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196B1 - 척추측만증 보조기 - Google Patents

척추측만증 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196B1
KR100966196B1 KR1020100006611A KR20100006611A KR100966196B1 KR 100966196 B1 KR100966196 B1 KR 100966196B1 KR 1020100006611 A KR1020100006611 A KR 1020100006611A KR 20100006611 A KR20100006611 A KR 20100006611A KR 100966196 B1 KR100966196 B1 KR 1009661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d
angle
rods
scoliosis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06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2098A (ko
Inventor
선동윤
Original Assignee
선동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동윤 filed Critical 선동윤
Publication of KR20100012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20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1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1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5/00Orthopaedic methods or devices for non-surgical treatment of bones or joints; Nursing devices; Anti-rape devices
    • A61F5/01Orthopaedic devices, e.g. splints, casts or braces
    • A61F5/04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 A61F5/05Devices for stretching or reducing fractured limbs; Devices for distractions; Splints for immob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5Wearable interfaces
    • A61H2201/1652Harnes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8Trun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Nursing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Orthopedics, Nursing, And Contracep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상부지지부; 중앙지지부; 하부지지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로드; 일단이 상기 하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로드; 및 상기 중앙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상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 및 하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부착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교정 각도를 갖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보조기보다 훨씬 다양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여 척추측만증 환자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척추측만증 보조기{SCOLIOSIS BRACE HAVING ANGLE CONTROL UNIT}
본 발명은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으로, 척추의 만곡 정도에 따라 자유롭게 교정 각도를 조절 가능하게 함으로써 척추측만증 환자를 좀 더 효율적으로 치료할 수 있도록 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관한 것이다.
척추측만증(scoliosis)란 그리스어의 굽었다는 뜻의 skolios에서 유래한 말로 척추가 옆으로 굽고 휘어지는 병이다. 척추를 앞이나 뒤에서 볼 때, 머리와 다리가 일직선을 이루어야 하는데 측면으로 휘어진(측만) 상태인 것이 척추측만증이다. 이는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자세의 이상이나 통증에 의해 발생하면서 척추의 구조에는 변화가 없는 측만증을 기능성 척추측만증, 척추의 구조자체에 변화가 발생하는 측만증을 구조성 척추측만증이라 한다. 이러한 구조성 척추측만증은 원인을 알 수 없는 경우가 많고 점차 악화되어 심, 폐기능의 저하를 유발할 수도 있다.
척추측만증의 치료를 위한 방법으로는 보조기에 의한 치료방법과 수술에 의한 치료방법 등이 있으며, 측만증의 각도가 20 ~ 40도 정도인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보조기에 의한 치료방법을 사용한다. 보조기는 목까지 올라오는 밀워키 보조기, 겨드랑이 아래까지 오는 흉요추 보조기 등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척추측만증 치료용 보조기는 착용자의 허리를 보호하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를 허리에 고정되도록 하는 고정부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지지부는 안쪽으로 휘어지는 일정한 곡면을 이루고 있고, 상기 곡면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보강대가 지지부에 내장되어 있으며, 상기 고정부에는 벨크로가 부착된 보조밴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척추보조기를 착용하면 지지부에 내장된 다수의 보강대가 허리의 요추를 정확히 지지하며, 고정부의 벨크로에 의해 단단히 고정되어 척추보조기에 의해 요추에 일정각도의 압박을 가하게 된다.
그러나, 척추측만증의 경우, 환자마다 척추의 만곡 각도가 상이하므로 상기의 종래기술과 같이 일정하게 고정된 교정 각도를 가진 척추보조기의 착용 만으로는 소정의 치료 효과를 거두는데 한계가 있으며, 환자의 증상에 맞는 적정 각도의 척추보조기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제조비용, 시간, 노력 등에 많은 부담이 주어질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인식하에,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만곡 각도에 따라 최상의 치료 효과를 거둘 수 있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상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 및 하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부착함으로써, 일정한 교정 각도 만을 갖도록 제작된 종래의 보조기와는 달리,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교정 각도를 갖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보조기보다 훨씬 다양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여 척추측만증 환자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지지부; 중앙지지부; 하부지지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1 로드; 일단이 상기 하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하나 이상의 제 2 로드; 및 상기 중앙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1 로드 및 제 2 로드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부지지부; 중앙지지부; 하부지지부;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제 1 로드; 일단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부착된 각도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을 통해 상기 제 1 로드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로드; 일단이 상기 하부지지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을 포함하는 제 3로드; 일단이 상기 중앙지지부에 부착된 각도조절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을 통해 상기 제 3로드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4로드; 및 상기 중앙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로드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로드 및 제 4로드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부를 포함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상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 및 하부지지부와 중앙지지부 간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각도조절부를 부착함으로써, 환자의 상태에 따라 적절한 교정 각도를 갖는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 종래의 보조기보다 훨씬 다양한 교정 방법을 제공하여 척추측만증 환자의 치료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일정한 교정 각도가 계속 유지될 수 있기 때문에 일정하게 가압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교정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으며, 상부지지부, 중앙지지부 및 하부지지부의 3 피스(3 piece) 타입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흉부, 요추부, 골반의 3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척추교정이 가능하여, 보다 월등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교정 각도는 환자가 본 발명의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교정 방법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일측 방향으로의 움직임만 제한하고, 타측으로는 움직임이 허용되는 구성을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보조기의 착용자는 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보조기 착용시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고, 근육운동을 할 수 있어 치료효과를 배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결합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분해 사시도,
도 3a 및 도3b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동작 상태도,
도 4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106)의 단면도,
도 4b 및 도 4c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106)의 동작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206)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306)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406)의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506)의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6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606)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7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706)의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8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806)의 단면도,
도 12a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
도 12b는 본 발명의 제 9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 10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제 11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
도 15는 본 발명의 제 12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사시도,
도 16b는 본 발명의 제 13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
도 17은 본 발명의 제 14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사시도,
도 18a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 일부 절개 평면도,
도 18b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분해 사시도,
도 18c는 본 발명의 제 15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분해 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제 16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평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제 17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개략도,
도 21은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고정유닛의 일부 절개 평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개략도,
도 23은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중 고정 유닛과 제 1 로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절개 확대도,
도 24는 본 발명의 제 19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중 각도조절부와 제 2 및 제 4 로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절개 확대도,
도 25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일부 절개 정면도,
도 26은 도 25에 도시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작동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
도 27a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X-ray 촬영 사진 및 교정 위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7b는 도 27a의 척추측만증 환자에 척측측만증 보조기가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의 제 21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각도조절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하 도면 내용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명 내용에 다소의 수정, 변경이 가해지더라도 본 발명의 요지가 변경되지 않는 한 본 발명과 균등한 발명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인체에 직접 접촉하는 부분인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하부지지부(103)와; 상기 지지부 간을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와; 상기 중앙지지부(102)에 부착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의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조절부(106)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상부지지부(101)는 인체의 흉추부를 지지할 수 있으며, 중앙지지부(102)는 인체의 흉추 하부 및 요추를 지지할 수 있고, 하부지지부(103)는 인체의 요추 하부 및 골반을 지지할 수 있다.
