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10656B1 - 자외선 경화장치 - Google Patents

자외선 경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10656B1
KR101310656B1 KR1020110143170A KR20110143170A KR101310656B1 KR 101310656 B1 KR101310656 B1 KR 101310656B1 KR 1020110143170 A KR1020110143170 A KR 1020110143170A KR 20110143170 A KR20110143170 A KR 20110143170A KR 101310656 B1 KR101310656 B1 KR 1013106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ltraviolet
unit
main body
lamp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431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75001A (ko
Inventor
이광석
Original Assignee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주은유브이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431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10656B1/ko
Publication of KR201300750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750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106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106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4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involving heating or coo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9/00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 B05C9/08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 B05C9/12Apparatus or pl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urfaces by mean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or in which the means of apply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not important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and performing an auxiliary operation the auxiliary operation being performed after the appl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4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 B05D3/04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gases the gas being air
    • B05D3/0426Cooling with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PROCESSE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D3/00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 B05D3/06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 B05D3/061Pretreatment of surfaces to which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are to be applied; After-treatment of applied coatings, e.g. intermediate treating of an applied coating preparatory to subsequent applications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y exposure to radiation using U.V.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 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And Apparatus (AREA)

Abstract

자외선 경화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자외선 경화장치는: 본체와, 제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본체에 구비되어 제품에 도포된 경화물질이 경화되도록 제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 및 자외선 발생부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제품으로 유도되게 하는 자외선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외선 경화장치{ULTRA VIOLET CURING APPARATUS}
본 발명은 자외선 경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외선발생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유실되지 않고 제품에 조사되어 경화품질을 향상시키는 자외선 경화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표시장치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점증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p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여러 가지 평판 표시 장치가 연구되어 왔고 일부는 이미 여러 장비에서 표시장치로 활용되고 있다.
현재 화질이 우수하고 경량, 박형, 저소비 전력의 특징에 따른 장점으로 인하여 이동형 화상 표시장치의 용도로 LCD가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으며, 노트북 컴퓨터의 모니터와 같은 이동형의 용도 이외에도 방송신호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하는 텔레비전 및 컴퓨터의 모니터 등으로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LCD는 액정의 굴절률 이방성을 이용하여 화면에 정보를 표시하는 표시장치로서 구동소자 어레이(Array)기판 역할을 하는 하부기판과 컬러필터(Color Filter) 기판역할을 하는 상부기판으로 구성되며, 두 기판 및 그 사이에 주입되어 있는 액정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LCD는 두 기판의 가장자리의 둘레에 인쇄되어 있으며 액정 물질을 가두는 봉인 재질로 결합되어 있으며, 두 기판 사이에 산포되어 있는 간격 수단에 의해 지지되고 있다.
즉, 액정 표시 장치는 두 기판 사이의 액정이 액정 딥핑 주입방식 또는 액정 적하 방식으로 주입된다.
또한, 액정 표시 장치는 하부 기판의 상부에 적정량의 액정을 적하된 후 상부 기판이 접착되어 액정이 두 기판 사이에 적하되며, 하부 기판과 상부 기판이 가장자리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액정의 배출이 방지된다. 이때, 두 기판을 접착시키는 접착제로는 열경화성 재료 또는 자외선 경화성 재료가 사용되며, 특히, 자외선 경화성 재료가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접착제로 자외선 경화성 재료를 사용할 경우 기판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키게 되는데, 이때 자외선 경화장치가 사용되며, 제품이 컨베이어 벨트에 안착되어 이동됨에 따라 자외선이 조사되면서 경화된다.
