을 통하여 형상관리시스템을 접속한 사용자가 단위업무 리스트를 조회할 때 직관성이 있도록 단위업무 내용을 요약하여 작성하며, 상세설명 항목은 해당 단위업무의 구체적인 내용을 기술하고, 예상소요 MD 항목은 단위업무 담당자가 단위업무를 종료처리 하는데 소요되는 추정일 수를 입력한다.
작업지시시작일 및 작업지시종료일은 담당자로 하여금 해당 단위업무를 시작할 날짜와 종료될 날짜로서, 단위업무를 등록하는 ADH(24) 그룹 권한자에 의해 지정되는데, 연월일시분초의 단위로 입력된다.
SCM 서버(13)는 작업지시 시작일의 경우 단위업무를 등록하는 현재 날짜보다 이전날짜로 등록이 되어서는 안되며, 변경요청의 종료요청일 이후로 설정되어서는 안되도록 SCM 데이터베이스(14)가 설치된 시스템의 날짜를 참조하여 유효성 체크를 한다. 또한, SCM 서버(13)는 변경요청의 종료 요청일이 기재가 되어있지 않은 변경요청의 경우 프로젝트 종료일 이후로 설정이 안되도록 유효성 체크를 수행한다. SCM 서버(13)는 작업지시종료일은 작업지시 시작일 이전으로 설정되지 않도록 하며, 변경요청의 종료요청일 이후로 설정되어서는 안 되도록 유효성 검사를 한다.
단위업무제출자 항목은 단위업무를 작성하는 ADH(24) 그룹 권한자의 이름이 조회되어 입력되며 수정할 수 없도록 한다. 단위업무 담당자 항목은 실제로 단위업무를 처리하는 해당 프로젝트의 참여인원 중 DEV(23)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를 조회하여 입력한다.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업무 담당자로부터 검토상태로 상태 전이된 단위업무에 대하여 코드 검토를 통하여 성공 또는 실패여부를 결정하는 주체를 지정하는 항목으로서 해당 프로젝트의 참여인원이며, ADH(24) 그룹 권한을 가진 사용자로서 선택될 수 있다.
단위테스트여부 항목은 단위업무 검토자로 하여금 코드검토를 받을지 여부를 선택하는 항목이다. 단위 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가 필요하다고 설정된 경우 dev(23) 그룹 권한자가 단위 업무에 대해 검토상태로 전이시키기 전에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작성하도록 되어있다. 단위테스트가 필요하다고 설정된 경우 자동으로 분석설계 여부 항목도 필요하다고 설정된다.
Work Type 코드는 단위테스트가 필요 없는 문서작업이나 조사업무에 해당되는 단위업무의 경우 해당항목에 설정하며, 자료조사 및 STUDY, MANUAL, 작업, HELP제작, 인증업무, 제품화면디자인, 제품스펙 및 설계서, 백서 등 기술문서가 코드목록으로 구성된다.
분석설계 여부항목은 단위테스트가 필요하다고 설정될 경우 자동으로 설정되며, 분석설계가 필요하다고 설정된 경우 분석설계 검토자를 선정해야 한다. 분석설계는 단위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가 코드검토를 통해 종료가 되더라도 개발 산출물에서 반복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문제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드시 거치도록 설정된 절차이다.
분석설계 검토자 항목은 해당 단위업무를 처리하는 담당자가 작성한 분석설계에 대해 타당성 및 단위업무를 진행 상태로 전이해도 문제가 없는지 가부를 결정하는 검토자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분석설계 검토자 항목은 폭넓은 개발검토를 위해 해당 프로젝트 참여인원 외에 다른 프로젝트 참여/미참여 인원 중 QC(22) 그룹 권한자 또는 ADH(24) 그룹 권한자를 설정하도록 하고 각 검토자별로 선결/후결의 속성을 부여한다.
선결속성의 경우 후결속성의 분석설계 검토자의 검토가 없더라도 단위업무 담당자가 작성한 분석설계내용에 문제가 없다는 판단을 등록하면, 담당자로 하여금 진행 상태로 전이가 가능하다. 모듈코드 항목은 단위업무 작성자인 ADH(24) 그룹 권한자가 단위업무처리에서 수정 또는 추가되어지는 개발 산출물의 명칭 또는 논리적 기능명칭을 기재하는 항목이다. 첨부화일 항목은 상세설명에 기술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형태로 등록하는 항목이다. 단위업무 저장시 해당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된다.
SCM 서버(13)는 ADH 그룹 권한자 단말(72)로부터 전송되는 단위업무 항목들의 저장시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작성일시, 등록제목, 상세설명, 예상소요 MD, 작업지시시작일, 작업지시종료일, 단위업무제출자, 단위업무 담당자, 단위업무검토자, 단위테스트여부, Work Type 코드, 분석설계 여부, 분석설계 검토자, 모듈코드,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는 단위업무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를 통해 해당 단위업무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할 수 있다.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의 변경요청 ID, 변경요청 진행상태, 진행상태 변경일시, 단위업무 등록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추가로 단위업무 ID, 단위업무 할당상태, 단위업무 작성일시, 단위업무 등록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이 경우, 만약 변경 요청일에 종료요청일이 설정되어있지 않다면,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의 작업지시 종료일을 변경요청의 작업종료 예상일로 갱신하며, 또한 이력 저장 후 단위업무 담당자 및 검토자, QC(22)그룹 권한자에게 신규 단위업무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하고, 해당 변경처리가 진행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
SCM 서버(13)는 단위업무 내용을 저장할 때 SCM 데이터베이스(14)의 기존 저장된 단위업무를 조회하여 동일한 연월일에 등록된 변경요청 ID에 1을 추가하여 부여한다. 예컨대, 단위업무 ID는 단위업무이니셜 T한자리와 연도/월/일 8자리와 3자리 일련번호를 포함한 12자리의 형식을 갖는다.
