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70077B1 -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70077B1
KR100970077B1 KR1020080069703A KR20080069703A KR100970077B1 KR 100970077 B1 KR100970077 B1 KR 100970077B1 KR 1020080069703 A KR1020080069703 A KR 1020080069703A KR 20080069703 A KR20080069703 A KR 20080069703A KR 100970077 B1 KR100970077 B1 KR 1009700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portion
circumferential wall
inner circumferential
plate
outer circumferent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697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09134A (ko
Inventor
구니오 사쿠라다
Original Assignee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혼 덴산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900091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091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700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700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1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7/1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 F16C17/107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grooves in the bearing surface to generate hydrodynamic pressure with at least one surface for radial load and at least one surface for axial loa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 F16C33/1025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with liquid, e.g. oil, as lubricant
    • F16C33/106Details of distribution or circulation inside the bearings, e.g. details of the bearing surfaces to affect flow or pressure of the liquid
    • F16C33/107Grooves for generating pres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41/00Other accessories, e.g. devices integrated in the bearing not relating to the bearing function as such
    • F16C41/008Identification means, e.g. markings, RFID-tags; Data transfer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9/00Driving, starting, stopp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Driving both disc and head
    • G11B19/20Driving; Starting; Stopping; Control thereof
    • G11B19/2009Turntables, hubs and motors for disk drives; Mounting of motors in the drive
    • G11B19/2036Motors characterized by fluid-dynamic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70/00Apparatus relating to physics, e.g. instruments
    • F16C2370/12Hard disk drives or the like

Abstract

본 발명의 과제는 샤프트와 슬리브와의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저감함으로써 눌어붙기의 발생을 방지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 및 이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축받이 유닛(11)의 슬리브(33)의 하면에는,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 1 면(3331c)을 가지는 내주벽부(3331)가 마련된다. 또한, 플레이트(34)는 슬리브(33)의 외주벽(334)내에 삽입되어 레이저 용접 등에 의해 고정된다. 내주벽부(3331)에는,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제 2 면(3331d)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 제 2 면(3331d)과 플레이트(34)의 상면의 간격은, 내주벽부(3331)보다 직경방향 내측의 공간과, 내주벽부(3331)보다 직경방향 외측의 공간을 연통한다.

Description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BEARING UNIT,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WITH THE BEARING UNIT}
본 발명은 축받이 유닛, 특히 축받이 유닛 내의 공기를 축받이 유닛 밖으로 방출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하드 디스크 등의 원반 형상의 자기(磁氣) 디스크를 회전시키는 모터는, 자기 디스크와 자기 헤드의 접촉을 막기 위해서, 매우 고밀도의 회전 진동이 요구된다.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모터에는, 일반적으로 유체 동압 축받이 등의 미끄럼 축받이가 이용된다. 특히,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에서는, CD, DVD 등의 광학 디스크와는 달리, 그 장치 자체가 기록 매체를 구성하는 요소가 되기 때문에,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 자체에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하드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성 부품의 하나인 모터에도, 높은 신뢰성이 요구된다.
종래의 미끄럼 축받이가 사용된 모터의 구조에 관해서 도 12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2는 종래의 미끄럼 축받이를 나타낸 모터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모터(1)는, 소정의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샤프트(2a)와, 샤프트(2a)의 상부에 고정되어 원반 형상의 자기 디스크(도시하지 않음)를 탑재하는 로터(rotor) 허브(2b)와, 로터 허브(2b)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네트(2c)를 가지는 회전부(2)와, 샤프트(2a)를 회전 자유롭게 지지하는 축방향으로 관통한 내주면을 가지는 슬리브(3a)와, 슬리브(3a)의 하면에 고정되어 내주면의 하측을 덮는 플레이트(3b)와, 슬리브(3a)에 고정되어 로터 마그네트(2c)와 대향하는 스테이터(3c)를 가지는 고정부(3)와, 샤프트(2a)의 외주면과 슬리브(3a)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4)를 구비한다.
