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395B1 -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 Google Patents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395B1
KR100975395B1 KR1020100032151A KR20100032151A KR100975395B1 KR 100975395 B1 KR100975395 B1 KR 100975395B1 KR 1020100032151 A KR1020100032151 A KR 1020100032151A KR 20100032151 A KR20100032151 A KR 20100032151A KR 100975395 B1 KR100975395 B1 KR 1009753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polishing
air
grinding
air coo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32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대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Priority to KR10201000321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39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3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3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06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involving conveyor belts, a sequence of travelling work-tables or the lik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7/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 B24B7/2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 B24B7/22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plane surfaces on work, including polishing plane glass surfaces; Accessories therefor characterised by a special design with respect to properties of the material of non-metallic articles to be ground for grinding inorganic material, e.g. stone, ceramics, porcela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1/00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 B28B11/0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 B28B11/0818Apparatus or processes for treating or working the shaped or preshaped articles for reshaping the surface, e.g. smoothing, roughening, corrugating, making screw-threads for roughening, profiling, corrug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8WORKING CEMENT, CLAY, OR STONE
    • B28BSHAPING CLAY OR OTHER CERAMIC COMPOSITIONS; SHAPING SLAG; SHAPING MIXTURES CONTAINING CEMENTITIOUS MATERIAL, e.g. PLASTER
    • B28B17/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for shaping the material; Auxiliary measures taken in connection with such shaping
    • B28B17/02Conditioning the material prior to shaping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5/00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 E01C5/06Pavings made of prefabricated single units made of units with cement or like bind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Grinding And Polishing Of Tertiary Curved Surfaces And Surfaces With Complex Sha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에 관한 것으로 양생된 블록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블록의 표면을 공냉식으로 결빙시키는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공냉 단계로 급냉된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 날로 연마하는 표면 연마 단계를 포함하여 공냉식으로 결빙된 블록의 표면을 미세하게 깨지도록 연마하여 블록을 제조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의 표면의 장식미가 우수함과 동시에 표면의 논슬립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장식미와 보행 시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의 연마 작업 중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Polishing Method for Air-Cooled freezing type Block}
본 발명은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표면 장식미가 뛰어남과 동시에 표면에 논 슬립 기능이 형성된 블록을 연마하는 연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도 블록의 성형 공정은 시멘트와 다양한 골재 등이 포함된 혼합물을 물과 섞은 후 베이스 층을 금형 내에 타설한 후 가압기로 금형 상부를 가압하여 보도 블록을 찍어 내는 공정을 가진다.
상기 공정을 통해 성형된 보도 블록은 일정 장소로 옮겨져 건조되는 양생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 보도 블록의 제조 방법은 물이 함유되는 양에 따라 건식과 습식방식으로 구분된다.
상기 습식 방식은 주로 거푸집 방식으로 제작되며 물을 대량으로 넣어 반죽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반죽시 물기가 많고 흘러내릴 뿐만 아니라, 제조과정이 완료된 후에 불량품일 경우에는 재활용이 어려운 단점이 있었다.
