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697B1 -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 Google Patents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697B1
KR100970697B1 KR1020080049217A KR20080049217A KR100970697B1 KR 100970697 B1 KR100970697 B1 KR 100970697B1 KR 1020080049217 A KR1020080049217 A KR 1020080049217A KR 20080049217 A KR20080049217 A KR 20080049217A KR 100970697 B1 KR100970697 B1 KR 1009706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update
file
imag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492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23240A (ko
Inventor
송광섭
Original Assignee
그리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그리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그리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800492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697B1/ko
Publication of KR20090123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23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6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6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 H04N1/411Bandwidth or redundancy reduction for the transmission or storage or reproduction of two-tone pictures, e.g. black and white pic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에서의 부분적인 갱신을 위해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인 타일 단위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타일 단위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원본 파일을 갱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PARTIALLY-UPDATING METHOD FOR IMAGE DATA}
본 발명은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에서의 부분적인 갱신을 위해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이용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 또는 네비게이션 또는 이동 통신 단말기 등의 정보화 단말기를 통하여, 대용량의 디지털 이미지를 볼 때, 사용자는 정보화 단말기에 장착된 디스플레이의 크기의 제약으로 인해 넓은 영역을 낮은 해상도로 보거나 혹은 특정 영역 혹은 특정 페이지를 높은 해상도로 자세히 보는 방식을 사용하게 된다. 가장 보편적인 디지털 이미지의 저장 및 전송 방법은 전체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그대로 혹은 압축 저장하여 이를 전송하는 방식이다.
대용량 이미지는 JPEG, FlashPix, JPEG2000과 같은 이미지 압축저장방식을 이용하여 파일 형식으로 저장하며, 네트워크 서비스를 위하여 JPEG2000 압축 이미지를 이용한다.
또는, 미국특허공보 제6,978,049호 또는 유럽특허공보 제1,545,121호 등은 자체 개발한 타일-피라미드 형태의 포맷을 정의해서 화면의 표시나 네트워크 전송 효율을 높이고 있다.
이렇게 압축된 이미지 데이터는 압축하는 방식과 데이터의 종류에 따라 압축률에서 차이가 나지만, 일반적으로 JPEG의 손실압축은 1:10~1:20 정도의 압축률을 나타내고, wavelet 방식의 JPEG2000의 손실 압축은 1:50~1: 300의 압축률을 나타낸다. 압축률이 높으면 높을 수록 그 만큼 연산이 많아지므로 이미지의 압축시간이 많이 요구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작은 크기(size)의 이미지일 경우, 메모리 상에 실시간 압축 해제하여 원하는 부분을 편집하거나 수정하여 이미지를 갱신하여 압축이미지로 할 수도 있다.
미국특허공보 제6,980,700호는 JPEG로 압축된 원본 이미지를 메모리에 실시간으로 압축 해제하고 원본 이미지의 영역 내부에 다른 이미지를 추가하여 원본 이미지를 JPEG 방식으로 압축하여 사용자가 필요한 부분에 대해서 업데이트 혹은 추가하여 이전의 이미지에 저장하는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이 방법은 압축 이미지의 특정 영역을 수정하고자 하는 경우, 압축된 이미지를 메모리에 모두 압축 해제하고 있어야 하므로, 예를 들면 위성 영상이나 고해상도 항공사진과 같은 대용량 이미지의 경우, 전체 이미지를 압축 해제하기 위한 대기시간이 길어지고, 압축하기 전의 원본 이미지에 해당하는 메모리가 확보되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대용량 이미지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메모리 자원을 과도하게 점유하지 않도록 하여, 대용량 이미지의 부분 갱신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갱신이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고, 이 이미지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갱신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갱신이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타일 형태의 압축 이미지로 송수신하여, 원본 이미지를 갱신하도록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하에서, 특허청구가능한 본 발명의 여러 태양(aspects)에 대하여 기술한다. 하기의 기술(description)은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기술(detailed description)의 일부를 이루며, 다양한 관점에서 파악될 수 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또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의 부분 갱신 방법의 예들에 대한 최소한의 기술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경계로서 이해되어서는 아니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적은 크기의 갱신되어야 할 이미지를 이용하여, 이에 대응하는 원본 파일을 신속하게 업데이트하는 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2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포함된 행과 열에 대응하는 원본 파일의 이미지만을 처리하여, 적은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3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다수의 레벨 구조를 지닌 원본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도 수행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4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추가하여, 가장 신속하게 업데이트를 수행하게 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5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원본 파일이 업데이트를 통하여 그 용량이 증가되지 않도록 하여, 메모리 공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6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원본파일을 