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458B1 - 벽 거푸집 유닛 - Google Patents

벽 거푸집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458B1
KR100970458B1 KR1020090070415A KR20090070415A KR100970458B1 KR 100970458 B1 KR100970458 B1 KR 100970458B1 KR 1020090070415 A KR1020090070415 A KR 1020090070415A KR 20090070415 A KR20090070415 A KR 20090070415A KR 100970458 B1 KR100970458 B1 KR 1009704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reinforcing bar
transverse
reinforcement
steel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70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100324A (ko
Inventor
김종배
여백유
박춘옥
최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일테크노스
Priority to KR1020090070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70458B1/ko
Publication of KR200901003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1003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4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4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6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 E04B2/8635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made in permanent forms with ties attached to the inner faces of the form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4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 E04B2/842Walls made by casting, pouring, or tamping in situ by projecting or otherwise applying hardenable masses to the exterior of a form leaf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36Three-dimensional reinforcing mats composed of reinforcing elements laying in two or more parallel planes and connected by separate reinforcing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Reinforcement Elements For Build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라멘 구조나 아파트와 같은 벽식 구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월 플레이트, 특히 데크 플레이트 형태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로서 별도의 서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부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월 플레이트의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벽 거푸집 유닛{wall form uni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라멘 구조나 아파트와 같은 벽식 구조에 효과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월 플레이트, 특히 데크 플레이트 형태를 이용한 거푸집 구조체로서 별도의 서포트를 사용하지 않고도 상부 벽체를 지지할 수 있는 월 플레이트의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종래 데크 플레이트 형태를 이용한 벽체 거푸집으로서, 예컨대 한국공개특허 제2007-36807호의 공보에 개시된 것이 제안되어 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체를 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양생 전의 콘크리트를 가둘 수 있는 플레이트(10,20)와, 콘크리트의 양생 후 강도 유지를 위해 플레이트(10,20) 사이에서 조립되는 철근조립체(33)와, 철근조립체(33)와 플레이트(10,20)를 연결하여 플레이트(10,20) 간의 간격이 유지되도록 하는 결속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플레이트(10,20)에는 다수의 개구(11,21)가 형성되어 있다. 철근조립체(33) 는 종철근(31)과, 종철근(31) 상에 횡방향으로 교차하여 고정되는 횡철근(32), 종철근(31) 및 횡철근(32) 사이를 지그재그로 교차하여 횡철근(32) 및 종철근(31) 상에 고정되는 래티스(30)로 이루어져 있다.
래티스(30)의 절곡된 단부는 상기 플레이트의 개구(11,21) 사이로 노출되며, 노출된 래티스(30) 부분에는 핀(34)이 삽입되어져 상기 래티스(30)가 상기 플레이트(10,20)와 일시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벽체 거푸집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횡철근(32)은 평행하게 플레이트(10,20)에 배근된다. 따라서, 벽체 거푸집을 계속 연장해야 할 경우 횡철근(32)의 끝단과 다음 횡철근의 시작단을 이음하여야 한다. 그런데, 이음 부위는 플레이트(10)측 이음부위와 플레이트(20)측 이음부위 양측에만 형성되기 때문에, 그 사이에는 별도의 철근이 배근되어 있지 않아 콘크리트를 타설하였을 때 다른 부위(래티스가 있는 부위)보다 인장강도가 약하다.
둘째, 이음부의 인장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플레이트(10)측 횡철근과 플레이트(20)측 횡철근을 서로 연결하는 별도의 보강철근이 필요하고, 이 보강철근을 횡철근에 고정해야 하는 공정이 또한 필요하기 때문에 시공성이 현저히 떨어진다.
