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1345B1 -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1345B1
KR102181345B1 KR1020180020060A KR20180020060A KR102181345B1 KR 102181345 B1 KR102181345 B1 KR 102181345B1 KR 1020180020060 A KR1020180020060 A KR 1020180020060A KR 20180020060 A KR20180020060 A KR 20180020060A KR 102181345 B1 KR102181345 B1 KR 1021813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le
image
level
tree
visualiz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00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9954A (ko
Inventor
유재준
장인성
김형선
이아현
조정희
주인학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800200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1345B1/ko
Priority to US16/205,737 priority patent/US10785491B2/en
Publication of KR201900999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99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13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13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9Geographical information databa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7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 H04N19/17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n image region, e.g. an object the region being a slice, e.g. a line of blocks or a group of bloc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3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 H04N19/33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hierarchical techniques, e.g. scalability in the spatial doma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46Embedd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the video signal during the compression proc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6Tree coding, e.g. quad-tree coding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방법은,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디바이스가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타일 가시화 유형을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쿼드 트리를 이용해 이미지 타일의 데이터 포함 정도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고 해당 정보를 최소한의 정보를 이용해 인코딩함으로써, 단말에서 서버로의 이미지 타일 요청 횟수를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METHOD FOR VISUALIZING IMAGE BASED ON HIERARCHICHAL PRESENTATION OF IMAGE TILE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US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 상기 방법을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구글맵, 네이버맵, V-world 등과 같은 인터넷 지도가 다양한 서비스 및 정보를 연계 제공해주는 기반 시스템으로 널리 인식되어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인터넷 지도는 일반적으로 타일이라고 부르는 특정 크기의 격자 이미지(영상 등)를 다양한 레벨(수준, level)별로 구축하고,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해당 위치의 이미지 타일을 서버에서 단말 쪽으로 전달하여 단말 상에서 가시화하도록 설계 및 구현된다.
설계 및 구현에 따라 달라지기는 하지만, 일반적으로 특정 지도 레이어에 대한 레벨은 20개 이하의 레벨로 구현되며, 이들 각 레벨(수준)이 의미하는 바는 구현에 따라 달라진다. 예를 들어, 네이버 및 다음 지도는 레벨 1 ~ 14로 구성되며, 네이버 지도는 레벨 값이 커질수록 더 구체적인 지도를 표현하고, 다음 지도는 레벨 값이 작아질수록 더 구체적인 지도를 표현한다. 구글지도의 경우 레벨 0 내지 18 또는 레벨 1 내지 23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각 레벨에서 하나의 이미지 타일이 표현하는 크기는 사전에 정의된 크기에 따라 달라지게 되며, 특정 지도 레이어의 레벨 개수 및 특정 레벨에서의 이미지 타일이 표현하는 크기는 지도의 종류(예를 들어, 위성영상, 벡터 등)에 따라서도 달라질 수 있다.
이처럼, 레벨에 따라 레벨을 구성하는 타일의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지도의 가시화를 구현하는 단말에서 저장해야 할 데이터 양 또한 단말이 감당하지 못할 정도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대한 해결책으로 단말이 필요에 따라 가시화하는 부분을 서버로부터 수신하는 방법이 고려되었으며, 이러한 방법을 사용하는 경우 이미지 타일에 대한 전송 요청 횟수를 줄이는 방안 및 불필요한 전송 요청을 감소하는 방안 등이 웹 지도 가시화에서 중요한 성능 개선 이슈들이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쿼드 트리를 이용해 이미지 타일의 데이터 포함 정도에 대한 정보를 구축하고 해당 정보를 최소한의 정보를 이용해 인코딩함으로써, 단말에서 서버로의 이미지 타일 요청 횟수를 최소화하는, 이미지 표현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이미지 표현 방법을 이용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및 이미지 제공 서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방법은,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디바이스가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타일 가시화 유형을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이다.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또는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최상위 레벨에 속하는 타일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쿼드-트리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일부 점유 또는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비점유인 상태의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는 하부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상기 쿼드-트리의 최상위 레벨의 번호, 최하위 레벨의 번호, 최상위 레벨의 크기, 최상위 레벨의 각 타일에 대해 쿼드-트리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의 개수,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쿼드 트리의 루트로부터 상기 목표 레벨 내 타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포함된 쿼드 트리의 구조를 이용해 상기 경로를 따라 목표 레벨 내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가시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요청이 필요한 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로서, 지도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지 않으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일부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될 수 있다.
