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776B1 - 원단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원단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776B1
KR100970776B1 KR1020080028570A KR20080028570A KR100970776B1 KR 100970776 B1 KR100970776 B1 KR 100970776B1 KR 1020080028570 A KR1020080028570 A KR 1020080028570A KR 20080028570 A KR20080028570 A KR 20080028570A KR 100970776 B1 KR100970776 B1 KR 100970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space
curing
transport space
ultravio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285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3160A (ko
Inventor
김연수
최오곤
방호주
위다연
Original Assignee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285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776B1/ko
Publication of KR200901031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31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0/00Physical treatment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e.g. ultrasonic, corona discharge, irradiation, electric currents, or magnetic fields; Physical treatment combined with treatment with chemical compounds or elements
    • D06M10/001Treatment with visible light, infrared or ultraviolet, X-ray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27/00Compound processes or apparatus, for finishing or dressing textile fabr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MTREATMENT,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CLASS D06, OF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FEATHER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 D06M11/00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 D06M11/58Treating fibres, threads, yarns, fabrics or fibrous goods made from such materials, with inorganic substances or complexes thereof; Such treatment combined with mechanical treatment, e.g. mercerising with nitrogen or compounds thereof, e.g. with nitri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 Y02P70/62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related technologies for production or treatment of textile or flexible materials or products thereof, including footwe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내부에 이송공간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 측에 공급롤러와 권취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롤러에서 인출되어 이송공간으로 이동하는 원단을 권취롤러로 권취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이송공간 상부 또는 하부에 자외선 램프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원단을 경화시키는 경화부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에 공급덕트를 설치하고 질소를 발생시키는 퍼징수단을 공급덕트에 탑재시켜 이송공간 내부에 설치한 감지센서가 산소 농도를 센싱하도록 하고, 이송공간 내부가 셋팅된 산소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질소를 강제 순환시키는 질소 퍼징부를 포함한다.
원단, 경화, 자외선램프, 질소 퍼징

Description

원단 경화장치{CURNG DEVICE OF TEXTILE}
본 발명은 원단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더욱 상세하게는 자외선 조사가 가능한 연속형 자외선 경화장치를 마련하여 원단에 부착된 가공제의 경화가 가능하고, 원단의 양면 또는 편면을 선택적으로 경화 처리할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에 의한 경화공정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능성 가공은 방수, 발수, 항균, 방취, 방염 등의 기능성 가공액을 침지 또는 코팅 방식을 통하여 원단의 편면 혹은 양면에 부여한 후 액제, 바인더, 또는 원단을 구성하는 소재의 열적 특성에 따라 고온 하에서 장시간 건조, 경화시켜 기능성 성분이 원단의 표면에 부착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기능성 가공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0-51608호에서 제시된 바와 같이, 원단지를 코팅액에 침수시켜 표면에 코팅액을 도포시킨 후 탈수를 거친 원단지가 70~110℃ 온도로 다단계 수직형 건조장치를 거쳐 표면을 경화시키는 공정이 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원단지 코팅을 위한 가공처리 및 경화 공정은 다량의 화학약품과 물, 에너지를 필요로 하며 다단계의 건조 라인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넓은 작업공간이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최근에는 환경오염 및 이산화탄소 배출가스 규제 등에 의해 전 산업 영역을 대상으로 청정기술과 저에너지 가공 기술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어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코팅 처리 및 경화공정에서 발생하는 단점을 보완하고자 물이나 화학약품을 적게 사용하면서 고분자의 표면 개질이나 경화가 가능한 플라즈마 표면 처리, 코로나 방전과 자외선 조사 등의 물리적 방법이 제시되어 있다.
