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5013B1 -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 Google Patents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5013B1
KR100975013B1 KR1020080019063A KR20080019063A KR100975013B1 KR 100975013 B1 KR100975013 B1 KR 100975013B1 KR 1020080019063 A KR1020080019063 A KR 1020080019063A KR 20080019063 A KR20080019063 A KR 20080019063A KR 100975013 B1 KR100975013 B1 KR 100975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ey
button
holder
case
key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90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3508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김성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일 filed Critical 김성일
Priority to KR10200800190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5013B1/ko
Publication of KR200900935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35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5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5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29/00Supports, holders, or containers for household use,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7G1/00-A47G27/00 or A47G33/00 
    • A47G29/10Key holders; Key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BBUTTONS, PINS, BUCKLES, SLIDE FASTENERS, OR THE LIKE
    • A44B15/00Key-rings
    • A44B15/002Separable 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19/00Keys; Accessories therefor
    • E05B19/04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 E05B19/043Construction of the bow or head of the key; Attaching the bow to the shank the shank being pivotably mounted on the bow, e.g. for storage

Landscapes

  • Supports Or Holders For Household Use (AREA)
  • Purses, Travelling Bags, Baskets, Or Suitc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키를 휴대하는 키홀더의 사용이 가능하면서 조립이 쉽게 성형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다수의 키를 열쇠고리에 끼워서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꺼내서 사용토록 하는 것으로 이러한 열쇠고리는 휴대되어진 키가 울퉁불퉁하고 유동되어 키가 서로 부딪혀 나는 소리와 피부에 찔림 등의 휴대가 불편하였고 또한 사용하고자 하는 키를 찾을 때 많은 시간이 소요가 되는 문제가 있는 것이었고 이러한 상기의 문제를 보안토록 한 것으로 다수의 키를 수납할 수 있는 케이스에 키를 개폐토록 하는 탄성스프링을 장착하는 격벽체를 내측에 일체로 성형하고 상기 일체로 성형된 격벽체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에 버튼을 결합하여 버튼과 키를 걸림구에 의해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키와 케이스의 일측에 리터스프링을 장착하여 상기 버튼은 작동시 걸림구가 해체가 되면서 리턴스프링에 의해 키가 개폐가 되도록 한 것이나 이는 케이스의 내측에 일체로 성형된 격벽체에 탄성스프링을 장착하기가 어려운 것이고 또한 탄성스프링과 결합되는 버튼을 결합하기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홀더의 조립이 가능하게 성형토록 하고 조립이 쉽고 수납되어진 키의 조작이 쉽도록 한 것이다.
