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850B1 -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 - Google Patents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850B1
KR100969850B1 KR20047018627A KR20047018627A KR100969850B1 KR 100969850 B1 KR100969850 B1 KR 100969850B1 KR 20047018627 A KR20047018627 A KR 20047018627A KR 20047018627 A KR20047018627 A KR 20047018627A KR 100969850 B1 KR100969850 B1 KR 1009698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olic acid
bottle
acid polymer
layer
raw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04701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104742A (ko
Inventor
야마네가즈유키
가토료
사토히로유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구레하
Publication of KR20040104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104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8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85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e.g. by casting metallic material, by moulding plastics, by blowing vitreous material, by throwing ceramic material, by moulding pulped fibrous material, by deep-drawing operations performed on sheet material
    • B65D1/02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 B65D1/0207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 B65D1/0215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with necks or like restricted apertures, designed for pouring contents characterised by material, e.g. composition, physical features multilaye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00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 B65D7/02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 B65D7/04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by interconnecting or uniting two or more rigid, or substantially rigid, components made wholly or mainly of metal characterised by shape of curved cross-section, e.g. cans of circular or elliptical cross-se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11/0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 C08J11/0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 C08J11/10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 C08J11/14Recovery or working-up of waste materials of polymers by chemically breaking down the molecular chains of polymers or breaking of crosslinks, e.g. devulcanisation by treatment with steam or wa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86Cleaning means used for separation
    • B29B2017/0289Washing the materials in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93Dissolving the materials in gases or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4Disintegrating plastics, e.g. by milling
    • B29B2017/0424Specific disinteg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436Immersion bath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03/00Use of starch or derivatives as mould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3PGA, i.e. polyglycolic acid or poly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067/046PLA, i.e. polylactic acid or polylact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667/00Use of polyesters or derivatives thereof for preformed parts, e.g. for inserts
    • B29K26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carboxylic acids
    • B29K2667/043PGA, i.e. polyglycolic acid or polyglycolid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71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accessories, Packages
    • B29L2031/7158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39/00Containers; Receptacles
    • B32B2439/40Closed containers
    • B32B2439/60Bott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1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2565/385Details of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especially suited for or with means facilitating recycl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20/00Technologies relating to chemical industry
    • Y02P20/50Improvements relating to the production of bulk chemicals
    • Y02P20/582Recycling of unreacted starting or intermediate materi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13Hollow or container type article [e.g., tube, vase, etc.]
    • Y10T428/1352Polymer or resin containing [i.e., natural or synthet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면서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이 보틀의 효율적인 리사이클 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보틀을 얻는다. 이 보틀을 파쇄한 후, 파쇄물을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로 세정함으로써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제거하고 주원료 수지를 회수한다.
가스 배리어성, 글리콜산, 중합체, 리사이클, 보틀, 파쇄.

Description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BOTTLE EXCELLENT IN RECYCLABILITY AND METHOD FOR RECYCLING THE BOTTLE}
본 발명은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포함하는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보틀」이란 말은 내용량에 비해 구경이 비교적 작은 협의 또는 통상의 용법에 있어서의 「보틀」에 그치지않고, 널리 내용물을 수용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중공)성형 용기라는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용기의 엄밀한 형상에 제약되지 않는 것은 이하의 기재로부터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수지제 보틀은 경량인 것이나, 투명하여 내용물이 잘 보이는 것 등으로 음료수, 조미료, 식용유, 알콜성 음료, 연료, 세제 등 여러 액상물의 용기로서 널리 또한 대량으로 이용되고 있다. 소위 페트 보틀(즉, 트리 에스테르 수지제 보틀), 그중에서도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제) 보틀에 대해서는 특히 그러하다.
그러나 현재의 환경에의 부하저감이나 쓰레기의 감량이라는 도시 문제 등으로, 대량으로 사용되는 수지 보틀에 대해서는 리사이클되는 것이 요청되게 되어 오고 있다. 리사이클에는 소각에 의한 열에너지 회수형, 모노머로 되돌리는 케미컬 리사이클형, 분쇄 및 정제 공정을 거쳐서 수지원료로 되돌리는 원료형, 다시 보틀 로서 재이용하는 리터너블형 등이 있는데, 특히 페트 보틀의 경우에는 분쇄 및 정제 공정을 거쳐서 수지원료로 되돌리는 원료형이 채용되고, 회수된 수지원료는 섬유 등으로 재이용되는 경우가 많다.