이에 반해 건식방식은 주로 진동 고압방식의 금형을 이용하여 만드는 방식으로서, 소량의 물을 넣어 반죽하므로 물기가 거의 없는 특성으로 인해 불량품이 생산되더라도 파쇄후 다시 재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므로 최근에는 이 방식을 선호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기 보도 블록의 제조 방법은 외관상의 미려함을 부여하고 용도에 따른 표면 처리를 위해 표면 연마공정을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표면 연마공정은 미립의 볼을 보도 블록의 표면에 강한 압력으로 분사시켜 표면 처리하는 쇼트 연마 방식과, 보도 블록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면서 지석이나 다이아몬드로 제조된 연삭 날을 연마 블록의 표면을 직접 접촉시켜 연마하는 살수 연마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 쇼트 연마 방식은 미립의 볼을 보도 블록의 표면에 분사하여 보도 블록의 표면이 매끄럽지 않고 거칠게 연마하는 것으로 보도 블록의 표면을 논슬립되게 하여 보행 시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는 반면 표면이 거칠어 장식미가 떨어지고 보행자가 넘어지는 경우 피부가 긁혀 다치는 상해 사고가 빈번히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특히, 상기 쇼트 연마 방식으로 연마된 보도 블록의 표면은 미관 향상을 위해 첨가된 골재 및 안료가 표면에서 확인할 수 없게 거칠게 연마되므로, 장식미가 크게 떨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살수 연마 방식은 연삭 날의 냉각 기능 및 연삭 시 표면의 윤활 기능을 위해 보도 블록의 표면에 물을 분사하여 연마된 보도 블록의 표면이 매끄럽게 가공되어 장식미가 우수한 효과가 있는 반면에 표면이 매끄러워 보행 시 보행자가 미끄러져 넘어지는 사고가 자주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상기 살수 연마 방식은 물이 보도 블록의 내부에 침투되면서 갈라지는 현상을 유발시킬 뿐만 아니라, 보도 블록 내부로 물이 침투됨에 따라 미세하게 화학반응이 진행되고 백화 현상이 발생되어 제품 외관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살수 연마 방식은 연마 시 사용된 물을 폐수 처리하기 위한 별도의 시설 및 비용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표면의 장식미가 우수함은 물론 표면의 논 슬립 기능을 가지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과제는 양생된 블록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블록의 표면을 공냉식으로 결빙시키는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공냉 단계로 급냉된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 날로 연마하는 표면 연마 단계를 포함한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을 제공함으로써 해결되는 것이다.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이송 라인을 따라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블록의 표면을 결빙시키고, 연마하는 것이며,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하부면에 연마 날이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연마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를 복수로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결빙시키는 냉기 분사 기기와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를 상기 블록을 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라인의 상부에 교대로 복수 배치하여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가 연속적으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블록의 표면을 0초과 0.5mm 이하의 두께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은 장식용 골재로 해미석, 백종석, 흑종석, 백종분,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장식용 골재가 표면에서 확인 가능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거칠기를 가지도록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표면 공냉 단계 이전에 양생된 블록의 표면을 연삭하여 블록의 두께를 조정하는 표면 연삭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블록의 표면의 장식미가 우수함과 동시에 표면의 논슬립 기능이 추가됨으로써 장식미와 보행 시 안전성을 동시에 확보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블록의 연마 작업 중 발생하는 백화현상을 방지하여 제품의 불량률을 감소시키고 생산성을 증대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을 순차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을 위한 공냉식 결빙 연마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을 위한 공냉식 결빙 연마 장치를 도시한 평면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표면 연삭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모따기 단계를 도시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으로 제조된 블록의 표면을 찍은 사진
도 8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비교 예인 블록의 표면을 찍은 사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인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은 양생된 블록(1)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블록(1)의 표면을 공냉식으로 결빙시키는 표면 공냉 단계(200)와,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로 급냉된 상기 블록(1)의 표면을 연마 날(31a)로 연마하는 표면 연마 단계(300)를 포함한다.
또, 본 발명은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 이전에 양생된 블록(1)의 표면을 연삭하는 표면 연삭 단계(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표면 연삭 단계(100)는 양생된 블록(1)의 표면을 연삭하여 블록(1)의 두께를 조정하는 작업으로 블록(1)의 제조 규격에 맞게 양생된 초기 블록(1)의 표면을 규격화되게 일정두께로 연삭처리하는 과정인 것이다.
그리고 상기 표면 연삭 단계(100) 후의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를 통해 블록(1)을 규격에 맞는 정확한 두께로 제조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 후에 연마된 블록(1)의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모따기 단계(400)와, 상기 모따기 단계(400) 후 최종 단계로 블록(1)의 표면을 코팅 처리하는 코팅 단계(50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코팅 단계(500)는 블록(1)의 표면에 실라놀(Si-OH) 코팅 처리하여 표면 외관을 미려하게 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양생된 블록(1)은 이송 라인(10)을 따라 이송되면서 냉기 분사 기기(20) 및 연마기(30)로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 및 표면 연마 단계(300)를 거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블록(1)은 시멘트와, 골재, 물 등을 혼합하여 금형에 타설한 후 가압 기기로 가압하고, 일정 장소로 이동시켜 상온 중에 양생한 것이다.
