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7889B1 -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7889B1
KR100967889B1 KR1020080010723A KR20080010723A KR100967889B1 KR 100967889 B1 KR100967889 B1 KR 100967889B1 KR 1020080010723 A KR1020080010723 A KR 1020080010723A KR 20080010723 A KR20080010723 A KR 20080010723A KR 100967889 B1 KR100967889 B1 KR 1009678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hydro
imidazol
ethanol
iminobenzo
substitu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07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4502A (ko
Inventor
김범태
허정녕
혁 이
장성연
박노균
최경자
Original Assignee
한국화학연구원
주식회사경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화학연구원, 주식회사경농 filed Critical 한국화학연구원
Priority to KR10200800107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7889B1/ko
Publication of KR200900845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45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78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78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4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two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A01N43/50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 A01N43/521,3-Diazoles; Hydrogenated 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three ring hetero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23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ole or hydrogenated 1,3-diazole rings, condensed with other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5/04Benzimidazoles; Hydrogenated benzimidazo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Abstract

본 발명은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는 특히 식물 역병에 대한 살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1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로 치환된 페녹시메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이다.

Description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ANTIBACTERIAL COMPOSITION CONTAINING 2-IMINOBENZOIMIDAZOLE DERIVATIVES}
본 발명은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특히 식물 역병에 대한 살균 효과가 우수한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원예 분야의 유해생물 중에서 병원균은 해충, 잡초 등과 비교할 때 가장 쉽게 저항성을 발현하기 때문에, 기존 농업용 살균제를 반복 사용할 경우 병원균의 저항성 문제가 심각하다. 따라서, 새로운 작용 기작을 갖는 농업용 살균제 개발을 통한 효과적인 제어기술의 확립이 필요한 실정이다.
80년대 초에 개발된 메탈락실(metalaxyl), 옥사디실(oxadixyl), 벤알락실(benalaxyl), 푸랄락실(furalaxyl) 등의 RNA 생합성 저해제인 페닐아마이드 살균제의 경우, 도입 초기에는 역병 및 노균병에 대하여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냈으나, 곧 이에 대한 저항성이 발생하여 사용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80년대 및 90년대에 개발되어 살균제 시장의 주류를 형성한 스테롤 생합성 저해제(DMI)인 플루실라졸(flusilazole), 페나리몰(fenarimol), 누아리몰(nuarimol), 트라이포린(triforine), 이마잘릴(imazalil), 트라이플루미졸(triflumizole), 비터탄올(bitertanol), 트라이아디메폰(triadimefon), 헥사콘아졸(hexaconazole), 프로피콘아졸(propiconazole), 트라이아디멘올(triadimenol) 등은 기타 일반 곰팡이병에 대하여는 우수한 방제 효과를 나타내지만, 다른 곰팡이와 분류학적으로 상이하고 세포벽의 조성물 및 세포 소기관도 상이한 역병균 및 노균에 대하여는 거의 방제 효과가 없었다.
이외에도, 90년대 말부터 개발되고 있는 스트로비룰린(strobilurin)계 살균제는 기존의 방제제와는 달리 일반 곰팡이와 역병 및 노균병균 모두를 방제할 수 있는 혁신적인 살균제로서, 다국적 회사인 바스프(BASF), 신게타(Syngenta) 및 바이어(Bayer) 등에 의하여 아족시스트로빈(azoxystrobin), 크레속심-메틸(kresoxim-methyl), 트라이플록시스트로빈(trifloxystrobin), 파이라클로스트로빈(pyraclostrobin) 등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들 스트로비룰린계 살균제들 역시 역병균 및 노균병균에 대해서는 다른 병균들에 대해서보다 방제 효과가 많이 떨어진다. 따라서, 약제 저항성균 발생을 억제하기 위해, 다양한 약제를 교차적으로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남아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역병에 대한 살균 효과가 우수한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2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로 치환된 페녹시메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이다.
본 발명에 따른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함유하는 살균제 조성물은 식물 역병, 특히 토마토 역병에 대한 살균 효과가 매우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3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로 치환된 페녹시메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 다이아졸-5(4H)-온이다.
상기 화학식 1의 화합물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은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헵틸;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클로로 또는 메틸로 치환된 벤질이고;
R2가 치환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의 브로모, 클로로,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메틸, 메톡시 또는 2개의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1개의 클로로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인 화합물이다.
상기 화학식 1의 벤조싸이아졸 유도체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는 하기와 같다.
1)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1-페닐에탄올
2)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3)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1-(나프탈렌-1-일)에탄올
4) 1-(3,4-다이클로로페닐)-2-(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5)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6)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7)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브로모페닐)에탄올
8)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브로모페닐)에탄올
9) α-[1,1'-바이페닐]-4-일-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2-프로페닐)-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10)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11) α-(3,4-다이클로로페닐)-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2-메틸페닐)메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12) α-(3,4-다이클로로페닐)-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4-메틸페닐)메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13)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14) α-(3,4-다이클로로페닐)-3-[2-(다이에틸아미노)에틸]-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15)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2-몰폴리노에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16)1-(3,4-다이클로로페닐)-2-(1-헵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17) 1-(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3-페녹시프로판-2-올
18)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9)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0) 1-(4-메톡시페녹시)-3-(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1) 1-(p-톨릴옥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2) 1-(4-메톡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3)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4)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25)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페녹시페닐)에탄올
26)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7) 1-(3,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8)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9)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30)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1)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3)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4)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5)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2,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36) 4-(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2-하이드록시프로필)-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는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거나, 국제 특허 제 WO 03/105779 호에 개시된 방법 등에 의해 제조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1로 나타낸 반응에 의해 화학식 1a의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4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로 치환된 페녹시메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이다.
