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1712B1 -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1712B1
KR100971712B1 KR1020080023993A KR20080023993A KR100971712B1 KR 100971712 B1 KR100971712 B1 KR 100971712B1 KR 1020080023993 A KR1020080023993 A KR 1020080023993A KR 20080023993 A KR20080023993 A KR 20080023993A KR 100971712 B1 KR100971712 B1 KR 10097171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t
mirror
passion
hot water
heat condu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39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98539A (ko
Inventor
이충근
Original Assignee
이충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충근 filed Critical 이충근
Priority to KR10200800239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1712B1/ko
Publication of KR200900985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985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17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17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2Mirrors used as equipmen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84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arent or reflecting areas, e.g. for demisting or de-icing windows, mirrors or vehicle windshield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03/00Aspects relating to Ohmic resistive heating covered by group H05B3/00
    • H05B2203/002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 H05B2203/003Heaters using a particular layout for the resistive material or resistive elements using serpentine layou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Landscapes

  • Mirrors, Picture Frames, Photograph Stands, And Related Fasten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욕실이나 목욕탕 등 온수사용이 많은 곳에 설치된 거울에 김이 서려 뿌옇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특히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형이고 안전하며, 상대적으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형성된 열확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확산부의 전도열로 상기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온수배관, 전기열선, 열전도, 거울, 김서림

Description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apparatus for removing steam-up on mirror}
본 발명은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욕실이나 목욕탕 등 온수사용이 많은 곳에 설치된 거울에 김이 서려 뿌옇게 되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특히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형이고 안전하며, 상대적으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거울(mirror)이란 유리와 같이 투명한 판의 뒷면에 반사율이 높은 은색의 막(layer)을 코팅하거나 전매질(電媒質;電磁氣波의 매질)의 다층막(多層幕)을 증착하여 물체의 모양을 비추도록 만들어진 물건으로, 주로 욕실이나 목욕탕 등의 건물 내(內) 벽면에 부착되어 세면, 화장, 샤워 시(時) 사용자의 모습을 비추는 용도로 사용된다.
한편, 욕실이나 목욕탕 등 고온 다습하고 공기의 유통이 폐쇄된 공간에서 거울을 사용할 때 흔히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거울의 표면에 뿌옇게 김이 서리는 경 험을 누구나 한번쯤 겪은바 있을 것이다. 이 같은 거울의 '김서림 현상(steam-up)'은 욕실 또는 목욕탕의 내부 공기가 이슬점 온도 이상이고 수증기 양이 포화습도 이상일 때 나타나는 결로(結露, dew condensation) 현상의 일종으로, 고온 다습한 공기가 상대적으로 차가운 거울 표면에 부딪혀 물방울로 맺히는 현상이다. 따라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은 온수를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하고, 이 같은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면 거울 표면을 수시로 닦아야만 비로소 목적하는 형상을 볼 수 있으므로 상당한 번거로움이 뒤따른다.
이에 따라 거울의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는 몇 가지 기술이 소개되었는데, 대한민국 특허출원번호 제10-2004-0005951호, 제10-1999-0015357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7-0004315호, 제20-1999-0003332호 등을 통해서는 전기 발열되는 별도의 열선을 거울 뒷면에 배열함으로써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고, 대한민국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1999-0024289호, 특허출원번호 제10-2002-0063651호, 제10-1999-0053167호, 제10-1995-0035754호, 실용신안출원번호 제20-2003-0014457호, 제20-2002-0009630호 등을 통해서는 온수의 순환 및 분사를 위한 별도의 온수 순환관을 거울 뒷면에 설치함으로써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기존의 거울의 김서림 방지기술은 몇 가지 문제점을 나타낸다.