여기서, 자외선 경화 기술은 설비가 간편하고 기존의 설비를 변형을 최소화하면서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플라즈마 표면처리 및 코로나 방전 등에서 유출되는 유해한 화학물질이 방출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이미 인쇄, 전자재료, 목재의 코팅 산업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으며, 섬유 및 원단의 가공에 있어서도 그 활용 가능성이 크게 적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자외선 경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38497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 조사를 통해 나일론 원단의 표면을 개질시킴으로써, 산성염료에 대한 염색성을 향상시킨 예가 제시되어 있으나, 원단에 대한 자외선 조사 시간이 수십분에 이르는 등 연속적인 처리가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6-105720호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을 조사하는 램프를 구비하는 챔버와, 챔버를 통과하면서 자외선을 조사받는 직물의 폭이 유지 또는 연장되도록 챔버에 설치되는 텐터 핀과, 텐터 핀과 맞물리 는 고정수단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상기 자외선 램프가 챔버 상부에만 설치되어 있어 가공액에 침지로 처리된 원단의 경우 원단의 양면에 가공액이 도포된 상태이므로 양면에 대한 경화 처리가 필요한데 원단의 양면을 경화시키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원단의 편면만을 경화시킴으로써 원단의 한쪽 면에 자외선을 조사한 후 경화 처리된 섬유를 뒤집어 반대면을 추가적으로 경화시켜야 함에 따라 작업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라디칼 중합 금지제로 작용되는 공기 중의 산소에 대한 영향을 최소화할 수 방안이 마련되어 있지 않아 섬유 표면의 불완전 경화를 야기시키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능성 가공액에 침지 또는 코팅 방식으로 처리된 원단의 경화공정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선택적으로 원단의 양면 또는 편면 경화가공을 가능하도록 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다른 목적은 경화 공정 중 산소가 라디칼 반응 방지제로 작용 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원단 표면의 불완전 경화를 억제시키는 데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오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단의 손상 및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하 는 데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원단이 이송공간으로 출력되기 전 열에 의해 가열된 원단 표면의 온도를 하강시켜 가공제가 코팅된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원단에 부착된 가공액의 양이 적거나 열에 민감한 원단일 경우 외부적 손상이나 물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데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송되는 원단의 표면이 평탄하게 이송될 수 있도록 하는 데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내부에 이송공간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측에 공급롤러와 권취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롤러에서 인출되어 이송공간으로 이동하는 원단을 권취롤러로 권취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이송공간 상부 또는 하부에 자외선 램프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원단을 경화시키는 경화부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에 공급덕트를 설치하고 질소를 발생시키는 퍼징수단을 공급덕트에 탑재시켜 이송공간 내부에 설치한 감지센서가 산소 농도를 센싱하도록 하고, 이송공간 내부가 셋팅된 산소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질소를 강제 순환시키는 질소 퍼징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배기부는 이송공간의 내부에 배기휀을 설치하여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공간의 출구에는 냉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공급하여 경화된 원단의 표면 온도를 감소시켜 가공제가 코팅된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램프보호수단은 상기 자외선램프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이송공간 상.하부에 각각 마주보게 배치하여 이송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순차되게 연접시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임의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장착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으로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의 램프보호수단의 하우징과 연통시킨 방출덕트를 챔버 외부로 인출한 다음 오존배기수단을 장착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송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존을 외부로 강제 송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원단의 양측 하부에 체인으로 이음 연결된 폭고정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체인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텐테핀을 수직으로 장착하고, 텐테핀 상부에는 굴림롤러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텐터핀과 굴림롤러 사이로 개재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폭 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켜 원단 표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원단 경화장치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조작부가 마련되며, 상기 조작부는 자외선램프의 출력, 공급부의 원단 공급속도, 냉각수단, 