우선, 출발 물질인 2-아미노벤조이미다졸(화합물 2)를 메틸에틸케톤 혹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THF, 톨루엔과 같은 용매에 녹이고, 알킬 브로마이드(화합물 3)를 여기에 가한다. 이경우, 상기 화합물 2와 상기 화합물 3은 1 : 1 내지 1 : 5 당량비, 바람직하게는 1 : 1.25 당량비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키고, 염 형태로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화합물 4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출발 물질인 2-아미노벤조이미다졸(화합물 2)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화합물 4와 브로모아세틸 화합물 5를 1 : 1 내지 1 : 5 당량비, 바람직하게는 1: 1.5 당량비로 톨루엔과 같은 용매에 녹이고 4시간 내지 하루 동안 환류 반응시키거나, 이들을 메틸에틸케톤 혹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THF, 톨루엔과 같은 용매에 녹이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반응시킨 후, 염 형태로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여 케톤 화합물 6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케톤 화합물 6을 메탄올에 녹이고, 여기에 소듐 보로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를 화합물 6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5 당량으로 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내지 하루 동안 반응시켜 화합물 1a를 수득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R2가 치환되지 않거나 치환된 페녹시메틸인 하기 화학식 1b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5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X는 H 이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 아릴옥시이다.
페놀 화합물 7을 포타슘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의 존재 하에 메틸에틸케톤 혹은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THF, 톨루엔과 같은 유기 용매 중에서 알릴 브로마이드와 환류 반응시킴으로써 알릴이 치환된 에테르 화합물 8a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알릴 브로마이드는 화합물 7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발 물질인 페놀 화합물 7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알릴 페닐 에테르 화합물 8a를 다이메틸설폭사이드와 증류수(4:1)의 혼합 용액과 같은 용제에 녹이고, 0℃ 내지 실온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NBS)와 반응시켜 화합물 9a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N-브로모숙신 이 미드는 화합물 8a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 반응식 1의 화합물 4와 화합물 5로부터 화합물 6을 수득하는 반응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9a와 R1이 치환된 2-아미노벤조이미다졸 화합물 4로부터 화합물 1b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화합물 4는 화합물 9a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에서, R2가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인 하기 화학식 1c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3에 나타낸 바와 같은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6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H이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상기 반응식 1의 화합물 4와 화합물 5로부터 화합물 6을 수득하는 반응과 유사한 방법을 사용하여, 화합물 4와 R4가 치환된 아이속사졸 화합물 12로부터 화합물 13을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화합물 12는 화합물 4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출발 물질인 아이속사졸 화합물 12는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수득된 케톤 화합물 13을 메탄올에 녹이고, 소듐 보로 하이드라이드와 같은 환원제를 가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내지 하루 동안 반응시켜 화합물 1c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소듐 보로 하이드라이드는 화합물 13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화학식 1에서 R2가 3-(4-클로로페닐)-4-메틸-1,2,4-옥사다이아졸-5(4H)-온인 화학식 1d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반응식 4와 같은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7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H이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기이다.
먼저, R1이 치환된 2-아미노벤조이미다졸(화합물 4)과 R1가 치환된 옥사다이아졸온 화합물 9b를 메틸에틸케톤, 아세톤, 아세토니트릴, THF, 톨루엔, 디메틸포름아미드 등과 같은 용제에 녹이고, 환류 반응시킨다. 이 경우, 화합물 9b는 화합물 4에 대하여 1 내지 3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R1이 치환된 2-아미노벤조이미다졸 4은 상업적으로 입수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침전물을 여과하여 화합물 1d를 수득할 수 있다.
상기 반응에 사용한 옥사다이아졸온 화합물 9b는 하기 반응식 5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8
먼저, 4-클로로벤조나이트릴(화합물 10)과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을 포타슘 카보네이트와 같은 염의 존재 하에 메탄올과 같은 용매 중에서 환류 반응시켜 옥심 화합물을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염은 화합물 10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포타슘 카보네이트는 화합물 10에 대해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4-클로로벤조나이트릴(화합물 10)은 상업적으로 구입 가능하거나, 용이하게 합성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옥심 화합물을 트라이에틸아민과 같은 염기 존재 하에 0℃ 내지 실온에서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와 반응시켜 1,2,4-옥사다이아졸-5(4H)-온 화합물 11을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트라이에틸 아민은 화합물 10에 대하여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는 화합물 10에 대하여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2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화합물 11을 아세토나이트릴과 같은 용제 중에서, KF 와 촉매량의 18-크라운-6 존재 하에, 알릴 브로마이드와 반응시켜 알릴이 치환된 화합물 8b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KF는 화합물 10에 대하여 1 내지 10 당량, 바람직하게는 4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고, 알릴 브로마이드는 화합물 11에 대하여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3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수득된 알릴 화합물 8b를 다이메틸 설폭사이드와 증류수(4:1)의 혼합 용액과 같은 매질 중에서 0℃ 내지 실온에서 N-브로모숙신이미드와 반응시켜 화합물 9b를 수득할 수 있다. 