해당 단위업무 등록자는 해당 단위업무를 분석설계 등록이 되지 않은 할당 상태에서만 수정/삭제가 가능하다. 수정 시, SCM 서버(13)는 단위업무 ID, 단위업무 할당상태, 수정날짜, 수정자 ID, 작성항목, 작성 전 데이터, 작성 후 데이터, 수정사유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하며, 단위업무 담당자 및 검토자, QC(22) 그룹 권한자에게 단위업무가 수정되었음을 통지한다. SCM 서버(13)는 삭제 시 단위업무 ID, 단위업무 할당상태, 삭제날짜, 삭제자 ID 작성 후 데이터 삭제사유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하며, 단위업무 담당자 및 검토자, QC(22) 그룹 권한자에게 단위업무가 삭제되었음을 통지한다.
이어서, ADH(24) 그룹 권한자의 단말(72)이 단계 219에서 단위 업무 및 담당자를 통지하면, SCM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을 진행 상태로 전이시키고, 진행 상태로의 전이에 관한 사항을 그 이력 사항으로서 SCM 데이터베이스(13)에 저장한다.
그리고, SCM 서버(13)은 단계 221에서 QC(22) 그룹 권한자 단말 및 ADH(24) 그룹 권한자 단말,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에게 단위업무의 할당 및 그 등록 정보를 통지한다. 단위업무 담당자는 DEV 그룹 권한자이며, 단위업무 검토자는 QC(22) 그룹 권한자 단말 및 ADH(24) 그룹 권한자 단말중 하나가 될 수 있다.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인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는 단위업무의 할당 및 그 등록 정보를 SCM 서버(13)로부터 통지받으면, 이를 DEV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한다. DEV 그룹 권한자가 할당받은 단위업무를 수행하여 산출물을 생성되면 DEV 그룹 권한자 단말(223)은 단계 223에서 단위업무 산출물을 입력받는다.
한편, DEV 그룹 권한자 단말(223)은 이러한 단위업무의 산출물을 생성하여 입력받는 단계인 단계 223은 여러 과정들을 포함하는데, 이 과정들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에서 단위업무 수행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단계 301에서 단위업무를 할당받았는 지를 판단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단위업무 등록 사항에는 단위테스트의 필요 여부 사항도 포함한다. 따라서,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단위 업무를 할당받으면 단계 303에서 단위업무의 등록 사항에 기초하여 할당받은 단위업무가 단위테스트를 요구하는 지를 판단한다.
등록된 단위테스트가 필요한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담당자로 하여금 분석설계를 작성하고, 분석설계 검토자로 하여금 분석설계 검토를 받아야 한다.
그에 따라,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할당받은 단위업무가 단위테스트를 필요로 하면, 단계 305에서 이를 DEV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하여 분석설계를 수행하도록 한다. 이어서,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단계 309에서 분석 설계 등록을 수행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석 설계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석설계 등록항목은 문제점분석, 구현방안, 이슈/검토사항, 단위시험, 첨부화일로 구성된다.
다시 말해,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단계 309에서 DEV 그룹 권한자가 분석 설계 등록을 수행하며, 이 경우,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분석 설계에 관한 첨부화일이 있으면 첨부파일도 SCM 서버(13)로 전송한다.
SCM 서버(13)는 첨부파일을 수신하면 파일 시스템(15)에 저장하고, 또한 분석설계 등록 사항들인, 단위업무ID, 분석설계ID, 분석설계 작성일시, 문제점분석, 구현방안, 이슈/검토사항, 단위시험,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분석설계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File system(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 ID, 단위업무 할당상태, 분석설계 등록일시, 분석설계 등록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단계 310에서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에게 분석설계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해당 분석설계는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90)로부터 분석설계검토 내용이 등록되기 전까지 수정이 가능하며, 수정 시 단위업무 ID, 단위업무 할당상태, 분석설계 수정날짜, 수정자 ID, 수정항목, 수정 전 데이터, 수정 후 데이터, 수정사유를 SCM 서버(13)에 의해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이 저장되며, 분석설계 검토자에게 분석설계가 수정되었음을 통지한다.
분석설계 내용이 등록되었다는 통지를 확인한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은 단계 313에서 분석설계 검토자에게 예컨대, 팝업 윈도우 또는 음성 알림 등을 통해 통지하여 분석 설계 검토자가 해당 분석 설계를 검토하도록 한다.
분석 설계 검토자가 단위업무 담당자가 등록한 문제점분석, 구현방안, 이슈/검토사항, 단위시험, 첨부화일을 참조하여 검토내용과 검토결과를 작성하고 그 검토 내용을 등록한다. 그에 따라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은 단계 315에서 분석설계 검토에 따른 등록이 행해지는 지를 판단한다.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은 분석 설계 검토결과가 문제있음으로 등록될 경우 단계 317에서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에게 통지한다. 그에 따라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이 DEV 그룹 권한자에게 분석설계가 문제있음을 통지하여 해당 단위업무 담당자는 다시 분석설계를 작성하여 분석설계 검토자로부터 검토 받아야 한다.
