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4780B1 -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 Google Patents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4780B1
KR100974780B1 KR1020070046795A KR20070046795A KR100974780B1 KR 100974780 B1 KR100974780 B1 KR 100974780B1 KR 1020070046795 A KR1020070046795 A KR 1020070046795A KR 20070046795 A KR20070046795 A KR 20070046795A KR 100974780 B1 KR100974780 B1 KR 1009747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sensor
arm
chuck means
jig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467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100736A (ko
Inventor
김성일
Original Assignee
윤점채
정병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점채, 정병일 filed Critical 윤점채
Priority to KR10200700467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4780B1/ko
Publication of KR200801007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1007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47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47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3/00Testing of machine p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01M99/008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by doing functionality tes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ing Fluid Pressur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검사를 위하여 네스트 상에 올려진 압력센서를 지그를 이용하여 집어 올리도록 하되, 지그 내에는 집어올려진 압력센서에 공압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지그에 매달린채 허공에서 압력누출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척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척 수단은 상기 압력센서를 일시적으로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실린더로 승강되는 아암과 스프링 및 실리콘재질의 흡착구등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압력센서의 불량여부 검사후 흡착구의 복원과 상기 압력센서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안을 적용한 것이다. 또한, 물리적 구성과 함께 이를 수행하는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압력센서, 검사

Description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A testing method of air pressure sensor and the apparatus}
도1은 생산된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종래의 방식에 대한 설명도,
도2는 압력센서 구성도,
도3은 본 발명의 전체구성도,
도4 및 도5는 본 발명의 작동예시도이다.
<도면의 주요부호설명>
10-공압센서 20-네스트(Nest)
30-지그(Jig) 40-아암
42-수직아암 43-수직핀
50-실린더 60-흡착구
70-스프링 80-핀
100-척수단
본 발명은 생산된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센서의 몸체에 캡을 씌워 에폭시접착공정을 거쳐 완성된 압력센서가 접착부분으로 압력의 누출없이 정상작동하도록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를 테스트하는 방법과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공압센서(혹은 압력센서)는 우리의 일상생활품에는 물론, 각종장비 등에 사용되는 적정압력유지여부를 감지도구로, 사용장비나 물품의 필요한 부분에 설치되어서 센서에 설정된 적정압이 유지 되지 않는 경우에는 그 이상신호를 사용자에게 알려주어서 적절한 조치를 취할수 있게 해주고 생산라인에서는 불량없는 물품의 생산이 이루어지게 해준다.
이러한 공압센서의 사용 예로는 자동차 타이어를 들 수 있는바, 타이어 내부에 설치되는 공압센서는 적정압이 유지되지 않는 경우 이를 운전자에게 전기회로를 통한 메세지를 알려주어서 펑크유무를 파악하거나 적정한 압력이 유지되도록 하여 안전하고 쾌적한 차량운행이 가능하도록 도와주게 된다.
한편, 상기한 공압센서는 용도에 맞도록 몸체내부에 압력센싱이 가능한 전자회로와 필요부품으로 조립된 후 마지막으로 캡을 덮어 씌워서 완성하게 되는 데, 이때 몸체와 캡 +사이에는 에폭시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착시켜서 소정의 공압이 몸체내에서 누출되지 않게 해야 한다.
따라서 접착부의 압력누출여부 검사는 공압센서생산후 반드시 거치게 되는 공정이며, 만일 접착부로 압력이 새어나온다면 불량센서가 되므로 이를 가려내는 수단이 강구되어 있다.