이 경우, N-브로모숙신이미드는 화합물 10에 대하여 1 내지 5 당량, 바람직하게는 1.5 당량으로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의 2-아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 중 하기 화학식 1c1d의 화합물은 신규한 물질로서, 본 발명은 또한 신규한 이들 화합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09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H,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0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H,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는 식물 역병에 대한 살균제 조성물의 활성 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0.01 내지 90 중량%의 양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살균제 조성물은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 이외에, 부형제로, 적당한 고체 담체, 액체 담체 또는 기타 적당한 보조제, 예를 들면 계면활성제, 접착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살균제 조성물은 활성 성분과 상기 부형제를 혼합하여 농업용 조성물로 제제화시켜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농업용 조성물로 제제화하는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은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 가능한 고체 담체로는 활석, 점토, 벤토나이트, 피로필라이트, 카올린, 규조토, 실리카 등이 있고, 액체 담체로는 크실렌, 톨루엔, 메틸나프탈렌, N-알킬피롤리돈 등이 있고, 계면활성제로는 비이온계면활성제(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페닐에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에스테르), 음이온 계면활성제(예를 들면, 알킬벤젠술폰산염, 리그닌술폰산염 및 디나프틸메탄술폰산염)등이 있고, 접착제로는 폴리비닐알코올,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 아라비아고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활성 성분으로 함유 하는 살균제 조성물은 분말, 수화분말, 과립, 유화농축물, 현탁액 용액, 훈증제, 기체, 페이스트 등으로 제조되며, 토양뿐만 아니라 농업생산물, 묘종, 종자 등을 살균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적당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탄화수소, 아세톤 또는 알코올에 균일하게 용해시켜 유화농축물 또는 현탁액 용액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무기 분말 및 적당한 계면활성제와 혼합하고, 미세 분말이 되도록 분쇄 및 균질화하여 수화 분말을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조성물은 바람직한 농도의 물로 희석하여 사용할 수 있고, 무기 분말과 혼합한 후, 균질하게 파쇄 및 혼합하여 분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외에도 상기의 조성물에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 식물생장조절제 등과 같은 기타의 농화학물질과 배합하거나, 이들을 영양물질과 혼합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 다이클로로페닐 )에탄올의 합성(화합물 24)
단계 1: 1-(4-클로로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1
2-아미노벤조이미다졸(0.27 g, 2.0 mmol, 알드리치)을 메틸에틸케톤(10 mL)에 녹이고, 4-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0.51 g, 2.5 mmol)를 가한 후, 4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켜, 염으로 침전된 생성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메틸에틸케톤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0.44 g, 65%)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48 (d, 2H, J = 8.1 Hz), 7.31 (d, 2H, J = 8.1 Hz), 7.19-7.07 (m, 4H), 5.13 (s, 2H), 4.45 (br s, 2H)
단계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2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1-(4-클로로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0.26 g, 0.76 mmol)을 10mL의 톨루엔에 녹이고, 여기에 2-브로모-2',4'-다이클로로아세토페 논(0.32 g, 1.2 mmol)을 가한 후, 4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켰다. 이어서, 염으로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톨루엔과 노말 헥세인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0.39 g, 95%)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9.12 (br s, 1H), 8.21 (d, 1H, J = 8.5 Hz), 7.89 (d, 1H, J = 2.0 Hz), 7.76 (dd, 1H, J = 2.4 Hz, J = 8.5 Hz), 7.68-7.65 (m, 1H), 7.55-7.46 (m, 3H), 7.36-7.29 (m, 4H), 5.91 (s, 2H), 5.55 (s, 2H)
단계 3: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3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온(0.44 g, 0.84 mmol)을 메탄올(20mL)에 녹이고,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0.11 g, 2.9 mmol)를 천천히 더한 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10% 염산 용액을 가하여 반응을 종결시킨 다음, 메탄올을 감압 증류하였다. 여기에 에틸아세테이트를 가하고, 증류수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0.37 g, 98%)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9.22 (br s, 1H), 7.82 (d, 1H, J = 8.4 Hz), 7.59-7.25 (m, 10H), 6.26 (br s, 1H), 5.56 (s, 2H), 5.32-5.29 (m, 1H), 4.53-4.35 (m, 2H)
실시예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 페녹시페닐 )에탄올의 합성(화합물 25)
단계 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페녹시페닐)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2-브로모-2',4'-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대신 2-브로모-1-(4-페녹시페닐)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6%)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9.22 (br s, 1H), 8.12 (d, 1H, J = 8.8 Hz), 7.59-7.14 (m, 16H), 6.02 (s, 2H), 5.58 (s, 2H)
단계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페녹시페닐)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온 대신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 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페녹시페닐)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88%)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38 (d, 1H, J = 8.5 Hz), 7.31-6.65 (m, 17H), 5.79 (br s, 1H), 5.19-5.17 (m, 1H), 4.92 (s, 2H), 4.25-4.11 (m, 2H)