새롭게 생성하여 메모리 공간을 최적화시킬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7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업데이트가 사용자의 선택가 선택한 시점에 수행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8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전체적인 업데이트 파일이 전송되지 않고, 적은 크기의 데이터만을 우선적으로 판단하여, 그 판단에 따라 전체적인 업데이트 파일이 전송되도록 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9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서비스 서버는 갱신이 요구되는 이미지만을 압축한 업데이트 파일을 생성하여, 적은 데이터의 전송 및 처리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0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갱신되는 이미지와, 최소한의 갱신되지 않는 이미지를 포함하는 갱신 데이터가 생성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1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복수의 레벨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이 생성되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2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기본적인 정보만이 우선적으로 클라이언드 디바이스로 전송될 수 있도록 한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3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시점에 업데이트에 대한 확인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출원시 청구범위 제14항에 기재된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이러한 방법을 통해, 일차적으로 업데이트 파일 정보에 대한 확인이 이루어진 업데이트 파일만을 전송하도록 하여, 데이터의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불필요한 데이터의 전송을 방지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은 본 발명은 대용량 이미지를 보다 신속하면서도, 메모리 자원을 과도하게 점유하지 않도록 하여, 대용량 이미지의 부분 갱신을 수행하도록 함으로써, 필요한 영역만의 업데이트를 수행하여 압축시간 및 압축 비용 면에서 현저한 효과를 지니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신이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만을 네트워크를 통하여 송수신하고, 이 이미지에 해당되는 부분만을 갱신하여, 네트워크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갱신이 요구되는 영역에 해당하는 이미지를 타일 형태의 압축 이미지로 송수신하여, 원본 이미지를 갱신하도록 하여, 최소한의 압축 해제를 통한 업데이트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 및 첨부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은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10)와,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서비스 서버(10)에 접속가능하며,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와, 네트워크(20)와 네트워크 접속장치(40)에 의하여 접속가능하며,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표시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로 이루어진다.
서비스 서버(10)는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를 하기에서 개시되는 타일 형태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본 파일로 저장하고, 이 대용량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변동된 부분을 포함하는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생성하여 저장한다. 서비스 서버(10)는 필요한 경우, 업데이트 파일을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 32)로 전송하여, 각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 32)에서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의한 업데이트가 수행되도록 한다.
네트워크(20)는 일반적인 인터넷 서비스를 위한 전송 매체와,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ISP)와, 웹 서버 또는 왑 서버 등을 포함하여, 네트워크 서비스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치들의 조합이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독자적인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지닌 장치이고,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는 독자적인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구비하지 않은 장치이다. 이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 32)는 컴퓨터, 이동통신 단말기, 개인용 단말기(PDA), 네비게이션 등과 같이, 대용량 이미지를 포함하는 원본 파일을 저장한다. 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 32)는 이 원본 파일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를 구비된 표시부(미도시)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되도록 하고, 사용자로부터의 명령을 획득하는 입력부(미도시)를 구비하여, 이 명령에 따른 업데이트 파일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 등을 요청하고, 표시부에 표시되는 이미지의 이동, 확대, 축소 등이 수행되도록 한다.
네트워크 접속 장치(4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2)에 네트워크 접속 기능을 부여하는 것으로서, 컴퓨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원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1실시 예이다.
1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원본 이미지(1 내지 4)를 외부로부터 입력 받아 저장하고 있다. 이 각 원본 이미지(1 내지 4)는 정사보정된 위성 사진이나 항공사진과 같은 이미지와, 이들의 좌표 정보, 해상도 정보(예를 들면, 픽셀 해상도 등) 등을 포함한다.
2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원본 이미지(1 내지 4)를 통합하여 하나의 통합된 이미지(50)(예를 들면, 모자이크 이미지)를 생성한다. 원본 이미지(1 내지 4)는 촬영 정밀도에 따라 픽셀 해상도가 다를 수 있다. 예를 들면, LandSat 영상 같은 경우 픽셀 해상도가 30m이고, IKONOS는 1m 해상도, 항공사진은 정밀한 경우 0.1m의 해상도를 가진다.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원본 이미지(1 내지 4)에 대하여 일정한 해상도를 가지도록 리샘플링(resampling)하는 과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서비스 서버(10)가 생성한 통합된 이미지(50)는 원본 이미지(1 내지 4)가 표시하는 이미지 영역을 포함하는 이미지 영역을 지니게 되고, 이 이미지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한다.