홀더케이스, 키, 걸림부, 버튼수납부, 이동구, 걸림구, 축핀

Description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A utomatic key holder}
본 발명은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다수의 키를 휴대하다가 사용할 때 필요한 키만 원터치로 개폐토록 한 것으로 조작이 쉽고 조립이 가능하게 성형제작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무실, 집, 자동차등의 다수의 키를 휴대하기 위해 열쇠고리에 끼워서 주머니나 가방 등에 휴대하여 다니다가 필요할 때 사용하고자 하는 열쇠를 찾아서 사용토록 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열쇠고리는 키에 형성된 걸이홈을 열쇠고리에 끼워서 휴대토록 되어 있어 키가 휴대중에 유동되면서 서로 부딪혀 발생되는 소리와 부피감과 주머니에 넣고 다닐 때 피부에 찔림 등의 휴대가 불편한 것이고 사용하고자 하는 키를 찾을 때 시간이 많이 걸리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휴대와 사용의 불편함을 보안토록 한 것으로 일측이 개구되어 내측으로 수납부를 형성한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수납부에 일측에 걸림부를 형성한 다수의 키를 수납하여 절첩되어지게 축결합으로 결합하고 내측으로 탄성스프링을 장착하는 격벽체가 형성되고 상기 격벽체에 장착된 탄성스프링에 걸림부 를 형성한 버튼을 결합하여 탄성작동되도록 하여 상기 키의 걸림부와 버튼의 걸림부가 서로 맞물리도록 하여 버튼 작동시 맞물려진 걸림구가 해체가 되면서 키가 절첩되는 것으로 상기 키가 자동으로 절첩되도록 키와 케이스의 일측에 리턴스프링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구조의 키홀더는 육면체로 된 케이스의 내측으로 버튼을 탄성작동하는 탄성스프링을 장착토록 하는 격벽체를 성형하기가 불가능한 것이고 또한 상기 격벽체에 버튼을 탄성작동되도록 하는 탄성스프링에 결합하기가 불가능한 것이어서 실질적으로 상기와 같은 키홀더의 구조는 성형 및 조립이 불가능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키홀더의 제작이 가능하게 성형토록 하면서 조립이 쉽고 다수 개로 된 키의 휴대와 조작을 간단토록 하여 사용이 편리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수납부를 형성한 케이스의 일측과 상기 일측과 직교되는 부분을 개구토록 하고 상기 케이스의 내측에 키의 개폐를 작동하는 다수 개의 버튼을 수납하는 격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격벽체가 형성된 케이스의 일측부를 개구토록 하여 버튼의 결합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키의 자동으로 절첩되도록 하는 리턴스프링을 키의 일측에 연결하고 상기 키를 케이스에 축결합되는 축핀에 연결토록 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다수의 키를 휴대하는 키홀더의 제작이 가능하면서 조립이 쉽고 사용에 따른 필요한 키만 개폐하여 사용할 수 있어 편리한게 사용을 할 수 있는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키홀더의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수납되어진 키가 개폐되는 상태를 나타낸 외관사시도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키홀더의 구조는 다수의 키(30)를 수납하는 수납부(11)와 바닥면에 내입단턱부(12)를 형성하고 일측과 상기 일측의 직교되는 부분이 개구되어 측면 일측에 개구홈(13)을 형성한 홀더케이스(10)와 상기 홀더케이스(10)의 내측으로 개구홈(13)이 형성된 위치에 가이드봉(23)을 중심으로 일측에 키(30)와 걸려지는 걸림구(24)와 타측으로 상기 개구홈(13)에 돌출되도록 당김작동을 위한 헤드부(25)를 형성한 크기가 순차적으로 짧은 다수 개의 이동구(22)와 상기 이동구(22)를 작동하는 탄성스프링(26)을 결합하여 핀(28)으로 고정한 버튼케이스(20)가 상기 바닥면의 내입단턱부(12)에 장착되어 접착 등으로 고정되고 상기 키(30)는 이동구(22)의 걸림구(24)와 맞물려지도록 하단 일측에 걸림부(34)를 형성하고 중앙에 홀더케이스(10)와 결합되어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핀(40)이 끼워지는 관통홈(32)과 원터치로 개폐 작동토록하는 리턴스프링(37)이 결합되는 안착부(33)를 형성하여 상기 리턴스프링(37)의 일측은 키(30)의 안착부(33) 일측에 고정하고 타측은 축핀(40)에 고정토록 된 구조이다.