실시예 3: 1-(2,4- 다이클로로페녹시 )-3-(1-(4- 클로로벤질 )-1,2- 다이하이드로 -2-이 미노벤조[d]이미다 졸-3-일)프로판-2-올의 합성(화합물 26)
단계 1: 1-(알릴옥시)-2,4-다이클로로벤젠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4
2,4-다이클로로페놀(16 g, 0.10 mol)을 아세톤(150 mL)에 녹인 용액에 K2CO3(17 g, 0.12 mol)와 알릴 브로마이드(10 mL, 0.12 mol)를 첨가하고, 8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킨 다음, 실온으로 냉각하였다. 이어서, 고체 성분을 여과하여 제거하고, 여액을 감압 증류한 다음,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노말 헥세인)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20 g, 96%)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34 (d, 1H, J = 2.6 Hz), 7.13 (dd, 1H, J = 2.5 Hz, J = 8.8 Hz), 6.80 (d, 1H, J = 8.8 Hz), 6.07-5.98 (m, 1H), 5.47-5.28 (m, 1H), 4.57-4.55 (m, 2H)
단계 2: 1-(2,4-다이클로로페녹시)-3-브로모프로판-2-올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5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1-(알릴옥시)-2,4-다이클로로벤젠(9.07 g, 44.7 mmol)을 다이메틸설폭사이드와 증류수(4:1)의 혼합 용액(24 mL)에 녹인 후, 찬물 수조로 냉각한 상태에서 N-브로모석신이마이드(8.7 g, 49 mmol)를 서서히 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 시켰다. 여기에 다이에틸에테르를 가하고, 증류수와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키고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로 분리하여 표제 화합물(11.9 g, 89%)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31 (d, 1H, J = 2.5 Hz), 7.14 (dd, 1H, J = 2.5 Hz, J = 8.8 Hz), 6.81 (d, 1H, J = 8.8 Hz), 4.38-4.23 (m, 3H), 4.09-4.02 (m, 2H), 3.01 (t, 1H, J = 6.5 Hz)
단계 3: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6
출발 물질로 2-브로모-2',4'-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대신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1-(2,4-다이클로로페녹시)-3-브로모프로판-2-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4%)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8.93 (br s, 1H), 7.62-7.23 (m, 11H), 5.68 (br s, 1H), 5.43 (s, 2H), 4.44-4.29 (m, 3H), 4.18-4.06 (m, 2H)
실시예 4: 1-(3,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 미노벤조[d]이미다 졸-3-일)프로판-2-올의 합성(화합물 27)
출발 물질로 2,4-다이클로로페놀 대신 3,4-다이클로로페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1-(알릴옥시)-3,4-다이클로로벤젠(74%)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출발 물질로 1-(알릴옥시)-2,4-다이클로로벤젠 대신 1-(알릴옥시)-3,4-다이클로로벤젠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1-(3,4-다이클로로페녹시)-3-브로모프로판-2-올(72%)을 제조하였다. 이어서, 출발 물질로 1-(2,4-다이클로로페녹시)-3-브로모프로판-2-올 대신 1-(3,4-다이클로로페녹시)-3-브로모프로판-2-올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6%)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8.92 (br s, 1H), 7.65-7.23 (m, 11H), 5.62 (br s, 1H), 5.49 (s, 2H), 4.45-4.28 (m, 3H), 4.19-4.07 (m, 2H)
실시예 5: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 닐아이속사 졸-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28)
단계 1: 1-프로필-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7
출발 물질로 4-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 프로필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6%)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44 (d, 1H, J = 7.5 Hz), 7.16-7.05 (m, 3H), 4.55 (br s, 2H), 3.89 (t, 2H, J = 7.5 Hz), 1.90-1.78 (m, 2H), 1.00 (t, 3H, J = 7.5 Hz)
단계 2: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8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1-프로필-1H-벤조[d]이미다졸-2-아민(100 mg, 0.57 mmol)과 2-브로모-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0.15 g, 0.57 mmol, 알드리치)을 메틸에틸케톤(4.0 mL)에 녹이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다이에틸에테르(40mL)를 가하고, 초음파 처리한 다음, 염으로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다이에틸에테르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94 (s, 2H), 8.18 (s, 1H), 8.05~8.02 (m, 2H), 7.7 (dt, J = 5.8, 6.4 Hz, 2H), 7.62~7.58 (m, 3H), 7.41~7.31 (m, 2H), 5.89 (s, 2H), 4.22 (t, J = 7.2 Hz, 2H), 1.78 (q, J = 7.3 Hz, 2H),0.98~0.88 (m, 3H)
단계 3: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19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0.15 g, 0.42 mmol)을 10mL의 메탄올에 녹이고,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47 mg, 1.3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여기에 1N HCl을 가해 반응을 종결시키고,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7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71 (d, J = 1.3 Hz, 1H), 7.70 (d, J = 2.0 Hz, 1H), 7.42~7.37 (m, 3H), 7.08~6.89 (m, 4H), 6.67 (d, J = 0.9 Hz, 1H), 5.61 (s, 1H), 5.36~5.34 (m, 1H), 4.47 (t, J = 2.7 Hz, 2H), 3.83 (t, J = 7.2 Hz, 2H), 1.78 (q, J = 7.3 Hz, 2H), 0.98 (t, J = 7.4 Hz, 3H)
실시예 6: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 프로필벤조[d]이미다졸 -3-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29)
단계 1: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2-브로모-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2-브로모-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93 (s, 2H), 8.20 (s, 1H), 8.07 (dd, J = 1.8, 6.7 Hz, 2H), 7.75~7.68 (m, 4H), 7.40~7.31 (m, 2H), 5.88 (s, 2H), 4.22 (t, J = 6.9 Hz, 2H), 1.77 (dd, J = 7.3, 14.5 Hz, 2H), 0.94 (q, J = 6.4 Hz, 3H)
