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2441B1 -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2441B1
KR100972441B1 KR1020070120952A KR20070120952A KR100972441B1 KR 100972441 B1 KR100972441 B1 KR 100972441B1 KR 1020070120952 A KR1020070120952 A KR 1020070120952A KR 20070120952 A KR20070120952 A KR 20070120952A KR 100972441 B1 KR100972441 B1 KR 1009724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lens barrel
support
lense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54206A (ko
Inventor
김동진
최광윤
박주성
김주호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2441B1/ko
Publication of KR200900542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42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24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24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0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 G02B7/023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lenses permitting adjustm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6Accessories
    • G03B17/561Support related camera accessori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ens Barr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배럴의 구조를 개선하여 렌즈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렌즈의 변형을 최소화하고,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며, 렌즈에 렌즈배럴 결합시 렌즈배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하우징과의 나사 결합시 안정성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으로부터 광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렌즈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카메라 모듈, 하우징, 렌즈배럴, 렌즈, 렌즈지지부

Description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Lens barrel and camera modu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배럴의 구조를 개선하여 렌즈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렌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렌즈배럴에 렌즈 결합시 렌즈배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하우징과의 나사 결합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현재 휴대폰 및 PDA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는 최근 그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단순한 전화기능 뿐만 아니라, 음악, 영화, TV, 게임 등으로 멀티 컨버전스로 사용되고 있으며, 이러한 멀티 컨버전스로의 전개를 이끌어 가는 것 중의 하나로서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이 가장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카메라 모듈은 기존의 30만 화소(VGA급)에서 현재 800만 이상의 고화소 중심으로 변화됨과 동시에 오토포커싱(AF), 광학 줌(optical zoom) 등과 같은 다양한 부가 기능의 구현으로 변화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CCM:Compact Camera Module)은 소형으로써 카메라폰이나 PDA, 스마트폰을 비롯한 휴대용 이동통신 기기와 토이 카메라(toy camera) 등의 다양한 IT 기기에 적용되고 있는 바, 최근에 이르러서는 소비자의 다양한 취향에 맞추어 소형의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기기의 출시가 점차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이와 같은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 등의 이미지센서를 주요 부품으로 하여 제작되고 있으며 상기 이미지센서를 통하여 사물의 이미지를 집광시켜 기기내의 메모리상에 데이터로 저장되고, 저장된 데이터는 기기내의 LCD 또는 PC 모니터 등의 디스플레이 매체를 통해 영상으로 디스플레이된다.
통상적인 카메라 모듈용 이미지센서의 패키징 방식은, 플립칩(Flip-Chip) 방식의 COF(Chip On Film) 방식, 와이어 본딩 방식의 COB(Chip On Board) 방식, 그리고 CSP(Chip Scaled Package) 방식 등이 있으며, 이 중 COF 패키지 방식과 COB 패키지 방식이 널리 이용되고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통상적인 카메라 모듈 중 COB 방식의 카메라 모듈은 CCD나 CMOS의 이미지센서가 인쇄회로기판에 와이어 본딩에 의해 실장되고, 인쇄회로기판의 상부에 상부로 연장된 경통을 갖는 하우징이 설치되며, 하우징의 상부에 상기 경통과 대응되도록 하부로 연장된 원통형 몸체를 갖고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하우징의 경통 내주면에는 암나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배럴 의 원통형 몸체 외주면에는 숫나사부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배럴은 암나사부와 숫나사부의 나사 결합에 의해 상호 체결된다.
이하,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배럴과 렌즈의 결합 구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존의 렌즈배럴(1)과 렌즈(2)의 결합 구조는, 사출 성형된 렌즈(2)를 렌즈배럴(1) 내부에 형성된 단차부(1a)에 간섭량(f)을 주어 억지끼워 맞춤하는 구조를 사용한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에 복수개의 렌즈(2)가 장착될 경우에는, 상기 렌즈배럴(1)의 내부에 렌즈(2)의 개수와 대응되는 단차부(1a)를 복수개로 형성하고, 렌즈(2)의 높이방향으로는 스페이서(미도시)를 사용하여 렌즈(2) 간의 중심거리를 관리하며, 렌즈(2)의 중심 얼라인먼트(alignment)는 렌즈(2)의 억지 끼워맞춤에 의하여 관리한다.