또한, 슬리브(3a)에는, 플레이트(3b)의 외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주벽(3a1)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리브(3a)와 플레이트(3b)는, 플레이트(3b)의 상면 및 외주면이, 각각 슬리브(3a)의 하면 및 주벽(3a1)의 내주면과 접촉한다(이러한 종래의 모터의 구조의 예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2006-136180 호
여기서, 플레이트(3b)의 상면의 외주연에는, 플레이트(3b)의 깨짐을 방지하기 위해서 원주 형상의 면취가공이 실시된다. 이 때문에, 플레이트(3b)의 상면과 슬리브(3a)의 하면 및 주벽(3a1) 사이에는, 원주 형상의 간격(5)이 형성된다. 또한, 이 간격(5)에는, 공기가 개재한다. 그 때문에, 간격(5)의 공기가, 플레이트(3b)의 상면 및 슬리브(3a)의 하면의 협소한 극간을 지나, 슬리브(3a)의 내주면과 샤프트(2a)의 외주면 사이에 들어가 버리는 가능성이 있다. 또한, 간격(5)의 공기가 복수 결합해 버려, 큰 기포로서, 슬리브(3a)의 내주면과 샤프트(2a)의 외주면 사이에 존재해 버리는 가능성이 있다. 이에 따라, 슬리브(3a)의 내주면과 샤프트(2a)의 외주면 사이에, 윤활제(4)가 개재하지 않는 부분이 형성되어 버린다. 그 결과, 슬리브(3a)의 내주면과 샤프트(2a)의 외주면이 직접 접촉해버리기 때문에, 눌어붙어버리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감안해서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샤프트와 슬리브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저감함으로써 눌어붙어버리는 것을 방지하는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 및 이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의하면, 축받이 유닛으로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대략 통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대략 평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에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대략 평행한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직경방향으로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축방향의 간격을 가지는 제 2 면을 가지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하는 대략 원환 형상 또는 대략 원호 형상의 내주벽부와, 상기 제 2 면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면에 대하여 상기 제 2 면보다 하측으로 대략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외주벽부에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 2 면사이의 축방향 간격을 통해서 상기 내주벽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과 상기 외주벽부는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에 따르면,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축받이 내부의 공간을 연통할 수 있으므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 내부의 기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의하면, 축받이 유닛으로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연장하는 연통 구멍이 마련되는 대략 원통 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에는, 상기 하면에 형성된 상기 연통 구멍과 직경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 구멍과 둘레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대략 원호 형상의 내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대략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원환 형상의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2에 따르면,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축받이 내부의 공간을 연통할 수 있으므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 내부의 기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의하면, 축받이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대략 통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대략 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에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내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대략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의 직경방향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 오목한 환상의 상측 오목부를 가지고, 상기 외주벽부와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되어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의 둘레 방향의 일부에는 직경방향을 따라서 연장하는 하측을 향해 오목한 상면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상면 오목부는 상기 내주벽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과 상기 외주벽부를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3에 따르면,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축받이 내부의 공간을 연통할 수 있으므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외부에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 내부의 기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의하면,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축받이 부재의 상면은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하는 경사면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4에 따르면, 연통 구멍과 상면 사이에 경사면이 형성되는 것에 의해, 상면측에 연통 구멍의 가공에 의해 버(burr) 등이 발생하여도,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버 등을 제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의 외면은,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5에 따르면, 내주벽부의 외면에 경사면이 형성됨으로써, 플레이트와 접촉하는 내주벽부의 직경방향으로의 면적을 작게 함과 동시에 내주벽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접촉면적을 작게 함으로써, 상기 내주벽부의 하면의 평면도에 기인하는 플레이트의 경사를 저감해서 축받이 부재에 대해서 플레이트를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6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면을 가지는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름 확대부의 외연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의하면, 축받이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대략 통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대략 평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에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해서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내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고 대략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를 가지고, 상기 외주벽부에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되고, 상기 내주벽부와 상기 플레이트 사이에는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공간과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공간을 직경방향으로 연통하는 간격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7에 따르면,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과 축받이 내부의 공간을 연통할 수 있으므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 내부의 기포가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의 눌어붙음을 방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의하면,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및 청구항 7 중의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가지는 회전부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를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8에 따르면,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 사이에서 눌어붙음이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이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의하면,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접착제로 고정되고,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외주면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부위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거쳐서 대향하고,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9에 따르면, 축받이 부재와 하우징의 고정 강도를 향상시킨 모터를 제공 할 수 있다. 특히, 연통 구멍이 축받이 부재 내측에 마련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 때, 연통 구멍이 내주벽부를 관통하므로 내주벽부와 외주벽부 사이의 공기를 축받이 외부로 배출할 수 있기 때문에, 신뢰성의 높은 모터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의하면, 청구항 8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며, 상기 회전부에 탑재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액세스 기구와, 상기 액세스 기구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청구항 10에 따르면, 샤프트와 축받이 부재 사이에 눌어붙기가 발생하지 않는 신뢰성 높은 모터를 탑재하고 있으므로, 신뢰성의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샤프트와 슬리브 사이에 발생하는 기포를 저감함으로써, 눌어붙는 것을 방지하는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 및 이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각각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 및 배향은 상/하, 좌/우로서 설명되는데, 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구성요소의 위치관계나 배향을 나타내는 것으로, 실제 장치에 조립된 후의 구성요소의 위치관계 및 배향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또한, 후술하는 설명에서는, 축방향은 회전축에 평행한 방향을 나타내며, 직경방향은 회전축에 수직인 방향을 나타낸다.
<제 1 실시예의 모터의 구조>
본 발명의 모터의 구조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모터를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모터(10)는 소정의 중심축(J1)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24)를 포함하는 회전부(20)와, 로터 마그네트(24)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자기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32) 및 스테이터(32)를 유지하는 베이스(31)를 가지는 고정부(30)와, 회전부(20)와 고정부(30) 사이에 형성되는 축받이 기구(BR)를 구비한다.
회전부(20)는 중심축(J1)과 동일 축에 배치되고,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하는 샤프트(21)와, 샤프트(21)의 상부에 고정되어 피회전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부(224)를 가지는 로터 허브(22)와, 로터 허브(22)에 고정되는 로터 요크(23)와, 로터 요크(23)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네트(24)를 구비한다.
샤프트(21)는 대략 원주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샤프트(21)의 하단부는 샤프트(21)의 다른 부위와 비교해서 직경이 큰 지름 확대부(211)를 소유한다.