그리고,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은 분석 설계 검토결과가 문제없음으로 등록될 경우 단계 319에서 SCM 서버(13)로 이를 통지한다. 또한, SCM 서버(13)는 분석 설계에 관련된 이력 사항을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하고 단위업무 검토자에게 통지할 수도 있다.
즉,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80)이 분석설계 검토가 문제있음/문제없음으로 분석설계 검토내용을 등록하게 되면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할당상태, 분석설계검토 등록일시, 분석설계 검토내용 등록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하고, 단계 321에서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74)에게 분석설계검토 결과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그에 따라 단위업무 담당자는 해당 단위업무를 할당상태에서 진행상태로 전이시킬 수 있다.
즉,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단계 321에서 분석설계검토 결과가 등록되었음을 통지받으면 이를 단위업무 담당자인 DEV 그룹 권한자에게 알려줌으로써 단위업무를 수행하도록 한다.
그에 따라, 단위업무 담당자인 DEV 그룹 권한자는 단위테스트를 하지 않는 할당 상태의 단위업무 또는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으로 검토되어진 할당상태의 단위업무에 대하여, 할당상태에서 진행 상태로 상태를 전이시킨다. 그에 따라,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은 진행 상태로 전이된 단위업무 및 그 관련 사항을 SCM 서버(13)로 통지한다(도시 생략). 이 경우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진행상태, 진행상태 전이일시 , 단위업무 담당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뒤, 단위업무 검토자에게 단위업무가 진행 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할 수 있다.
단위업무 담당자는 진행 상태 과정에서 관련 산출물을 신규로 생성 또는 수정 작업을 하게 된다. 이 경우, 단위업무 담당자는 SCM 서버(13) 및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하여 버전 제어 저장소(12)로부터 획득 후 수정 또는 신규생성 후 등록 작업을 실시한다.
다시 말해, 또한 단위테스트를 하지않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담당자가 검토상태로 단위업무를 전이시키며, 단위테스트가 필요한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담당자가 문제원인, 테스트내용, 첨부화일, 실소요MD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등록하여야 한다. 문제원인은 분석설계에서 문제없음으로 검토결론 지어진 분석설계의 문제점분석 내용을 기본내용으로 보여주며 보완할 수 있도록 하며, 테스트 내용은 분석설계에서 문제없음으로 검토결론 지어진 분석설계의 단위시험을 기본내용으로 보여주어 보완할 수 있도록 하고, 첨부화일은 작업내용 및 테스트내용에 기재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 형태로 등록할 수 있게 하고, 실소요 MD는 단위업무 담당자가 실제 단위업무 작업완료 시점까지 소요된 실제 일수를 등록한다.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74)은 단계 322에서 단위업무 작업내역 등록이 이루어지는 지를 판단함으로써 단위업무 수행에 따른 산출물이 발생하는 지를 판단한다.
다시 도 6을 참조하면,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74)인 DEV 그룹 권한자 단말(74)는 단위업무에 따른 산출물이 생성되면 단계 225에서 산출물에 대한 검토 요청을 SCM 서버(13)에 통지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검토 요청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DEV 그룹 권한자 단말(223)은 단위업무 담당자로부터 검토 요청을 선택받을 수 있다.
SCM 서버(13)은 관련 작업이 이루어질 때마다 단위업무ID, 버전 제어 시스템(11) 사용명령, 명령에 사용되는 개발산출물 리스트, 명령호출자(단위업무 담당자) ID, 명령호출 날짜를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다.
단위업무 담당자가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저장 할 경우 해당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되고, 단위업무ID, 문제원인, 테스트내용, 첨부화일경로 정보, 실소요MD는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단위업무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또한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진행상태, 단위업무 작업내역 등록일시, 단위업무 담당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뒤, 단계 325에서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인 ADH 그룹 권한자 단말(72)에게 단위업무 작업내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위업무 검토자가 ADH 그룹 권한자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어서,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74)은 단위업무의 진행 상태를 검토상태로 전이시킨다. 또한,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검토상태, 단위업무 검토상태 전이일시, 단위업무 담당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단위업무 검토자에게 단위업무 진행상태가 검토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도시 생략).
다른 실시예에 따라, SCM 서버(13)는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에게 단위업무 작업내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할 때, 단위업무 진행 상태가 검토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할 수도 있다.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은 검토상태로 전이되어진 단위업무에 대하여 단위업무 검토자에게 알려준다. 그에 따라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테스트를 하지 않는 단위업무의 경우 SCM 서버(13) 및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하여 버전 제어 저장소(12)로부터 획득 후 산출물의 완료여부를 검토하여 반려 또는 종료 상태로 상태를 전이시킨다.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은 단위테스트를 하지 않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계 229에서 단위업무 산출물이 반려 상태로 전이되는지 종료 상태로 전이되는 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단위테스트를 하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업무 담당자가 단위업무의 진행 상태에서 등록한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검토 후 SCM 서버(13) 및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하여 버전 제어 저장소(12)로부터 해당 산출물을 획득 후 코드검토 및 테스트를 진행하여 코드검토결과 코드, 코드검토내용, 첨부화일 항목으로 이루어진 검토내용을 작성한다. 코드검토결과 코드는 성공과 실패로 선택할 수 있도록 되어있으며, 코드검토내용은 담당자가 작성한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참고로 실제 테스트한 결과 및 그에 따른 의견을 구체적으로 기재한다.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은 단위테스트하는 단위업무의 경우 단계 229에서 코드검토 결과를 체크함으로써 단위업무가 성공인지 실패인지를 판단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업무 검토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은 단계 231에서 단위업무 실패를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74)에 통지한다. 또는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72)은 단계 233에서 단위업무 성공을 SCM 서버(74)에 통지한다.