이를 위한 종래의 공압센서 감지 수단은, 도 1과 같이, 생산된 공압센서(10)를 검사 네스트(20)상에 올려놓고, 공압회로가 형성된 지그(30)를 상기 공압센서(10)상부의 연결구(12)에 연결한 다음 지그(30)를 다소 누른 상태에서 공압을 공급하게 되면 몸체(14)와 캡(16)간의 에폭시수지로 접착된 접착부(18)로 압력이 누출되면 공압회로상의 압력이 떨어질 것이므로 이 경우는 불량센서로 분류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의 공압센서(10)는 도2 와 같이 연결구(12)가 형성된 캡(16)과 그 몸체(14) 및 회로연결단자 (17)로 구성되어서, 생산된 공압센서(10)의 불량여부 검사방식은 지그(30)로 연결구(12)와 일체로 형성된 캡(16)을 누른 상태로 공압을 공급하여 압력유출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그런데, 실제로는 캡(16)이 눌려지지 아니한 상태로 사용되는 공압센서가 사용될 뿐 만 아니라 이렇게 캡(16)이 몸체(14)에 눌려진 상태로 공압이 공급되면 비록 접착부(18)에 미세한 밀폐불량부분이 있더라도 압력누출이 일어나지 않게 되므로 이때문에 불량센서를 정상품으로 알고 사용하는 경우 이를 믿고 사용하는 사용자의 폐해가 심히 우려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압력센서 검사방식의 문제점을 개선시키기 위하여 생산된 압력센서의 불량여부 검사가 지그로 눌려지지 아니한 상태로 이루어지도록 하는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된 것이다.
이렇게 할 경우 종래와 같이 지그로 캡을 눌러서 몸체에 밀착되는 현상이 없어지고, 따라서 접착부의 불량에 의한 미세한 압력누출이라도 쉽게 검사할 수 있어서 불량여부의 검사에 정확성을 기할 수 있는 획기적 효과를 갖게 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검사를 위하여 네스트 상에 올려진 압력센서를 지그를 이용하여 집어 올리도록 하되, 지그 내에는 집어올려진 압력센서에 공압이 가해지더라도 이탈되지 않고 지그에 매달린채 허공에서 압력누출여부를 검사할 수 있는 척 수단이 마련되어 있다.
여기서 척 수단은 상기 압력센서를 일시적으로 붙잡아 줄 수 있도록 실린더로 승강되는 아암과 스프링 및 실리콘재질의 흡착구등이 조합되어 이루어지며, 압력센서의 불량여부 검사후 흡착구의 복원과 상기 압력센서의 이탈방지를 위한 고안을 적용한 것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본 발명의 1실시예로 하여 그 구성과 작용효과를 상술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몸체에 캡을 결합시키는 접착부에서 누압이 발생되는지 여부를 검사하기 위한 압력센서 불량여부 검사방법을 제공한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압력센서의 캡 부분만을 탄압한채 몸체는 허공에 떠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척수단을 마련하는 단계로 부터 시작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척수단을 승강시켜서 압력센서의 캡부분을 선택적으로 탄압하게 하는 아암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척수단에는 아암이 하강하여 척수단내로 연결구가 인입된 후, 이 연결구를 압착하여 탄압하도록 흡착수단을 마련하는 단계;상기 수직아암에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자형 단면형상의 지그와, 이 지그내부에 설치되어 아암으로 눌려지는 흡착구가 스프링으로 탄지된채 수직아암의 경사진 수납홈을 따라 흡착수단을 마련하여 연결구가 척수단에 흡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수직 아암둘레에 형성시킨 장공과 이 장공내에서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장공내의 범위로 승강범위를 정하게 하는 수평핀을 마련하는 단계; 척수단에 탄압된 압력센서를 받치고 있는 네스트를 하강시켜 압력센서가 척수단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공압이 공급되어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한후 네스트가 상승하여 검사된 압력센서를 수납하는 단계; 수직아암만 상승하여 흡착구를 원상회복시킴과 동시에 수직핀이 스프링힘으로 검사가 끝난 압력센서를 밀어내려 척수단으로 부터 압력센서가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방법을 수행할 본 발명의 물리적 구조는 검사용 공압센서(10)가 놓여지는 네스트(20)와,이 네스트(20)상에 일직선으로 승강되도록 배치되는 수직아암(42)이 연장되고 공압통로(47)가 형성된 아암(40)과, 이 아암(4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50)와, 이 아암(40)의 수직선단에 형성되는 척수단(100)과,이 척수단(100)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는 거치대(95)와,상기 수직아암(42)의 중앙통로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핀(43)으로 이루어지되,상기 척수단(100)은 수직핀(43)하단부에 설 치되며 ∪형단면의 중심공(32)을 갖는 지그(30)와, 이 지그(30)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는 흡착구(60)와, 이 흡착구(60)상부에 놓여지면서 상기 수직아암(42)의 내공(44) 안착부에 탄착되는 스프링(70)과, 상기 수직아암(42)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장공(45)내에서 수직아암(42)의 승강높이를 제한해주도록 지그(30)내경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핀(80) 및 상기 척수단(100)을 수직아암(42)에 탄지시키는 스프링(90)으로 이루어진다.