상기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는,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바이스로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타일 가시화 유형을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또는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최상위 레벨에 속하는 타일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쿼드-트리 형태로 표현될 수 있다.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일부 점유 또는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비점유인 상태의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는 하부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상기 쿼드-트리의 최상위 레벨의 번호, 최하위 레벨의 번호, 최상위 레벨의 크기, 최상위 레벨의 각 타일에 대해 쿼드-트리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의 개수,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쿼드 트리의 루트로부터 상기 목표 레벨 내 타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포함된 쿼드 트리의 구조를 이용해 상기 경로를 따라 목표 레벨 내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 및 확인된 가시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요청이 필요한 타일을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로서, 지도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지 않으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일부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될 수 있다.
상기 또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시스템은,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형에 따라 각 타일의 타일 가시화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에 기초하여 쿼트 트리 형태의 타일 가시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서버;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또는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각 레이어 상에서 타일들의 가시화 정보를 매우 캠팩트(compact)하게 표현함으로써 서버에서 단말로의 데이터 전송을 원활하게 하며, 또한 이를 기반으로 단말의 가시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단말과 서버 사이의 네트워킹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여러 레이어가 중첩되어 표현되는 경우 아래 부분에 위치하여 가시화가 필요치 않은 타일을 확인하여 가시화를 생략함으로써, 웹 기반 지도의 가시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타일 기반 멀티플 레벨을 갖는 지도 이미지의 구성예이다.
도 2는 타일 기반 멀티플 레벨을 갖는 지도 이미지 상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형상을 나타낸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 및 3가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를 쿼드-트리 기반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를 쿼드-트리 기반으로 표현한 일 실시예를 재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이미지가 디바이스에 표현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제공 서버 및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표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A, B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타일 기반 멀티플 레벨을 갖는 지도 이미지의 구성예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하나의 지도 레이어가 여러 개의 레벨(N, N+1, N+2 )로 구성되고, 각 레벨은 다수의 타일을 포함하여 구성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웹 기반 지도의 구성에 있어, 더 구체적으로 대상 지역을 표현하는 레벨일수록 그 레벨을 구성하는 타일의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특정 레벨의 한 이미지 타일은 해당 레벨보다 더 구체적으로 지도를 가시화하는 하위 레벨에서 4개의 타일로 표현된다.
이러한 레벨 별 타일의 구성은 각 레벨 별 이미지 타일을 지정(식별)하기 위한 식별자(ID)의 부여방법과도 관련된다. 예를 들어, 레벨 1 내지 14로 구성된 레이어에서, 레벨 1이 가로 5개, 세로 4개, 총 20개의 이미지 타일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 레벨 2는 (5 * 2) * (4 * 2) = 80 개의 타일로 구성된다. 이러한 계산을 레벨 별로 적용하면, 레벨 14에는 (5 * 2 ^ 13) * (4 * 2 ^ 13) = 1,342,177,280 개의 타일이 존재하게 된다.
이처럼 하위 레벨로 갈수록 레벨을 구성하는 타일의 개수가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나게 됨에 따라, 지도를 가시화하는 디바이스 또는 단말에서 각 레벨 별 지도 타일 관련 데이터를 모두 저장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한다. 따라서, 단말은 필요에 따라 가시화하고자 하는 이미지 부분에 대한 지도 타일을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하고 이를 가시화한다. 이러한 구조에서 성능상의 이유로 인해 단말에서 서버로 전달되는 이미지 타일의 전송요청 횟수를 줄이기 위해 단말에서 최근에 사용된 이미지 타일을 캐싱(caching) 또는 버퍼링(buffering)하기도 한다.
한편, 단말에서 가시화하고자 하는 지도의 유형은 매우 다양할 수 있다. 위성이나 항공기에서 촬영된 영상이 될 수도 있으며, 벡터 형태의 유형이 될 수도 있다. 이는 다양한 응용의 목적에 따라 여러 의미를 가지는 지도 레이어가 만들어 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레이어의 경우, 전세계 또는 우리나라 전체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것이 아니라, 일부 지역에 대해서만 데이터를 포함하게 될 수도 있다.
