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917B1 - 사출성형장치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917B1
KR100969917B1 KR1020080070933A KR20080070933A KR100969917B1 KR 100969917 B1 KR100969917 B1 KR 100969917B1 KR 1020080070933 A KR1020080070933 A KR 1020080070933A KR 20080070933 A KR20080070933 A KR 20080070933A KR 100969917 B1 KR100969917 B1 KR 1009699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sh block
core
movable core
injection molding
mold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709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0091A (ko
Inventor
유성근
하성호
유성철
강성오
Original Assignee
유성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근 filed Critical 유성근
Priority to KR10200800709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917B1/ko
Publication of KR20100010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0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9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9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40Removing or ejecting moulded articles
    • B29C45/4005Ejector constructions; Ejector operating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36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 B29C2045/363Moulds having means for locating or centering cores using a movable core or core pa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1753Cleaning or purging, e.g. of the injection un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사출금형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성형을 위한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 코어 및 고정 코어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을 코어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푸시블럭을 구비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숄더부재를 구비하여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를 연장함으로써 구동프레임에서 해체하거나 푸시블럭을 코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도 빨라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사출성형장치{Injection mol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는 데 사용되는 사출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은 경량이며, 경제성, 가공성, 내식성 등 각종 특성이 우수한 재료이기 때문에 전기, 기계, 자동차 등의 온갖 공업적 용도로부터 일용품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들 각종 플라스틱 제품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통상 철 및 그 금속합금 재료로 제작된 금형(다이)을 구비한 사출성형장치가 사용된다.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텔레비전의 전면 패널(1)을 사출 성형하기 위해서는 상호 대향 배치되는 구동프레임 내에 상하부 금형이 각각 마련되고, 두 금형의 접촉 영역에는 사출성형 공간(캐비티)인 코어가 마련되어 있다. 코어에는 노즐스프루가 연결되어 있어서, 노즐스프루를 통해 용융된 수지를 코어에 압입시키면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주입된 용융수지가 점차적으로 응고되면서 사출물을 형성하게 된다. 사출물은 코어에 마련되는 푸시블럭을 이용하여 취출된다.
제품을 취출하기 위한 푸시블럭은 제품 성형 시에는 코어에 매입되어 있으며 제품 취출 시에는 코어로부터 소정거리 인출된다.
그런데 사출 성형을 하다 보면 코어에 주입된 용융수지 중 일부가 넘쳐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 공간으로 유입되거나 또는 먼지 및 가스가 푸시블럭 매입 공간에 쌓이는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용융수지, 먼지, 가스 등의 이물질은 사출 성형 시 제품 불량을 초래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제거해야 한다.
푸시블럭의 인출거리는 실질적으로 코어로부터 약 100mm 정도에 불과하기 때문에, 종래에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 공간을 청소하기 위해서는 금형 전체를 구동프레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게다가, 금속 재질의 푸시블럭 및 코어는 기본적으로 상당한 중량을 가지기 때문에 청소를 자주 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의 이물질 제거가 용이한 사출금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성형을 위한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 코어 및 고정 코어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을 코어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푸시블럭을 구비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한 숄더부재를 더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코어와 푸시블럭 사이에 개재되어 코어로부터 인출되는 푸시블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볼트를 더 구비하고, 숄더부재는 가이드볼트를 대체하여 조립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코어는 푸시블럭을 코어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밀판과 이젝트핀을 더 구비하고, 숄더부재에 의한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는 밀판의 이동거리보다 길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형을 위한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 코어 및 고정 코어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가동 코어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가동 코어에 밀판과 이젝트핀과 푸시블럭을 구비하는 사출성형장치에 있어서,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는 밀판의 이동거리보다 긴 사출성형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가동 코어와 푸시블럭 사이에 개재되어 코어로부터 인출되는 푸시블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볼트와,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한 숄더부재를 더 구비하되, 숄더부재는 가이드볼트를 대체하여 조립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에 따르면 성형을 위한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 코어 및 고정 코어를 구비하며, 사출 성형된 제품을 상기 가동 코어로부터 취출하기 위해 상기 가동 코어에 밀판과 이젝트핀과 가이드볼트와 푸시블럭을 구비하는 사출성형장치에서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를 밀판의 이동거리보다 연장시키기 위해 상기 가이드볼트와 대체해서 설치되는 숄더볼트가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사출금형장치는 푸시블럭의 인출거리를 숄더부재로 연장함으로써 구동프레임에서 해체하거나 푸시블럭을 코어로부터 분리하지 않고도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을 청소할 수 있기 때문에 이물질 제거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작업 속도도 빨라 작업효율을 현저하게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사출물 금형은 도 1에 도시한 텔레비전의 전면 패널(1)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사출성형장치는 서로 대향하는 금형 고정판(2,3) 사이에 마련되는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상부 금형(10) 및 위치가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하부 금형(20)을 구비한다. 하부 금형(20)의 이동에 의해 서로 근접하게 되는 각 금형(10,20)의 접촉면에는 성형공간을 형성하는 고정 코어(cavity core)(12)와 가동 코어(main core)(22)가 각각 마련된다. 코어(12,22)가 상호 접촉한 상태에서 상부 금형(10)의 고정 코어(12)에 연결되어 있는 노즐스프루(14)를 통해 용융수지가 코어(12,22) 사이로 압입된 후 냉각되면 플라스틱 제품의 사출 성형이 완료된다.
