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849B1 -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 Google Patents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849B1
KR100968849B1 KR1020040066248A KR20040066248A KR100968849B1 KR 100968849 B1 KR100968849 B1 KR 100968849B1 KR 1020040066248 A KR1020040066248 A KR 1020040066248A KR 20040066248 A KR20040066248 A KR 20040066248A KR 100968849 B1 KR100968849 B1 KR 1009688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connecting shaft
cover
check
le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662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60017957A (ko
Inventor
박춘복
Original Assignee
(주)진일정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진일정공 filed Critical (주)진일정공
Priority to KR10200400662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8849B1/ko
Publication of KR200600179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179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8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5/00Other details
    • CCHEMISTRY; METALLURGY
    • C10PETROLEUM, GAS OR COKE INDUSTRIES; TECHNICAL GASES CONTAINING CARBON MONOXIDE; FUELS; LUBRICANTS; PEAT
    • C10BDESTRUCTIVE DISTILLATION OF CARBONACEOUS MATERIALS FOR PRODUCTION OF GAS, COKE, TAR, OR SIMILAR MATERIALS
    • C10B43/00Preventing or removing incrustation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xamining Or Testing Airtightnes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상승관의 곡관부에 형성된 점검구에 있어서, 하협상광의 형태로 내부가 관통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에 끼워지는 플랜지와, 전체적으로 하협상광의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밀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점검커버와, 상기 곡관부의 점검구 외연 양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고정대, 제2고정대와, 그 하부가 상기 제1고정대의 돌출부위와 결합되어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래킷과,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로 그 개방 하단이 상기 제2고정대의 돌출부위가 제1연결축으로 연결되고 그 고리의 상단은 아이볼트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바와, 그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막대에서 그 일측단이 상기 제1고정대의 상부와 제2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측단이 상기 링크바의 고리에 끼워지는 길이로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관통구멍에 고정된 부시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하단의 고정판은 상기 점검커버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연결되며 상단은 회전핸들에 고정된 스크루샤프트;를 포함하여, 점검커버의 개폐가 지속되어도 가스 누출이 차단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공해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The airtight device of inspection hole}
도 1은 종래 발명이 상승관의 곡관부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2는 도 1의 "가"부 확대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이 곡관부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단면도.
도 6는 본 발명이 곡관부에 설치되어 닫힌 평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참고도로써 (a)는 점검커버의 "나"부 확대도이고, (b)는 브래킷의 측면도이며, (c)는 링크바의 측면도이고, (d)는 레버의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플랜지 20. 점검커버
30. 제1고정대 40. 제2고정대
50. 브래킷 60. 링크바
70. 레버 80. 스크루샤프트
본 발명은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크스 오븐에 석탄를 장입하여 코크스를 건류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가스를 배출시키기 위하여 설치된 상승관의 곡관부 내부에 카본이 층착되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설치된 점검구를 기밀하게 밀폐시켜 가스 및 안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토록 한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코크스 오븐은 장입차로부터 장입되어지는 석탄을 탄화실내에서 고온으로 건류하여 고로의 열원으로 사용하기 적합한 크기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상기 코크스 오븐에서 발생된 가스가 배출되도록 상승관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승관에는 곡관부가 연결된 포집관이 형성되는데, 상기 상승관의 곡관부에서는 상기 상승관으로 배출되는 고온, 고압의 가스에 안수 스프레이로 분사하여 배출 가스의 온도을 