배 기휀, 퍼징수단, 오존배기수단 및 폭고정벨트의 작동상태 및 진행 값을 외부로 표시하며, 또한 자외선 램프의 출력시간, 공급롤러와 권취롤러 및 폭고정벨트의 회전수 가변 및 냉각수단 온도, 질소의 퍼징량, 산소 농도체크, 차단커버의 개폐를 컨트롤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질소퍼징부에 의해 질소를 이송공간에 투입하여 이송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산소를 부피 백분율 기준으로 1~20%로 낮추어 불완전 경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진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기능성 가공액에 침지 또는 코팅 방식으로 처리된 원단의 경화공정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키고 원단의 양면을 동시에 경화시키거나 양면 중 한 면만을 선택적으로 경화시킬 수 있도록 하여 경화 공정을 단축시킬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이송공간 내부에 질소를 공급하여 공기 중의 산소 비율을 낮추어 경화 공정 중 산소에 의한 라디칼 반응 방지제로 작용되는 것을 최소화하여 원단 표면의 불완전 경화를 억제시킴으로써, 원단 경화의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자외선 조사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오존을 외부로 방출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단의 손상 및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제품의 불량률을 더욱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자외선에 의해 경화된 원단이 이송공간으로 출력되기 전에 열에 의해 가열된 원단표면의 온도를 하강시켜 가공제가 코팅된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는 데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이송공간에 상하로 대칭되어 이를 연속적으로 배치시킨 복수개의 자외선 램프 중 차단커버를 이용하여 하부가 개구된 하우징을 밀폐시켜 자외선 램프를 선택적으로 조사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에 부착된 가공액의 양이 적거나 열에 민감한 원단일 경우 외부적 손상이나 물성 저하를 방지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원단의 양측 하부에 복수개의 텐터핀을 장착한 폭고정벨트를 설치하여 이송되는 원단의 폭방향 평탄성을 만족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원단의 표면이 고르게 경화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동일한 참조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기 위하여 생략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원단"이라 함은, 제직 또는 편직에 의해 제조되는 물품, 부직포 및 섬유상 웹 등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이고, 도 2a,b는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의 램프보호수단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의 폭고정벨트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병의 원단 경화장치의 폭고정벨트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는 내부에 이송공간 113이 마련된 챔버 110와, 상기 이송공간 113로 원단 10을 연속적으로 제공하는 공급부 120와, 상기 자외선램프 131를 원단 10에 조사시켜 원단 10을 경화시키는 경화부 130와, 상기 이송공간 113로 질소를 공급하여 원단 10의 경화효율을 향상시키는 질소 퍼징부 140로 구성된다.
상기 챔버 110는 상부챔버 111와 하부챔버 112로 구성되며, 상호 조합에 의해 결합된 경계부에 이송공간 113이 마련되며, 상기 이송공간 113은 원단 10이 통과할 최소한의 공간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으로 외부 공기의 출입이 불가능하도록 차폐시킨다.
그리고 공급부 120는 이송공간 113의 입구 측에 원단 10을 권취시킨 공급롤러 121가 배치되고, 상기 공급롤러 121에서 인출된 원단 10이 자외선 조사에 의해 경화되어 이송공간 113의 타측에 배치된 권취롤러 122 측으로 권취된다.
여기서, 공급롤러 121에 권취된 원단 10은 기능성 가공액에 침지 또는 코팅 후 패딩 및 수분이 건조된 상태로 공급롤러 121와 권취롤러 122의 회전에 의해 원단 10이 이송공간 113을 연속적으로 통과하도록 하여 원단 10 표면에서의 가공액 경화가 이루어지며, 상기 두 롤러의 회전수에 의해 원단 10이 경화부 130의 자외선 조사에 노출되는 속도를 컨트롤 할 수 있다.
또한, 원단 10의 특성상 길이 방향으로의 장력을 필요한 경우에는 공급롤러 121의 회전수보다 권취롤러 122의 회전수를 빠르게 진행시키며, 상기 원단 10의 장력이 필요하지 않은 경우에는 공급롤러 121와 권취롤러 122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조절한다.
그리고, 도 3 또는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공급롤러 121와 권취롤러 122 사이를 지나가는 이송공간 113의 양측에는 원단 10의 폭 방향으로의 평탄성을 유지하기 위해 폭고정벨트 170가 설치된다.
상기 폭고정벨트 170는 상기 이송공간 113 내부에서 이동하는 원단 10의 양측 하부에 체인 173으로 이음 연결되고, 상기 체인 173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텐테핀 171을 수직으로 장착하며, 상기 텐테핀 171 상부에는 굴림롤러 172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텐터핀 171과 굴림롤러 172 사이로 개재되어 이송되는 원단 10의 폭 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켜 원단 10 표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원단 10은 양측면이 텐터핀 171과 굴림롤러 172 사이 공간으로 이송되면서 압박되고 상기 공급부 120의 이송속도에 맞추어 폭고정벨트 170의 회전수를 동일하게 하여 원단 10의 폭 방향으로 표면이 평탄성을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원단 10과 텐터핀 171의 마찰에 의한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굴림롤러 172는 브러쉬로 적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한 쌍의 폭고정벨트 170는 상호 배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어(미도시) 다양한 폭을 갖는 원단 10에 적용할 수 있으며, 상기 폭고정벨트 170에 별도의 모터를 장착하여 독립적인 운행을 가능하게 한다.