상기와 같은 구조의 키홀더는 상기 홀더케이스(10)의 일측에 돌출되게 장착된 이동구(22)를 당김작동시 키(30)의 걸림부(34)와 맞물려 있는 걸림구(24)가 해체가 되면서 키(30)와 상기 키(30)를 홀더케이스(10)에 축결합한 축핀(40)에 고정된 리턴스프링(37)에 의해 자동으로 키(30)가 개폐가 되도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버튼케이스(10)는 일측면과 전면이 개구되고 바닥면에 다수의 격벽(21)이 형성되어 상기 이동구(22)가 끼워지는 공간(21a)을 형성하여 상기 이동구(22)의 걸림구(24)가 버튼케이스(20)의 전면으로 돌출되면서 개구되어진 일측면 으로 결합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 5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크기가 순차적으로 짧은 이동구(22a,22b,22c)의 헤드부(25)의 일측에 크기가 서로 다른 통공홈(25b)을 일직선상으로 형성하고 가이드봉(23)이 위치된 헤드부(25)의 측면으로 단턱(25c)을 형성하여 상기 통공홈(25b)의 크기가 큰 부분에는 탄성스프링(26)을 끼워 고정한 후 크기가 짧은 순서대로 이동구(22a,22b)의 단턱(25c)에 가이드봉(23)이 얹혀져 겹쳐진 이동구(22a,22b,22c)에 형성된 각각의 통공홈(25b)이 동일선상으로 위치되도록 하고 상기 버튼케이스(20)의 격벽(21)에 상기 통공홈(25b)과 동일한 위치로 홈(21b)을 형성하여 격벽(21)으로 인해 형성된 공간(21a)에 상기 겹쳐진 이동구(22a,22b,22c)를 끼워 통공홈(25b)에 핀(28)을 결합하여 고정토록 한 것이다.
상기의 이동구(22a,22b,22c)가 결합된 버튼케이스(20)를 홀더케이스(10)의 수납부(11)에 강제로 밀어 넣어 상기 홀더케이스(10)의 바닥면에 형성된 내입단턱부(12)에 접착제 등을 바른 뒤 홀더케이스(10)의 수납부(11)에 강제로 밀어 넣어 접착제가 발라진 내입단턱부(12)에 결합하여 빠지지 않게 고정토록 한 것이다.
또한 상기 이동구(22a,22b,22c)의 헤드부(25)에 일측에 끼움홈(25a)을 형성하여 상기 끼움홈(25a)에 사용하는 키(30))를 식별을 할 수 있도록 일측은 결합돌기(27b)와 타측은 문자판(27a)을 형성한 버튼(27)을 결합토록 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버튼(27)에 숫자나 기호 등이 부착이 되면 사용하고자 하는 키(30)를 단시간 내에 쉽게 찾아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7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30)는 일측으로 내입부(31a)를 형 성한 몸체부(31)와 열쇠(38)로 분리되게 형성하거나 일체로 형성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같이 열쇠(38)와 몸체부(31)를 분리되게 성형할 경우 상기 몸체부(31)의 일측면으로 탄성력을 갖도록 3방향으로 절개된 탄성판(35)과 상기 탄성판(35)의 하방으로 돌기(35a)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35a)와 대응되는 몸체부의 타측면에 고정홀(36)을 형성하고 상기 열쇠(38)의 일측선단에 걸이홀(39)을 형성하여 상기 열쇠(38)가 몸체부(31)의 내입부(31a)에 끼워지면서 탄성판(35)이 탄성되어 하방에 형성된 돌기(35a)에 열쇠(38)의 걸이홀(39)이 끼워져 고정토록 함으로서 이사를 갈 경우나 열쇠(38)를 잃어버려 바꾸게 될 경우 열쇠(38)의 교환을 용이토록 한 것이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키(30)의 몸체부(31)에 형성된 안착부(33)의 일측에 홈(33a))을 형성하고 상기 키(30)를 홀더케이스(10)에 축결합하는 축핀(40)에 절개부(42)를 형성하여 상기 몸체부(31)의 안착부(33)에 형성된 홈(33a)에 리턴스프링(37)의 일측을 고정하고 타측은 상기 축핀(40)의 절개홈(42)에 고정토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축핀(40)은 키(30)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양 측단은 사각형 형태의 고정돌기(41)가 형성되고 중앙이 관통되어 나선부(43)를 형성하고 상기 고정돌기(41)와 동일한 형태로 홀더케이스(10)의 측면에 고정홈(14)을 형성하여 상기 축핀(40)의 양 끝단에 형성된 고정돌기(41)를 홀도케이스(10)에 형성된 고정홈(14)에 결합하여 양측으로 나사(15)로 고정토록 한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키(30)의 몸체부(31)와 축핀(40)에 결합된 리턴스프링(37)에 의해 키(30)가 원터치로 홀더케이스로(10)부터 개폐가 되는 것이다.
