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9315B1 - 슬러지 탈수장치 - Google Patents

슬러지 탈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9315B1
KR100969315B1 KR1020090123148A KR20090123148A KR100969315B1 KR 100969315 B1 KR100969315 B1 KR 100969315B1 KR 1020090123148 A KR1020090123148 A KR 1020090123148A KR 20090123148 A KR20090123148 A KR 20090123148A KR 100969315 B1 KR100969315 B1 KR 1009693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pipe
air
water
intak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231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재식
Original Assignee
(주) 동화티엔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동화티엔피 filed Critical (주) 동화티엔피
Priority to KR10200901231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93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93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93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21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mechanical de-wate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6Water distributors either inside a treatment tank or directing the water to several treatment tanks; Water treatment plants incorporating these distributors, with or without chemical or biological ta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10/00Technologies for wastewater treatment
    • Y02W10/20Sludge process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러지 탈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유입구를 막은 상태로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이동되게 설치된 필터벨트와, 상기 필터벨트를 가압하도록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롤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수단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벨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는 메인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호퍼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연결흡기관 사이에 설치되고 내벽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편이 설치된 중공형상의 액분리관을 구비하여 상기 호퍼 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수분거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한하고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따르면,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호퍼 내 공기를 흡입하여 1차탈수 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흡입된 공기를 필터벨트에 분사하여 세척하도록 하되, 수분거름수단을 통해 수분이 함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수분에 포함된 이물질에 의해 벨트표면이 다시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어, 그만큼 이송벨트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
슬러지, 탈수, 흡기, 압력, 수분, 조절

Description

슬러지 탈수장치{A dehydrator of sludge}
본 발명은 호퍼 상에서 중력에 인한 슬러지의 1차탈수와 가압롤러와 필터벨트간 밀착에 의한 2차탈수가 이루어지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공기흡입장치를 통해 호퍼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벨트 중 슬러지가 얹혀지지 않은 구간에 분사함으로써 필터벨트 표면을 세척하되,
흡기과정에서 호퍼내 수분이 함께 토출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내 포함된 이물질에 의한 필터벨트의 오염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기술이다.
각종 생활하수나 산업폐수의 처리과정에서 발생된 슬러지는 별도로 수거하여 건조한 후 별도 처리된다.
따라서 슬러지는 최종처리 전에 충분히 탈수되어 수분함유량이 최소화 된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이러한 슬러지의 탈수는 별도의 탈수장치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탈수장치는 슬러지가 필터벨트를 따라 이동하는 과정에서 이송벨트와 가압롤러간의 밀착에 의해 가압탈수되는 일명 ‘벨트프레스’ 구조로 이루어진다.
구조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슬러지가 호퍼(100)의 투입구를 지나는 제1필터벨트(210) 상에 슬러지가 얹혀지면 슬러지에 함유된 수분이 중력에 제1필터벨트(210)를 통과한 후 호퍼(100)내로 떨어지는 형태로 1차탈수가 이루어지고, 제1필터벨트(210)를 따라 이송되다가 가압롤러(300)에 감겨진 제2필터벨트(220)와의 밀착구간을 지나는 과정에서 가압으로 인한 2차탈수가 이루어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이러한 기존 벨트프레스 형 탈수장치는 1차탈수와 2차탈수과정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슬러지가 제1필터벨트(210)의 수분배출공을 막아, 수분이 원활히 배출되지 못하는 현상이 발생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등록특허 제883331호 『고효율 탈수장치』를 제안하였는데,
상기 종래기술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별도의 에어펌프(400)와 제1배관(410)을 통해 각 필터벨트(210)(220) 상에 고압의 공기를 분사시키되, 제2배관(420)을 통해 호퍼(100) 내부의 공기와 수분이 함께 흡입 배출되도록 하여 필터벨트(210)(220)를 세척함과 동시에, 호퍼(100)내부에서의 강제흡기로 인해 1차탈수 효율을 높일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호퍼(100)내에서 1차탈수된 수분에는 이물질함유량이 높기 때문에 이러한 수분을 필터벨트(210)(220)에 분사할 경우 수분 내 이물질이 필터벨트(210)(220) 상에 묻으므로 필터벨트의 세척효과가 상쇄될 수밖에 없다.