한편, 금형 고정판(3)과 하부 금형(20) 사이에는 성형 후 하부 금형(20)의 가동 코어(22)로부터 사출물을 취출하기 위한 밀판(30)이 마련된다. 밀판(30)은 고정판(3)의 중앙측에 설치되며, 양단부측에는 밀판(30)의 이동 거리를 지지 및 제한하는 스페이서(32)가 설치된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하부 금형 고정판(3)의 후방 에는 하부 금형(20)을 이동시키기 위한 구동프레임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가동 코어(22)에는 사출물을 코어(22)로부터 취출하기 위한 푸시블럭(40)이 마련된다. 푸시블럭(40)은 장방형의 프레임이며(도 3 참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금형(20) 내에 마련되는 밀판(30)과 금형(20)을 가로지르는 이젝터핀(34)을 통해 연결되어 가동 코어(22)으로부터 취출된다. 푸시블럭(40)은 성형 시에는 가동 코어(22)에 매입되어 있으며, 제품 취출 시에는 가동 코어(22)로부터 인출된다.
또한 가동 코어(22)와 푸시블럭(40)의 사이에는 푸시블럭(40)의 이동을 안내하기 위한 가이드볼트(42)가 마련된다. 가이드볼트(42)는 적어도 복수개가 가동 코어(22)의 테두리에 마련된다(도 3 참조).
통상적인 푸시블럭(40)의 이동거리는 100mm이다. 이러한 거리는 푸시블럭(40)이 매입되어 있는 가동 코어(22)의 푸시블럭 매입공간(S)에 용융수지, 먼지, 가스 등의 이물질이 낄 경우 이를 제거하기 위한 작업자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거리이다. 특히, 상술한 바와 같이 이물질 제거를 위해 상당한 중량이 나가는 금속 재질의 금형(10,20) 전체를 분리 및 해체하는 것은 작업 시간 및 효율을 현저하게 떨어뜨리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가동 코어(22)와 푸시블럭(40) 사이에 푸시블럭(40)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키기 위한 숄더부재(50)를 구비한다. 숄더부재(50)는 헤더(52)와 바디(54)로 이루어진다. 헤드(52)는 푸시블럭(40)의 최대 이동거리를 제한하며, 바디(54)는 푸시 블럭(40)을 관통하여 숄더부재(50)를 가동 코어(22)에 고정시킨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숄더부재(50)는 상기 가이드볼트(42)의 자리를 대체하여 가동 코어(22)와 체결될 수 있다. 즉, 숄더부재(50)는 가이드볼트(42)와 동일한 형태를 가지되, 길이가 350mm 정도로 더 길게 마련하여 가동 코어(22)의 푸시블럭 매입공간(S)의 청소가 필요할 경우 가이드볼트(42)를 빼내고 그 자리에 숄더부재(50)를 설치하여 푸시블럭(40)의 이동거리를 연장시킨다. 이러한 구성은 금형(10,20) 특히 푸시블럭(40)의 해체 없이 가동 코어(22)의 푸시블럭 매입공간(S) 청소가 가능하기 때문에 작업 시간을 효과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나아가 청소 주기를 당겨 금형의 청결 상태를 항상 유지할 수 있다. 여기서, 본 실시예에서는 숄더부재(50)가 가이드볼트(42)를 대체하여 가동 코어(22)와 체결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푸시블럭(40)에 관통공을 추가하고 가동 코어(22)에는 새로운 나선결합부를 추가하여 숄더부재(50)를 체결할 수도 있다.
숄더부재(50)에 의해 연장되는 푸시블럭(40)의 인출거리(H1)는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푸시블럭(40)을 구동하는 밀판(30)의 이동거리(H2)보다 길다. 이때, 푸시블럭(40)은 밀판(30)과 숄더부재(50)에 모두 체결되어 있으므로, 숄더부재(50)의 추가 인출거리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푸시블럭(40)과 이젝트핀(34)을 체결하고 있는 블록핀볼트(36)를 먼저 해제시켜야 한다.
그러면,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사출성형장치의 숄더부재 동작을 살펴보기로 한다.
