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71775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71775B1
KR101771775B1 KR1020140036173A KR20140036173A KR101771775B1 KR 101771775 B1 KR101771775 B1 KR 101771775B1 KR 1020140036173 A KR1020140036173 A KR 1020140036173A KR 20140036173 A KR20140036173 A KR 20140036173A KR 101771775 B1 KR101771775 B1 KR 1017717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barrel
ribs
insertion groove
insertion grooves
camera modu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6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60471A (ko
Inventor
김만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36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717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6047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6047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717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717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Abstract

카메라 모듈을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다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리브를 해당 삽입홈에 삽입함에 따라 포커싱을 세팅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본 발명은 포커싱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카메라 모듈은 모바일폰,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기 등의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디지털 카메라 기술 및 정보 저장 능력의 발달로 인하여 높은 사양의 카메라 모듈의 장착이 점차 보편화되고 있다.
카메라 모듈의 조립은 렌즈 배럴이나 하우징에 나사산을 형성할 수 있다. 렌즈 배럴과 하우징의 금형을 제작하는 경우 나사산에 의해 금형 제작 시간 및 비용이 현저히 증가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과 하우징을 나사 결합할 때에 일정한 토크로 결합시켜야 하므로, 렌즈 배럴과 하우징의 조립 작업이 복잡할 수 있다. 또한, 고정 타입의 카메라 모듈은 해상도 작업시, 포커싱을 초기 설계치 대로 제품에 구현해야 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2009-0026518호(2011.06.22. 공개)에는 카메라 모듈이 개시된다. 카메라 모듈은 렌즈부에 나사부가 형성되고 카메라 하우징에 나사부가 형성된다. 렌즈부는 카메라 하우징에 나사결합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의 길이가 다른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리브가 형성되어 상기 리브를 해당 삽입홈에 삽입함에 따라 포커싱을 세팅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이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리브가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과 리브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및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배럴을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리브가 형성되고,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리브를 해당 삽입홈에 삽입함에 따라 포커싱을 세팅할 수 있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리브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이 교번으로 형성되고, 상기 수용부의 원주 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리브가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삽입홈과 리브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수용부가 형성된 하우징; 상기 수용부에 삽입되는 렌즈 배럴;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제1 리브; 및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 형성되며 상기 제1 리브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는 제2 리브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삽입홈 및 제2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 상에 지지되는, 카메라 모듈을 제공한다.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에는 제3 삽입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 배럴의 외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로부터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와 길이가 다른 제3 리브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리브는 상기 제3 삽입홈에 삽입되어 상기 수용부의 내측면 상에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제3 삽입홈은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과 길이가 다를 수 있다.
상기 제1 리브 및 상기 제2 리브는 상기 제1 삽입홈 및 상기 제2 삽입홈에 각각 삽입됨에 따라 포커싱 세팅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의 세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카메라 모듈이 원거리 포커싱으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카메라 모듈이 베스트 포커싱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카메라 모듈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110) 및 렌즈 배럴(1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10)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수용부(111)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의 하부는 광이 통과할 수 있도록 개구부(112)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의 하부에는 적외선 필터(131)가 배치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31)는 이미지 센서(145)와 하우징(110)의 수용부(111) 하측에 고정될 수 있다. 적외선 필터(131)는 사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적외선 필터(131)는 입사되는 광을 필터링한다.