특히 종래기술은 수분의 흡입량이 조절될 수 없는 구조이기 때문에 1차탈수 량이 많을 경우 그만큼 최종 토출되는 이물질 량도 많아져, 오히려 필터벨트의 오염정도가 세척전보다 높아지는 현상도 발생된다.
더구나 도면에서 볼 수 있듯이 제2배관이 아래를 향해 배설되어 있어, 그만큼 탈수된 수분이 자유 낙하하는 과정에서 제2배관으로 쉽게 유입되므로 흡입량이 많아질 수밖에 없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먼저 호퍼 내부공기를 흡입하여 필터벨트에 토출시킴에 따라 필터벨트 상에 묻은 슬러지 찌꺼기를 제거함과 동시에 1차탈수 효율이 높아지도록 하고,
흡기과정에서 함께 흡입되는 수분이 토출되지 않도록 걸러냄에 따라 수분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필터벨트가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호퍼 내 흡기량을 높이더라도 토출 전에 수분이 충분히 걸러질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함에 따라 1차탈수효율을 더욱 높일 수 있는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더불어 흡기방향을 개선함에 따라 호퍼내 수분의 흡입이 어렵도록 한 슬러지 탈수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유입구를 막은 상태로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이동되게 설치된 필터벨트와, 상기 필터벨트를 가압하도록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롤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수단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벨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는 메인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호퍼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연결흡기관 사이에 설치되고 내벽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편이 설치된 중공형상의 액분리관을 구비하여 상기 호퍼 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수분거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그 구성상의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바람직하게는, 상기 액분리관은,
공기 및 수분이 유입되는 중공관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메인흡기관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차단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흡기관과 연통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수분유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부를 더 구비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분거름수단은,
상기 메인흡기관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흡기관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특징적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기본적으로 호퍼내 공기를 강제로 흡입함에 따라 1차탈수효율이 높아짐은 물론, 흡기과정에서 공기와 함께 흡입된 호퍼내 수분이 수분거름수단에 의해 걸러져 토출되지 못하고 순수공기만 토출됨에 따라, 수분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한 필터벨트의 세척효율 저하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특히 수분흡입량 조절수단을 압력조절밸브 형태로 구현할 경우, 필요에 따라 외부공기를 메인흡기관내에 유입시키고 흡기압력을 조절하여 비중차이로 인해 수분만 걸러 수분거름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작업을 손쉽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분흡입량 조절수단을 흡기관 내에 돌출된 차단편 형태로 구현 할 경우, 호퍼 내 흡기량을 최대화 하더라도 대부분의 수분이동이 차단됨으로, 그만큼 1 차탈수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흡기방향이 보조흡기관과의 연결지점에서부터 위를 향하도록 함에 따라 메인흡기관으로 유입된 수분이 중력에 의해 쉽게 따라 올라가지 못함으로, 수분거름효과를 높일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호퍼(100)와 필터벨트(200), 가압롤러(300) 및 공기흡입장치(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호퍼(100)는 슬러지의 1차탈수가 이루어지는 부분으로, 탈수장치의 상부 일측에 위치되고 상부에는 탈수된 수분이 유입되는 유입구(110)가 형성되며 하단에는 수분의 배출을 위한 배출구(120)가 후술하는 공기흡입장치(400)의 액분리관(430)과 연결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호퍼(100)에서의 슬러지 1차탈수 및 추후 2차탈수는 별도의 필터벨트(20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필터벨트(200)는 다시 제1필터벨트(210)와 제2필터벨트(220)로 구분될 수 있다.
먼저 제1필터벨트(210)는 2차탈수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수분이 잘 통과될 수 있도록 부직포나 매쉬형태로 이루어지며, 탈수장치 일측에 위치한 제1구동롤러(R1)에 권취된 상태에서 복수개의 각 가압롤러(300)들에 감긴 상태로 설치되어 일정 궤도를 따라 이동된다.
그리고 제2필터벨트(220)는 슬러지의 최초공급 및 이송역할을 하는 부분으로, 역시 수분이 원활히 통과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며 제1필터벨트(210) 아래에 위치된 상태에서 탈수장치의 일측에 위치한 제2구동롤러(R2)에 감겨 제1필터벨트(210)와 별개의 궤도를 따라 이동된다.