다른 한편, 현재, 보틀에 있어서도 내용물의 보존성 향상을 위해, 탄산 가스나 산소 가스의 투과성을 억제하는 것이 요구되어 오고 있다. 이것들을 개량하는 기술로서 가스 배리어성의 코팅이나 가스 배리어성의 수지층을 중간층에 배치하는 다층화 등이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의 코팅이나 가스 배리어성의 수지층을 중간층에 배치하는 다층화 등이 시행된 PET 보틀의 경우, PET 수지원료와 다른 수지성분을 충분히 분별할 수 없으면, 리사이클 수지원료로서의 품질이나 안전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가능성이 있다.
또, 예를 들면 맥주와 같이 내용물의 광열화를 방지하기 위해서, 또는 의장적 효과를 내기 위해서 등의 목적으로 착색된 페트 보틀의 이용도 시도되고는 있는데, 색섞임 등에 의한 리사이클의 곤란성으로 이용이 제한되어 왔다.
본 발명은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부가적인 수지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면서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효율적인 리사이클 방법을 제공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의 연구에 의하면, 부가적인 수지층으로서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층을 설치하는 것이 상기의 목적의 달성을 위해 극히 유효한 것이 발견되었다.
즉, 본 발명의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은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의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은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보틀을 파쇄한 후, 파쇄물을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로 세정함으로써,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제거하고, 주원료 수지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글리콜산계 중합체가 리사이클 보틀의 부가적인 수지층의 구성수지로서 특히 우수한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글리콜산계 중합체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 가스 배리어성 수지인 EVOH(에틸렌-비닐 알콜 공중합체)의 약 3배 이상(산소투과 계수로서 약 1/3 이하)이라는 극히 큰 가스 배리어성을 가져,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그 박층을 포함시킴으로써 현저하게 가스 배리어성이 개선된 보틀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내용물의 산화에 의한 열화나 내용물로부터의 탄산 가스의 빠짐 등에 의한 품질열화가 효과적으로 방지된다. 또, 일반적으로 PET 보틀 등에 채용되는 원료형 리사이클에 있어서는, 보틀을 파쇄후, 단백질의 분해 등의 목적으로 파쇄물을 알칼리 세정하는 공정을 거쳐서 수지원료를 회수하는 방법이 채용된다. 이것에 있어서,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글리콜산계 중합체는 알칼리 세정액, 물(특히 가온수) 또는 산수에 의한 가수분해성이 크기 때문에 용이하게 회수 대상으로서의 주원료 수지로부터 세정분리할 수 있다. 또 세정 폐액중의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가수분해물로서의 글리콜산은 세정 폐액을 중화후, 활 성오니처리 함으로써 용이하게 탄산 가스와 물로 생분해 되어, 환경에의 부하 요인이 되지 않는다. 이에 반해, 종래부터 알려져 있는 대표적인 생분해성 수지인 폴리 락트산계 중합체는 글리콜산계 중합체와 같은 가스 배리어성을 보이지 않고, 또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에 의한 가수분해 속도도 글리콜산계 중합체보다도 느리다.
발명의 실시형태
(글리콜산계 중합체)
글리콜산계 중합체는 하기 (1)식으로 나타내어지는 반복단위를 갖는 가수분해성의 폴리에스테르이다:
-(OCH2CO)- (1)
상기 반복단위만으로 이루어지는 글리콜산 단독중합체(PGA)가 바람직하게 사용되는 이외에, 다른 반복단위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한데, 가수분해에 의해 주쇄가 절단되는 구조가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실산 에스테르 및 탄산 에스테르를 포함하는 에스테르 구조나, 아미드 구조 등에서, 특히 가수분해의 용이성때문에 지방족 에스테르 구조가 바람직하다. 그 예로서는, 예를 들면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OCHCH3CO)- (2)
-(OCH2CH2CH2OCO)- (3)
-(OCH2CH2CH2CH2CO)- (4)
다른 반복단위 구조의 비율은 50 중량% 미만,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중량% 미만이다. 또, 글리콜산계 중합체에는 용융가공에 필요한 열안정제, 가소제 등, 게다가 안료 등의 착색제를 본 발명의 목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해도 좋다.