하우징(110)의 하부에는 인쇄회로기판(140)이 결합될 수 있다. 인쇄회로기판(140)에는 이미지 센서(145)가 설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45)는 개구부(112)에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미지 센서(145)는 인쇄회로기판(140)의 회로 배선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이미지 센서(145)의 배선은 인쇄회로기판(140)의 배선과 플립칩 본딩 또는 솔더링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는 렌즈 배럴(120)이 삽입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내부에는 다수의 렌즈(123)(미도시)가 광축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은 수용부(111)와 동일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111)가 원통형이 경우 렌즈 배럴(120)은 원통형일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상측에는 외부의 광이 입사될 수 있도록 렌즈홀(121)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11)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115,11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115,116)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삽입홈(115,116)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115,116)의 하단의 높이는 삽입홈(115,11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수용부(1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115,116)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111)의 내측면에 길이가 다른 2종의 삽입홈(115,116)이 형성된 경우, 긴 삽입홈(115)과 짧은 삽입홈(116)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1)의 내측면에 길이가 다른 3종의 삽입홈이 형성된 경우, 가장 긴 삽입홈, 중간 삽입홈 및 가장 짧은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수용부(111)의 내측면에 긴 삽입홈(115)과 짧은 삽입홈(116)이 6개 형성된 구조를 일 예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삽입홈(115,116)의 상단은 리브(125,126)가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경사부(11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117)는 리브(125,126)가 삽입홈(115,116)의 정확한 삽입 위치에 위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111)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하단이 약간 틀어진 상태로 수용부(111)에 삽입되는 경우, 수용부(111)의 경사면은 렌즈 배럴(120)의 하단이 정확한 삽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긴 삽입홈(115)과 짧은 삽입홈(116)을 다른 색깔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시각적으로 어떤 삽입홈(115,116)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는 리브(125,126)가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리브(125,126)가 수용부(111)의 해당 삽입홈(115,116)에 삽입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을 세팅할 수 있다.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리브(125,12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125,126)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리브(125,126)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125,126)의 하단은 리브(125,12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렌즈 배럴(12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리브(125,126)가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 길이가 다른 2종의 리브(125,126)가 형성된 경우, 긴 리브(125)와 짧은 리브(126)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120)의 외측면에 길이가 다른 3종의 리브가 형성된 경우, 가장 긴 리브, 중간 리브 및 가장 짧은 리브로 이루어진 그룹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긴 리브(125)와 짧은 리브(126)가 6개 형성된 구조를 일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125,126)가 6개 형성된 경우 적어도 3개의 리브(125,126)의 하단이 3개의 삽입홈(115,116)의 하단에 접촉되므로, 렌즈 배럴(120)이 3점 지지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긴 리(125)와 짧은 리브(126)는 다른 색깔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긴 리브(125)는 긴 삽입홈(115)과 동일한 색깔로 형성되고, 짧은 리브(126)는 짧은 삽입홈(116)과 동일한 색깔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정상적으로 조립되었는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조립 공정 및 작용에 관해 설명하기로 한다. 아래에서는 길이가 다른 2종의 삽입홈(115,116)과 2종의 리브(125,126)가 형성된 경우를 일 예로 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어떤 종류의 리브(125,126)가 어떤 종류의 삽입홈(115,116)에 삽입되는 가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이 다르게 세팅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카메라 모듈이 원거리 포커싱으로 세팅된 경우와 베스트 포커싱으로 세팅된 경우에 관해 순차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카메라 모듈이 원거리 포커싱으로 세팅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수용부(111)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렌즈 배럴(120)을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렌즈 배럴(120)의 긴 리브(125)는 수용부(111)의 긴 삽입홈(115)에 대응되고, 렌즈 배럴(120)의 짧은 리브(126)는 수용부(111)의 짧은 삽입홈(116)에 대응되도록 한다. 긴 리브(125)는 긴 삽입홈(115)에 삽입되고, 짧은 리브(126)는 짧은 삽입홈(116)에 삽입된다. 이때, 리브(125,126)의 삽입 위치가 약간 틀어진 경우, 각 리브(125,126)의 하단은 삽입홈(115,116)의 경사부(117)에 의해 정확한 삽입 위치로 안내된다. 각 리브(125,126)가 해당 삽입홈(115,11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긴 삽입홈(115)의 하단은 짧은 삽입홈(116)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위치에 위치되므로, 렌즈 배럴(120)은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충분히 낮게 삽입된다. 이때, 모든 리브(125,126)의 하단은 모든 삽입홈(115,116)의 하단에 밀착되므로, 렌즈 배럴(120)은 하우징(110)에 6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20)이 기울어지게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120)의 조립 높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렌즈 배럴(12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20)이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깊게 삽입되므로, 렌즈(123)와 이미지 센서(145)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아진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원거리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원거리 포커싱이란 원거리의 물체를 촬상하기에 적합하도록 초점이 세팅된 것을 의미한다.
도 5는 카메라 모듈이 베스트 포커싱 상태로 조립된 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우징(110)의 수용부(111)가 상측을 향하도록 위치시키고, 렌즈 배럴(120)을 하우징(110)의 상측에 위치시킨다.
