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8059B1 - 제습품 - Google Patents

제습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8059B1
KR100968059B1 KR1020047017725A KR20047017725A KR100968059B1 KR 100968059 B1 KR100968059 B1 KR 100968059B1 KR 1020047017725 A KR1020047017725 A KR 1020047017725A KR 20047017725 A KR20047017725 A KR 20047017725A KR 100968059 B1 KR100968059 B1 KR 1009680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chambers
chamber
product
dehumidif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70177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16388A (ko
Inventor
데이비드 베드포드
리차드 할부트
Original Assignee
레킷트 뱅키저 (유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GB0210293A external-priority patent/GB0210293D0/en
Application filed by 레킷트 뱅키저 (유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레킷트 뱅키저 (유케이)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0500163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163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80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80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26Drying gases or vapou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3/12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 F24F3/14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eatment of the air otherwise than by heating and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dehumidific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rying Of Gases (AREA)

Abstract

제습품은 시트 재료의 지지부(2)와, 단지 일측 상의 지지부에 의해서 유지되는 복수 개의 챔버들(12)을 구비하고, 각 챔버는 용해제를 수용하고 증기 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 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된다. 상기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세장형이고 실질적으로 서로 평행하다. 제습품은 챔버 둘레에서 지지부의 최외측부를 갖는 저장 형태와, 도시된 바와 같이 펼쳐진 작동 형태를 갖는다.
제습품, 챔버, 지지부