상기 골재는 미장사(모래), 해미석, 백종석, 백종분(백종석의 석분), 흑종석, 유리, 규사 등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며, 시멘트와의 혼합비 및 입도 크기는 블록(1)의 종류에 따라 다양헤게 혼합하여 사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또 상기 블록(1)은 필요에 따라 안료를 더 혼합하여 제조될 수도 있는 것이다.
상기 이송 라인(10)은 벨트 컨베이어를 사용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블록(1)을 수평 이송하는 어떠한 것도 사용이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냉기 분사 기기(20)는 상기 이송 라인(10)의 벨트를 가로 지르게 배치되는 분사 헤더(21)와, 상기 분사 헤더(21)의 하부면에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의 냉기 분사 노즐(22)과, 상기 분사 헤더(21)로 냉기를 공급하는 냉기 공급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냉기 공급부는 공기를 고압으로 압축하는 콤프레서를 포함하여 상기 콤프레서에서 고압으로 공기를 압축시킨 후 압축된 공기를 복수의 냉기 분사 노즐(22)로 분사시키면 분사된 압축 공기가 팽창되면서 냉기로 분사되게 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이외에도 상기 블록(1)의 표면을 공냉식 결빙 상태되게 할 수 있는 어떠한 냉기도 사용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는 상기 냉기 분사 기기(20)로 -40℃ ~ -50℃의 냉기를 상기 이송 라인(10)으로 이송되는 블록(1)의 표면에 분사하여 블록(1)의 표면을 공냉식 결빙 상태가 되게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연마기(30)는 하부면에 복수의 연마 날(31a)이 구비된 연마 플레이트(31)와,
상기 연마 플레이트(31)에 연결되어 상기 연마 플레이트(31)를 회전시키는 회전부(미도시)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부는 상기 연마 플레이트(31)의 상부로 돌출되는 회전 축에 연결되는 모터를 포함하여 모터의 작동에 의해 상기 연마 플레이트(31)를 회전시키는 것이다.
상기 연마 플레이트(31)는 원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 예로 하며 상기 회전부에 의해 상기 이송 라인(10)을 통해 이송되는 블록(1)의 이송 방향과 대응하도록 시계 바늘의 회전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회전 동작된다.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는 상기 연마기(30)를 사용하여 공냉식으로 결빙된 블록(1)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는 블록(1)의 표면이 결빙 상태에서 미세하게 깨지면서 연마되어 표면이 미끄럼이 발생하지 않는 논슬립 기능을 표면에 형성시키는 것이다.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는 미끄러짐이 발생하지 않음과 동시에 블록(1)에 포함된 해미석, 백종석, 흑종석, 백종분(백종석의 석분), 유리 등의 장식용 골재를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도록 블록(1)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이다.
즉, 상기 블록(1)의 표면은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를 통해 표면의 장식미가 저하되지 않으면서 논슬립을 위한 충분한 거칠기로 연마되는 것이며, 표면의 논슬립 기능 추가를 위한 별도의 표면 가공 단계를 거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한 번의 연마 작업으로 블록(1)의 장식미를 확보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을 확보하여 제조하는 것으로 제조 과정을 단순화함과 동시에 장식미를 최대한 확보하도록 하는 제조 방법인 것이다.
블록(1)은 보행 도로에 시공되어 도시의 미관에 큰 영향을 미침과 동시에 보행 시 보행자의 안전을 동시에 확보해야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보행자의 보행 시 안전을 확보하는 기능성과, 도시의 미관을 아름답게 하는 장식미를 동시에 만족시키는 블록(1)을 제조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비교 예로 상기 양생된 블록(1)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한 후 블록(1)을 냉각하여 연마할 수 있으나, 이 경우 물을 블록(1)의 표면에 분사하면서 블록(1)의 표면을 연마하는 살수 연마 방식과 동일하게 블록(1)의 표면이 매끄럽게 연마되는 것이다.