이때, 상기 렌즈배럴(1)에 억지 끼워맞춤이 유지되려면, 렌즈(2)의 외경과 렌즈배럴(1)의 내경에 차이 즉 간섭량(f)이 있어야 한다.
즉, 상기 렌즈(2) 외경이 렌즈배럴(1)의 내경보다 큰 경우가 되어야 하며 그 반대인 경우는 렌즈(2)가 헐거운 끼워맞춤이 되어 렌즈(2)의 중심 얼라인먼트를 유지할 수 없게 된다.
특히, 끼워맞춤량이 과도하게 설계되는 경우 플라스틱 사출 성형된 렌즈(2)가 압축 변형이 되어 휨 변형이 발생하고, 이는 초기 렌즈(2) 설계 시 고려된 광학 적 프로파일(profile)과의 차이를 발생시키며, 결국, 렌즈(2)의 휨 변형에 의한 광학적 프로파일의 발생된 차이에 의해 렌즈(2)를 통해 구현되는 이미지의 해상도 저하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성능 저하를 유발한다.
한편, 종래 방식의 또 다른 특징은 렌즈(2) 사출 시 렌즈(2)의 일측에 디컷(D-cut)이 존재 한다는 점이다.
상기 디컷은 렌즈(2) 사출 후 렌즈(2) 취출을 위해 렌즈(2)를 게이트 방향 커팅시 커팅된 부위에 발생되는 버(burr)에 의해 렌즈배럴(1)에 렌즈를 끼워맞춤 결합시 버에 의한 렌즈(2)의 틸트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상기 렌즈(2)의 커팅시 발생된 버와 상기 렌즈배럴(1) 사이의 간섭에 의한 틸트나 편심을 방지하기 위해 사출된 렌즈(2)의 일부를 절개된 상태로 설계하게 되며 절개된 상태의 렌즈(2)의 형태가 디(D) 형상이기 때문에 디컷이라고 한다.
상기 디컷은 일종의 렌즈(2)와 렌즈배럴(1) 조립 시 접촉 완충지역을 형성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디컷은 렌즈(2)의 억지끼워 맞춤 시 상기 디컷 부위가 렌즈배럴(1)에 접촉되지 않는 현상이 발생하여, 렌즈(2)의 게이트 방향(G:도 4 참조)과 이의 수직방향인 법선 게이트 방향(NG:도 4 참조)의 렌즈(2) 곡률상에 변화를 유발하게 된다.
즉, 상기 렌즈(2)가 상기 렌즈배럴(1)에 끼워맞춤 결합시 상기 디컷 부위만이 렌즈배럴(1)의 단차부(1a) 내측면에 접촉되지 않기 때문에, 렌즈(2)의 비대칭 형상을 유발, 렌즈(1)의 광학적 중심을 이동(element decenter)시킨다.