로터 허브(22)는, 샤프트(21)와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부(221)와, 샤프트 고정부(221)보다 축방향 하측에 형성되어 스테이터(32)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222)와, 덮개부(222)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원통부(223)와, 원통부(223)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함으로써 기록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가지는 탑재부(224)로 구성된다. 로터 허브(22)의 원통부(223)의 내주면에는, 자성체의 강판이 대략 원통 형상으로 형성된 로터 요크(23)가 고정된다. 그리고, 로터 요크(23)의 내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로터 마그네트(24)가 고정된다.
고정부(30)는 샤프트(2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축방향으로 관통한 내주면을 가지는 대략 원통 형상의 슬리브(33)와, 슬리브(33)의 내주면의 하측을 덮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34)와, 슬리브(33)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내주면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관통하는 유지 원통부(311)를 가지는 베이스(31)와, 베이스(31)의 유지 원통부(311)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스테이터(32)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슬리브(33)는 축받이 부재에 상당한다.
베이스(31)는 유지 원통부(311)와, 유지 원통부(311)로부터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원형의 오목부가 되는 원형 오목부(312)와, 원형 오목부(312)로부터 또한 직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는 평판부(313)를 구비한다. 원형 오목부(312)의 내주면은, 로터 허브(22)의 탑재부(224)의 외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원형 오목부(312)에 있어서, 로터 마그네트(24)의 하단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직경방향의 위치에는, 원환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요크(35)가 고정된다.
유지 원통부(311)의 외주부에는, 스테이터(32)를 탑재하는 원환 형상이며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인 스테이터 탑재면(3111)과, 스테이터 탑재면(3111)보다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고, 스테이터(32)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주면인 제 1 외주면(3112)과, 스테이터 탑재면(3111)보다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고 원형 오목부(312)와 연속하는 제 2 외주면 (3113)을 소유한다. 그리고, 제 1 외주면(3112)의 직경은 제 2 외주면(3113)의 직경보다도 작다.
스테이터(32)는 자성체의 얇은 판자로 이루어진 강판을 축방향으로 복수 적층해서 형성된, 스테이터(32)의 내주면을 형성하는 관통 구멍을 가지는, 스테이터 코어(321)와, 스테이터 코어(321)에 도전선을 복수층으로 감는 것에 의해서 형성되는 코일(322)로 구성된다. 그리고, 스테이터 코어(321)의 외주면은, 로터 마그네트(24)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스테이터(32)의 코일(322)에 전류를 통류하는 것에 의해서, 스테이터(32)의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자기장과 로터 마그네트(24)에 의해 회전자계를 형성함으로써 회전부(20)는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
<축받이 유닛의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모터(10)에 있어서 축받이 유닛(11)의 구조에 대해서, 도 2 내지 도 4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축받이 유닛(11)을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점선원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슬리브(33)를 하측으로부터 본 모식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모터(10)에 있어서 축받이 유닛(11)은, 샤프트(21), 슬리브(33) 및 플레이트(34)로 구성된다.
슬리브(33)는 샤프트(21)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주면(331)과, 샤프트(21)의 지름 확대부(211)를 수용하는 내주면(33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제 1 수용 오목부(332)와, 제 1 수용 오목부(332)보다 축방향 하측에 형성되어 플레이트(34)를 수용하는 제 1 수용 오목부(332)의 내주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내주면을 가지는 제 2 수용 오목부(333)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샤프트(21)의 지름 확대부(211)는, 제 1 수용 오목부(332)의 하면과 플레이트(34)의 상면은 각각 축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슬리브(33)의 내주면(331)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방사상 동압 발생 홈(3311)이 형성된다. 그리고 제 1 수용 오목부(332)의 하면 및 플레이트(34)의 상면에는, 스러스트 동압 발생 홈(33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33) 및 플레이트(34)와 샤프트(21)의 사이에는, 윤활제인 윤활유가 충전되어 있다. 샤프트(21)가 회전하는 것에 의해 방사상 동압 발생 홈(3311) 및 스러스트 동압 발생 홈(3321)에 발생한 동압에 의해, 샤프트(21)는 축방향 및 직경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다. 이들 방사상 동압 발생 홈(3311), 스러스트 동압 발생 홈(3321) 및 윤활유에 의해, 축받이 기구(BR)가 구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슬리브(33)의 제 2 수용 오목부(333)의 하면의 외주측에는 축방향 하측을 향해 돌출하는 내주벽부(3331)가 마련된다. 그리고, 제 2 수용 오목부(333)보다 직경방향 외측에는, 제 2 수용 오목부(333)의 하면에 대하여 수직하게 연장하는, 즉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주위면(3341)이 형성되는 외주벽부(334)가 마련된다.
플레이트(34)는 내주벽부(3331)의 하면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슬리브(33)에 대한 축방향의 높이를 결정한다. 그리고, 플레이트(34)는 외주벽부(334)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4)의 외주면은 외주벽부(334)의 주위면(3341)과 접촉하거나, 또는 작은 간격으로 이간하여 직경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플레이트(34)와 슬리브(33)는,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34)의 두께는 약 0.3㎜이다.
내주벽부(3331)는, 그 내주측에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하는 내측 경사면(3331a)과, 그 외주측에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외측 경사면(3331b)이 형성된다. 외측 경사면(3331b)은 주위면(3341)과 함께,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슬리브(33)의 제 2 수용 오목부(333)의 하면 사이에 축방으로 간격을 형성하는 상측으로 돌출하는 오목부(335)를 형성한다.