그리고 증기가 블록(1)의 표면에 분사됨으로써 블록(1)의 표면에 백화 현상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즉, 상기한 비교 예와 같이 블록(1)의 표면에 증기를 분사한 후 블록(1)을 냉각하여 연마하는 것은 블록(1)의 표면에 논슬립 기능의 거친 면이 없고 표면에 백화 현상으로 인한 불량률이 많은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를 복수로 반복하여 블록(1)의 표면 연마를 완료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냉기 분사 기기(20)와 상기 연마기(30)를 상기 블록(1)을 이송하는 이송 라인(10)의 상부에 교대로 복수 배치하여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가 교대로 연속 반복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에서 결빙된 블록(1)의 표면 두께가 한정되므로, 결빙된 블록(1)의 표면 두께만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에서 연마 가능한 이유와, 물과 같은 윤활제가 사용되지 않고 원활하게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를 하기 위한 이유 때문인 것이다.
또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는 상기 블록(1)의 표면을 0초과 0.5mm 이하의 두께로 연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0.5mm이상의 두께로 상기 블록(1)의 표면을 연마할 경우 연마기(30)의 연마 날(31a)의 수명을 크게 단축시킴은 물론 블록(1)의 표면의 거칠기를 조정하기에 어려움이 있는 것이다.
상기 블록(1)은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 후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가 행해지는 것이 수회 반복됨으로써 규격에 맞는 정확한 두께로 제조됨과 동시에 장식미를 극대화함과 동시에 보행 시 보행자의 미끄럼짐을 방지하는 적당한 거칠기로 표면이 연마 되는 것이다.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의 반복 횟수는 블록(1)의 재료 즉, 블록(1)에 포함되는 골재의 종류 및 혼합비의 차이로 다양하게 제조되는 블록(1)의 종류 및 블록(1)의 제조 규격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표면 공냉 단계(200) 이전에 양생된 블록(1)의 표면을 연삭하는 표면 연삭 단계(100)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표면 연삭 단계(100)는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이송 라인(10)의 상부에서 상기 냉기 분사 기기(20)의 앞 측에 배치되는 연삭기(40)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연삭기(40)는 이송 라인(10)의 벨트를 가로 지르게 배치되며 모터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축부재(41a)와;
원판 형상으로 외주면에 이격된 복수의 연삭 날(41c)이 구비되고, 세워져 상기 축부재(41a)에 이격되게 장착되는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를 포함한 회전 연삭부(41)를 포함한다.
상기 회전 연삭부(41)에서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는 연삭 원판부재(41b)의 두께에 대응되게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회전 연삭부(41)는 상기 이송 라인(10)의 상부에서 블록(1)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게 복수로 배치되는 것이다.
이는 상기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가 회전 시 서로 간섭되지 않게 배치되어 원활한 연삭이 이루어지도록 함이며, 연삭 중 발생하는 연삭 칩에 의해 다른 측의 연삭이 방해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또 상기 복수의 회전 연삭부(41)는 연속된 회전 연삭부(41) 중 어느 한 회전 연삭부(41)에서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가 다른 회전 연삭부(41)에서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의 이격된 사이로 위치되게 상기 이송 라인(10)의 상부에서 블록(1)의 이송 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것이다.
이는 연삭 시 연삭 칩에 의한 간섭을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연삭 원판부재(41b)를 이격되게 배치함에 따라 블록(1)의 표면 전체가 균일하게 연마되도록 하기 위함인 것이다.
