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3394B1 - 쉘터 박스 완충장치 - Google Patents

쉘터 박스 완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3394B1
KR100973394B1 KR1020080083802A KR20080083802A KR100973394B1 KR 100973394 B1 KR100973394 B1 KR 100973394B1 KR 1020080083802 A KR1020080083802 A KR 1020080083802A KR 20080083802 A KR20080083802 A KR 20080083802A KR 100973394 B1 KR100973394 B1 KR 100973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wer frame
upper frame
box
shelter box
assemb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8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25149A (ko
Inventor
황한정
송재빈
Original Assignee
황한정
송재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한정, 송재빈 filed Critical 황한정
Priority to KR102008008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3394B1/ko
Publication of KR201000251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251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3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3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종 통신장비 및 의료용 전자장비가 장착된 쉘터 박스의 이동 안착시 또는 차량에 탑재 이동시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슬립현상을 방지함으로써 박스 자체의 손상방지와 그 내부의 전자장비를 보호하는 것인바,
쉘터 박스(1)의 바닥판(2) 저면에 보강판(3) 한 쌍을 일정간격으로 평행이 유지되게 부착 고정하고, 이 한 쌍의 보강판(3)에 덧대어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1
형 단면의 상 프레임(4) 한 쌍을 각기 하향 부착하여 바닥판(2)과 일체로 체결 조립하되, 상 프레임(4)의 양 측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4a)(4a)들이 대향 배치되게 하고, 저단부 슬립 방지턱(5b)과 내면부 고무 고정 돌조(5c)가 일체로 돌출 성형된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2
형 단면의 하 프레임(5)을 상기 상 프레임(4)의 양 측벽 수직 장공(4a)(4a)을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 볼트(6)로 대향 조립하고, 이렇게 대향 조립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S)에 여러 개의 완충 고무(7)들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직 장공(4a)(4a)의 안내 공간만큼 하 프레임(5)이 완충 고무(7)의 탄력을 받아 부드러운 쿠션작용이 발휘되게 한다.
쉘터 박스, 상 프레임, 하 프레임, 수직 장공, 체결 볼트, 완충 고무

Description

쉘터 박스 완충장치{Buffer Device Used For Shelter Box}
본 발명은 쉘터 박스의 완충장치에 관한 것으로, 우선 쉘터 박스란 군부대는 물론 국가 정보기관, 경찰, 산업체 연구소, 병원 등에서 사용되고 있는 각종 전자장비(통신용, 의료용 등)가 외부 전자파에 의한 간섭을 받아 교란되거나 오동작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전자파 차폐장비 인 것인바,
각종 통신장비 및 의료 전자장비가 장착된 쉘터 박스(Shelter Box)의 이동 안착시 또는 차량에 탑재된 상태로 이동시에 가해지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고 슬립현상을 방지하여 박스 자체의 손상방지는 물론 그 내부의 각종 장비를 충격과 진동에서 보호할 수 있게 한 것이다.
특히 군부대에서 작전수행시 통신을 위한 필수 장비인 쉘터 박스는 주,야간 훈련상황이나 전쟁상황에서는 물론, 악천후 등 불량한 기후조건에서도 모든 통신장비들을 전파 장해로부터 안전하게 운용하거나 보관, 관리하는 주요 장비이다.
따라서, 쉘터 박스는 그 내부에 장치된 전자장비를 외부 전자파로부터 보호하는 차폐기능과 함께 이를 야외 지대로 이동하여 안착시키는 과정 및 차량 이동시 에 발생되는 충격과 진동으로부터 안전하게 셀터 박스를 보호하여 내부의 통신, 전자장비들을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완충기능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쉘터 박스는 차량의 적재함에 탑재된 상태로 장소를 이동해가면서 운용하거나 야지(野地)에서 소정 기간 안착시킨 상태로 주로 운용되는 것이다.