단위 업무에 관련하여 등록된 첨부화일은 코드검토내용에 기재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 형태로 등록할 수 있게 하고, 코드검토내역을 저장 할 경우 해당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되고, 단위업무 ID, 코드검토결과, 코드검토내용, 첨부화일 경로정보가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단위업무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 ID를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또한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검토상태, 단위업무 코드검토 등록일시 , 단위업무 검토자 ID을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에게 단위업무 코드검토 내역이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그에 따라 단위업무 검토자는 단위업무의 진행 상태를 코드검토 결과가 성공인 경우 해결상태로, 코드검토 결과가 실패인 경우 진행 상태로 전이시키며, 단위업무 작업을 다시 수행한다.
SCM 서버(13)는 해당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진행 또는 해결상태, 단위업무 진행 또는 해결 상태 전이일시, 단위업무 검토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단위업무 담당자 단말로 단위업무 진행상태가 진행 또는 해결 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
이후, SCM 서버(13)는 단위업무가 해결상태로 전이되는 시점에 해당 변경요청에 종속된 단위업무가 모두 해결 상태라면, 변경요청을 검증상태로 자동 전이시킨다.
이 때 SCM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ID, 변경요청 검증상태, 변경요청 검증상태 전이 일시, 단위업무 검토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뒤, QC(22) 그룹 권한자 단말(70)에게 변경요청이 진행에서 검증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 반대로 SCM 서버(13)는 변경요청에 종속된 단위업무가 하나라도 해결 이전의 상태라면 변경요청 진행상태를 유지한다.
최종적으로, QC(22) 그룹권한자 단말(70)은 검증상태로 전이된 변경요청사항을 QC(22)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하여 QC(22) 그룹 권한자가 통합테스트를 실시하여, 해당 변경요청사항의 실패 또는 종료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 때 단위테스트가 필요없는 단위업무로만 구성되어진 문서 유형의 변경요청의 경우, 통합테스트의 과정 없이 실패/종료여부만 결정하며, SCM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ID, 실패 또는 종료상태, 변경요청 실패 또는 종료 상태 전이일시, 변경요청 실패 또는 종료상태 전이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뒤, QC(22)그룹 권한자, 해당 단위업무 담당자, 해당 단위업무 검토자에게 변경요청이 검증에서 실패 또는 종료 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
변경요청 실패상태로 전이된 경우, 종속된 단위업무는 단위업무 진행상태 전이 이후의 업무를 반복 수행하게 되며 변경요청의 상태는 실패로 전이된다. 이 후 종속 단위업무가 모두 해결로 상태전이가 되면 실패상태의 변경요청은 다시 검증상태로 전이되어 검증상태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변경요청이 종료상태로 전이된 경우는 SCM 서버(13)에 의해 종속된 해결상태의 단위업무가 종료상태로 자동 전이된다.
이후, 각 단위업무들이 수행된 후 각 단위업무들로 구성된 프로젝트 산출물에 대한 통합테스트가 수행되어 그 검증 결과에 따라 프로젝트 종료가 결정된다. 이 단계에 대해서는 도 6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이 명백하다.
구체적으로, 단위테스트가 필요한 단위업무로만 구성되어진 변경요청의 통합테스트를 실시할 때, QC(22) 그룹 권한자는 SCM 서버(13) 및 버전 제어 시스템(11)을 통하여 버전 제어 저장소(12)로부터 해당 산출물 또는 사이드 효과(Side effect)가 예상되는 모든 산출물을 획득 후 통합테스트를 실시하여 TEST 일시, TEST 기능, TEST 환경, TEST항목, 예상결과, 실제결과, 첨부화일을 등록한다. 통합테스트 등록은 1회 이상 등록이 가능하며, 통합테스트 작성자가 작성한 통합테스트에 한하여 변경요청이 검증상태인 경우에만 수정 또는 삭제가 가능하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테스트 등록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TEST 일시는 통합테스트 결과를 등록하는 년월일시분초 이며, TEST 기능은 프로젝트 등록 전에 정의한 코드화된 개발 산출물의 기능리스트이다.
