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66075B1 - 레인지 후드 - Google Patents

레인지 후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66075B1
KR100966075B1 KR1020040002738A KR20040002738A KR100966075B1 KR 100966075 B1 KR100966075 B1 KR 100966075B1 KR 1020040002738 A KR1020040002738 A KR 1020040002738A KR 20040002738 A KR20040002738 A KR 20040002738A KR 100966075 B1 KR100966075 B1 KR 1009660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e
oil
range hood
guid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02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50074829A (ko
Inventor
이시노토모유키
이토우다이수케
Original Assignee
야마하 리빙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리빙텍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리빙텍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040002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66075B1/ko
Publication of KR200500748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0748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66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66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35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1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for guiding air around a cur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7Ventilation with forced flow
    • F24F7/013Ventilation with forced flow using wall or window fans, displacing air through the wall or window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기 포집능력이 높고, 청소작업성이 용이하며, 소형, 저비용의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리설비의 상방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14)로서, 후드 본체(14a)의 내측 안쪽에 설치된 흡인장치(15)와, 이 흡인장치(15)의 전방 영역을, 조리설비와 마주 대하는 하방을 개구시킨 상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되는 가이드부(16)를 갖고, 이 가이드부(16)는 좌우 양측방에 각각 설치된 측판(16a)과, 이 양 측판(16a) 사이에 낀 위치에 만곡하게 배치된 안내판(16b)으로 이루어지고, 가이드부(16)의 양 측판(16a)에는 흡인 배기용 개구부(16c)가 각각 설치되고, 필터(17)가 설치되어 있다.

Description

레인지 후드{RANGE HOO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상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 1을 설명하는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 2를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하는 부분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 3 및 실시예 4를 설명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 3을 설명하는 필터의 배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 4를 설명하는 부분 측단면도이다.
도 12는 배경기술을 설명하는 측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시스템 키친(system kitchen)
11 … 베이스 캐비닛(base cabinet)
12 … 카운터 13 … 스토브(stove)
14 … 레인지 후드
15 … 흡인장치로서의 시로코 팬(sirocco fan)
15a … 팬 본체 15b … 팬 케이싱
15c … 흡인 개구부 15d … 배기통
15e … 배출구 16 … 가이드부
16a … 측판 16b … 안내판
16c … 개구부 16d … 유도면
16e … 원호형상 면 16f … 오목부
17 … 필터 17b … 손잡이
17d … 설편(舌片) 18 … 연기통로
18a … 측 연기통로 18b … 주 연기통로
19,19a,19b … 경사면으로서의 오일 방울 유도 통로
20 … 오일 수용부
23a … 잠금기구로서의 제 1 단차 수용부
23b … 잠금기구로서의 가압기구
24a … 제 1 탈락 방지기구 24b … 제 2 탈락 방지기구
25a,26a,26b … 경사면으로서의 커트 밴드(cut bend)
25b … 구멍 25c … 상측 측단면 경사면
26c,26d … 경사면으로서의 구멍 S … 연기 등
본 발명은 조리설비의 상방에 설치되는 레인지 후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대, 시스템 키친(1)에 있어서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마루면 상에 베이스 캐비닛(2)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베이스 캐비닛(2)의 카운터(3) 상방에 마주 대하도록 월 캐비닛(wall cabinet)을 마루면을 따르는 벽면에 설치하고 있다. 상기 베이스 캐비닛(2)의 카운터(3)에는 스토브 등의 조리설비(4)가 조립되는 한편, 이 조리설비(4)의 상방에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레인지 후드(5)가 조립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시스템 키친(1)에서는 조리시의 취사 등에 의해서 조리설비(4)측으로부터 발생하는 연기 등(S)을 레인지 후드(5)에 의해서 형성되는 개방공간에서 포착하고, 이 배면부에 개구한 배기구(6)로부터 필터(7)를 통해서 그 이면측의 배기공간에 설치한 흡인 팬(8)에 의한 흡인작용에 의해 흡인함과 아울러 이 흡인 팬에 접속한 배기통을 통해서 실외에 배기함으로써 부엌이나 거실 등의 실내로의 연기 등의 확산을 방지하여 실내 공기의 청정화를 도모하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10-306937호 공보
그러나, 상기 레인지 후드(5)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즉, 레인지 후드(5)는 개방공간이 개구방향의 좌우 양 측면부와, 이들 양 측면부 사이의 안길이 방향의 후방에 형성되어 전방을 향해 직선적으로 경사지게 하여 이루는 배면부와, 이 배면부의 상부로부터 연속하는 전방을 향해 수평한 천정면부와, 이 천정면부의 전단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직선적으로 연장되는 앞면부에 의해서 둘러싸여져 있을 뿐이므로 조리설비(4)에서의 취사 등에 의해서 발생하는 연기 등의 일부(S1)가 외부에 누출된 경우에는 개방공간으로 되돌릴 수 없어 연기 포집(捕集)능력의 점에서 충분하지 않았다.
또한, 내면부가 직선적으로 각진 복잡한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코너부에 오일이 부착되기 쉽고, 청소작업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또한, 레인지 후드(5)의 배면부에 개구되는 배기구(6)는 흡인되는 연기를 확실하게 포집하기 위해 양 측면부 사이에 폭넓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배기구(6)에 장착하는 필터(7)도 필연적으로 크게 해야만 하고, 레인지 후드(5) 외형의 대형화 또는 청소작업성의 점에서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연기 포집능력이 높고, 상하 방향으로 소형화가 가능한 레인지 후드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은 조리설비의 상방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로서, 좌우 양 측방에 각각 설치된 측판과 이 양 측판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 안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설비와 마주 대하는 하방이 개구하여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판은, 종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원호형상 면과, 상방 단부에서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보다도 작은 각도로 전방으로 일어서는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으로부터 상기 원호형상 면의 하부에 걸친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청구항1에 기재된 발명에 있어서 조리설비의 사용에 의해 발생된 연기 등이 안내판을 따라 유도되어 선회류가 발생되고, 예컨대, 이 선회류가 모이는 대략 중심위치로부터 양 측판에 설치된 개구부를 통해 확실하게 흡인되고, 실외로 배출된다. 상기 선회류에 의해 레인지 후드의 하방 개구 주변에는 부압이 생겨 높은 포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연기 등을 선회류로 해서 모음으로써 개구부는 작게 되고, 또는, 레인지 후드 외형의 소형화가 도모됨과 아울러 높은 청소작업성이 얻어진다. 또한, 레인지 후드의 조리설비와 마주 대하는 개구를 갖는 포집 공간은 안내판과 측판으로 이루어지는 가이드부로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내표면은 요철없이 단순하고, 부착된 오일 방울 등의 높은 청소작업성이 얻어진다.