종래의 척추 보조기는 인체에 접촉하는 부분이 하나의 몸체로 구성되고, 요추 부분이 안쪽에서 일정 각도로 만곡되어 있는 형태이거나, 또는 흉부, 요추 및 골반을 지지하는 세 부분으로 되어 있더라도 상기 세 부분이 조절되지 않는 특정한 각도를 이루도록 고정되어 있고, 단순히 요추 지지부분이 밴드 등으로 압박하여 흉추 또는 요추에 힘을 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구조인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각도조절부(106)에서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의 각도를 용이하게 조절하여,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의 세 부분이 환자의 척추 만곡 상태 및 부위에 따라 일정한 각도를 갖도록 자유롭게 조절되고 그 상태에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척추측만증 환자가 본 발명의 보조기를 착용하는 경우, 종래의일체형 보조기와는 달리, 착용한 상태로 당해 환자의 상태에 맞도록 만곡 부분을 적절히 가압하여 척추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으며, 종래의 밴드 압박 방식 등과는 달리 일정한 교정 각도를 계속 유지하기 때문에 일정하게 가압상태를 계속 유지할 수 있어 교정 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교정 각도는 환자가 본 발명의 보조기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간단한 방법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환자의 증상 호전 또는 악화 상태에 따라 용이하게 교정 방법을 변화시킬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결합 사시도를 도시하였으며, 도 2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인체의 흉부를 감싸는 형태로 된 상부지지부(101)와, 인체의 골반을 감싸는 형태로 된 하부지지부(103)와, 인체의 허리부분을 일측에서 감싸는 형태로 된 중앙지지부(102)를 구비하며, 제 1 로드(104)는 상기 상부지지부(101)와 중앙지지부(102)를 연결하되, 상부지지부(101) 측 일단은 상부지지부(101)와 회전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힌지축(107) 등으로 연결되며, 제 2 로드(105)는 상기 하부지지부(103)와 중앙지지부(102)를 연결하되, 하부지지부(103) 측 일단은 하부지지부(103)와 회전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힌지축(107)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 중앙지지부(102)에는 각도조절부(106)가 부착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의 타단은 상기 각도조절부(106)에 회전 가능하도록 예를 들면 힌지축(108) 등으로 연결된다.
한편, 상기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의 일측에는 신체가 출입할 수 있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구부를 통해 신체에 장착되고 나면 벨크로(109) 등의 체결 수단에 의해 신체의 상부에 완전히 고정된다.
또한, 도 1, 도 2 및 후술할 도 3a, 도3b에는 상기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의 전면과 후면 모두에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105)가 연결된 보조기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이 상기 도 1 내지 도 3b에 도시된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의 전면 또는 후면의 어느 한 쪽 면에만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105)가 연결된 보조기의 구성 또한 포함할 수 있고, 더 나아가 위치에 상관없이 3개 이상의 제 1 및 제 2 로드(104,105)가 연결된 것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할 수 있다.
도 3a 및 도3b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동작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후술할 각도조절부(106)에 의해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의 각도를 환자 상태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경우, 도 3a 및 도3b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각도조절부(106)가 부착된 중앙지지부(102)는 상부지지부(101) 및/또는 하부지지부(103)와 일직선 상에 위치하는 것이 아니라, 상부지지부(101)와 하부지지부(103)를 잇는 가상의 선으로부터 일측으로 벗어난 위치로 조절되어 고정된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된 보조기를 척추측만증 환자가 착용하여 단단히 고정하는 경우, 환자의 척추가 만곡된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일정하게 만곡 부분을 가압할 수 있게 되어 척추를 똑바르게 교정할 수 있게 된다.
이 때, 환자의 척추 만곡 정도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106)에 의해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교정 각도를 조절 할 수 있음은 물론이며, 환자의 척추 만곡 방향에 따라 상기 각도조절부(106)를 조정하거나 또는 상기 보조기의 착용방향을 달리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102)가 인체의 중앙부분, 특히 흉추 하부 및 요추의 일측 만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진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경우에는 환자의 척추 만곡 방향이 좌측인지 우측인지에 따라, 상기 보조기를 전면 방향으로 착용하거나 또는 후면이 전면으로 오도록 뒤집어 착용할 수도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중앙지지부(102)가 인체의 중앙부분, 특히 흉추 하부 및 요추를 둘러 모두 감싸도록 된 구성을 가진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경우에는 상기 각도조절부(106)를 조정하는 것 만으로도 상기 중앙지지부(102)를 좌측 또는 우측으로 위치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지지부(102)가 인체의 중앙부분, 특히 흉추 하부 및 요추의 일측 만을 지지하는 구성을 가진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경우에는, 최초 제작시 좌측 만곡형 환자용과 우측 만곡형 환자용의 보조기를 구분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종래의 일체형 보조기와는 달리,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의 3피스(3piece) 타입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흉부, 요추부, 골반의 3점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척추교정이 가능하여 보다 월등한 교정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106)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 각각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110)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112)와; 상기 삽입공(110)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11)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4a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1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4a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 각각의 타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부재(112)와 예를 들면 힌지축(108) 등으로 연결되며, 베이스 부재(112)의 양 측면에는 삽입공(110)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기 삽입공(110)을 통해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111, 예를 들면 조절나사) 등이 삽입된다. 이 때,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의 원활한 회전을 위해 상기 삽입공(110) 및 조절부재(111)의 위치는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가 베이스 부재(112)와 연결되는 힌지축(108)과 나란하지 않은 부분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4b 및 도 4c에는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106)의 동작 상태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조절부재(111)는 상기 삽입공(110)에 나사결합 됨으로써, 나사의 회전방향에 따라 도면 상의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는 상기 조절부재(111)의 좌우 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베이스 부재(112)에 연결된 힌지축(108)을 중심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하게 되며, 이에 의해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의 각도가 조절될 수 있다.