3단계에서, 서비스 서버(10)는 통합된 이미지(50)를 일반적으로 일정한 크기(가로, 세로)의 타일 형태로 나누어서, 이미지(52)의 각 타일별로 압축을 한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서비스 환경에 따라서) 가로 및 세로의 크기가 서로 상이한 타일 형태로 나누어서, 압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화면사이즈가 1200 * 500으로 서비스하는 경우, 타일을 가로세로를 같게 하는 것보다 가로사이즈를 더 크게 하면 타일에 대한 억세스 횟수를 줄일 수 있다.
여기서, 타일단위로 압축한다는 것은 전체 이미지(52)를 타일단위로 나누어서 타일을 각각 압축하고 그 정보를 파일(하기에서 개시되는 원본 파일)의 헤드에 기록한다. 예를 들면, 이미지(52)가 n*m개의 타일로 나누어지면, 압축파일에는 n*m개의 압축된 타일의 오프셋(offset: 저장위치)과 길이정보가 있다.
또한, 타일의 압축 방식은 손실압축으로, JPEG, JPEG2000 압축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무손실압축으로 zlib 등의 라이브러리가 사용될 수도 있다. 어떤 방식으로 압축을 하던지 압축방식이 파일에 기록된다.
또한, 상술된 리샘플링된 이미지들로 이루어진 이미지(52)를 타일 단위로 나눌 경우, 이미지마다 특정 타일에 포함되는 픽셀 수가 다를 수 있다.
특히, 타일(A)와 같은 경우, 일부의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1)로부터 획득되고, 나머지의 이미지는 원본 이미지(2)로부터 획득될 수도 있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원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2실시예이다. 도 3은 피라미드형으로 타일을 나누어 압축한 경우이다.
레벨1은 이미지(52)의 단계로 가장 해상도가 높은 경우이고, 레벨이 증가함에 따라 이전의 이미지를 리셈플링하여 상위레벨의 이미지(54, 56)를 생성한다.
이미지(52)의 크기가 W * H (W: 이미지의 가로픽셀개수, H: 이미지의 세로픽셀개수)이고, 해상도 R(직각 좌표계에서는 m단위, 경위도 좌표계일 때는 라디안)이고, 타일의 가로 세로 크기가 t(타일의 가로, 세로 픽셀개수), 상위레벨의 해상도가 r1이면, 하기의 수학식1이 유도된다.
레벨 1 이미지(52)의 타일 columns = (W-1) / t + 1
레벨 1이미지(52)의 타일 rows = (H-1) / t + 1
상위레벨의 이미지 width = W * R / r1
상위레벨의 이미지 height = H * R / r1
상위레벨의 타일 cols = (W-1) / (t * r1/R) + 1
상위레벨의 타일 rows = (H-1) / (t * r1/R) + 1
이때, 항상 r1 > R 의 관계를 유지한다.
상술된 수학식1과 같은 방식으로 상위레벨 이미지(54, 56)의 width, height, 타일 cols 개수, 타일 rows 개수가 계산되고, 이미지(54, 56)의 width, height가 타일의 크기보다 작아질 때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피라미드 형태의 타일단위로 나누어진다. 이들 피라미드 형태의 타일들을 도 2에서와 같이 각각 압축하여 원본 파일을 생성한다.
도 4는 원본 파일의 구조이다. 원본 파일은 이미지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고정헤더와, 레벨 헤더(1), (2) 및 레벨 데이터(1), (2)로 구성된다.
먼저, 고정헤드는 이미지 기본 정보를 저장한다. 이 이미지 기본 정보는 파일의 signature가 있어 파일포맷에 대한 오류를 체크하게 하고, 버전정보를 포함하여 원본파일을 식별하도록 한다. 또한, 데이터 오프셋 정보와, 이미지 크기, 컬러 정보, 레벨 개수(본 실시예에서는 2), 이미지(52)의 좌표 정보, 해상도, 압축코덱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 압축코덱정보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서 해당 타일의 압축을 해제할 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레벨 헤더(1)는 예를 들면 레벨 1의 레벨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이 레벨 기본 정보는 레벨 1의 이미지 크기, 해상도, 타일 크기, 타일개수, 타일들의 오프셋, 길이(length) 정보를 포함한다. 특히, 타일들의 오프셋, 길이 정보는 레벨 데이터(1)를 식별하도록 한다. 레벨 헤더(2)는 레벨 헤더(1)의 상위레벨을 나타낸다.