셋째, 횡철근(32)과 다음 횡철근이 서로 일직선 상으로 배근되기 때문에, 이음 할 때 한쪽의 횡철근을 구부려 서로 겹치게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넷째, 종철근도 횡철근과 마찬가지로 이음되는 부위의 인장강도가 취약하고, 겹침 이음을 위한 구부림 작업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콘크리트 양생과정에서 유해성 물질을 차단하고 제작공정이 간단하면서 후공정이 필요없고 이음 부위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의 벽체 거푸집 유닛은,
내측벽 강판과 외측벽 강판으로 구성되는 측벽 강판; 상기 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횡철근; 상기 측벽 강판에 종방향으로 배근되는 종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횡철근은 나선상을 감겨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횡철근이 강판의 상하방향으로 연속하여 일체로 감겨 배근되기 때문에 인장강도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1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제1내측벽 강판과 제1외측벽 강판으로 구성되는 제1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1횡철근을 포함하는 제1벽 거푸집 유닛; 제2내측벽 강판과 제2외측벽 강판으로 구성되는 제2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2횡철근을 포함하는 제2벽 거푸집 유닛; 상기 제1측벽 강판과 상기 제2측벽 강판을 연결하는 연결부재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횡철근 은, 상기 내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1내측횡철근과, 상기 외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1외측횡철근과, 상기 제1내측횡철근의 일측단과 상기 제1외측횡철근의 일측단을 연결하는 제1일단연결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제2횡철근은, 상기 내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2내측횡철근과, 상기 외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제2외측횡철근과, 상기 제2내측횡철근의 타측단과 상기 제2외측횡철근의 타측단을 연결하는 제2타단연결철근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2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제1일단연결철근과 상기 제2타단연결철근은 상기 제1측벽 강판의 일측단과 상기 제2거푸집의 타단측으로부터 돌출하여 서로 겹치는 이음 부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3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내측벽 강판과 제2내측벽 강판 사이 또는 상기 제1외측벽 강판과 제2외측벽 강판 사이의 배치되는 웨브; 상기 웨브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 및 외측플랜지; 상기 내측플랜지와 외측플랜지를 상기 강판에 고정하는 피스로 구성되는 연결철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구성에 의하면, 연결철물을 따로 사용하기 때문에, 거푸집 강판의 암수 구분이 필요없게 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4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내측플랜지는 중심이 빈 폐단면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5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제1일단연결철근 과 상기 제2타단연결철근은 다각형태이고, 상기 제1횡철근 및 제2횡철근 각각은 일측단이 타측단보다 낮은 위치에 있도록 경사지게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기재된 청구항16의 벽체 거푸집 구조체는, 상기 제1측벽 강판 및 제2측벽 강판에 종방향으로 배근되는 제1종철근 및 제2종철근이 더 배근되되, 상기 제1종철근 및 제2종철근 각각은, 상기 내측횡철근에 배근되는 내측종철근과, 상기 외측횡철근에 배근되는 외측종철근과, 상기 내측종철근의 상단과 상기 외측종철근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연결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상단연결철근은 상기 측벽 강판의 상단측으로부터 돌출하고, 돌출한 상기 상단연결철근은 상기 내측종철근 및 외측종철근에서 경사지는 경사철근과, 상기 경사철근 각각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연장철근과, 상기 연장철근 각각을 연결하는 연결철근으로 구성되고, 상기 내측종철근과 외측종철근 사이에는 보강철근이 더 배근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한 벽 거푸집 유닛과 구조체에 의하면, 내측횡철근과 외측횡철근의 일단을 철근으로 연결함으로써, 연결된 철근이 자연스럽게 폭방향에 배근되어 이음부의 인장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강판 사이로 콘크리트를 타설하기 때문에, 양생과정에서 콘크리트의 유행성 물질을 차단한다.
또한, 제작공정으로 일괄 자동 생산이 가능하다.
또한, 한 번 설치한 후 해체 등의 후공정이 필요 없다.
월 플레이트 타입의 거푸집 구조체이기 때문에, 스스로 지지 기능을 충분히 하여 2, 3층 올릴 때 별도의 서포트가 필요 없다.
또한, 연결철근을 강판에 대해 돌출시키고, 횡철근 전체를 좌우에 대해 경사시킴으로써, 겹침 이음이 매우 용이하다.