또한, 상기 안내판은 종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원호형상 면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종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이 되는 원호형상 면을 따라 연기 등을 선회시킬 수 있으므로 보다 확실하게 선회류를 발생시켜 높은 포집 효율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면은 매끄러운 면으로 되기 때문에 부착된 오일 방울을 보다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은 상방 단부에서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보다도 작은 각도로 전방으로 일어선 유도면을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어서면서 상방 단부에서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에 접속하는 유도면을 구비하기 때문에 상승하는 연기 등을 상기 원호형상 면에 도입하기 이전에 연기 등을 전방 상측으로 진행하도록 정류(整流)시킬 수 있음으로써 상기 원호형상 면에 있어서는 보다 확실하게 선회류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판은, 상기 유도면으로부터 상기 원호형상 면의 하부에 걸친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안내판의 좌우 양단을 각각 후방을 향하여 오목하게 하여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포집 공간에 있어서의 후방 부분의 좌우 양단에 각각 오목함과 아울러 필터로의 안내면을 형성할 수 있음으로써 상기 안내판에 의해서 정류시키기 이전의 연기 등이 충돌하는 상기 포집 공간의 후방 부분에 있어서도 좌우 외측에 연기 등이 유출되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보다 포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에는 상기 흡인장치가 구비되는 배기 공간으로서의 주 연기통로가 구비됨과 아울러 각각의 상기 측판의 외측 공간을 구획하면서 상기 개구부와 상기 주 연기통로를 연통시키는 1쌍의 측 연기통로가 구비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의 후방에 배기공간으로서의 주 연기통로를 형성하고, 이 주 연기통로에 상기 흡인장치가 구비된다. 각각의 상기 측판의 외측 공간을 구획함과 아울러 각각 상기 주 연기통로와 연통하는 1쌍의 측 연기통로를 형성함으로써 상기 개구부로부터 상기 흡인장치까지의 외부와 구획된 배기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연기 등이 확산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청소가 필요한 범위를 상기 측 연기통로와 상기 주 연기통로와 상기 가이드부에 한정시킬 수 있다.
또한, 1개이상의 경사면에 의해 유도된 오일 방울을 수집하는 오일 수용부를 착탈가능하게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경사면을 형성함으로써 오일 방울을 소정의 개소에 유도할 수 있음과 아울러 이 유도된 개소에 상기 오일 방울을 수집하는 오일 수용부를 구비함으로써 용이하게 오일을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일 수용부는 착탈가능하므로 상기 오일 수용부를 떼어내서 회수한 오일의 폐기나 청소가 용이하게 된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상기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도록 필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필터가 상기 측판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지 않으므로 상기 필터에 부착된 오일 방울이 상기 측판보다 내측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판끼리의 간격과 대략 동일 폭으로 되는 상기 안내판을 하방으로 떼어내는 경우에는 상기 측판의 내측으로 돌출하는 장해물로 되지 않으므로 필터를 상기 개구부로부터 떼어내는 일없이 상기 안내판을 떼어낼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에는 수직선 방향이 이 개구부에서 선회하면서 외측으로 진행하는 연기 등의 진행방향과 대략 일치하고, 또한, 통기면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에 대한 1개 또는 복수개의 법선에 의해서 복수의 구획으로 나눈 영역마다 모두 동일 방향으로 되는 대략 판형상의 설편이 복수개 외측으로 잘려올려져서 형성된 대략 원형판 형상의 필터가 장착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발명에 있어서 수직선 방향이 상기 개구부에서 선회하면서 외측으로 진행하는 연기 등의 진행방향과 대략 일치하는 대략 판형상의 설편이 복수개 외측으로 잘라올려져서 형성된 필터가 장착된다. 또한, 통기면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원에 대한 1개 또는 복수개의 법선에 의해서 나누어진 복수의 영역이 형성되고, 각 영역에 있어서는 상기 설편의 수직선 방향이 모두 동일 방향이 되도록 형성되게 함으로써 선회하면서 상기 필터를 통과하는 연기 등을 상기 설편에 대해서 대략 수직으로 충돌시킬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연기 등에 포함되는 오일 진애 성분이 상기 설편에 부착되기 쉽게 되고, 오일 진애 성분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각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한다.
[실시예1]
도 1 및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스템 키친(10)은 마루면 상에 베이스 캐비닛(11)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베이스 캐비닛(11)의 카운터(12) 상방에 마주 대하도록 월 캐비닛을 마루면을 따르는 벽면에 설치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 캐비닛(11)의 카운터(12)에는 조리설비로서의 스토브(13)가 설치되고, 취사 등의 가 열조리가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스토브(13) 상방의 마주 대하는 위치에는 레인지 후드(14)가 설치되고, 스토브(13)에서의 가열조리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연기나 열기(연기 등)(S)를 흡인하고, 실외로 배출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레인지 후드(14)는 상기 스토브(13)에 마주 대하는 하방을 개구하도록 좌우의 측외판(14b)과, 앞면판(14c)과, 배면판(14d)과, 천정판(14e)으로 구성된 레인지 후드 본체(14a)와, 이 레인지 후드 본체(14a)의 내측 후방에 설치된 흡인장치로서의 시로코 팬(15)과, 이 시로코 팬(15)의 전방 영역을, 상기 스토브(13)에 마주 대하는 하방을 개구한 상태로 둘러싸도록 배치된 가이드부(16)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부(16)는 좌우 양측에 마주 대하도록 설치된 측판(16a)과, 상기 양 측판(16a) 사이에 낀 위치에 상기 일부가 전방을 향하여 만곡하게 설치된 안내판(16b)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양 측판(16a)에는 후술하는 위치에 흡인 배기용 대략 원형상의 개구부(16c)가 각각 설치되고, 이 개구부(16c) 형상에 대응하는, 대략 원형상의 필터(17)가, 예컨대, 도시하지 않은 나사고정에 의해 착탈가능하게 장착된다.