도3은 본 발명의 전체 구성도면으로, 척수단(100)의 지그(30)는 ∪형 단면형상으로 그 바닥면에 중심공(32)이 뚫린 구조이며, 내부에는 상기한 핀(80)이 수평으로 끼워져 수납되도록 핀 홈(34)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상부로는 스프링(90)이 이탈되지 않고 놓여질 수 있도록 안착부(36)가 형성된 구조를 보여준다.
특히, 상기 지그(30)의 와 함께 결합되지만 그 장공(45)위치 만큼 지그(30)와 독립적으로 승강되도록 조립되는 수직아암(42)은 중앙의 공압통로를 구성하는 내공(44)하단부가 원추형을 구성하도록 경사진 수납홈(46)을 갖추고, 외부에는 상기 핀(80)이 이동하는 범위를 한정하는 장공(45)이 형성되며, 상기 수납홈(46)상부에는 스프링(70) 안착부(48)가 마련되어서 상기 스프링(70)상단부가 더 이상 후퇴하지 못하도록 하며, 상기 스프링(70)하단부는 흡착구(60)상에 놓여지는 접촉구조를 이루어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압착된 흡착구(60)가 빠르게 복원되도록 함은 물론, 경사진 수납홈(46)에 끼워지듯 압착된 흡착구(60)가 수납홈(46)에서 분리되도록 하는 탄발력을 제공하게 된다.
또한, 수직아암(42)의 공압통로(47)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핀(43)은 스프 링(43')으로 탄지된채 그 하단부가 공압센서(10)의 연결구(12)상부와 맞닿는 위치까지 연장된 길이를 가지며, 공압통로(47) 내의 하단에서 그 걸림턱(43a)이 걸려져 더이상 하강은 못하지만 스프링(43')힘을 이기고 소정의 높이만큼은 상승할 수 있으므로 상기 수직핀(43)은 공압통로(47)상에서 소정의 길이만큼 수직승강하여서 상기한 바와 같이 검사후의 공압센서(10)를 척수단(100)으로 부터 분리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상기한 구성의 본 발명을 이용하여 공압센서(10)의 불량여부를 검사하는 과정은 도4와 도5를 참고하면 더욱 상세히 알 수있다.
즉, 네스트(20)상에 공압센서(10)안착 → 수직아암(42)의 하강(여기서 수직아암(42)은 아암(42)과 일체로 형성된 것이므로 수직아암(42)은 곧 아암(40)을 포함한 것으로 취급한다) → 흡착구(60)에 공압센서 연결구(12)의 완전 인입과 함께 지그(30)가 거치대(95)에 의해 정지→ 수직아암(42)은 스프링(70)을 누르면서 흡착구(60)를 눌러압착키기 위해 계속하강 →동시에 수직아암(42)내의 수직핀(43)은 스프링(43')을 압축시키며 상승→ 수직아암(42)의 하강이 장공(45)내에 돌출된 핀(80)에 의해 하강정지→네스트(20)의 하강→ 흡착구(60)에 매달린 상태로 압력센서(10)내로 공압 공급하여 누압검사→누압검사후 네스트(20)가 원래 위치로 상승→ 스프링(90)힘으로 지그(30)는 거치대(95)에 접촉된 상태로 수직아암(42)만 사승→오무려졌던 흡착구(60)가 원상회복됨과 동시에 스피링(70)도 복원되면서 흡착구(60)의 원형회복에 조력→흡착구(60)의 원상회복으로 스프링(43')을 압착하며 상승되어 있던 수직핀(43)이 하강→검사끝난 압력센서(10)를 분리→압력센서(10)가 네스트(20)에 안착되는 과정을 거쳐서 압력센서의 누압여부를 검사하게 된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3과 같은 위치에서 공급되어온 검사용 공압센서(10)는 네스트(20)에 놓여지게 되고, 척수단(100)은 아암(42)과 더불어 하강하게 된다. 흡착구(60)내로 연결구(12)가 완전히 끼워진 상태에서도 수직아암(42)은 계속 하강하지만 척수단(100)은 거치대(95)에 의해 하강이 제한되고, 수직아암(42)은 계속하강하면서 경사진 수납홈(46)내의 흡착구(60)를 압착시키게 된다. 따라서 탄력재질의 흡착구(60)는 그 내공(62)이 오무려지면서 압력센서(10)의 연결구(12)를 강하게 압박하게 되는 것이며, 이 상태에서 네스트(20)가 하강하면(도5참조) 압력센서(10)는 공중에 매달린 형태가 되므로 그 캡(16)과 몸체(14)간에 누르는 힘이 없게 되고, 이는 종래의 경우 캡(16)위를 눌러서 몸체(14)쪽으로 압착한 상태로 기밀 검사를 하던 것과 완전히 다른 완벽한 기밀 검사가 되는 것이다.