TEST 환경은 통합테스트를 실시하는 장비의 사양, 오퍼레이팅 시스템(Operating System), 해당장비에 운영중인 서비스 프로세스(process) 내역을 기재하며, TEST 항목은 통합테스트 진행 시 변경요청의 실패/종료를 가늠하는 테스트상의 체크포인트를 기술하고, 예상결과 항목은 종료상태로 설정하기 위한 성공적인 결과 또는 기능을 기술하며, 실제결과는 테스트 후 실제로 도출 되는 결과 또는 기능을 기술한다. 첨부화일은 실제결과를 기재하기 힘든 내용을 파일형태로 등록하는 항목이며, 통합테스트 저장 시 첨부화일은 SCM 서버(13)에 의하여 파일 시스템(15)에 저장되고, 변경요청ID, 통합테스트 순번, TEST일시, TEST기능, TEST환경, TEST항목, 예상결과, 실제결과, 첨부화일 경로정보가 SCM 데이터베이스(14)에 저장된다. 첨부화일은 단말(20)을 이용하여 형상관리시스템(10)에 접속한 사용자가 변경요청 리스트 조회 시 해당 화일을 열람하고 싶을 경우 CMS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 ID 와 통합테스트 순번을 획득하고 SCM 데이터베이스(14)로부터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참조하여, 파일 시스템(15)으로부터 다운받아 해당 화일을 열람한다.
또한 SCM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ID, 변경요청 검증상태, 통합테스트 등록일시, 통합테스트 등록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뒤, QC(22)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합테스트가 등록되었음을 통지한다.
변경요청이 검증상태이며, 통합테스트의 등록자인 경우에 한하여 해당 통합테스트를 수정 및 삭제 할 수 있다. 수정의 경우 변경요청 ID, 통합테스트 순번, 변경요청 검증상태, 통합테스트 수정일자, 통합테스트 수정자 ID, 수정항목, 수정 전 데이터, 수정 후 데이터, 수정사유를 SCM 서버(13)에 의해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이 저장되며, QC(22)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변경요청의 통합테스트가 수정되었음을 통지한다.
통합테스트 삭제의 경우 변경요청 ID, 통합테스트 순번, 변경요청 검증상태, 통합테스트 삭제일자, 통합테스트 삭제자 ID, 삭제사유를 SCM 서버(13)에 의해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이 저장되며, QC(22)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변경요청의 통합테스트가 삭제되었음을 통지한다.
단위테스트가 필요한 단위업무로만 구성되어진 변경요청의 통합테스트 결과가 실패인 경우, QC(22)그룹 권한자 단말은 검증상태의 변경요청 상태를 실패로 전이시키며, 종속된 단위업무는 실패상태로 전이되고, SCM 서버(13)는 해당 변경요청ID, 변경요청 실패상태, 변경요청 실패상태 전이일시, 변경요청 실패상태 전이자 ID와 함께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을 저장한 다음, QC(22)그룹 권한자 단말에게는 해당 변경요청이 실패상태로 전이되었음을, 변경요청에 종속된 모든 단위업무의 담당자,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에게는 단위업무가 실패상태로 전이되었음을 통지한다.
실패상태인 변경요청에 종속된 실패상태의 단위업무 담당자는 해당 실패원인등록을 통합테스트 내역과 연관시켜 등록하고 단위업무 진행상태 전이 이 후의 과정을 반복하며, 종속된 단위업무가 모두 해결로 상태전이가 되면 실패상태의 변경요청은 다시 검증상태로 전이되어 검증상태 이후의 과정을 반복한다. 변경요청 종료상태로 전이된 경우는 SCM 서버(13)에 의해 종속된 해결 상태의 단위업무가 종료상태로 자동 전이된다. 검증상태의 변경요청이 통합테스트 결과에서 성공인 경우 QC(22)그룹 권한자 단말은 해당 변경요청을 종료상태로 전이시키며, 해당 변경요청에 종속된 해결상태의 단위업무는 종료상태로 자동 전이된다.
변경요청사항이 모두 종료된 경우, 프로젝트 시작상태가 자동으로 종료상태로 전이된다. SCM 서버(13)는 해당 프로젝트ID, 프로젝트 종료상태, 프로젝트 종료상태 전이일시, 프로젝트에 종속된 종료상태의 변경요청 중 가장 마지막으로 종료상태 전이시킨 QC(22)그룹 권한자 ID를 SCM 데이터베이스(13)로 이력 사항으로서 저장한 뒤, 프로젝트 상태가 종료로 전이되었음을 프로젝트 참여인원 전체에게 통지한다.
종료상태의 프로젝트 및 종속된 종료상태의 변경요청, 종료상태의 변경요청에 종속된 종료상태의 단위업무는 수정이나 삭제가 불가능하며, 종료된 프로젝트 결과물인 개발 산출물은 향후 지속적으로 기능개선, BUG, 기능추가 등 변경요청사항들이 발생하며, QC(22)그룹 권한자와 ADH(24)그룹 권한자가 긴밀히 협의하여, 릴리즈 계획을 수립하고 기존 프로젝트의 종속프로젝트로 등록하여 운영할 수 있다. 또한 추가적인 릴리즈 계획이 없거나 종속프로젝트로 진행할 동기가 없을 경우 변경처리 등록시 종료상태의 프로젝트를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도록 한다. 프로젝트 종료상태 이 후에 등록된 변경요청의 경우 프로젝트 종료기간 이 후에 등록되므로, 프로젝트 기간 중에 종료된 변경요청과 구분되어 식별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현된 형상관리시스템에 있어서 형상감사기능은 프로젝트, 변경요청, 단위업무별로 제공되며, 상호 연계되어 정보를 추출할 수 있다.
도 13은 이러한 형상감사 기능에서 프로젝트/변경요청/단위업무의 상태별 진척률 산출표를 나타낸 도면이다.