렌즈 배럴(120)의 긴 리브(125)는 수용부(111)의 짧은 삽입홈(116)에 대응되고, 렌즈 배럴(120)의 짧은 리브(126)는 수용부(111)의 긴 삽입홈(115)에 대응되도록 한다. 긴 리브(125)는 짧은 삽입홈(116)에 삽입되고, 짧은 리브(126)는 긴 삽입홈(115)에 삽입된다. 이때, 리브(125,126)의 삽입 위치가 약간 틀어진 경우, 각 리브(125,126)의 하단은 삽입홈(115,116)의 경사부(117)에 의해 정확한 삽입 위치로 안내된다. 각 리브(125,126)가 해당 삽입홈(115,116)에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짧은 삽입홈(116)의 하단은 긴 삽입홈(115)의 하단에 비해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위치되므로, 렌즈 배럴(120)은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상대적으로 높게 삽입된다. 이때, 긴 리브(125)의 하단은 짧은 삽입홈(116)의 하단에 밀착되고, 짧은 리브(126)의 하단은 긴 삽입홈(115)의 하단과 이격되게 위치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120)은 하우징(110)에 3점 지지된 상태로 조립되므로, 렌즈 배럴(120)이 기울어지게 조립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120)의 조립 높이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렌즈 배럴(120)의 오조립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배럴(120)이 하우징(110)의 수용부(111)에 상대적으로 높게 삽입되므로, 렌즈(123)와 이미지 센서(145)의 거리가 상대적으로 길어진다. 따라서, 카메라 모듈이 베스트 포커싱이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여기서, 베스트 포커싱이란 원거리 포커싱에 비해 상대적으로 초점이 가깝게 세팅된 것을 의미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카메라 모듈은 하우징(210) 및 렌즈 배럴(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은 상측으로 돌출된 수용부(211)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0)의 수용부(211)에는 렌즈 배럴(220)이 삽입될 수 있다.
수용부(211)의 내측면에는 상하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리브(215,216)가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211)의 내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리브(215,216)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리브(215,216)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리브(215,216)는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리브(215,216)의 하단 높이는 리브(215,21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낮은 위치에 배치된다.
수용부(211)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리브(215,216)가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용부(211)의 내측면에 길이가 다른 2종의 리브(215,216)가 형성된 경우, 긴 리브(215)와 짧은 리브(216)가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11)의 내측면에 길이가 다른 3종의 리브(215,216)가 형성된 경우, 가장 긴 리브, 중간 리브 및 가장 짧은 리브로 이루어진 그룹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20)의 외측면에는 삽입홈(225,226)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20)의 삽입홈(225,226)에 수용부(211)의 해당 리브(215,216)가 삽입됨에 따라 카메라 모듈의 포커싱을 세팅할 수 있다.
렌즈 배럴(220)의 외측면에는 길이가 다른 2종 이상의 삽입홈(225,226)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삽입홈(225,226)들은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삽입홈(225,226)은 수직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입홈(225,226)의 상단은 입홈(225,226)의 길이가 길어질수록 높은 위치에 배치된다. 또한, 삽입홈(225,226)의 하단은 모두 개방된다.
렌즈 배럴(220)의 원주방향을 따라 길이가 다른 삽입홈(225,226)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렌즈 배럴(220)의 외측면에 길이가 다른 2종의 삽입홈(225,226)이 형성된 경우, 긴 삽입홈(225)과 짧은 삽입홈(226)이 원주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220)의 외측면에 길이가 다른 3종의 삽입홈이 형성된 경우, 가장 긴 삽입홈, 중간 삽입홈 및 가장 짧은 삽입홈으로 이루어진 그룹이 교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삽입홈(225,226)의 하단은 리브(215,216)가 원활하게 끼워지도록 경사부(227)가 형성될 수 있다. 경사부(227)는 리브(215,216)가 삽입홈(225,226)의 정확한 삽입 위치에 위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수용부(211)의 상단 내측 모서리에는 경사면이 형성될 수 있다. 렌즈 배럴(220)의 하단이 약간 틀어진 상태로 수용부(211)에 삽입되는 경우, 수용부(211)의 경사면은 렌즈 배럴(220)의 하단이 정확한 삽입위치에 위치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도 6에서는 긴 리브(215)와 짧은 리브(216)가 6개 형성된 구조를 일 예를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리브(215,216)가 6개 형성된 경우 적어도 3개의 리브(215,216)의 하단이 3개의 삽입홈(225,226)의 하단에 접촉되므로, 렌즈 배럴(220)이 최소한 3점 지지된다. 따라서, 렌즈 배럴(22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한 카메라 모듈의 제2실시예는 하우징(210)에 리브(215,216)가 형성되고 렌즈 배럴(220)에 삽입홈(225,226)이 형성된 점을 제외하고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또한, 제2실시예의 조립 과정 및 작용은 제1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110,220)에 삽입홈 또는 리브를 형성하고, 렌즈 배럴(120,220)에 리브 또는 삽입홈을 형성하므로, 렌즈 배럴(120,220)과 하우징(110,210)의 조립 공정이 단순화되고 조립 시산이 단축될 수 있다. 또한, 렌즈 배럴(120,220)과 하우징(110,210)에 나사부를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금형 제작 시간 및 비용이 감소될 수 있다. 또한, 나사 결합시 토크 조절 등을 수행할 필요가 없으므로, 조립 시간을 현저히 단축시킬 수 있다.