(주원료 수지)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층과 함께 보틀을 형성하는 주원료 수지는, PET(즉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를 비롯한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PVC),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폴리카보네이트(PC), 폴리스티렌(PS), 폴리락트산(PLA) 등 다종다양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앞에서도 기술한 바와 같이 글리콜산계 중합체는 이들 범용수지에 비해, 현저하게 큰 가스 배리어성을 가져, 모두 수지와 적층한 경우에도 가스 배리어성이 개량된 보틀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PET 보틀이 현재 주류를 차지하고 있어 회수 리사이클을 행할 때의 경제성, 에너지 소비량 등으로부터도 PET를 주원료로 하는 보틀이 바람직하다. PET의 고유 점도는 0.5∼1.5dl/g의 범위, 특히 0.6∼1.2dl/g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복수의 수지를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는데 리사이클시에 품질 저하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단독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착색하는 것도 가능하지만 리사이클시에 색섞임에 의한 품질 저하가 일어나기 쉬우므로 단독 원료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원료 수지층중에 글리콜산계 중합체가 소량 포함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 양은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 하게는 1 중량% 이하이다.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포함하는 주원료 수지층은 보통, 주원료 수지와 글리콜산계 중합체 등의 혼합수지의 회수 수지층으로서 형성되는 경우이고, 따라서 이 경우 글리콜산 중합체의 양은 본 발명의 보틀에 요구되는 가스 배리어성의 레벨에 의존하는 경우가 있다.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실질상 포함하지 않는 수지원료를 회수하고 싶은 경우에는, 주원료 수지중에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구조)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은 주로 보틀을 형성하는 주원료 수지층으로 구성되는 외층 및 내층 사이에 끼워져 있는 중간층으로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1층이어도 다층이어도 상관없다. 내외층의 수지와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구성비는 보틀에 요구되는 성능이나 품질에 의해 임의로 결정할 수 있다.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부여하면서, 주원료 수지의 리사이클을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서, 주원료 수지와 글리콜산 중합체의 중량비(거의 두께비에 상당함)가 99/1∼55/45, 특히 98/2∼80/20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은 두께가 3㎛ 이상으로 하여 양호한 가스 배리어성을 발휘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틀의 경우, 주된 면적을 차지하는 몸체부에서 이 두께가 유지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바닥부 또는, 머리부에서는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도 있다. 또, 회수수지층으로서 주원료 수지와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혼합수지가 사용되는 경우도 있는데, 그 경우의 회수수지층중의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존재량은 바람직하게는 50 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10 중량% 이하 이다.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실질상 포함하지 않는 수지원료를 회수하고 싶은 경우에는, 회수수지층중에는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회수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의 적층구조는 예를 들면 주원료 수지/회수수지/글리콜산계 중합체/주원료 수지, 주원료 수지/글리콜산계 중합체/회수수지 등이다.
예를 들면 주원료 수지층과 글리콜산계 중합체 사이에, 접착성 수지층을 적당하게 삽입할 수도 있지만, 리사이클성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에는 사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리사이클 방법)
보틀의 리사이클은 PET 보틀에서 실제로 행해지고 있고, 그 시스템에서는 세정, 다른 수지(캡이나 염화비닐 보틀 등)의 선별후, 보틀을 파쇄 내지 재단한 후 알칼리수 세정을 거쳐 PET 레진으로서 회수된다.