이때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케이스(10)의 이면 일측에 내입홈(16)을 형성하고 상기 내입홈(16)의 중앙을 가로지르도록 고정핀(17)을 형성하여 별도의 열쇠고리를 걸 수 있도록 형성된 것이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홀더케이스(10)에 버튼케이스(20)를 별도로 제작한 후 결합하여 제작이 가능하면서 조립을 쉽게 할 수 있는 것이며 간단하게 버튼(27)을 당김작동으로 키가 원터치로 개폐가 되어 사용이 편리토록 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키홀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키홀더의 결합된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키가 개폐되는 상태의 외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키가 개폐되는 상태의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이동구의 결합되는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버튼케이스에 결합된 이동구를 나타낸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키와 축핀에 리턴스프링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는 본 발명의 키의 탄성판을 나타낸 이면사시도.
도 9은 본 발명의 열쇠와 몸체부가 분리되는 상태의 단계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홀더케이스에 열쇠고리가 장착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홀더케이스 11: 수납부
12: 내입단턱 13: 개구홈
14: 고정홈 15: 나사
16: 내입홈 17: 고정핀
20: 버튼케이스 21: 격벽
21a: 공간 21b: 홈
22a,22b,22c: 이동구 23: 가이드봉
24: 걸림구 25: 헤드부
25a: 결합홈 25b: 홈
25c: 단턱 26: 탄성스프링
27: 버튼 27a: 문자판
27b: 결합돌기 28: 핀
30: 키 31: 몸체부
31a: 내입부 32: 관통홈
33: 안착부 33a: 끼움홈
34: 걸림부 35: 탄성판
35a: 돌기 36: 고정홀
37: 리턴스프링 38: 열쇠
39: 고리홀
40: 축핀 41: 고정돌기
42: 절개부 43: 나선부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각각의 열쇠(38)가 장착되는 몸체부(31)와 상기 몸체부의 이면에 장착되는 리턴스프링(37)이 축핀(40)에 의하여 관통홈(32)을 통하여 홀더케이스(10)에 나사(15)로 고정되어져 몸체부(31)의 걸림부(34)가 핀(28)에 의하여 버튼케이스(20)에 유동이 가능하게 고정되어진 가이드봉(23)의 걸림구(24)에 걸려질 경우에 비틀림되어지는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홀더케이스(10)로 노출된 버튼(27)을 조작하면 버튼(27)이 가이드봉(23)의 헤드부(25)에 결합되어져 있어 탄성스프링(26)이 작동되면서 맞물림된 걸림부(34)와 걸림구(24)가 분리되면서 열쇠가 홀더케이스(10)에서 자동으로 노출되어지는 키홀더에 있어서, 상기 열쇠(38)가 장착되는 내입부(31a)가 형성된 몸체부(31)의 일측면에 탄성력을 갖도록 3방향으로 절개된 탄성판(35)과 상기 탄성판(35)의 하방으로 돌기(35a)를 형성하고 상기 돌기(35a)와 대응되는 몸체부(31)의 타측면에는 고정홀(36)을 형성하여, 상기 열쇠(38)의 일측선단에 걸이홀(39)이 형성되어 걸이홀(39)이 형성된 열쇠(38)가 몸체부(31)의 내입부(31a)에 끼워질 경우에 탄성판(35)이 탄성작동되면서 돌기(35a)에 열쇠(38)의 걸이홀(39)이 끼워져 고정토록 하고 분리시에는 고정홀(36)을 통하여 탄성판(35)에 형성된 돌기(35a)의 누름으로 돌기(35a)에 걸려진 열쇠(38)의 걸이홈(39)이 빠지게 되면서 간단하게 분리되어 열쇠(38) 교환이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원터치로 개폐가 되는 키홀더.