상기와 같이, 원단 10이 이송공간 113을 통과하면 경화부 130에서 200~400nm의 세기로 자외선을 조사시켜 기능성 가공액을 경화시킨다.
즉, 자외선램프 131는 점등 시 냉각된 상태에서 경화에 필요한 에너지가 원단 10 표면에 도달하여 경화공정이 이루어지는 시점을 보다 신속하게 이룰 수 있도록 상기 이송공간 113 상.하부에 자외선 램프를 하나 이상 설치하되, 이송공간 113에 상.하로 마주보게 배치되어 이를 연속적이면서 순차적으로 복수개 설치하여 자외선에 의해 원단 10의 경화공정을 신속하게 진행시킨다.
더불어,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 131는 램프보호수단 132의 수용공간 132b에 장착되도록 하여 자외선을 조사공간 내부로 집중시킬 수 있도록 하여 자외선 조사 효율을 보다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능의 램프보호수단 132은 도 2a와 도 2b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간 132b을 형성시켜 자외선램프 131를 설치한 다음 상.하부에 각각 마주보게 배치되어 이송공간 113에 순차적으로 연접시킨 하우징 132a과, 상기 하우징 132a의 개구된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 132b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자외선램프 131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임의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단커버 132c와, 상기 수용공간 132b 내부에 장착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 132d으로 구성한다.
이렇게 구성되는 램프보호수단 132은 자외선램프 1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반사판 132d에 의해 이송공간 113측으로 조사 방향이 설정되도록 하고, 외부로 확산 방출되는 자외선은 하우징 132a에 의해 이송공간 113에서 순차적으로 공간이 구획되어, 할당된 공간에 자외선이 집중적으로 조사되도록 한다.
여기서, 원단 10에 침지 또는 코팅된 가공액의 양이 적거나 열에 민감한 원단 10인 경우 가공액의 경화에 필요한 최소한의 자외선 램프만을 조사시키고, 나머지 다른 개소의 자외선램프 1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차단시킨다.
즉, 차단커버 132c를 작동시켜 하우징 132a의 개구된 하부를 밀폐시켜 가공액이 코팅되어 있지 않은 원단 10의 면을 보호하고, 처리 원단 10 및 가공액의 특성, 가공 정도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차단커버 132c를 작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원단 10의 손상이나 물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경화부 130에 의해 원단 10의 경화공정이 행하여 질 때 이송공간 113의 입구와 출구에 공급덕트 143를 설치하고 질소를 발생시키는 퍼징수단 142을 공급덕트 143에 탑재시켜 이송공간 113 내부에 설치한 감지센서 141가 산소 농도를 센싱하도록 하고, 이송공간 113 내부가 셋팅된 산소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질소를 강제 순환시키는 질소 퍼징부 140를 통하여 이송공간 113 내부에 최대한 질소 분위기를 형성함으로써 경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기 중의 산소는 부피 백분율 기준으로 약 21%를 차지하며, 원단 10 경화공정에서 이송공간 113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의 산소는 라디칼 반응 방지제로 작용되어 원단 10 표면의 불완전 경화를 야기시키게 되는 요인이 되고 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하여 질소 퍼징부 140는 감지센서 141를 이용하여 이송공간 113 내부의 공기 중의 산소 농도가 1~20% 수준을 유지할 수 있도록 산소농도를 항시 센서링하고. 이 신호값을 기준으로 산소 농도가 20% 이상일 경우 질소 퍼징부 140를 작동시켜 공급덕트 143로 질소를 강제 공급하여 이송공간 113 또는 하우징 132a 내부로 순환되어 최대한 질소 분위기를 형성토록 함으로써, 원단 10에 부착된 기능성 가공제의 경화 속도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다.
동시에 자외선 램프 131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원단 10의 경화가 이루어지나, 자외선 이외의 적외선도 동시 방출됨에 따라 원단 10 표면의 온도가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이송공간 113의 내부에 배기휀 151을 장착한 배기부 150가 자외선램프 131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한다. 더불어 상기 방출덕트 133에는 오존 배기수단 152을 장착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송공간 113에 발생하는 오존을 외부로 강제 송출시킬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이송공간 113의 출구에는 냉각수단 160으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공급하여 경화된 원단 10의 표면 온도를 직접적으로 감소시켜 가열된 원단 10이 권취롤러 122에 바로 권취될 경우 원단 10의 표면에 부착된 가공제나 원단 10 자체의 변형을 방지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원단 경화장치는 조작부 180를 통하여 제어된다.