도 2는 타일 기반 멀티플 레벨을 갖는 지도 이미지 상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형상을 나타낸 예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을 통해 살펴보았던 타일 기반 멀티플 레벨을 갖는 지도 이미지 상에 특정 지역에 대해 가시화할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의 예를 도시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지도 이미지 상의 타일은 데이터 또는 정보로 가득찬 경우, 데이터로 일부 채워진 타일,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로 구분될 수 있다.
실제로 어떤 정보도 포함하지 않는 타일의 경우 단말이 가시화를 위해 서버로 전송 요청할 필요가 없다. 또한, 여러 레이어의 특정 레벨이 중첩되어 가시화 될 때, 상위 레이어의 특정 타일 내부에 빈틈 없이 데이터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아래 레이어는 가시화되어도 사용자에게 보이지 않게 되므로 단말에서 서버로 요청하여 전송 받아 가시화할 필요가 없다. 하지만, 통상적인 시스템 상의 경우 데이터를 전혀 포함하지 않는 타일, 데이터로 채워진 타일 등에 대해 모두 전송 요청되며 서버로부터 요청된 해당 타일이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음을 확인하는 절차를 거친다. 이처럼 지도 이미지의 가시화에 필요하지 않은 데이터의 전송 요청 및 확인 절차는 웹 지도 가시화 성능을 저하시키는 요인이 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웹 지도 레이어 각 레벨의 타일들이 정보를 어느 정도 포함하는지 (예를 들어, 특정 타일 내에 데이터가 일부만 존재하는지, 빈틈 없이 존재하는지 혹은 존재하지 않는지 등)를 계층적으로 표현한다. 또한, 이러한 정보는 서버에서 단말로 사전에 전달되고, 단말에서 이를 먼저 확인함으로써 단말에서 서버로 전달되는 요청의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러한 문제를 위해 단순하게 해결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는, 각 레벨의 각 타일 별로 데이터를 어느 정도 포함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레벨 14에 1,342,177,280 개의 타일이 존재하는 경우, 하나의 타일에 대해 2 bit (0x00: 데이터 없음, 0x01: 데이터 일부 존재, 0x10: 빈틈없이 데이터 존재)로 정보를 표현한다고 하더라도, 전체 타일에 대해 이를 나타내기 위해 소요되는 저장 공간의 크기는 1,342,177,280 * 2 bit = 2,684,354,560 bits = 335,544,320 bytes = 327,680 Kbytes = 320 Mbytes 가 된다. 이러한 정보량은 하나의 레이어 중, 가장 큰 레벨에 대해서 나타낸 것이므로 지도의 가시화를 위해 서버에서 단말로 사전에 전달하기에는 막대한 용량의 데이터이며, 따라서 시스템 성능얼 저하시킬 수 있어 실제 사용하기 어렵다. 또한, 복수의 레이어가 고려되는 경우에는 데이터 용량이 레이어 개수만큼의 배수로 증가하기 때문에, 이 방법은 더더욱 사용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 본 발명에서는, 웹 지도의 가시화에 있어 지도 타일의 데이터 포함 여부를 정보화하고 이를 이용해 단말에서 서버로의 타일 요청횟수를 감소시키고자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시스템은,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00) 및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100)와 네트워크를 통해 연동하는 이미지 제공 서버(20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제공 서버(200)는 특정 레이어의 각 레벨을 구성하는 각 타일들이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포함하는지에 대한 정보를 매우 컴팩트한 형태로 표현하고 파일로 저장하여 단말로 전달한다.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100)는 이를 복원하여 참조함으로써 해당 지도 레이어를 가시화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이미지 제공 서버(200)는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형에 따라 각 타일의 타일 가시화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에 기초하여 쿼트 트리 형태의 타일 가시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하여 제공한다.