그 중 대표적인 몇 가지로서, 거울의 설치장소가 주로 물 사용이 많은 욕실 또는 목욕탕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거울의 뒷면에 별도의 열선을 배치하는 방법은 감전사고의 가능성이 크고 전력소비가 심한 반면, 거울의 뒷면에 별도의 온수 순환 관을 설치하는 방법은 온수 순환관 매립을 위한 벽면 손상이 불가피하여 시공이 어렵고 누수가능성이 큰 동시에 추가적인 온수사용으로 인한 비용낭비가 뒤따른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전기 발열에 의한 감전 등의 안전사고발생 가능성과 별도의 온수 순환관 매립에 따른 설치의 곤란성 등을 해소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체적인 방도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형성된 열확산부를 포함하여, 상기 열확산부의 전도열로 상기 거울의 온도를 높여 김서림을 방지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열원은, 전기 발열되는 열선을 이용한 발열장치 또는 상기 건물 내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열정합부는 상기 열원의 외면을 따라 밀착된 상태로 상기 열원과 상기 열전도부를 연결하는 클램프 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전도부는 상기 열원의 열을 상기 열확산부로 전달하는 히트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열확산부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지그재그 또는 가로세로로 교차배열되는 그리드 또는 상기 거울의 뒷면을 따라 밀착되는 시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거울은 투명판 및 상기 투명판 뒷면에 코팅된 반사막을 포함하고, 상기 열확산부가 상기 판 형상인 경우, 상기 반사막은 상기 열확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열정합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상기 열확산부는 각각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율 금속 또는 상기 고전도율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을 포함하는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살펴본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는 기존 방식에 비해 에너지 절감형이고 안전하며, 상대적으로 시공이 간단하면서도 한층 더 효과적으로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감전 등의 안전사고 발생과 및 설치의 곤란성을 해소하기 위해 건물에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 또는 별도의 발열장치에서 발생된 열의 전도현상을 응용하는바, 에너지를 절감할 수 있고 시공이 간단한 장점을 보인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설치 후 사용자가 별 도로 조작할 필요가 없어 더욱 편리하며, 모든 종류의 건물 등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어 파급력이 큰 장점이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해서 본 발명을 상세하게 살펴본다.
본격적인 설명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는 열원(熱源, heat source)으로부터 발생된 열의 '전도현상'을 이용하여 거울의 김서림 현상을 방지 및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데, 열원의 종류에 따라 몇 가지 실시예로 구분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은 각각의 실시예 별로 구분해서 살펴보며, 편의상 공통적인 내용에 대해서는 제 1 실시예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는 대신 그 밖의 실시예에서는 차이점을 주로 살펴본다.
제 1 실시예
첨부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20)(이하, 간략하게 김서림 방지장치(20)라 한다.)를 도시한 개요도이다.
이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건물 내에 기(旣) 설치된 온수배관(12)을 열원으로 사용하는바, 여기서 온수배관(12)은 온수가 흐르는 모든 관로(path), 예컨대 상수도관이나 수전구, 샤워헤드(shower head), 샤워시설과 관련된 배관 등을 모두 포함하고, 본 발명을 위해 별도로 추가되는 구성요소라기보다는 온수공급을 위해 건물에 기 설치되는 부분이다. 이에 대해서는 도면에 도시된 냉수배관(14) 및 수전구(16) 등을 참조하면 쉽게 이해될 수 있다. 따 라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는 온수배관(12)이 기(旣) 설치된 건물 내 거울(M)을 그 적용대상으로 하지만, 실제 거울(M)의 김서림 현상이 건물 내 욕실이나 목욕탕 등에서 온수를 사용할 때 주로 발생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이는 본 발명을 한정하기보다는 오히려 기술적 효용성을 부각시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크게 네 부분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즉, 건물에 기 설치되어 그 내부를 흐르는 온수의 잠열(潛熱)로 가열되는 온수배관(12)과, 상기 온수배관(12)에 연결되어 온수배관(12)의 열이 정합(thermal coupling)되는 열정합부(22)와, 상기 열정합부(22)와 연결되어 열정합부(22)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62)와, 상기 열전도부(62)와 연결되는 동시에 거울(M)의 뒷면을 따라 배열되어 열전도부(62)를 통해 전도된 열로 거울(M)을 가열하는 열확산부(82)가 그것이다.
이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각 부분에 대해 도 1과 더불어 별도로 언급되는 도면을 참조해서 상세하게 살펴본다. 이때, 편의상 동일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부여하여 중복된 설명을 피한다.