상기 조작부 180는 자외선램프 131의 출력, 공급부 120의 원단 공급속도, 냉각수단 160, 배기휀 151, 퍼징수단 142 및 오존배기수단 152의 작동상태 및 결과값을 외부로 표시하며, 또한 자외선 램프의 출력시간, 공급롤러 121와 권취롤러 122 의 회전수 가변 및 냉각수단 160 온도, 질소의 퍼징량, 산소 농도체크, 차단커버 132c의 개폐를 컨트롤 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조작부 180에는 외부로 결과값 또는 진행값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가 설치되며, 각 구동장치를 컨트롤하기 위한 조작버튼이 마련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명백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를 나타낸 정단면도.
도 2a,b는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의 램프보호수단의 다양한 작동상태를 나타낸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의 원단 경화장치의 폭고정벨트를 나타낸 평면도.
도 4는 본 발병의 원단 경화장치의 폭고정벨트를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 원단 100 : 원단 경화장치
110 : 챔버 111 : 상부챔버
112 : 하부챔버 113 : 이송공간
120 : 공급부 121 : 공급롤러
122 : 권취롤러 130 : 경화부
131 : 자외선램프 132 : 램프보호수단
132a : 하우징 132b : 수용공간
132c : 차단커버 132d : 반사판
133 : 방출덕트 140 : 질소 퍼징부
141 : 감지센서 142 : 퍼징수단
143 : 공급덕트 150 : 배기부
151 : 배기휀 152 : 오존배기수단
160 : 냉각수단 170 : 폭고정벨트
171 : 텐터핀 172 : 굴림롤러
173 : 체인 180 : 조작부

Claims (8)

  1. 내부에 이송공간이 마련된 챔버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측에 공급롤러와 권취롤러를 설치하여 상기 공급롤러에서 인출되어 이송공간으로 이동하는 원단을 권취롤러로 권취시키는 공급부와,
    상기 이송공간 상부 또는 하부에 자외선 램프를 하나 이상 설치하여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해 원단을 경화시키는 경화부와,
    상기 이송공간의 입구와 출구에 공급덕트를 설치하고 질소를 발생시키는 퍼징수단을 공급덕트에 탑재시켜 이송공간 내부에 설치한 감지센서가 산소 농도를 센싱하도록 하고, 이송공간 내부가 셋팅된 산소 농도로 유지될 수 있도록 질소를 강제 순환시키는 질소 퍼징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부는 이송공간의 내부에 배기휀을 설치하여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되는 열을 외부로 배출토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간의 출구에는 냉각수단으로부터 제공되는 냉매를 공급하여 경화된 원단의 표면 온도를 감소시켜 가공제가 코팅된 원단의 변형을 방지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램프보호수단은,
    상기 자외선램프를 수용하기 위하여 하부가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시켜 이송공간 상.하부에 각각 마주보게 배치하여 이송공간의 길이방향으로 순차되게 연접시킨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개구된 하단부에 설치되어 수용공간을 선택적으로 개폐 가능하도록 하여 자외선램프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임의로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단커버와,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장착하여 자외선 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반사효율을 향상시키는 반사판으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5. 제 1항 또는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램프보호수단의 하우징과 연통시킨 방출덕트를 챔버 외부로 인출한 다음 오존배기수단을 장착하여 자외선 조사에 의해 이송공간에서 발생하는 오존을 외부로 강제 송출시킬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공간 내부에서 이동하는 원단의 양측 하부에 체인으로 이음 연결된 폭고정벨트를 설치하되, 상기 체인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턴테핀을 수직으로 장착하고, 텐테핀 상부에는 굴림롤러가 근접되게 배치되어 텐터핀과 굴림롤러 사이로 개재되어 이송되는 원단의 폭 방향으로의 장력을 발생시켜 원단 표면이 평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7. 삭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질소퍼징부에 의해 질소를 이송공간에 투입하여 이송공간 내부에 존재하는 공기 중 산소의 부피 백분율 기준으로 1~20%로 낮추어 불완전 경화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경화장치.