단계 2: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3%)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63 (t, J = 2.1 Hz, 2H), 7.37~7.34 (m, 2H), 7.06~6.91 (m, 3H), 6.85~6.80 (m, 1H), 6.61 (d, J = 0.8 Hz, 1H), 6.21 (s, 1H), 5.32~5.28 (m, 1H), 4.43~4.30 (m, 2H), 3.68 (t, J = 7.2 Hz, 2H), 1.73 (dt, J = 7.3, 14.7 Hz, 2H), 0.91 (dt, J = 14.9 Hz, 3H)
실시예 7: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 닐아이속사 졸-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0)
단계 1: 1-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0
출발 물질로 4-클로로벤질 브로마이드 대신 벤질 브로마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84%)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47 (d, 1H, J = 7.5 Hz), 7.35-7.32 (m, 3H), 7.19-7.09 (m, 5H), 5.16 (s, 2H), 4.49 (br s, 2H)
단계 2: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1-프로필-1H-벤조[d]이미다졸-2-아민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합 성한 1-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9.15 (s, 2H), 8.19 (d, J = 2.0 Hz, 1H), 8.04 (t, J = 2.0 Hz, 2H), 7.75~7.60 (m, 5H), 7.52 (s, 2H), 7.42~7.17 (m, 6H), 5.91 (d, J = 16.6 Hz, 2H), 5.53 ( d, J = 15.8 Hz, 2H)
단계 3: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8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7.43~7.38 (m, 3H), 7.28~7.24 (m, 4H), 7.16 (t, J = 3.7 Hz, 2H), 7.05~6.90 (m, 3H), 6.76 (d, J = 7.6 Hz, 1H), 6.63 (d, J = 0.9 Hz, 1H), 5.34~5.32 (m, 1H), 4.90 (s, 2H), 4.42~4.40 (m, 2H)
실시예 8: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 (3-(4-클 로페닐) 아이속사졸 -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1)
단계 1: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2-브로모-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2-브로모-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9.14 (s, 2H), 8.21 (s, 1H), 8.07 (dd, J = 1.9, 6.7 Hz, 2H), 7.76 (dd, J= 3.0, 6.1 Hz, 1H), 7.69 (dd, J = 1.9, 6.7 Hz, 2H), 7.54 (dd, J = 3.0, 6.2 Hz, 1H), 7.45~7.32 (m, 8H), 5.93 (s, 2H), 5.56 (s, 2H)
단계 2: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1-프로필-1H-벤조[d]이미다졸-2-아민 대신 1-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을,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67%)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7.62 (d, J = 4.7 Hz, 2H), 7.37 (d, J = 4.7 Hz, 2H), 7.36~7.23 (m, 4H), 7.20~7.14 (m, 2H), 7.07~6.83 (m, 3H), 6.81 (t, J = 6.0 Hz, 1H), 6.61 (d, J = 0.9 Hz, 1H), 6.04 (s, 2H), 5.32 (dd, J = 6.3, 9.9 Hz, 1H), 4.99 (s, 2H), 4.44 (t, J = 6.0 Hz, 2H)
실시예 9: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 페닐아이속사졸 -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2)
단계 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1-프로필-1H-벤조[d]이미다졸-2-아민 대신 1-(4-클로로벤질)-1H-벤조[d]이미다졸-2-아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9.21 (s, 2H), 8.03 (s, 1H), 7.81~7.76 (m, 2H), 7.62~7.60 (m, 1H), 7.57~7.23 (m, 11H), 5.96 (d, J = 10.4 Hz, 2H), 5.51 (d, J = 40.1 Hz, 2H)
단계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 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87%)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71 (d, J = 2.6 Hz, 1H), 7.69 (d, J = 3.4 Hz, 1H), 7.42~7.39 (m, 4H), 7.19 (d, J = 8.4 Hz, 2H), 7.07~6.90 (m, 5H), 6.71 (d, J = 7.6 Hz, 1H), 6.61 (d, J = 0.7 Hz, 1H), 5.32 (t, J = 3.9 Hz, 1H), 4.86 (s, 2H), 4.39 (t, J = 2.6 Hz, 2H)
실시예 10: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 클로로페닐 ) 아이속사졸 -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3)
단계 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출발 물질로 2-브로모-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2-브로모-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을 정량적으로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9.21 (s, 1H), 8.23 (d, J = 3.6 Hz, 1H), 8.08 (d, J = 8.4 Hz, 2H), 7.79~7.56 (m, 1H), 7.69 (d, J = 8.4 Hz, 2H), 7.56~7.27 (m, 8H), 5.95 (s, 2H), 5.59 (s, 1H)
단계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출발 물질로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 대신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의 단계 3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2%)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42~7.39 (m, 2H), 7.38~7.21 (m, 4H), 7.10~6.91 (m, 5H), 7.39 (d, J = 7.4 Hz, 1H), 6.60 (d, J = 1.0 Hz, 1H), 5.33~5.29 (m, 1H), 4.89 (s, 2H), 4.46~4.35 (m, 2H)
실시예 1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 다이클로로페닐 ) 아이속사졸 -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4)
단계 1: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의 합성
실시예 1의 단계 1에서 합성한 1-(4-클로로벤질)-1H-벤조[d]이미다졸-2(3H)-이민(120 mg, 0.44 mmol) 및 2-브로모-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1-온(150 mg, 0.44 mmol)을 톨루엔(10 mL)에 녹이고, 하루 동안 환류 반응시켰다. 이어서, 염으로 침전된 생성물을 여과하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0.21 g, 91%)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8.33 (d, J = 2.0 Hz, 1H), 8.29 (s, 1H), 8.06 (dd, J = 2.0, 8.4 Hz, 1H), 7.90 (d, J = 8.4 Hz, 1H), 7.76 (q, J = 3.0 Hz, 1H), 7.57~7.49 (m, 3H), 7.37 (q, J = 9.5 Hz, 4H), 5.92 (s, 2H), 5.57 (s, 2H)