먼저, 온수배관(12)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원으로서,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전구(16)를 조작하면 온수가 흐르며, 이 과정 중에 상기 온수의 잠열로 자연스럽게 가열된다. 이때, 온수배관(12)은 앞서 언급한 것처럼 온수가 흐르는 모든 관로를 총칭하는바, 상수도관이나 수전 구(16), 샤워헤드, 샤워시설과 관련된 배관 등이 될 수 있고, 거울(M) 위치나 그 외 본 발명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설치위치 등을 고려해서 하나 이상이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다음으로,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를 연결함으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을 열전도부(62)에 정합시키는 부분으로,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에 각각 가급적 넓은 면적이 긴밀하게 밀착되는 것이 열손실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열정합부(22)는 이른바 파이프 클램프(pipe clamp)라 불리는 기계요소가 사용될 수 있고, 몇 가지 예가 도 1을 비롯한 도 2 내지 도 4에 나타나 있다.
먼저, 도 1 및 이의 원내 A 부분을 확대한 도 2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일정길이의 판(plate)을 파이프 형상으로 절곡하여 온수배관(12)의 외면을 따라 밀착시키는 한편 그 양측 단부(24)를 나란히 마주보게 하여 이들 사이로 열전도부(62)의 말단을 삽입하고, 상기 양 단부(24)를 관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관통볼트(26)에 너트(28)를 체결한 형태가 나타나 있다. 다시 말해, 도 1 및 도 2의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을 감싸는 파이프 형상을 나타내되 외면의 일부가 길이방향을 따라 개방되어 각각의 양측 단부(24)가 서로 마주보도록 절곡된 형태를 나타낸다.
따라서 양측 단부(24) 사이로 열전도부(62)를 삽입한 후 관통볼트(26)와 너트(28)를 체결하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
또한, 도 3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길이방향에 수직한 단면이 각각 반원형상을 나타내는 동시에 그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열전도부(62)가 삽입되기 위한 고정구(40)가 마련된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half pipe : 30,32)의 일 끝단을 힌지(hinge : 34) 또는 이와 유사한 기계요소로 연결하고, 상기 힌지(34)의 반대편에 해당되는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의 타 끝단에 각각 걸림단(36)과 걸림홈(38)을 형성하여 후크(hook) 방식으로 체결 또는 분리 가능한 형태가 나타나 있다. 이때, 필요하다면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는 별도의 관통볼트와 너트로 체결 또는 분리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하프파이프(30,32)를 각각 온수배관(12)의 외면에 밀착시킨 상태에서 걸림단(36)과 걸림홈(38)을 체결하고 고정구(40)에 열전도부(62)를 끼우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
아울러, 도 4에 나타난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의 외면을 따라 밀착될 수 있도록 반원형상의 제 1 및 제 2 홈(44,48)이 각각 형성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을 이용한 것으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 중 적어도 하나에는 열전도부(62)가 삽입되는 홀(50)이 형성되어 있고,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은 임의의 제 1 클램프블럭(42)을 관통해서 제 2 클램프블럭(4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볼트(52)로 긴밀하게 고정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의 제 1 및 제 2 홈(44,48)이 각각 온수배관(12)의 외면에 밀착되도록 제 1 및 제 2 클램프블럭(42,46)을 맞대어 놓은 후 임의의 제 1 클램프블럭(42)을 관통해서 제 2 클램프블럭(46)으로 삽입되는 적어도 하나의 탭볼트(52)를 체결하고, 홀(50)에 열전도부(62)를 삽입하면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가 서로 긴밀하게 연결 및 고정되고, 이로써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로 정합되어 열전도부(62)로 손실 없이 전도된다.
이때, 도 1을 비롯한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열정합부(22)는 각각 열전도율이 높은 금속, 예컨대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온수배관(12)과 열정합부(22) 및/또는 열정합부(22)와 열전도부(62)의 접촉부분은 각각 열 접착제 등으로 틈새 없이 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열접착제란 둘 이상의 대상물 사이에서 서로를 접착시키는 동시에 어느 하나로부터 발생된 열을 다른 쪽으로 전달하는 접착물질을 총칭하는바, 일례로 열전도율이 높은 수지접착물질에 고전도성 금속입자(metal particle)나 금속섬유(metal fiber)를 함유시킨 형태일 수 있고, 흔히 전도성 접착제라 불리는 제품이 사용될 수도 있다.