즉, 도 4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면 상의 좌측 조절부재(111)을 풀어 후퇴시키고, 우측 조절부재(111)를 조여 전진시키면 상기 제 1 로드(104)가 좌측 방향으로 가압되어, 좌측으로 기울어지며, 상기 조절부재(111)의 가압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상기 제 1 로드(104)의 각도를 임의로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도 4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도 4b에서와 마찬가지로, 상기 제 1 로드(104)를 우측으로 기울도록 각도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이는 상기 제 2 로드(105)의 경우에도 동일한 방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도 4b에서, 상기 제 1 로드(104)를 좌측으로 기울도록 각도를 조절한 후, 도면 상의 좌측 조절부재(111)를 약간 느슨하게 풀어 상기 제 1 로드(104)가 시계 방향으로는 더 이상 회전이 제한되나, 반시계 방향으로는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허용할 수도 있다(도면 미도시). 이 경우는 상기 각도조절부(106)가 부착된 중앙지지부가 도면상의 우측으로 척추를 가압하는 상황으로서, 가압하는 방향이 아닌 반대방향, 즉 도면상의 좌측으로는 중앙지지부의 이동이 제한되나, 도면상의 우측으로는 중앙지지부(102)의 이동이 허용되는 경우이며, 이로써 상기 보조기의 착용자는 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보조기 착용시의 답답함을 해소할 수 있고, 근육을 풀기 위한 운동이 어느 정도 가능하다. 이와 같이 어느 일방향으로만 회전이 제한되는 각도조절부에 대한 또 다른 예시는 후술할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에는 걸림턱(213)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길이 방향에 교차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상기 조절부재(211)는 상기 걸림턱(213)을 가압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 중 적어도 어느하나와 나란하게 설치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상기 조절부재(211)가 나사결합되는 삽입공(210)의 위치는 제 1 및/또는 제 2 로드(204, 205)의 회전각도를 제한하지 않도록 제 1 및/또는 제 2 로드(204, 205)와 충분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2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5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와 나란하게 설치된 조절부재(211)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의 타단에서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턱(213)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때, 도면상의 상기 제 1 로드(204) 좌측의 조절부재(211)를 풀어 후퇴시키고, 우측의 조절부재(211)를 조여 전진시키면, 상기 제 1 로드(20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진 상태로 각도조절 될 수 있다.
한편, 제 2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삽입공(210) 및 조절부재(211)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와 나란하게 설치되고, 제 1 및 제 2 로드(204, 205) 타단의 걸림턱을 가압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제 1실시예과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304, 305)가 상호 연동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304, 305) 각각의 타단이 기어(313)결합된 것일 수 있다.
도 6에는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3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6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3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304, 305) 각각의 타단이 기어(313)결합되어 상호 연동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삽입공(310)에 나사결합된 조절부재(311)에 의해 상기 제 1 로드(304)가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각도조절되면 제 1 및 제 2 로드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기어(313)의 결합에 의해 상기 제 2 로드(305)도 연동하여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각도조절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304, 305) 각각의 타단이 결합되는 기어비를 1 : 1로 동일하게 하는 경우에는 제 1 및 제 2 로드(304, 305)가 동일한 각도로 조절될 것이며, 상기 기어비를 적절히 조절하여 설치하는 경우 서로 다른 각도를 갖도록 조절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404, 405)가 상호 연동되게 결합된 것으로서, 일단(414)은 상기 제 1 로드(404)의 타단에, 타단(415)은 상기 제 2 로드(40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413)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404, 405)는 상기 연결부재(413)에 의해 상호 연동되는 것일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제 4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4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4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404, 405)가 상기 연결부재(413)에 의해 상호 연동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410)에 나사결합된 조절부재(411)에 의해 제 1 로드(40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로드(404)의 타단과 연결부재(413)를 연결하는 힌지축(414)이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게 되고, 상기 힌지축(414)의 회전운동은 상기 연결부재(413)에 의해 제 2 로드(405)의 타단과 연결부재(413)를 연결하는 힌지축(415)을 잡아당기는 힘으로 작용하여 제 2 로드(405) 역시 힌지축(408)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상기 제 1 로드(404)와 상호 연동하여 각도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504, 505)가 상호 연동되게 결합된 것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504, 505) 각각의 타단에는 상호 대면하여 접촉하는 사선면(513, 514)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도 8에는 본 발명의 제 5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5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8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5 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504, 505) 각각의 타단에는 상호 대면하여 접촉하는 사선면(513, 514)이 형성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 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삽입공(510)에 삽입된 조절부재(511)에 의해 제 1 로드(504)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제 1 로드(504)의 타단에 형성된 사선면(513)이 회전하면서 대면 접촉하고 있는 제 2 로드(505) 타단의 사선면(514)을 밀게 되고, 이로 인해 제 2 로드(505) 역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로드(504)와 상호 연동하여 각도조절 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실시예 5의 연동구조의 경우, 제 1 로드(504)와 제2로드(505)의 사선면(513, 514)이 서로 미는 방향으로의 회전(즉, 도면상에서는 제 1 로드의 반시계방향)에서는 상호 연동이 가능하나, 사선면(513, 514) 간에 서로 이격되는 방향으로의 회전(즉, 도면상에서 제 1 로드의 시계방향)에서는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각도조절부가 부착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경우, 중앙지지부가 일측 방향으로는 고정되어 더 이상의 이동이 제한되나, 타측 방향으로는 이동이 제한되지 않고 자유로이 움직일 수 있는 구조를 가지게 되며, 이를 척추측만증 환자가 착용하면 교정을 위해 가압을 필요로 하는 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제한되나, 그 반대방향으로는 움직임이 자유로워져 보조기 착용시 환자가 느낄 수 있는 구속감을 어느 정도 완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특성상 일측으로만 가압되면 충분하므로, 일측으로만 각도조절 및 고정이 되는 경우에도 양측으로 고정된 경우와 동일한 기능 및 교정 효과를 발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만, 상기의 도 6 내지 8에 도시된 제 3 실시예 내지 제 5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제 1 및 제 2 로드가 상호 연동되는 구조를 가진 경우, 로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311, 411, 511) 및 상기 조절부재가 나사결합하는 삽입공(310, 410, 510)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304, 404, 504, 305, 405, 505) 양쪽에 모두 형성될 필요없이 도 6 내지 도 8과 같이 어느 한쪽에만 형성되면 충분하며, 다만 본 발명에서 제 1 및 제 2 로드 양측에 조절부재 및 삽입공이 모두 형성되는 구성을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조절부재(611)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측에 형성된 상기 삽입공(610)에만 체결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의 일방향 회전(617)은 허용되고, 타방향 회전(616)은 제한되는 것일 수 있다.
도 9에는 본 발명의 제 6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6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 각각의 타단은 회전 가능하도록 베이스 부재(612)와 예를 들면 힌지축(608) 등으로 연결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에는 걸림턱(613)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의 길이 방향에 교차하게 어느 일측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고, 상기의 삽입공(610) 및 이에 나사결합된 조절부재(611, 예를 들면 조절나사)는 상기 걸림턱(613)이 형성된 일측 방향에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에 나란하게 설치됨으로써, 상기 조절부재(611)의 나사회전에 의해 상기의 걸림턱(613)을 가압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604, 605)가 회전하도록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걸림턱(613)에 의해 상기 제 1 로드(604)의 반시계방향(616), 상기 제 2 로드의 시계방향(616)으로는 회전이 제한되나, 상기 제 1 로드(604)의 시계방향(617), 상기 제 2 로드의 반시계방향(617)으로는 회전이 허용된다. 따라서, 제 6실시예와 같이 일측 방향으로의 회전만 제한되는 각도조절부의 동작 상태 및 효과 등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 5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704, 705) 각각의 타단이 기어결합되어 상호 연동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9에 도시된 제 6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제 7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7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 방향의 회전만 제한되는 기술적 내용은 제 6실시예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704, 705)의 상호연동에 대한 내용은 제 3실시예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는 상기 삽입공(810) 및 이에 나사결합된 조절부재(811)가 제 1 또는 제 2 로드(804, 805) 중 어느 하나에만 설치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도 10에 기재된 제 7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것일 수도 있다.