또한, 상기 안내판(16b)은 레인지 후드 본체(14a)의 내측 후방에 설치된 상기 시로코 팬(15)의 전방 하부로부터 전방으로 경사지게 일어서는 대략 평면형상의 유도면(16d)과, 이 유도면(16d)의 상단으로부터 연속해서 대략 전방으로 향하고, 종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이 되도록 만곡하고, 그 선단 가장자리가 하방을 향하는 원호형상 면(16e)으로 구성되어 있다. 스토브(13)에서의 가열조리에 의해 발생한 연 기 등(S)은 상기 시로코 팬(15)에 의해 후술하는 연기통로(18)를 통해서 상기 개구부(16c)로부터 흡인된다. 이 때의 연기 등의 흐름은 상기 안내판(16b)에 의해 규제 유도된다.
즉, 도 2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기 등(S)은 우선, 상기 유도면 (16d)에 도달하고, 이 유도면(16d)을 따라 상방으로 정류되어서 상기 원호형상 면 (16e)으로 유도된 후, 이 원호형상 면(16e)을 따라서 규제되면서 흐르고, 종방향으로 선회류가 생긴다. 또는, 연기 등은 직접 원호형상 면(16e)에 도달하여 마찬가지로 선회류가 생긴다. 이 선회류는 단면 회전중심을 향하여 서서히 모아지면서 상기 측판(16a)에 설치된 양 개구부(16c)에서 필터(17)를 통해 연기통로(18) 내에 흡인된다.
상기 가이드부(16)를 구성하는 측판(16a) 및 안내판(16b)은 상기 레인지 후드 본체(14a)와의 사이에 간격을 두어 마주 대하여 배치되고, 양자간에는 연기통로 (18)로 되는 구획을 형성한다. 즉, 상기 양측 외판(14b)과 상기 양 측판(16a) 사이에서는 연기통로(18)로서의 측 연기통로(18a)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양 안내면 (16b)과 상기 천정판(14e) 사이에서는 연기통로(18)로서의 주 연기통로(18b)가 형성된다. 이 주 연기통로(18b) 내에는 상기 시로코 팬(15)이 배치됨과 아울러 상기 측 연기통로(18a)와 연결되고, 상기 개구부(16c)로부터 연기 등(S)을 흡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각 연기통로(18)가 형성되는 구획의 하단은 폐쇄되고,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가 형성되어 있다. 즉, 상기 양측 연기통로(18a)의 하단에는 오일 방 울 유도 통로(19a)가, 상기 주 연기통로의 하단에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b)가 각각 설치된다.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a)는 후술하는 오일 수용부(20)가 배치되는 레인지 후드 본체(14a)의 양단 후방을 향하여 전방으로부터 서서히 내려가도록 경사져 있다. 마찬가지로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b)는 상기 오일 수용부(20)가 배치되는 레인지 후드 본체(14a)의 양단 후방을 향하여 정면방향 대략 중앙이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정면방향 양단측을 대략 역V자 형상으로 경사져 있다.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양 측 연기통로(18a)의 가장 안쪽, 및, 상기 주 연기통로(18b)의 정면방향 양단이 되는, 레인지 후드(14a)의 양단 후방에는 오일 수용부(20)가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오일 수용부(20)는, 예컨대, 높이×폭×안길이가 10mm×150mm×50mm정도의 접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 위치에, 각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a,19b)보다 일단 낮게 되도록, 또한, 오일 방울이 유입가능하게 상방이 개방되어 전후방향으로의 인출가능한 상태로 배치됨으로써 각 연기통로(18) 내벽 등으로부터 떨어진 오일 방울은 상기 오일 방울 유도 통로 (19)를 통해서 경사방향에 있는 상기 오일 수용부(20)로 유도되어 체류되도록 되어 있다. 오일 수용부(20)는 상기와 같이 착탈이 용이하므로 정기적으로 체류한 오일 방울을 용이하게 폐기할 수 있다.
상기 시로코 팬(15)은 그 회전축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상기 주 연기통로 (18b) 내의 가장 안쪽에 배치된다. 시로코 팬(15)은 팬 본체(15a)과, 이 팬 본체 (15a)를 둘러쌈과 동시에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팬 케이싱(15b) 및 도시하지 않은 모터로 이루어진다. 팬 케이싱(15b)은 팬 본체(15a) 회전중심 근방에 흡인 개구부 (15c)가 설치되고, 이 개구부(15c)로부터 팬 본체(15a) 중심부로 연기를 흡인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팬 케이싱(15b)에는 그 상단의 팬 본체(15a) 회전접선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기통(15d)이 설치되는 한편, 그 하단에 팬 본체(15a)의 회전원심력에 의해 떨어진 오일 방울을 팬 케이싱(15b) 밖으로 배출하는 배출구(15e)가 상기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b) 상방에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배기통(15d)은 덕트(21)에 접속되고, 상기 시로코 팬(15)으로 흡인된 연기 등을 실외로 배출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상기 시로코 팬(15)은 상기한 바와 같이, 그 회전축방향이 전후방향이 되도록 상기 주 연기통로(18b) 내의 가장 안쪽에 배치되기 때문에 전후방향으로 아주 콤팩트하게 배치할 수 있음으로써 레인지 후드(14)를 소형화할 수 있다.
또한, 시로코 팬(15)은 그 특성상, 중심부로부터 흡인하고, 원심력에 의해 외주로 배출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흡인한 연기 내에 함유되는 오일 방울은 강제적으로 원심력에 의해 외부로 비산되게 된다. 또한, 이들 오일 방울은 팬 케이싱 (15b) 내면에 접촉하여 흘러내리고, 팬 케이싱(15b)의 하단에 설치되어 있는 배출구(15e)로부터 아주 효율좋게 배출되고, 상기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b)를 통해서 오일 수용부(20)에 보다 용이하게 수집가능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팬 본체(15a) 자체로의 오일 방울의 부착량을 저감하고, 청소 빈도를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기통(15d)은 팬 케이싱(15b) 상단의 팬 본체(15a) 회전접선 상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으므로 저저항으로 흡인한 연기 등을 효율좋게 배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원심력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 방울은 자중에 의해 낙하 하기 쉽고 배기연기 중으로의 혼입량을 억제할 수 있다. 이상에 레인지 후드(14)의 각 구조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어서 이 레인지 후드(14)를 사용한 경우의 기능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스토브(13)에서 가열조리를 행하였을 때에 발생하는 연기 등(S)은 그 상방에 배치된 레인지 후드(14)로 흐른다. 레인지 후드(14)에서는 상기 유도면(16d)에 도달한 연기 등(S)은 이 유도면(16d)을 따라 상방으로 흘러서 상기 원호형상 면(16e)에 유도된 후, 이 원호형상 면(16e)을 따라 규제되면서 흐르고, 종방향으로 선회류가 생긴다. 또는, 직접, 원호형상 면(16e)에 도달한 연기 등(S)은 마찬가지로 선회류가 생긴다. 이 선회류는 단면 회전중심을 향하여 서서히 모아지면서 상기 측판 (16a)에 설치된 양 개구부(16c)에서 필터(17)를 통해서 양 측 연기통로(18a) 내에 흡인된다.