본 발명의 보틀을 리사이클하는 경우도 상기의 PET 보틀과 유사한 리사이클 공정을 경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리콜산계 중합체는 비중의 차이로 분별시키는 것도 가능하지만,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에 의한 세정을 이용하는 편이 효율적이고, 확실하다. 알칼리수 세정은 예를 들면 0.01∼5 규정의 알칼리수 세정액을 사용하고, 20∼100℃, 바람직하게는 40∼98℃에서, 5분 내지 10시간 행함으로써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단시간에 효율적으로 가수분해 하여 글리콜산에 분해시킬 수 있다. 물에 의한 세정은 (필요에 따라서 가압하에) 40℃ 이상으로 가열하여 가수분해를 촉진한다. 물의 적어도 일부로서 스팀을 열원을 겸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산수도 알칼리수와 마찬가지로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가수분해를 촉진하는 효과가 있고, 20∼100℃, 바람직하게는 40∼98℃에서 사용할 수 있다. 산으로서는 글리콜산 자체를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세정 회수는 1회이어도 복수회이어도 상관없다. 또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과 PET층의 접착 강도는 그다지 강고하지 않아 보틀 파쇄물중에서 부분적인 박리도 일으키는 일이 많다. 이것도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세정중에 있어서의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용해 제거를 촉진하는 요인의 하나이다.
(폐수처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가수분해에 의해 발생한 글리콜산을 포함하는 알칼리수 등에 의한 세정 폐액은 글리콜산이 자연계에도 존재하는 유기산이기 때문에, 중화후, 그대로 배출하는 것도 가능하지 않은 것도 아니지만, 활성오니처리에 의해 글리콜산을 H2O와 CO2로 생분해 함으로써 보다 생태계에의 부하를 경감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오니처리는 종래의 PET 보틀 리사이클 처리에도 포함되어 있는 것이며, 본 발명의 보틀 리사이클 방법은 본질적으로 새로운 설비투자 등을 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활성오니처리의 부하가 약간 증대하는 것 뿐이다.
또 물 또는 산수에 의한 세정의 1태양으로서 가수분해에 의해 생성한 글리콜산을 포함하는 세정수를 다시,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가수분해 촉진효과를 갖는 세정수로서 리사이클 사용하고, 농축된 글리콜산 수용액(농도는 70% 이하가 적당함)을 더욱 농축 및 축중합화에 의해 글리콜산 올리고머로서 회수하고, 또한 국제공개 WO02/14303호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폴리 글리콜산 원료로서 유용한 글리콜리드(글 리콜산의 환상2량체 에스테르)를 얻을 수도 있다. 즉, 상기 국제공개 WO02/14303호의 방법에 의하면,
(1) 상기한 바와 같이 회수된 글리콜산 올리고머(A)와 하기 식(1)
Figure 112004053569017-pct00001
(1)
(식중, R1은 메틸렌기 또는 탄소수 2∼8의 직쇄상 또는 분기상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X1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2∼20의 알킬기 또는 아릴기를 나타내고, p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고, p가 2 이상인 경우에는 복수의 R1은 각각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좋다.)
로 표시되고, 또한, 230∼450℃의 비점과 150∼45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알킬렌글리콜 에테르(B)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상압 상태 또는 0.1∼90kPa의 감압하에, 이 글리콜산 올리고머(A)의 해중합이 일어나는 온도(예를 들면 200∼320℃)로 가열하고,
(II) 이 글리콜산 올리고머(A)의 융액상과 이 폴리알킬렌글리콜 에테르(B)로 이루어지는 액상이 실질적으로 균일한 상을 형성한 용액상태로 하고,
(III) 이 용액상태에서 가열을 계속함으로써, 해중합에 의해 생성한 글리콜리드(환상 에스테르)를 이 폴리알킬렌글리콜 에테르(B)와 함께 증류 추출하고,
(IV) 증류 추출물부터 글리콜리드를 회수
할 수 있게 된다. 얻어진 글리콜리드로부터 글리콜산계 중합체를 얻어 본 발명의 보틀 형성에 사용하면, 글리콜산계 중합체에 대해서도 리사이클이 가능하게 된다.