도 11에는 본 발명의 제 8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806)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일측방향으로의 회전제한에 대한 내용은 제 6실시예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804, 805)의 상호연동에 대한 내용은 제 3실시예의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906) 중 상기 삽입공(910)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904, 9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는, 병진운동은 제한되고 회전운동만 허용되도록 상기 삽입공(910)에 결합되는 수나사 부재(918)와; 상기 수나사 부재(918)와 나사결합되어 상기 수나사 부재(918)가 회전함에 따라 좌우로 직선이동하는 암나사 부재(919)를 적어도 하나 이상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 부재(919)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904, 905)와 상호 연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암나사 부재(919)가 직선운동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는 회전하여 각도조절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2a에는 본 발명의 제 9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일부 절개 사시도를, 도 12b에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904, 905)는 각각의 타단에 오목한 홈이 형성되고, 상기 홈이 베이스 부재(912)의 개구부와 맞물림으로써 상기 베이스 부재(912)와 회전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베이스 부재(912)의 측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910)이 형성되고, 수나사 부재(918)는 상기 삽입공(910)에 결합하되 나사결합하지 않고 단순히 삽입되어 상기 베이스 부재(912)를 관통하고 있기 때문에 회전운동을 하더라도 나사에 의한 병진운동은 하지 않는다. 또한, 상기 수나사 부재(918)는 상기 삽입공(910)을 통과하여 암나사 부재(919)와 나사결합하며, 상기 수나사 부재(91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 부재(919)가 좌우로 병진운동하고, 상기 암나사 부재(919)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또는 제 2 로드(904, 905)가 회전함으로써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1006)는 상기 암나사 부재(1019)의 일단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04, 100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9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3에는 본 발명의 제 10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2로드(1004, 1005)는 상기 베이스 부재(1012)와 예를 들어 힌지축(1008) 등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삽입공(1010)에 삽입되어 회전운동은 가능하나, 병진운동은 제한되도록 된 수나사 부재(1018)는 암나사 부재(1019)와 나사 결합되고, 상기 암나사 부재(1019)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04, 1005)와 연동 가능하도록 예를 들어 힌지축(1021) 등으로 연결된다.
상기 수나사 부재(101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 부재(1019)가 좌우로 병진운동하고, 상기 암나사 부재(1019)에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04, 1005)가 회전함으로써 각도 조절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된 각도조절부(1106)는 상기 암나사 부재(1119)의 일단이 양 갈래로 분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104, 1105)의 타단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제 10실시예의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도 14에는 본 발명의 제 11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수나사 부재(1118)의 회전에 따라 상기 암나사 부재(1119)가 좌우로 병진운동하고, 상기 하나의 암나사 부재(1119)의 일단으로부터 분기된 연결부(1122) 에 의해 연결되어 있는 제 1 및 제 2 로드(1104, 1105)가 회전함으로써 각도 조절될 수 있으며,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는 동시에 작동된다.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204, 1205)가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되어 있는 것일 수 있다.
도 15에는 본 발명의 제 12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제 12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204, 1205)가 하나의 회전축에 연결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의 여타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제 12실시예에 의하는 경우, 동일한 회전축(예를 들면 힌지축, 1208))에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204, 1205)가 연결되어 회전축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상기 각도조절부(1206)의 구성이 좀 더 간단해 질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며, 고장의 우려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306)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304, 1305) 각각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베이스 부재(1312)와; 축 부재(1323)를 매개로 상기 베이스 부재(1312)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 다이얼 손잡이(1324)와; 상기 축 부재(1323)에 고정된 기어(1325)와; 상기 기어(1325)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감속기어 유닛(1326)과; 상기 다이얼 손잡이(1324)를 상기 베이스에 선택적으로 고정시키는 고정부재(1327)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로드(1304) 및 제 2 로드(130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타단은 상기 축 부재(1323)에 고정된 기어(1325) 또는 상기 감속기어 유닛(1326)과 기어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제 13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사시도를, 도 16b는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6a 및 도 16b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베이스 부재(1312)의 내부공간에 축 부재(1323)가 마련되고, 상기 축 부재(1323)는 상기 베이스 부재(1312)에 고정되거나 또는 고정부재(1327)와 일체를 이루어 상기 축 부재 내부에 암나사가 형성되고, 다이얼 손잡이(1324)의 중심에서 수나사를 체결하여 다이얼 손잡이(1324)를 고정하는 방식의 고정부재(1327) 겸 축 부재(1323)가 될 수도 있다.
상기 축부재(1323)에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베이스 부재(1312) 외부에 다이얼 손잡이(1324)가 설치되며, 상기 축 부재(1323)에는 기어(1325)가 고정 설치된다. 한편,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304, 1305)의 타단에는 기어(1328)가 형성되고, 상기 로드 타단의 기어(1328)는 상기 축 부재(1323)에 설치된 기어(1325)에 직접 맞물려 기어결합할 수도 있으며(도면에 미도시됨), 별개의 감속기어 유닛(1326)과 기어결합할 수도 있다.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304, 1305)는 별개의 힌지축으로 상기 베이스 부재(1312)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거나(도면에 미도시됨), 또는 상기 축 부재(1323)를 중심축으로 회전하되, 축 부재(1323)에 고정되지는 않도록 상기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304, 1305)에 천공이 형성되어 상기 축 부재(1323)가 끼워져 있는 형태일 수도 있다.
한편, 제 13실시예에서 감속기어 유닛(1326)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감속기어 유닛(1326)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감속기어 및 기어축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304, 1305) 각각의 타단에 형성된 기어(1328)와 상기 축 부재(1323)에 고정된 기어(1325) 사이의 기어비 또는 상기 감속기어 유닛(1326)의 감속비를 조절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304, 1305)의 각도 조절을 더욱 미세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406)는 볼조인트(1429), 상기 볼조인트(142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1431) 및 상기 고정나사(1431)를 삽입하는 고정나사 삽입공(1430)을 포함하는 것 일 수 있다.