이 때, 상기 필터(17)에 있어서는 연기 등에 포함되는 오일의 일부가 여과되고, 필터(17) 내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오일 수용부, 또는, 오일 흡수 부재에 의해 회수된다. 양 측 연기통로(18a) 내에 흡인된 연기 등은 양 측 연기통로(18a)를 통해서 주 연기통로(18b) 내에 배치된 시로코 팬(15)의 팬 케이싱 (15b)에 설치된 흡인 개구부(15c)에 흡인된다. 또한, 흡인된 연기 등은 팬 본체 (15a)의 회전중심으로부터 회전 외주로 흡인 통과하고, 배기통(15e)을 통해서 실외로 배기된다.
또한, 각 연기통로(18) 내를 통과하는 연기 등은 필터(17)에 의해 오일의 일부가 여과되어 있다라고는 말해도 아직 오일을 함유하고 있지 않은 경우가 있다. 이러한 오일의 일부는 각 연기통로(18)를 구성하는 내벽면에 부착된다. 이 부착된 오일 방울은 자중에 의해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고, 연기통로(18)(18a,18b) 하단의 오일 방울 회수통로(19)(19a,19b)에 도달한다. 또한, 이 오일 방울 회수통로 (19)의 경사를 따라 유도되어 오일 수용부(20)로 흘러내려 수집된다.
또한, 각 연기통로(18) 내를 통과하는 연기 등이 포함하는 오일의 일부는 시로코 팬(15)에 흡입되었을 때, 팬 본체(15a)의 회전원심력에 의해 외주로 비산된다. 이들 오일은 팬 케이싱(15b) 내벽에 부착된 후, 내벽을 따라서 흘러내리고, 배출구(15e)로부터 배출된다. 이 배출구(15e)로부터 배출된 오일 방울은 하방에 배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b)의 경사를 따라 유도되고, 마찬가지로 오일 수용부 (20)에 흘러내려 수집된다. 이와 같이 하여 오일 수용부(20)에 수집된 오일 방울은 오일 수용부(20)를 착탈하여 폐기할 수 있다. 또한, 착탈한 오일 수용부(20)는 세정할 수도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열거하는 구성에 관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오일 수용부의 위치는 레인지 후드 본체의 양단 가장 안쪽 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오일 방울 유도 통로에서 유도된 오일 방울을 수집가능하면 다른 위치에 배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주 연기통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를 정면방향에 있어서 양단으로부터 대략 중앙부를 향하여 경사지는 V자형상으로 형성하여 상기 대략 중앙부 하방에 오일 방울을 수용하도록 배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측 연기통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에서 유도되는 오일 방울도 상기 주 연기통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 일 방울 유도 통로로 흡인하면 오일 수용부를 1개만으로 할 수 있다. 청소작업성의 향상이나 저비용화를 도모한다. 기타, 측 연기통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 중 어느 하나의 위치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설치하는 오일 수용부의 개수도 1개, 2개로 한정되지 않고, 3개이상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좌우 비대칭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각 오일 유도 통로의 경사방향 및 경사형상은 오일 수용부의 배치위치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주 연기통로의 하부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는 경사를 정면방향이 아니고 전후방향으로 설치하여도 좋다. 예컨대, 그 전후 폭방향의 시로코 팬 대략 바로밑 위치가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전후 양측을 단면이 대략 V자형상으로 경사시킴과 아울러 상기 오일 방울 유도 통로의 하방에 배치한 오일 수용부에 오일 방울을 유도하여 흘러내릴 수 있게 상기 오일 수용부의 상부에 위치하는 오일 수용 유도 통로의 돌출부에 1개이상의 유입구멍을 뚫은 구조를 들 수 있다. 시로코 팬의 팬 케이싱, 또는, 주 연기통로 내벽으로부터 흘러내린 오일 방울을 단면 V자의 오목부에서 유도한 상태로 상기 흘러내림구멍으로부터 오일 수용부에 흘러내려 수집한다.
오일 수용부의 형상 및 사이즈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오일 방울 유도 통로로부터 유도되는 오일 방울을 수집할 수 있으면 다른 형상이나 다른 사이즈여도 좋다. 예컨대, 접시형상이 아니고 탱크형상이어도 좋다. 또는, 비닐주머니로 하여도 좋다. 이 경우, 주머니마다 폐기할 수 있으므로 작업성이 향상한다. 또한, 손잡이나 오목한 부분 등을 형성하여 착탈하기 쉽게 하여도 좋다. 또한, 오일 수용부 를 오일 방울 유도 통로 전체에 설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오일 방울 유도 통로 자체를 오일수 수용부로 하여도 좋다. 즉, 오일 방울 유도 통로를 착탈가능한 구조로 하면 오일 방울 유도 통로의 청소를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오일 방울 유도 통로를 경사지게 할 필요가 없게 되고, 디자인 자유도도 향상한다.
오일 수용부의 착탈구조는 인출상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착탈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상하방향으로 착탈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인출상태의 경우, 그 인출방향은 전후방향에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횡방향 등, 다른 방향으로 인출할 수 있게 하여도 좋다. 팬 케이싱의 하부에 설치되는 배출구의 하방에는 이 배출구로부터 배출되는 오일 오염물을 수용하는 통을 설치함과 아울러 이 통으로부터 오일 수용부를 향하여 오일 방울을 유도가능하게 연장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를 별도로 설치하여도 좋다. 이 오일 방울 유도 통로는 팬 케이싱의 배출구로부터 배출된 오일 방울을 오일 수용부에 유도하기 위하여 경사지게 한, 경사면으로서 구성된다.
시로코 팬은 흡인장치의 일예이고, 이것에 한정은 되지 않고, 다른 종류의 흡인장치를 이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일반적인 프로펠러 팬을 이용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시로코 팬 특유의 작용효과는 얻어지지 않게 되지만 선회류에 의한 높은 연기 포집능력이나 청소작업성 등의 다른 작용효과는 계속 얻어진다. 개구부 및 필터형상은 원형상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좋다.