여기에서, 내측 경사면(3331a) 및 외측 경사면(3331b)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주벽부(3331)의 하면의 직경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4)와의 접촉 면적이 작아지는 것에 의해, 이 하면의 평면도(平面度)에 기인하는 플레이트(34)의 경사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리브(33)에 대하여 플레이트(34)를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내주벽부(3331)의 하면에 의해 플레이트(34)의 축방향의 위치를 미리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용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내주벽부(3331)의 하면은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접촉하는 제 1 면(3331c)과,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축방향으로 간격을 가지는 제 2 면(3331d)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플레이트(34)의 상면과 제 2 면(3331d)의 사이의 간격에 의해, 내주벽부(3331)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과, 오목부(335)와 플레이트(34)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을 연통한다. 이에 따라, 오목부(335)와 플레이트(34)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도 윤활유가 충전되게 되므로, 이 공간에 개재하는 공기는, 축받이 유닛(11)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따라서, 축받이 유닛(11)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의 발생에 의해 샤프트(21)와 슬리브(33)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눌어붙기를 방지하여,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슬리브(33)의 내주벽부(3331)에 제 2 면(3331d)을 마련하므로, 플레이트(34)측에 오목부 등의 슬리브(33)의 하면과의 간격을 마련하기 위한 형상을 마련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평판형상 등의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레이트(34)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축받이 유닛(11)의 축방향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도 1을 참조하면, 외주벽부(334)는, 베이스(31)의 유지 원통부(331)의 내주면과 고정되는 슬리브(33)의 외주면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즉, 외주벽부(334)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의 내주면의 사이에는 직경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33)와 베이스(31)는 접착제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외주벽부(334)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직경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간격에 접착제를 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31)에 대하여 슬리브(33)를 바싹 당기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31)에 대하여 슬리브(33)를 정밀도 좋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의 유지 원통부(311)의 내주면과 슬리브(33)의 외주면과의 사이의 접착제의 나머지는, 외주벽부(334)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의 내주면의 사이에 고인다.
<제 2 실시예의 모터의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모터의 제 2 실시예에 대해서,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모터를 축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또한, 도 5에 있어서, 동일한 형상의 부재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로 나타내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다른 형상의 부재에 대해서는 도면부호의 뒤에 기호 'a'를 부기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모터(10a)는, 소정의 중심축(J1)의 주위를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24a)를 포함하는 회전부(20a)와, 로터 마그네트(24a)와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고, 자기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32) 및 스테이터(32)를 유지하는 베이스(31a)를 가지는 고정부(30a)와, 회전부(20a)와 고정부(30a) 사이에 형성되는 축받이 기구(BRa)를 구비한다.
회전부(20a)는 중심축(J1)과 동축으로 배치되고,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하는 샤프트(21a)와, 샤프트(21a)의 상부에 고정되어, 피회전 부재(본 실시예에서는 기록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부(224a)를 가지는 로터 허브(22a)와, 로터 허브(22a)에 고정되는 로터 마그네트(24a)를 구비한다.
로터 허브(22a)는 샤프트(21a)와 고정되는 샤프트 고정부(221a)와, 샤프트 고정부(221a)보다 축방향 하측에 형성되어, 스테이터(32)의 상측을 덮는 덮개부(222a)와, 덮개부(222a)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외측 원통부(223a)와 덮개부(222a)의 직경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기록 디스크를 탑재하는 탑재면을 가지는 탑재부(224a)와, 외측 원통부(223a)보다 직경방향 내측, 또한 슬리브(33a)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형성되는 내측 원통부(225)로 구성된다. 로터 허브(22a)의 원통부(223a)의 내주면에는 원통 형상의 로터 마그네트(24a)가 고정된다. 또한, 내측 원통부(225)에는, 슬리브(33a)의 외면의 일부와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20a)의 축방향 상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빠짐 방지 부재(25)가 고정된다.
고정부(30a)는 샤프트(21a)의 외주면과 대향하고 축방향으로 관통한 내주면을 가지는 대략원통 형상의 슬리브(33a)와, 슬리브(33a)의 내주면의 하측을 덮는 원판형상의 플레이트(34a)와, 슬리브(33a)의 외주면을 고정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축방향으로 관통한 유지 원통부(311a)를 가지는 베이스(31a)와, 베이스(31a)의 유지 원통부(311a)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내주면을 가지는 스테이터(32)를 구비한다.
베이스(31a)에 있어서, 로터 마그네트(24a)의 하단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직경방향의 위치에는, 원환 형상의 자성체로 형성된 요크(35)가 고정된다.
유지 원통부(311a)의 외주부에는, 스테이터(32)를 탑재하는 원환 형상이며 직경방향으로 연장하는 평면인 스테이터 탑재면(3111a)과, 스테이터 탑재면(3111a)보다 축방향 상측으로 연장하고, 스테이터(32)의 내주면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는 외주면인 제 1 외주면(3112a)과, 스테이터 탑재면(3111a)보다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제 2 외주면(3113a)을 소유한다. 또한, 유지 원통부(311a)의 내측에는, 로터 허브(22a)의 내측 원통부(225)가 직경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스테이터(32)의 코일(322)에 전류를 통류하는 것에 의해, 스테이터(32)의 주위에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이 자기장과 로터 마그네트(24a)에 의해 회전자계를 형성함으로써 회전부(20a)는 중심축(J1)을 중심으로 하는 회전 구동력을 얻는다.