도 17에는 본 발명의 제 14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사시도를 도시하였다. 도 17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404, 1405) 각각의 타단은 상기 볼조인트(1429)를 포함하는 각도조절부에 연결되어 있으므로, 어느 방향으로든지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하여 각도조절이 용이하며, 상기 볼조인트(1429)의 일측에 상기 볼조인트(1429)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나사 삽입공(1430) 및 이에 나사결합된 고정나사(1431)가 포함되어 있어, 원하는 각도로 조절한 후,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404, 1405)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 볼조인트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볼조인트(1429) 간을 연결하는 볼조인트 지지부재(1432)를 구비할 수도 있고, 상기 볼조인트(1429)가 중앙지지부에 직접 부착되거나(도면 미도시), 중앙지지부에 부착된 베이스 부재에 고정될 수도 있다.(도면 미도시)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506)는 상기 제 1 로드(1504)의 타단에 마련되고, 일면에 방사상으로 제 1 톱니(1536)가 형성된 제 1 조절판(1534)과; 상기 제 2 로드(1505)의 타단에 마련되고, 상기 제 1 조절판(1534)의 일면과 마주하는 면에는 상기 제 1 톱니(1536)에 대응되는 제 2 톱니(1537)가 형성된 제 2 조절판(1535)과;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527)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 15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에 관한 것으로서, 도 18a에는 상기 각도조절부의 일부 절개 평면도를, 도 18b에는 분해 사시도를, 도 18c에는 분해 단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8a, 도 18b 및 도 18c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상기 각도조절부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04, 105)의 타단으로부터 연장되고 임의의 형상을 가진 제 1 및 제2조절판(1534, 1535)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의 형상으로는 원판 형상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의 일면에는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으로 제 1 및 제 2 톱니(1536, 1537)가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은 톱니가 형성된 면끼리 서로 대면하여 치합된다. 이 때, 제 1 및 제 2 로드(1504, 1505)가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을 치합시킨 후,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을 고정하는 고정부재(1527)(예를 들면, 상기 조절판의 중심에 형성된 나사공을 통해 나사결합된 고정나사 등)에 의해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504, 1505)의 각도를 재조정하기 위해서는 상기 고정된 고정부재(1527)의 결합을 해체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절판(1534, 1535)을 다시 원하는 각도로 맞추어 대면, 치합시킨 후, 고정부재(1527)를 재결합시킨다.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각도조절부(1606)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가 회전가능하도록 연결된 힌지축(1608)과; 상기 제 1 로드(1604)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1연장부(1638)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수나사 부재(1640)와; 상기 제 2 로드(1405)의 일측으로 연장되어 형성된 제 2연장부(1639)에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수나사 부재(1641)와;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와 나사결합된 암나사 부재(1642)를 포함하며, 상기 암나사 부재(1642)의 회전방향에 따라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를 이격 또는 근접시킴으로써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의 각도를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9에는 본 발명의 제 16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각도조절부의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19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는 힌지축(1608) 등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되어 있으며, 각도조절부(1606)는 상기 힌지축(1608) 등과는 별개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의 일측으로부터 연장된 연장부(1638, 1639)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장부에는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의 타단은 하나의 암나사 부재(1642)와 나사결합되며, 상기 암나사 부재(1642)를 회전시키면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가 병진운동한다.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를 각각 오른나사와 왼나사로 다르게 구성할 경우, 상기 하나의 암나사 부재(1642)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수나사 부재(1640, 1641)가 서로 이격되거나 또는 서로 근접하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연장부(1638, 1639)가 동시에 당겨지거나 또는 동시에 밀리게 되어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고, 이 때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604, 1605)는 상호 연동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상부지지부(1701) 및 하부지지부(1703)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부착되고,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1704, 1705)의 일단이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1745)이 형성된 고정유닛 베이스 부재(1744)와; 상기 삽입공(1745)에 삽입되어 상기 제 1 또는 제 2 로드(1704, 1705)를 고정하는 고정부재(1746)를 포함하는 고정 유닛(174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0에는 본 발명의 제 17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개략도를, 도 21에는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포함되는 고정유닛의 일부 절개 평면도를 도시하였다. 도 20 및 도 21에 도시한 바에 따르면, 상기 상부지지부(1701)와 상기 제 1 로드(1704)는 고정유닛(1743)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상부지지부(1701)에 부착된 고정유닛 베이스 부재(1744)에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1745)이 형성되고, 고정부재(1746)는 상기 삽입공(1745)를 통해 삽입되어 상기 제 1 로드(1704)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한다. 이 때, 상기 고정부재(1746)가 고정나사인 경우에는 상기 삽입공(1745) 내측에 형성된 암나사와 나사결합을 통해 상기 제 1 로드(1704)를 고정할 수 있다.
상기의 고정유닛은 상기 하부지지부(1703)와 상기 제 2 로드(1705)를 연결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정유닛(1743)은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704, 1705)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704, 1705)의 각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상기 고정유닛(1743)의 양 측에 삽입된 고정부재(1746)의 위치를 조정함에 따라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1704, 1705)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정부재(1746)가 고정나사인 경우에는 나사의 풀고 조임의 정도를 조절함에 의해 로드의 각도 조절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각도조절된 경우, 상부지지부(1701) 및 하부지지부(1703)가 반드시 로드에 수직하거나 또는 중앙지지부(1702)와 평행한 포지션을 취하지 않을 수 있으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각도를 가진 상태에서 고정될 수도 있어 환자의 상태에 따라 다양한 교정방법의 시술이 가능해 질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 1 실시예에서와 같이, 상기 고정 유닛(1743)의 양 측에 삽입된 고정부재(1746)를 느슨하게 풀어 놓는 경우, 상기 상부지지부 및/또는 하부지지부가 어느 정도 회전이 가능하도록 허용되기 때문에, 상기 보조기의 착용자는 좀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어 보조기 착용시의 답답함을 어느 정도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18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104), 제 2 로드(105) 및 각도조절부(106)는 카본 재질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구성 중 상기 상부지지부(101), 중앙지지부(102) 및 하부지지부(103)는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되어 있으나, 상기 제 1, 제 2 로드(104, 105) 및 상기 각도조절부(106) 등은 인체의 하중 및 압력 등을 견디기 위하여 철, 스테인레스 등 금속 재질로 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 엑스레이 촬영 등 환자의 상태를 알기 위한 검사시 반드시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벗어야 하는 불편이 있다.
그러나, 제 18실시예와 같이 상기 제 1 로드(104), 제 2 로드(105) 및 각도조절부(106)를 카본 재질로 할 경우, 엑스레이 촬영시 상기 보조기를 환자가 그대로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도 환자의 상태를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로드(104), 제 2 로드(105) 및 각도조절부(106)를 카본 재질로 제작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실시예와 달리 인체의 하중 및 압력 등을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기 상기 상부지지부(1901), 중앙지지부(1902), 및 하부지지부(1903)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부지지부(1901); 중앙지지부(1902); 하부지지부(1903); 일단이 상기 상부지지부(1901)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1951, 1952)을 포함하는 제 1 로드(1947); 일단이 상기 중앙지지부(1902)에 부착된 각도조절부(190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1951, 1952)을 통해 상기 제 1 로드(1947)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2 로드(1948); 일단이 상기 하부지지부(1903)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1951, 1952)을 포함하는 제 3로드(1949); 일단이 상기 중앙지지부(1902)에 부착된 각도조절부(190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길이조절 수단(1951, 1952)을 통해 상기 제 3로드(1949)와 길이조절 가능하게 결합하는 제 4로드(1950); 및 상기 중앙지지부(1952)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및 제 4로드(1948, 1950)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로드(1948) 및 제 4로드(1950)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각도조절부(1906)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22에는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개략도를, 도 23에는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중 고정 유닛과 제 1 로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절개 확대도를, 도 24에는 본 발명의 제 19실시예에 의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중 각도조절부와 제 2 및 제 4로드가 결합된 상태의 일부 절개 확대도를 도시하였다. 상기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제 1 로드(1947) 및 제 2 로드(1948) 각각에는 제 1 길이조절 수단으로서,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1951) 및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용 장공(1952)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3로드(1949) 및 제 4로드(1950) 각각에는 제 2 길이조절 수단으로서, 상기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상호 이격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1951) 및 로드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용 장공(1952)이 각각 형성되나, 상기 로드와 길이조절 수단의 조합은 도 22 내지 도 24에 도시된 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길이조절공(1951)과 길이조절용 장공(1952)의 조합이 서로 바뀌어도 상관없으며, 길이조절공(1951)끼리 또는 길이조절용 장공(1952)끼리 결합되는 형태이어도 무방하다.