각 상태별 진척률은 고정된 값으로 진행되어지며, 다수의 종속성을 갖는 상태의 경우를 고려하여 필요에 따라 특정 상태의 진척률은 누적평균을 수행하도록 되어있다.
프로젝트의 경우, 프로젝트 유형, 프로젝트 일정, 일정별 진척률, 프로젝트 참여인원, 프로젝트 형상아이템, 버전 제어 저장소(12)가용성, 프로젝트 수정이력으로 세분화된다.
프로젝트 유형은 제품에 대한 프로젝트의 경우, 제품명, 버전, 릴리즈, 플랫폼별로 구분이 가능해야하며, 일반프로젝트의 경우는 프로젝트 제목을 보여준다.
프로젝트의 일정은 프로젝트 등록 단계(S40)에서 실시한 일정을 보여주며, 일정별 진척률은 프로젝트 일정범위에 해당된 변경요청의 종요요청일 또는 변경요청 종료예정일을 참조하여, 해당 변경요청 진척률의 누적평균을 보여준다. 프로젝트 참여인원은 해당 프로젝트의 참여인원 수를 제공하며, 프로젝트 형상아이템은 저장소에 등록된 개발 산출물의 용량을 기재하고 버전 제어 저장소(12) 가용성은 버전 제어 저장소(12)에 가해진 판독(read) 및 기록(write)을 전체 판독/기록 합계의 백분율로 표현해 주고 해당프로젝트 저장소의 총 용량을 표기해준다. 프로젝트 수정이력은 프로젝트 정보에 수정을 한 입력항목별 수정빈도를 도표로 표기하여 준다.
변경요청의 경우, 프로젝트, 변경요청, 변경요청 진척률, 변경요청상태, 변경요청 상태이력, 종속 단위업무, 유형, BUG유형, 종료요청일, 수정이력, 형상아이템 로그로 세분화된다.
프로젝트는 제품에 대한 프로젝트의 경우, 제품명, 버전, 릴리즈, 플랫폼별로 구분이 가능해야하며, 일반프로젝트의 경우는 프로젝트 제목을 보여준다.
변경요청은 해당 프로젝트에 해당된 변경요청을 보여주며, 각 상태별 진척률 및 상태를 표기하여 준다. 변경요청 상태이력은 변경요청이 접수 상태에서 부터 종료에 이르기까지 상태변이를 변이일시, 이전상태, 변경상태, 변경자, 사유로 보여주고, 변경요청사항별 종속 단위업무의 상태 및 진척률을 세부항목으로 보여주며, 해당 변경요청등록 단계(S41)에서 등록한 변경요청 유형 과 유형이 BUG인 경우 BUG유형을 표기하며, 종료요청일을 보여준다. 수정이력은 해당 변경요청수정 시 수정을 한 입력항목별 수정빈도 및 사유를 도표로 표기하여준다. 이때 종료요청일 수정의 경우 프로젝트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서 작용한다. 형상아이템 로그의 경우, 해당 변경요청을 진행하면서 수행해온 버전 제어 저장소(12)의 판독(read) 및 기록(write) 관련 명령과 종속된 단위업무에서 수행한 판독 및 기록 관련 명령을 전체 판독/기록 합계의 백분율로 표현해 주고 가장 많이 참조한 최상위 5위까지의 형상아이템을 세부 내역으로 각각 보여준다.
단위업무의 경우, 프로젝트, 변경요청, 변경요청 유형, BUG유형, 단위업무, 단위업무 상태, 단위업무 상태이력, 단위업무 진척률, 변경요청 예상종료일, 작업지시시작일, 작업시작일, 작업지시종료일, 작업종료일, 예상소요MD, 실제소요MD, 수정이력, 형상아이템 로그로 세분화된다. 프로젝트는 제품에 대한 프로젝트의 경우, 제품명, 버전, 릴리즈, 플랫폼별로 구분이 가능해야하며, 일반프로젝트의 경우는 프로젝트 제목을 보여준다.
변경요청은 해당 프로젝트에 해당된 변경요청을 보여주며, 변경요청등록 단계(S41)에서 등록한 변경요청 유형 과 유형이 BUG인 경우 BUG유형을 표기하며, 단위업무는 해당 변경요청에 등록한 단위업무 및 현재상태, 상태이력, 상태별 진척률을 보여준다. 상태이력은 단위업무 할당상태에서부터 종료 상태에 이르기까지의 상태변이를 변이일시, 이전상태, 변경상태, 변경자, 사유로 보여주고 변경요청 예상종료일은 변경요청 등록 단계에서(41) 설정한 종료요청일이 있다면 해당 항목을 보여주고, 설정이 없다면 해당 변경요청에 등록한 단위업무 중 작업지시종료일이 가장 늦은 일정을 보여준다.