<축받이 유닛의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의 모터(10a)에 있어서 축받이 유닛(11a)에 대해서, 도 6 내지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5의 축받이 유닛(11a)을 나타내며 축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점선원의 확대도이다. 도 8은 도 5의 슬리브(33a)를 하측에서 본 모식 평면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모터(10a)에 있어서 축받이 유닛(11a)은 샤프트(21a), 로터 허브(22a), 슬리브(33a), 및 플레이트(34a)로 구성된다.
슬리브(33a)는 샤프트(21a)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내주면(331a)과, 슬리브(33a)의 하면과 하면의 외주부로부터 축방향 하측을 향해 연장하는 주위면(3341a)을 가지는 외주벽부(334a)를 구비한다. 또한, 슬리브(33a)에는, 슬리브(33a)의 상면측 및 하면측을 연통하는 연통 구멍(336)이 마련된다. 연통 구멍(336)과 슬리브(33a)의 상면과의 사이에는, 축방향 상측을 향해 연통 구멍(336)의 직경을 확대하는 지름 확대부(3361)가 형성된다. 특히 본 실시예의 연통 구멍(336)은, 슬리브(33a)의 하면측에서 상면측을 향해서 절삭함으로써 마련된다. 또한, 지름 확대부(3361)도 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이 지름 확대부(3361)는, 연통 구멍(336)이 되는 관통 구멍을 형성한 후에 슬리브(33a)의 상면측에서 절삭에 의해 형성된다. 여기에서, 연통 구멍(336)이 되는 관통 구멍을 절삭으로 형성하기 때문에, 관통 구멍의 상면측에는 버(burr) 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그러나, 지름 확대부(3361)를 절삭으로 형성하는 것에 의해 관통 구멍의 상면측에 버(burr) 등이 발생하더라도 지름 확대부(3361)를 형성함과 동시에 버(burr) 등도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신뢰성의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슬리브(33a)의 상면과 로터 허브(22a)의 덮개부(222a)의 하면은, 축방향으로 미소 간격을 두고 대향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슬리브(33a)의 상면으로부터 연속하는 외주면은, 축방향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337)이 형성된다. 이 경사면(337)과 직경방향으로 대향하게 로터 허브(22a)의 내측 원통부(225)가 배치된다.
경사면(337)의 하측에는, 경사면(337)과 연속하고 직경방향을 향하는 환상의 평면(338)과, 베이스(31a)에 고정되는 외주면이 형성된다. 이 평면(338)은 빠짐 방지 부재(25)의 상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해서 배치된다. 그리고, 빠짐 방지 부재(25)는 평면(338)에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전부(20a)의 축방향으로의 이동을 규제한다.
또한, 슬리브(33a)의 내주면(331a)에는 축방향으로 이격된 2개의 방사상 동압 발생 홈(3311a)이 형성된다. 그리고, 슬리브(33a)의 상면에 있어서 연통 구멍(336)보다 직경방향 외측에는, 스러스트 동압 발생 홈(3321a)이 형성된다. 또한, 내주면(331a)의 하측을 덮도록 플레이트(34a)가 슬리브(33a)에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슬리브(33a)와 플레이트(34a), 샤프트(21a) 및 로터 허브(22a)의 사이에는 윤활제인 윤활유가 충전되어 있다. 그리고, 경사면(337)과 내측 원통부(225)의 직경방향 사이에도 윤활유가 개재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슬리브(33a)의 하면의 외주측에는 축방향 하측으로 연장하는 내주벽부(339)가 형성된다. 내주벽부(339)에는, 그 내주측에 직경방향 외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하는 내측 경사면(3391)과, 그 외주측에 직경방향 내측을 향해 축방향 하측으로 경사하는 외측 경사면(3392)이 형성된다. 그리고, 외측 경사면(3392)과 주위면(3341a)의 사이에서 축방향 상측에 움푹 패인 오목부(335a)가 형성된다.
플레이트(34a)의 상면은 내주벽부(339)의 하면과 접촉함으로써, 슬리브(33a)의 하면에 대한 축방향의 위치를 결정한다. 그리고, 플레이트(34a)는 외주벽부(334a)내에 삽입된다. 따라서, 플레이트(34a)의 외주면은, 외주벽부(334a)의 주위면(3341a)과 접촉하거나 혹은, 작은 간격을 두고 직경방향으로 대향한다. 또한, 플레이트(34a)와 슬리브(33a)는, 예를 들면,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된다. 또한, 본 실시예의 플레이트(34)의 두께는 약 0.3㎜이다.
여기에서, 내측 경사면(3391) 및 외측 경사면(3392)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내주벽부(339)의 하면의 직경방향의 폭을 작게 할 수 있다. 따라서, 플레이트(34a)와 내주벽부(339)의 하면의 접촉 면적이 작아짐에 따라, 이 하면의 평면도에 기인하는 플레이트(34a)의 경사를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슬리브(33a)에 대하여 플레이트(34a)를 고정밀도로 장착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내주벽부(339)의 하면에 의해 플레이트(34a)의 축방향의 위치를 미리 고정밀도로 결정할 수 있으므로, 레이저 용접을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다.