단계 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의 합성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0.15 g, 0.30 mmol)을 메탄올(5.0 mL)에 녹이고, 소듐보로하이드라이드 (33 mg, 0.87 mmol)를 가하고 실온에서 하루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제거하고, 생성물을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녹인 후, 포화 탄산수소나트륨 수용액과 포화 염화나트륨 수용액으로 세척하였다. 이어서,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감압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0.12g, 8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83 (d, J = 1.5 Hz, 1H), 7.50~7.48 (m, 2H), 7.25 (d, J = 6.9 Hz, 1H), 7.11~6.94 (m, 5H), 6.76 (d, J = 7.5 Hz, 1H), 6.60 (s, 1H), 5.30 (s, 3H), 4.90 (s, 2H), 4.48 (d, J = 11.4 Hz, 2H)
실시예 12: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2,4- 다이클로로페닐 ) 아이속사졸 -5-일)에탄올의 합성(화합물 35)
출발 물질로 2-브로모-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1-온 대신 2-브로모-1-(3-(2,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1-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1의 단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정량적으로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2,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온을 얻었고, 이를 출발 물질로 하여 실시예 11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50%)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53 (d, J = 8.4Hz, 1H), 7.45 (d, J = 2.0 Hz, 1H), 7.30~7.22 (m, 3H), 7.11 (d, J = 8.5 Hz, 1H), 7.05 (d, J = 1.1 Hz, 1H), 7.02~6.89 (m, 3H), 6.74(d, J = 7.1 Hz, 1H), 6.67 (d, J = 0.7 Hz, 1H), 5.35 (dt, J = 6.3, 7.3 Hz, 1H), 5.29 (s, 1H), 4.88 (s, 2H), 4.48 (dd, J = 2.2, 14.9 Hz, 2H), 4.37 (dd, J = 5.6, 14.9 Hz, 2H)
실시예 13: 4-(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2- 하이드록시프로필 )-3-(4- 클로로페닐 )-1,2,4- 옥사다이아졸 -5(4H)-온의 합성(화합물 36)
단계 1: 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1
하이드록실아민 염산 염(14 g, 0.20 mol)을 증류수(50 mL)에 녹이고, 포타슘 카보네이트(14 g, 0.10 mol)를 가하였다. 이 용액을 4-클로로벤조나이트릴(14 g, 0.10 mol)을 메탄올(100 mL)에 녹인 용액에 서서히 첨가하였다. 24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킨 후, 실온으로 냉각하고, 메탄올을 감압증류하고,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하였다. 이어서,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옥심 생성물(25 g, 97%)을 수득하였다. 이 옥심 생성물을 메틸렌 클로라이드(200 mL)에 녹이고, 얼음 수조로 냉각한 상태에서 트라이에틸아민(14 mL, 0.10 mol)을 가한 후,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9.5 mL, 0.10 mol)를 서서히 가하고, 실온에서 4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 혼합물을 증류수로 세척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증발시켜 고체 생성물(25 g)을 수득하였다. 이 생성물에 5% 수산화나트륨 용액(100 mL)을 가하고, 6시간 동안 환류시킨 후 냉각하고, 35% HCl로 산성화 시켰다. 생성물의 물층을 메틸렌클로라이드로 추출하고, 무수 황산마그네슘으로 건조한 후, 용매를 감압 증류하여 표제 화합물(17 g, 88%)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11.52 (br s, 1H), 7.68 (d d, 4H, J = 10.8Hz, J = 74.3Hz)
단계 2: 4-알릴-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2
상기 단계 1에서 합성한 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2.0 g, 10 mmol)을 아세토나이트릴(50 mL)에 녹이고, KF(2.3 g, 40 mmol)와 18-크라운-6(촉매량)을 가하고, 이어서 알릴브로마이드(2.6 mL, 30 mmol)을 가한 후, 24시간 동안 환류 반응시켜 표제 화합물(2.4 g, 93%)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59-7.51 (m, 4H), 5.92-5.79 (m, 1H), 5.33-5.14 (m, 2H), 4.29-4.26 (m, 2H)
단계 3: 4-(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3
출발 물질로 1-(알릴옥시)-2,4-다이클로로벤젠 대신 상기 단계 2에서 합성한 4-알릴-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의 단계 2와 같은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74%)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CDCl3) δ 7.72-7.52 (m, 4H), 4.44-4.31 (m, 1H), 4.16-4.11 (m, 2H), 4.01-3.75 (m, 2H), 2.58 (br s, 1H)
단계 4: 4-(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2-하이드록시프로필)-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의 합성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4
출발 물질로 2-브로모-2',4'-다이클로로아세토페논 대신 상기 단계 3에서 합성한 4-(3-브로모-2-하이드록시프로필)-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 5(4H)-온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단계 2과 동일한 방법으로 표제 화합물(54%)을 수득하였다.
1H-NMR (300 MHz, DMSO) δ 8.96 (br s, 1H), 7.80 (d, 1H, J = 8.4Hz), 7.68 (d, 1H, J = 8.4Hz), 7.48-7.09 (m, 10), 8.53 (br s, 1H), 5.48 (s, 2H), 4.35-4.18 (m, 2H), 4.09 (br s, 1H), 3.95-3.91(m, 1H), 3.73-3.65(m, 1H)
상기 실시예 1 내지 13의 방법으로 제조한 화합물 및 상업적으로 구입한 몇가지의 화합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생물 검정법을 이용하여 토마토 역병에 대한 살균 활성을 검토하였다.
합성하거나 구입한 화학식 1의 화합물을 다이메틸 설폭사이드에 용해시키고, 트윈 20(Tween 20)용액을 가하여 약제의 최종 농도가 100 ppm이 되도록 약제 용액을 제조하였다. 이때, 다이메틸 설폭사이드와 트윈 20의 최종 농도는 각각 1%와 250 ppm이 되도록 하였다.
활성 시험
토마토 역병균인 파이토프토라 인페스탄스(Phytophthora infestans) PIT 균주를 오트밀 배지에 접종하고, 20℃ 배양기에서 배양하여 유주 자낭을 형성시켰다. 살균 증류수를 첨가하여 형성된 유주 자낭을 수확하고, 포자 농도가 5×104 포자(sporangia)/mL인 포자 현탁액을 제조한 후, 저온 처리하여 유주자를 유출시켜 유주자 현탁액 접종원을 준비하였다.