낮춰 가스의 체적을 줄어들게 하여 화성 공장의 정제 공장으로 원활히 보내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분사되는 안수 중에서 타르(TAR) 성분과 오븐 탄화실에 석탄 장입시 발생되는 분콜이 포집관으로 일부가 유입되어 곡관부에 부착되므로 코크스 건류가 완료된 시점에서 카본이 형성되어 곡관부가 막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곡관부의 카본의 제대로 제거되지 않을 시에는 곡관부의 가스 이동이 원활치 못하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코크스 오븐에 석탄 장입 작업을 시작되면 이때 발생되는 가스가 포집관으로 포집되지 못하고 외부로 누출되므로 공해 발생은 물론 장입 설비를 손상시키게 되므로 상기 카본을 신속하게 제거가 되어야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도 1과 같이 스프레이(1)와 상승관 댐퍼(Damper)(2)를 닫고, 상승관 리드(Lid)(3)를 개방한 후 상승관(4)으로 부터 올라오는 화염을 방지하기 위해 고압의 에어를 투입함과 동시에 고열로 부터 작업자를 보호하기 위해 고열에 강한 작업복을 착용한 후 상승관 곡관부(5)의 일측에 개폐가 가능토록 설치된 점검구(6)를 통하여 상기 곡관부(5) 내부에 카본(7)의 부착 상태를 확인하고 카본(7)이 부착되어 있을 경우는 작업자가 상기 점검구(6)를 개방하여 수공구(8)로 카본을 제거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의 방법에서 곡관부 내부를 점검하고, 카본을 제거하기 위해 점검구를 계속 반복적으로 개폐가 이루어짐으로써 상기 배출되는 고압, 고압의 가스를 견디지 못하고 점검구 사이에 공간이 생겨 가스 및 안수가 누출되어 작업자의 안전에 큰 위험이 되고 유출된 가스가 환경 오염이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한 데 있는 것으로 점검구를 밀폐시키는 점점커브의 가압을 중앙에 위치시키고, 가압하는 구성 요소를 스크루샤프트 및 아이볼트로 이중으로 가압하여 플랜지와 점검커버가 밀착토록하며, 플랜지와 점검커버 공간사이로 누출되는 가스와 안수는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에 톱니형상의 돌기와 점검커버에 실링의 삽입으로 기밀을 유지토록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는 상승관의 곡관부에 형성된 점검구에 있어서, 하협상광의 형태로 내부가 관통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에 끼워지는 플랜지와, 전체적으로 하협상광의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밀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점검커버와, 상기 곡관부의 점검구 외연 양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고정대, 제2고정대와, 그 하부가 상기 제1고정대의 돌출부위와 결합되어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래킷과,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로 그 개방 하단이 상기 제2고정대의 돌출부위가 제1연결축으로 연결되고 그 고리의 상단은 아이볼트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바와, 그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막대에서 그 일측단이 상기 제1고정대의 상부와 제2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측단이 상기 링크바의 고리에 끼워지는 길이로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관통구멍에 고정된 부시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하단의 고정판은 상기 점검커버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연결되며 상단은 회전핸들에 고정된 스크루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를 제2연결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점검커버를 플랜지에 삽입하여 닫고 다시 레버의 타측단을 상기 링크바의 고리에 끼워 나사 결합된 아이볼트로 회전시켜 점검커버가 플렌지에 밀착되도록하며, 다시 스크루샤프트 에 고정된 회전핸들를 돌려 점검커버와 플렌지가 완벽히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켜 곡관부 내부의 고온, 고압 가스와 안수의 누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가 더 포함되어, 기밀을 더욱 견고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과 상기 점검커버의 측면이 만나는 구석에 둥근 환형상의 실링이 삽입되어, 곡관부 내부의 고온, 고압 가스와 안수의 누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을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를 나타낸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분해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이 곡관부에 설치되어 개폐되는 단면도이고, 도 6는 본 발명이 곡관부에 설치되어 닫힌 평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참고도로써 (a)는 점검커버의 "나"부 확대도이고, (b)는 브래킷의 측면도이며, (c)는 링크바의 측면도이고, (d)는 레버의 평면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 부호는 84은 스크루샤프트의 고정판이 회전이 원할토록 삽입되는 슬리브이고, 85는 고정판과 점검커버을 연결시키는 슬리브커버이다.
상기 도 3내지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은 플랜지(10)와, 점검커버(20)와, 제1고정대(30)와, 제2고정대(40)와, 브래킷(50)과, 링크바(60)와, 레버(70)와, 스크루샤프트(80)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 플랜지(10)는 곡관부(5) 내부의 고온, 고압 가스와 안수을 견디는 금속 재질로 하협상광의 형태로 내부가 관통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11)이 형성되어 상기 곡관부(5)에 끼워지는데, 걸림턱(11)이 곡관부(5)에 걸려 곡관부(5) 내부로 빠지지않게 고정되고 하협상광의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의 고온의 가스와 안수가 외부로 빠져나오는 것을 줄일 수 있다.