한편, 국내 공개특허 특1999-0083788호(공개일:1999,12,06)에는 "유브이 자외선 경화기"가 개시되어 있다.
일반적인 자외선 경화장치는 자외선 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이 제품으로 응집되지 못해 경화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유실되지 않고 제품에 응집되게 하여 경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외선 경화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는: 본체와, 제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에 도포된 경화물질이 경화되도록 상기 제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 및 상기 자외선 발생부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품으로 유도되게 하는 자외선유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와 거리 및 높이가 조절되는 램프하우징와,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상기 제품에 조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자외선유도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보는 차단판 및상기 차단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제품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인출조절부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으로부터 인출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인출조절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구비되는 고정블럭과, 상기 고정블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차단판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럭 및 상기 슬라이드블럭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차단판은 상호 연동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는 자외선 발생부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이 자외선유도부에 의해 유실되지 않고 제품으로 응집될 수 있어 경화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또한, 본 발명은 자외선유도부의 인출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제품의 크기에 따라 적용가능해 편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제품에 외부공기가 직접 급기되고, 본체의 내부공기는 배기되므로 자외선 발생부의 열에 의해 제품의 열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지닌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램프하우징을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자외선유도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자외선유도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램프하우징을 보인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자외선유도부를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A-A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자외선유도부에 의한 작용을 보인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급기부와 배기부에 의한 공기흐름을 보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100)는 본체(110), 이동부(120), 자외선 발생부(130) 및 냉각부(160)를 포함한다.
본체(110)는 자외선이 외부로 조사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설치공간부(112)가 형성되고, 설치공간부(112)에 이동부(120), 자외선 발생부(130) 및 냉각부(160)가 설치된다.
이동부(120)는 제품에 도포된 접착제가 본체(110)의 설치공간부(112)를 통과하면서 자외선 발생부(130)에 의해 경화되도록 제품을 설치공간부(112)를 따라 이동시킨다. 이동부(120)는 일단부 및 타단부가 본체(11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설치공간부(112)에 구비되며, 무한 궤적운동을 통해 안착된 제품을 설치공간부(112)를 통과시킨다. 이러한, 이동부(120)는 제품이 안착되는 컨베이어벨트(122)와 컨베이어벨트(122)를 회전시키기 위한 롤러부재(124)로 구성된다.
그리고, 자외선 발생부(130)는 본체(110)에 구비되어 제품에 도포된 경화물질이 경화되도록 제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한다.
자외선 발생부(130)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이동부(120)와 거리 및 높이가 조절되는 램프하우징(132)과 램프하우징(132)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134) 및 자외선램프(134)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제품에 조사하는 반사부(136)를 포함한다.
램프하우징(132)은 하부가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반사부(136)는 램프하우징(132)의 내측 상부에 곡률지게 형성되어 자외선램프(134)에서 발생하는 자외선을 제품으로 조사한다.
자외선 발생부(130)에서 발생된 자외선은 자외선유도부(140)에 의해 외부로 확산되지 않고 제품으로 유도된다.
자외선유도부(140)는 자외선 발생부(130)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보는 차단판 (142)및 차단판(142)에 구비되어 제품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제품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부재(144)를 포함한다.
즉, 도 6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제품의 크기에 따라 램프하우징(132)은 높이가 조절되고, 제품과 램프하우징(132) 사이 간격으로 자외선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차단판(142)이 설치된다. 그리고, 차단판(142)에 형성되는 반사부재(144)는 반사시트가 부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고, 코팅에 의해 형성될 수도 있으며, 자외선램프(134)에서 발생된 자외선을 반사시킬 수 있는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차단판(142)은 인출조절부(150)에 의해 자외선 발생부(130)로부터 인출길이가 조절된다. 인출조절부(150)는 자외선 발생부(130)에 구비되는 고정블럭(152)과 고정블럭(1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차단판(142)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럭(154) 및 슬라이드블럭(154)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156)를 포함한다.