Description

제습품{DEHUMIDIFYING PRODUCT}
본 발명은, 수증기를 흡수하기 위한, 특히 제한적이지는 않지만 한정된 공간내의 공기를 제습하기 위한 제품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공기 중의 습기 또는 수증기는, 수증기가 식료품, 화장품, 의약품, 가정 용품 및 의류와 같은 습기 민감성 재료의 저장을 방해할 수 있거나 또는 작동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에 종종 바람직하지 않다. 이 문제는 고온 다습한 기후를 갖는 나라들과 같이 습기 수준이 특히 높은 지역들에서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흔히 공기를 제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기를 제습하는 전통적인 방법들은 기계적 냉장 장치 및 실리카겔과 같은 흡수제 물질의 사용을 포함한다.
통상적으로, 냉장 장치를 채택하는 방법들은 공기를 그 이슬점 아래의 예정된 온도로 냉각시키는 것을 수반하여, 물이 공기로부터 응결되어 물이 빠질 수 있도록 한다. 그 후에, 공기가 예정된 더 따뜻한 온도로 재가열될 수 있다. 흡수제 물질을 포함하는 기술들은 물이 제1 사이클에서 흡수제에 의해 흡수된 다음 제2 사이클에서 열을 적용하여 상기 흡수제로부터 물이 제거되도록 연속적인 작동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통상적으로, 이들 기술들은 통상 수증기가 공기로부터 연속적으로 흡수되도록 파이프망에 의해 상호 연결되는 대형 중장비, 예컨대 컴프레서, 팬 및 히터를 필요로 하기 때문에 여러 단점을 갖는다. 일반적으로, 그러한 시스템들은 한정된 또는 제한된 공간에서의 작동에 부적당하다. 더욱이, 그러한 시스템들에 관련된 비용은 가정 환경에서 그들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한다.
전술한 시스템을 한정된 또는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는 것과 관련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시도로, 공기를 흡수제 물질에 노출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대안적인 기술들이 개발되어 왔다. 특히, 제한된 또는 한정된 공간, 특히 가정 환경에서 공기를 제습하기 위하여 흡수제 물질을 수용하는 밀봉된 증기 투과성 용기를 포함하는 휴대용 소형 장치가 채택되었다.
비록, 이들 장치에 실리카겔과 같은 흡수제 물질을 채택할 수 있지만, 통상적으로 실리카겔은 물 중량의 30%까지만 흡수하기 때문에 수명을 늘리고 장치의 효율을 개선시키기 위해서는 보다 높은 수증기 흡수 용량을 갖는 흡수제를 채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적합하게는, 물 중량의 4 내지 5배 흡수할 수 있는 흡수성 용해제, 예컨대 염화칼슘을 그러한 장치에 채택할 수 있다. 수증기의 흡수시, 용해제는 용해되어 액체를 형성한다.
비록, 이들 장치는 한정된 또는 제한된 공간, 특히 가정 환경에서 수증기를 흡수하는 것과 관련된 문제를 여하간에 해결하지만, 그러한 장치는 대형이고 설계의 미관이 떨어진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시트 재료의 지지부와, 단지 일측 상의 지지부에 의해서 유지되는 복수 개의 챔버들을 구비하고, 각 챔버는 용해제를 수용하고 증기 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 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는 세장형이다. 그러한 챔버는 서로 실질적으로 평행한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습품은 챔버 둘레에서 지지부의 최외측부를 갖는 저장 형태(stowed configuration)와, 지지부가 챔버의 둘레에 있지 않는 작동 형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챔버는, 예컨대 일단 포화되면 개별 교체를 허용하도록 제거 가능하게 지지부 상에 장착된다.
제습품은 지지부에 챔버를 추가하거나 지지부로부터 챔버를 제거함으로써 제습품의 성능을 조정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는다. 이와 달리, 막은 그 공기 통로를 조정하는 완충 수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댐핑 수단은, 예컨대 전환(turning) 또는 슬라이딩 유형의 기계적인 완충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작동 형태에서, 지지부는 일반적으로 평면형이다. 그러나, 이것은 항상 그럴 필요는 없다. 제습품은 사용시 성형품 위에 안착되도록 배치되어 그 형태를 추종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지부는 챔버 둘레에 없다. 챔버는 지지부의 일측면에서 모두 충분히 노출된다.
지지부는 저장 상태로 롤링될 수 있도록 가요성 시트 재료일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지지부는 자체 지지형 시트 재료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저장 형태로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선을 갖는다. 그러한 실시예에서, 저장 형 태의 제습품의 단면은 삼각형, 장방형(바람직하게는 정방형) 또는 6각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절곡선은 스코어링(scoring)에 의해 얇게 될 수 있다. 이것은 몰딩 공정으로부터 또는 별개의 스코어링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시트 재료는 절곡선을 얇게 할 필요가 없도록 충분히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저장 형태에서 챔버가 공간 효율적인 방식으로 함께 패킹하는 양만큼 이격된다.
바람직하게는, 세장형 챔버를 채택할 때, 챔버는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개의 측면,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측면을 갖는 프리즘이다.