따라서, 쉘터 박스를 야지에 안착시킬 때 그 현장의 지형 조건에 따라 헬기, 열차, 선박, 자동차, 지게차, 크레인 등 다양한 중장비를 이용하여 쉘터 박스를 현장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헬기는 산악지대를 비롯한 어떠한 지형이라도 쉘터 박스의 신속한 이동을 가능하게 하는 장비임으로 이를 많이 이용하는 것이었다.
이렇게 쉘터 박스를 헬기에 매달아 공수하여 소정 장소에 안착시킬 때 지상 약 40cm정도까지는 로프에 매달린 채 내려진 뒤 아래로 떨어뜨리게 되는데 이때의 낙하충격으로 장비에 치명적 손상을 주는 경우가 있어 이런 낙하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할 수 있는 완충장치의 등장이 절실한 것이다.
또한, 쉘터 박스를 차량 적재함에 탑재하여 이동하면서 운용하는 경우에도 지면이 고르지 못한 고지대나 거친 들판, 비포장 길 등을 달릴 때 발생하는 충격을 흡수하면서 탑재된 쉘터 박스가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좌우로 쏠리게 되어 한쪽으로 밀리는 슬립현상이 방지되면서 쉘터 박스 내부의 각종 통신 및 전자장비가 이러한 충격으로부터 보호되어야 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제까지의 쉘터 박스는 전자파 차폐에 관한 꾸준한 연구결과로 인 하여 전자파 차폐기능면에서는 상당한 구조적 발전을 이루었으나, 외부 충격에 대응하는 충격흡수 구조에 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미흡하였던 것이어서 쉘터 박스의 야지에서의 설치과정 및 차량 이동시 흡족한 충격 흡수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웠던 문제점이 있어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장치의 개발이 시급한 과제인 것이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내부가 채워진 알루미늄 패널을 장방형으로 조립한 쉘터 박스(1)의 바닥판(2) 저면에 상기 바닥판(2)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의 보강판(3) 한 쌍을 일정간격으로 평행이 유지되게 부착 고정하고, 이 한 쌍의 보강판(3)에 덧대어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3
형 단면의 상 프레임(4) 한 쌍을 각기 하향 부착하여 바닥판(2)과 일체로 체결 조립하되, 상 프레임(4)의 양 측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4a)(4a)들이 대향 배치되게 하고, 저단부 슬립 방지턱(5b)과 내면부 고무 고정 돌조(5c)가 일체로 돌출 성형된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4
형 단면의 하 프레임(5)을 상기 상 프레임(4)의 양 측벽 수직 장공(4a)(4a)을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 볼트(6)로 대향 조립하고, 이렇게 대향 조립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S)에 여러 개의 완충 고무(7)들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직 장공(4a)(4a)의 여유 공간만큼 하 프레임(5)이 완충 고무(7)의 탄력을 받아 쿠션작용이 발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박스 완충장치 인 것이다.
쉘터 박스(1)를 아래로 떨어뜨리면 하 프레임(5)이 상 프레임(4)에 천공된 수직 장공(4a)(4a)의 안내 공간을 타고 승강 작동되는데 이때 하 프레임(5)이 지면에 닿는 순간부터 상하 프레임(4)(5) 내부에 끼워진 완충 고무(7)의 자체 탄성에 의해 하 프레임(5)이 쿠션작용을 발휘하게 되면서 낙하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는 동시에 쉘터 박스(1)를 차량 적재함에 탑재한 상태로 이동할 때에도 지면이 고르지 못한 야외 지대나 비포장 길을 달릴 때 발생하는 충격과 진동을 흡수하는 동시에 탑재된 쉘터 박스(1)의 하 프레임(5) 저단부에 하향 돌설된 슬립 방지턱(5c)이 차량 적재함(9)의 바닥 요입홈(9a)에 삽입되게 하는 것이어서 차량의 주행상태에 따라 쉘터 박스(1)가 좌우 한쪽으로 쏠리거나 밀리는 슬립현상이 완벽하게 방지되는 안착효과를 제공한다.