상기 점검커버(20)은 상기 플랜지(10)에 끼워져 고온, 고압의 가스와 안수가 새어나오지 못하게 기밀을 유지시키게 되는데, 이 또한 전체가 하협상광의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10)의 하협상광의 형태와 긴밀히 밀착된다. 그리고,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의 상면 중앙은 삽입홈(21)이 형성되고 상기 스크루샤프트(80)의 하단과 연결되어 스크루샤프트(80)의 회전시에는 점검커버(20)가 개폐되고, 가압될 때에는 점검커버(20)의 중앙으로부터 가압력을 받아 전체가 힘을 받게 된다.
상기 밀착턱(22)는 점검커버(20)의 상단 외주연에 형성되는데, 점검커버(20)가 플랜지(10)에 끼워져 곡관부(5)로 빠지는 것을 방지하고, 그 하면에는 돌기(23)가 상기 밀착턱(22)의 형태를 따라 톱니 형상의 돌기가 더 형성되어 플랜지(10)와 밀착턱(22)이 밀착된 사이로 새어나오는 가스와 안수를 다단계로 차단하게 된다.
상기 실링(24)은 상기 점검커버(20)의 말착턱(22) 하면과 상기 점검커버의 측면이 만나는 구석에 내열성과 발연황산, 질산에 우수하고, 내약품성이 최고 우수 한 합성 고무 재질인 바이톤(Viton)를 이용하여 둥근 환형상의 링을 끼워넣어 고무 재질의 특성인 연성을 이용하여 상기 플랜지(10)와 상기 점검커버(20)의 공간사이를 기밀하게 밀착시키게 된다.
상기 제1고정대(30)와 제2고정대(40)는 곡관부(5) 위의 점검구 외연 양쪽에 형성되는데, 제1고정대(30)와 제2고정대(40)는 상기 브래킷(50), 링크바(60)와 결합되기 위해 돌출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다.
상기 브래킷(50)은 막대형으로 하부가 상기 제1고정대(30)의 돌출부위와 결합되어 상방향으로 세워지게 한다.
상기 링크바(60)는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61)로 개방된 하단이 상기 제2고정대(40)의 돌출부위와 제1연결축(62)으로 연결되어 제1연결축(62)으로 중심으로 회동되고, 그 고리(61)의 상단은 아이볼트(63)가 나사 결합으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아이볼트(63)의 회전으로 상하로 이동되고, 상기의 링크바(60)를 상기 레버(70)와 연결할 때에는 링크바(60)를 회동시켜 상기 레버(70)를 고리(61)에 끼워 아이볼트(63)를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면 아이볼트(63)에 의해 가압되는 레버(70)는 점검커버(20)를 플랜지(10)쪽으로 밀면서 플랜지(10)와 더욱 밀착된다.
상기 링크바(60)를 회동시켜 상기 레버(70)를 고리(61)에 끼워 아이볼트(63)를 회전시키면 아이볼트(63)가 이동하면서 레버(70)를 가압하여 점검커버(20)와 플랜지(10)가 밀착되게 한다.
상기 레버(70)는 막대로 형성되고 중앙에 뚫린 관통구멍(71)에 부시(81)가 고정되며 상기 부시(81)에 관통되게 스크루샤프트(80)가 삽입되어 스크루샤프트 (80)를 회전시키면 점검커버(20)를 가압하게 된다. 그리고, 일측단은 상기 제1고정대(30)의 상부와 제2연결축(72)으로 연결되어 제2연결축(72)을 중심을 회동되어 레버(70)를 좌우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타측단은 상기 링크바(60)의 고리(61)에 걸리는 길이로 형성되어 링크바(60)의 고리(61)에 끼워져 상기 아이볼트(63)의 회전에 가압된다.
상기 스크루샤프트(80)는 상기 레버(70)의 관통구멍(71)에 고정된 부시(81)를 관통하여 삽입되는데, 하단은 상기 점검커버(20)의 삽입홈(21)에 삽입되어 연결되고 상단은 회전핸들(83)이 연결되어 회전핸들(83)을 돌리면 상하 이동을 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크루사프트(80)는 상기 상기 점검커버(20)와 연결되는데, 고정판(82)이 고정된 하단을 점검커버(20)의 삼입홈(21)에 삽입하고 고정판(82) 위에 슬리브(84), 슬리브커버(85)를 차례대로 올리고 슬리브커버(85)를 고정하면 점검커버(20)의 삽입홈(21)에 삽입된 고정판(82)이 상기 스크루샤프트(80)가 회전할 때 회전이 원할토록 유지시키고 슬리브커버(85)가 점검커버(20)에 체결되어 있어 스크루샤브트(80)가 상하 이동을 할때 점검 커버(20)를 개폐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는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스프레이(1)와 상승관 댐퍼(Damper)(2)를 닫고, 상승관 리드(Lid)(3)를 개방한 상태에서 곡관부(5) 내부에 층착되어 있는 카본을 제거하기 위해 점검커버(20)를 개방하게 된다.