또한, 연결철근을 다각형태로 함으로써, 크로스 겹침이 되어 여러 가닥의 철근이 철망형태로 배근되는 효과로 인해 인장 강도의 현저한 향상을 구현할 수 있다.
또한, 강판과 강판을 연결철물을 사용하여 연결함으로써, 강판의 조인트 암수 구별이 불필요하다.
또한, 횡철근을 나선상으로 감아 올리기 때문에, 일체형 거푸집 구조체로서의 기능을 더욱더 높여 튼튼한 구조체를 이룬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결합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II-II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III-III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벽 거푸집 유닛(100)은 크게 거푸집 강판(110)과, 이 거푸집 강판(110) 내에 배근되는 횡철근(130)으로 구성하여 있다.
거푸집 강판(110)은 서로 마주하는 내측벽 강판(111)과 외측벽 강판(113)으 로 구성된다.
내측벽 강판(111) 및 외측벽 강판(113)은 아연도 강판으로서, 측벽판(111a)(113a)과 리브(111b)(113b)로 구성되어 있다.
리브(111b)(113b)는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은 맞대어 겹친 돌기형 리브나 산형 리브 어느 것이라도 좋다. 특히 맞대어 겹친 돌기형 리브(111b)(113b)는 본 출원인이 특허 출원한 등록 제451845호의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횡철근(130)이 용접 고정되는 강판의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함으로써, 접한 돌기의 리브 상단측에 충분한 살두께부가 형성되고, 이 살두께부에 횡철근의 일부가 용입 고정되어 충분한 강도를 얻을 수 있고, 아래에서 위로 볼 때 외관상 비이드가 거의 보이지 않아 깔끔하고, 상하에서 용접하기 때문에, 용접 자세가 대단히 편리하고, 수직 돌기가 서로 맞대어 접합 경우로, 기존의 산형 돌기와 비교할 때 재료 손실도 거의 없다.
횡철근(130)은 도 1 및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측벽 강판(111)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내측횡철근(131)과, 외측벽 강판(113)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외측횡철근(133)과, 내측횡철근(131)의 일단과 외측횡철근(133)의 일단을 연결하는 일단연결철근(135)으로 구성되어 있다.
내측횡철근(131)과 외측횡철근(133)은 리브(111b)(113b)에 용접 고정된다.
일단연결철근(135)은 다각 형태로 절곡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일단연결철근(135)은 내측횡철근(131)의 일단과 외측횡철근(133)의 일단에서 수렴되게 경사 연장되는 내측 및 외측 횡경사연장철근(136)(137)과, 내측횡연장철근(136)과 내측횡연장철근(137)을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폭연결철근(138)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폭연결철근(138)의 구성에 의하여, 폭연결철근(138)과 폭연결철근(138')이 겹치지 않고 맞대더라도, 결속끈(미도시)으로 결속이 대단히 편리하다.(이것은 리어커와 리어커의 손잡이를 서로 맞대어 묶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특히, 일단연결철근(135)이 강판거푸집(110)의 일측단 보다 돌출하게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돌출한 다각형 일단연결철근(135)은 후술되는 바와 같이, 대응되는 다른 타단연결철근(135')과 이음될 때 서로 교차(도 7 참조)하기 때문에, 마치 철망이 배근된 효과를 주어 인장강도의 향상을 배가시킬 수 있다.
횡철근(130)의 타단에도 일단연결철근(135)과 마찬가지로 타단연결철근(135')이 다각 형태로 구현하여도 좋다. 물론, 타단연결철근(135')이 내측횡철근(131)의 타단과 외측횡철근(133)의 타단을 일자로 연결하여도 좋다. 이 일자로 연결하는 경우에는 끝막음 형태의 벽 거푸집 유닛인 경우에 특히 바람직하다.
횡철근(130)은 전체적으로도 다각형태를 이루고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철근(130'')은 내측횡철근(131)와 외측횡철근(133), 이 내외측횡철근(131)(133)의 일단에서 수렴 경사지게 연장되는 경사연장철근(136)(137), 내측횡철근(131)의 일단과 외측횡철근(133)의 일단을 잇는 연결철근(238)으로 구성한다.