상기 제 1 로드(1947)와 제 3로드(1949)는 각각 상부지지부(1901)와 하부지지부(1903)에 회전 가능하도록 보통의 힌지축 또는 고정유닛(1943) 등에 의해 연결되며, 상기 제 2 로드(1948)와 제 4로드(1950)은 각각 중앙지지부에 부착된 각도조절부(1906)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고정유닛(1943) 및 각도조절부(1906)에 의한 로드의 고정 또는 각도조절에 대해서는 전술한 구성들을 모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여기서는 생략한다.
길이조절 수단으로서, 길이조절공(1951)과 길이조절용 장공(1952)의 조합으로 구성된 도 22 내지 도 24를 예로 들어 본 발명의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길이조절 방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 1 로드(1947)에 길이방향으로 이격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1951)과 상기 제 2 로드(1948)에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길이조절용 장공(1952)을 겹치도록 상기 제 1 로드(1947) 및 제 2 로드(1948)를 위치시키고, 원하는 길이가 되도록 겹치는 부분을 조절한 후,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길이조절공(1951) 중 적어도 어느 하나, 바람직하게는 둘 이상과 길이조절용 장공(1952)을 결합하여 고정함으로써, 상기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상부지지부, 중앙지지부 및 하부지지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체결수단은 볼트와 너트의 조합이 될 수도 있고, 상기 길이조절공(1951)의 내측에 암나사가 형성된 경우에는 상기 길이조절공(1951) 위에 상기 길이조절용 장공(1952)가 위치하도록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를 겹친 후, 수나사가 길이조절용 장공(1952)를 통과하여 상기 길이조절공(1951)과 나사결합하도록 하는 것일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길이조절용 장공(1952)을 따라 체결수단 고정용 단차(1953)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수나사에 의해 좀 더 단단히 결합할 수 있다.
상기 제 3로드 및 제 4로드의 경우에도 상기와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기재된 모든 상기 각도조절부(106)에는 추가적으로 상기 각도조절부(106 등)의 외측에 시각적으로 인식가능하도록 각도 표시 눈금이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각도를 좀 더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 1 및/또는 제 2 로드(104, 105 등)등에 기준선을 구비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은 예를 들어 도16a, 도18a, 도18b, 도19, 도21, 도23, 도 24등에 도시되어 있으나, 이외의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도 25 내지 도 27b는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상호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된 4개의 지지부(2001)(2002)(2003)(2004)로 구성되는 점에서 전술한 제 1 내지 제 19 실시예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20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는 인체의 몸통 상부(UB, 도 27b 참조)를 지지하는 상부 지지부(2001)와, 인체의 몸통 중앙부(MB) 중 상부, 즉 인체의 몸통 상부 중앙부(UMB)를 지지하는 제 1 중앙 지지부(2002)와, 인체의 몸통 중앙부(MB) 중 하부, 즉 인체의 몸통 하부 중앙부(LMB)를 지지하는 제 2 중앙 지지부(2003)와, 인체 몸통 하부(LB)를 지지하는 하부 지지부(2004)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는 상호 움직임 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는 좌우 방향 뿐만 아니라 상하 방향으로 상대 이동가능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이, 4개의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를 상대이동 가능하게 연결함으로써, 몸통의 4지점 가압이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전술한 제 1 내지 제 19 실시예에서 보다 더욱 정밀하고 효율적으로 척추교정을 할 수 있게 된다. 그 일 예로 도 27a와 같이, 'S'자형으로 척추가 휘어져 있는 경우,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가압지점을 몸통의 3지점으로 설정하는 것보다는 4지점으로 설정하는 것이 훨씬 효율적이고 정밀한 교정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가 좌우 방향으로 상대 이동 가능하여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에 의해 척추에 가해지는 압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고, 이에 의해 환자의 척추 측만 정도에 따라 최적의 압력이 척추에 전달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 간의 상하방향 상대이동에 의해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의 상대 위치를 변경시킬 수 있고, 이에 의해 환자에 따라 척추가 휘어진 지점 등이 다른 점을 고려하여 환자의 최적 가압 지점을 가압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각 지지부(2001)(2002)(2003)(2004) 간의 상대 이동가능한 결합은 제 1 내지 제 6 로드(2010)(2020)(2030)(2040)(2050)(2060)와, 제 1 및 제 2 각도조절부(2070)(2080)와, 제 1 및 제 2 고정 유닛(2013)(2063)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하, 전술한 구성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제 1 로드(2010)는 그 일단이 상부 지지부(2001)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그 타단은 상기 제 2 로드(2020)의 일단에 상호 이격된 복수의 통공이나 장공 및 볼트와 같은 체결 수단에 의해 길이 방향으로 길이조절가능하게 결합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로드(2010)의 일단은 상기 제 1 상부 지지부(2001)에 부착된 제 1 고정 유닛(201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1 로드(2010)는 상기 제 1 고정 유닛(2013)에 의해 조절된 각도로 고정된다. 상기 제 1 고정 유닛(2013)은 제 17 실시예(도 20 참조)와 동일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2 로드(2020)는 그 타단이 상기 제 1 중앙 지지부(2002)에 부착된 제 1 각도조절부(20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는, 도 25 내지 도 2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실시예의 각도조절부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 2 내지 제 19 실시예의 각도조절부가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에 의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의 각도조절 구조 및 원리는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도 생략하기로 한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는 상호 상대 회전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 3 로드(2030)는 그 일단이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 4 로드(2040)는,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와 같이, 그 일단이 상기 제 3 로드(2030)의 타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가능하게 연결되며, 그 타단은 상기 제 2 중앙 지지부(2003)에 부착된 제 2 각도조절부(20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제 3 로드(2030) 및 제 4 로드(2040)의 회전각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3 및 제 4 로드(2030)(2040)는 상호 상대 회전이 제한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와 상기 제 2 각도조절부(2080)는 상기 제 3 및 제 4 로드(2030)(2040)가 동일한 회전 방향으로 함께 회전이동하도록 회전각을 조절하여야 한다. 상기 제 2 각도조절부(2080)는 상기 제 1 각도조절부(2070)와 그 구조 및 기능이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5 로드(2050)는 그 일단이 상기 제 2 각도조절부(2080)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상기 제 2 각도조절부(2080)에 의해 회전각이 조절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 5 로드(2050)의 타단은 상기 제 6 로드(2060)의 일단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조절 가능하게 연결된다. 제 5 및 제 6 로드(2050)(2060)의 연결 구조는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의 연결 구조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제 6 로드(2060)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2004)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 6 로드(2060)의 타단은 상기 하부 지지부(2004)에 부착된 상기 제 2 고정 유닛(2063)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 6 로드(2060)는 상기 제 2 고정 유닛(2063)에 의해 일정 각도로 회전된 상태로 고정된다. 상기 제 2 고정 유닛(2063)은 상기 제 1 고정 유닛(2013)과 동일한 구조로 구현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작동과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6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서, 이를 참조하면, 우선 환자에게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시킨다. 그런 다음, 환자의 척추에 가압될 지점을 정하고, 정해진 지점이 가압될 수 있도록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의 길이 조절과, 제 3 및 제 4 로드(2030)(2040)의 길이 조절 및 제 5 및 제 6 로드(2050)(2060)의 길이 조절을 한다. 그런 후에 상기 제 1 및 제 2 각도조절부(2070)(2080)를 조작하여 제 1 내지 제 6 로드(2010)(2020)(2030)(2040)(2050)(2060)의 각도를 조절한다. 다음으로, 제 1 및 제 2 고정 유닛(2013)(2063)을 조작하여 제 1 및 제 2 로드(2010)(2020)와 제 5 및 제 6 로드(2050)(2060)의 각도를 고정시킨다.