[실시예2]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는 레인지 후드(14)의 흡인장치로서 시로코 팬(15)을 그 회전축방향이 전후방향과 대략 일치하도록 상기 주 연기통로(18b) 내의 가장 안쪽에 배치함으로써 전후방향으로 아주 콤팩트하게 되고, 레인지 후드(14)의 소형화가 도모된다라는 우수한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그러나, 그 한편으로 레인지 후드 (14)의 상하방향에 관한 소형화는 충분히 도모되지는 않았다. 레인지 후드(14)의 상하방향에 관한 소형화는 단지 설치공간 등의 기능적인 요구뿐만 아니라 미관상의 관점에서도 그 필요성이 높다. 즉, 최근의 주택사정의 변화에 의해 레인지 후드 (14)를 포함한 시스템 키친(10)에는 단순한 기능성만을 요구하기에 머물지 않고 실내 인테리어와 같은 외관의 디지인성까지 구애되는 요구가 크게 되고 있다.
이 점을 감안한 경우, 레인지 후드(14)의 상하방향의 소형화는 디자인적으로 볼륨(volume)감을 저감하고, 상쾌감을 창출할 수 있으므로 우수한 디자인성을 얻는 것으로도 연결된다. 그러나, 레인지 후드(14)의 상하방향에 관한 보다 한층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최하방에 위치하는 유도면(16d)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눕히는 것이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이 방법에는 이하와 같은 문제가 있었다.
상기 유도면(16d)은 상기한 바와 같이,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연기 등을 확실하게 포착하고, 상방에 연속하는 원호형상 면(16e)으로 유도하는 목적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유도면(16d)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는 구조에서는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연기 등을 충분히 포착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있었다. 즉, 하방으로부터 유입되는 연기 등은 유도면(16d)에 접촉한 후, 상방에 연속하는 원호형상 면(16e)에 충분히 유도되지 않고, 그 일부가 상기 유도면(16d)의 양측방으로부터 측판(16a)을 타고 넘어서 레인지 후드(14) 밖으로 유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실시예1에서 상기 높은 흡인능력을 시초로 하는, 우수한 작용효과를 손실하는 일없이 상하방향으로 소형화를 도모하고, 높은 디자인성 및 공간절약성을 양립시키는 구성을 제공한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인지 후드(14)는 유도면(16d)을 실시예1보다도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눕게 하고 있다. 상기 경사각도는 수평면으로부터의 기립각도가, 예컨대, 30°이다. 또한, 상기 유도면(16d)으로부터 원호형상 면(16e)의 하부에 걸리는 정면방향 양단부에는 레인지 후드(14) 안쪽방향으로 오목한 연기 등의 안내기구로서의 오목부(16f)를 각각 설치하고 있다. 상기 오목부(16f)는 예컨대 모따기로 이루어진다. 그 안쪽방향의 깊이가 유도면(16d)과 원호형상 면(16e)의 경계 근방이 가장 깊고, 또한, 그 상하방향을 향하여 깊이가 연속적으로 얕아지도록 서서히 변화시키고 있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오목부(16f)는 유도면(16d)의 배면측에 배치되어 있는 팬 케이싱(15b)의 양측방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팬 케이싱(15b)을 간섭하지 않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안내판(16b)에 의하면 하방의 스토브로부터 유도면(16d)에 도달한 연기 등의 내부, 유도면(16d)의 경사각도가 작기 때문에 유도되지 않고, 횡방향으로 흐르도록 한 연기 등이 측방에 설치된 오목부 (16f)에 의해서 포착되고, 상기 오목부(16f)를 따라서 상방의 원호형상 면(16e)까지 확실하게 교정 안내할 수 있다.
따라서, 유도면(16d)의 경사각도를 작게 하여 레인지 후드(14)의 상하 사이 즈를 소형화하여도 레인지 후드 본체(14a) 측방으로 연기 등이 유출되는 일이 없고, 실시예1에 기재된 우수한 작용효과와, 볼륨감을 저감하고, 상쾌감을 창출하는 우수한 디자인성 및 공간절약성을 양립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열거하는 구성에 관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오목부는 상방의 원호형상 면에 연기 등을 교정 안내할 수 있으면 모따기 이외의 구조이어도 좋다. 예컨대, 만곡면을 형성하여도 좋고, 단순한 홈을 형성하여도 좋다. 오목부의 깊이는 상방의 원호형상 면에 연기 등을 교정 안내할 수 있으면 특별히 한정은 되지 않는다. 서서히 변화되고 있지 않아도 좋고, 유도면과 원호형상 면의 경계 근방을 반드시 가장 깊게 할 필요는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기 등의 안내기구로서 오목부를 실시한 구성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방의 원호형상 면에 연기 등을 교정 안내할 수 있으면 반드시 오목부일 필요는 없고, 다른 구조의 연기 등의 안내기구를 적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유도면의 양단부 자체, 또는, 유도면의 양단부에 인접하는 측판의 적어도 어느 한쪽에 그 배면에 있는 연기통로 내에 연기 등을 흡인하여 교정 안내할 수 있는 흡인구멍을 형성하거나 흡인용 간극을 형성하는 구성을 들 수 있다. 이 구성에 의해서도 오목부와 마찬가지의 작용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이 구성의 경우, 상기 흡인구멍에 필터를 장착하여도 좋다.
[실시예3]
상기 각 실시예에서 기재한 안내판(16b)은 상기와 같이, 그 내표면에 요철이 없어 단순하고, 부착된 오일 방울 등을 용이하게 닦아낼 수 있고, 높은 청소작업성이 얻어진다. 그러나, 완강하게 고정부착된 오일 방울의 경우, 닦아내기작업만으로 완전히 청소하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었다. 특히, 보다 상방의 위치에 있는 원호형상 면(16e)은 손이 닿기 어렵고, 또한, 만곡되어 있으므로 유도면(16d)에 비해서 청소작업성의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연기통로(18) 내벽이나 시로코 팬(15) 등의 청소작업도 곤란하였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청소작업성을 개선한 레인지 후드를 실현시키고 있다. 이하, 그 구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레인지 후드(14)는 안내판(16b) 중, 원호형상 면(16e)을 유도면(16d)과 레인지 후드 본체(14a)로부터 착탈가능하게 한 점에 큰 특징이 있다. 즉,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원호형상 면(16e)은 유도면(16d) 및 측판(16a)과는 별체이고, 예컨대, 유도면(16d)의 상단 가장자리에 U자형상의 수용부(22)를 설치하고, 원호형상 면(16e)의 일단을 상기 수용부(22)에 삽입함과 아울러 타단을 레인지 후드 본체(14a)의 앞 가장자리에 도시하지 않은 나사로 고정함으로써 착탈가능하게 레인지 후드(14)에 장착하고 있다.