이때 제2필터벨트(220) 중 일정구간은 각 가압롤러(300)에 감겨 있는 제1필터벨트(210) 상에 중첩됨에 따라 각 필터벨트(210)(220) 중 각 가압롤러(300)들을 지나는 구간에서는 상호 밀착된 상태가 되고 이러한 밀착구간에서 슬러지가 압착되어 제2탈수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2필터벨트(220)의 다른 구간은 상기 호퍼(100)의 유입구(110)위를 막은 상태로 지남에 따라 호퍼(100)는 밀폐된 상태가 되고, 제2필터벨트(220) 중 호퍼(100)위를 지나는 구간에서 1차탈수가 이루어지게 된다.
자세한 1차탈수 및 2차탈수과정은 후술하는 작용설명 과정에서 언급한다.
참고로 상기 각 가압롤러(300)의 개수나 위치는 원하는 2차탈수효율 등을 고려해 얼마든지 변형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기본적인 벨트프레스형 탈수구조를 갖는 슬러지 탈수장치에서 본 발명의 핵심구조인 공기흡입장치(400)가 추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흡입장치(400)는 1차탈수효율을 높임과 동시에 각 필터벨트(210)(220)의 세척기능을 하는 부분으로, 다시 흡기수단(410)과 메인흡기관(420), 액분리관(430), 연결흡기관(440) 및 수분거름수단(450)으로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연결흡기관(440)은 후술하는 흡기수단(410)에 의한 흡기 시 호퍼(100) 내 공기가 최초 유입되는 부분으로, 일단부가 호퍼(100)의 일측 경사면을 관통하여 호퍼(100)내부에 위치되는데, 이때 단부가 호퍼(100) 바닥을 향해 꺽이도록 함에 따라 1차탈수되어 위에서 떨어지는 수분이 직접적으로 유입되기 어렵도록 한다.
그리고 연결흡기관(440)의 타단부는 액분리관(430)에 연결되는데, 액분리관(430)은 연결흡기관(440)을 통한 흡기과정에서 함께 유입된 수분을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도 3] 및 [도 4]와 같이 중공관 형태를 갖는 몸체부(431)와, 몸체부(431)의 측면에 연결흡기관(440)과 연통되어 호퍼(100)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부(436)가 형성되고, 몸체부(431)의 상단에는 메인흡기관(420)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432)가 형성되고, 몸체부(431)의 측면에는 호퍼(100)의 하단에 설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구(120)와 연통되는 수분유입부(437)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액분리관(430) 중 연결흡기관(440)과의 연결지점 아래쪽은 배수관(130)을 통해 호퍼(100)의 배출구(12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431)의 하단에는 몸체부(431)에 저장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구(434)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액분리관(430)은 메인흡기관(420)을 통해 흡기수단(410)과 연결되는데, 메인흡기관(420)은 일단부가 액분리관(430)의 공기배출구(432)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흡기수단(410)의 흡기구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흡기수단(410)은 일반적인 흡입송풍기를 사용하며 배기구에는 흡입된 공기가 외부로 최종 토출되는 토출관(460)이 연결될 수 있고, 토출관(460)은 제1토출관(462) 및 제2토출관(464)으로 분할될 수 있다.
제1토출관(462)은 토출구가 제1필터벨트(210) 중 슬러지가 배출되는 지점, 즉 제2필터벨트(220)와 밀착되지 않는 지점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2토출관(464)은 토출구가 제2필터벨트(220) 중 제1필터벨트(210)와 밀착되지 않는 지점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렇게 흡기수단(410), 메인흡기관(420), 액분리관(430) 및 연결흡기관(440)을 구비한 공기흡입장치(400)에는 본 발명의 핵심구조인 수분거름수단(450)이 더 구비될 수 있다.
수분거름수단(450)은 호퍼(100) 내 공기를 흡입하는 과정에서 함께 유입된 수분이 토출되는 것을 1차적으로 막기 위한 것으로, 다시 압력조절밸브(452)와 차단편(454)을 구비할 수 있다.
먼저 차단편(454)은 호퍼(100)로부터 연결흡기관(440)을 통해 빨려 들어온 수분을 액분리관(430)에서 1차적으로 걸러내기 위한 것으로, 액분리관(430) 내벽으로부터 돌출된 판재 형태로 이루어지며, 상하 간격을 두고 적층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차단편(454)은 연결흡기관(440)의 내벽에 대하여 아래방향으로 예각을 가지며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차단편(454)은 연결흡기관(44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다. 차단편(454)을 이러한 구조로 구비시키는 이유는, 흡기과정에서 호퍼(100)내 수분의 비중이 큰 액상상태로 액분리관(430)에 유입될 경우 수분은 액분리관(430) 내벽면을 타고 상승되기 때문에 이렇게 내벽면상에 차단편(454)을 아 랫방향으로 경사지게 구비하면 벽면을 타고 올라가는 수분의 상승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기 때문이다.