상기 축부재(41a)는 시계 방향과 반 시계 방향으로 회전동작되며, 회전 시 블록(1)의 이송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연삭 원판부재(41b)가 다른 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연삭 원판부재(41b)의 연삭 날(41c)에 접촉되는 블록(1)이 표면 연삭 중 튕겨 나갈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한편, 상기 표면 연마 단계(300) 후에 연마된 블록(1)의 모서리를 모따기하는 모따기 단계(400)를 더 포함할 수 도 있으며, 상기 모따기 단계(400)는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록(1)의 양 측 모서리를 테이퍼 가공하는 테이퍼 가공 기기(50)를 통해 이루어지는 것이다.
상기 테이퍼 가공 기기(50)는 상기 블록(1)이 이송되는 이송 라인(10)의 상부 측에서 이송 라인(10)의 벨트를 가로 질러 배치되는 가이드 축부재(51)와;
상기 가이드 축부재(51)에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블록(1)의 상부 양 측 모서리를 테이퍼 가공하는 원추 형상의 테이퍼 연삭 롤부재(52)를 포함한다.
또 상기 가이드 축부재(51)는 상기 블록(1)의 상부 표면에 밀착된 상태로 회전되게 하여 상기 모따기 단계(400)에서 상기 테이퍼 연삭 롤부재(52)가 안정적으로 상기 블록(1)의 상부 양 측 모서리를 테이퍼 가공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 상기 모따기 단계(400)는 상기 블록(1)의 이송 방향을 직각으로 변환시켜 이송 한 후 한번 더 시행하여 사각 형상의 블록(1)의 각각의 모서리를 테이퍼 가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블록(1)의 표면을 공냉식 결빙 시킨 후 연마함으로써 장식미와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기능성을 동시에 확보함과 동시에 모따기 단계(400) 및 코팅 단계(500)를 통해 간단히 블록(1)을 제조할 수 있으며, 보도 블록으로 특히 유용하게 사용이 가능한 블록(1)을 제조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으로 제조된 블록(1)은 백종석과 흑종석 같은 장식용 골재가 표면에서 확실하게 확인됨과 동시에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표면 거칠기를 가지는 것을 도 7의 블록(1)의 표면 사진에서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비교 예로 표면에 증기를 분사한 후 냉각하여 표면을 연마하거나, 연마 중 표면에 물을 분사하면서 표면을 연마한 블록(1)의 표면은 도 8에서와 같이 백종석과 흑종석 같은 장식용 골재가 표면에서 확실하게 확인되나, 표면이 너무 매끄러운 것이다.
또 다른 비교 예로 표면에 미립의 볼을 고압으로 분사시켜 쇼트 연마한 블록(1)의 표면은 도 9에서와 같이 백종석과 흑종석 같은 장식용 골재가 표면에서 확인되지 않고 표면이 너무 거칠게 연마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본 발명의 구성에 포함됨을 밝혀둔다.
10 : 이송 라인 20 : 냉기 분사 기기
30 : 연마기 40 : 연삭기
50 : 테이퍼 가공 기기 100 : 표면 연삭 단계
200 : 표면 공냉 단계 300 : 표면 연마 단계
400 : 모따기 단계 500 : 코팅 단계

Claims (7)

  1. 양생된 블록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블록의 표면을 공냉식으로 결빙시키는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공냉 단계로 급냉된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 날로 연마하는 표면 연마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교대로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이송 라인을 따라 한 방향으로 이송되는 블록의 표면을 결빙시키고, 연마하는 것이며,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하부면에 연마 날이 구비되어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연마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상기 블록의 이송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상기 연마 플레이트를 회전시켜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공냉 단계와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블록의 표면에 냉기를 분사하여 결빙시키는 냉기 분사 기기와 상기 블록의 표면을 연마하는 연마기를 상기 블록을 한 방향으로 이송하는 이송 라인의 상부에 교대로 복수 배치하여 교대로 연속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블록의 표면을 0초과 0.5mm 이하의 두께로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장식용 골재로 해미석, 백종석, 흑종석, 백종분, 유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제조되며,