바람직하게는, 제습품은 3 내지 10개의 챔버, 가장 바람직하게는 3 내지 6개의 챔버를 구비한다. 제습품이 절곡될 수 있는 유형인 경우에, 챔버의 개수는 제습품이 저장 형태에서 갖는 측면의 개수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각 챔버는 지지부와 접촉하는 면과, 이 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하는 하나 이상의 면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하나 이상의 면은 막(이하, 막 윈도우라 칭함)에 의해 덮이는 개구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각 챔버의 단면은, 예컨대, 반원형, 삼각형 또는 장방형(바람직하게는 정방형)일 수 있다. 바람직한 챔버는 삼각형 프리즘이다. 바람직하게는, 챔버의 상방으로 돌출하는 상부면이 막 윈도우를 갖는다. 전방으로 돌출하는 하부면은 원한다면 막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제3면은 통상적으로 지지부와 맞닿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각 챔버의 막과 용해제가 접촉한다. 바람직하게는, 각 챔버 는 용해제로 채워지거나 약간 많이 채워져서, 막이 용해제와 맞물리거나 약간 변형되게 한다.
용해제의 겔 상태를 평가하기 위하여 막을 가압하여 챔버 내에서 용해제의 포화를 결정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용해제는 용해제의 포화를 나타내는 인디케이터(indicator)로서 작용하는 칼라 변화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소정의 제습품에서, 챔버는 모두 동일할 필요는 없다. 챔버는 (모두 동일한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상이한 크기일 수 있다. 챔버는 모두 동일한 용해제를 수용하지만 상이한 양을 수용하고, 또는 상이한 예포화 수준의 전제조(exmanufacture)를 가질 수 있다. 챔버는 상이한 면적의 막 윈도우를 가질 수 있다. 챔버는 상이한 투과성을 갖는 상이한 막을 채택할 수 있다. 모든 챔버가 동일하면, 동시에 포화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그러나, 챔버가 상이하면, 상이한 시간에 포화에 도달할 수 있다. 하나의 챔버만이 한번에 포화에 도달하면, 교체를 위해 그 챔버를 제거할 수 있고, 그 제거되는 도중에도 제습품은 다른 챔버 또는 챔버들에 의해 제습을 여전히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용해제는 25℃에서 적어도 자체의 중량의 물을 흡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해제는 수증기의 흡수시에 액체 또는 겔을 형성하여 액체가 스며나오도록 한다. 바람직한 용해제는 염화칼슘 및/또는 염화망간을 포함하는 데, 그 이유는 이들이 허용가능한 물 흡수 능력을 보일 뿐만 아니라 비교적 부식성이 아니기 때문이다.
적절하게는, 전술한 용해제를 녹말 등의 바인더, 향수 및 항균제 또는 그 조합에서 선택된 기타 용제와 혼합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염화폴리비닐, 폴리에틸렌 및 폴리프로필렌 등의 열가소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플라스틱 재료, 바람직하게는 염화폴리비닐, 폴리에스테르, 폴리프로필렌 및 폴리에틸렌 등의 열가소성 재료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는, 챔버는 몰딩 공정에 의해, 바람직하게는 (예컨대, 진공 성형에 의해)플라스틱 재료의 시트로부터 또는 (예컨대, 사출 성형에 의해)용융 상태의 폴리머 재료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개구는 몰딩 공정으로 형성되거나, 순차적으로 형성된 다음, 막에 의해 폐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많은 적절한 막은 시판 중이고 및/또는 문헌에 개시되어 있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0g,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g, 가장 바람직하게는 2,000g의 수증기/m2/일을 허용할 수 있는 재료가 선택된다. 적절한 막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테르 및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막은 접착제 시일 또는 가열 시일에 의해 챔버에 고정될 수 있다.
제습품은 바람직하게는 제습품의 일단부로부터 현수될 수 있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형태는, 예컨대 벽의 후크를 수용하는 구멍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그 자체가 후크 형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임의의 유형의 형태는 지지부에 또는 지지부 자체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챔버에는 측방향 플랜지가 형성되고, 지지부에는 지지부의 일측면으로부터 돌출된 탱(tang)이 형성될 수 있어, 챔버가 축방향 슬라이딩 이동에 의해 지지부 상의 위치로 미끄러질 수 있음으로써, 측방향 플랜지가 탱의 아래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제습품은 별도의 부품, 예컨대 보유 밴드 또는 이차 패키징의 지원 없이 그 저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본래의 특성에 의해 또는 기계적 장치, 예컨대 프레스 스터드(press stud)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저장 형태에서 외측을 향하는 지지부의 표면은, 예컨대 상표 마크, 그래픽, 설명문 등이 인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인쇄된 이차 패키징이 없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습품은 최대 보관 수명을 갖고 /갖거나 고객의 실리를 위해 판매시점까지 증기 및 액체 불투과성 패키징 내에 포장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그러한 패키징은 투명한 필름일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러한 막 대신에 각 막 윈도우의 위에 박리 커버 스트립이 제공될 수 있고, 상기 커버 스트립은 사용을 위해 제거된다.