또한,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는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미지 제공 서버(200)는 웹 서버(Web Server) 또는 네트워크 서버일 수 있다. 웹 서버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 같은 개방형 컴퓨터 네트워크를 통하여 불특정 다수의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서버와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는 웹 서버와 연동하는 클라이언트일 수 있다. 이미지 제공 서버(200)는 웹 클라이언트 또는 다른 웹 서버의 작업수행 요청을 접수하여 그에 대한 작업 결과를 도출하여 제공하는 컴퓨터 시스템 및 그를 위하여 설치되어 있는 컴퓨터 소프트웨어(웹서버 프로그램)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는, 개인용 컴퓨터(PC: 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개인 휴대 단말기(PDA: Personal Digital Assistant),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MP: Portable MultimediaPlayer), 플레이스테이션 포터블(PSP: PlayStation Portable), 무선 통신 단말기(Wireless Communication Terminal), 스마트폰(Smart Phone), TV 응용 서버와 서비스 서버 등 서버 단말기일 수 있으며, 각종 기기 또 등과 같은 사용자 단말기이거나 유무선 통신망과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모뎀 등의 통신 장치, 영상을 부호화하거나 복호화하거나 부호화 또는 복호화를 위해 화면간 또는 화면내 예측하기 위한 각종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연산 및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 등을 구비하는 다양한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100) 및 이미지 제공 서버(200)는 네트워크를 통해 관련된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게 되며, 여기서, 네트워크는 다양한 형태의 통신 방식을 이용해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100) 및 이미지 제공 서버(200) 간 통신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통신 방식은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Downlink Packet Access), 이동통신망(4G/5G)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의 블록 구성도이다.
본 발명이 일 실시예에 따른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는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며, 프로세서(110) 및 프로세서(110)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12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에서의 데이터 포함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130)는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이미지의 가시화 정보, 프로세서(110)에 의해 최근에 사용된 이미지 타일 관련 데이터 등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140)은 이미지 제공 서버(200)와의 통신을 위한 모듈로,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의 통신 모듈에 의해 제공되는 통신 방식은 WLAN(Wireless LAN),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와이파이(Wi-Fi), 와이브로(Wibro), 와이맥스(Wimax), HSDPA(High SpeedDownlink Packet Access), 이동통신망(4G/5G) 등의 무선 통신 방식 또는 이더넷(Ethernet), xDSL(ADSL, VDSL), HFC(Hybrid FiberCoaxial Cable), FTTC(Fiber to The Curb),FTTH(Fiber To The Home) 등의 유선 통신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 및 3가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유형을 설명하기 위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에서 타일 가시화 정보의 유형, 즉 특정 타일이 어느 정도의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정보는 아래의 3가지 유형으로 표현될 수 있다. 타일 가시화 정보의 3가지 유형은 최소 2 비트의 데이터를 사용해 표현될 수 있다.
비점유(None): 해당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은 경우. 즉,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고 있지 않는 경우
일부 점유(Partial): 해당 타일의 일부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로, 해당 타일은 가시화될 필요가 있으며, 해당 타일이 다른 레이어의 특정 타일 위에 존재하는 경우, 그 특정 타일도 요청되어 가시화 되어야 하는 경우
점유(Covered): 해당 타일의 전체에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해당 타일은 가시화 될 필요가 있으며, 해당 타일이 다른 레이어의 특정 타일 위에 존재하는 경우, 그 특정 타일은 가시화 될 필요가 없는 경우
도 5는, 특정 레이어의 레벨 별 타일 가시화 정보가 쿼드-트리(Quad-tree)를 이용하여 계층적으로 구축된 실시예를 나타낸다. 쿼드-트리란 하나의 노드가 하부 노드를 가지는 경우, 4개의 하부 노드(child)를 가지는 구조의 트리를 의미한다. 도 5의 쿼드-트리는, 예를 들어, 레벨 N에서 (0,0) 좌표의 타일을 루트(root) 개념으로 하여 해당 지역을 더 구체적으로 표현하는 세부 레벨의 타일들에 대한 가시화 정보를 구조적으로 표현한다.
좀더 구체적으로, 예를 들어, 레벨 N+2에 속하는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살펴보면, (0,0), (0,1) 위치에 해당하는 타일들은 어떠한 정보도 포함하지 않고 있는 타일이므로 해당 타일들에 대한 타일 가시화 정보는 "비점유"로 표현된다. 또한, 레벨 N+2의 (2,2), (2,3) 위치 등에 해당되는 타일들은 데이터로 완전히 찬 경우이므로, 해당 타일들에 대한 타일 가시화 정보는 "점유"로 표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쿼드-트리(Quad-tree)는 최상위 레벨(level)의 각 타일에 대해서 1개씩 개별적으로 구축되며, 아래 설명하는 조건을 만족하도록 구축된다.