또한, 레벨 데이터(1)는 각 타일(Tile00 내지 Tilenm)의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레벨 데이터(2)는 상위 레벨의 각 타일의 압축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한다.
또한, 레벨 단계가 증가함에 따라, 레벨헤더와 레벨데이터가 각각 추가된다.
도 5a 내지 5c는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업데이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1실시예이다.
서비스 서버(10)는 특정의 이미지 영역에 대한 원본 파일을 저장하고 있으며, 이 이미지 영역 내에서의 지형 변화 등과 같은 이미지 변화를 포함하는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기도 한다. 이에, 서비스 서버(10)는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이전의 원본 파일과 동일한 형태의 업데이트 파일로 변형하여 관리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로부터의 요청시에 이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하게 된다. 이 영역 이미지 데이터도 해상도 정보,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는 이 영역 이미지(60)가 차지하는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타일 영역(52a)을 산정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타일 영역(52a)이 궁극적으로 원본 파일에서 교체되어야 할 타일에 해당된다. 이 타일 영역(52a)는 left, top, right, bottom으로 규정될 수 있고, 하기의 수학식 2와 같이 산정된다.
left = (oil - nil) / (R * t)
top = (oit - nit) / (R * t)
right = (oir - nir) / (R * t) +1
bottom = (oib - nib) / (R * t) +1
R : 해당 레벨의 해상도, t : 원본이미지에 적용된 타일의 크기,
oil : 원본이미지의 left 좌표, nil : 갱신 이미지의 left 좌표,
oit : 원본이미지의 top 좌표, nit : 갱신 이미지의 top 좌표,
oir : 원본이미지의 right 좌표, nir : 갱신 이미지의 right 좌표,
oib : 원본이미지의 bottom 좌표, nib : 갱신 이미지의 bottom 좌표.
여기서, 원본 이미지는 원본 파일로 나누어진 이미지(50, 52)를 의미한다. left, top, right, bottom은 원본파일에 대응하는 타일의 행과 열에 대응한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서버(10)는 타일영역(52a)에 해당하는 이 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여, 모자이크 처리를 통하여 하나의 이미지(52b)로 통합한다. 이 이미지(52b)도 역시 좌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역 이미지(60)를 영역 이미지(60)의 좌표 정보에 따라 이미지(52b) 상에 overlay시킬 수 있다. 이 overlay되는 영역 이미지(60)는 이미지(52b)와 해상도가 동일해야 한다. 따라서, 해상도가 상이한 경우, 서비스 서버(10)는 영역 이미지(60)에 대하여 리샘플링 처리를 하여 해상도가 이미지(52b)와 동일하도록 한다.
영역 이미지(60)은 변형이 이루어진 영역을 포함하고, 이미지(52b)에서 영역 이미지(60)을 제외한 영역(B)는 변형이 이루어지지 않은 이미지에 해당된다. 즉, 영역 이미지(60)에 중첩되는 이미지(52b)의 영역은 삭제되고, 영역 이미지(60)와, 영역(B)만이 갱신 이미지(52c)에 포함된다.
도 5c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영역 이미지(60)와, 영역(B)로 이루어진 갱신 이미지(52c)에 대하여, 원본 파일에서 적용된 타일의 크기로 나누어 타일이 형성되도록 하고, 각 타일에 대하여 상술된 바와 같이 압축을 수행한다. 이 갱신 이미지(52c)는 영역 이미지(60)와 동일할 수도 있고, 예시된 바와 같이, 영역(B)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6은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업데이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2실시예이다.
도 6은 원본 파일이 도 3과 같이, 피라미드 형태로 압축된 경우에, 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도 6의 업데이트 파일은 각 레벨에 대응하는 영역 이미지(60, 60a, 60b)를 수학식 1에 따라 산정하고, 수학식 2에 따라 각 영역 이미지(60, 60a, 60b)에 대응하는 레벨별 타일영역(52a, 54a, 56a)을 산정한다. 이후, 서비스 서버(10)는 각 레벨에 타일 영역(52a, 54a, 56a)과 영역 이미지(60, 60a, 60b)를 도 5에서 개시된 방법에 따라 분할하여 압축한다.