그 결과 상기의 열정합부(22)는 온수배관(12)에 착탈식으로 고정 또는 분리 가능한 것을 물론, 고정 시에는 온수배관(12)과 열전도부(62)를 견고하게 연결하여 온수배관(12)의 열을 열전도부(62)에 손실 없이 전달한다. 참고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살펴본 내용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22)의 몇 가지 예에 지나지 않으며, 그 구체적인 형태는 얼마든지 변형될 수 있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열전도부(62)는 열정합부(22)와 열확산부(82)를 연결함으로써 열정합부(22)를 통해 정합된 온수배관(12)의 열을 열확산부(82)로 전도시키는 부분으로,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금속 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으로 이루어진 라인(line) 또는 튜브(tube)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이때, 열전도부(62)는 본 발명의 가장 특징적인 부분으로, 열의 '전도현상'을 이용해서 열정합부(22)의 열을 열확산부(82)로 전달하기 위한 것인바, 기존의 김서림 방지장치와 달리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62)는 '전도현상'을 이용하여 '전도열'을 이동시킨다. 따라서, 열전도부(62)는 해당 기능을 만족시키는 한 구체적인 형태나 종류는 자유로울 수 있는데, 일례로 주지의 히트파이프(heat pipe)가 사용될 수 있고, 그 외면은 테프론이나 기타 단열성 높은 재질로 코팅될 수 있다. 아울러,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기 위해 열전도부(62)의 길이는 가급적 수m 이하로 제한될 수도 있다.
한편, 열전도부(62)는 도면에서와 같이 열정합부(22)와 열확산부(82)를 연결하는 하나의 라인 또는 튜브형태를 나타낼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일정길이로 규격화된 복수 개를 연결해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를 위해서는 별도의 연결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5와 도 6은 각각 상기 연결부재의 몇 가지 예를 나타낸 도면으로, 편의상 제 1 및 제 2 연결부재(72,74)로 구분하고, 각각의 연결부재(72,74)로 연결되는 두 열전도부(62)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라 한다.
먼저, 도 5에 보인 제 1 연결부재(72)는 중공(中空)이 관통된 일직선의 파이프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1 연결부재(72)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2 열전도부(64,66)의 말단을 끼우면 직선형태로 연결할 수 있다.
또한, 도 6에 보인 제 2 연결부재(74)는 중공이 관통된 구부러진 파이프 형상, 다시 말해 엘보(elbow) 형상을 나타낸다. 따라서 제 2 연결부재(74)의 양 끝단에 각각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말단을 끼우면 원하는 각도의 곡선형태로 연결할 수도 있다.
아울러, 도 7에 나타난 것처럼 연결하고자 하는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마주보는 끝단(65,69)을 각각 일정두께 이하로 납작하게 눌러 포갠 후 타이(tie) 형태의 제 3 연결부재(76)를 이용하여 제 1 및 제 2 열전도부(64,66)의 끝단(65,69)을 겹쳐 고정하는 것도 가능한바, 상기의 제 1 내지 제 3 연결부재(72,74,76)는 모두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이나 이들 금속중 적어도 하나의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불필요한 열손실을 막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다시 도 1로 돌아와서, 열확산부(82)는 열전도부(62)를 통해 전달된 전도열을 거울(M)의 뒷면 전체로 분배하는 부분으로, 텅스텐(W), 철(Fe), 구리(Cu), 금(Au), 은(Ag), 알루미늄(Al)을 포함하는 고전도성 금속 또는 이들 중에 선택된 하나 이상의 합금이나 세라믹 등의 비철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그리드(grid)나 시트(sheet)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더불어, 거울(M)의 뒷면에는 열확산부(82)를 덮는 별도의 단열층(84)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로써 열확산부(82)와 건물의 벽면이 직접 맞닿아 발생될 수 있는 불필요한 열손실을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확산부(82)는 구체적인 형태에 따라 몇 가지로 구분할 수 있으므로 각각을 살펴본다.