쿼드-트리의 노드는 타일 가시화 정보가 일부 점유 또는 점유 상태의 타일들에 대해서만 구축된다. 즉, 가시화 정보가 비점유인 타일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 구조에 포함되지 않는다. 이는, 어떤 타일의 가시화 상태가 비점유이면, 그 세부 레벨의 타일들의 가시화 정보도 모두 비점유 상태이기 때문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를 통해서 얻고자 하는 정보가 특정 레벨의 특정 타일에 대한 가시화 정보이기 때문에, 일부 점유(Partial), 점유(Covered) 상태의 가시화 정보만으로 쿼드-트리를 구축함으로써 원하는 정보를 얻을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라 구축된 쿼드-트리를 통해 조회되지 않는 타일의 가시화 정보는 비점유(None)로 간주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어떤 타일의 가시화 정보가 점유 상태라면, 해당 타일에 대한 세부 레벨의 타일 4개도 모두 점유 상태일 것이다. 따라서, 쿼드-트리의 어떤 노드가 점유 상태의 타일이라면, 해당 타일의 그 하부 노드 4개 또한 모두 점유 상태로 추정될 수 있으므로, 하부 노드 4개를 비롯하여, 해당 하부 노드의 추가 하부 노드들에 대해서는, 더 이상 쿼드-트리 구조에 포함시켜 노드로 표현하지 않는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를 쿼드-트리 기반으로 표현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5에서 도시한 계층적 구조의 쿼드-트리에서 불필요한 표현을 제거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각 레벨별 타일들의 가시화 정보를 쿼드-트리로 표현하는 경우, 요구되는 메모리의 양은 가시화 정보가 비점가 아닌 타일의 개수에 의존적으로 결정된다. 또한, 상위 레벨에서 특정 타일의 가시화 정보가 점유 상태인 경우, 그 하부 레벨의 타일은 쿼드-트리 상에 노드로 표현되지 않는다. 따라서, 가시화 정보가 비점유 또는 점유 상태인 타일의 개수가 많을수록,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는 보다 간단한 구조로 더 많은 타일에 대한 정보를 표현할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Quad-tree)의 구성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 중간 레벨에 속하는 노드는 일부점유 또는 점유 상태의 가시화 정보를 가진다. 여기에서, 일부점유 노드는 해당 레벨의 하위 레벨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차일드 노드를 가지지만 점유 노드는 해당 레벨의 하위 레벨에 속하는 차일드 노드를 가지지 않는다.
- 최하위 레벨은 차일드 노드를 가지지 않는다. 최하위 레벨에 속하는 노드는 중간 레벨의 노드와 같이 일부점유 또는 점유 상태의 가시화 정보를 가진다.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의 특징을 반영하여 도 6의 도면을 재정리하면 도 7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레벨을 갖는 이미지의 계층적 구조를 쿼드-트리 기반으로 표현한 일 실시예를 재정리하여 나타낸 도면이다.
도 7과 같이 특정 레이어의 각 레벨에 대한 각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서버 측에서 쿼드-트리 형태로 생성하고 이를 단말로 전달하기 위해 파일 형태로 인코딩한다.
각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표현하는 쿼드-트리에 대한 정보를 ㅍ함하는 인코딩된 파일은 아래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 시작 레벨 (최상위 레벨) 번호, 마지막 레벨 (최하위 레벨) 번호
- 시작 레벨 (최상위 레벨)의 크기 및 시작 레벨(최상위 레벨)의 각 타일에 대한 쿼드-트리가 존재하는지의 여부
-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의 개수
-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의 값
여기에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 값의 경우, 최하위 레벨이 아닌 중간 레벨의 노드에 대해서는 노드의 존재여부만을 표시하면 되므로 노드당 1 bit, 가장 아래 레벨의 경우 노드의 가시화 유형까지 같이 표현해야 하므로 노드당 2 bit를 이용하여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가시화 정보와 관련한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를 최소한의 정보를 이용해 파일 형태로 효율적으로 저장 및 재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쿼드-트리 기반의 타일 가시화 정보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는 경우, 인코딩되는 파일의 크기는 비점유 또는 점유 상태의 가시화 정보를 가지는 타일의 개수 및 분포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렇게 인코딩된 파일을 수신한 디바이스가 각 레벨에 저장되어 있는 가시화 정보를 바이트(byte) 단위로 읽어들이고, 해당 가시화 정보의 값에 따라 하위 레벨의 노드를 생성하고 이를 연결시킴으로써 쿼드-트리를 복원할 수 있다.