또, 하 프레임(5)의 내면부 돌출 성형된 고무 고정 돌조(5c)에 완충 고무(7)의 하단 중앙부를 끼운 상태로 상하 프레임(4)(5) 사이에 상기 완충 고무(7)가 설치되게 한 것이어서 상기 완충 고무(7)의 안착상태도 견고히 유지되는 것이다.
또한, 차량 적재함(9) 바닥과 쉘터 박스(1)의 저면이 직접 맞닿지 않고 그 사이에 본 발명 완충장치의 높이만큼 형성되는 하부 공간(L)이 형성되는 것이어서 우천시의 빗물 배수가 원활하고, 이 하부 공간(L)을 통한 활발한 공기 유통으로 적재함 바닥부위에 잔존(殘存)하는 물기나 습기를 신속히 건조시켜 쉘터 박스(1)를 습기로부터 보호하는 효과와 함께, 상기 하부 공간(L)을 이용한 지게차 발의 삽입이 가능하여 쉘터 박스(1)의 운반에 필요한 지게차 이용이 자유로운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또,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의 선단과 후단을 각기 일정 길이만큼 대향 절삭하여 형성되는 상 프레임 경사 가공부(4')와 하 프레임 경사 가공부(5')에 의해 쉘터 박스(1)의 낙하 불균형으로 그 선단부와 후단부가 평행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져 낙하되는 경우에도 하 프레임(5)이 다른 부품에 부딪치거나 걸리지 않으면서 그 완충작용이 순조롭게 발휘되어 단부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하게 됨으로써 효과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과제 해결을 위한 실시 예를 첨부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폴리우레탄 폼으로 내부가 채워진 알루미늄 패널을 장방형으로 조립한 쉘터 박스(1)의 바닥판(2) 저면에 상기 바닥판(2)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의 보강판(3) 한 쌍을 일정간격으로 평행이 유지되게 부착 고정하고, 이 한 쌍의 보강판(3)에 덧대어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5
형 단면의 상 프레임(4) 한 쌍을 각기 하향 부착하여 바닥판(2)과 일체로 체결 조립하되, 상 프레임(4)의 양 측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4a)(4a)들이 대향 배치되게 하고, 저단부 슬립 방지턱(5b)과 내면부 고무 고정 돌조(5c)가 일체로 돌출 성형된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6
형 단면의 하 프레임(5)을 상기 상 프레임(4)의 양 측벽 수직 장공(4a)(4a)을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 볼트(6)로 대향 조립하고, 이렇게 대향 조립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S)에 여러 개의 완충 고무(7)들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직 장공(4a)(4a)의 안내 공간만큼 하 프레임(5)이 완충 고무(7)의 탄력을 받아 쿠션작용이 발휘되 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박스 완충장치 인 것이다.
첨부도면 중 미설명 부호 5a는 하 프레임(5)의 양 측벽에 대향 관통시킨 볼트 관통공, 6a는 와셔, 6b는 너트, 8은 차량, 9는 적재함, 9a는 바닥 요입홈을 나타내는 것이다.
본 발명은 그 실시에 있어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의 선단과 후단을 각기 일정 길이만큼 대향 절삭한 상 프레임 경사 가공부(4')와 하 프레임 경사 가공부(5')를 형성하고 있다.