따라서, 경사연장철근(136)(137)과 연결철근(283)은 도 11에서 같이 개단면을 이룬다. 마찬가지로, 내외측횡철근(131)(133)의 타단에서 수렴 경사지게 연장되 는 경사연장철근(136')(137'), 내측횡철근(131)의 일단과 외측횡철근(133)의 타단을 잇는 연결철근(238')으로 구성하여도 좋다.
다른 한편,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철근(130''')이 나선상을 감긴 일체 형태로 강판(110)에 용접 고정되어도 좋다. 횡철근(130''')과 후술된 종철근(150)이 만나는 지점에 불연속 래티스근(160''')이 배근되게 된다.
한편, 강판거푸집(110)에 종방향으로 배근되는 종철근(150)이 더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철근(150)은 내측횡철근(131)에 배근되는 내측종철근(151), 외측횡철근(133)에 배근되는 내측종철근(153), 내측횡철근(131)과 외측종철근(153)의 상단을 연결하는 상단연결철근(155)으로 구성하여 있다.
상단연결철근(155)은 내측종철근(151) 및 외측종철근(153)의 상단측으로부터 경사 돌출되는 내측경사철근(152) 및 외측경사철근(154), 내측경사철근(152) 및 외측경사철근(154)에서 종방향으로 연장되는 내측연장철근(156) 및 외측연장철근(157), 내측연장철근(156) 및 외측연장철근(157)을 폭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철근(158)으로 구성하여 있다.
따라서, 상단연결철근(155)은 다각형태로 이루어진다.
이 상단연결철근(155)의 구성에 의하여, 일단연결철근(135)과 마찬가지로 이음부의 연결이 쉽고 인장강도를 더욱더 높일 수 있다.
또한, 상단연결철근(155)이 돌출하고 다각형태로 구현함으로써, 일단연결철근(135)과 마찬가지로 철망과 같은 배근 효과를 줄 수 있다.
종철근(150)은 전체적으로도 다각형태를 이루고 있다.
내측종철근(151)과 외측종철근(153)의 하단측에는 상단연결철근(155)과의 이음 및 내측종철근(151)과 외측종철근(153)의 스페이스 유지 등과 같은 보강을 위해, 보강철근(159)이 더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횡철근(130)과 종철근(150)이 만나는 지점에, 불연속 래티스근(160)이 종철근(150)에 배근되는 것은 보강철근(159)과 마찬가지의 효과로 바람직하다.
한편,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이등변 삼각형 형태의 연속 래티스근(160')이 종철근(150)에 배근되어도 좋다.
또한,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삼각형 형태의 연속 래티스근(160'')이 종철근(150)에 배근되어도 좋다. 이 경우에는 횡철근(130')이 폭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배근되는 것이, 횡철근(130')과 종철근(150)이 만나는 지점에 래티스근(160'')이 배근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벽 거푸집 유닛(100)은 도 5 및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벽 길이에 따라 복수로 연결한다. 편의상 제1벽 거푸집 유닛(100)과 제2벽 거푸집 유닛(100)이 연결된 경우를 살펴본다.
즉, 제1벽 거푸집 유닛(100)과 제2벽 거푸집 유닛(100)을 측방향을 따라 배치한다. 이때, 각 벽 거푸집 유닛(100)의 횡철근(130)은 일단측보다 타단측이 낮은 위치에 오도록 배근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정확하게는, 제1횡철근(130)의 일단연결철근(135)이 제1횡철근(130)의 타단연결철근(135') 보다 낮은 위치에 오게 한다.
따라서, 벽 거푸집 유닛(100) 각각을 연결할 때, 제2일단연결철근(135)이 대응하는 제1타단연결철근(135')과 겹치기 때문에, 시공이 대단히 편리하다.
한편,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횡철근을 경사지게 배근하지 않고 수평으로 배근하고, 횡철근의 타단(235')을 'ㄴ'자로 절곡하여 횡철근의 일단(235)과 겹침 이음을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일일이 횡철근을 경사지게 배근할 필요가 없어 시공성을 다소 향상시킬 수 있다.