    상기 표면 연마 단계는 상기 장식용 골재가 표면에서 확인 가능하고, 미끄러짐을 방지하는 거칠기를 가지도록 연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표면 공냉 단계 이전에 양생된 블록의 표면을 연삭하여 블록의 두께를 조정하는 표면 연삭 단계를 더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KR1020100032151A 2010-04-08 2010-04-08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KR10097539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51A KR100975395B1 (ko) 2010-04-08 2010-04-08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32151A KR100975395B1 (ko) 2010-04-08 2010-04-08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75395B1 true KR100975395B1 (ko) 2010-08-11

Family

ID=427595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32151A KR100975395B1 (ko) 2010-04-08 2010-04-08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39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52B1 (ko) * 2015-01-05 2015-10-28 김혁준 조경용 담장 및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블록가공기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848A (ja) * 1994-05-16 1995-11-28 Nippondenso Co Ltd 弾性材または軟質材の除去加工方法
KR200253765Y1 (ko) 2001-07-31 2001-11-22 오일광 드럼형 가공휠을 이용한 평면 자동연마장치
KR20020053765A (ko) * 2000-12-27 2002-07-05 핫토리 쥰이치 팔 장착형 통신기기
KR100945946B1 (ko) 2009-08-13 2010-03-05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공냉 가습 결빙 블록의 표면 연마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08848A (ja) * 1994-05-16 1995-11-28 Nippondenso Co Ltd 弾性材または軟質材の除去加工方法
KR20020053765A (ko) * 2000-12-27 2002-07-05 핫토리 쥰이치 팔 장착형 통신기기
KR200253765Y1 (ko) 2001-07-31 2001-11-22 오일광 드럼형 가공휠을 이용한 평면 자동연마장치
KR100945946B1 (ko) 2009-08-13 2010-03-05 주식회사 라스아이티에스 공냉 가습 결빙 블록의 표면 연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63952B1 (ko) * 2015-01-05 2015-10-28 김혁준 조경용 담장 및 옹벽 블록의 제조방법과 블록가공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405431B (zh) 一种高透耐候性汽车灯罩模具的加工工艺
KR100975395B1 (ko) 블록의 공냉식 결빙 연마 방법
KR20030086105A (ko) 석판재용 요철처리장치 및 요철처리방법과 이 장치 및방법에 의해 제조된 석판재
CN107263342B (zh) 印制线路板研磨用刷轮树脂磨片及其制造方法
KR101032321B1 (ko) 성형블록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작된 성형블록
KR101215731B1 (ko) 내마모성 및 내오염성을 향상시킨 다양한 외관디자인의인조석 및 이의 제조방법
JP2844439B2 (ja) バレル研磨機を用いた漆器の加飾方法
CN108911780A (zh) 一种轻质复合板材的制备方法
CN206493776U (zh) 一种韵洞石生产设备
CN100366390C (zh) 一种制作凸棱抛光板材的滚筒抛光成型模具及其使用方法
CN108516061A (zh) 一种冲浪板发泡半成品的处理方法
CN211220097U (zh) 一种陶瓷半成品打磨装置
KR100945946B1 (ko) 공냉 가습 결빙 블록의 표면 연마장치
US20220362966A1 (en) Textured stone slabs, systems, and methods
CN104843974B (zh) 一种实现纹理多样化的微晶石的布料方法及装置
CN1245294C (zh) 一种自然凹凸面的陶瓷砖的生产方法
KR101241780B1 (ko) 불포화폴리에스테르계 인조석 제조방법
CN112720820A (zh) 一种人造流水纹装饰板材制作方法
KR100952938B1 (ko) 내츄럴 블록 및 그 제조방법
CN1077440A (zh) 一种仿石板材及其生产工艺
JP5336020B1 (ja) 景観配慮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の製造方法及び景観配慮型コンクリートブロック
KR100559444B1 (ko) 콘크리트 경계석 제조장치
CN202240962U (zh) 研磨垫调节器的弧形刀刃状处理面及其制造模具结构
JPH0648865A (ja) コンクリート製品と、その製造方法
CN206869704U (zh) 一种新型地面抛光磨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