이는 쉘터 박스(1)의 불균형한 낙하로 그 선단부와 후단부가 평행을 유지하지 못하고 일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떨어지는 경우 단부에 받게 되는 충격을 부드럽게 흡수하여 효과적인 완충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쉘터 박스(1)의 저면에 일정간격을 두고 평행하는 한 쌍의 상 프레임(4)이 부착 고정되고, 상기 상 프레임(4)에 대향하는 하 프레임(5)을 체결하되 상 프레임(4)의 양 측벽에 대향 천공시킨 수직 장공(4a)(4a)을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 볼트(6)로서 하 프레임(5)을 대향 조립한 것이어서 쉘터 박스(1)를 아래로 떨어뜨렸을 때 하 프레임(5)이 지면에 닿는 순간 상 프레임(4)에 천공된 수직 장공(4a)(4a)의 안내 공간을 타고 하 프레임(5)이 승강 작동을 하게 되는 것이며, 이때 대향 조립된 상하 프레임(4)(5) 내부에는 완충 고무(7)들이 일정간격으로 끼워져 있어 이 완충 고무(7)들의 탄성에 의해 상기 하 프레임(5)이 부드러운 쿠션작용을 발휘하게 되면서 쉘터 박스(1)의 낙하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하게 된다.
또, 쉘터 박스(1)를 차량 적재함(9)에 탑재하는 경우에는 차량 적재함(9) 바닥에 일정 폭과 간격으로 배열되어 있는 기존의 바닥 요입홈(9a)에 쉘터 박스(1)의 저면에 하향 돌설된 본 발명 완충장치의 하 프레임(5) 저단부 슬립 방지턱(5c)이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이며, 이로 인하여 차량(8)의 주행상태에 따라 쉘터 박스(1)가 좌우로 쏠리면서 한쪽으로 밀리게 되는 슬립현상을 완벽히 방지함으로써 차량(8)의 주행시에도 쉘터 박스(1)의 안착상태를 보장하는 것이며, 차량 적재함(9) 바닥과 쉘터 박스(1)의 저면 사이에 완충장치 높이 만큼의 하부 공간(L)이 형성되면서 우천시 쉘터 박스(1)의 외벽을 타고 흘러내리게 되는 빗물이 이 하부 공간(L)을 통해 원활히 배수되는 동시에 하부 공간(L)을 통한 공기유통이 활발히 이루어지면서 쉘터 박스(1)가 탑재 안착된 적재함(9) 바닥부위에 물기나 습기가 잔존하지 않도록 신속히 건조시킴으로써 쉘터 박스(1)를 습기로부터 보호하게 되는 것이다.
도 1- 본 발명 완충장치의 구성요부 분해상태 저면 사시도.
도 2- 본 발명 완충장치가 장착된 쉘터 박스의 저면 사시도.
도 3- 본 발명 완충장치의 조립상태 단면도.
도 4- 본 발명 완충장치의 완충작용상태 설명도.
도 5- 본 발명 쉘터 박스의 차량 적재함 탑재상태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쉘터 박스 2- 바닥판 3- 보강판
4- 상 프레임 4a- 수직 장공 4'- 경사 가공부
5- 하 프레임 5a- 볼트 관통공 5b- 슬립 방지턱
5c- 고무 고정 돌조 5'- 경사 가공부 6- 체결 볼트
7- 완충 고무 8- 차량 9- 적재함
9a- 바닥 요입홈 S- 내부 공간 L- 하부 공간

Claims (2)

  1. 쉘터 박스(1)의 바닥판(2) 저면에 상기 바닥판(2)의 선단에서 후단까지 이르는 길이의 보강판(3) 한 쌍을 일정간격으로 평행이 유지되게 부착 고정하고, 이 한 쌍의 보강판(3)에 덧대어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7
    형 단면의 상 프레임(4) 한 쌍을 각기 하향 부착하여 바닥판(2)과 일체로 체결 조립하되, 상 프레임(4)의 양 측벽에는 일정간격을 두고 수직 장공(4a)(4a)들이 대향 배치되게 하고, 저단부 슬립 방지턱(5b)과 내면부 고무 고정 돌조(5c)가 일체로 돌출 성형된
    Figure 112008061045143-pat00008
    형 단면의 하 프레임(5)을 상기 상 프레임(4)의 양 측벽 수직 장공(4a)(4a)을 가로질러 관통하는 체결 볼트(6)로 대향 조립하고, 이렇게 대향 조립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S)에 여러 개의 완충 고무(7)들을 일정간격으로 배치하여 수직 장공(4a)(4a)의 안내 공간만큼 하 프레임(5)이 완충 고무(7)의 탄력을 받아 쿠션작용이 발휘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쉘터 박스 완충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 프레임(4)과 하 프레임(5)의 선단과 후단을 각기 일정 길이만큼 절삭하여 대향하는 상 프레임 경사 가공부(4')와 하 프레임 경사 가공부(5')가 형성되게 한 쉘터 박스 완충장치.