  6. 삭제
  7. 삭제
  8. 삭제
KR1020080019063A 2008-02-29 2008-02-29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KR100975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63A KR100975013B1 (ko) 2008-02-29 2008-02-29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9063A KR100975013B1 (ko) 2008-02-29 2008-02-29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08A KR20090093508A (ko) 2009-09-02
KR100975013B1 true KR100975013B1 (ko) 2010-08-09

Family

ID=4130198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9063A KR100975013B1 (ko) 2008-02-29 2008-02-29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50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7865Y1 (ko) * 2009-09-11 2012-01-05 한국알프스 주식회사 자동차용 키
DE102018118723A1 (de) * 2018-08-01 2020-02-20 Ingo Plaul Schlüsselhalter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68911U (ko) * 1998-09-22 1998-12-05 강한식 다중 중첩보관 가능한 열쇠고리
KR200183132Y1 (ko) * 1999-12-04 2000-05-15 이성우 멀티키홀더,
KR20010083132A (ko) * 1998-07-21 2001-08-31 벤슨 로버트 에이치. 각질세포-유래된 인터페론
KR20020035127A (ko) * 1999-08-31 2002-05-09 애들먼 먼로 캔 장식기내의 교체 가능한 잉크 장치
KR200292130Y1 (ko) 2002-05-13 2002-10-14 박종철 열쇠수납장치
KR20020092130A (ko) * 2001-06-02 2002-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동열차 집전 장치와 전차선의 접촉력 측정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83132A (ko) * 1998-07-21 2001-08-31 벤슨 로버트 에이치. 각질세포-유래된 인터페론
KR19980068911U (ko) * 1998-09-22 1998-12-05 강한식 다중 중첩보관 가능한 열쇠고리
KR200235127Y1 (ko) 1998-09-22 2001-11-22 강한식 키이홀더
KR20020035127A (ko) * 1999-08-31 2002-05-09 애들먼 먼로 캔 장식기내의 교체 가능한 잉크 장치
KR200183132Y1 (ko) * 1999-12-04 2000-05-15 이성우 멀티키홀더,
KR20020092130A (ko) * 2001-06-02 2002-12-11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전동열차 집전 장치와 전차선의 접촉력 측정방법 및 그 장치
KR200292130Y1 (ko) 2002-05-13 2002-10-14 박종철 열쇠수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3508A (ko) 2009-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67069B2 (en) Blade lock and release mechanisms for utility knives
JP4953244B2 (ja) 携帯機
US9616792B2 (en) Assist grip handle for vehicle interior
KR100975013B1 (ko) 원터치로 개폐되는 키홀더
KR100643388B1 (ko) 휴대용 컴퓨터
TW201503797A (zh) 箱體及其卡持機構
KR20060000180A (ko) 컴퓨터
US20100092234A1 (en) Accessory securing mechanism
KR100608457B1 (ko) 사물함
JPWO2020080344A1 (ja) 開閉体のロック装置
KR101642228B1 (ko) 낚시용 도구케이스
JP5262298B2 (ja) 電源装置
JP2006236677A (ja) コンセントカバー装置
JP6105309B2 (ja) 発信機
WO2013129601A1 (ja) キーユニット
JP2008025301A (ja) 錠前用の蓋体開閉装置
JP2009097162A (ja) 電気機器収納用箱の蝶番構造
KR101240267B1 (ko) 배터리 록킹장치를 갖는 휴대 단말기
JP4840985B2 (ja) コンセントカバー
JP4232643B2 (ja) スイッチ装置
JP4485274B2 (ja) シャワーヘッド保持装置
KR100349294B1 (ko) 버튼형 도어록의 도어키박스구조
JP2006102132A (ja) 液体貯留ポット
KR20050088850A (ko) 수납방식을 이용한 배터리 팩의 록킹장치
JP6020924B2 (ja) キーユニ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