삭제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장소, 바람직하게는 밀폐된 장소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는 방법이 제공되고, 상기 방법은, a)제1 양태의 제습품을 그 저장 형태에서 작동 형태로 변형시키는 단계와, b)그 제습품을 상기 장소에 배치하는 단계를 순서에 관계없이 포함한다.
이제, 본 발명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일례로서 더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사용 형태로 있는 본 발명의 제습품의 제1 실시예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건조 챔버의 구성 요소의 확대 사시도.
도 3은 접힌 형태로 있는 도 1의 제습품의 사시도.
도 4는 일부 저장 형태로 있는 제습품의 제2 실시예의 사시도.
도 1에 도시된 제습품은 자체 지지형 열가소성 시트 재료의 지지부(2)를 구비한다. 상기 지지부는 거의 장방형이고 4개의 절곡선들(4)을 갖는데, 이 절곡선들은 모두 지지부의 하부의 짧은 측부(5)에 평행하고 사용시 실질적으로 수평이다. 절곡선들에서 시트 재료는 스코어링 단계에 의해 얇게 되어 있다. 절곡선에 의해, 지지부는 [2개의 만곡된 하부 코너부를 갖는 하부 구역(6')은 별 문제로 하고] 4개의 동일한 장방형 구역(6)으로 분할된 것으로 볼 수 있고, 지지부의 상단에서 상부 현수 구역(8)은 봉투 덮개(envelop flap) 형태를 갖고 그 정점 근처에 구멍(10)이 있다.
각 4개의 장방형 구역에서, 지지부는 건조제를 수용하는 세장형 챔버(12)를 구비한다. 4개의 구역과 챔버를 이하에서는 "건조 구역"과 "건조 챔버"라 칭한다. 각 건조 챔버는 세장형의 등변 삼각형 프리즘이다. 따라서, 동일한 3개의 삼각형 면을 갖는다. 한 면은 지지부와 맞닿고 다른 2개의 면들은 전방으로 돌출하여 정점선(14)에서 종결한다. 각 챔버의 전체 주변 둘레에는 림 또는 플랜지(16)가 있다. 각 장방형 건조 구역(6)에는 지지부의 평면으로부터 올라간 탱(tang)(18)이 형성되어 있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랜지(16)의 측부 가장자리는 이들 탱 아래에 배치되어 건조 챔버를 지지부에 고정시킨다. 각 챔버에는 3개의 탱, 즉 챔버의 각 코너를 향해 각각 배치된 한쌍의 하부 탱과, 중앙 위치에서 챔버의 다른 측부상에 단일이 탱이 있다. 플랜지(16)는 건조 챔버가 그 건조 구역에서 우발적으로 슬라이딩하는 것이 제한되도록 탱과 마찰 결합하고 있다. 이를 위해, 플랜지와 탱의 치수는 탱이 플랜지에 의해 약간 탄성적으로 변위되도록 정해진다.
각 건조 챔버는 일반적으로 자체 지지형 몰딩 플라시틱 구성이다. 그러나, 지지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는 면은 각각 막 윈도우를 갖는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 이것은 TYVEK(등록 상표)의 증기 투과성 및 액체 불투과성 막(20)에 의해 덮인 (몰딩 작업에 의해 또는 순차적으로 달성된)큰 장방형 개구(19)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작 편의를 위해 TYVEK의 단일 시트가 사용된다. 막의 밀봉은 접착제 또는 열 적용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이어서, 용해제가 막(20)과 접촉하는 상태로 챔버를 완전히 채우도록 용해제를 챔버 내에 도입하고, 증기 및 액체 불투과성의 보통의 플라스틱 필름(22)에 의해 제3 벽을 폐쇄한다. 용해제는 막(20)과의 접촉을 유지한다.
용해제는 이 실시예에서 과립 형태의 염화칼슘이다.
일단 4개의 챔버가 마련되면, 챔버가 지지부 상의 위치로 미끄러져서 도 1에 도시된 펼친 작동 형태를 형성한다. 이 구조는 보관 및 운반을 위해 도 3에 도시된 접은 상태 또는 저장 상태의 정방형 박스 형태(24)로 절곡될 수 있다. 이제, 지지부는 챔버 둘레에서 연장한다는 것을 알 것이다. 챔버는 지지부의 "포장" 내측에서 깔끔하게 함께 패킹되거나 포개져 있다. 이 포갬(nesting)은 챔버의 삼각형 단면과, 지지부 상에서 평행하지만 이격된 관계와 모두 상관한다. 상부 현수 구역(8)은 지지부의 최하부 건조 구역(6') 위에 놓인다. 원한다면, 작은 후크 또는 절곡 탭이 구멍(10)을 통해 연장되어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을 행할 수 있다. 이와 달리, 간단한 부착 장치, 예컨대 프레스 스터드 또는 VELCRO(등록 상표) 패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의 구조에서, 지지부는 광고 및 정보를 목적으로 충분한 자유 표면적을 제공한다. 판매할 때에 제품을 제공하는데 추가로 바람직한 것은 제품 주위에서 증기에 대해 불투과성인 저렴하고 깨끗한 플라스틱 막이 전부이다. 따라서, 고가의 소비적인 이차 패키징이 최소화된다.
도 4는 다음의 관점에서만 도 1 내지 도 3의 실시예와 다른 제2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삼각형 프리즘 형태의 세장형 건조 챔버(6)가 단 3개만 존재한다.
-저장 형태의 제습품이 삼각형 프리즘 형태이다.
-각 건조 챔버는 단 하나의 막 윈도우(18)를 갖는다. 이 막 윈도우는 사용시 챔버의 2개의 상방 돌출면의 상부면에 있다.
-3개의 건조 챔버는 상이한 투과성의 막을 가지고, 동시에 포화에 도달하지 않는다.
-지지부의 상부 현수 구역(8)에는 구멍 대신에 일체식 후크(26)가 존재한다.