먼저, 첨부된 도 8은 도 1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보인 단면도로서, 거울(M) 및 이의 뒷면을 따라 지그재그로 배열된 그리드 형태의 열확산부(82)가 나타나 있다. 이때, 거울(M)은 일반적인 경우와 마찬가지로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의 투명판(2) 뒷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막(4)을 코팅한 형태가 될 수 있고, 이러한 반사막(4)의 뒷면에는 열확산부(82)를 덮는 단열층(8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열전도부(62)와 열확산부(82)의 물리적 연결을 위해서는 도 1의 원내 B의 확대도인 도 9와 같이 열전도부(62)의 말단에 열확산부(82)의 일부를 감아 밀착시킬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
또한, 첨부된 도 10은 열확산부(82)의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거울(M)의 뒷면을 따라 가로세로로 교차 배열된 매트릭스(matrix) 형태를 나타낸다. 이때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앞서 도 8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생략하며, 이 역시 열전도부(62)의 말단 외면에 일정부분을 감아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
아울러, 첨부된 도 11은 열확산부의 또 다른 예를 나타낸 사시도로서, 거울(M)의 뒷면을 따라 부착된 판(plate) 또는 시트(sheet) 형상을 나타낸다. 이때, 열확산부(82)의 역할은 앞서와 마찬가지로 열전도부(62)로부터 전달된 전도열을 거 울(M)의 뒷면 전 면적으로 분배하기 위한 것으로, 도 12에 나타난 것처럼 열확산부(82)의 일부를 열전도부(62)의 외면에 말아 연결할 수 있고, 이로써 열전도부(62)의 전도열은 손실 없이 열확산부(82)로 전도된다.
이 경우, 특히 도 11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은 도 13 또는 도 14와 같은데, 도 13을 통해서는 거울(M)의 투명판(2) 뒷면에 코팅된 반사막(4)을 따라 판 형상의 열확산부(82)가 밀착되고, 이를 단열층(84)이 덮고 있다. 이때, 거울(M)은 투명판(2)의 배면에 반사율이 높은 반사막(4)을 코팅한 형태를 나타내는바, 열확산부(82)가 반사율이 높은 금속재의 판 또는 시트인 경우에는 도 14와 같이 거울(M)의 반사막(도 13의 4 참조)을 생략하는 대신, 열확산부(82)를 투명판(2)의 뒷면에 밀착시켜 반사막(도 13의 4 참조)을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는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는 것과 동시에 거울(M)의 김서림 방지 및 억제동작을 수행하고,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추가적인 조작없이 거울(M)의 김서림을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온수를 사용하기 위해 수전구(16)를 조작하면 온수배관(12)을 통해 온수가 흘러 수전구(16)로 배출되는데, 이 과정 중에 온수의 잠열에 의해 가열된 온수배관(12)의 열은 열정합부(22), 열전도부(62), 열확산부(82)를 차례로 거쳐 거울(M)의 뒷면 전체로 전도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별도 조작 없이도 거울(M)의 김서림 현상을 효과적으로 방지 및 억제할 수 있다.
제 2 실시예
첨부된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개요도이다. 이때, 앞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역할을 하는 동일부분에 대해서는 동일도면부호를 부여하였으므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하며, 그 차이점만을 살펴본다.
보이는 것처럼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20)의 열원으로는 온수배관(12)을 대신해서 별도의 발열장치(92)가 사용된다.
이때, 발열장치(92)는 욕실이나 목욕탕 등에 설치된 콘센트(90)에 연결되는 전기발열 방식일 수 있는데, 이를 위한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는 도 16에 나타난 것처럼 열정합부(22)와 연결된 봉 형상의 본체(94) 내부를 따라 전기발열을 위한 열선(96)을 배치하여 완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열선(96)의 전기발열에 따른 열은 열정합부(22, 도 15를 참조한다. 이하 동일하다.), 열전도부(62), 열확산부(82) 차례로 거쳐 거울(M)의 뒷면 전체로 전도되고, 이로써 거울(M)이 가열되어 김서림 현상이 방지 및 억제된다. 이 경우 필요하다면 발열장치(92)는 거울(M)의 김서림 여부를 감지할 수 있도록 거울(M) 표면에 부착된 습도센서(86) 또는 수전구(16)를 배출되는 물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수전구(16)에 부착된 온도센서(88) 중 적어도 하나와 연동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울(M)에 김서림 현상이 나타나거나 사용자가 일정 온도 이상의 온수를 사용하면 자동적으로 구동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이상에서 살펴본 몇 가지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 있는 여러 가지 변형은 모두 본 발명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인데, 이 같은 본 발 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의 특허청구범위를 통해 당업자에게 보다 분명해 질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의 개요도.
도 2는 도 1의 원내 A에 대한 확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정합부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1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2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의 제 3 연결부재에 대한 사시도.