이렇게 검사가 끝난 공압센서(10)는 불량여부가 가려진채 다음공정으로 보내지며 이러한 과정이 반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공압센서를 허공에 띄운채 내부에 공압을 가하여 누압여부를 검사하게 되므로 종래와 같이 접착부가 눌려진 상태가 아닌 상태로 검사가 완료되어 공압센서의 완벽한 불량여부를 검사할 수 있게 된다. 이는 강압적으로 아암을 하강시켜서 검사를 하던 종래의 방식에 비해 비교할 수 없는 정확한 검사를 가능하 게 하며, 또한 압력센서에도 충격을 주지 않고 검사가 가능하여서 검사시에 발생하는 압력센서의 불량품 발생현상도 줄일 수 있다.

Claims (2)

  1. 검사용 공압센서(10)가 놓여지는 네스트(20)와,
    이 네스트(20)상에 일직선으로 승강되도록 배치되는 수직아암(42)이 연장되고 공압통로(47)가 형성된 아암(40)과,
    이 아암(40)을 승강시키는 실린더(50)와,
    이 아암(40)의 수직선단에 형성되는 척수단(100)과,
    이 척수단(100)의 하강범위를 제한하는 거치대(95)와,
    상기 수직아암(42)의 중앙통로내에 수직으로 설치되는 수직핀(43)으로 이루어지되,
    상기 척수단(100)은 수직핀(43)하단부에 설치되며 ∪형단면의 중심공(32)을 갖는 지그(30)와,
    이 지그(30)의 바닥면 내부에 설치되는 흡착구(60)와,
    이 흡착구(60)상부에 놓여지면서 상기 수직아암(42)의 내공(44) 안착부에 탄착되는 스프링(70)과,
    상기 수직아암(42)의 외부 둘레에 형성된 장공(45)내에서 수직아암(42)의 승강높이를 제한해주도록 지그(30)내경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핀(80) 및
    상기 척수단(100)을 수직아암(42)에 탄지시키는 스프링(90)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검사장치.
  2. 제1항에 기재된 압력센서 검사장치를 이용하는 방법에 있어서,
    압력센서의 캡 부분만을 탄압한 몸체는 허공에 떠있는 상태로 만들기 위하여 척수단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척수단을 승강시켜서 압력센서의 캡부분을 선택적으로 탄압하게 하는 아암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척수단에는 아암이 하강하여 척수단내로 연결구가 인입된 후, 이 연결구를 압착하여 탄압하도록 흡착수단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수직아암에 스프링으로 탄지되는 ∪자형 단면형상의 지그와, 이 지그내부에 설치되어 아암으로 눌려지는 흡착구가 스프링으로 탄지된채 수직아암의 경사진 수납홈을 따라 흡착수단을 마련하여 연결구가 척수단에 흡착되도록 하는 단계;
    상기 수직 아암둘레에 형성시킨 장공과 이 장공내에서 일부가 돌출되게 설치되면서 장공내의 범위로 승강범위를 정하게 하는 수평핀을 마련하는 단계;
    척수단에 탄압된 압력센서를 받치고 있는 네스트를 하강시켜 압력센서가 척수단에 매달린 상태가 되도록 하는 단계;
    공압이 공급되어 압력센서의 불량여부를 검사한후 네스트가 상승하여 검사된 압력센서를 수납하는 단계;
    수직아암만 상승하여 흡착구를 원상회복시킴과 동시에 수직핀이 스프링힘으로 검사가 끝난 압력센서를 밀어내려 척수단으로 부터 압력센서가 분리되도록 하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센서 불량여부 검사방법.