도 27a는 척추측만증 환자의 척추 X-ray 사진이며, 도 27a에는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제 1 및 제 2 각도조절부(2070)(2080)의 개략적인 위치가 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1 및 제 2 각도조절부(2070)(2080)의 위치에 따르면, 제 1 중앙 지지부(2002)가 척추의 좌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우측으로 가압하게 되며, 제 2 중앙 지지부(2003)는 척추의 우측으로 만곡된 부분을 좌측으로 가압하게 되어, 만곡된 부분을 중심으로 척추를 효율적으로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도 27b는 척추 측만증 환자가 척추측만증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는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따른 척추측만증 보조기의 요부를 발췌한 도면이다. 도 28a 및 도 2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서는 각도조절부의 전면에서 로드(2110)(2120)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조절 부재(2111)가 베이스 부재(2112)에 마련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제 22 실시예에 의하면, 조절 부재(2111)는 로드(2110)(2120)를 가압할 수 있도록 베이스 부재(2112)에 좌우방향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부재(2111a)와, 상기 제 1 부재(2111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2111a)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 부재(2112)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된 제 2 부재(2111b)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부재(2111a)는 베이스 부재(2112)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며,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각 로드(2110)(2120)를 가압하여 각 로드(2110)(2120)의 각도를 조절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1 부재(2111a)를 랙(rack)으로 구성하였으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킬 수 있는 한 다양한 부재가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제 2 부재(2111b)는 상기 베이스 부재(2112)에 전후 방향으로 배치되게 설치되고 베이스 부재(2112)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제 2 부재(2111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부재(2111a)와 기어 연결되어 상기 제 1 부재(2111a)를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 2 부재(2111b)가 피니언(pinion)으로 구성된다. 한편, 상기 제 2 부재(2111b)의 상면에는, 도 2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6각 렌치와 같은 조절 도구(T)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그 상면에 6각의 조절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상기 제 2 부재(2111b)를 회전시키면, 제 2 부재(2111b)와 치합된 상기 제 1 부재(2111a)는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각 로드(2110)(2120)를 가압시켜 회전시키며 이에 의해 상기 각 로드(2110)(212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및 제 2 부재(2111a)(2111b)에 의해 각 로드(2110)(2120)의 회전각 조절이 각도조절부의 전면에서 가능하게 되고, 이에 의해 보다 편리하고 정밀하게 각 로드(2110)(2120)의 회전각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 1 및 제 2 부재(2111a)(2111b)가 상호 치합된 랙과 피니언으로 구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베이스 부재(2112)의 전후 방향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한 회전 운동을 좌우 방향의 직선운동으로 변환할 수 있는 한 다양한 부재가 사용될 수 있다.
101, 1701, 1901 : 상부지지부
102, 1702, 1902 : 중앙지지부
103, 1703, 1903 : 하부지지부
104, 204, 304, 404, 504, 604, 704, 804, 904, 1004, 1104, 1204, 1304, 1404, 1504, 1604, 1704, 1904 : 제 1 로드
105, 205, 305, 405, 505, 605, 705, 805, 905, 1005, 1105, 1205, 1305, 1405, 1505, 1605, 1705, 1905 : 제 2 로드
106, 206, 306, 406, 506, 606, 706, 806, 906, 1006, 1106, 1206, 1306, 1406, 1506, 1606, 1706, 1906 : 각도조절부
107 : 힌지축
108, 208, 308, 408, 508, 608, 1008, 1108, 1208, 1608 : 각도조절부의 힌지축
109 : 벨크로
*110, 210, 310, 410, 510, 610, 1010, 1110 : 삽입공
111, 211, 311, 411, 511, 611 : 조절부재
112, 212, 312, 612, 912, 1012 : 베이스 부재
213, 613 : 걸림턱
313 : 기어
413 : 연결부재
414 : 연결부재와 제 1 로드를 연결하는 힌지축
415 : 연결부재와 제 2 로드를 연결하는 힌지축
513 : 제 1 로드 타단의 사선면
514 : 제 2 로드 타단의 사선면
616 : 회전제한방향
617 : 회전가능방향
918, 1018, 1118 : 수나사 부재
919, 1019, 1119 : 암나사 부재
920 : 맞물림 홈
1021 : 힌지축
1122 : 연결부재
1204 : 로드의 회전 중심축
1323 : 축 부재
1324 : 다이얼 손잡이
1325 : 축 부재에 고정된 기어
1326 : 감소기어 유닛
1327 : 고정부재
1328 : 로드 타단에 형성된 기어
1429 : 볼조인트
1430 : 고정나사 삽입공
1431 : 고정나사
1432 : 볼조인트 지지부재
1433 : 로드 연결부재
1527 : 고정부재
1534 : 제 1 조절판
1535 : 제 2 조절판
1536 : 제 1 톱니
1537 : 제 2 톱니
1638 : 제 1연장부
1639 : 제 2연장부
1640 : 제 1 수나사 부재
1641 : 제 2 수나사 부재
1642 : 암나사 부재
1743, 1943 : 고정유닛
1744, 1944 : 고정유닛 베이스 부재
1745, 1945 : 삽입공
1746, 1946 : 고정부재
1947 : 제 1 로드
1948 : 제 2 로드
1949 : 제 3로드
1950 : 제 4로드
1951 : 길이조절공
1952 : 길이조절용 장공
1953 : 체결수단 고정용 단차
1954 : 체결수단

Claims (4)

  1. 인체의 몸통 상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는 상부 지지부;
    인체의 몸통 상부 중앙부의 일측이 수용되어 지지되며, 상기 상부 지지부에 상대 위치 변경가능하게 연결된 제 1 중앙 지지부;
    인체의 몸통 하부 중앙부의 타측이 수용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1 중앙 지지부에 상대 위치 변경가능하게 연결된 제 2 중앙 지지부;
    인체의 몸통 하부가 수용되어 지지되며, 상기 제 2 중앙 지지부에 상대 위치 변경가능하게 연결된 하부 지지부;
    일측이 상기 상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제 1 로드;
    일측이 상기 제 1 로드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2 로드;
    상기 제 1 중앙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2 로드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2 로드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1 각도조절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일측이 상기 제 1 각도 조절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3 로드;
    일측이 상기 제 3 로드의 타측에 길이 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4 로드;
    상기 제 2 중앙 지지부에 부착되고, 상기 제 4 로드의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도록 상기 제 4 로드의 타측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 제 2 각도조절부;
    회전각 조절이 가능하게 일단이 상기 제 2 각도조절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 5 로드; 및