이는, 도 5에서 기존 렌즈배럴(1)과 렌즈(2)의 끼워맞춤 결합시 발생되는 렌즈(2)의 변형량이 게이트 방향(G)과 법선 게이트 방향(NG)에 따라 차이가 나는 것으로부터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면 기존 렌즈배럴(1)과 렌즈(2)의 끼워맞춤 결합시 발생되는 렌즈(2)의 변형량이 게이트 방향(G)과 법선 게이트 방향(NG)으로 현저한 차이를 이루는 시뮬레이션 결과로부터 보다 확실하게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존 렌즈배럴(1)과 렌즈(2)의 끼워맞춤 결합은 렌즈(2)의 변형을 초래하며 특히 디컷이 존재하는 경우 보다 큰 변형을 초래하여 렌즈(2)의 광축 중심의 변화를 발생하여 성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또한, 종래에는 렌즈배럴(1)의 내측벽면에 렌즈(2)의 외주면 전체가 억지 끼워맞춤방식으로 압착됨으로써, 이때 발생하는 힘에 의해 렌즈배럴(1)의 측벽면 즉, 원통형 몸체가 변형됨에 따라 렌즈배럴(1)과 하우징의 나사 방식 결합시 나사부의 변형을 유발하여 나사 결합이 불안정하게 이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서, 렌즈배럴의 구조를 개선하여 렌즈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렌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렌즈배럴에 렌즈 결합시 렌즈배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하우징과의 나사 결합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의하면,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으로부터 광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렌즈지지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이 제공된다.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렌즈배럴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 외연(外緣)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렌즈지지부는 최소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렌즈지지부 중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렌즈의 외 주면과 점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선 접촉되거나,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각 렌즈의 외주면을 상호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접촉지지하도록 상기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군(群)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는 다른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와 광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각 렌즈의 외주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각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 간의 높이 차이만큼 상호 간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형태에 의하면,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렌즈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광축방향으로 돌출된 렌즈지지부가 형성된 렌즈배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이 제공된다.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 외연(外緣)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배럴은 나사 방식으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의하면, 렌즈배럴의 구조를 개선하여 렌즈와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를 고정 지지함으로써 렌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고,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렌즈배럴에 렌즈 결합시 렌즈배럴의 변형을 최소화하여 하우징과의 나사 결합시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에 대하여 첨부된 도 7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7의 평면도이며,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있어서 렌즈지지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될 경우, 렌즈지지부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이며,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될 경우, 렌지지지부의 각 군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7과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10)은, 바닥 면(11)으로부터 광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렌즈(L)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렌즈지지부(1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렌즈지지부(15)는 상기 렌즈배럴(10)의 바닥면(11)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렌즈배럴(10)의 내측 벽면(12)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상기 렌즈지지부(15)는 상기 렌즈배럴(10)의 바닥면(11) 외연(外緣)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특히 상기 렌즈지지부(15)는 최소 3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렌즈지지부(15)는 상기 렌즈배럴(10)의 바닥면(11)의 외연을 따라 120도 간격으로 3개로 형성되거나, 또는 90도 간격으로 4개로 형성되거나, 그 이상의 개수로 광 중심축을 기준으로 축대칭 형태로 복수개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렌즈지지부(15)는 렌즈(L)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15a)가 렌즈(L)의 외주면과 대응되는 형상 이외에,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L)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115a, 215a, 315a)가, 둥근 반원 모양, 하트 모양, 광 중심측으로 볼록한 원호 모양 등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상기 렌즈지지부(115, 215, 315) 중 상기 렌즈(L)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렌즈(L)의 외주면과 점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렌즈(L)의 외주면과 선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상기 렌즈(L)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는 형상 등 다양항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12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배럴(10:도 7 참조)에 복수개의 렌즈(L1, L2, L3)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상술한 각 렌즈지지부(15:도 7 참조)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L1, L2, L3)의 각 외주면을 개별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각 렌즈(L1, L2, L3)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즉, 복수개의 렌즈(L1, L2, L3)가 적용되는 경우 렌즈지지부(450)는 제1 렌즈(L1)를 지지하는 제1 렌즈지지부(451)과, 제2 렌즈(L2)를 지지하는 제2 렌즈지지부(452)와, 