차단판(142)의 양측 가장자리에는 슬라이드블럭(154)이 각각 구비되어 고정블럭(152)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고, 위치고정부(156)에 의해 차단판(142)의 위치는 고정된다.
위치고정부(156)는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블럭(152)과 슬라이드블럭(154)의 상호 접하는 면에 형성된 돌기와 홈으로 이루어진다. 복수개의 돌기와 홈이 상호 선택적으로 접하면서 슬라이드블럭(154)의 위치를 다단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위치고정부(156)는 조임나사에 의한 슬라이드블럭(154)의 고정 등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다.
그리고, 차단판(142)의 인출시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차단판(142)은 연동바(143)에 의해 연결되므로 한 쌍의 차단판(142)은 동일한 높이 조절이 가능하다.
냉각부(160)는 자외선 발생부(130)와 제품에 발생된 열을 냉각하는 것으로서, 열에 의해 제품이 변경되는 것을 방지한다. 냉각부(160)는 본체(110)의 외부공기를 제품측으로 급기하는 급기부(170) 및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10)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부(180)를 포함한다. 급기부(170)와 배기부(180)에 의해 본체(110) 내부가 통풍되므로 제품의 열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것이다.
자외선 발생부(130)는 이동부(120)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 구비되고, 급기부(170)는 자외선 발생부(130)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는 급기덕트(172) 및 급기덕트(172)와 연결되도록 본체(110)에 구비되며, 외부의 공기를 급기덕트(172)를 통해 제품에 토출시키는 급기팬부재(174)를 포함한다.
즉,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덕트(172)는 램프하우징(132)의 사이사이에 구비되므로 급기팬부재(174)의 작동에 의해 외부공기 급기시 급기덕트(172)와 램프하우징(132)은 열교환되어 자외선 발생부(130)의 온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제품에 직접 급기할 수 있다.
그리고, 배기부(180)는 자외선 발생부(130)와 연결되는 배기덕트(182) 및 배기덕트(182)와 연결되도록 본체(110)에 구비되며 배기덕트(182)를 통해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본체(11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부재(184)를 포함한다.
배기덕트(182)는 램프하우징(132)에 연결되어 본체(110)의 내부 공기 및 자외선램프(134)에서 발생되는 열을 배기팬부재(184)에 의해 외부로 배기한다.
따라서, 본체(110) 내부는 급기부(170)에 의해 외부공기가 급기되고, 배기부(180)에 의해 배기되므로 공기가 순환된다. 이로 인해 기기 자체 온도의 영향에 의해 제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동부(120)에는 급기부(170)와 배기부(180)에 의해 공기순환이 원활하도록 급기부(170)와 연통되는 제1개구홀(192)과, 배기부(180)와 연결되는 제2개구홀(194)을 갖는 격벽브라켓(190)이 구비된다.
제2개구홀(194)은 자외선 발생부(130)와 연통된다. 즉, 자외선 발생부(130) 사이사이에 급기덕트(172)가 구비되고, 자외선 발생부(130)와 제2개구홀(194)이 대응되고, 급기덕트(170)와 제1개구홀(192)이 대응되어 형성된다.
격벽브라켓(190)은 이동부(120)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고, 급기된 공기가 제1개구홀(192)을 통해 정확하게 제품에 전달되고, 제2개구홀(194)을 통해 정확하게 배기될 수 있어 열교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러한 격벽브라켓(190)에는 급기부(170)에서 공급되어 제품과 열교환된 공기를 외측으로 배출하는 보조배기팬(195)이 더 구비된다.
상기한 구조를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른 자외선 경화장치(100)는 자외선램프(134)를 구비하는 자외선 발생부(130)가 컨베이어벨트(122) 상측에 위치되어 제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제품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제품에 도포된 접착제가 경화된다.
이때, 자외선 발생부(130)에는 램프하우징(132)의 하부로 인출되는 자외선유도부(140)가 구비되어 자외선의 외부 확산을 방지하고, 제품측으로 응집되게 하여 경화품질을 향상시킨다.
이를 자세히 설명하면, 연동바(143)에 의해 연결된 한 쌍의 차단판(142)을 하부로 인출하여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램프하우징(132)의 외측으로 빠져 나가는 자외선을 반사부재(144)에 의해 반사하여 제품으로 응집되게 한다. 차단판(142)은 인출조절부(150)에 의해 인출길이가 조절되므로 램프하우징(132)과 격벽브라켓(190)의 간격에 대응되도록 조절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자외선의 손실을 방지하므로 열 발생 및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고, 보다 강하게 조사되므로 경화품질이 향상된다.
그리고, 자외선 경화장치(100)는 외부공기를 제품으로 급기하는 급기부(170)와 본체(110) 내부의 공기를 배기하는 배기부(180)가 구비되어 자외선을 통해 발생되는 열에 의해 제품이 열 변형되거나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는 급기팬부재(174)에 의해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급기덕트(172)를 통해 제품에 직접 토출되므로 가능하며, 특히 급기덕트(172)가 램프하우징(132) 사이사이에 구비됨에 따라 급기덕트(172)가 램프하우징(132)과 열교환되므로 자외선 발생부(130)를 냉각시켜 효율을 향상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급기덕트(172)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품과 열교환된 후 램프하우징(132)과 연결된 배기덕트(182)를 통해 본체(110)의 내부공기와 함께 배기되므로 공기순환이 용이하여 열에 의한 제품 변형을 막을 수 있다.
이때, 이동부(120)의 상부에 형성되는 격벽브라켓(190)의 제1개구홀(192)과 급기덕트(172)가 대응되고, 제2개구홀(194)과 램프하우징(132)이 대응되므로 공기 누출이 줄여주므로 열교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격벽브라켓(190)의 측면에는 보조배기팬(195)이 구비되어 열교환 성능이 배가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자외선 경화장치 110 : 본체
112 : 설치공간부 120 : 이동부
122 : 컨베이어벨트 124 : 롤러부재
130 : 자외선 발생부 132 : 램프하우징
134 : 자외선램프 136 : 반사부
140 : 자외선유도부 142 : 차단판
143 : 연동바 144 : 반사부재
150 : 인출조절부 152 : 고정블럭
154 : 슬라이드블럭 156 : 위치고정부
160 : 냉각부 170 : 급기부
172 : 급기덕트 174 : 급기팬부재
180 : 배기부 182 : 배기덕트
184 : 배기팬부재 190 : 격벽브라켓
192 : 제1개구홀 194 : 제2개구홀
195 : 보조배기팬