온실에서 약 3주 동안 키운 2 내지 3엽기의 토마토 유묘에 준비한 약제 용액을 식물체에 고루 살포하고, 1일 동안 실내에 둔 다음, 유주자 현탁액 접종원을 분무 접종하였다. 병원균을 접종한 토마토 유묘는 20℃ 습실상에서 1일간 습실 처리하고, 항온항습실(20℃, 상대 습도 70 내지 80%)에서 2일 동안 발병시킨 후, 병반 면적율을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의 결과에 대해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방제가를 산출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5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6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7
* 상기 표에서 괄호 안의 숫자는 실시예 번호를 나타낸다.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 화합물이 토마토 역병에 대한 살균 활성이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독성 시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의 독성을 알아보기 위해 표 1의 13번과 23번 화합물로 하기와 같이 미생물 복귀 돌연변이 실험, 랫트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 시험 및 송사리(Oryzias latipes)에 대한 급성 어독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1) 미생물 복귀 돌연변이 실험
표 1의 13번 화합물과 23번 화합물에 대해서, 미생물 복귀 돌연변이 시험을 통한 돌연변이 유발성의 유무를 검색하기 위해, 살모넬라 티피뮤리움(Salmonella typhimurium)의 히스티딘 요구성 균주 TA100, TA1535, TA98 및 TA1537의 4개의 균주와 에스케리치아 콜라이(Escherichia coli)의 트립토판 요구성 균주인 WP2uvrA를 이용하여 시험을 실시하였다.
시험 물질은 DMSO에 용해하여 처리하였으며, 5000 ㎍/plate를 최고 농도로 하여 1000, 500, 100 및 50 ㎍/plate로 단계 희석하여 농도 설정 시험을 실시하였다. 이 시험을 통해 본 시험에서의 적용농도를 25, 12.5, 6.25, 3.125 및 1.5625 ㎍/plate로 결정하였으며, 음성 및 양성 대조군과 함께 대사 활성화법 미적용(S9-) 및 적용(S9+) 시험을 함께 실시하였다.
시험 결과, TA98, TA100, TA1535, TA1537 및 WP2uvrA의 5균주를 사용한 경우, 직접법(S9-)과 대사 활성화법(S9+) 모두에서 음성 대조군에 비하여 각 농도별 처리군에서의 콜로니 생성 수치가 증가 양상을 나타내지 않았다.
상기의 결과로부터, 표 1의 13번 화합물과 23번 화합물은 본 시험 조건 하에서 사용한 균주들에 대하여 복귀 돌연변이를 유발하지 않음(음성)을 확인하였다.
(2) 랫트에 대한 급성 경구 독성 시험
표 1의 13번 화합물과 23번 화합물에 대한 단회 투여(경구) 독성 시험을 ICR계 마우스를 사용하여 실시하였다. 한계 시험으로 2,000 mg/kg B.W.의 투여군을 두고 1회 경구 투여한 후, 2주간 치사 수, 일반 중독 증상, 체중 변화 및 부검 소견을 관찰 및 조사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가. 1단계 3마리 및 2단계 3마리의 총 6마리 시험군(2,000 mg/kg) 중 1, 2단계 모든 시험군에서 사망례가 관찰되지 않았다.
나. 시험 물질 투여군 (2,000 mg/kg)에서 시험 물질과 관련된 어떠한 이상 증상도 관찰되지 않았다.
다. 체중 측정 결과 모든 투여군에서 정상적인 체중 증가를 보였다.
라. 생존 동물의 부검 소견 결과 특이할 만한 이상 소견은 관찰되지 않았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표 1의 13번 화합물과 23번 화합물은 화학물질 분류 및 표지에 관한 세계 조화 시스템(GHS, Globally Harmonised System) 범주 5(Category 5)로 분류되었다.
(3) 송사리(Oryzias latipes)에 대한 급성 어독성 시험
표 1의 13번 화합물과 23번 화합물의 송사리(Oryzias latipes)에 대한 급성 어독성 시험에서 농도 시험을 실시하였으며, 13번 화합물은 0.50, 0.65, 0.85, 1.10 및 1.43 ㎎/L로, 23번 화합물은 0.50, 0.85, 1.45, 2.46 및 4.18 ㎎/L로 각각의 농도를 설정하였다. 노출방식은 지수식으로 하였고, 농도 당 노출 마리수는 10마리로 정하였으며, 노출 시간은 96시간이었다.
시험 결과 13번 화합물의 LC50(48 시간)값은 0.89 mg/L, 23번 화합물의 LC50(48 시간)값은 2.09 mg/L로 각각 2급과 3급으로 확인되었다.