작업지시시작일과 작업지시종료일은 단위업무 등록단계(S47)에서 등록한 항목을 보여주며, 작업시작일은 해당 단위업무의 담당자가 할당상태의 단위업무를 진행상태로 전이시킨 날짜를 보여주며, 작업종료일은 변경요청이 종료상태가 되어 자동으로 단위업무가 종료상태로 전이된 날짜를 보여준다. 예상소요MD는 단위업무 등록단계(S47)에서 등록한 정보를 보여주며, 실제소요MD는 단위업무 작업내역을 등록하는 단계(S49)에서 등록한 정보를 보여주고, 수정이력은 해당 단위업무수정 시 수정을 한 입력항목별 수정빈도 및 사유를 도표로 표기하여준다. 이때 단위업무 수정이력의 경우 프로젝트 지시시작일과 프로젝트 지시종료일 관련 수정이력은 변경요청 지연에 영향을 미치는 이슈로서 작용한다. 형상아이템 로그의 경우, 해당 단위업무를 진행하면서 수행해온 버전 제어 저장소(12)의 판독(read) 및 기록(write) 관련 명령과 실행시간, 명령실행자, 명령에 적용된 형상아이템을 저장소 경로, 저장소명, 버전으로 각각 보여준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형상관리 기술은, 시스템구성 측면에서 볼 때 형상관리시스템을 구성하는 각각의 시스템이 TCP/IP로 통신이 가능하다면, 여러 운영체제 및 하드웨어 구성에 분산운영이 가능하도록 되어있어, 형상관리시스템의 환경을 고려하지 않아도, 다양한 개발환경 및 개발 산출물이 도출될 수 있도록 지원하며, 시스템 관리자로부터 유지보수의 편리성을 제공한다. 형상관리 시스템의 운영 측면에서 볼 때 프로젝트가 진행되는 모든 과정을 가시화함으로써, 개발조직 간의 원활한 의사소통, 개발 산출물의 품질향상, 개발일정의 단축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24)

  1.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요청을 등록받으면 상기 변경 요청을 제1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의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받으면 제2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상기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하고, 상기 제2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과 관련된 복수개의 단위업무들을 등록받으면 상기 단위업무들을 제3 그룹 권한자 단말들에게 각각 할당하여 그 산출물을 제공받는 형상관리 서버와,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한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형상관리 데이터베이스와,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산출물 및 상기 변경 요청에 따른 개발 산출물을 저장하는 버전 제어 저장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버전 제어 저장소에 저장된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개발 산출물 및 상기 변경 요청에 따른 개발 산출물에 버전을 부여하여 상기 프로젝트에 관련된 버전을 관리하는 버전제어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젝트 또는 상기 변경 요청에 관련된 참조 형태의 파일을 저장하는 파일 시스템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요청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등록제목, 검색등록, 변경요청자 코드, 변경요청 제출자, 고객명, 유형코드, 종료요청일, 프로젝트, 상세내용, 관련 변경요청, 상기 변경요청에 관련된 첨부화일이 상기 파일 시스템에 저장되는 경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작성일시, 등록제목, 상세설명, 예상소요 MD, 작업지시시작일, 작업지시종료일, 단위업무제출자, 단위업무 담당자, 단위업무검토자, 단위테스트여부, Work Type 코드, 분석설계 여부, 분석설계 검토자, 모듈코드,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은 상기 단위 업무를 할당받으면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 여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면 제3 그룹 권한자로부터 분석 설계 등록 사항을 제공받아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서버는 상기 제3 그룹 권한자로부터 분석 설계 등록 사항을 제공받으면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로 통지하고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으로 등록된 경우, 제3 그룹 권한자가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을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은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을 통지받으면 상기 제3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하고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한 결과인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면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은 상기 단위 업무를 할당받으면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 여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가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한 결과인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는 지를 판단하고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면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10. 제8항 또는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서버는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수신하면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하고 상기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위업무의 성공여부를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서버는 상기 단위업무들이 모두 성공이면, 상기 변경 요청을 검증 상태로 전이시키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에게 상기 검증 상태 전이를 통지하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통합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하고, 상기 제1 그룹 권한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실패 여부를 통지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서버는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대해 ID를 할당하고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관련된 그룹 단말들에게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관한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프로젝트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프로젝트 제목, 프로젝트 상세설명, 프로젝트종류, 프로젝트 종속성, 프로젝트 기간, 프로젝트 개발 산출물이 버전 관리되어 저장될 버전 제어 저장소의 저장소 경로명, 버전 관리될 개발 산출물의 파일유형 및 파일개요, 프로젝트 참여인원 및 프로젝트 관리역할, 프로젝트 일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시스템.