(착색)
본 발명의 바람직한 태양에 따라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층이 착색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얻어진 보틀은 컬러 보틀이고, 광선투과 억제에 의해 내용물의 광열화 등을 억제할 수 있다.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은 균일하게 착색을 하게 되는데, 그 위에 임의의 태양의 착색층을 붙이으로써 의장 효과를 증대할 수도 있다. 착색제는 공지의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하여 원하는 발색을 시킬수 있지만, 리사이클후의 환경부하를 고려하여, 예를 들면 적색이라면 식용 붉은 색소와 같은 생분해성의 착색제나 안료가 바람직하다.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착색하는 것의 또 하나의 이점은 리사이클시의 세정회수나 시간 등을 육안 관찰로 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글리콜산계 중합체가 남아 있으면 고체상의 착색수지가 남기 때문에 용이하게 분별의 불완전성을 판단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리사이클후의 회수원료 수지의 품질 관리를 대폭 단순화 할 수 있다.
중간층을 착색함으로써 컬러 보틀을 얻는 방법은, 글리콜산계 중합체이외의 수지에도 응용은 할 수 있지만, 착색에 의한 의장성 향상 등 이외의 기능(예를들면 가스 배리어성)이 부족하거나 하기 때문에 실용적이지는 않다. 특히 착색수지층의 존재는 리사이클시의 분별을 곤란하게 하기 때문에, 종래는 리사이클의 저해요인이었던 것이지만, 본 발명의 보틀의 경우에는, 완전히 반대이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들어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이하의 예중에서 「부」는 「중량부」를 의미한다.
(실시예 1)
실린더를 2개 갖는 사출성형기에 각각, PET(IV=0.8)와 PGA(240℃, 100/s의 용융점도 1500Pa·s)를 투입하고, PET/PGA/PET(두께비=45/10/45)의 3층의 프리폼을 성형하고, 블로우 성형기로 보틀(내용량=500cc, 두께 800㎛, 중량 40g)을 제작했다.
얻어진 보틀을 사방 2cm로 재단하고, 1규정의 가성소다 수용액중, 80℃ 에서 5시간 세정했다. 세정된 재단물을 여과분리후 수세하고, 건조시켜서 36g의 회수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회수수지의 적외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PET 유래의 흡수만이 관측되어, PGA가 완전히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2)
그 100부에 대하여 0.1부의 카본블랙으로 착색한 PGA를 사용하는 이외는,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보틀을 제작했다.
얻어진 보틀을 사방 2cm로 재단하고, 1규정의 가성소다 수용액중에 80℃에서 5시간 세정했다. 세정된 재단물을 여과분리후 수세하고, 건조시켜서 무색의 회수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회수수지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PET 유래의 흡수만이 관측되어, 카본블랙 및 PGA가 완전하게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하여 제작한 보틀을 사방 2cm로 재단하고, 1규정의 가성소다 수용액중에 80℃에서 3분간 세정했다. 세정된 재단물을 여과분리한 바, 아직 흑색으로 착색된 고형물이 남아 있었기 때문에 다시 1규정의 가성소다 수용액중 80℃에서 3시간 세정했다. 재세정후의 재단물을 여과분리후 수세하고, 건조시켜서 무색의 회수수지를 얻었다. 얻어진 회수수지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을 측정한 바 PET 유래의 흡수만이 관측되어, 카본블랙 및 PGA가 완전하게 제거되어 있는 것을 확인했다.
(실시예 4)
실시예 2에서 회수한 PET 수지를 270℃에서 용융 프레스하고, 실온의 냉각 프레스로 냉각함으로써 무색 투명한 PET 시트가 얻어졌다. 이것에 의해, 회수수지는 성형 가능하여 주원료 수지 PET의 리사이클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5)
실시예 1에서 세정처리에 사용한 알칼리 수용액을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바 글리콜산이 검출되었다. 이 용액을 중화후, 물로 100배로 희석하고, 에어레이션에 의해 숙성된 활성오니에 제공하여 호기적 분위기하에 실온 환경에서 1개월 배양했다. 1개월후 반응액을 다시 액체 크로마토그래피로 분석한 바 글리콜산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전체 유기탄소계(시마즈세사쿠쇼 TOC-5000A)에 의해 용존 유기탄소의 분석을 행했는데 유기탄소는 검출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대로 폐기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가스 배리어성이 양호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면서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이 보틀의 효율적인 리사이클 방법이 제공된다.