    일측이 상기 제 5 로드의 타측에 길이방향으로 길이 조절 가능하게 연결되며, 타측은 상기 하부 지지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제6로드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지지부와 상기 제 1 및 제 2 중앙 지지부와 상기 하부 지지부 각각의 상대 위치에 따라 인체의 몸통의 상부와 상부 중앙부와 하부 중앙부 및 하부 각각이 가압되어 인체 몸통의 척추를 교정하기 위한 가압력이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각도조절부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삽입공이 형성된 베이스 부재; 및
    상기 삽입공에 나사결합되어 회전방향에 따라 좌우방향으로 직선이동하면서 상기 제 2 및 제 3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와, 상기 제 4 및 제 5 로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가압하여 각 로드의 각도를 조절하는 조절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중 어느 하나에는 형성된 복수의 길이조절공;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 중 다른 어느 하나에는 형성된 길이조절용 장공; 및
    상기 복수의 길이조절공 중 어느 하나와 상기 길이조절용 장공을 체결하여 상기 제 1 및 제 2 로드를 결합시키는 체결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로드의 일측이 각도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1 로드의 일측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 1 고정유닛; 및
    상기 제 6 로드의 타측이 각도 조절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상기 제 6 로드의 타측을 선택적으로 고정하는 제 2 고정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0100006611A 2007-11-16 2010-01-25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096619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70117380 2007-11-16
KR1020070117380 2007-11-16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335A Division KR101013298B1 (ko) 2007-11-16 2008-03-07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98A KR20100012098A (ko) 2010-02-05
KR100966196B1 true KR100966196B1 (ko) 2010-06-25

Family

ID=40859299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335A KR101013298B1 (ko) 2007-11-16 2008-03-07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KR1020100006611A KR100966196B1 (ko) 2007-11-16 2010-01-25 척추측만증 보조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21335A KR101013298B1 (ko) 2007-11-16 2008-03-07 각도조절부를 구비한 척추측만증 보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101329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34B1 (ko) * 2010-04-13 2012-12-14 차성욱 요추 보호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2123B1 (ko) * 2010-05-14 2010-07-23 (주)힐닉스 조절식 척추 보조기
KR101441642B1 (ko) * 2012-11-26 2014-09-23 선동윤 무릎 보조기
WO2015164814A2 (en) 2014-04-25 2015-10-29 The Trustees Of Columbia University In The City Of New York Spinal treatment devices, methods, and systems
CN108498220A (zh) * 2018-06-13 2018-09-07 无锡职业技术学院 一种新型鱼骨结构的脊柱侧弯矫正支具
KR102141810B1 (ko) *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3점 지지방식의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102141811B1 (ko) * 2018-11-27 2020-08-06 오르텍주식회사 교정 압력의 실시간 전송이 가능한 척추 측만증 보정 조끼
KR102236018B1 (ko) * 2018-12-20 2021-04-05 밸류앤드트러스트(주) 착용식 신체 교정 장치
CN112754746B (zh) * 2021-01-08 2022-11-08 南方医科大学南海医院(佛山市南海区第三人民医院) 一种脊柱矫形器
KR102632688B1 (ko) * 2021-12-01 2024-02-02 유한회사 티엠엑스 척추측만증 보조기
CN116092630B (zh) * 2023-03-02 2023-10-20 北京积水潭医院 一种针对青少年脊柱侧弯疾病的治疗方法、系统和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9338A (en) * 1993-10-07 1995-09-12 Dobi-Symplex Modular orthopedic brace
US5503621A (en) * 1994-09-09 1996-04-02 Boston Brace International, Inc. Body brac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9338A (en) * 1993-10-07 1995-09-12 Dobi-Symplex Modular orthopedic brace
US5503621A (en) * 1994-09-09 1996-04-02 Boston Brace International, Inc. Body brace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2934B1 (ko) * 2010-04-13 2012-12-14 차성욱 요추 보호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2098A (ko) 2010-02-05
KR101013298B1 (ko) 2011-02-09
KR20090050917A (ko) 2009-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66196B1 (ko) 척추측만증 보조기
JP5015118B2 (ja) 角度調節部を備えた脊椎側湾症補助器
US8038635B2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JP6537152B2 (ja) 医療装置
JP6693742B2 (ja) 椎体の整合
US4488542A (en) External setting and correction device for the treatment of bone fractures
EP2568896B1 (en) Multi-purpose external fixator
DE112012004113B4 (de) Orthese zur Korrektur von Oberarmfrakturen
US20100042149A1 (en) Pelvic obliquity correction instrument
US8133260B1 (en) Chiropractic table apparatus and method of use
CN108175637A (zh) 颞颌关节牵引器及颞颌关节按压装置
US20060135897A1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KR101074235B1 (ko) 각도 조절과 상하 길이 조절이 자유로운 척추보조기
US11969376B2 (en) Forward head posture correction collar
US20170298981A1 (en) Hinge assembly for an orthopedic device
WO2018046382A1 (de) Kippbare orthesengelenkschiene
EP2179710B1 (de) Orthese zur Behandlung pathologischer Deviationen im Rückfuss
US20210315723A1 (en) Orthopedic Device
KR100911332B1 (ko) 척추 측만증 수면 보조기용 체형장치
KR101886679B1 (ko) 척추 측만증 교정기
CN215839762U (zh) 一种膝关节矫形支具
KR101142024B1 (ko) 척추측만증 교정장치
WO2002100304A1 (de) Pelottenkorsett für die skoliosetherapie
EP1125567B1 (de) Vorrichtung zum Halten eines Körpergelenks
CN212281813U (zh) 一种脊柱侧凸畸形三维矫正的体外无创可持续牵伸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1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9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18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0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