  14. 소프트웨어 프로젝트를 관리하는 형상관리 방법에 있어서,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프로젝트에 대한 변경 요청을 등록받으면 상기 변경 요청을 제1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의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받으면 제2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상기 할당 상태 전이를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2 그룹 권한자 단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과 관련된 복수개의 단위업무들을 등록받으면 상기 단위업무들을 제3 그룹 권한자 단말들에게 각각 할당하여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변경요청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등록제목, 검색등록, 변경요청자 코드, 변경요청 제출자, 고객명, 유형코드, 종료요청일, 프로젝트, 상세내용, 관련 변경요청, 상기 변경요청에 관련된 첨부화일이 저장되는 경로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단위업무ID, 단위업무 작성일시, 등록제목, 상세설명, 예상소요 MD, 작업지시시작일, 작업지시종료일, 단위업무제출자, 단위업무 담당자, 단위업무검토자, 단위테스트여부, Work Type 코드, 분석설계 여부, 분석설계 검토자, 모듈코드, 첨부화일 경로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이 상기 단위 업무를 할당받으면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 여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이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면 제3 그룹 권한자로부터 분석 설계 등록 사항을 제공받아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 통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느 형상 관리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3 그룹 권한자로부터 분석 설계 등록 사항을 제공받으면 분석설계 검토자 단말로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으로 등록된 경우, 제3 그룹 권한자가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을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에게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이 상기 형상관리 서버로부터 상기 분석설계가 문제없음을 통지받으면 상기 제3 그룹 권한자에게 통지하는 단계와,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이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한 결과인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면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20.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받는 단계는
    상기 제3 그룹 권한자 단말이 상기 단위 업무를 할당받으면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 여부 항목에 기초하여 상기 단위테스트가 요구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업무에 대해 단위테스트가 요구되지 않으면 상기 단위업무를 수행한 결과인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는 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이 생성되면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21. 제19항 또는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수신하면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로 상기 단위업무 산출물을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위업무 검토자 단말로부터 상기 단위업무의 성공여부를 통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단위업무들이 모두 성공이면, 상기 변경 요청을 검증 상태로 전이시키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그룹 권한자에게 상기 검증 상태 전이를 통지하여 상기 제1 그룹 권한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통합테스트를 실시하도록 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제1 그룹 권한자로부터 상기 변경 요청에 대한 실패 여부를 통지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23.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신규 프로젝트에 대한 등록이 요청되면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대해 ID를 할당하는 단계와,
    상기 형상관리 시스템이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관련된 그룹 단말들에게 상기 신규 프로젝트에 관한 통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신규 프로젝트 등록에 관련된 항목들은 프로젝트 제목, 프로젝트 상세설명, 프로젝트종류, 프로젝트 종속성, 프로젝트 기간, 프로젝트 개발 산출물이 버전 관리되어 저장될 버전 제어 저장소의 저장소 경로명, 버전 관리될 개발 산출물의 파일유형 및 파일개요, 프로젝트 참여인원 및 프로젝트 관리역할, 프로젝트 일정 항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형상 관리 방법.
KR1020100010713A 2010-02-05 2010-02-05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0976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13A KR100976420B1 (ko) 2010-02-05 2010-02-05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10713A KR100976420B1 (ko) 2010-02-05 2010-02-05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6420B1 true KR100976420B1 (ko) 2010-08-17

Family

ID=42759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10713A KR100976420B1 (ko) 2010-02-05 2010-02-05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642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93B1 (ko) 2012-11-30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분산 파일시스템 처리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825956B1 (ko) 2016-04-15 2018-03-22 (주)유엠브이기술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WO2020197075A1 (ko) * 2019-03-25 2020-10-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을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82A (ko) * 1999-12-31 2000-04-06 최진열 데이터 모델 검증 시스템
KR20010112753A (ko) * 2000-06-15 2001-12-22 김윤호 형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9643A (ko) * 2001-07-23 2003-02-05 주식회사 노엘정보테크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KR100669604B1 (ko) 2004-12-17 2007-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형상 관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통합 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7982A (ko) * 1999-12-31 2000-04-06 최진열 데이터 모델 검증 시스템
KR20010112753A (ko) * 2000-06-15 2001-12-22 김윤호 형상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30009643A (ko) * 2001-07-23 2003-02-05 주식회사 노엘정보테크 프로젝트 문서관리 시스템
KR100669604B1 (ko) 2004-12-17 2007-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형상 관리 시스템의 소프트웨어 통합 관리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0293B1 (ko) 2012-11-30 2015-01-12 주식회사 엘지씨엔에스 분산 파일시스템 처리 장치와 방법 및 이를 저장한 기록 매체
KR101825956B1 (ko) 2016-04-15 2018-03-22 (주)유엠브이기술 컴퓨팅 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
WO2020197075A1 (ko) * 2019-03-25 2020-10-01 주식회사 크라우드웍스 크라우드 소싱 기반의 데이터를 수집하는 작업을 작업자에게 할당하는 방법 및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Leon Software configuration management handbook
US6964044B1 (en) System and process for management of changes and modifications in a process
US7810067B2 (en) Development processes representation and management
Bergey et al. Why reengineering projects fail
US20060161444A1 (en) Methods for standards management
US11783254B2 (en) Method and system for implementing an adaptive data governance system
Weske et al. A reference model for workflow application development processes
CN101753619B (zh) 用于扩展服务模型的方法和系统
CN103377101A (zh) 一种测试系统和测试方法
CN112036825A (zh) 一种基于工单的自动化运维管理系统
Avram et al. Bridging, patching and keeping the work flowing: Defect resolution in distributed software development
KR100976420B1 (ko) 형상관리 시스템 및 방법
CN114819769A (zh) It服务任务的切片处理方法及系统
KR20230012229A (ko) 협업 프로젝트 관리 플랫폼 및 그 방법
JP4883700B2 (ja) レポジトリサーバ管理システム
JP2006235872A (ja) プロジェクト管理装置
KR101664830B1 (ko) 규정 관리 시스템 및 방법
US20140278639A1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rface management
JP2004334454A (ja) 知識情報の蓄積・再利用支援システム
Leszak et al. Successful global development of a large-scale embedded telecommunications product
JP2019091212A (ja) プロジェクト管理システムおよびプロジェクト管理方法
Iqbal et al. Forward Engineering Completeness for Software by Using Requirements Validation Framework (S).
JP2006163514A (ja) 要員選定支援システム及びそれに適用されるプログラム
JP2007264937A (ja) プログラム移送制御システムと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Lenker et al. Workflow specification for enterprise localis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