이와 같이 착탈가능한 원호형상 면(16e)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14)에 의하면 원호형상 면(16e)을 청소하고 싶은 경우에는 이 원호형상 면(16e)을 떼어내고, 그 표면 및 이면을 용이하게 직접, 그대로 세척할 수 있다. 또한, 원호형상 면(16e)을 떼어냄으로써 안내판(16b)은 크게 개구되기 때문에 그 내부에 있는 연기통로(18) 내벽이나 시로코 팬(15) 등을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다.
그런데, 실시예1에 있어서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필터(17)가 각각 측판(16a)으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하게 장착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측판(16a)끼리의 간격과 대략 동일 폭으로 되는 원호형상 면(16e)을 하방으로 떼어낼 때에 좌우의 필터(17)가 간섭하여 버리게 된다. 따라서, 원호형상 면(16e)을 하방으로 떼어내기 전에 미리 필터(17)를 떼어내어 두어야만 하고, 작업이 매우 번거롭게 된다. 또한, 필터(17)는, 상기한 바와 같이, 내부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오일 수용부, 또는, 오일 흡수 부재를 구비하고 있지만 필터(17)에 부착되어 흘러내리는 오일 방울 전체를 완전히 수집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고, 일부가 필터(17) 본체로부터 측판(16a)에 흘러내려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도 8 및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 측판(16a)에 설치되는 대략 원형상의 개구부(16c) 외주의 하단에는 외측[측 연기통로(18a)측]을 향하여 적어도 필터(17) 두께분 이상으로 돌출시킨, 대략 L자형상의 제 1 단차 수용부(23a)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개구부(16c) 외주의 상단에는 상기 레인지 후드 본체(14a)측 내측에, 상기 제 1 단차 수용부(23a)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는 가압기구(23b)가 설치되어 있다. 이 가압기구(23b)는 본 실시예에서는 인접하게 2개의 볼록부를 하방을 향하여 갖는 판스프링으로 구성된다.
또한, 개구부(16c) 외주의 양 측부에는 측판(16a)의 외측을 향하여 적어도 필터(17) 두께분 이상으로 돌출시킨, 대략 L자형상의 제 2 단자 수용부(23c)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압기구(23b)가 설치된 개구부(16c) 상단에는 측판(16a)이 연장되어 이루어지는 제 1 탈락 방지기구(24a)가 설치된다. 한편, 개구부(16c) 하단에는 상기 제 1 단차 수용부(23a)의 돌출부분의 일부가 개구부(16c)의 외주방 향(하방)으로 일단 오목해져서 이루어지는 제 2 탈락 방지기구(24b)가 설치된다.
필터(17)는 상기 개구부(16c)보다 약간 작은 대략 원형상이고, 그 외주의 일부에 평면 수용부(17a)가 설치됨과 아울러 이 평면 수용부(17a)에 대략 마주 대하는, 외주의 다른 일부에 대략 표면측(흡인측)으로 돌출한 손잡이(17b)를 설치하고 있다. 또한, 필터(17)의 손잡이(17b)측의 외주는 그 일부의 폭이 상기 제 2 탈락 방지기구(24b)인, 제 1 단차 수용부(23a)의 돌출부분의 일부의 오목한 폭에 대응하는 바와 같이 좁다.
이어서, 이상에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에 있어서의, 필터(17)의 장착상태에 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필터(17)를 장착하는 경우, 우선, 필터(17)의 손잡이 (17b)를 잡고, 그 평면 수용부(17a)측을 개구부(16c) 상단의 제 1 탈락 방지기구 (24a) 이면측에 삽입한다. 또한, 접촉한 가압기구(23b)의 하방향으로의 가압에 저항하도록 약간 상방으로 가압하면서 필터(17) 하단측, 즉, 손잡이(17b)측을 개구부 (16c) 내로 삽입한다. 그러면, 필터(17) 외주는 상기 양 단차 수용부(23a,23c)에 접촉 규제됨과 아울러 필터(17) 하단의 외주가 제 2 탈락 방지기구(24b)인, 제 1 단차 수용부(23a)의 돌출부분의 오목 개소에는 꼭끼워넣어지고, 가압기구(23b)에 의해 상기 단차 수용부(23a)에 접촉하여 가압되어서 장착을 완료한다.