먼저, 아이볼트(63)를 회전하여 레버(70)에 가압되던 힘을 제거하고 링크바(60)을 제1연결축(62)을 중심으로 회동시켜 링크바(60)의 고리(61)를 레버(70)의 범위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에 스크루샤프트(80)를 회전하여 점검커브(20)를 플랜지(10)에서 분리시키게 된다.
이어서, 회전핸들(83) 또는 래버(70)를 당겨 제2연결축(72)으로 회동시켜 점검커버(20)를 플랜지(10)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와 같은 작동으로 점검커버(20)를 개방시킨 후에 곡관부(5)에 부착된 카본(7)을 제거하게 된다.
상기의 카본(7) 제거 작업이 완료되면 점검커버(20)를 닫게 되는데, 이때는 상기의 점검커버(20)를 개방하는 역순으로 점검커버(20)를 제2연결축(72)의 중심으로 회동시켜 플랜지(10)에 밀착되게 닫고 레버(70)의 타측단을 링크바(60)의 고리(61)에 걸어 아이볼트(63)로 가압하여 점검커버(20)가 기밀이 유지되게 밀폐시키게 된다.
상기에서 스크루샤프트(80)는 몸체가 나사형으로 형성되어 내부가 나사형으로 형성된 부시(81)에 결합되어 상기 스크루샤프트(80)의 상단에 고정된 회전핸들(83)을 회전시킴으로서 점검커버(20)를 상하 이동시켜 플랜지(10)와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된다.
또한, 실링(24)과 점검커브(20)의 밀착턱(22) 하면에 톱니형상의 돌기가 더 형성되어 플랜지(10)와 점검커버(20)의 공간사이로 누출되는 가스와 안수를 차단하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에 의하면, 점검커버의 가압을 중앙에서 하고, 스크루샤프트 및 아이볼트가 이중으로 가압하여 플랜지와 점검커버가 밀착토록하여 기밀을 유지시키고, 또한 플랜지와 점검커버 공간사이로 누출되는 가스와 안수는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에 형성된 톱니형상의 돌기와 점검커버에 삽입된 실링으로 차단함으로써 곡관부 내부의 고온 고압의 가스와 안수가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고 점검커버의 개폐가 용이하며, 점검커버의 개폐가 지속되어도 가스 누출이 차단되어 작업 능률을 향상시키고 공해방지를 예방할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 범위에 의해서만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상승관의 곡관부에 형성된 점검구에 있어서,
    하협상광의 형태로 내부가 관통되고 상단 외주연에 걸림턱이 형성되어 상기 점검구에 끼워지는 플랜지;
    전체적으로 하협상광의 형상을 가지며 그 상면 중앙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상단 외주연에 밀착턱이 형성되어 상기 플랜지에 삽입되면서 기밀을 유지시키는 점검커버;
    상기 곡관부의 점검구 외연 양쪽에 돌출되게 형성된 제1고정대, 제2고정대;
    그 하 부가 상기 제1고정대의 돌출부위와 결합되어 상방향으로 고정되는 브래킷;
    일측 방향으로 개방된 고리로 그 개방 하단이 상기 제2고정대의 돌출부위가 제1연결축으로 연결되고 그 고리의 상단은 아이볼트로 관통되게 결합되어 상기 제1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링크바;
    그 중앙에 관통구멍이 형성된 막대에서 그 일측단이 상기 제1고정대의 상부와 제2연결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2연결축을 중심으로 회동하며 타측단이 상기 링크바의 고리에 끼워지는 길이로 형성된 레버; 및
    상기 레버의 관통구멍에 고정된 부시를 관통하여 삽입되고 하단의 고정판은 상기 점검커버의 삽입홈에 삽입되어 회전되게 연결되며 상단은 회전핸들에 고정된 스크루샤프트;를 포함하여,
    상기 레버를 제2연결축으로 회동시켜 상기 점검커버를 플랜지에 삽입하여 닫고 다시 레버의 타측단을 상기 링크바의 고리에 끼워 나사 결합된 아이볼트로 회전시켜 점검커버가 플렌지에 밀착되도록하며, 다시 스크루샤프트에 고정된 회전핸들를 돌려 점검커버와 플렌지가 완벽히 밀착시켜 기밀을 유지시켜 곡관부 내부의 고온, 고압 가스와 안수의 누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에 톱니 형상의 돌기;가 더 포함되어,
    기밀을 더욱 견고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점검커버의 밀착턱 하면과 상기 점검커버의 측면이 만나는 구석에 둥근 환형상의 실링이 삽입되어,