Claims (7)

  1.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가지며, 글리콜산계 중합체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로만 이루어지는 글리콜산 단독 중합체이거나, 또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와 하기 식 (2) 내지 (4) 중에서 선택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30중량% 미만의 다른 반복단위로 이루어지는 글리콜산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식 (1) : -(OCH2CO)-
    식 (2) : -(OCHCH3CO)-
    식 (3) : -(OCH2CH2CH2OCO)-
    식 (4) : -(OCH2CH2CH2CH2CO)-
  2. 제 1 항에 있어서, 주원료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이 착색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4. 주원료 수지층에 더하여, 글리콜산계 중합체의 적어도 1층을 포함하는 적층구조를 갖는 보틀을 파쇄한 후, 파쇄물을, 알칼리수, 물 또는 산수로 세정함으로써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제거하고 주원료 수지를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파쇄물을 알칼리수로 세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이 착색되어 있고, 파쇄물로부터의 착색의 제거를 확인하고 세정을 종료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글리콜산계 중합체층을 제거한 후에, 세정으로부터의 폐액을 중화후 활성 오니에 의해 생분해하는 공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틀의 리사이클 방법.
KR20047018627A 2002-05-21 2003-05-16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 KR10096985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02-00146095 2002-05-21
JP2002146095 2002-05-21
PCT/JP2003/006134 WO2003097468A1 (fr) 2002-05-21 2003-05-16 Bouteille presentant une excellente aptitude au recyclage et procede de recyclage de cette bouteill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104742A KR20040104742A (ko) 2004-12-10
KR100969850B1 true KR100969850B1 (ko) 2010-07-13

Family

ID=295451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047018627A KR100969850B1 (ko) 2002-05-21 2003-05-16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20050175801A1 (ko)
EP (1) EP1555209B1 (ko)
JP (1) JP4476803B2 (ko)
KR (1) KR100969850B1 (ko)
CN (1) CN100436271C (ko)
AT (1) ATE469035T1 (ko)
AU (1) AU2003242308A1 (ko)
CA (1) CA2486312C (ko)
DE (1) DE60332752D1 (ko)
WO (1) WO20030974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12119C (zh) 2003-11-21 2008-08-20 株式会社吴羽 叠层成型物的循环利用方法
WO2006028000A1 (ja) * 2004-09-08 2006-03-16 Kureha Corporation ポリグリコール酸樹脂系多層シート
JP5079239B2 (ja) 2006-02-02 2012-11-21 株式会社リコー 再生pet材料を用いたトナーボトルの成形方法
AT505462B1 (de) * 2006-11-13 2010-10-15 Erema Verfahren zur vorbehandlung, aufarbeitung bzw. recyclierung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US8079413B2 (en) 2008-12-23 2011-12-20 W. Lynn Frazier Bottom set downhole plug
US8899317B2 (en) 2008-12-23 2014-12-02 W. Lynn Frazier Decomposable pumpdown ball for downhole plugs
US9562415B2 (en) 2009-04-21 2017-02-07 Magnum Oil Tools International, Ltd. Configurable inserts for downhole plugs
US9062522B2 (en) 2009-04-21 2015-06-23 W. Lynn Frazier Configurable inserts for downhole plugs
US9181772B2 (en) 2009-04-21 2015-11-10 W. Lynn Frazier Decomposable impediments for downhole plugs
US9163477B2 (en) 2009-04-21 2015-10-20 W. Lynn Frazier Configurable downhole tool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127527B2 (en) 2009-04-21 2015-09-08 W. Lynn Frazier Decomposable impediments for downhole tool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9109428B2 (en) 2009-04-21 2015-08-18 W. Lynn Frazier Configurable bridge plugs and methods for using same
JP4841660B2 (ja) * 2009-06-26 2011-12-21 ユニチカ株式会社 ポリアミド樹脂成形体用洗浄液およびそれを用いた洗浄方法