도 10은 필터(17)를 이면측[측판(16a)에 장착하였을 때에 측 연기통로(18a)측]으로부터 봐서 도시하고 있다. 도 10에 있어서 대략 원형의 필터(17)는 통기면의 대략 중앙부를 중심으로 한 원에 대한 2개의 법선에 의해서 나누어진 대략 부채꼴의 4개의 영역(A1~A4)을 갖고 있다. 필터(17)의 전체면에 걸쳐서 이면측(지면 바 로 앞측)에 잘라올려진 복수의 직사각형 판형상의 설편(17d)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설편(17d)의 잘라올려진 방향은 각 영역(A1~A4)마다 통일되어 있다. 영역(A1)에 있어서는 지면 상측으로 잘라올려진 끝이 배향(配向)되어 있고, 영역(A2)에 있어서는 지면 좌측으로 잘라올려진 끝이 배향되어 있고, 영역(A3)에 있어서는 지면 하측으로 잘라올려진 끝이 배향되어 있고, 영역(A4)에 있어서는 지면 우측으로 잘라올려진 끝이 배향되어 있다. 즉, 각 영역(A1~A4)에 있어서의 잘라올려진 끝의 방향은 지면 상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10에 있어서 연기 등(S)은 파선 화살표에 의해 도시하고 있다. 또한, 연기 등(S)은 측판(16a)의 내측[필터(17)의 표면측]에서 선회하고 있고, 시계 방향으로 선회하고 있다. 즉, 설편(17d)의 잘라올려진 끝의 배향방향과 반대방향의 선회방향으로 되어 있음으로써, 도 10에 있어서 단면으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체 영역(A1~A4)에 있어서 선회하면서 외측에 흡인되는 연기 등(S)의 진행방향과 설편 (17d)의 수직선방향을 대략 일치시킬 수 있음으로써 연기 등(S)을 똑바로 설편 (17d)에 충돌시키고, 그 후, 잘라올려진 끝과 필터면의 간극으로부터 연기 등(S)을 흡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있어서 도시한 필터(17)는 좌측판(16a)에 설치되는 필터(17)이다. 한편, 우측판(16a)에 설치되는 필터(17)에서는 연기 등(S)을 똑바로 설편(17a)에 충돌시키기 위하여 잘라올려진 끝이 시계 방향으로 배향하도록 설편 (17d)을 형성하면 좋다.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필터(17)는 측판(16a) 표면보다도 연기통로(18a)측 내방에 장착됨으로써 측판(16a)표면으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고, 측판(16a)의 청소에 방해가 되거나 원호형상 면(16a)의 착탈작업에 방해가 되는 일이 없다. 또한, 필터(17)로부터 하방으로의 오일 방울의 떨어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공구를 전혀 사용하는 일없이 손잡이(17b)에 의해 아주 용이하게 필터(17)를 착탈할 수 있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탈락 방지기구(24a,24b)가 설치되어 있음으로써 사용중에 필터(17)가 탈락하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연기 등(S)을 대략 수직으로 설편(17a)에 충돌시킬 수 있기 때문에 연기 등 (S)에 포함되는 오일 진애성분을 효율좋게 설편(17a)에 부착시킬 수 있음으로써 필터(17)에 있어서의 오일 진애성분의 회수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열거하는 구성에 관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단차 수용부의 형상, 설치위치, 설치수는 한정되지 않고, 필터 위치를 규제하고 유지할 수 있으면 다른 형상, 위치, 수이어도 좋다. 마찬가지로, 가압수단의 형상, 종류, 설치위치, 설치수도 한정되지 않고, 필터를 유지하기 위해서 가압할 수 있으면 다른 형상, 종류, 위치, 수이어도 좋다. 예컨대, 단차 수용부와 가압수단의 배치를 상하 반대로 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또한, 제 2 단차 수용부를 생략하여도 좋다. 또한, 가압수단에 판스프링이 아니고, 탄성고무를 채용하여도 좋다.
또한, 단차 수용부를 개구부 외주의 앞 주위에 설치하여도 좋고, 단차 수용부 이외의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개구부와 필터 중 어느 일방측에 돌기를, 타방측에 돌기 수용부를 설치하는 구조를 들 수 있다. 개구부 및 필터의 형상은 원으로 한정되지 않고, 사각 등의 다른 형상이어도 좋고, 복수의 영역으로 구획 하는 법선도 2개에 한정되지 않고, 1개 혹은 3개이상이어도 좋다. 탈락 방지기구는 필터의 탈락방지기능이 얻어지면 다른 구조를 채용하여도 좋다. 예컨대, 제 1 탈락 방지기구를 제 2 탈락 방지기구와 마찬가지의 구조로 하는 예를 들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제 2 탈락 방지기구를 제 1 탈락 방지기구와 마찬가지로의 구조로 하여도 좋다.
단, 이 경우, 탈락 방지기구로서의 측판 연장길이는 가압기구에 저항하여 필터를 가압하였을 때에 삽입가능한 길이로 할 필요가 있다. 양 탈락 방지기구 중 어느 한쪽, 또는, 양쪽 모두 생략하여도 좋다. 가압기구의 가압력과 레인지 후드 가동시의 흡인력이 있으므로 생략하여도 일정한 탈락방지효과는 얻어진다. 가압기구에 의한 가압방향은 하방으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경사진 후방, 또는, 후방으로 가압하도록 하여도 좋다. 가압기구 이외의 방법으로 고정하여도 좋다. 예컨대, 필터 외주와 측판에 설치한 수용부에 나사를 설치하고, 필터 자체를 회전시켜서 나사체결한다. 또는, 고리로 거는 구조이어도 좋다. 또는, 실시예1과 마찬가지로 나사고정하는 방법이어도 좋다.
이 경우, 착탈작업의 용이성이라는 이점은 잃어버리지만 측판으로부터 돌출하지 않으므로 얻어지는 작용효과는 계속 얻어진다. 가압기구 및 단차 수용부를 측판의 안내판측 내방에 돌출시켜 설치하여도 좋다. 이 경우, 필터는 측판으로부터 돌출하게 고정되기 때문에 이것에 수반되는 문제점은 남지만 착탈용이성의 이점은 계속 얻어진다. 개구부와 필터에 회전방향에 있어서의 정위치 장착시 이외에는 접촉 간섭하는 규제형상을 설치하여도 좋다. 이것에 의하면 필터의 회전위치에 있어 서의 오장착을 방지할 수 있다.
[실시예4]
상기 실시예3에서 개구부(16c)에 장착되는 필터(17)는 측판(16a) 표면에 돌출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고, 오일 방울이 필터(17) 돌출부분으로부터 하방으로 떨어지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러나, 필터(17)에 부착되는 오일 방울이 필터 (17) 하부의 측판(16a)을 굴러 떨어지는 문제가 전과 다름없이 있었다. 이것은 측판(16a)에 필터(17)가 돌출하게 설치되는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는 특히 문제로 된다. 그래서, 본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점에 관한 개선을 도모하는 필터(17)둘레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 방울의 처리구조에 관한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레인지 후드(14)에서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3에 있어서의 필터(17) 장착구조에 있어서 개구부(16c)의 하단부 및 제 1 단차 수용부(23a)에 필터(17)로부터 흘러내리는 오일 방울을 측 연기통로(18a) 내에 유도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25a,25b)를 설치하고 있다. 즉, 전자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는 대략 개구부(16c) 폭으로, 상단측이 측 연기통로(18a)내에 수평 이하의 각도로 경사지도록 구멍을 뚫어 구부린, 경사면으로서의 커트 밴드(25a)이고, 후자에 설치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는 제 1 단차 수용부(23a)의 돌출부분의 적어도 일부에서 상하 사이에 관통 형성된 구멍(25b)이다.