또한, 리브와 삽입홈의 조합에 따라 포커싱이 선택적으로 세팅될 수 있으므로, 원거리 포커싱 카메라와 베스트 포커싱 카메라의 조립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 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 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110: 하우징 111: 수용부
115,116: 삽입홈 120: 렌즈 배럴
125,126: 리브 131: 적외선 필터
140: 인쇄회로기판 145: 이미지 센서

Claims (15)

  1. 광축을 따라 배치된 복수의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배럴; 및
    상기 렌즈 배럴이 삽입되는 수용부를 구비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며,
    상기 렌즈 배럴과 상기 수용부가 서로 마주보는 면 중 어느 하나에는 오목하게 형성된 복수의 삽입홈이 구비되고, 다른 하나에는 상기 복수의 삽입홈에 삽입되도록 볼록하게 형성된 복수의 리브가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삽입홈은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삽입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되는 적어도 2개의 리브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제1 길이를 갖는 제1 삽입홈; 및
    상기 광축 방향으로 제2 길이를 갖는 제2 삽입홈;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이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의 일측은 각각 상기 복수의 리브가 삽입되는 방향으로 개방된 형상을 갖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의 타측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위치에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일부는 상기 제1 삽입홈의 타측에 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2 삽입홈의 타측에 밀착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 중 일부는 상기 제1 삽입홈과 상기 제2 삽입홈 중 어느 하나의 타측에 밀착되고, 나머지는 상기 제1 삽입홈의 타측 및 상기 제2 삽입홈의 타측과 이격되게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입홈은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삽입홈이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리브는 상기 광축 방향으로 서로 다른 길이를 갖는 적어도 2개의 리브가 상기 렌즈 배럴의 원주 방향을 따라 교번으로 형성되는 카메라 모듈.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036173A 2014-03-27 2014-03-27 카메라 모듈 KR1017717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73A KR101771775B1 (ko) 2014-03-27 2014-03-27 카메라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36173A KR101771775B1 (ko) 2014-03-27 2014-03-27 카메라 모듈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23A Division KR101453006B1 (ko) 2011-12-01 2011-12-01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471A KR20140060471A (ko) 2014-05-20
KR101771775B1 true KR101771775B1 (ko) 2017-08-25

Family

ID=508898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6173A KR101771775B1 (ko) 2014-03-27 2014-03-27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717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77A (ko) * 2017-09-29 2019-04-08 김도현 블랙박스용 렌즈마운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66B1 (ko) 2006-06-0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0866B1 (ko) 2006-06-01 2007-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자동 초점조절 장치를 구비하는 카메라 렌즈 모듈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37977A (ko) * 2017-09-29 2019-04-08 김도현 블랙박스용 렌즈마운트
KR102054048B1 (ko) 2017-09-29 2019-12-09 김도현 블랙박스용 렌즈마운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60471A (ko) 201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36937B2 (en) Camera module having socket with protrusion and method for assembling the same
US8319885B2 (en) Detachable camera module
US20220103724A1 (en) Camera module including a housing with an adhesion surface
CN101339282A (zh) 相机模组
KR102089445B1 (ko) 카메라 모듈
US20110102652A1 (en) Image Detecting Module and Lens Module
KR101453006B1 (ko) 카메라 모듈
KR100891177B1 (ko) 카메라 모듈
KR101771775B1 (ko) 카메라 모듈
US20160006912A1 (en) Camera module
KR102645837B1 (ko) 렌즈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US20220413257A1 (en) Lens assembly module with autofocus function and electronic device
US8830389B2 (en) Image detecting module and lens module
KR100863797B1 (ko) 카메라 모듈
US8235608B2 (en) Camera module
KR101046745B1 (ko) 카메라 모듈
KR102332768B1 (ko) 카메라 장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KR100972441B1 (ko) 렌즈배럴 및 이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1843250B1 (ko) 렌즈배럴 어셈블리
KR100920781B1 (ko) 카메라 모듈
KR100771282B1 (ko) 모바일용 카메라 모듈
KR20100023220A (ko) 모바일 기기용 카메라모듈
KR101138513B1 (ko) 카메라 모듈
KR20090054816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 제조방법, 그리고 이를 포함하는카메라 모듈
KR20090105587A (ko) 카메라 모듈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