가동 코어(22)의 푸시블럭 매입공간(S)을 청소하고자 할 경우에는 사출물의 성형 완료 후 인출되어 있는 푸시블럭(40)으로부터 복수의 가이드볼트(42)를 순차적으로 해체하는 한편, 가이드볼트(42)가 분리된 자리에 가이드볼트(42)보다 길이가 연장된 숄더볼트(50)를 대체해서 조립한다(도 4).
이어서, 푸시블럭(40)과 이젝터핀(34)을 체결하고 있는 블록핀볼트(36)를 분해해서 해체한 후 푸시블럭(40)을 손으로 당기게 되면, 푸시블럭(40)은 숄더볼트(50)에 의해 연장된 거리만큼 인출거리가 H1에서 H2로 길어지게 되므로, 작업자는 확장된 공간을 통해 가동 코어(22)의 푸시볼트 매립공간(S)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게 된다(도 5).
도 1은 일례로서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에 의해 제작되는 텔레비젼 패널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가동 코어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사출성형장치의 푸시블럭 및 가이드볼트와 숄더부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참조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2,3..금형 고정판 10..상부 금형
12..고정 코어 14..노즐스프루
20..하부 금형 22..가동 코어
30..밀판 34..이젝터핀
36..블록핀볼트 40..푸시블럭
42..가이드볼트 50..숄더볼트
S..가동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

Claims (6)

  1. 성형을 위한 캐비티 공간을 형성하는 가동 코어 및 고정 코어와,
    성형 시에는 상기 가동 코어에 매입되어 있으며, 사출 성형된 제품 취출 시에는 상기 가동 코어로부터 인출되는 푸시블럭과,
    상기 가동 코어와 푸시블럭 사이에 개재되어 가동 코어로부터 인출되는 푸시블럭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복수의 가이드볼트와,
    상기 가이드볼트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되 더 길게 마련되어 상기 가동 코어의 푸시블럭 매입공간 청소 시 상기 가이드볼트를 대체하여 조립되는 숄더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 코어는 푸시블럭을 가동 코어로부터 인출하기 위한 밀판과 이젝트핀을 더 구비하고,
    상기 숄더부재에 의한 푸시블럭의 이동거리는 밀판의 이동거리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080070933A 2008-07-22 2008-07-22 사출성형장치 KR1009699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33A KR100969917B1 (ko) 2008-07-22 2008-07-22 사출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70933A KR100969917B1 (ko) 2008-07-22 2008-07-22 사출성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91A KR20100010091A (ko) 2010-02-01
KR100969917B1 true KR100969917B1 (ko) 2010-07-14

Family

ID=42084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70933A KR100969917B1 (ko) 2008-07-22 2008-07-22 사출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91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55802B2 (en) 2015-04-08 2018-05-01 Fasteners For Retail, Inc. Divider with selectively securable track assembly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368A (ja) * 1994-10-28 1996-05-14 Nippon Plast Co Ltd 樹脂成形型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18368A (ja) * 1994-10-28 1996-05-14 Nippon Plast Co Ltd 樹脂成形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0091A (ko) 2010-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86425B1 (ko) 사출 런너 자동분리시스템
CN101905498B (zh) 模具
CN101823317B (zh) 可自动切断浇口的机动塑压模具
CN101653982A (zh) 一种带有针孔的注塑产品的脱模方法及抽针式模具
KR100969917B1 (ko) 사출성형장치
CN101332658A (zh) 一种需侧抽芯的塑件的热流道注射方法及其成形模具
CN101306570B (zh) 模具装置
CN2900132Y (zh) 母模辅助脱模结构
CN201353865Y (zh) 可自动切断浇口的机动塑压模具
CN202388722U (zh) 一种自动去除水口的注塑模具
CN107756747A (zh) 一种模具的复位结构
CN205112252U (zh) 具有推杆和推板的前框注塑模具
CN204249261U (zh) 一种双料注塑模落料机构
KR20220085875A (ko) 파팅라인이 없는 사출 성형품 제조장치
CN208133538U (zh) 一种注塑模具
CN207874726U (zh) 一种abs塑料模具
CN208529614U (zh) 一种拉环生产模具
JP2002347085A (ja) 射出成形金型
KR100864252B1 (ko) 금형조립체
CN106608018B (zh) 产品注塑成型方法及装置
KR20160094630A (ko) 런너게이트 취출시 성형품 손상방지를 위한 2단 취출장치
CN214926658U (zh) 一种用于注塑模具的限位机构
CN217098751U (zh) 一种便于脱模的注塑模具
CN207522999U (zh) 一种模具的复位结构
CN213055801U (zh) 无拔模斜度的注塑模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18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1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04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