SG10201405659QA (en) 2009-07-09 2014-11-27 Advanced Tech Materials Substantially rigid collapsible liner and flexible gusseted or non-gusseted liners and methods of manufacturing the same and methods for limiting choke-off in liners
JP6087833B2 (ja) 2010-11-23 2017-03-01 アドバンスド テクノロジー マテリア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ライナーベースの分注器
JP5651026B2 (ja) * 2011-01-21 2015-01-07 株式会社クレハ ポリグリコール酸組成物、ポリグリコール酸を含む樹脂成形品及び成形体、並びに、ポリグリコール酸の分解方法
WO2012118527A1 (en) 2011-03-01 2012-09-07 Advanced Technology Materials, Inc. Nested blow molded liner and overpack and methods of making same
ES2398079B2 (es) * 2011-08-30 2014-02-26 Sulayr Global Service Sl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rpet (polietilen tereftalato recuperado) a partir de láminas complejas adhesivas con poliuretanos
US8722163B2 (en) 2011-09-16 2014-05-13 Pepsico, Inc. Recyclable colorants in plastic beverage containers
JP6036099B2 (ja) * 2012-09-27 2016-11-30 東洋紡株式会社 Petボトル再生原料を使用した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EP2936474A2 (en) * 2012-12-21 2015-10-28 Avery Dennison Corporation Recycling processes and labels and adhesives for use therein
FR3009212B1 (fr) * 2013-08-01 2015-07-31 Pellenc Selective Technologies Procede et installation automatique pour la caracterisation et/ou le tri d'emballages
CL2016002617A1 (es) * 2016-10-14 2017-02-24 Vuelvo Mat Ltda Proceso para el reciclaje de materiales de polietileno de alta densidad (hdpe) por medio de termofusión y productos de hdpe reciclado.
EP3541591B8 (en) 2016-11-18 2023-07-05 Husky Injection Molding Systems Ltd. Molded article, container and a method for the molding and recycling thereof
CN110962424A (zh) * 2019-12-25 2020-04-07 湖北宏裕新型包材股份有限公司 酵母包装用可回收高阻隔共挤膜及其制备、回收方法
ES2922449A1 (es) * 2021-03-04 2022-09-15 I Boix Daniel Riera Metodo de tratamiento de laminas compleja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761A (ja) * 1993-12-30 1995-08-01 Soshin Kensetsu Kk 場所打ち杭施工用ハンマグラブ
KR980009366A (ko) * 1996-07-12 1998-04-30 오오히라 아키라 산소흡수성수지, 그 수지를 사용한 탈산소성 다층구조체 및 포장용기
JP2000094547A (ja) * 1998-09-22 2000-04-04 Unitika Ltd 多層容器
KR20010050993A (ko) * 1999-10-12 2001-06-25 나카무라 하사오 다층 구조 중합체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65302A (en) * 1988-03-29 1990-10-23 Mitsubishi Kasei Corporation Thermoplastic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s produced therefrom
JPH04148929A (ja) * 1990-10-12 1992-05-21 Kao Corp 多層プラスチック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JP3143367B2 (ja) 1994-08-08 2001-03-07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構造材、成形材
US5554657A (en) * 1995-05-08 1996-09-10 Shell Oil Company Process for recycling mixed polymer containing polyethylene terephthalate
KR100256855B1 (ko) 1995-08-02 2000-05-15 모리시타 요이찌 구조재 및 이를 사용하는 성형체 및 이들의 분해처리 방법
DE69516188T2 (de) * 1995-12-30 2000-11-23 Sunkyong Ind Lt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therephthalsäure
US6001439A (en) * 1996-05-09 1999-12-14 Kureha Kagaku Kogyo K.K. Stretch blow molded container and production process thereof
JP3809850B2 (ja) * 1996-05-09 2006-08-16 株式会社クレハ 延伸ブロー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US5695133A (en) * 1996-06-19 1997-12-09 Nova Chemicals (International) S.A. Thermoplastic washer/recycler
KR100451402B1 (ko) * 1996-07-19 2004-10-06 구레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배리어성 복합필름