Claims (7)

  1. 본체;
    제품이 안착되도록 상기 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품을 이동시키는 이동부;
    상기 본체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에 도포된 경화물질이 경화되도록 상기 제품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는 자외선 발생부; 및
    상기 자외선 발생부에서 발생된 자외선이 외부로 확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제품으로 유도되게 하는 자외선유도부를 포함하고;
    상기 자외선 발생부는 제품의 크기에 따라 상기 이동부와 거리 및 높이가 조절되는 램프하우징;
    상기 램프하우징의 내부에 구비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자외선램프에서 발생되는 자외선을 상기 제품에 조사하는 반사부를 포함하며;
    상기 자외선유도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구비되고, 상호 마주보는 차단판; 및
    상기 차단판에 구비되어 상기 제품의 외측으로 이탈되는 자외선을 반사하여 상기 제품으로 조사되게 하는 반사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인출조절부에 의해 상기 램프하우징으로부터 인출길이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인출조절부는 상기 램프하우징에 구비되는 고정블럭;
    상기 고정블럭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상기 차단판에 구비되는 슬라이드블럭; 및
    상기 슬라이드블럭의 위치를 고정하는 위치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은 상호 연동바에 의해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7. 제 1항, 제 4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상기 자외선 발생부로부터 발생된 열에 의해 상기 제품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냉각부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외선 경화장치.
KR1020110143170A 2011-12-27 2011-12-27 자외선 경화장치 KR1013106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70A KR101310656B1 (ko) 2011-12-27 2011-12-27 자외선 경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43170A KR101310656B1 (ko) 2011-12-27 2011-12-27 자외선 경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001A KR20130075001A (ko) 2013-07-05
KR101310656B1 true KR101310656B1 (ko) 2013-09-24

Family

ID=489889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43170A KR101310656B1 (ko) 2011-12-27 2011-12-27 자외선 경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1065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574A (ko) * 2006-03-17 2007-09-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Uv 경화 시스템
KR100970776B1 (ko) * 2008-03-27 2010-07-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원단 경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4574A (ko) * 2006-03-17 2007-09-20 어플라이드 머티어리얼스, 인코포레이티드 Uv 경화 시스템
KR100970776B1 (ko) * 2008-03-27 2010-07-16 웅진케미칼 주식회사 원단 경화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75001A (ko) 2013-07-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08115B1 (ko) 자외선 경화장치
WO2011104953A1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led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EP1717632A1 (en) Cooling arrangement for a liquid crystal display
CN101583824A (zh) 背光结构
US9341763B1 (en) Backlight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KR101549887B1 (ko) 공냉식 냉각 수단이 구비된 uv-led 장치
KR20140139287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1310657B1 (ko) 자외선 경화장치
KR20120117064A (ko) 디스플레이 제조 장치 및 디스플레이 제조 방법
KR101478387B1 (ko) 베이스부착 방전 램프 및 자외선 조사 장치
WO2006098400A1 (ja) 液晶ディスプレイ及びバックライトユニット
US20190258106A1 (en) Heat dissipation module and liquid crystal display
US9303856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KR101310656B1 (ko) 자외선 경화장치
KR20110016294A (ko) Lcd 장치의 방열구조
KR20110016292A (ko) Lcd 장치의 냉각시스템
WO2019127730A1 (zh) 轻薄化的显示装置
KR101167120B1 (ko) 자외선 경화장치
KR20060133844A (ko) 액정 표시 장치의 백 라이트 유닛
KR20100128075A (ko) 도광판 제조장치
US8780290B2 (en) Liquid displaying device
CN114200716A (zh) 一种无导光板底发光背光源
TWI427838B (zh) 基板處理系統
KR20090119405A (ko) 백라이트 유닛
KR101950828B1 (ko) 액정표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9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9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