    곡관부 내부의 고온, 고압 가스와 안수의 누출을 방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KR1020040066248A 2004-08-23 2004-08-23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KR10096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48A KR100968849B1 (ko) 2004-08-23 2004-08-23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66248A KR100968849B1 (ko) 2004-08-23 2004-08-23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57A KR20060017957A (ko) 2006-02-28
KR100968849B1 true KR100968849B1 (ko) 2010-07-14

Family

ID=37125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66248A KR100968849B1 (ko) 2004-08-23 2004-08-23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84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6974A (zh) * 2012-08-06 2012-11-21 山西鑫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热解炉的荒煤气导出冷凝自动控制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950A (en) * 1973-09-06 1976-11-09 Bloom Engineering Company, Inc. Leveler door for coke ovens
US4145259A (en) 1977-06-09 1979-03-20 Bloom Engineering Company, Inc. Closure members
KR19990030165U (ko) * 1997-12-29 1999-07-26 이구택 장입차 상승관 커버 밀폐장치
KR19990040923U (ko) * 1998-05-11 1999-12-06 신동수 훈제기용 도어개폐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90950A (en) * 1973-09-06 1976-11-09 Bloom Engineering Company, Inc. Leveler door for coke ovens
US4145259A (en) 1977-06-09 1979-03-20 Bloom Engineering Company, Inc. Closure members
KR19990030165U (ko) * 1997-12-29 1999-07-26 이구택 장입차 상승관 커버 밀폐장치
KR19990040923U (ko) * 1998-05-11 1999-12-06 신동수 훈제기용 도어개폐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86974A (zh) * 2012-08-06 2012-11-21 山西鑫立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煤热解炉的荒煤气导出冷凝自动控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17957A (ko) 2006-0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25969B2 (en) Pipe flange leakage spray shield device having over-center locking mechanism
CN101379325A (zh) 快速动作闸门
CN104565668A (zh) 锁扣式卡具快速夹紧封堵导流装置及快速封堵方法
KR100968849B1 (ko)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US6409150B2 (en) Pin valve with removable valve body cover
CN209394615U (zh) 带气换球阀工装
KR100419771B1 (ko) 고로 출선구 폐쇄보조기구
CN105965204A (zh) 膨胀节特种修复方法
CN215627652U (zh) 一种麦尔兹活性石灰窑窑壳裂缝的密封防护装置
CN211649483U (zh) 管道堵漏装置
CN212107457U (zh) 煤气管道泄漏点带压堵漏结构
CN112576846B (zh) 配件装置及包括其的维修阀
US4172769A (en) Coke oven door seal and jamb
CN104373744B (zh) 一种球锁式抢修堵漏板及利用其抢修管道的方法
CN110322980B (zh) 一种带安全联锁的双盖密封转运装置
CN106623300A (zh) 罐车挂钩锁紧式蒸汽密闭清洗装置
KR20060068566A (ko) 상승관 곡관부의 점검구 밀폐장치
CN219142510U (zh) 一种针对管类零件油压检测设备系统
CN210170880U (zh) 一种提取罐出料口结构
CN219176955U (zh) 一种具有防护结构的高炉煤气放散阀
KR200401778Y1 (ko) 볼밸브 구조를 갖는 스팀건
CN209530347U (zh) 一种锅炉废气排放除尘装置
KR200301053Y1 (ko) 건류말기 개스폭발음 방지 및 내장연화 보호장치
KR200216596Y1 (ko) 고로 풍구용 랜스 착탈 장치
KR20130002578U (ko) 배관 압력 테스트용 막음공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