제3 렌즈(L3)를 지지하는 제3 렌즈지지부(453)로 분할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2, 3 렌즈지지부(451, 452, 453)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L1, L2, L3) 간의 높이 차이만큼 상호 간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렌즈지지부(450)가 상호 간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기존에 렌즈 간의 중심 거리를 맞추기 위해 스페이서를 사용할 필요없이 제1, 2, 3 렌즈지지부(451, 452, 453) 간의 높이 차이를 조절하여 복수개의 렌즈(L1, L2, L3) 간의 중심 거리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렌즈배럴(10)에 복수개의 렌즈(L1, L2)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렌즈지지부는 상기 각 렌즈(L1, L2)의 외주면을 상호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접촉지지하도록 상기 렌즈(L1, L2)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군(群:551, 552)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551, 552)는 다른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552, 551)와 광 중심축(C)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은 렌즈지지부를 통해 렌즈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의 장착이 가능하여 렌즈의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고, 렌즈배럴에 렌즈지지부가 형성됨에 따라 렌즈의 외주면과 렌즈배럴의 내측벽면 사이의 여유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렌즈에 별도의 디컷(D-cut)을 설계할 필요가 없다. 디컷이 존재하더라도 상기 렌즈지지부를 통해 렌즈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의 장착이 가능함과 아울러 복수개의 렌즈지지부 사이 공간에 디컷을 위치시킬 수 있어 렌즈의 억지 끼워맞춤시 발생되는 게이트 방향과 이에 수직한 방향의 렌즈 프로파일의 비대칭성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시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렌즈지지부의 내측면의 포인트 관리를 통해 렌즈배럴의 동심도 측정 및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한편, 상세하게 도시하진 않았지만, 상술한 렌즈지지부(15)를 갖는 렌즈배럴(10)이 카메라 모듈에 적용이 되면, 상기 렌즈배럴과 기존 하우징의 나사 방식 결합시 결합의 안정성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렌즈배럴(10)에는 렌즈(L)의 외주면과의 접촉을 최소화하면서 렌즈(L)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15)가 형성되되, 상기 렌즈지지부(15)가 렌즈배럴(10)의 내측 벽면(12)으로부터 이격되도록 렌즈배럴(10)의 바닥면(11)으로부터 돌출 형성되도록 함으로써, 렌즈지지부(15)와 렌즈(L) 결합시 발생되는 힘이 렌즈배럴(10)의 내측 벽면(12)으로 전달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하우징과의 결합을 위해 렌즈배럴(10)의 외측 벽면에 형성되는 나사부의 변형을 방지하여 하우징과의 나사 결합의 정확성 및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예시의 목적을 위해 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할 것이나, 이러한 치환, 변경 등은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배럴과 렌즈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2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배럴에 렌즈가 장착되기 전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배럴에 렌즈가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
도 4는 종래 기술에 따른 렌즈배럴에 적용되는 렌즈의 게이트 방향과 이에 수직한 법선 게이트 방향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렌즈가 기존 렌즈배럴에 끼워맞춤 결합시 발생되는 변형량을 나타낸 그래프.
도 6a는 도 4의 렌즈가 기존 렌즈배럴에 끼워맞춤 결합시 렌즈의 게이트 방향에 따른 변형량을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분포도.
도 6b는 도 4의 렌즈가 기존 렌즈배럴에 끼워맞춤 결합시 렌즈의 법선 게이트 방향에 따른 변형량을 시뮬레이션하여 나타낸 분포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평면도.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있어서 렌즈지지부의 다른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될 경우, 렌즈지지 부의 실시 형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도 13은 도 12의 평면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장착될 경우, 렌지지지부의 각 군의 배치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렌즈배럴 11: 바닥면
12: 내측 벽면 15: 렌즈지지부
L: 렌즈 D: 디컷

Claims (14)

  1. 복수의 렌즈가 장착되는 렌즈배럴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으로부터 광축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기 렌즈의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는 렌즈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외주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간 적층 높이 차이만큼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분할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으로부터 상부로 돌출 형성되되, 상기 렌즈배럴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 외연(外緣)을 따라 상호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는 최소 3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 중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점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 중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선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 중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접촉되는 부위는 상기 렌즈의 외주면과 면 접촉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각 렌즈의 외주면을 상호 간섭없이 개별적으로 접촉지지하도록 상기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복수개의 군(群)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각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는 다른 군을 이루는 렌즈지지부와 광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 대칭을 이루도록 배치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에 복수개의 렌즈가 적층 장착되는 경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각 렌즈의 외주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각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복수개의 렌즈 간의 높이 차이만큼 상호 간의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분할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렌즈배럴.