Claims (13)

  1. 시트 재료의 지지부와, 단지 일측 상의 상기 지지부에 의해서 지지되는 복수 개의 챔버들을 구비하고, 각 챔버는 용해제를 수용하고 증기 투과성인 동시에 액체 불투과성인 막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제한되는 제습품으로서,
    상기 제습품은 챔버들 주위에서 지지부 최외측부를 갖는 저장 형태와, 지지부가 챔버들 주위에 있지 않는 작동 형태를 갖는 제습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은 세장형인 제습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챔버들은 서로 평행한 제습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저장 형태로 절곡될 수 있도록 절곡선을 갖는 자체 지지형 시트 재료인 제습품.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저장 형태로 롤링될 수 있도록 가요성 시트 재료인 제습품.
  7.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은 3 내지 10개의 측면을 갖는 프리즘 형태인 제습품.
  8.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3 내지 10개의 챔버를 갖는 제습품.
  9.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은 모두 동일하지 않는 제습품.
  10.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들은 지지부 상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제습품.
  11. 밀폐된 장소로부터 수증기를 흡수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 1 항 내지 제 3 항, 제5항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제습품을 상기 밀폐된 장소에 배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증기의 흡수 방법.
  12. 삭제
  13. 삭제
KR1020047017725A 2002-05-04 2003-05-02 제습품 KR1009680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0210293.7 2002-05-04
GB0210293A GB0210293D0 (en) 2002-05-04 2002-05-04 Product
PCT/GB2003/001924 WO2003093733A1 (en) 2002-05-04 2003-05-02 Dehumidifying produc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388A KR20050016388A (ko) 2005-02-21
KR100968059B1 true KR100968059B1 (ko) 2010-07-08

Family

ID=417833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7017725A KR100968059B1 (ko) 2002-05-04 2003-05-02 제습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805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897A (en) * 1964-03-26 1967-09-26 Participations Et Procedes Ind Dehydrating device
KR910000664Y1 (ko) * 1988-11-12 1991-02-08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제습용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43897A (en) * 1964-03-26 1967-09-26 Participations Et Procedes Ind Dehydrating device
KR910000664Y1 (ko) * 1988-11-12 1991-02-08 후마끼라 가부시끼가이샤 제습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16388A (ko) 2005-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13942A (en) Regenerative desiccant bundle
US5009308A (en) Controlled rate adsorbent unit and method of fabrication thereof
US2979268A (en) Combination package and diffusion device
KR100968059B1 (ko) 제습품
AU2003229982B2 (en) Dehumidifying product
KR100949052B1 (ko) 제습 장치
EP1469933B1 (en) Device for absorbing water vapour
KR101019376B1 (ko) 제습 제품
BRPI0615674A2 (pt) cartucho para o tratamento de um gás, uso do mesmo, método de tratamento de um gás, e, processo para a fabricação de um cartucho
JP3242261U (ja) 内部キャビティを備える除湿バッグ
KR20050030895A (ko) 제습품
JPS6125849Y2 (ko)
KR20050008704A (ko) 제습 장치
JPS6155884B2 (ko)
CN216469254U (zh) 一种包装装潢用具备防潮功能的包装盒
JPH02229522A (ja) 除湿剤包装体
JP2548886Y2 (ja) 除湿器
JPH06280110A (ja) 調湿材
GB2384727A (en) Humidity control device with means for indicating moisture absorbed
JP3090561U (ja) 吸湿シート
JP3031018U (ja) 除湿シート
ES2287375T3 (es) Dispositivo deshumidificador.
SU1687100A1 (ru) Охлаждаемое хранилище дл сыпучего сельскохоз йственного продукта
KR200405594Y1 (ko) 차량용 제습시트
JPH0593829U (ja) 吸湿マ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9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1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9

Year of fee payment: 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