또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연통 구멍(336)은 슬리브(33a)의 하면에 있어서 내주벽부(339)와 직경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개구한다. 이에 따라, 연통 구멍(336)이 형성되는 둘레 방향의 위치에는, 내주벽부(339)가 형성되지 않는다. 즉, 내주벽부(339)는 대략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다. 여기에서, 연통 구멍(336)의 직경의 크기는 내주벽부(339)의 직경방향의 길이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된다. 이 연통 구멍(336)과 연통 구멍(336)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플레이트(34a)의 상면 사이의 간격은, 내주벽부(339)보다 직경방향 내측, 내주벽부(339)보다 직경방향 외측, 즉 오목부(335a)와 플레이트(34a)의 상면과 둘러싸여진 공간을 연통한다. 이에 따라, 오목부(335a)와 플레이트(34a)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도 윤활유가 충전되게 되므로, 이 공간에 개재하는 공기는 축받이 유닛(11a)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따라서, 축받이 유닛(11a) 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의 발생에 의해 샤프트(21a)와 슬리브(33a)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눌어붙기를 방지하기 때문에 신뢰성이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연통 구멍(336)이 내주벽부(339)와 직경방향으로 대략 동일한 위치에 개구하고, 그 부분에 내주벽부(339)가 형성되지 않으므로, 플레이트(34a)측에 오목부 등의 슬리브(33a)의 하면의 간격을 마련하기 위한 형상을 마련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플레이트(34a)를 평판형상 등의 단순한 형상으로 할 수 있다. 그 결과, 플레이트(34a)의 두께를 얇게 할 수 있고, 따라서 축받이 유닛(11a)의 축방향의 소형화를 실현할 수 있다.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외주벽부(334a)는 베이스(31a)의 유지 원통부(311a)의 내주면과 고정되는 슬리브(33a)의 외주면에서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된다. 즉, 외주벽부(334a)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a)의 내주면과의 사이에는 직경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된다. 또한, 슬리브(33a)와 베이스(31a)는 접착제로 고정된다. 여기에서, 외주벽부(334a)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a)의 내주면의 사이에 직경방향으로 간격이 형성되기 때문에, 이 간격에 접착제를 모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베이스(31a)에 대하여 슬리브(33a)를 바싹 당기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베이스(31a)에 대하여 슬리브(33a)를 정밀도 좋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31a)의 유지 원통부(311a)의 내주면과 슬리브(33a)의 외주면 사이의 접착제의 나머지는, 외주벽부(334a)의 외주면과 유지 원통부(311a)의 내주면 사이에 고인다. 특히, 연통 구멍(336)이 내주벽부(339)와 직경방향의 대략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기 때문에, 외주벽부(334a)를 슬리브(33a)의 외주면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연통 구멍(336)과 내주벽부(339)가 직경방향으로 다른 위치에 각각 마련되었을 경우, 연통 구멍(336) 및 내주벽부(339)를 각각 마련하는 공간이 필요로 되기 때문에, 축받이 유닛(11a)이 직경방향으로 커져버린다. 또한, 오목부(335a)와 플레이트(34a)의 상면 사이의 공간에 개재하는 공기를 축받이 유닛(11a)의 외측으로 내보내기 위해서, 내주벽부(339)의 일부에 내주벽부(339)보다 직경방향 내측의 공간과 오목부(335a)와 플레이트(34a)의 상면 사이의 공간을 연통하는 간격을 마련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러나, 연통 구멍(336)과 내주벽부(339)를 직경방향으로 대략 동일 위치에 형성함으로써, 축받이 유닛(11a)의 직경방향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는 동시에, 연통 구멍(336)에 의해 내주벽부(339)보다 직경방향 내측의 공간과 오목부(335a)와 플레이트(34a)의 상면과의 공간을 연통하는 간격을 마련할 수 있으므로, 형상을 단순화할 수 있다.
<다른 축받이 유닛의 구조>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의 다른 축받이 유닛의 구조에 대해서, 도 9 및 도 10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축받이 유닛의 구조를 축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플레이트(34b)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9 및 도 10은 도 2에 있어서 플레이트(34) 및 슬리브(33)의 구조를 일부 변경한 것이다. 이하, 도 2로부터의 변경점을 기재하고 그 밖의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를 참조하면, 슬리브(33b)의 내주벽부(33b1)는 환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내주벽부(33b1)의 하면은 플레이트(34b)의 상면에 접촉한다. 또한, 도 10을 참조하면, 플레이트(34b)에는 직경방향으로 연장하고 축방향 하측으로 움푹 패인 상면 오목부(34b1)가 형성된다. 이 상면 오목부(34b1)는 내주벽부(33b1)보다 직경방향 내측으로부터, 내주벽부(33b1)보다 직경방향 외측까지 연장한다. 이에 따라, 상면 오목부(34b1)의 상면과 내주벽부(33b1)의 축방향의 간격은 내주벽부(33b1)보다 직경방향 내측과 오목부(335)와 플레이트(34b)의 상면에 둘러싸여진 공간을 연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목부(335)와 플레이트(34b)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에도 윤활유가 충전되게 되므로, 이 공간에 개재하는 공기는, 축받이 유닛(11b)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따라서, 축받이 유닛(11b)내의 기포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기포의 발생에 의해 샤프트(21)와 슬리브(33b)가 직접 접촉함으로써 발생하는 눌어붙기를 방지하기 때문에 신뢰성의 높은 축받이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크 구동 장치>
다음에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조에 대해서, 도 1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며, 축방향으로 자른 모식 단면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디스크 구동 장치(50)는, 직사각형형상의 하우징(51)을 소유한다. 그리고 하우징(51)의 내부는, 쓰레기·먼지 등이 극도로 적은 깨끗한 공간을 형성하고 있다. 그 내부에는, 정보를 기록하는 원판형상의 기록 디스크인 하드 디스크(52)가 장착된 모터(54)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51)의 내부에는, 하드 디스크(52)에 대하여 정보를 읽고 쓰는 액세스 기구(53)가 배치된다. 이 액세스 기구(53)는 하드 디스크(52)상의 정보를 읽고 쓰는 자기 헤드(531), 이 자기 헤드(531)를 지탱하는 암(532) 및 자기 헤드(531) 및 암(532)을 하드 디스크(52)상의 소정의 위치에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533)로 구성된다.