만약 수분의 비중이 작은 비산상태로 유입될 경우 액분리관(430) 내부공간을 따라 상승되기 때문에 차단편(454)을 어느 정도는 통과하게 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이 차단편(454)을 적층형태로 설치함에 따라 상승과정에서 적층된 각 차단편(454)에 순차적으로 걸림으로, 아주 소량의 수분만이 메인흡기관(420)으로 빨려 들어간다.
그리고 이러한 차단편(454)과 더불어 수분거름수단(450)을 구성하는 압력조절밸브(452)는 흡기과정에서 메인흡기관(420)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고, 미처 차단편(454)에 걸러지지 않은 수분은 압력조절밸브(452)를 개방하여 외부공기를 메인흡기관(420) 내부로 유입시켜 흡기압력을 낮춤으로써 공기보다 비중이 높은 수분이 빨려올라가지 못하게 하여 비산상태의 수분의 유입을 보다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
이러한 압력조절밸브(452)는 일반적인 배관에 쓰이는 볼밸브나 체크밸브, 이젝터밸브 형태로, 메인흡기관(420) 상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외부와 메인흡기관(420) 내부가 선택적으로 연통되게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실시예에 의한 본 발명의 작용 및 그 과정에서 발생되는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슬러지가 호퍼(100)의 유입구 상에 위치한 제2 필터벨트(220) 상에 공급되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은 제2필터벨트(220)를 통과하여 호퍼(100) 내부로 떨어짐에 따라 1차탈수가 이루어지고, 호퍼(100)로 떨어진 수분은 배수관(130)을 따라 액분리관(430)으로 공급되어 수분배출구(434)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이렇게 1차탈수가 이루어진 슬러지는 제2필터벨트(220)를 따라 이동하다가 각 가압롤러(300)들이 위치한 구간을 지나면서 제1, 2필터벨트(210)(220)간 밀착에 의해 압착됨에 따라 2차탈수가 이루어지며 이때 빠져나온 수분은 별도의 집수부(미도시)에 집수된다.
그리고 2차탈수된 슬러지는 밀착구간을 빠져나옴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되어 별도 수거된다.
이러한 과정에서 제1, 2필터벨트(210)(220) 표면에는 슬러지 찌꺼기가 묻어 있는 상태가 되는데, 이렇게 표면에 묻어 있는 슬러지들을 제거해야만 재차 반복 실시되는 1, 2차 탈수가 원활이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제1, 2필터벨트(210)(220)의 세척과 더불어 1차탈수효율의 상승은 공기흡입장치(400)를 통해 이루어지는데, 그 과정을 설명하면,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1차탈수과정과 동시에 흡기수단(410)이 작동되면 호퍼(100) 내 공기가 연결흡기관(440)을 통해 액분리관(430)내부로 유입된다.
이때 호퍼(100)는 유입구(110)가 제2필터벨트(220)에 의해 막혀있는 상태이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호퍼내부 공기가 강제로 흡입됨에 따라 내부 압력변화에 의해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이 아래로 쉽게 빨려 내려와, 그만큼 1차탈수효율이 높아 진다.
그런데 이 과정에서 호퍼(100)내 공기와 더불어 1차탈수되어 떨어지는 수분 중 일부도 함께 액분리관(430)으로 유입되는데, 비중이 큰 액상의 수분은 유입됨과 동시에 액분리관(430) 내벽면을 타고 상승되다가 차단편(454)에 걸려 아래로 떨어진 후 수분배출구(434)을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리고 비중이 작은 비산상태의 수분도 상승과정에서 적층된 각 차단편(454)에 걸려 대부분 걸러진다. 하지만 미처 차단편(454)에 걸리지 않고 통과된 수분이 메인흡기관(420)으로 유입되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압력조절밸브(452)를 개방시키면 외부공기가 메인흡기관(420)내부로 유입됨에 따라 흡기압력이 낮아져, 결국 공기보다 비중이 높은 수분은 대부분 빨려 올라가지 못하고 공기만 빨려 올라가게 된다.