제1벽 거푸집 유닛(100)과 제2벽 거푸집 유닛(100)을 종래 데크 플레이트와 같은 훅 형태로 연결할 수 있지만, 본 실시예에서는 도 7에 도시한 연결철물(170)을 이용하여 강판거푸집(110)의 암수 구분이 필요 없게 한다.
연결철물(170)은 제1내측벽 강판(111)과 제2내측벽 강판(111) 사이 또는 상기 제1외측벽 강판(113)과 제2외측벽 강판(113) 사이의 배치되는 웨브(171)와, 웨브(171)의 내외측에 설치되는 내측플랜지(173) 및 외측플랜지(175)와, 내측플랜지(173)와 외측플랜지(175)를 강판(111 또는 113)에 고정하는 피스(177)로 구성하여 있다.
이때, 피스(177)의 체결을 견고히 하기 위하여, 내측플랜지(173)는 중심이 빈 폐단면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속이 빈 내측플랜지(173)는 피스(177)의 체결 부위를 넓히기 때문에 고정력을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연결철물로서 외측플랜지(175')와 피스(177)로 구현하여도 좋다.
또한, 도 14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강판(111)의 일단을 경사진 판(111c)으로 구성하고, 이 경사진 판(111c)에 강판(111)의 타단을 겹친 후 탭용접을 행하여 고정하여도 좋다.
이하, 전술한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유닛(100)의 시공 방법을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먼저, 기준층 바닥 슬라브를 형성한다. 이 기준층 바닥 슬라브에는 정착철근이 노출되어 있다.
이 노출된 정착철근에 횡철근(130)과 종철근(150)을 고정한 벽 거푸집 유닛(100)을 복수개로 연결한다. 이 연결시 일단연결철근(135)과 타단연결철근(135')이 서로 겹치게 하고 결속근이나 용접 등으로 고정한다.
그런 다음, 측벽의 끝 막음을 한다. 즉,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캡(180)으로 벽 거푸집 유닛(100)의 끝단을 막고, 연결철물(170) 등으로 연결 고정한다.
측벽이 직각으로 이음될 때에는, 종철근(195)으로 보강한 후 일단연결철근(135)과 타단연결철근(135')을 서로 겹치게 한 후 그 위에 종철근(195)을 따라 감은 띠철근(190)으로 배근한다.
직각 이음의 내외측에도 별도의 엔드 캡(185)을 이용하여 끝 막음 처리를 행한다.
이와 같은 직각 이음과 끝 이음을 마무리한 후 상단연결철근(150)이 노출되게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콘크리트의 양생 이후 바닥 슬라브를 시공한 후, 상단연결철근(150)과 그 위에 배근되는 상단연결철근(150)의 하단측과 결속 또는 고정한다.
그 다음에는 직각이음과 끝이음을 행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한다.
이와 같이, 일단연결철근(135)과 타단연결철근(135')이 겹치면서 철망과 같은 배근 효과를 주어, 이음부위의 인장강도를 현저히 향상시킬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음은 해당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자명하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벽체뿐만 아니라 슬라브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 측면도.
도 3은 도 2의 II-II선을 취하여 본 정단면도.
도 4는 도 2의 III-III선을 취하여 본 평단면도.
도 5는 도 2의 벽 거푸집 유닛을 복수로 연결한 입면도.
도 6은 도 5의 시공 입면도.
도 7은 측벽과 뒷벽 이음 시공한 평단면도.
도 8 내지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유닛을 도시한 분리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 따른 평단면도.
도 12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벽 거푸집 유닛을 복수로 연결한 입면도.
도 13 및 도 14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인트 연결 평면도.
도 15는 종래 선조립에 의하여 제품화된 콘크리트구조물 시공시스템의 분리 사시도.