도 7은 업데이트 파일의 구조이다. 서비스 서버(10)는 도 5 및 6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갱신 이미지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생성한다. 이 업데이트 파일은 기본적으로 원본 파일과 구조적으로 동일하다.
즉, 고정헤더는 이미지 기본 정보를 포함한다. 이 이미지 기본 정보는 파일 signature, 버전정보, 파일명, 이미지크기, 컬러정보, 업데이트 레벨 개수, 좌료정보, 압축코덱정보 등을 포함한다. 버전정보는 최종적으로 어떤 이미지(원본 파일)를 업데이트 했는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레벨헤더(1), (2)는 각 레벨의 이미지 크기, 타일의 크기, 해상도, 타일의 row, column 수, 해당하는 레벨데이터들의 오프셋(offset) 정보와, 데이터 길이(Length) 정보를 기록한다. 또한, 레벨데이터 영역(1), (2)은 각 레벨의 타일 단위로 압축된 파일이 저장되는 영역이다.
서비스 서버(10)는 기저장된 원본 파일과, 그에 대응하도록 업데이트 파일을 서로 간에 검색이 용이하게 저장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의 제1실시예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즉, 도 8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 (32)에서 이루어지는 방법(하기에서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서 이루어지는 것만을 개시함)이고, 도 9는 서비스 서버(10)에서 이루어지는 방법이다.
자세하게는, 도 8의 단계(S61)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은 사용자로부터의 업데이트 파일정보의 요청 입력을 수신하였는지를 확인한다. 만약 사용자로부터의 업데이트 파일 정보의 요청이 입력되었으면 단계(S62)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대기한다. 다만, 단계(S61) 대신에,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가 자체적으로 설정된 업데이트 주기(예를 들면, 1주일 간격, 1개월 간격)에 따라 단계(S62)로 진행할 수도 있다.
도 8의 단계(S62)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네트워크(20)에 접속된 상태에서, 서비스 서버(10)로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를 송신한다. 이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대한 요청 메시지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 저장된 원본 파일의 버전정보, 파일명, 좌표 정보 등을 포함하도록 하여, 서비스 서버(10)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 저장된 원본 파일의 종류를 식별할 수 있도록 한다.
도 8의 단계(S63)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수신되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수신되면, 단계(S66)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4)로 진행한다.
도 9의 단계(S81)에서, 서비스 서버(10)는 네트워크(20)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로부터 업데이트 파일 정보의 요청 메시지를 수신할 때까지 대기하고, 수신하게 되면 단계(S82)로 진행한다.
도 9의 단계(S82)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즉, 서비스 서버(10)가 수신된 요청 메시지에 의해 식별된 원본 파일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이 존재하면 단계(S84)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고, 원본 파일에 대한 업데이트 파일이 없는 경우 단계(S83)로 진행한다.
도 9의 단계(S83)에서, 서비스 서버(1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 저장된 원본 파일에 대하 업데이트 파일의 부존재를 소정의 알림 메시지를 통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로 송신한다.
도 8의 단계(S64)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업데이트 파일의 부존재를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알림 메시지를 수신하였으면 단계(S65)로 진행한다. 그렇지 않으면 단계(S63)로 진행하여, 소정의 시간 동안 업데이트 파일정보의 수신 상태를 유지한다.
도 8의 단계(S65)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알림 메시지를 소정의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하고, 갱신 방법을 종료한다.
도 9의 단계(S84)에서, 서비스 서버(10)는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에서, 고정헤더만을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정보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로 송신한다. 이렇게 업데이트 파일정보만을 송신하는 것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에 저장된 원본 파일과, 서비스 서버(10)에 저장된 업데이트 파일이 서로 대응되는지를 먼저 판단하고, 이후에 비교적 용량이 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의 단계(S66)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 정 보의 유효성을 판단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전송 받은 업데이트 파일정보를 바탕으로 파일의 기본정보(좌표, 크기, 해상도, 압축코덱정보)에 대한 유효성을 검사하고, 이러한 유효성은 원본 파일에 대응하는 기본정보를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지니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포함된 압축코덱정보를 판단하여,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가 압축된 갱신 이미지 데이터의 압축을 해제하지 못하는 것으로 확인되는 경우, 유효성이 없는 것이 된다. 이것은 불필요한 데이터의 수신을 방지하게 한다. 만약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유효하면 단계(S68)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단계(S67)로 진행한다.