상기 커트 밴드(25a)에 의하면 필터(17)의 외면측(흡인측), 또는, 그 주변의 측판(16a)으로부터 측판(16a)을 통해 떨어진 오일 방울을 그 굽힘부로부터 측 연기통로(18a) 내로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유도할 수 있고, 측판(16a) 하방으로의 흘 러내림을 억제하여 오일 수용부(20)에 회수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구멍(25b)에 의하면 필터(17)의 내면측[연기통로(18a)측], 또는, 그 주변의 측판(16a)으로부터 측판(16a)[연기통로(18a) 내측]을 흘러내리고, 제 1 단차 수용부(23a)에 도달한 오일 방울을 개구부(16c)로부터 측판(16a) 외면으로 유출시키는 일없이 용이하게 또한 확실하게 측 연기통로(18a) 하방의 오일 방울 유도 통로(19a)로 유도하고, 오일 수용부(20)에 회수할 수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본 실시예의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이하에 열거하는 구성에 관해서 적절히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커트 밴드(25a)에 아울러서 그 하단측 단면(25e)을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상기 커트 밴드 대신에 상단측 단면 (25c)이 경사진 대략 개구부폭의 긴구멍(25d)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는, 경사지지 않는 단순한 관통구멍이어도 좋다. 커트 밴드와 구멍 중 어느 한쪽만을 형성하도록 하여도 좋다. 제 1 단차 수용부에 설치하는 오일 방울 유도 통로는 구멍이 아니고, 단차 수용부의 단부로부터 내방에 설치한 노치부이어도 좋다. 커트 밴드는 1개만이 아니라 상하방향에 2단이상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이 경우, 개개의 커트 밴드는 반드시 개구부폭 전체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예컨대, 각 단 개개는 폭방향의 일부만을 커버하고, 각 단 전체에서 폭 전체를 커버하도록 하여도 좋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실시예3에 있어서의 필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적용한 경우에 관해서 설명하였지만 상기 실시예1에 있어서의 필터 장착구조에 있어서 적용하여도 좋다. 즉,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기 필터 장착구조에 있어서는 개구부 하부의 필터에 의해 덮여지는 측판부분, 및, 필터 하방의 측판 부분에 각각 커트 밴드(26a,26b) 또는 상단측 단면이 경사진 구멍(26c,26d)을 형성한다. 이것에 의해서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필터 둘레의 오일 방울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또한, 커트 밴드(26a,26b)와 아울러서 그 하단측 단면(26e,26f)을 경사지게 하여도 좋다. 또한, 개구부 하부의 필터에 의해 덮여지는 측판부분에 관해서는 커트 밴드나 구멍이 아니고, 단지 개구부 하부 가장자리를 측 연기통로 하방을 향하여 경사지는 테이퍼면으로 하여도 좋다.
본 발명은 높은 연기포집능력을 구비한 레인지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본원 발명에 의하면 연기 포집 능력이 높고, 상하 방향으로 소형화가 가능한 레인지 후드를 제공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Claims (10)

  1. 조리설비의 상방에 설치된 레인지 후드로서,
    좌우 양 측방에 각각 설치된 측판과 이 양 측판 사이에 끼워져 배치된 안내판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리설비와 마주 대하는 하방이 개구하여 선회류를 발생시키는 포집 공간을 형성하는 가이드부를 구비하고,
    상기 안내판은,
    종단면이 대략 원호형상인 원호형상 면과,
    상방 단부에서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에 접속하고, 상기 원호형상 면의 후방 단부보다도 작은 각도로 전방으로 일어선 유도면과,
    상기 유도면으로부터 상기 원호형상 면의 하부에 걸친 좌우 양측에 후방으로 오목한 오목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부의 안쪽 방향의 깊이는, 상기 유도면과 상기 원호형상 면의 경계근방이 가장 깊고, 상기 경계근방으로부터 상하방향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얕아지도록 서서히 변화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10. 제 1 항 또는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양 측판의 각각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포집 공간으로부터 상기 개구부의 각각의 외측으로 흡인하는 흡인장치가 상기 유도면의 배면측에 배치되고,
    상기 오목부는, 상기 흡인장치의 양 측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레인지 후드.
KR1020040002738A 2004-01-14 2004-01-14 레인지 후드 KR100966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738A KR100966075B1 (ko) 2004-01-14 2004-01-14 레인지 후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02738A KR100966075B1 (ko) 2004-01-14 2004-01-14 레인지 후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829A KR20050074829A (ko) 2005-07-19
KR100966075B1 true KR100966075B1 (ko) 2010-06-28

Family

ID=372633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02738A KR100966075B1 (ko) 2004-01-14 2004-01-14 레인지 후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6607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43933B (zh) * 2019-04-15 2024-01-16 宁波方太厨具有限公司 一种吸油烟机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947A (ja) 1997-12-29 1999-07-21 Yamaha Livingtec Corp レンジフード
JPH11193946A (ja) 1997-12-29 1999-07-21 Yamaha Livingtec Corp 調理設備の排気構造
JPH11221413A (ja) * 1998-02-10 1999-08-17 Yamaha Livingtec Corp グリスフィルタ
JP2001133003A (ja) * 1999-11-05 2001-05-18 Yamaha Livingtec Corp レンジフー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3947A (ja) 1997-12-29 1999-07-21 Yamaha Livingtec Corp レンジフード
JPH11193946A (ja) 1997-12-29 1999-07-21 Yamaha Livingtec Corp 調理設備の排気構造
JPH11221413A (ja) * 1998-02-10 1999-08-17 Yamaha Livingtec Corp グリスフィルタ
JP2001133003A (ja) * 1999-11-05 2001-05-18 Yamaha Livingtec Corp レンジフー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074829A (ko) 2005-07-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376694A1 (en) Smoke Filter Device and Range Hood with the Same
KR101417050B1 (ko) 공기조화기의 실내기
KR100966075B1 (ko) 레인지 후드
CN218096173U (zh) 组合灶
CN218096172U (zh) 组合灶
CN209960586U (zh) 一种集成灶烟道油路系统及集成灶
JP2000111116A (ja) レンジフ―ド
CN218096171U (zh) 组合灶
JP3986024B2 (ja) レンジフード
CN214949269U (zh) 集成灶
JP3995209B2 (ja) レンジフード
CN110779063B (zh) 滤网组件和油烟净化装置
CN109196285B (zh) 抽油烟机
CN111853905A (zh) 吸油烟机
CN215336590U (zh) 烟机壳体及吸油烟装置
WO2018079079A1 (ja) レンジフード
CN218065179U (zh) 一种方便集水的半导体除湿机
JP6735070B2 (ja) レンジフード
CN220071981U (zh) 一种自清洁除油烟一体集成灶净化装置
CN109405021B (zh) 吸油烟机
CN217367473U (zh) 一种清洁工具的固液分离装置
CN220471712U (zh) 吸油烟机
JPH0533978A (ja) レンジフード
CN210035636U (zh) 侧吸式油烟机
CN216079997U (zh) 油网集油结构、集成灶机头及集成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430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