도 16은 도 15의 벽체 측면이 개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벽 거푸집 유닛 110 : 측벽 강판
111 : 내측벽 강판 113 : 외측벽 강판
111a,113a : 바닥판 111b,113b : 리브
130 : 횡철근 131 : 내측횡철근
133 : 외측횡철근 135 : 일단연결철근
135' : 타단연결철근 150 : 종철근
151 : 내측종철근 153 : 외측종철근
155 : 상단연결철근 170 : 연결철물

Claims (1)

  1. 내측벽 강판과 외측벽 강판으로 구성되는 측벽 강판;
    상기 측벽 강판에 횡방향으로 배근되는 횡철근;
    상기 측벽 강판에 종방향으로 배근되는 종철근을 포함하되,
    상기 횡철근은 상기 종철근에 나선상으로 감겨 배근되며,
    상기 횡철근과 상기 종철근이 만나는 지점에 불연속 래스티근(160''')이 더 배근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벽 거푸집 유닛.
KR1020090070415A 2009-07-31 2009-07-31 벽 거푸집 유닛 KR1009704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415A KR100970458B1 (ko) 2009-07-31 2009-07-31 벽 거푸집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70415A KR100970458B1 (ko) 2009-07-31 2009-07-31 벽 거푸집 유닛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1201A Division KR100937678B1 (ko) 2007-11-27 2007-11-27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324A KR20090100324A (ko) 2009-09-23
KR100970458B1 true KR100970458B1 (ko) 2010-07-16

Family

ID=41358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70415A KR100970458B1 (ko) 2009-07-31 2009-07-31 벽 거푸집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7045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824A (ja) * 1998-03-24 1999-10-05 Tsutomu Nakamura 橋梁用の鉄筋付型枠並びに床版の施工方法
KR20010057968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철근배근 및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강재패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69824A (ja) * 1998-03-24 1999-10-05 Tsutomu Nakamura 橋梁用の鉄筋付型枠並びに床版の施工方法
KR20010057968A (ko) * 1999-12-23 2001-07-05 이구택 철근배근 및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강재패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100324A (ko) 2009-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37678B1 (ko) 벽 거푸집 유닛 및 벽 거푸집 구조체
KR20110032687A (ko) 철골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과 철근콘크리트로 보강된 단부를 갖는 철골 보의 접합부 시공방법
KR20060092038A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JP4323226B2 (ja) 合成リブ床版
JP2015172299A (ja) Rc造梁における開口部補強構造
KR100970458B1 (ko) 벽 거푸집 유닛
JP5901008B2 (ja) 壁板接合構造
KR20180094673A (ko) 이중 플레이트 벽체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06226A (ko) 선형 보강재에 의해 복수개가 연결된 아치구조물 구축용 콘크리트 블록 조립체
KR101109244B1 (ko) 섬유보강 콘크리트로 소성힌지부를 보강한 구조벽체
KR101601629B1 (ko) 경량체가 구비된 중공형 데크플레이트
KR101019095B1 (ko) 트러스 일체형 데크
JP3726665B2 (ja) 柱状コンクリート部材用横拘束筋及びそれを使用したコンクリート部材
JP6324105B2 (ja) コンクリート打継ぎ方法
KR20180112405A (ko) 충전강성 록킹 압축체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CN211313027U (zh) 预制板及应用其的叠合楼板
KR100640250B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KR20180089835A (ko) 강화 잉여 플레이트로 중첩 보강되어 록킹된 데크 플레이트
KR200384109Y1 (ko) 콘크리트 복합 형강보
CN114108943B (zh) 节段空腔的预制连梁、叠合梁及建筑结构
KR20120081264A (ko) 절곡형 철판을 이용한 건축용 슬래브
KR102003946B1 (ko) 스티픈강화부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
DK2175079T3 (en) A method of forming flexurally rigid corner reinforcement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flexurally rigid reinforcing member and the gusset
KR101314854B1 (ko) 돌출 철근을 포함하는 거더 및 이를 이용한 교량 구조
KR200241408Y1 (ko) 철선을 구비한 건축 슬래브 데크패널의 단부고정근 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9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7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