따라서 이렇게 메인흡기관(420)으로 흡입된 공기는 제1,2토출관(462)(464)을 통해 제1, 2필터벨트(210)(220)표면에 토출되어 슬러지 찌꺼기들을 털어내게 된다.
이렇게 대부분의 수분이 걸러진 상태의 공기로 제1,2필터벨트(210)(220)의 세척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분이 함께 토출되어 수분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필터벨트(210)(220)가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흡기방향이 액분리관(430) 내에서 위를 향해 이루지기 때문에 아래를 향해 이루어지는 종래기술에 비해 수분이 쉽게 딸려 올라가지 못하게 되는 효과도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는 기본적으로 호퍼(100)내의 공기를 흡입함에 따라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의 1차탈수효과를 높임과 동시에, 수분거름수단(450)을 통해 수분이 걸러진 상태에서 공기만이 제1,2필터벨트(210)(220)상에 토출됨에 따라, 종래기술에 비해 필터벨트 세척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또한 흡기방향이 아래에서 위를 향해 이루어지도록 함에 따라 수분이 쉽게 흡입되지 못하도록 한 것이 또 다른 특징이다.
참고로 압력조절밸브(452)나 차단편(454) 중 어느 하나만 사용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차단편(454)만을 사용할 경우 대부분의 수분은 차단편(454)에 의해 걸러져 차단편(454)을 통과한 수분은 아주 소량이기 때문에 제1,2필터벨트(210)(220)표면에 토출되더라도 오염도는 미비한 수준일 수밖에 없다.
또한 압력조절밸브(452)만을 사용할 경우 압력조절밸브(452)를 열어 메인흡기관(420)내부 압력만을 적절하게 저하시키면 호퍼(100) 내에서 공기보다 비중이 큰 수분은 빨려들어오지 못하고 공기만 빨려들어오게 된다.
그리고 [도 5]와 같이 액분리관(430)을 별도로 구비하지 않고 연결흡기관(440)이 메인흡기관(420)에 직접 연결되도록 하고 차단편(454)도 메인흡기관(420) 내벽에 형성시키더라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즉 액분리관(430)은 단순히 메인흡기관(420)으로부터 연장되어 차단편(454) 설치기능만을 갖고 있음으로, 액분리관(430)과 메인흡기관(420)은 동일개념을 갖는 구조로 판단되어야 한다.
더불어 앞에서 본 발명을 슬러지 탈수용도로만 기재하였으나, 만약 제2필터 벨트(220)의 필터구조를 치밀하게 구현한 상태에서, 슬러지 대신 빗물이나 각종 폐수를 제2필터벨트(220) 상에 부을 경우 폐수정화용도로 사용할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필터링 과정에서 제1,2필터벨트(210)(220)표면에 묻은 수분 내 이물질들을 공기흡입장치(400)를 통해 반복 세척할 수 있음으로, 필터 수명을 연장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장기간 사용하더라도 필터링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고 조합되어 실시될 수 있으나, 이러한 변형 및 조합이 일반적인 벨트프레스 방식의 슬러지 탈수장치에서 호퍼(100)내 공기를 흡입하여 각 필터벨트(210)(220) 표면을 세척하되, 별도의 수분거름수단(450)을 통해 흡입과정에서 수분이 포함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수분에 함유된 이물질에 의해 필터벨트(210)(220) 표면이 재차 오염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구조 및 목적과 관련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판단되어야 한다.
도 1 은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흡입장치가 구비되지 않은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2 는 종래 기술에 따른 공기흡입장치가 구비된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 은 본 발명에 따른 슬러지 탈수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 는 본 발명에 따른 액분리관의 내부구조를 나타내는 확대도.