도 8의 단계(S67)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유효하지 않음을, 즉 기저장된 원본 파일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이 없음을 포함하는 알림 메시지를 소정의 표시부를 통하여 사용자에게 표시한다.
도 8의 단계(S68)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서비스 서버(10)에 요청한다.
도 8의 단계(S69)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서비스 서버(10)로부터 업데이트 파일이 수신될 때까지 대기한다.
도 9의 단계(S85)에서, 서비스 서버(10)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로부터 업데이트 파일에 대한 요청이 있을 때까지 대기한다.
도 9의 단계(S86)에서, 서비스 서버(10)는 요청에 대응하는 기저장된 업데이트 파일을 판독하여, 네트워크(20)를 통하여 송신함으로써, 갱신 방법을 종료한다.
도 8의 단계(S70)에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에 포함된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기저장된 원본 파일에 대한 수정 및 갱신을 위한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업데이트 파일에 저장된 레벨 헤더(1) 내에 포함된 타일의 행과 열 정보에 따라 원본 파일에서 갱신되어야 할 타일영역을 확인한다. 도 7의 경우, 레벨1에 대한 갱신되어야 할 타일 영역은 (Tile22 내지 Tile24, Tile32 내지 Tile34, Tile42 내지 Tile44)이다.
먼저, 원본파일의 용량이 작을 경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기저장된 원본 파일에 포함된 이미지 데이터와, 업데이트 파일에 포함된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대하여, 새로운 원본파일을 다시 생성할 수도 있다. 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따른 타일 영역 이외의 이미지 영역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와,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가지고 새로운 원본 파일을 생성한다. 따라서,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레벨 헤더에 오프셋과 길이 정보를 새롭게 생성하고, 갱신 이미지 데이터가 이전의 이미지 데이터 대신에 포함되도록 한다.
또는, 원본 파일의 용량이 큰 경우, 상술된 바와 같이 새로운 원본 파일을 생성하는 데 많은 시간과 메모리가 소요되므로, 갱신되어야 할 타일 영역 내의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처리만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먼저, 갱신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size)와, 갱신되어야 할 타일 영역 내의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를 비교한다. 만약 갱신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가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보다 작거나 같으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기저장된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하고, 그 메모리 공간에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저장하여, 원본 파일을 갱신한다. 갱신 이미지 데이터가 이미지 데이터보다 작은 경우, 원본 파일에서 갱신 이미지 데이터가 없는 부분이 생기게 되는데, 원본 파일의 용량이 크게 되면, 이러한 부분에 대한 손실이 있더라도 전체적인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이 적게 된다.
만약 갱신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가 이미지 데이터의 크기보다 크면,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원본 파일의 마지막 레벨데이터에 연이어서 저장한다. 즉,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원본 파일에 갱신 이미지 데이터가 추가되도록 저장한다. 이때, 클라이언트 디바이스(30)는 갱신되어야 할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할 수도 있고, 레벨 헤더에 포함된 오프셋과 길이 정보를 수정하여 추가로 저장된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위치 정보 및 크기 정보를 지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이 수행되는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원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1실시예이다.
도 3은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원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2실시예이다.
도 4는 원본 파일의 구조이다.
도 5a 내지 5c는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업데이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1실시예이다.
도 6은 도 1의 서비스 서버에서 수행되는 업데이트 파일의 생성 과정의 제2실시예이다.