Claims (7)

  1. 활성 성분으로서 하기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화학식 1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8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2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 C1-3 알킬 또는 C1-3 알콕시로 치환된 페녹시메틸;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1개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R1이 메틸; 에틸; 프로필; 헵틸;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또는 치환되지 않거나 클로로 또는 메틸로 치환된 벤질이고;
    R2가 치환되지 않거나 1개 또는 2개의 브로모, 클로로, 아릴 또는 아릴옥시로 치환된 페닐; 나프틸; 치환되지 않거나 메틸, 메톡시 또는 2개의 클로로로 치환된 페닐아이속사졸; 1개의 클로로로 치환된 4-메틸-3-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인,
    살균제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화학식 1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가 하기 화합물들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1-페닐에탄올;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1-(나프탈렌-1-일)에탄올;
    1-(3,4-다이클로로페닐)-2-(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브로모페닐)에탄올;
    2-(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브로모페닐)에탄올;
    α-[1,1'-바이페닐]-4-일-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2-프로페닐)-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α-(3,4-다이클로로페닐)-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2-메틸페닐)메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α-(3,4-다이클로로페닐)-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3-[(4-메틸페닐)메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α-(3,4-다이클로로페닐)-3-[2-(다이에틸아미노)에틸]-2,3-다이하이드로-2-이미노-1H-벤즈이미다졸-1-에탄올;
    1-(3,4-다이클로로페닐)-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2-몰폴리노에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1-(3,4-다이클로로페닐)-2-(1-헵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1-(1-알릴-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3-페녹시프로판-2-올;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메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4-메톡시페녹시)-3-(1-에틸-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p-톨릴옥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4-메톡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2,4-다이클로로페닐)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4-페녹시페닐)에탄올;
    1-(2,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1-(3,4-다이클로로페녹시)-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프로판-2-올;
    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2-(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1-프로필벤조[d]이미다졸-3-일)에탄올;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1-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4-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3,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2-(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1-(3-(2,4-다이클로로페닐)아이속사졸-5-일)에탄올; 및
    4-(3-(1-(4-클로로벤질)-1,2-다이하이드로-2-이미노벤조[d]이미다졸-3-일)-2-하이드록시프로필)-3-(4-클로로페닐)-1,2,4-옥사다이아졸-5(4H)-온.
  4. 제 1 항에 있어서,
    식물 역병 방제에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식물 역병이 토마토 역병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살균제 조성물.
  6. 하기 화학식 1c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
    화학식 1c
    Figure 112008008662824-pat00029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수소,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다.
  7. 하기 화학식 1d의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
    화학식 1d
    Figure 112008008662824-pat00030
    상기 식에서,
    R1은 C1-7 알킬; C2-7 알케닐; -CH2CH2NR0(이때, R0은 디에틸 또는 -CH2CH2OCH2CH2-이다);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또는 C1-3 알킬로 치환된 벤질이고;
    R4는 수소, 치환되지 않거나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페닐이다.
KR1020080010723A 2008-02-01 2008-02-01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KR1009678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23A KR100967889B1 (ko) 2008-02-01 2008-02-01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0723A KR100967889B1 (ko) 2008-02-01 2008-02-01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502A KR20090084502A (ko) 2009-08-05
KR100967889B1 true KR100967889B1 (ko) 2010-07-06

Family

ID=412050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0723A KR100967889B1 (ko) 2008-02-01 2008-02-01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788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744375B (zh) * 2015-02-10 2017-09-19 南开大学 一种胍类ntr1小分子拮抗剂
EP3398941A1 (en) * 2017-05-03 2018-11-07 AXXAM S.p.A. Heterocyclic p2x7 antagonist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271A (ja) * 1983-06-27 1985-01-17 Sumitomo Chem Co Ltd ベンズイミダ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WO2007084728A2 (en) * 2006-01-19 2007-07-26 Abbott Laboratories 2-imino-benzimidazole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8271A (ja) * 1983-06-27 1985-01-17 Sumitomo Chem Co Ltd ベンズイミダゾ−ル誘導体、その製造法およびそれを有効成分として含有する殺虫、殺ダニ剤
WO2007084728A2 (en) * 2006-01-19 2007-07-26 Abbott Laboratories 2-imino-benzimidazoles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논문1: Bioorganic & Medicinal Chemistry Lett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4502A (ko) 2009-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8217749A1 (en) Composition for controlling harmful microorganisms comprising 1 -(phenoxy-pyridinyl)-2-(1,2,4-triazol-1 -yl)-ethanol derivatives
CN102079730B (zh) 一类含2,5-取代杂环基砜类衍生物及其合成方法和应用
WO2015016372A1 (ja) テトラゾリノン化合物及びその用途
JP2012512227A (ja) 殺真菌剤として使用されるイソキサゾール誘導体
WO1996019442A1 (fr) Derive de benzamidoxime, procede de production, et bactericide agrohorticole
US11155517B2 (en) 4-substituted phenylam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to protect crops by fighting undesired phytopathogenic micoorganisms
JP2008524152A (ja) 殺線虫性組成物
BRPI0811354B1 (pt) composto, composição fungicida e método para controle de fungos patogênicos em culturas
JP2818676B2 (ja) 抗真菌性カルビノール
ES2913985T3 (es) Compuesto de diaril-azol y formulación para el control de organismos nocivos
CN111712495A (zh) 羟基异*唑啉及其衍生物
JP2005507852A (ja) 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のオキサビシクロ[2.2.1]ヘプタン誘導体の使用
EP3525589B1 (en) 4-arylamino substituted phenyla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to protect crops by fighting undesired phytopathogenic micoorganisms
US10781177B2 (en) Pyridine compound and use thereof
KR100967889B1 (ko) 2-이미노벤조이미다졸 유도체를 포함하는 살균제 조성물
WO2018116073A1 (en) 1, 2, 3-thiadiazole compounds and their use as crop protecting agent
TW201930277A (zh) 氟烯基化合物、製備方法及其用途
JP2001520666A (ja) 殺微生物剤としてのスルホニルオキサジアゾロン類の使用
US20210002263A1 (en) Heteroarylpyrimidine compound and formulation for controlling harmful organisms
CN109232534A (zh) 含杂环二芳胺基吡唑甲酰胺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JP2003518099A (ja) フルオロメトキシ基をもつピラゾリルベンジルエーテル誘導体および有害生物防除剤としてのそれらの使用
KR100929358B1 (ko) 벤조싸이아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살균제 조성물
CN102020592B (zh) 具有杀菌活性的氨基甲酸脲甲基取代芳基酯
KR20020058062A (ko) 옥사디아졸린 유도체의 제조 방법
JP2001520668A (ja) スルホニルオキサジアゾロン類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