KR1020080083802A 2008-08-27 2008-08-27 쉘터 박스 완충장치 KR100973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02A KR100973394B1 (ko) 2008-08-27 2008-08-27 쉘터 박스 완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83802A KR100973394B1 (ko) 2008-08-27 2008-08-27 쉘터 박스 완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49A KR20100025149A (ko) 2010-03-09
KR100973394B1 true KR100973394B1 (ko) 2010-07-30

Family

ID=421767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83802A KR100973394B1 (ko) 2008-08-27 2008-08-27 쉘터 박스 완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3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6886A1 (ko) * 2010-12-20 2012-06-28 주식회사 누리플랜 이엠피 방호실, 이엠피 방호실용 본체 및 그 이엠피 방호실 시공방법
CN111866435A (zh) * 2020-08-21 2020-10-30 无锡鑫智科技有限公司 一种便携式应急指挥视频通信系统
KR102473214B1 (ko) * 2021-02-26 2022-11-30 황정은 볼 베어링이 장착된 적재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190A (ko) * 2004-02-18 2005-08-23 황한정 전자파 차폐용 셀터 박스
JP2008093394A (ja) * 2006-10-12 2008-04-24 Chiyori Seo 組み立て式遊技用シェルタ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82190A (ko) * 2004-02-18 2005-08-23 황한정 전자파 차폐용 셀터 박스
JP2008093394A (ja) * 2006-10-12 2008-04-24 Chiyori Seo 組み立て式遊技用シェルタ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25149A (ko) 2010-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83357B2 (en) Retractable wide-span vehicle barrier system
JP5647376B2 (ja) 建設機械用衛星アンテナ固定装置
KR100973394B1 (ko) 쉘터 박스 완충장치
CN206155604U (zh) 一种非对称上导轮自张紧式履带行走机构
US20120298834A1 (en) Machine and fixed connection of operating space frame for the same
CN100516363C (zh) 钢轨减震器
CN109264157B (zh) 一种预制拼装钢筋混凝土构件运输装置
KR20150049750A (ko) 복합적 방진수단을 가지는 철도궤도 슬래브의 구조
KR100902984B1 (ko) 트럭장착용 충격흡수시설
US9205880B2 (en) ROPS retention system for a work vehicle
CN109279160B (zh) 一种复合式多功能运输箱
KR101002402B1 (ko) 소음 및 진동 저감형 터널 확대용 강재 프로텍터
CN204095936U (zh) 悬置支座和车辆
CN115574029A (zh) 一种减振器、智能传感装置及载具
KR100888627B1 (ko) 녹화 및 지지력 향상을 위한 가드레일 구조
KR100469967B1 (ko) 추락충격감쇠용 완충장치가 설치된 엘리베이터 카
CN103114988B (zh) 压裂车大泵双向自适应减振器
KR20100137232A (ko) 레일에 설치되는 방음장치
CN205101448U (zh) 一种组合式减震器组件
CN219164929U (zh) 一种车载式无线通信装置
CN109279159B (zh) 一种复合式多功能箱底结构
KR100888626B1 (ko) 녹화 및 지지력 향상을 위한 가드레일 구조
CN220391117U (zh) 地质勘探钻孔用装水装置
KR200320575Y1 (ko) 도로의 중앙분리대용 충격완화장치
KR101215947B1 (ko) 방진마운트를 적용한 엠블런스 베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50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51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1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6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