디바이스가 복원된 쿼드-트리를 이용하여 특정 레벨 및 위치(좌표)의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찾는 것은, 쿼드-트리의 루트로부터 찾고자 하는 특정 레벨 및 좌표까지의 경로를 찾아낸 후, 경로를 따라 쿼드-트리 구조를 이용하면서 각 쿼드-트리 노드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함으로써 가능하다. 좀더 구체적으로, 각 레벨에서 하위 레벨의 타일은 상위 레벨의 타일 개수의 4배 이고, 그 타일의 위치(좌표)는 아래와 같이 정의될 수 있다.
- 상위 레벨의 좌표 (x,y)로 나타내어지는 타일 T에 대해, 그 하위 레벨에서 타일 T의 영역에 포함되는 타일 4개의 좌표는 각각 (x*2, y*2), (x*2+1, y*2), (x*2, y*2+1), (x*2+1, y*2+1)이다.
따라서, 레벨 T에서 좌표 (x,y)에 위치하는 타일은 레벨 T-1 에서 (x/2, y/2) 위치(좌표)의 타일에 포함되고, 한 층 더 상위 레벨로 이동하여 레벨 T-2에서 좌표 (x/2/2, y/2/2)에 위치하는 타일에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연속적으로 적용시켜 나가면, 쿼드-트리의 루트로부터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고자 하는 특정 레벨, 위치(좌표)의 타일까지의 경로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루트로부터 쿼드-트리 노드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면 해당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찾을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레이어 이미지가 디바이스에 표현되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지도 이미지로 표현되어야 할 동일한 지역에 대해 서로 다른 레이어 1, 2의 이미지가 존재하는 경우, 레이어1의 특정 타일이 점유되어 있다면 그 바로 아래에 위치하는 레이어 2는 가시화 될 필요가 없다. 따라서, 레이어 1에서 점유 상태를 가지는 타일의 위치에 있는 레이어 2의 타일들은 단말에서 서버로 요청되거나 가시화 될 필요가 없다.
여기서, 레이어는 항공기에서 촬영된 이미지가 표현되는 레이어, 벡터 형태로 표현되는 레이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이미지 제공 서버 및 디바이스에서 수행되는 이미지 표현 방법의 동작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이미지 제공 서버는 우선,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형에 따라 각 타일의 타일 가시화 유형을 판단한다(S910, S911). 타일 가시화 유형에 기초하여 쿼트 트리 형태의 타일 가시화 정보를 생성하고(S912), 생성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하여 파일화한다(S913).
이미지 제공 서버는 인코딩된 파일을 디바이스(또는 단말)로 전송하며(S914), 이를 수신한 디바이스는 인코딩된 파일을 디코딩하여(920),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한다(S921).
이후, 디바이스 사용자에 의한 요청 등에 의해 디바이스에서 가시화할 대상 이미지에 대한 업데이트가 필요한 경우(S922의 예), 디바이스는 쿼드 트리의 루트로부터 상기 목표 레벨 내 타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고(S923),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포함된 쿼드 트리의 구조를 이용해 상기 경로를 따라 목표 레벨 내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여, 확인된 가시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요청이 필요한 타일을 결정한다(S924).