  12. 이미지센서가 실장되는 기판;
    상기 기판의 상부에 설치되는 하우징; 및
    상기 하우징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의 렌즈 외주면을 접촉 지지하도록 광축방향으로 돌출된 렌즈지지부가 구비되며,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복수의 렌즈 외주면을 각각 개별적으로 접촉 지지하도록 상기 복수의 렌즈의 개수에 대응되는 개수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복수의 렌즈 간 적층 높이 차이만큼 높이 차이를 갖는 다단 형태로 분할 형성된 렌즈배럴;
    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지지부는 상기 렌즈배럴의 내측 벽면으로부터 이격되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렌즈배럴의 바닥면 외연(外緣)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상기 렌즈배럴은 나사 방식으로 상호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070120952A 2007-11-26 2007-11-26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09724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52A KR100972441B1 (ko) 2007-11-26 2007-11-26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952A KR100972441B1 (ko) 2007-11-26 2007-11-26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206A KR20090054206A (ko) 2009-05-29
KR100972441B1 true KR100972441B1 (ko) 2010-07-26

Family

ID=40861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952A KR100972441B1 (ko) 2007-11-26 2007-11-26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244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636B1 (ko) * 2011-01-18 2013-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8454B1 (ko) 2011-12-22 2013-08-23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CN107703697A (zh) * 2017-10-24 2018-02-16 辽宁中蓝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消光作用的镜筒底部内壁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7235A (ja) * 1996-01-12 1997-07-31 Nikon Corp レンズバレル
JP2001051175A (ja) * 1999-08-05 2001-02-23 Sony Corp レンズ鏡筒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レンズ玉の位置決め装置
JP2004109710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レンズ枠、鏡胴、及びカメラ
JP2007163707A (ja) 2005-12-12 2007-06-28 Ex Kk マクロ機構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マクロ機構付カメラモジュール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197235A (ja) * 1996-01-12 1997-07-31 Nikon Corp レンズバレル
JP2001051175A (ja) * 1999-08-05 2001-02-23 Sony Corp レンズ鏡筒並びにその製造方法及びそのレンズ玉の位置決め装置
JP2004109710A (ja) * 2002-09-19 2004-04-08 Ricoh Co Ltd レンズ枠、鏡胴、及びカメラ
JP2007163707A (ja) 2005-12-12 2007-06-28 Ex Kk マクロ機構およびそれを利用したマクロ機構付カメラモジュール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28636B1 (ko) * 2011-01-18 2013-01-31 삼성전기주식회사 렌즈 모듈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4206A (ko) 2009-05-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86093B2 (en) Plastic barrel,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20210116610A1 (en)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optical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camera module including liquid lens
US20180335607A1 (en) Imaging lens set with plastic lens element, imaging lens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US7494334B2 (en) Mold assembly
KR100951255B1 (ko) 카메라 모듈의 렌즈 조립체
US20100271718A1 (en) Lens module with protrusions on outer surface of barrel and camera module having same
KR102089445B1 (ko) 카메라 모듈
US10067320B2 (en) Lens module
US20180081144A1 (en) Annular optical spacer, imaging lens module, imaging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KR100972441B1 (ko)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20140073255A (ko) 카메라 모듈
KR20090008651A (ko) 카메라 모듈
KR101298454B1 (ko) 카메라 모듈
KR101055449B1 (ko) 카메라 모듈
KR101453006B1 (ko) 카메라 모듈
US7573657B2 (en) Lens module
KR101353168B1 (ko) 칩 온 글라스 패키지와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771775B1 (ko) 카메라 모듈
KR100920781B1 (ko) 카메라 모듈
KR20110103525A (ko) 카메라 모듈
KR2009010558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0795177B1 (ko) 포커싱 조정 노브
JP6820978B2 (ja) レンズ及び当該レンズを含むレンズモジュール
KR102064021B1 (ko) 렌즈 모듈
KR20110017538A (ko) 카메라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1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