KR1020070046795A 2007-05-14 2007-05-14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KR1009747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95A KR100974780B1 (ko) 2007-05-14 2007-05-14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46795A KR100974780B1 (ko) 2007-05-14 2007-05-14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36A KR20080100736A (ko) 2008-11-19
KR100974780B1 true KR100974780B1 (ko) 2010-08-06

Family

ID=402871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46795A KR100974780B1 (ko) 2007-05-14 2007-05-14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478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643B1 (ko) 2018-04-26 2019-10-30 주식회사 인프라일렉 압력감지센서 테스트 장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5319B1 (ko) * 2018-03-30 2019-11-15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송풍팬 누출 검사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034A (ja) 2000-03-02 2001-09-07 Kan Electronics Co Ltd 圧力センサー素子の検査装置
KR20020000520A (ko) * 2000-06-23 2002-01-05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콘택트 아암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부품 시험장치
KR20030087723A (ko) * 2002-05-09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감속 제어장치
KR200387723Y1 (ko) 2005-04-01 2005-06-21 윤점채 압력센서 테스터
KR20050101519A (ko) * 2004-04-19 2005-10-24 니혼 가터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2034A (ja) 2000-03-02 2001-09-07 Kan Electronics Co Ltd 圧力センサー素子の検査装置
KR20020000520A (ko) * 2000-06-23 2002-01-05 가부시키가이샤 어드밴티스트 콘택트 아암 및 이것을 이용한 전자부품 시험장치
KR20030087723A (ko) * 2002-05-09 2003-11-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연료 전지 차량의 감속 제어장치
KR20050101519A (ko) * 2004-04-19 2005-10-24 니혼 가터 가부시키가이샤 전자 부품 검사 장치
KR200387723Y1 (ko) 2005-04-01 2005-06-21 윤점채 압력센서 테스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8643B1 (ko) 2018-04-26 2019-10-30 주식회사 인프라일렉 압력감지센서 테스트 장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100736A (ko) 200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2794C (zh) 测试图像传感器封装的装置、单元和方法
CN103575938B (zh) 吸附式测试装置及其应用测试设备
JP4871415B1 (ja) 車載バッテリー用ベントプラグの検査方法
KR100974780B1 (ko) 압력센서 검사방법과 그 장치
WO2018056022A1 (ja) 基板検査方法及び基板検査装置
KR101067036B1 (ko) 차량용 배터리케이스 검사장치
JP5375528B2 (ja) 電子部品検査装置
KR20050122909A (ko) 반도체 패키지 픽커
CN104236824A (zh) 一种变速器dct总成气密性检测工艺
JP6173473B2 (ja) 部品実装機
CN116053157B (zh) 检测装置
TWI493648B (zh) Adsorption test device and its application test equipment
JP5527463B2 (ja) 電子部品搬送装置
KR101352357B1 (ko) 에어리크 및 전류 동시 검사장치와 이를 구비한 검사용 고정지그
CN215601494U (zh) 检测装置
CN105758595A (zh) 一种防水测试治具
CN214278329U (zh) 一种平脚贴片二极管的测试治具
CN205620093U (zh) 一种防水测试治具
CN211527817U (zh) 一种基于特种设备中安全阀校验检测台
JPH0225773A (ja) 測定用端子に対するicの接触・離し機構
KR101411109B1 (ko) 픽업 유닛의 수평 상태 검사 방법
CN208476471U (zh) 一种水壶密封性检测装置
CN206177561U (zh) 拉簧好坏检测机构
CN111504558A (zh) 一种机械密封气密性气动检测装置
KR101477243B1 (ko) 프로브유닛 및 이를 갖는 엘이디 칩 검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0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