KR1020080028570A 2008-03-27 2008-03-27 원단 경화장치 KR100970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70A KR100970776B1 (ko) 2008-03-27 2008-03-27 원단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28570A KR100970776B1 (ko) 2008-03-27 2008-03-27 원단 경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160A KR20090103160A (ko) 2009-10-01
KR100970776B1 true KR100970776B1 (ko) 2010-07-16

Family

ID=415327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8570A KR100970776B1 (ko) 2008-03-27 2008-03-27 원단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77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7B1 (ko) * 2011-12-27 2013-09-24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장치
KR101310656B1 (ko) * 2011-12-27 2013-09-24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장치
KR101906528B1 (ko) 2017-02-28 2018-10-11 (주)에스유티 고농도 질소 분위기에서 필름을 경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필름 경화용 질소박스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82556B (zh) * 2017-12-28 2020-04-28 宁波高新区盛文途纺织品有限公司 服装面料杀菌方法
IT202200002219A1 (it) * 2022-02-08 2023-08-08 Grinp S R L Reattore per il trattamento di fibre tessili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011Y1 (ko) 2001-10-11 2002-03-20 나만길 저온 램프를 이용한 유브이 자외선 경화기
KR20020069011A (ko) * 2000-01-07 2002-08-28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배기 터빈 과급기의 압축기용 소음기
KR100783802B1 (ko) 2007-03-05 2007-12-07 주식회사 새 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한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9011A (ko) * 2000-01-07 2002-08-28 에이비비 터보 시스템즈 아게 배기 터빈 과급기의 압축기용 소음기
KR200269011Y1 (ko) 2001-10-11 2002-03-20 나만길 저온 램프를 이용한 유브이 자외선 경화기
KR100783802B1 (ko) 2007-03-05 2007-12-07 주식회사 새 한 자외선을 조사하여 표면을 개질한 원사의 제조방법 및 그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0657B1 (ko) * 2011-12-27 2013-09-24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장치
KR101310656B1 (ko) * 2011-12-27 2013-09-24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자외선 경화장치
KR101906528B1 (ko) 2017-02-28 2018-10-11 (주)에스유티 고농도 질소 분위기에서 필름을 경화시키기 위한 장치 및 필름 경화용 질소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3160A (ko) 2009-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70776B1 (ko) 원단 경화장치
KR960011683B1 (ko) 가죽 또는 직물의 연속적인 건조 및 습도 조절처리를 위한 개량된 건조장치
US2773312A (en)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KR102243713B1 (ko) 목재 및 합판의 방염처리장치
US3235931A (en) Apparatus for the heat setting of cloth layers
KR20010079573A (ko) 연속적으로 반송되는 제품을 건조하는 건조기 및 그 방법
PL142952B1 (en) Method of drying a web of fabric impregnated with hardened synthetic resin and apparatus therefor
KR100467195B1 (ko) 원적외선 조사 가열기와 원적외선 염착장치 및 원적외선을이용한 염착방법
JP6931133B2 (ja) 放射乾燥機を備える処理機械およびこの乾燥機を運転する方法
WO2003029546A1 (en) A stenter machine
US4145819A (en) Apparatus for the drying of lengths of textile material
KR101251035B1 (ko) 원적외선을 이용한 피혁 건조기
US20090022904A1 (en) Method for modifying organic fiber cord
KR100791967B1 (ko) 섬유 가공용 자외선 경화 장치
KR101005097B1 (ko) 직물가공 라인용 급속건조장치
KR200432726Y1 (ko) 섬유 가공용 자외선 경화 장치
KR102303837B1 (ko) 피그먼트 코팅장치
KR200326333Y1 (ko) 섬유의 코팅장치
US6473998B1 (en) Process for pre-drying textile filaments after wet treatment and device for practicing this method
JP2905431B2 (ja) コードディップ処理機
JP2974942B2 (ja) コード処理機のオーブン装置
KR101083463B1 (ko) 원적외선 염착장치
US3521375A (en) Dryer
EP0213855A2 (en) Improvements in ink drying apparatus
US5866877A (en) Oven for heating elongate cor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