도 8은 도 1의 A-A 선에 대한 단면도.
도 9는 도 1의 원내 B에 대한 확대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확산부의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열확산부의 또 다른 예에 대한 사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열전도부와 열확산부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3과 도 14는 각각 도 11의 B-B 선에 대한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김서림 방지장치의 개요도.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발열장치의 단면도.

Claims (7)

  1.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거울의 뒷면에 배치된 반사막과;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반사막의 뒷면에 형성된 열확산부와;
    상기 열확산부의 뒷면에 형성된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정합부는
    상기 열원을 감싸게 형성된 제 1, 2 하프파이프;
    상기 제 1, 2 하프파이프를 연결시키는 힌지;
    상기 제 1 하프파이프에 형성된 걸림홈;
    상기 제 2 하프파이프에 형성된 걸림단;
    상기 제 1, 2 하프파이프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고 상기 열전도부가 삽입되는 고정구를 포함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2. 건물 내 벽면에 부착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로서,
    상기 거울의 뒷면에 배치된 반사막과;
    상기 건물 내에 설치되어 열을 발생시키는 열원과;
    상기 열원에 연결되어 상기 열원의 열이 정합되는 열정합부와;
    상기 열정합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정합부의 열이 전도되는 열전도부와;
    상기 열전도부와 연결되어 상기 열전도부의 열이 전도되고, 상기 반사막의 뒷면에 형성된 열확산부와;
    상기 열확산부의 뒷면에 형성된 단열층을 포함하고,
    상기 열정합부는
    상기 열원을 감싸게 형성된 제 1, 2 클램프블럭;
    상기 제 1, 2 클램프블럭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형성되어 상기 열전도부가 삽입되는 홀;
    상기 제 1, 2 클램프블럭을 체결고정시키는 탭볼트를 포함하는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3. 청구항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열확산부는 상기 열전도부를 감싸도록 형성된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KR1020080023993A 2008-03-14 2008-03-14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KR1009717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93A KR100971712B1 (ko) 2008-03-14 2008-03-14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3993A KR100971712B1 (ko) 2008-03-14 2008-03-14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39A KR20090098539A (ko) 2009-09-17
KR100971712B1 true KR100971712B1 (ko) 2010-07-21

Family

ID=413575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3993A KR100971712B1 (ko) 2008-03-14 2008-03-14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171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60A (ja) * 1997-12-25 1999-07-13 Sankyo System Kk 浴室又は洗面所用防曇ミラー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87960A (ja) * 1997-12-25 1999-07-13 Sankyo System Kk 浴室又は洗面所用防曇ミラー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98539A (ko) 2009-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274061B (zh) 用于航天器的热管-流体回路耦合热辐射器
US4556298A (en) Non-fogging bathroom mirror
KR100971712B1 (ko) 거울의 김서림 방지장치
CA2211304A1 (en) Mirror assembly having a steaming up preventing system
US6198073B1 (en) Device for de-fogging bathroom mirrors
KR20200103342A (ko) 거울에 김이 서리는 것을 방지하는 장치
JP2010227272A (ja) 防曇鏡付き混合水栓装置
CN209767851U (zh) 异形体加热器
JP2005034255A (ja) 曇り防止付き鏡ユニット
PL171817B1 (pl) Element grzejny do ogrzewania lub chlodzenia powierzchniowego PL
KR0131493Y1 (ko) 난방용방열기의 방열판 보호관
KR100630330B1 (ko) 전기 히터
KR200438072Y1 (ko) 난방용 방열기
JP3702755B2 (ja) 配管構造及び配管構造の解凍方法
FI104216B (fi) Patteri
CN106767033A (zh) 壳管联通储水即热式换热器
JPH116651A (ja) 流水加熱装置
JP2003240333A (ja) 温水加熱装置
RU2178133C2 (ru) Система трубопроводов для нагревательной текучей среды в модульных биметаллических радиаторах (варианты)
JPH07213397A (ja) 鏡の曇り防止装置
JP3361424B2 (ja) 温水床暖房パネルの配管接続構造
JP3027360U (ja) シャワー設備
US3194306A (en) Baseboard heater
JP3078015U (ja) 簡易型液体加熱管の構造
KR200274841Y1 (ko) 온수 난방관용 열전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5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