도 5 는 본 발명에 따른 액분리관을 구비하지 않고 차단편이 메인흡기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00: 호퍼 110: 유입구
120: 배출구 200: 필터벨트
300: 가압롤러 400: 공기흡입장치
410: 흡기수단 420: 메인흡기관
430: 액분리관 431: 몸체부
432: 공기배출구 434: 수분배출구
436: 공기흡입부 437: 수분유입부
440: 연결흡기관 450: 수분거름수단
452: 압력조절밸브 454: 차단편
460: 토출관

Claims (4)

  1. 일측에 유입구가 형성된 호퍼와, 상기 유입구를 막은 상태로 상기 호퍼의 상부에서 이동되게 설치된 필터벨트와, 상기 필터벨트를 가압하도록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된 가압롤러와, 상기 호퍼의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호퍼 내의 공기를 흡입하는 공기흡입장치를 포함하는 슬러지 탈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기흡입장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수단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어 상기 필터벨트를 향해 공기를 배출하는 토출관과, 상기 흡기수단과 연결되는 메인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호퍼 내부를 연결하는 연결흡기관과, 상기 메인흡기관과 상기 연결흡기관 사이에 설치되고 내벽면을 따라 경사지게 형성된 차단편이 설치된 중공형상의 액분리관을 구비하여 상기 호퍼 내 공기와 함께 흡입된 수분의 이동을 차단하는 수분거름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액분리관은,
    공기 및 수분이 유입되는 중공관 형상을 갖는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상단에 상기 메인흡기관과 연통되는 공기배출구;
    상기 차단편의 하측에 설치되어 상기 연결흡기관과 연통되는 공기흡입부;
    상기 호퍼의 하단에 설치된 수분을 배출하는 배출구와 연통되는 수분유입부; 및
    상기 몸체부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몸체부에 저장된 수분을 배출하는 수분배출부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4.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분거름수단은 상기 메인흡기관의 내부압력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메인흡기관의 일측에 설치된 압력조절밸브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지 탈수장치.
KR1020090123148A 2009-12-11 2009-12-11 슬러지 탈수장치 KR1009693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48A KR100969315B1 (ko) 2009-12-11 2009-12-11 슬러지 탈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23148A KR100969315B1 (ko) 2009-12-11 2009-12-11 슬러지 탈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69315B1 true KR100969315B1 (ko) 2010-07-09

Family

ID=426453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23148A KR100969315B1 (ko) 2009-12-11 2009-12-11 슬러지 탈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931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31B1 (ko) 2012-03-22 2012-10-25 현대건설주식회사 진공벨트필터를 이용한 오염토양 탈수장치
KR101374389B1 (ko) * 2013-12-03 2014-03-19 설요한 탈수 슬러지 이송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06A (ja) * 1993-07-31 1995-02-10 Ii C Techno:Kk 泥状物用ベルト式濾過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706A (ja) * 1993-07-31 1995-02-10 Ii C Techno:Kk 泥状物用ベルト式濾過機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94931B1 (ko) 2012-03-22 2012-10-25 현대건설주식회사 진공벨트필터를 이용한 오염토양 탈수장치
KR101374389B1 (ko) * 2013-12-03 2014-03-19 설요한 탈수 슬러지 이송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40190908A1 (en) Continuous circulation sand filter and continuous circulation sand filtering method
AU2013222420B2 (en) Industrial separator and dewatering plant
CA2536300A1 (en) Apparatus for trapping floating and non-floating particulate matter
CN212187989U (zh) 一种排污装置
KR100969315B1 (ko) 슬러지 탈수장치
CN2936380Y (zh) 气浮冲洗式活性砂连续自动过滤器
KR101216049B1 (ko) 이젝터 집진 시스템
JP5051921B2 (ja) 洗浄水リサイクル機構付き吸引清掃車
CN107551768A (zh) 回流式压缩空气排水装置及其使用方法
CN108793466A (zh) 一种厨房污水处理方法
CN101972033B (zh) 涡流悬浮式皮籽分离机
CN201799147U (zh) 上向流纤维束过滤装置
CN110433544A (zh) 一种污水过滤装置
CN207371279U (zh) 一种服装生产用粉尘收集设备
CN208553532U (zh) 一种废气处理装置
CN207203743U (zh) 一种室内除尘装置
CN1515343B (zh) 一种用煤炭作为滤料的污水处理装置
JP2003190713A (ja) 夾雑物分離用除塵装置および夾雑物分離除塵システム
CN207838615U (zh) 一种用于微光谐振废气处理的喷淋除尘装置
CN208130724U (zh) 一种空气净化装置
CN105289079A (zh) 一种污泥带滤机用辊筒筛过滤装置
CN108758886A (zh) 一种空气净化水帘装置
CN105771380B (zh) 一种污水过滤除污装置
CN217698468U (zh) 一种除尘装置
CN219518356U (zh) 一种锂离子电池涂敷工序有机废气处理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5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03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24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