이러한 디스크 구동 장치(50)의 모터(54)로서, 본 발명의 모터(10, 10a)를 적용함으로써, 축받이 유닛(11, 11a)내에 기포가 발생하기 어려운 모터를 탑재하기 때문에 신뢰성의 높은 디스크 구동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 기재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일없이, 특허청구의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리브(33, 33a, 및 33b)가 일부재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동압 발생 홈이 형성되는 부분을 다른 부재로 형성해도 좋다. 특히, 이 별도의 부재는 소결 재료로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연통 구멍(336)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연통 구멍(336)이 축방향 상측을 향하고 직경방향 외측으로 경사한 형상이여도 좋다. 그 경우, 스러스트 동압 발생 홈(3312a)은 연통 구멍(336)보다 직경방향 내측으로 형성된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주벽부(3331)에 제 1 면(3331c) 및 제 2 면(3331d)을 마련하는 구성, 또는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플레이트(34b)의 상면에 상면 오목부(34b1)를 마련하는 구성이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상기의 2개의 구성을 병용해도 좋다.
또한, 예를 들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슬리브(33, 33a)와 플레이트(34, 34a)는 각각 레이저 용접에 의해 고정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코킹 접착제에 의해 고정되어도 좋다.
도 1은 본 발명의 모터의 제 1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축받이 유닛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점선원의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슬리브를 하측에서 본 모식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모터의 제 2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축받이 유닛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7은 도 6의 점선원의 확대도,
도 8은 본 발명의 슬리브를 하측에서 본 모식 평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축받이 유닛의 제 1 실시예의 변형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10은 도 9의 플레이트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하측에서 본 평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디스크 구동 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 12는 종래의 모터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축방향으로 절단한 모식 단면도.
도면에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10a : 모터 11, 11a, 11b : 축받이 유닛
20, 20a : 회전부 21, 21a : 샤프트
211 : 지름 확대부 22, 22a : 로터 허브
24, 24a : 로터 마그네트 30, 30a : 고정부
31, 31a : 베이스(하우징) 311, 311a : 유지 원통부
32 : 스테이터 33, 33a : 슬리브(축받이 부재)
331, 331a : 내주면 332 : 제 1 수용 오목부
333 : 제 2 수용 오목부 3331, 339 : 내주벽부
3331a, 3391 : 내측 경사면 3331b, 3392 : 외측 경사면(경사면)
3331c : 제 1 면 3331d : 제 2 면
334, 334a : 외주벽 3341, 3341a : 주위면
335 : 오목부 336 : 연통 구멍
3361 : 지름 확대부 50 : 디스크 구동 장치
53 : 액세스 기구 533 : 액추에이터부

Claims (11)

  1. 축받이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이 마련되는 통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평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평행한 제 1 면과, 상기 제 1 면과 직경방향으로 동일하게 형성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축방향의 간격을 가지는 제 2 면을 가지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하는 원환 형상 또는 원호 형상의 내주벽부와,
    상기 제 2 면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제 2 면에 대하여 상기 제 2 면보다 하측으로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와의 직경방향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 오목한 환상의 상측 오목부를 구비하고,
    상기 외주벽부에 상기 플레이트는 고정되고,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상기 제 2 면 사이의 축방향의 간격을 통해서, 상기 내주벽부로부터 직경방향 내측과 상기 상측 오목부와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은 연통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2. 축받이 유닛에 있어서,
    소정의 중심축과 동일 축에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가 삽입되어 축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관통 구멍과, 상기 관통 구멍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상면으로부터 하면까지 연장하는 연통 구멍이 마련되는 원통 형상의 축받이 부재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축방향 하측에 고정되어 상기 관통 구멍의 축방향 하측을 덮는 판형상의 플레이트와, 상기 샤프트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내주면 사이에 채워지는 윤활제를 구비하고,
    상기 축받이 부재는,
    상기 하면에 형성된 상기 연통 구멍과 직경방향으로 동일한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연통 구멍과 둘레 방향으로 다른 위치에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으로부터 축방향 하측으로 돌출하여 상기 플레이트의 상면과 접촉하는 원호 형상의 내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축방향을 따라 연장하는 원환 형상의 주위면을 가지는 외주벽부와,
    상기 내주벽부와 상기 외주벽부와의 직경방향의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내주벽부의 하단부로부터 축방향 상측을 향해 오목한 환상의 상측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3. 삭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과 상기 축받이 부재의 상면은 상측을 향해 지름이 확대하는 경사면에 의해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내주벽부의 외면은 하측을 향해 직경방향 내측으로 경사하는 경사면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축받이 부재의 하면과 축방향으로 대향하는 상면을 가지는 지름 확대부가 형성되고, 상기 지름 확대부의 외연은 상기 내주벽부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기재된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하는 로터 마그네트를 가지는 회전부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외주면을 유지하는 내주면을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고정되어 상기 로터 마그네트와 대향하는 자기장을 발생하는 스테이터를 가지는 고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축받이 부재와 상기 하우징은 접착제로 고정되고,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은, 상기 축받이 부재의 외주면보다 직경방향 내측에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에 있어서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과 대향하는 부위에서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에 대하여 직경방향으로 간격을 거쳐서 대향하고, 상기 외주벽부의 외주면과 상기 하우징의 내주면 사이에는 접착제가 모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10. 제 8 항에 기재된 모터를 탑재한 디스크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에 탑재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에 정보를 기록 재생하는 액세스 기구와,
    상기 액세스 기구를 이동시키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크 구동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구멍의 크기는 상기 내주벽부의 직경방향의 길이보다도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받이 유닛.