이후, 디바이스는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제공해 줄 것을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고(S925),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수신하면(S930),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한다(S935).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의 동작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 방식으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프로그램 또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이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그램 명령은 컴파일러(compiler)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interpreter)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측면들은 장치의 문맥에서 설명되었으나, 그것은 상응하는 방법에 따른 설명 또한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블록 또는 장치는 방법 단계 또는 방법 단계의 특징에 상응한다. 유사하게, 방법의 문맥에서 설명된 측면들은 또한 상응하는 블록 또는 아이템 또는 상응하는 장치의 특징으로 나타낼 수 있다. 방법 단계들의 몇몇 또는 전부는 예를 들어, 마이크로프로세서, 프로그램 가능한 컴퓨터 또는 전자 회로와 같은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또는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몇몇의 실시예에서, 가장 중요한 방법 단계들의 하나 이상은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프로그램 가능한 로직 장치(예를 들어,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가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의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서, 필드 프로그머블 게이트 어레이는 여기서 설명된 방법들 중 하나를 수행하기 위한 마이크로프로세서와 함께 작동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방법들은 어떤 하드웨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10: 프로세서
120: 메모리 130: 데이터베이스
140: 통신 모듈 200: 이미지 제공 서버

Claims (20)

  1.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는 디바이스가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타일 가시화 유형을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및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최상위 레벨에 속하는 타일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쿼드-트리 형태로 표현되는, 이미지 표현 방법.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일부 점유 또는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비점유인 상태의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 이미지 표현 방법.
  5.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는 하부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 이미지 표현 방법.
  6.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상기 쿼드-트리의 최상위 레벨의 번호, 최하위 레벨의 번호, 최상위 레벨의 크기, 최상위 레벨의 각 타일에 대해 쿼드-트리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의 개수, 및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방법.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는 단계는,
    상기 쿼드 트리의 루트로부터 상기 목표 레벨 내 타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포함된 쿼드 트리의 구조를 이용해 상기 경로를 따라 목표 레벨 내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확인된 가시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요청이 필요한 타일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방법.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로서, 지도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지 않으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일부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는, 이미지 표현 방법.
  10. 이미지 제공 서버와 연동하여,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를 표현하는 디바이스에 있어서,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를 통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은,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상기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되는 타일 가시화 유형을 포함하는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된 형태로 수신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도록 하는 명령;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도록 하는 명령을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및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1. 삭제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최상위 레벨에 속하는 타일에 대해 개별적으로 생성되는 쿼드-트리 형태로 표현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일부 점유 또는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비점유인 상태의 타일에 대한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4.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쿼드-트리는,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이 점유 상태인 타일에 대한 노드는 하부 노드를 포함하지 않도록 구성된,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5.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는,
    상기 쿼드-트리의 최상위 레벨의 번호, 최하위 레벨의 번호, 최상위 레벨의 크기, 최상위 레벨의 각 타일에 대해 쿼드-트리가 존재하는지 여부,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의 개수, 상기 쿼드-트리의 각 레벨에 속하는 노드에 대한 가시화 정보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6.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도록 하는 명령은,
    상기 쿼드 트리의 루트로부터 상기 목표 레벨 내 타일까지의 경로를 파악하도록 하는 명령; 및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포함된 쿼드 트리의 구조를 이용해 상기 경로를 따라 목표 레벨 내 타일의 가시화 정보를 확인하도록 하는 명령; 및
    확인된 가시화 정보에 따라 데이터 전송 요청이 필요한 타일을 결정하도록 하는 명령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7.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이미지는 지도 이미지로서, 지도 이미지를 표현하는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복수의 레이어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레이어가 제1 레이어 및 제2 레이어를 포함하는 경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지 않으며,
    제1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이 일부 점유 상태인 경우, 상기 제1 레이어 아래에 위치하는 제2 레이어에 대한 제1 레벨의 제1 타일은 가시화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
  19. 복수의 레벨을 포함하는 계층적 구조로 구성된 이미지의 각 레벨에 속하는 적어도 하나의 타일이 데이터를 포함하는 유형에 따라 각 타일의 타일 가시화 유형을 판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에 기초하여 쿼트 트리 형태의 타일 가시화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인코딩하여 제공하는 이미지 제공 서버; 및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부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인코딩된 타일 가시화 정보를 디코딩하여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를 획득하며, 상기 타일 가시화 정보에 따라 가시화 대상인 목표 레벨 및 타일에 대한 데이터를 상기 이미지 제공 서버로 요청하여 수신한 가시화 대상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하는 이미지 표현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타일 가시화 유형은,
    해당 타일이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지 않는 비점유, 해당 타일의 일부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일부 점유, 및 해당 타일 전체가 가시화될 데이터를 포함하는 점유를 포함하는, 이미지 표현 시스템.