WO1998009813A1 (fr) * 1996-09-06 1998-03-12 Kureha Chemical Industry Co., Ltd. Recipient pour emballage sterilisable en autoclave, composition de resine et film a effet de barriere anti-gaz prepare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JP3838757B2 (ja) 1996-09-13 2006-10-25 株式会社クレハ ガスバリヤー性多層中空容器
KR100451403B1 (ko) * 1996-09-13 2004-10-06 구레하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가스 배리어성 다층 중공 용기
US6500506B1 (en) * 1998-06-26 2002-12-31 Teijin Limited Aromatic polyester composition and articles therefrom
AU780389B2 (en) * 1999-11-11 2005-03-1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Polyester resin and its production process
CZ2000969A3 (cs) * 2000-03-17 2001-08-15 Milan Ing. Šírek Způsob chemické recyklace odpadního polyethylentereftalátu
US6765070B2 (en) * 2001-05-18 2004-07-20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Copolymerized polyester resin composition and stretched film
JP3978012B2 (ja) 2001-11-01 2007-09-19 株式会社クレハ 多層容器及びそ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97761A (ja) * 1993-12-30 1995-08-01 Soshin Kensetsu Kk 場所打ち杭施工用ハンマグラブ
KR980009366A (ko) * 1996-07-12 1998-04-30 오오히라 아키라 산소흡수성수지, 그 수지를 사용한 탈산소성 다층구조체 및 포장용기
JP2000094547A (ja) * 1998-09-22 2000-04-04 Unitika Ltd 多層容器
KR20010050993A (ko) * 1999-10-12 2001-06-25 나카무라 하사오 다층 구조 중합체 입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1555209A1 (en) 2005-07-20
JP4476803B2 (ja) 2010-06-09
KR20040104742A (ko) 2004-12-10
JPWO2003097468A1 (ja) 2005-09-15
US20090030094A1 (en) 2009-01-29
EP1555209B1 (en) 2010-05-26
US20050175801A1 (en) 2005-08-11
AU2003242308A1 (en) 2003-12-02
US7799837B2 (en) 2010-09-21
CN1652976A (zh) 2005-08-10
WO2003097468A1 (fr) 2003-11-27
CA2486312A1 (en) 2003-11-27
ATE469035T1 (de) 2010-06-15
CA2486312C (en) 2012-04-03
DE60332752D1 (de) 2010-07-08
CN100436271C (zh) 2008-11-26
EP1555209A4 (en) 2007-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9850B1 (ko) 리사이클성이 우수한 보틀 및 그 리사이클 방법
Niaounakis Recycling of biopolymers–the patent perspective
TWI389941B (zh) Self-dyed polyester fiber for recycling useful ingredients
JP3983977B2 (ja) 汚染されたポリエ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を汚染除去されたポリブチレンテレフタレートに転化するための改良された方法
JP2022553090A (ja) 再資源化物を有する反応器級樹脂から製造される結晶化可能な収縮性フィルムならびに熱成形性フィルムおよびシート
JP2006232317A (ja) リサイクル性に優れた容器およびそのリサイクル方法
KR20220079916A (ko) 재활용된 콘텐츠를 갖는 결정화가능한 반응기 등급 수지를 위한 촉매 시스템
JP2023517154A (ja) Rpetから二軸延伸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WO2020149798A1 (en) Chemical glycolysis method in which transparent pet wastes are recycled to be used in bottle-grade pet resin production
JP4571587B2 (ja) 積層成形物のリサイクル方法
CN116529298A (zh) 再循环工艺用聚酯废料的原料工程化
JP2009120766A (ja) テレフタル酸ジメチル及びエチレングリコールの回収方法
JP2002167469A (ja) ポリエステル廃棄物のリサイクルシステムとその方法
HU227570B1 (hu) Eljárás poliészter-hulladékok feldolgozására
JP2023175445A (ja) 成形体、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を用いたリサイクル方法
TR2021007024T2 (tr) Şi̇şe sinifi pet reçi̇nesi̇ üreti̇mi̇nde kullanilmak üzere şeffaf pet atiklarinin geri̇ dönüştürüldüğü ki̇myasal gli̇koli̇z yöntemi̇
Kang An exploration into the use of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to determine post-consumer recycled PET content in PET sheet
JP2003137984A (ja) 低比重ポリエステル樹脂およびそれからなる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