KR1020080069703A 2007-07-19 2008-07-17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 KR10097007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7188264A JP2009024771A (ja) 2007-07-19 2007-07-19 軸受ユニット、およびこの軸受ユニットを搭載したモータ並びにディスク駆動装置
JPJP-P-2007-00188264 2007-07-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09134A KR20090009134A (ko) 2009-01-22
KR100970077B1 true KR100970077B1 (ko) 2010-07-16

Family

ID=40264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69703A KR100970077B1 (ko) 2007-07-19 2008-07-17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090022436A1 (ko)
JP (1) JP2009024771A (ko)
KR (1) KR1009700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79323B1 (ko) * 2011-02-24 2012-09-03 삼성전기주식회사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모터
TWI534358B (zh) * 2013-03-26 2016-05-21 建準電機工業股份有限公司 具有徑向氣隙馬達之薄型散熱風扇及其馬達尺寸選用方法
US10291089B2 (en) * 2016-06-07 2019-05-14 Nidec Corporation Motor and disk drive apparatu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838A (ja) * 2000-03-27 2001-10-05 Nippon Densan Corp 動圧流体軸受装置及び電動機
JP2004324834A (ja) * 2003-04-28 2004-11-18 Sankyo Seiki Mfg Co Ltd 軸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JP2006136180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6200573A (ja) * 2005-01-18 2006-08-03 Nippon Densan Corp 流体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84001006A1 (en) * 1982-09-02 1984-03-1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Dynamic pressure type of fluid bearing device
JP4338359B2 (ja) * 2002-06-11 2009-10-07 日本電産株式会社 動圧軸受装置
JP3828457B2 (ja) * 2002-06-13 2006-10-04 日本電産株式会社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これを備えたディスク駆動装置
US6920013B2 (en) * 2003-11-07 2005-07-19 Nidec Corporation Disk drive spindle motor with radial inward thrust area annular protruding portion and bearing member communicating passag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1838A (ja) * 2000-03-27 2001-10-05 Nippon Densan Corp 動圧流体軸受装置及び電動機
JP2004324834A (ja) * 2003-04-28 2004-11-18 Sankyo Seiki Mfg Co Ltd 軸受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モータ
JP2006136180A (ja) * 2004-11-09 2006-05-25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6200573A (ja) * 2005-01-18 2006-08-03 Nippon Densan Corp 流体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090022436A1 (en) 2009-01-22
KR20090009134A (ko) 2009-01-22
JP2009024771A (ja) 2009-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593182B2 (en) Recording disk driving device motor unit having a sheet member attached to a base
JP2006226388A (ja) 軸受機構、軸受機構を用いた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スピンドルモータを搭載し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US7401979B2 (en) Dynamic pressure bearing device
JP5519314B2 (ja) 回転機器
JP2006296079A (ja) 薄型スピンドルモータ
JP2007073164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080012443A1 (en) Motor an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CN102386738B (zh) 包含肋部的主轴电机和盘片驱动装置
JP2009008200A (ja) 流体軸受装置およびスピンドルモータ
JP5369939B2 (ja) スピンドル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US7511398B2 (en) Motor and recording disk driving device
US20070183698A1 (en) Fluid dynamic bearing, spindle motor, disk drive, and manufacturing method of fluid dynamic bearing
JP2006046604A (ja) 動圧流体軸受装置、モータ及びディスク駆動装置
KR100970077B1 (ko) 축받이 유닛 및 축받이 유닛을 탑재한 모터 및 디스크 구동장치
US7063463B2 (en) Conical hydrodynamic bearing device and a recording disk drive equipped with it,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conical hydrodynamic bearing device
JP2006353058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該スピンドルモータを搭載した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6170431A (ja) 流体動圧軸受装置およびこの動圧軸受装置を搭載したスピンドルモータ並びに記録ディスク駆動装置
JP2006107629A (ja) スピンドルモータおよびディスク駆動装置
JP5306086B2 (ja) ディスク駆動装置
US9047910B2 (en) Spindle motor and hard disk drive including the same
JP2012165627A (ja) 回転機器
JP2003274602A (ja) スピンドルモータ
US20150084463A1 (en) Bearing mechanism, spindle motor including the bearing mechanism and electronic equipment including the spindle motor
JP2005337341A (ja) 動圧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モータ
WO2004077643A1 (ja) 動圧気体軸受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