  20. 삭제
KR1020180020060A 2018-02-20 2018-02-20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KR1021813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60A KR102181345B1 (ko) 2018-02-20 2018-02-20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6/205,737 US10785491B2 (en) 2018-02-20 2018-11-30 Method of visualizing image based on hierarchical presentation of image tile information, device and system using the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0060A KR102181345B1 (ko) 2018-02-20 2018-02-20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54A KR20190099954A (ko) 2019-08-28
KR102181345B1 true KR102181345B1 (ko) 2020-11-20

Family

ID=676172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0060A KR102181345B1 (ko) 2018-02-20 2018-02-20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785491B2 (ko)
KR (1) KR1021813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55227B1 (ko) 2019-10-10 2022-10-1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공간 정보 구성 방법 및 장치
CN112199537A (zh) * 2020-09-18 2021-01-08 杭州安恒信息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可视化图像的更新方法、装置、电子装置和存储介质
KR102413505B1 (ko) * 2021-11-30 2022-06-28 주식회사 동방티씨에스 포인트 클라우드 데이터 시각화 장치 및 방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858A1 (en) 2016-01-25 2017-08-03 Google Inc. Reducing latency in map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697B1 (ko) * 2008-05-27 2010-07-16 그리다 주식회사 이미지 데이터의 부분 갱신 방법
KR101017433B1 (ko) 2010-07-09 2011-02-28 (주)디투이노베이션 압축 프로그램을 이용한 웹 지도 서비스 방법
US10242481B2 (en) * 2012-03-15 2019-03-26 Qualcomm Incorporated Visibility-based state updates in graphical processing units
KR102046910B1 (ko) * 2013-03-08 2019-11-2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자해도를 고려한 타일링 맵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US9241240B2 (en) * 2013-09-05 2016-01-19 Facebook, Inc Techniques for server-controlled tiling of location-based information
US9134135B2 (en) * 2013-10-03 2015-09-15 Telenav, Inc. Navigation system with mode based mechanis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KR102103354B1 (ko) 2013-11-22 2020-04-2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지도 검색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KR102380979B1 (ko) 2015-01-05 2022-04-01 삼성전자 주식회사 이미지의 메타데이터 관리 방법 및 장치
KR20170004292A (ko) * 2015-07-02 2017-01-11 주식회사 스마트앤스페이스 이미지 코드를 이용한 지도 정보 제공 장치
KR20170016168A (ko) 2015-08-03 2017-02-13 조성환 타일 기반의 지도 데이터 갱신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94202B1 (ko) 2015-10-29 2020-03-27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네비게이션서비스장치 및 그 동작 방법
US9874450B2 (en) * 2016-04-28 2018-01-23 Here Global B.V. Referencing closed area geometry
KR102479037B1 (ko) * 2016-05-25 2022-12-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타일 지도 서비스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31858A1 (en) 2016-01-25 2017-08-03 Google Inc. Reducing latency in map interfa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9954A (ko) 2019-08-28
US20190261009A1 (en) 2019-08-22
US10785491B2 (en) 2020-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20768B2 (en) Point cloud geometry compression using octrees with multiple scan orders
US11615557B2 (en) Point cloud compression using octrees with slicing
CN111052189B (zh) 用于生成压缩点云的系统、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EP3669547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oint-cloud streaming
KR102181345B1 (ko) 이미지 타일 가시화 정보의 계층적 표현을 이용한 이미지 표현 방법, 이를 이용하는 디바이스 및 시스템
US11615556B2 (en) Context modeling of occupancy coding for point cloud coding
CN115380536A (zh) 用于点云压缩的改进的预测编码
AU2021257883B2 (en) Context modeling of occupancy coding for pointcloud coding
US20230336714A1 (en) String matching with a single value from reference locations
US11798199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figuring spatial information
JP7368623B2 (ja) 点群処理の方法、コンピュータシステム、プログラム及びコンピュータ可読記憶媒体
KR20200088186A (ko) 계층적 입체 격자를 이용한 공간 표현 방법, 공간 표현 디바이스 및 공간정보 생성 장치
CN116993878A (zh) 一种地图渲染的方法以及相关装置
CN115168763A (zh) 一种按需生成3d效果图的方法和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