도 7은 업데이트 파일의 구조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의 제1실시예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의 제2실시예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서비스 서버 20: 네트워크
30, 32: 클라이언트 디바이스

Claims (14)

  1. 타일 단위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클라이언트 디바이스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타일 단위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따라 상기 원본 파일을 갱신하는 단계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포함된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행 및 열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업데이트 파일에 포함된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 각각의 레벨 정보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에 대한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원본 파일에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추가하여 갱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를 삭제하고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상기 원본 파일에 포함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단계는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가 제외된 이미지 데이터들과,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새로운 원본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대한 사용자의 요청 입력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서비스 서버로 상기 업데이트 파일정보에 대하여 요청하는 단계와, 이에 대한 응답으로 업데이트 파일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업데이트 파일정보의 유효성을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업데이트 파일정보가 유효한 경우, 상기 서비스 서버로 상기 업데이트 파일을 요청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9. 타일 단위로 압축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원본 파일을 저장하는 서비스 서버에서의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원본 파일의 이미지 영역에 포함되며, 갱신하고자 하는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영역 이미지 데이터에 대응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타일 영역을 산정하는 단계와;
    상기 타일 영역의 이미지 영역의 크기에 따라 상기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적어도 포함하는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일정 크기의 타일 단위로 분리하여 압축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원본 파일이 복수의 레벨로 이루어진 이미지 데이터를 포함하는 경우, 상기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각 레벨의 해상도에 따라 리샘플링하는 단계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타일 영역이 상기 영역 이미지 데이터의 이미지 영역보다 넓은 경우, 상기 타일 영역 내의 이미지 데이터와, 상기 영역 이미지 데이터를 좌표 정보에 따라 오버레이시켜 상기 갱신 이미지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11. 삭제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업데이트 파일의 기본 정보를 포함하는 업데이트 파일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원본 파일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 정보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갱신 방법은 상기 클라이언트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원본 파일에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요청에 따라 대응하는 업데이트 파일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KR1020080049217A 2008-05-27 2008-05-27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KR1009706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17A KR100970697B1 (ko) 2008-05-27 2008-05-27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49217A KR100970697B1 (ko) 2008-05-27 2008-05-27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40A KR20090123240A (ko) 2009-12-02
KR100970697B1 true KR100970697B1 (ko) 2010-07-16

Family

ID=416855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49217A KR100970697B1 (ko) 2008-05-27 2008-05-27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69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1345B1 (ko) * 2018-02-20 2020-11-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735A (ko) * 2003-06-12 2004-12-23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대용량 이미지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287035A (ja) 2004-03-26 2005-10-13 Arcadyan Technology Corp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070046880A (ko) * 2004-08-27 2007-05-0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113267A (ja) 2006-10-31 2008-05-15 Nec Engineering Ltd 画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伝送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7735A (ko) * 2003-06-12 2004-12-23 주식회사 사이버메드 대용량 이미지 전송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5287035A (ja) 2004-03-26 2005-10-13 Arcadyan Technology Corp マルチメディアデータの表示方法および表示システム
KR20070046880A (ko) * 2004-08-27 2007-05-03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코딩 및 디코딩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08113267A (ja) 2006-10-31 2008-05-15 Nec Engineering Ltd 画像データ伝送システム及び画像データ伝送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23240A (ko) 2009-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25813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viewing a preview of a table attach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8405660B2 (en) Method and system for streaming documents, E-mail attachments and maps to wireless devices
US7418673B2 (en) Thumbnail image browsing method in an embedded system
KR100405060B1 (ko) 데이터 통신망을 통한 디지털 확대 이미지 제공방법,디지털 확대 이미지 제공장치
US8584037B2 (en) Method for requesting and viewing a zoomed area of detail from an image attachment on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US6278432B1 (en) Image delivery and display system
CN1770154B (zh) 从移动设备上的图像附件请求并阅读细节放大区域的方法
US20110169860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US20020194302A1 (en) Method and system for client-less viewing of scalable documents
WO2002033976A1 (en) Image transmission from a server to a handheld device
US20050264843A1 (en)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using information on rendered range
CN101087308A (zh) 信息处理系统、信息处理设备、信息处理方法,以及计算机程序
JP4097881B2 (ja) 地図データ配信方法
KR20020087482A (ko) 포맷 적응를 이용한 오브젝트 전송 방법
EP2317424A1 (en) Information display device
KR100970697B1 (ko)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JP5125238B2 (ja) 文書処理装置、文書処理方法および文書処理プログラム
EP1710719B1 (en) Image transmission method, computer-readable image transmission program, and image transmission apparatus
JP4371982B2 (ja) 画像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100527212B1 (ko) 대용량 이미지 전송을 위한 방법
JP2009182933A (ja) 画像処理システム及び画像処理方法
JP5036666B2 (ja) 画像送信装置で使用される方法
CN111858822A (zh) Gis地图的拼接图片显示方法和装置
JP2009044595A (ja) ディジタル・コンテンツ送信装置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JP5112968B2 (ja) 画像閲覧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5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